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068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068A
KR20130029068A KR1020127028127A KR20127028127A KR20130029068A KR 20130029068 A KR20130029068 A KR 20130029068A KR 1020127028127 A KR1020127028127 A KR 1020127028127A KR 20127028127 A KR20127028127 A KR 20127028127A KR 20130029068 A KR20130029068 A KR 20130029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iaper
stretchable
disposable diaper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212B1 (ko
Inventor
카츠히코 스기야먀
Original Assignee
오지 네피아 가부시키가이샤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네피아 가부시키가이샤,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네피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기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와 흡수체가 배치되어 착용자의 가랑이를 피포하는 가랑이 피포부를 가지며, 적어도 후 피포부의 일부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80)이 형성되고, 신축부(80)는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후 피포부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배치되고, 통기로 형성 시트(82)는, 신축부(80)에 적층되며, 통기로 형성 시트(82)와 신축부(80)가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4)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를 피포(encapsulated)하도록 장착되는 흡수성 물품이며, 배설물을 흡수·유지시키기 위한 흡수체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기저귀의 착용시에는, 흡수체에 흡수된 뇨(尿)나 땀, 체액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습기가 기저귀의 내부 공간(착용자의 피부와 기저귀의 피부 접합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체류하기 쉽다. 이 습기는, 피부염 등의 스킨 트러블의 원인이 되어, 끈적거림 등의 불쾌감을 일으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기저귀의 내부 공간에 체류하는 습기를 기저귀 외부에 배출시키기 위해서, 기저귀의 통기성, 특히 웨스트 주위에서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의 앞뒤 허리 주위의 엔드 플랩에 허리 주위 방향으로 탄성 수축하는 탄성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엔드 플랩의 내면에, 기저귀의 허리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통기성 땀 흡수 시트를 접합한 기저귀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 외층 시트, 내층 시트 및 복수 라인의 탄성 부재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외포재가 형성되고,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가, 허리 주위 방향 및 그 직교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한 접합부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는 한편,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접합부를 통하지 않도록 배치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도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2~6 참조).
이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에 고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웨스트부의 모든 주위에, 웨스트부의 외단부에서부터 내단부를 걸쳐 늘어나는 복수의 벽이 형성되는 것이다.
JP 3820043 B JP 2008-136793 A JP 2008-136794 A JP 2008-142316 A JP2008-142341A JP2008-142342A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저귀는,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통기성 땀 흡수시트에 의해서 땀을 흡수시킴과 동시에, 통기성 땀 흡수 시트와 엔드 플랩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통기성 땀 흡수시트와 상기 엔드 플랩과의 적층 방향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앞에서 본 구조에서는, 상기 통기성 땀 흡수 시트와 상기 엔드 플랩과의 적층 방향으로 통기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통기성의 면에서 충분하지 않다는 과제가 있었다. 즉, 웨스트 주위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피부와 기저귀의 피부 접합면과의 틈새에서부터 굴뚝 효과를 이용하여 통기시키는 방법과 비교하여 통기성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였다.
특허 문헌 2~6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탄성 부재에 의해 외층 시트 및 내층 시트를 웨스트 주위 방향으로 수축시켜 복수 라인의 벽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켜서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웨스트 주위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피부와 기저귀의 피부 접합면과의 틈새에서부터 굴뚝 효과를 이용하여 통기시킬 수 있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저귀와 비교하여 높은 통기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본 구조는 외장 시트와 내층 시트의 간헐적인 접합부를 통하지 않도록 탄성 부재가 배치된 특수한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탄성 부재는 외장 시트 및 내층 시트의 어느 쪽에도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신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시에 300%의 신장률로 탄성 부재를 배치하여도, 사용시에 국소적으로는 그 300%의 신장률을 넘어 탄성 부재가 신장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가 이상적인 신장률을 넘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딱딱하게 긴장된 탄성 부재가 내층 시트를 통해 피부에 접하고, 통증이나 불쾌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앞에서 본 특수한 구조를 얻기 위하여, 제조시에 정밀한 접합 기술이 필요하여 제조가 곤란하다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앞에서 본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기성이 양호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앞에서 본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1) 적어도 기저귀의 뒤쪽 피포부에,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신축부를 형성하는 것, 2) 적어도 뒤쪽 피포부의 피부 접합면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통기로 형성 시트를 배치하는 것, 3) 통기로 형성 시트를 신축부에 적층하여 통기로 형성 시트와 신축부를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함으로써, 기저귀의 몸통 주위에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통기로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에 상도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일회용 기저귀가 제공된다.
