KR20130032374A - 손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손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374A
KR20130032374A KR1020137002199A KR20137002199A KR20130032374A KR 20130032374 A KR20130032374 A KR 20130032374A KR 1020137002199 A KR1020137002199 A KR 1020137002199A KR 20137002199 A KR20137002199 A KR 20137002199A KR 20130032374 A KR20130032374 A KR 20130032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le
hand
nozzle
air flow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404B1 (ko
Inventor
마사오 아키요시
후미카즈 마츠우라
히토시 키쿠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590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3237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소음을 저하시키고, 취출구로부터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손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손삽입부(2)와, 손삽입부(2)를 구성하는 벽면에 배치된 노즐(4a 및 4b)을 구비하고, 노즐(4a 및 4b)로부터 분출한 공기류에 의해 손에 부착한 수분을 털어내는 손건조 장치로서, 노즐(4a 및 4b)의 선단의 노즐구멍(5)은 파상의 슬릿 형상이다.

Description

손건조 장치{HAND DRYER DEVICE}
본 발명은, 노즐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에 의해 젖은 손을 건조시키는 손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즐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에 의해 젖은 손을 건조시키는 손건조 장치는, 페이퍼 타월이나 렌털 타월에 비하여, 운용 자금이 싸고, 비접촉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메인터넌스 절약성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손건조 장치는, 팬 등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을 취출구(이하에 기재하는 노즐구멍에 상당)로부터 분출시키는 것이어서, 건조 성능을 높이기 위해 공기류을 고속화하면, 소음이 증가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손건조 장치로서 예를 들면, 「상자의 정면 및 측면을 개방하여 삽통 자유롭게 마련된 손삽입부와, 상기 손삽입부의 상하면부에 각각 배설되고, 고압 공기를 고속의 바람으로서 분출시키는 단면 형상이 3차 곡선의 노즐구멍을 갖는 취출(吹出) 노즐과, 상기 취출 노즐에 고압 공기를 보내는 고압 공기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라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2720722호 공보(1페이지)
특허 문헌 1과 같은 손건조 장치에서,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또한 소음을 저하시키기 위해, 기류(氣流)의 속도를 저하시켜서 풍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풍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노즐구멍의 면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손건조 장치에서는, 공기류의 노즐구멍이 개략 국화형상(菊形狀)이기 때문에, 노즐구멍의 면적을 확대하면 지름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노즐구멍으로부터 이물이 침입한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소음을 저하시키고, 노즐구멍으로부터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손건조 장치를 제공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손건조 장치는,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손삽입부와, 상기 손삽입부를 구성하는 벽면에 배치된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한 공기류에 의해 손에 부착한 수분을 털어내는 손건조 장치로서, 상기 노즐의 선단의 노즐구멍은 파상(波狀)의 슬릿 형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노즐구멍이 파상임에 의해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소음을 저하시키고, 노즐구멍이 슬릿인 것에 의해 노즐구멍으로부터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손건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노즐구멍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1, A2 및 A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정면측의 노즐구멍에 배면측의 노즐구멍을 투사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노즐구멍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정면측의 노즐구멍의 정면도 및 배면측의 노즐구멍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노즐구멍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C1, C2 및 C3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의 손건조 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한 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모든 도면에서, 지면(紙面) 상부를 손건조 장치 또는 그 구성 부분의 상부로 하고, 지면 하부를 손건조 장치 또는 그 구성 부분의 하부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는, 손건조 장치 본체의 외곽을 이루는 상자체(箱體)(1)와, 상자체(1)의 윗면 및 측면을 개방하여 삽통 자유롭게 비워진 손삽입부(手揷入部)(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삽입부(2)의 양측면에서의 개구부(2a, 2b)는, 손이 삽입하기 쉽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개구부(2a, 2b)는, 막혀 있어도 좋고, 개방되어 있던 경우와 동등한 건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손삽입부(2)의 내벽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등의 발수성 코팅, 산화 티탄 등의 친수성을 갖는 코팅, 또는 항균제를 함침시킨다. 이에 의해, 내면에 오물이 부착한 것을 경감하거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삽입부(2)의 정면측의 외측 벽면(본 발명에서의 제 1의 벽면에 상당)에 노즐(4a)이 마련되어 있고, 손삽입부(2)의 배면측의 외측 벽면(본 발명에서의 제 2의 벽면에 상당)에 노즐(4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4a 및 4b)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 및 각도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4a 및 4b)의 선단(先端)에는, 파상으로 슬릿 형상의 노즐구멍(5)이, 그 긴변 방향이 손건조 장치의 좌우 방향과 개략 평행하게 되도록 각각 뚫려 있다. 그리고, 공기류가 노즐구멍(5)을 통과하여 손삽입부(2)에 유출함으로서 손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노즐(4a, 4b)이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손삽입부(2)에 삽입한 손(도시 생략)의 손등측(甲側)과 손바닥측(掌側)의 쌍방에 바람을 동시에 맞힐 수 있다. 또한, 손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풍속 및 노즐(4a 및 4b)의 간격 등이 최적이 되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노즐구멍(5)으로부터 손삽입부(2)에 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해, 노즐구멍(5)의 입구측의 압력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한 가압 장치로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체(1)의 내부에 블로어(6)(본 발명에서의 공기류 발생부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6)는, 주로 모터와 팬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블로어(6)의 한 예로서, DC 브러시레스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도시 생략)와, DC 브러시레스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터보 팬(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있다.