[1]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와, 흡수체가 배치되어 착용자의 가랑이를 피포하는 가랑이 피포부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후 피포부의 일부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는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상기 후 피포부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통기로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는, 상기 신축부에 적층되어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가, 상기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2]적어도 상기 전 피포부의 일부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는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전 피포부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통기로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는, 상기 신축부에 적층되고,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가 상기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상기 신축부는, 복수의 부직포 시트의 층 사이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신축재가 상기 복수의 부직포 시트에 대해서 고착되고, 상기 복수의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인 상기[1]또는[2]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상기 흡수체는, 상기 가랑이 피포부로부터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단 테두리 및 상기 단 테두리의 연장선에서 웨스트 단 테두리 측의 부분인 웨스트 피포부에, 상기 신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가 상기 신축부에 적층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가, 상기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1]~[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5]상기 흡수체는, 상기 가랑이 피포부로부터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단 테두리 및 상기 단 테두리의 연장선보다 가랑이측의 부분인 타미 피포부 중 상기 흡수체의 측 테두리에서부터 폭 방향 외측의 부분에, 상기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가 상기 신축부에 적층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가, 상기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1]~[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6]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가 상기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또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7]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가 상기 몸통 주위 방향과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의 양방향으로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8]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가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 피부 접합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웨스트 단 테두리에서 두겹으로 접고,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 최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일부를 피복 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기[1]~[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9]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가,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두겹으로 접은 부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상기[1]~[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통기성이 양호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B-B'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e는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아우터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f는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신축부 근방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g는 도 1f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h는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형태를 확대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두겹으로 접은 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공정도이며, 이너 시트 방향에서 본 각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각 공정에 대하고, 도 2a에 나타낸 구조 단위의 폭방향 중앙에서 절단 한 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다른 형태를 확대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두겹으로 접은 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더욱 다른 형태를 확대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두겹으로 접은 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더욱 또 다른 형태를 확대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두겹으로 접은 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공정도이며, 이너 시트 방향에서 본 각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각 공정에서, 도 4a에 나타낸 구조 단위의 폭방향 중앙에서 절단 한 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공정도이며, 이너 시트 방향에서 본 각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각 공정에서, 도 5a에 나타낸 구조 단위의 폭방향 중앙에서 절단 한 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6c는 도 6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6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B-B'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e는 도 6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해, 아우터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B-B'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C-C'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e는 도 7a 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개략 이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기본적인 구성: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도 1a, 도 1d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와 같이,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기 전 피포부(2) 및 후 피포부(6)와 흡수체(22)가 배치되어 착용자의 가랑이를 피포하는 가랑이 피포부(4)를 갖는 것이다.
[1-1]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기저귀」에는, 팬츠형, 테이프형 등의 각종 형태가 포함된다. 단, 본 발명은 그 특정 사항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를 널리 포함하며, 이하에 나타낸 팬츠형, 테이프형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2]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
「전 피포부」및 「후 피포부」는, 일회용 기저귀 중,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흡수체가 가랑이 피포부에서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서,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 테두리 및 상기 단 테두리의 연장선에서 웨스트 단 테두리 측의 부분을 「웨스트 피포부」, 상기 흡수체의 단 테두리 및 상기 단 테두리의 연장선에서 가랑이 측의 부분을 「타미 피포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몸통 주위를 피포한다」는, 일회용 기저귀의 일부에 의해서,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 형태 또는 상기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 형태」의 기저귀로서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들 수 있다. 「팬츠형」이란,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와 같이, 미리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10) 및 좌우 한 쌍의 레그 개구부(12)가 형성된 팬츠형을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가리킨다.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는 전 외장체(62)와, 후 외장체(65)의 양측 테두리가 서로 접합되어,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에 대해서는, 외장체(16) 중 접합부(7, 8)의 사이의 영역에 의해서 상기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을 전 피포부(2) 또는 후 피포부(6)로 칭하기로 한다.
 도 1a, 도 1b, 도 1d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는 외장체(16)가 전 외장체(62)와 후 외장체(65)로 구성되어 있다. 단, 미리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 및 좌우 한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고 있어도 된다. 즉, 외장체가 전후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팬츠형」의 한 형태이다.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는, 일체적으로 구성된 외장체(216)의 측 테두리(202a, 202b)와 측 테두리(206a, 206b)가 서로 접합되어,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에 대해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체(216) 중 접합부(207, 208)의 사이의 영역에 의해서 상기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을 전 피포부(202) 또는 후 피포부(206)로 칭하기로 한다.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의 기저귀로서는, 유사 팬츠형 또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들 수 있다.
「유사 팬츠형」은,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와 같은 형태에서, 접합부(7, 8)를 대신해 패스너(메카니컬 패스너 등)를 부설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가리킨다. 이러한 「유사 팬츠형」에서는, 패스너의 계합력에 의해서, 외장체 중 착용자의 앞측을 가리는 부분과 후측을 가리는 부분을 이들 양측 테두리로 착탈 가능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앞에서 본 같은 형태의 기저귀에 대해서는, 외장체 중 양측 테두리의 패스너의 사이의 영역에 의해서 상기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을 전 피포부 또는 후 피포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테이프형」은, 도 7a 및 도 7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와 같이, 착용자의 뒤측을 피포하는 부분의 좌우의 각 측 테두리(374a, 374b)에서 연장되도록 지착 테이프(311)가 부설된 일회용 기저귀를 가리킨다. 「테이프형」은,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착 테이프(311)를 구성하는 기재(350)에 파스닝 부재(도시된 예에서는 메카니컬 패스너의 후크재(348))를 갖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앞측을 피포하는 부분의 파스닝 부재(도시된 예에서는 프런트 패치(313)를 형성하는 메카니컬 패스너의 루프재(346))에 고정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테이프형」은 「팬츠형」과 같이 미리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테이프형」에 있어서의 「전 피포부」, 「후 피포부」는,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를 피복하는 시트재(톱 시트, 백 시트, 사이드 시트 등)에 의해 구성되는 기저귀 본체의 형상에 따라 이하와 같이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기저귀 본체가 모래시계형(전후 웨스트 단 테두리가 폭넓게, 가랑이 측이 조여들어 폭이 좁아지고 있는 형상. 도 6b에 나타낸 외장체(216)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죄어든 곳의 기저귀 앞쪽 기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기저귀 앞쪽 웨스트 단 테두리와의 사이의 영역을 「전 피포부」, 상기 조여든 기저귀 뒤쪽 기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기저귀 뒤쪽의 웨스트 단 테두리와의 사이의 영역을 「후 피포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와 같이, 기저귀 본체(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370c)측에, 기저귀 본체(370)는 별도의 후 사이드 플랩(374)이 부설됨과 동시에, 웨스트 단 테두리(370d)측에도, 기저귀 본체(370)는 별도의 전 사이드 플랩(372)이 부설되고 있는 경우에는, 전 사이드 플랩(372)의 기저귀 가랑이 측의 각부끼리를 묶는 직선과 웨스트 단 테두리(370d)와의 사이의 영역을 「전 피포부」, 후 사이드 플랩(374)의 기저귀 가랑이 측의 기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웨스트 단 테두리(370c)와의 사이의 영역을 「후 피포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기저귀 본체에, 기저귀 본체는 별도의 뒤 사이드 플랩만이 부설되고, 전 사이드 플랩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후 사이드 플랩의 기저귀 가랑이 측의 기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웨스트 단 테두리와의 사이의 영역을 「후 피포부」, 기저귀 본체를 웨스트 단 테두리와 웨스트 단 테두리가 겹치도록 작게 접었을 때에 「후 피포부」와 중첩되는 영역을 「전 피포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1-3]가랑이 피포부:
「가랑이 피포부」는 일회용 기저귀 중, 착용자의 가랑이를 피포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환언하면, 전 피포부와 후 피포부의 사이의 부분이다.
가랑이 피포부에는, 배설물을 흡수·유지시키기 위한 흡수체가 배치된다. 흡수체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흡수체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에 대해서는, 전 외장체(62)와, 후 외장체(65)와의 사이에 걸치도록 흡수성 본체(14)가 배치되어 접합되어 있다(접합부 28). 이 형태에 대해서는, 도 1a, 도 1b, 도 1d 및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외장체(62)에 의해서 전 피포부(2)가, 후 외장체(65)의 일부에 의해서 후 피포부(6)가 후 외장체(65)의 일부와 흡수성 본체(14)의 일부에 의해서 가랑이 피포부(4)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22)는 흡수성 본체(14)의 구성 부재로서 배치되어 있다.
[2]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특징적인 구성: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와 같이, 1) 적어도 후 피포부(6)의 일부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신축부(80)가 형성되고, 신축부(80)는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2) 후 피포부(6)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배치되고, 3) 통기로 형성 시트(82)는 신축부(80)에 적층되어 통기로 형성 시트(82)와 신축부(80)가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4)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도 1f 및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80)의 수축에 의해서, 통기로 형성 시트(82)의 접합부(84) 간의 거리도 좁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휘어져서 변형되어 통기로 형성 시트(82)와 신축부 중 접합부(84) 이외의 부분(비접합부)이 이간하여, 통기관, 쿠션으로서 기능하는 통기로(86)가 형성된다.