또한, 상자체(1)에서, 블로어(6)의 상류측의 공간(8)과 하류측의 공간(7)은 블로어(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흡기구(9)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블로어(6)에 의해 고압의 공기류가 된다. 그리고, 블로어(6)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류는, 하류측의 공간(7)에서 2개의 경로로 분기되어, 각각의 노즐구멍(5)에 유입한다. 또한, 블로어(6)의 상류측인 공간(8)은, 구부러진 유로(流路)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흡기구(9)로부터 유입한 공기에서 근소한 저항으로는 되지만, 블로어(6)에서 발생한 소음이 주위로 방사되기 어려워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손삽입부(2)의 저면에는 손으로부터 비산(飛散)한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고, 배수구에는 배수관(도시 생략)이 접속되고, 배수관에는 이곳부터 유출되는 드레인수를 모아 두는 드레인 탱크(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손삽입부(2)의 입구 부근의 정면측 및 배면측 및 손삽입부(2)의 하부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는 손을 검지하는 센서(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도시 생략)는, 이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블로어(6)의 운전 등을 적절히 제어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전체 구성은, 상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노즐구멍(5)으로부터 공기류을 분출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좋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손삽입부(2)에 젖은 손이 삽입되고, 그 수법을 센서가 검출하면,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손검출 신호가 보내진다. 그리고 제어 회로는, 블로어(6)를 시동시켜, 터보 팬(도시 생략)이 회전한다. 그리고, 흡기구(9)로부터 흡입된 공기류는, 공간(8)을 통과하여 블로어(6)에 유입하고, 블로어(6)에 의해 고압의 공기류가 된다. 그리고, 고압이 된 공기류는, 상류측의 공간(7)에서 2개로 분기되고, 노즐(4a 및 4b)에 마련된 노즐구멍(5)으로부터 분출된다. 분출된 공기류는, 손삽입부(2)에 삽입된 손등측과 손바닥측의 쌍방에 닿아서, 손에 붙은 물을 비산 및 기화(氣化)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이 손삽입부(2)로부터 빠지면, 센서의 손검출 신호가 없어져서, 제어 회로는 블로어(6)를 정지시킨다.
상기한 손건조 장치에서, 큰 소음을 발생하는 요소로서, 정지한 벽면 부근을 고속의 공기류가 흐르는 노즐구멍(5), 각각의 노즐구멍(5)으로부터 분출한 고속의 공기류가 충돌하는 손삽입부(2), 고속 회전체를 갖는 블로어(6)의 3개가 있다. 블로어(6)는, 상자체(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2개보다도 소음의 오버올 값에 주는 영향은 작다. 그 때문에, 손건조 장치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노즐구멍(5) 및 손삽입부(2)의 소음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노즐구멍(5)에서의 소음 및 노즐구멍(5)으로부터 분출한 고속의 공기류가, 손삽입부(2)에서 충돌함에 의한 소음은, 노즐구멍(5)의 형상에 의한 영향이 크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노즐구멍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구멍(5)은, 긴변 방향으로 복수의 산(山)과 골(谷)이 있는 파상(개략 정현파상)의 슬릿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A부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구멍(5)의 골의 부분은, 상단(上端)의 외곽(12a)와 하단의 외곽(12b)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곽(12a)에 둘러싸인 공간(14)이 있다. 그리고, 노즐구멍(5)의 산의 부분은, 상단의 외곽(13a)과 하단의 외곽(13b)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곽(13b)에 둘러싸인 공간(15)이 있다.
다음에, 파상의 노즐구멍(5)에 의한 소음 저감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고속의 기류가 노즐구멍(5)으로부터 분출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의 원천은, 크게 나누면 3개 있다. 1번째는, 노즐구멍(5)의 표면에 형성되는 경계층으로부터 발생하는 경계층 소음이다. 2번째는, 노즐구멍(5)의 하류측 출구로부터 방출되는 와류(渦流)의 방출에 의해 발생하는 소용돌이(渦) 소음이다. 3번째는, 노즐구멍(5)으로부터 분출된 기류중 교반(攪拌)의 영향을 받지 않는 포텐셜 코어의 주류(主流)와 그 주위의 정지한 공기와의 속도차에 의해 생긴 난류(亂流) 확산층의 전단류로부터 발생하는 분류(噴流) 소음이다.
여기서, 분류 소음에 주목하면, 주위의 정지한 공기와 고속의 공기의 흐름의 속도차를 작게 함에 의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에서는, 노즐구멍(5)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류과 주위의 정지한 공기와의 속도차가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노즐구멍(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파상이고, 인접하는 산부분 사이의 공간(14) 및 인접하는 골부분 사이의 공간(15)이 있다. 예를 들면, 공간(14)에서는, 노즐구멍(5)의 12a 및 12b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분출한 공기류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되어, 공기가 유기(誘起)된다. 이 경우, 공간(14)의 유기된 공기류의 속도는, 직선형상의 노즐구멍의 경우의 주변의 공간의 속도보다 커진다. 그 결과, 직선형상의 노즐구멍의 경우보다도, 노즐구멍(5)으로부터 직접 분출된 고속의 공기류과 주변의 공간의 공기류과의 속도차가 작아지고, 발생하는 분류 소음이 저감하다. 또한, 공간(15)에서의 공기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노즐구멍(5)으로부터 직접 분출된 공기류과의 속도차가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분류 소음이 저감한다.