또, 착용자가 서있는 위치에서 앉은 위치를 취한 경우에는, 기저귀는 외측으로부터 압축되고, 기저귀의 내부 공간의 습기가 통기로(86)를 통과하여 외부 공간에 배출된다. 또한, 착용자가 보행을 하면, 다리의 움직임으로 기저귀의 가랑이 피포부가 변형하기 때문에, 그 변형에 의해서 기저귀의 내부 공간의 습기가 외부 공간에 배출되고, 이것과 교환에 외부 공간의 공기가 기저귀의 내부 공간에 유입한다. 따라서, 기저귀의 내부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통기로는, 에어 쿠션과 같이 완충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단지 통기성의 향상을 도모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저귀와는 달리, 피부 촉감이 부드럽고, 기저귀의 웨스트 주위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착용자는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2-1]신축부:
신축부는, 신축성 부직포로부터 이루어진다. 「신축성 부직포」는 부직포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것, 또는 기재가 되는 부직포에 신축재(고무나 열가소성 일래스터머 등의 탄성재)를 접합 등에 의해서, 부직포에 신축성을 부여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시판의 엘라스틱 부직포, 일래스터머 스판본드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 모두 상품명으로, 스트라플렉스(이데미츠 유니텍 사제), 에스판시오네(KB세이렌 사제) 등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에라스틱 부직포, 일래스터머 스판본드 부직포는, 부직포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것이다.
단, 신축성 부직포로서 반드시 앞에서 본 같은 부직포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것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 부직포와 신축재를 적절히 조합 접합 등에 의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신축성 부직포가 복수의 부직포 시트의 층 사이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가 배치됨과 동시에, 신축재가 복수의 부직포 시트에 대해서 고착되어 복수의 부직포 시트 및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부직포와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으로, 특허 문헌 2~6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는 달리, 신축부가 시트폭 이상으로 신장하는 것이 없어진다. 예를 들면 도 7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는 기저귀 본체(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370c) 근방 및 웨스트 단 테두리(370d) 근방에, 복수의 부직포 시트(397, 398)의 층 사이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399)가 배치됨과 동시에, 신축재(399)가 복수의 부직포 시트(397, 398)에 대해 고착되어 복수의 부직포 시트(397, 398) 및 신축재(399)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396)를 배치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기저귀는 부직포의 층 사이에 선 형태의 신축재를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와 같이, 반드시 별도의, 신축성 부직포(396)를 배치할 필요는 없고,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구조의 일부를 신축성 부직포로서 이용하여 신축부를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는, 후 외장체(65)를 구성하는 누름 시트(68)와, 아우터 시트(66)와의 층 사이에, 신장 상태의 웨스트 신축재(42)가 배치됨과 동시에, 웨스트 신축재(42)가 누름 시트(68) 및 아우터 시트(66)에 대해서 고착되고 누름 시트(68), 아우터 시트(66), 웨스트 신축재(42)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을 신축성 부직포로서 이용하고 있다. 즉, 웨스트 신축재(42), 타미 신축재(44)를 신축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축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신축재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 도 7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는, 후 사이드 플랩(374)을 구성하는 신축성 부직포(395)를 신축부로서 이용하고 있다. 신축성 부직포(395)는 부직포 시트(393, 394)의 층 사이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391)를 사이에 두어 고정한 것이다. 즉, 신축재(391)를 신축부를 구성하는 신축재로서 이용하고 있다.
신축부는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은, 신축성 부직포가 몸통 주위 방향에 따라서 신장되었을 때에 몸통 주위 방향에 따라서 수축력이 작용하도록, 신축성 부직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는, 도 1a, 도 1d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와 같이, 몸통 주위 방향에 따라서 선 형태의 신축재(이 예에서는 웨스트 신축재 42)를 배치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단, 신축성 부직포가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는 한, 도 1a, 도 1d 및 도 1e에 나타낸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몸통 주위 방향에 대해서 위에 볼록 내지 아래에 오목한 커브를 그리도록 신축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신축부가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는 것인 한, 그 형성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피포부 (2) 및 후 피포부(6)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웨스트 피포부에 신축부(8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대해서는,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웨스트 피포부의 신축부(80)에 적층되어 통기로 형성 시트(82)와 웨스트 피포부의 신축부(80)가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4)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기저귀의 웨스트 피포부에 통기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의 웨스트 피포부로부터 습기를 놓칠 수 있어 기저귀의 웨스트 피포부에 쿠션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 테두리 및 상기 단 테두리의 연장선보다 가랑이 측의 부분인 타미 피포부 중 흡수체의 측 테두리에서 폭방향 외측의 부분에 신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대해서는, 통기로 형성 시트가 타미 피포부의 신축부에 적층되어 통기로 형성 시트와 타미 피포부의 신축부가,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기저귀의 타미 피포부에 통기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형태는 기저귀의 타미 피포부에 쿠션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앞에서 본 것과 같이 웨스트 피포부에 통기로 구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웨스트 피포부의 통기로와 타미 피포부의 통기로가 서로 작용하여 기저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습기를 놓치는 효과가 커진다는 점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폭 방향 안쪽의 부분」에는 비교적 강성이 높은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a 및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분에는 타미 신축재(44)를 배치하지 않는 것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신축부는 「타미 피포부 중 흡수체의 측 테두리보다 폭방향 외측의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2]통기로 형성 시트: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도 1b 및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와 같이 후 피포부(6)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배치된다. 이 통기로 형성 시트(82)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에 통기관, 쿠션으로서 기능하는 통기로를 형성하는 시트이다.