단, 외곽(12b)의 하방의 공간(16) 주위를 노즐구멍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기 때문에, 직선형상의 노즐구멍의 경우와 똑같이, 노즐구멍(5)으로부터 직접 분출된 공기류과 주변의 공기류과의 속도차가 커지고, 소음은 저감하지 않는다. 그러나, 노즐구멍(5)의 상하 방향에 소음이 저감한 공간(14)과 소음이 저감하지 않는 공간(16)이 형성되기 때문에, 소음원이 되는 흐름의 변화(압력 변동)의 위상이, 손삽입부(2)에서의 상하 방향에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소리의 상관(相關) 면적이 작아지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직선형상의 노즐구멍의 경우는, 노즐구멍의 상하 방향, 폭방향 모두 공기류의 위상이 일치한 상태이고, 위상의 일치에 의해 소음이 증대한다. 또한, 외곽(13a)의 상방의 공간(17)에 대해서도 소음의 상태는 상술한 공간(16)의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도 3의 A1, A2 및 A3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A1은, 노즐구멍(5)의 산부분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이고, A2는, 산부분과 골부분의 경계를 통과하는 선이고, A3은, 골부분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이다. 여기서, A1 단면도에 관해, 노즐(4a)의 단면 형상을 설명한다. 도 4에서, 공기류는 노즐(4a)의 지면(紙面)에 흐른다. 그리고, 노즐(4a)은, 압력 손실을 작게 하기 위해, 노즐 입구(18)에서, 공기류의 하류측을 향하여 간극이 조금씩 축소하도록 R모따기가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가 흐르는 경우, 이 간극의 감소에 수반하여, 조금씩 증속한다. 또한, 노즐 입구(18)와 노즐구멍(5)의 사이에는 같은 간격의 간극이 계속되는 직선부(19)가 있다. 노즐 입구(18)에서 증속한 공기는 직선부(19)를 통과하고 노즐구멍(5)으로부터 손삽입부(2)에 분출된다.
여기서, 노즐 입구(18)의 R면에서, 공기류의 속도는, 상하의 벽면 부근부터 중심까지 거의 같은 속도이다. 그러나, 공기류가 직선부(19)를 통과하고 노즐구멍(5)에 근접함에 따라, 중심 부근이 최대이고 상하의 벽면 부근이 작은 포물선형상의 속도 분포가 된다. 노즐구멍(5)의 벽면 부근의 속도가 작을수록 경계 소음이 작아지기 때문에, 직선부(19)를 길게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속도 분포로 함으로서, 소음이 저감한다. 단, 직선부(19)가 너무 길어지면, 고속의 공기와 정지한 벽면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적당한 길이로 할 것이 필요하다. 필자들의 실험에서는, 최적인 직선부(19)의 길이는 노즐(4a)의 상하 방향의 폭의 4배부터 10배 정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4a)의 직선부(19)의 길이(공기류의 흐름 방향의 길이)는 A1, A2, A3의 순서로 길다. 즉, 노즐(4a)의 공기류의 흐름 방향의 길이가, 흐름 방향과 직각의 방향에 있어서 각각 다르다. 이에 의해, 노즐구멍(5)까지의 흐름의 발달 상태가 다르게 되어, 노즐구멍(5)에서의 속도 분포를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노즐구멍(5)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 소음의 음원(音源)이 되는 압력 변동의 위상을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에 비켜 놓고, 소리의 상관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노즐(4a)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노즐(4b)에 관해서도 동일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여기까지, 노즐구멍(5)에서의 소음의 저감 방법에 관해 기술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건조 장치의 소음의 다른 요소로서, 각각의 노즐구멍(5)으로부터 분출한 대향하는 고속의 공기류가 충돌하는 손삽입부(2)에서의 소음이 있다. 손건조 장치에서, 손을 건조시킬 때는, 손이 정면측 및 배면측부터의 대향한 기류의 충돌을 차단하지만, 손이 없는 부분에서는 대향하는 공기류가 충돌하기 때문에, 그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정면측의 노즐구멍에 배면측의 노즐구멍을 투사한 정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대향하는 고속의 공기류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충돌하는 공기류의 속도를 노즐구멍의 긴변 방향으로 바꾸어, 충돌 위치에서의 압력 변동의 위상을 비켜 놓을 필요가 있다. 노즐구멍(5)의 하류의 공기류의 단면의 속도 분포는 노즐구멍(5)의 중심을 극치로 하는 포물선형상이고, 대향하는 노즐구멍(5)의 위치 관계나 노즐구멍(5)으로부터 충돌 위치까지의 거리를 바꾸면 충돌하는 공기류의 속도가 변한다. 