「피부 접합면」은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즉 일회용 기저귀의 최내면을 의미한다. 「발수성 부직포」로서는, 후술하는 사이드 시트와 같은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발수성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으로, 통기로 형성 시트를 탄 배설물의 누락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일부」란, 후 피포부의 피부 접합면의 전부에 통기로 형성 시트가 배치되지 않아도 좋은 것을 의미한다. 통기로 형성 시트를 배치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후 피포부(6)의 웨스트 피포부에 통기로 형성 시트(8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 본체(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370c)의 폭의 60% 이상을 커버하도록 통기로 형성 시트(이 예에서는 톱 시트(318), 부직포 시트(332) 등 중 신축성 부직포(396)가 중첩되는 부분)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 피포부(6)의 웨스트 단 테두리(6c) 측의 폭방향 전역을 커버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기로 형성 시트의 평량은 10~5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g/㎡미만으로 하면, 1) 시트의 부피가 너무 작아서 신축재를 고정하는 접착제가 시트를 투과하여 스며들어 내는, 2) 시트 강도가 저하하고, 기저귀를 끌어올렸을 때에 기저귀의 웨스트피포부가 깨지는 등의 불편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한편, 50g/㎡를 넘으면, 1) 시트의 강성이 너무 높아서 신축재의 수축에 연동해 휘기 어려워져, 통기로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2) 시트의 부피가 너무 커서 웨스트피포부가 뻣뻣하여 착용감이 저하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독립한 부재로서 구성된 통기로 형성 시트가,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 피부 접합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웨스트 단 테두리에 접혀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의 최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재(예를 들면 외장체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 등)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최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단 테두리가 피복되어 노출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단 테두리가 착용자의 피부에 해당 되어 자극을 주거나 아픔을 일으키게 하거나 하는 등, 착용감이 저하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단, 통기로 형성 시트는 독립한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7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에 대해서는, 신축성 부직포(396)가 접합된, 톱 시트(318), 부직포 시트(332) 등을 통기로 형성 시트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 통기로 형성 시트는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두겹으로 접은 부에 의해 형성되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는, 후 피포부 등을 구성하는 시트재가 두겹으로 접히고, 상기 시트재의 단 테두리가 기저귀의 웨스트 단 테두리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재의 단 테두리가 착용자의 피부에 해당하여 자극을 주거나 아픔을 일으키게 하거나 하는 등, 착용감이 저하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겹으로 접은 부(88)는, 통기로 형성 시트(82) 중 웨스트 단 테두리(2c, 6c)에 형성되는 두겹으로 접은 선보다 선단측의 부분이며, 기저귀의 내면 측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 두겹으로 접은 부(88)는 신축부(80)에 적층되어 통기로 형성 시트로서 기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커버 시트나 외장체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의 일부를 반복하여 두겹으로 접은 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아우터 시트(63, 66)의 두겹으로 접은 부(88)를 통기로 형성 시트(82)로서 이용하고 있다.
통기로 형성 시트로서 외장체를 구성하는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그대로(즉, 이너 시트와 아우터 시트가 겹친 2매 겹침 상태인 채), 두겹으로 접은 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단, 이너 시트와 아우터 시트의 어느 쪽이든 한쪽을 다른 쪽 끝 부분에 서 비어져 나오도록 구성하고, 그 비어져 나온 부분을 두겹으로 접어 두겹으로 접은 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두겹으로 접은 선 부분(즉, 통기 부분)의 시트 매수를 줄여 통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에 대해서는, 아우터 시트(63, 66)를 이너 시트(61, 64)의 단부에서 비어져 나오도록 구성하고, 그 비어져 나온 부분을 두겹으로 접어 두겹으로 접은 부(88)를 형성하고 있다.
두겹으로 접은 부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적어도 웨스트 피포부를 피복 가능한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웨스트 피포부 및 타미 피포부를 피복 가능한 길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타미 피포부까지 피복 가능한 길이로 하면, 습기가 많은 가랑이 피포부 근방까지 통기로 구조를 도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 안쪽에 끼워 넣어진 부분의 길이를 20~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로 형성 시트에는,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통기로 형성 시트에 의해서 형성된 통기로를 연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조로 하는 것으로, 기저귀의 내부 공간에서 구멍을 경유하여 통기로에 습기가 유입하고, 통기로를 경유하여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습기가 배출된다.
「구멍」은,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통기로를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의미하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구멍」에는 상시 개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 가능한 구조의 것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기로 형성 시트에 궤적이 볼록 형상의 슬릿 또는 교차하는 복수 라인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밸브로서 기능하는 설편을 갖는 구멍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편에 의해, 통기로에 뇨나 체액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슬릿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궤적이 볼록 형상의 슬릿」으로서는, a) 만곡부를 갖는 슬릿(역U자 모양 슬릿 등), b) 굴곡부를 갖는 슬릿(역V자 모양 슬릿등) 등을 들 수 있다. 또, 「교차하는 복수 라인의 슬릿」으로서는, c) 2 개의 슬릿을 교차시켜 형성한 십자 형태의 슬릿, d) 3개의 슬릿을 교차시켜 형성한 성형의 슬릿 등을 들 수 있다.
앞에서 본 구멍은, 통기로 형성 시트 중 통기로가 형성되는 부위(즉, 접합부간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통기로 형성 시트가 상기 두겹으로 접은 부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경우에는, 두겹으로 접은 부의 선단부 근방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보다 더욱 두겹으로 접은 부의 선단 집합의 부분이 신축부에 대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신축부의 수축에 의해서 구멍이 강제적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강제적으로 개방된 구멍이 통기로의 단부 통로가 된다. 따라서, 기저귀 내부 공간의 습기는, 강제적으로 개방된 구멍으로부터 통기로의 내부에 유입하고, 통기로를 통과하여, 기저귀의 웨스트 단 테두리로 통기로 형성 시트를 투과하여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단지 통기로 형성 시트에 구멍을 형성한 구조와 비교하여, 습기가 통기로에 유입하기 쉽고, 습기를 기저귀 외부에 배출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통기로 형성 시트에는 구멍을 복수 형성해도 된다. 구멍을 복수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통기성이 향상하여 습기를 기저귀 외부에 배출하기 쉬워진다.
「복수」의 구체적인 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멍의 개구면적에 따라서 다르지만, 개구면적이 0.5~10㎟의 구멍이면 5~200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00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개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통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200개 이하로 하는 것으로 뇨나 체액이 통기로에 유입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통기로 형성 시트에 약제를 부착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약제를 부착시키는 것으로,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통기로 형성 시트에 해당 약품에 근거하는 약효를 부여할 수 있다.
약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습제(알로에 엑기스, 프로필렌 글리콜 등);보습 효과를 상주하는 것에 가세하여 우레아제(Urease) 저해 활성을 가지는 스킨 케어용 첨가물(유칼리 추출물 등);외, 소독제, 항균제(에데트 초산, 염화 벤잘코늄 등), 소취제(각종 폴리페놀 화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2-3]접합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도 1f 및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신축부(80)에 적층되어 통기로 형성 시트(82)로 신축부(80)가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4)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상기 구조로 하는 것으로, 신축부(80)의 수축에 추종하여 통기로 형성 시트(82)의 접합부(84) 간 거리도 좁힐 수 있고, 기저귀의 몸통 주위에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통기로(86)가 형성된다. 이 통기로(86)에 의해 기저귀의 통기성·유연성이 향상한다. 또, 상기 구조라면, 특허 문헌 2~6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 같이 신축재(42)의 위치를 고려하여 시트끼리를 접합하는 등의 정밀한 접합 기술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간헐적」이란, 접합부가 비연속적인 있고, 상기 단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통기로 형성 시트나 신축부에 있어서의 1의 접합부와 다른 접합부와의 틈(간격)부가 수축하여 통기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접합부끼리의 간격은 통기로 형성 시트 등의 폭 방향을 향해 2~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10㎜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간헐적」이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이면 좋다. 즉, 접합부가 전후방향(몸통 주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을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h는 도 1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의 두겹으로 접은 부(88)를 전개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전개도이다. 이 예에서는 신축부(신축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1의 부직포 시트인 누름 시트(68)에 대해, 통기로 형성 시트(82)로서 기능하는 아우터 시트(66)의 두겹으로 접은 부(88)가 접합되어 있다(접합부(84)).
접합부(84)는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전후방향으로 향하는, 복수의 선 형태 접합부(90)로 이루어진다. 또한, 선 형태 접합부(90)가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도 3b에 나타낸 형태는, 도 3a에 나타낸 형태와 신축부의 구성이 동일하고, 접합부의 형태가 다른 것이다. 선 형태 접합부(90A)의 각각은, 복수의 도트 형태 접합부(92a)가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전후방향으로 향하여 일렬로 배치된 집합체로서 형성되고 있는 형태이다.
도 3a에 나타낸 예에서는, 선 형태 접합부(90A)가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전후방향으로 향해 배향하고 있다. 따라서,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배향시켰을 경우와 비교하여 습기 등이 상기 전후방향으로 향해 흘러 쉽고, 기저귀의 웨스트 단 테두리(6c) 측에서의 습기 등의 배기를 촉진할 수 있다. 또, 착용자 웨스트 주위의 곡선적인 형상에 기저귀를 추종시키기 쉽고, 피트성, 착용감에도 뛰어나다. 또한, 선 형태 접합부(90) A가 원형 모양의 도트 형태 접합부(92a)의 집합체로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촉감이 딱딱해지기 쉬운 접합부(84A)가 피부에 닿아 아픔을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본 명세서에 대해 「선 형태」라고 할 때는, 기저귀의 전후방향에 늘어나는 형상을 넓게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이른바 선 형태의 외, 띠 형태, 단책상 등의 형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복수의 도트 형태 접합부가 「집합체」라고 파악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도트 형태 접합부와의 간격이 5㎜ 이하인 것을 필요로 한다.