도 5에서, 실선이 정면측의 노즐구멍(5)이고, 파선이 배면측의 노즐구멍(5)이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정면측의 노즐구멍(5)과 배면측의 노즐구멍(5)을 서로의 산부분끼리, 및 골부분끼리가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즉, 정면측의 노즐구멍(5)의 산부분과 배면측의 노즐구멍(5)의 인접하는 산부분 사이의 공간(14)이 대향하고, 정면측의 노즐구멍(5)의 골부분과, 배면측의 노즐구멍(5)의 인접하는 골부분 사이의 공간(15)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14) 및 공간(15)에서의 공기류는, 노즐구멍(5)으로부터 유기된 공기류이기 때문에, 노즐구멍(5)으로부터 직접 분출한 공기류보다도 유속이 느리다. 그 때문에, 정면측 및 배면측의 노즐구멍(5)을 상기에 나타낸 구성으로 함으로써, 노즐구멍(5)으로부터 직접 분출한 공기류끼리가 충돌하는 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정면측 및 배면측의 노즐구멍(5)이 대향하는 부분, 즉 노즐구멍(5)에서의 골부분과 산부분 사이의 영역에서는, 노즐구멍(5)으로부터 분출한 공기류끼리가 직접 충돌하기 때문에 충돌시의 속도가 빠르다. 그러나,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으로 속도 분포를 갖게 되기 때문에, 충돌 위치에서의 압력 변동의 위상이 빗나가,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정면측과 배면측의 노즐구멍(5)을 함께 파상으로 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어느 한쪽을 직선형상의 노즐구멍으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충돌 위치에서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의 음원이 되는 압력 변동의 위상을 흐트러지게 할 수가 있어서, 충돌에 의해 생기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파(波)의 산과 산(또는 골과 골)의 피치를 정면측과 배면측에서 다르도록 하여도, 마찬가지로 충돌 위치에 있어서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의 음원이 되는 압력 변동의 위상을 흐트러지게 할 수가 있어서, 충돌에 의해 생기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노즐구멍(5)은, 정면측의 노즐구멍(5)과 배면측의 노즐구멍(5)을 서로의 산부분끼리, 또는 골부분끼리가 대향하지 않으면 좋고, 도 5에 도시한 배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노즐구멍(5)을 대향시켜서 배치시킨 때의 노즐구멍(5)의 짧은변 방향의 길이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손건조 장치는, 대향한 노즐구멍(5)중, 한쪽은 손바닥, 또 한쪽은 손등에 고속의 공기류을 충돌시켜서, 손에 부착한 물방울을 비산·증발시켜서, 건조시킨다. 그러나, 손바닥은 손등과 비교하여, 복수의 주름이 있고, 물방울을 지지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손바닥을 건조시키는 데는, 손등측보다도 공기류의 속도나 유량이 필요하다. 손바닥측의 공기류의 속도나 유량을 크게 하기 위해, 손바닥측의 노즐구멍(5)의 짧은변 방향의 길이를 손등측의 노즐구멍(5)보다도 크게 한다. 노즐구멍(5) 부근의 공기류의 속도를 유지한 영역인 포텐셜 코어의 최원점(最遠点)은, 노즐구멍(5)의 짧은변 방향의 길이에 비례하여 멀어지고, 노즐구멍(5)의 짧은변 방향의 길이가 길수록, 손에 충돌한 공기의 속도나 유량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노즐구멍이 파상인 것에 의해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소음을 저하시키고, 노즐구멍이 슬릿 형상인 것에 의해 취출구로부터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손건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노즐 입구(18)를 R면으로 하고 직선부(19)의 길이를 최적으로 함으로써, 경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노즐(4a)의 직선부(19)의 길이(공기류의 흐름 방향의 길이)를 흐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다른 길이로 함으로써, 소용돌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정면측의 노즐구멍(5)과 배면측의 노즐구멍(5)을, 직접 분출한 공기류끼리가 충돌하는 면적이 적어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손삽입부(2)에서의 공기류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노즐구멍(5)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은, 특히 기재하지 않는 경우는 실시의 형태 1에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구멍(5)은,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으로 복수의 산과 골이 있는 파상(개략 삼각파상)의 슬릿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B부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구멍(5)의 골부분은, 상단의 외곽(23a)과 하단의 외곽(23b)으로 이루어지고, 외곽(23a)에 둘러싸인 공간(21)이 있다. 그리고, 산부분은, 상단의 외곽(24b)과 하단의 외곽(24a)으로 이루어지고, 외곽(24a)에 둘러싸인 공간(22)이 있다.