또, 도 3b에 나타낸 형태는, 도 3a에 나타낸 형태와 신축부의 구성이 동일하고, 접합부의 형태가 다른 것이다. 접합부(84b)는,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전후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선 형태 접합부(90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 형태 접합부(90b)가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 형태 접합부(90b) 각각은, 복수의 도트 형태 접합부(92b)가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전후방향에 n행, 폭 방향으로 m열로, n>m를 만족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형태는 「n>m」라고 하는 것으로, 각각의 선 형태 접합부(90b)에 대해 몸통 주위 방향으로 비교하여 전후방향으로, 더욱 많은 도트 형태 접합부(92b)를 배치하여, 몸통 주위 방향보다 전후방향이 긴 선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도 3b에 나타낸 예에서는, 선 형태 접합부(90b)가 원형 모양의 도트 형태 접합부(92b)의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그 도트 형태 접합부(92b)가 5행 2열의 매트릭스 형태에 배치된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앞에서 본 같은 형태에서는, 폭 1~4㎜ 2~80㎜의 선 형태 접합부를, 길이 방향으로 1~30개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선 형태 접합부는 1개당 면적이 1~4㎟의 도트 형태 접합부를 폭방향으로 0.2~5㎜ 간격, 길이 방향으로 0.5~3㎜ 간격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한 집합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에 대해서는, 선 형태 접합부를 도트 형태 접합부의 집합체로서 형성한 예로 설명하였다. 단,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또한,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으로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4c)인 것도 바람직하다(선 형태 접합부(90c). 도 3c에 나타낸 형태도, 도 3a에 나타낸 형태와 신축부의 구성이 동일하고, 접합부의 형태가 다른 것이다.
그 중에서도, 접합부(84c)와 같이 몸통 주위 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통기로가 웨스트 단 테두리(6c)를 세로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줄지어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통기로가 웨스트 단 테두리(6c)에서,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한다. 따라서, 굴뚝 효과(체온으로 따뜻하게 할 수 있어 가벼워진 습기가 바깥 공기와의 밀도차이로 통기로 위쪽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에 의해 충분한 통기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형태에서는, 접합부가 기저귀의 전후방향에 늘어나는 선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기저귀의 웨스트 단 테두리 측에서의 습기 등의 배기가 촉진되는 점에 대해 바람직하다. 같은 생각으로, 전후방향에 복수의 접합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그 복수의 접합부가 전후방향을 향하는 일직선 형태를 타도록 일렬로 정렬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기저귀의 전후방향에 연속하는 직선적인 통기로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구조는, 형성되는 통기로가 무너지기 어려워져,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가, 상기몸통 주위 방향과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의 양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도트 형태 접합부가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형태에서도, 신축부의 수축에 추종하여 통기로 형성 시트가 휘어,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통기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인 웨스트 개구부 근방의 통기성,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2-4]전 피포부에의 배치: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통기로 형성 시트를 후 피포부에 배치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해 왔다. 단, 후 피포부에 가세해 전피포부에 같은 통기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도 바람직하다.
즉,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와 같이, 1) 적어도 전 피포부(2)의 일부에 신축성 부직포로부터 되는 신축부(80)가 형성되어, 신축부(80)는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는 것, 2) 전 피포부(2)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배치되어 있는 것, 3) 통기로 형성 시트(82)는 신축부(80)에 적층되어 통기로 형성 시트(82)로 신축부(80)가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4)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몸통 주위의 사방(전 피포부측, 후 피포부측의 쌍방)에서, 통기로가 갖는 통기성 향상 효과·유연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 피포부에 있어도 신축부, 통기로 형성 시트 및 접합부의 구성은, 후 피포부의 것과 특별히 다를 것은 없다. 배치 위치가 전 피포부측인 점만이 다르다. 도 1a~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는 후 피포부(6)와 같은 통기로 형성 구조를 전 피포부(2)에도 형성한 것이다.
[2-5]구체적인 실시 형태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는, 이하의 2 형태를 들 수 있다. 이하, 제조 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2-5a]제1의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도 1d, 도 1f 및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 시트(82)와 신축부(80)의 피부 접합면이,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4)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예에서는, 도 1d에 나타내도록 통기로 형성 시트(82)(이 예에서는 아우터 시트(66)의 두겹으로 접은 부(88))와 신축부(80)의 피부 접합면을 구성하는 제1 부직포 시트(이 예에서는 누름 시트(68))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4)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신축부(80)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제2 부직포 시트(이 예에서는 아우터 시트(63, 66))와의 층 사이에, 웨스트 신축재(42)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경우, 기저귀의 피부 접합면측에 통기로(86)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통기로 형성에 의한 통기성 향상 효과나 유연성 향상 효과가 발휘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착용자의 피부와 웨스트 신축재(42)의 사이에,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개재하기 때문에, 웨스트 신축재(42)를 피부에 문지를 수 있는 불쾌감이 큰폭으로 저감된다.