여기서, 실시의 형태 1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구멍(5)이 정현파상의 경우, 예를 들면 외곽(12b)에서, 파도의 최하부는 직선에 가까워져 있다. 그 때문에, 주변의 정지한 공기에 속도를 발생시키는 에너지는, 공간(14)에서의 양보다도, 파의 최하부 부근의 공간(16)에서의 양의 쪽이 주어지는 영역이 한정되기 때문에, 적어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외곽(23a) 및 외곽(23b)의 경사 부분은 직선이고, 외곽(23b)에서의 파의 최하부는 굴곡하고 있다. 노즐구멍(5)을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에 의해, 주어지는 에너지 양이 많은 공간(21) 및 공간(22)의 면적은, 도 3에서의 공간(14) 및 공간(15)보다도 크다. 즉, 도 3에 도시한 정현파 형상에 비하여 노즐구멍(5)과 주변 공간의 속도차가 큰 부분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분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단, 주변의 정지한 공기에의 영향을 너무 크게 하면, 손삽입부(2)에서의 건조에 영향을 주는 최대 속도를 작게 할 가능성도 있다. 그 때문에, 소음뿐만 아니라 건조 성능을 고려하여, 외곽(23a) 또는 외곽(24a)의 경사각도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즐(4a 및 4b)의 측단면 형상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의 도 4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노즐 입구(18)를 R면으로 하고 직선부(19)의 공기류의 흐름 방향의 길이가, 흐름 방향과 직각의 방향에서 각각 다르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의 소용돌이 소음의 음원이 되는 압력 변동의 위상을 흐트러지게 할 수가 있어서, 보다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대향하는 노즐구멍(5)의 배치에 대해서도, 실시의 형태 1의 도 4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정면측의 노즐구멍(5)의 산부분과 대향하는 배면측의 인접하는 산부분 사이의 공간을 대면시키도록 배치해도 좋다. 이에 의해,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대향하는 공기류의 충돌에 의해 생기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정면측과 배면측의 노즐구멍(5)을 함께 삼각파상으로 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어느 한쪽을 직선형상의 노즐구멍으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충돌 위치에서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의 음원이 되는 압력 변동의 위상을 흐트러지게 할 수가 있어서, 충돌에 의해 생기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삼각파의 산과 산(또는 골와 골)의 피치를 정면측과 배면측에서 변경하여도, 마찬가지로 충돌 위치에서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의 음원이 되는 압력 변동의 위상을 흐트러지게 할 수가 있어서, 충돌에 의해 생기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노즐구멍이 삼각파상인 것에 의해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고, 노즐구멍이 슬릿 형상인 것에 의해 취출구로부터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손건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노즐구멍이 삼각파상인 것에 의해, 정현파상의 노즐구멍에 비하여 노즐구멍과 그 주변과의 공기류의 속도차가 작은 영역이 커지고, 소음을 보다 저하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정면측의 노즐구멍의 정면도 및 배면측의 노즐구멍의 정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은, 특히 기재하지 않는 경우는 실시의 형태 1에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도 7의 (a)는 정면측의 노즐구멍(5)이고, (b)는 대향하는 배면측의 노즐구멍(5)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의 도 5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정면측의 노즐구멍(5)의 산부분과 배면측의 노즐구멍(5)의 골부분에 둘러싸인 공간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에서, 본 실시의 형태 3의 손건조 장치는, 사용자가 손삽입부(2)에 양손을 삽입하여 건조시키기 위해, 노즐구멍(5)의 폭(27)이, 사람의 양손의 폭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양손을 건조시킬 때, 손삽입부(2)의 중앙 부근은, 오른손과 왼손의 사이에 해당하기 때문에, 손이 위치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 때문에, 노즐구멍(5)의 중앙 부근에서는, 건조에 기여하지 않는 공기류를 손삽입부(2)에 분출하고 있는 것이 된다.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건조에 기여하지 않는 고속의 흐름을 가능한 한 소멸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 중앙 부근에, 공기류가 통과하지 않도록 막혀진 중앙 폐영역(閉領域)(28)을 마련한다. 이에 의해, 손삽입부(2)에서, 사용자의 손이 없고 대향하는 공기류가 충돌한 영역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구멍(5)에 중앙 폐영역(28)을 마련함에 있어서, 정면측과 배면측을 다른 범위에서 막는 편이 좋다. 이에 의해, 손삽입부(2)에서의 정면측의 중앙 폐영역(28)과 배면측의 중앙 폐영역(28)의 사이의 영역에도 주위의 고속의 기류가 확산하는, 속도가 작은 흐름이 존재하게 된다. 이것은, 정면측과 배면측의 중앙 폐영역(28)을 같은 범위로 한 경우, 공기류가 완전하게 없어지는 영역이 생기기 때문에, 그 영역에 손을 삽입하여 건조시키는 특정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건조 상태가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이다.
또한, 노즐구멍(5)에서 중앙 폐영역(28) 이외의 부분도 특정한 작은 범위에서 공기류가 분출하지 않는 폐영역(29)을 마련한 편이 좋다. 이것은, 손삽입부(2)에서, 고속의 공기류가 충돌한 위치와 하지 않는 위치를 노즐의 폭방향으로 랜덤하게 존재시키기 위해서다. 이에 의해,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의 위상이 정돈되어, 증폭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폐영역(29)은 정면측과 배면측의 노즐구멍(5)에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하는 편이 좋다. 이것은, 폐영역(29)을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한 경우, 손삽입부(2)의 특정부분의 공기류가 없어져서, 사용자의 손의 건조 상태가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속의 기류가 분출하지 않는 폐영역(29)이 너무 커지면, 손에 부착한 물을 비산·건조시키는 고속의 공기류의 폭이 감소하기 때문에, 건조 성능의 저하를 일으킨다. 따라서, 고속의 공기류가 분출하지 않는 폐영역(29)은 너무 크지 않도록 하는 편이 좋다.
이상에 의해, 노즐구멍(5)에서, 중앙 폐영역(28)과 같은 공기류가 분출하지 않는 영역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공기류의 충돌이 적어지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노즐구멍(5)에서, 중앙 폐영역(28) 이외에도 공기류가 분출하지 않는 폐영역(29)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노즐구멍(5)의 긴변 방향의 위상이 정돈되어, 증폭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 3에서의 파상의 노즐구멍(5)은, 실시의 형태 2의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삼각파상이라도 좋다. 그와 같은 노즐구멍(5)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류가 분출하지 않는 영역을 마련함에 의해, 마찬가지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중앙 폐영역(28)에 대한 좌우 방향(긴변 방향)의 폐영역(29)의 위치가 다르지만, 건조 성능의 관점에서, 중앙 폐영역(28)을 중심으로 하여 폐영역(29)의 위치를 좌우 대칭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노즐구멍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1, C2 및 C3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4에서의 손건조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은, 특히 기재하지 않는 경우는 실시의 형태 1에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도 8에서, 노즐구멍(5)의 외곽의 형상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파상이지만, 노즐구멍(5)의 짧은변 방향 중앙 부근에, 노즐구멍(5)을 상하 방향으로 나누는 분단판(3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단판(30)의 정면 방향의 형상은, 파상인 노즐구멍(5)에 따른 형상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단판(30)의 단면 형상은, 노즐구멍(5)의 출구측(32)부터 노즐구멍(5)의 입구측(31)을 향하여, 상하 방향의 폭이 커지는 형상이다.
그리고,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노즐구멍(5)으로부터 공기류가 분출된 경우, 분단판(30)의 출구측(32)의 상하로부터, 각각 고속의 공기류가 분출된다. 일반적으로, 2차원의 속도 분포를 갖는 고속의 공기류가 이웃하여 존재하면, 각각의 분류가 서로 강화되어, 보다 고속의 하나의 분류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노즐구멍(5)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2개의 분류가 합성하여 만들어진 하나의 합성 분류 속도는, 분단판(30)이 없는 경우의 노즐구멍(5)으로부터의 분출 속도보다도 커진다. 즉, 손삽입부(2)에서의 속도가 크기 때문에, 손에 부착한 물방울의 비산 및 건조시키는 능력이 높아지고, 보다 단시간에 손을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1개의 노즐구멍(5)을 이용한 경우의 손삽입부(2)에서의 분류 속도와 같은 속도를, 본 실시의 형태 4에서의 노즐구멍(5)을 이용하여 얻으려고 한 경우, 노즐구멍(5)의 출구 부근의 유속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 4에서의 노즐구멍(5)을 이용함으로써, 노즐구멍(5)의 출구 부근의 분류 속도는 작아도 같은 건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노즐구멍(5)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노즐구멍(5)의 출구 속도의 5승 내지 6승에 비례하여 커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 4에서, 노즐구멍(5)에 분단판(30)을 구비함으로써, 손건조 장치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4의 노즐구멍(5)에서, 개략 정현파상의 노즐구멍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삼각파상의 노즐구멍(5)을 이용하여도 상기와 같은 소음 저감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구멍(5)의 일부를 가로막아도 좋고, 그 경우도 상기와 같은 소음 저감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손건조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각을 이루는 상자체(41)는, 정면에 손삽입구(42)를 가지며, 손삽입구(42)에 계속되는 처리 공간으로서 손삽입부(43)를 구비하고 있고, 손을 삽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손삽입부(43)는, 상자체(41)의 정면(지면 왼쪽 방향) 하부에, 정면과 양측면이 개방한 개방 싱크형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를 형성하는 물받이부(44)와 구석(지면 오른쪽 방향)에는 그 단연부에 곡면 구성의 세워짐에 의한 방벽 구조(45)가 마련되고, 측방이나 앞측으로 물이 비산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물받이부(44)의 전부는 전방을 향하여 하경(下傾)하고 있고, 그 경사 하단에 배수구(46)가 마련되어 있다.
물받이부(44)의 하방에는 배수구(46)로부터 적하한 물을 저장하는 드레인 용기(47)가 빼고 꽂기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손삽입부(43)의 내면에는,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등의 발수성 코팅, 산화 티탄 등의 친수성을 갖는 코팅, 또는 항균제가 함침되어, 내면에 오물이 부착하는 것을 경감하거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상자체(41) 내에는 고압 공기류 발생 장치(48)가 조립되어 있고, DC 브러시레스 모터(통상의 정류자 모터 또는 유도 전동기라도 좋다)와, 이것을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 및 DC 브러시레스 모터에 의해 회전한 터보 팬에 의해 구성되여, 상자체(41)의 손삽입부(43)의 바로위에 부착되어 있다. 고압 공기류 발생 장치(48)의 흡기측은, 상자체(41)의 배면측으로서 손삽입부(43)의 구석 배면에 근접하여 종방향으로 마련된 하단이 개방한 흡기 통로(50)에 임하여 있고, 흡기 통로(50)의 하단에서 착탈 가능의 에어 필터(51)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압 공기류 발생 장치(48)의 취출구는, 원형컵형상의 팬 케이싱의 외주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반경 방향을 향하여 개설(開設)되어 있다. 이 팬 케이싱의 외측은, 터보 팬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유도로를 마련한 원형컵형상의 케이싱(49)에 의해 덮히고, 케이싱(49)의 유도로의 단에, 고압 공기류 발생 장치(48)로부터 보내 오는 고압 공기를 고속의 기류로 변환하여 손삽입부(43)에 분출하는 노즐(52)이 접속되어 있다.
노즐(52)은, 손삽입부(43)의 손삽입구 부근의 상부에 분출구를 아래로 향하여 부착되어 있고, 노즐(52)에 형성된 노즐구멍(53a 및 53b)으로부터 손삽입부(43) 내에 삽입한 손에 부착한 수분을 불어 날리는 고속의 기류를 내뿜어, 손을 서로 비비는 일 없이 물방울을 손의 표면에서 박리하여 불어 날린다. 또한, 노즐(52)의 배후에는, 손삽입부(43)에 면하여 손의 삽탈을 검지한 손검지 센서(54)가 마련되어 있다.
노즐(52)의 선단에 마련된 노즐구멍(53)은, 상자체(41)의 폭방향(도 10의 지면의 전후 방향)이 노즐구멍(53)의 긴변 방향이 되도록 배향되고, 예를 들면 실시의 형태 1의 도 3에 도시한 노즐구멍(5)과 마찬가지로 그 파상의 슬릿으로 형성된다. 또한, 노즐구멍(53)은, 제 1의 노즐구멍(53a) 및 제 2의 노즐구멍(53b)의 2열의 노즐구멍에 의해 구성되고, 상자체(41)의 전후 방향(도 10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5에서의 노즐구멍은 1열이라도 좋고, 3열 이상 있어도 좋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파상의 노즐구멍(53a 및 53b)에 의한 소음 저감 효과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의 노즐구멍(5)에 관해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 5에서의 노즐구멍을 대향으로 배치하지 않는 손건조 장치에서도, 파상의 노즐구멍으로 함에 의해, 실시의 형태 1 및 2의 손건조 장치와 마찬가지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노즐(52)은, 예를 들면 실시의 형태 1의 도 4에서 도시한 노즐(4a)과 동일한 형상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노즐구멍(53a) 및 노즐구멍(53b)은, 실시의 형태 2의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삼각파상이라도 좋고,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1 : 상자체
2 : 손삽입부
2a, 2b : 개구부
4a, 4b : 노즐
5 : 노즐구멍
6 : 블로어
7, 8 : 공간
9 : 흡기구
12a, 12b, 13a, 13b : 외곽
14, 15, 16, 17 : 공간
18 : 노즐 입구
19 : 직선부
21, 22 : 공간
23a, 23b, 24a, 24b : 외곽
25, 26 : 공간
27 : 폭
28 : 중앙 폐영역
29 : 폐영역
30 : 분단판
31 : 입구측
32 : 출구측
41 : 상자체
42 : 손삽입구
43 : 손삽입부
44 : 물받이부
45 : 방벽 구조
46 : 배수구
47 : 드레인 용기
48 : 고압 공기류 발생 장치
49 : 케이싱
50 : 흡기 통로
51 : 에어 필터
52 : 노즐
53, 53a, 53b : 노즐구멍
54 : 손검지 센서

Claims (10)

  1.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손삽입부와,
    상기 손삽입부를 구성하는 벽면에 배치된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한 공기류에 의해 손에 부착한 수분을 털어내는 손건조 장치로서,
    상기 노즐의 선단의 노즐구멍은 파상의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삽입부는, 대향하는 벽면을 가지며,
    상기 노즐은, 상기 손삽입부를 구성하는 제 1의 벽면 및 상기 손삽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1의 벽면에 대향하는 제 2의 벽면의 각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멍은, 개략 정현파상의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멍은, 개략 삼각파상의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공기류의 출구측에 직선부분을 가지며,
    상기 직선부분에서, 상기 공기류의 흐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흐름 방향과 직각의 방향에 있어서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의 산부분과 배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의 산부분이 대향하지 않고, 정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의 골부분과 배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의 골부분이 대향하지 않도록 상기 노즐구멍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정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의 산부분과 배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에서의 인접하는 산부분 사이의 공간이 대향하고, 정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의 골부분과 배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에서의 인접하는 골부분 사이의 공간이 대향하도록 상기 노즐구멍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면측 및 배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에서 적어도 어느 일부분에 공기류을 분출시키지 않는 폐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정면측 및 배면측의 상기 노즐구멍에서 각각의 긴변 방향 중앙 부근에 공기류을 분출시키지 않는 중앙 폐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면측의 상기 노즐 및 배면측의 상기 노즐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노즐을 상하 방향으로 나누는 분단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 장치.
KR1020137002199A 2010-08-05 2011-01-18 손건조 장치 KR101597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5912 2010-08-05
JP2010175912 2010-08-05
PCT/JP2011/000223 WO2012017570A1 (ja) 2010-08-05 2011-01-18 手乾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374A true KR20130032374A (ko) 2013-04-01
KR101597404B1 KR101597404B1 (ko) 2016-02-24

Family

ID=4555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199A KR101597404B1 (ko) 2010-08-05 2011-01-18 손건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0381B2 (ko)
JP (1) JP5511963B2 (ko)
KR (1) KR101597404B1 (ko)
CN (1) CN103052347B (ko)
GB (1) GB2497871B (ko)
WO (1) WO2012017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73015C (en) 2012-03-21 2018-11-13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Basin and hand drying system
US10100501B2 (en) 2012-08-24 2018-10-16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Multi-purpose hand washing station
GB2508872B (en) 2012-12-13 2015-08-19 Dyson Technology Ltd Hand dryer
GB2508876B (en) * 2012-12-13 2015-08-12 Dyson Technology Ltd Hand dryer
GB2508873B (en) * 2012-12-13 2015-08-19 Dyson Technology Ltd Hand dryer
ES2701313T3 (es) 2013-02-13 2019-02-21 Ffuuss 2013 S L Secamanos
USD742591S1 (en) * 2013-10-11 2015-11-03 Toto, Ltd. Hand dryer
CN106028892B (zh) * 2014-02-27 2018-12-04 三菱电机株式会社 干燥装置
CN104172969A (zh) * 2014-08-29 2014-12-03 深圳市高科金信净化科技有限公司 全自动洁净洗手机及清洁方法
USD819275S1 (en) * 2015-05-06 2018-05-29 Bobrick Washroom Equipment, Inc. Sensor cover on hand dryer
USD818647S1 (en) * 2015-05-06 2018-05-22 Bobrick Washroom Equipment, Inc. Sensor cover on hand dryer
US9565980B2 (en) * 2015-06-17 2017-02-14 Casey B. Welch Air divers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D892407S1 (en) 2016-05-24 2020-08-04 Bobrick Washroom Equipment, Inc. Dispensing cabinet
US10041236B2 (en) 2016-06-08 2018-08-07 Bradley Corporation Multi-function fixture for a lavatory system
CN110870102B (zh) 2017-05-17 2023-06-30 氢氦锂有限公司 具有酸化阴极和锂阳极的电池
US10165908B1 (en) * 2017-09-06 2019-01-01 Hokwang Industries Co., Ltd. Hand dryer with reduced air-intake noise
DE102017120955B4 (de) 2017-09-11 2020-01-09 Hokwang Industries Co., Ltd. Händetrockner mit reduziertem Lufteinlassgeräusch
CN110953871A (zh) * 2018-09-27 2020-04-03 广东汉能薄膜太阳能有限公司 一种干燥装置及清洗系统
WO2022117668A1 (de) * 2020-12-01 2022-06-09 Niklas Kreyenhagen Händetrockn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ändetrockn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0722B2 (ja) 1992-08-25 1998-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KR20070032621A (ko) * 2005-08-03 2007-03-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손 건조 장치
JP4087894B2 (ja) * 2005-08-18 2008-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7865U (ko) * 1972-07-05 1974-04-03
JPH10113304A (ja) * 1996-10-11 1998-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乾燥装置
JP3585712B2 (ja) 1997-04-16 2004-11-04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手乾燥装置の吹出ノズル
DE10231058A1 (de) * 2002-07-10 2004-01-22 Wella Ag Vorrichtung für eine Warmluftdusche
GB0515749D0 (en) * 2005-07-30 2005-09-07 Dyson Technology Ltd Drying apparatus
CN101791203B (zh) * 2005-08-18 2012-06-20 三菱电机株式会社 手干燥装置
GB2434094A (en) * 2006-01-12 2007-07-18 Dyson Technology Ltd Drying apparatus with sound-absorbing material
JP4937352B2 (ja) * 2007-07-18 2012-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0722B2 (ja) 1992-08-25 1998-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KR20070032621A (ko) * 2005-08-03 2007-03-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손 건조 장치
JP4087894B2 (ja) * 2005-08-18 2008-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52347B (zh) 2014-10-01
JPWO2012017570A1 (ja) 2013-09-19
US9220381B2 (en) 2015-12-29
KR101597404B1 (ko) 2016-02-24
US20130104413A1 (en) 2013-05-02
GB2497871B (en) 2015-10-21
JP5511963B2 (ja) 2014-06-04
WO2012017570A1 (ja) 2012-02-09
GB201301553D0 (en) 2013-03-13
GB2497871A (en) 2013-06-26
CN103052347A (zh)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2374A (ko) 손건조 장치
CA2615288C (en) Drying apparatus
US8201344B2 (en) Hand drying apparatus
JP5100885B2 (ja) 手乾燥装置
JP4087894B2 (ja) 手乾燥装置
JP5138089B2 (ja) 手乾燥装置
JP2009502392A (ja) 乾燥装置
JP2009502388A (ja) 乾燥装置
JP2009502390A (ja) 乾燥装置
TW200800084A (en) Hand dryer apparatus
JPH0662977A (ja) 手乾燥装置
JP2006101987A (ja) 手乾燥装置
JP3854144B2 (ja) 手乾燥装置
WO2022113291A1 (ja) 手乾燥装置
JP5093763B2 (ja) 手乾燥装置
JP6270985B2 (ja) 乾燥装置
JP2005028183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6387529B2 (ja) 手乾燥装置
JP3956228B2 (ja) 手乾燥装置
WO2024024057A1 (ja) ハンドドライヤー
JP3956229B2 (ja) 手乾燥装置
JP2013085563A (ja) 手乾燥装置
JP2005160874A (ja) 手乾燥装置
JP2006075499A (ja) 手乾燥装置
WO2015019051A1 (en) Hand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