제1 실시 형태는, 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 도면은 작도상의 상황에 따라, 하나의 팬츠형 기저귀의 후 피포부에 있어서의 웨스트 단 테두리 근방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확대해 나타내 보이고 있다. 실제로는 연속적인 제조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긴 시트재, 긴 신축재(42)를 도면 좌우 방향으로 내보내도록 하고, 도시의 구조 단위가 도면 좌우 방향으로 복수 반복해지도록 연속시킨 형태로 제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각 공정을 도 2a에 나타낸 구조 단위의 폭방향 중앙에서 절단한 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 보이는 개략 단면도이다.
우선, 도 2a 및 도 2b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이루어지는 아우터 시트(66)와 제1 부직포 시트가 되는 누름 시트(68)를 준비한다.
이어서,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66)의 두겹으로 접은 부(88)에 누름 시트(68) 접합하고, 접합부(84)를 형성한다. 이때, 아우터 시트(66)의 단 테두리로부터 누름 시트(68)가 비어져 나오도록 접합을 실시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부(8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도면 상하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부(84)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시의 예에서는, 아우터 시트(66)의 일부(노출부(78))가 노출하도록, 이너 시트(64)가 적층된 적층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의 (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66)의 노출부(78)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하여 접착한다. 이것에 아울러 흡수성 본체(14)를 부설한다. 이 흡수성 본체(14) 내부의 파선 부분은 흡수체(22)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웨스트 신축재(42)를 사이에 두는 부직포 사이는, 연속면에서 접착되게 된다.
신축재(42)의 접착은, 1) 제2 부직포 시트가 되는 아우터 시트(66)의 노출부 (78) 또는 제1 부직포 시트가 되는 누름 시트(68)에 핫멜트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공하고, 그 도공 부분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하여 장착하는 방법, 2) 웨스트 신축재(42)에 직접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 내지 스프레이 하고, 상기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접착하는 방법, 3) 노출부(78) 또는 제1 부직포 시트가 되는 누름 시트(68)의 상부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해 두고, 그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를 스프레이 하여, 노출부(78) 또는 누름 시트(68)와 웨스트 신축재(42)의 쌍방으로 핫멜트 접착제를 부착시켜서 접착하는 방법, 4) 노출부(78) 또는 제1 부직포 시트가 되는 누름 시트(68)의 표면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해 두고, 그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를 스프레이 내지 연속적으로 도공하여, 노출부(78) 또는 누름 시트(68)와 웨스트 신축재(42)의 쌍방으로 핫멜트 접착제를 부착시켜서 접착하는 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의 「연속적으로 도공」에는 접착제를 전면에 베타 발라 또는 전면에 스프레이 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스파이럴 형태로 도공하는 형태 등도 포함한다. 즉,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을 향해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형태면 좋다. 상기 1)~4)의 어느 방법을 채용한 경우라도,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을 향해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신축부(80)를 구성하는 노출부(78)와 누름 시트(68)와의 층 사이에는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을 향하는 연속적인 통기로는 형성되지 않도록 된다. 한편, 누름 시트(68)와 통기로 형성 시트(82)(두겹으로 접은 부(88))와의 층 사이에는 상기 통기로가 형성되어 이 통기로에 의해서 통기성이 향상한다.
상기 1)의 접착 방법은, 슬릿 코터(심 코터), 커텐 스프레이, 스파이럴 스프레이, 오메가 코트 등의 수법에 의해, 상기 2)의 접착 방법은, 콤간, 오메가 코트, 서미트 등의 수법에 의해, 상기 3) 및 4)의 접착 방법은, 오메가 코트, 서미트 등의 수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오메가 코트는, 예를 들면 오메가 노즐 헤드(ITW 다이나텍크사 제조)를 이용하는 것으로, 서미트는, 예를 들면 서미트 노즐(노도손사 제조)을 이용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a 및 도 2b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66)의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아우터 시트(66)에 대해서 접합된 누름 시트(68)를 웨스트 단 테두리(6c)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두겹으로 접어 아우터 시트(66)의 노출부(78)에 대해서 중첩하고, 누름 시트(68)의 일부에서 톱 시트(18)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누름 시트(68)를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신축부(80)가 형성되어 신축부(80)의 층 사이에 웨스트 신축재(42)가 사이에 들어간다.
[2-5b]제2의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통기로 형성 시트가, 신축부의 피부 접합면에서 신축부의 외표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통기로 형성 시트와 신축부의 피부 접합면 및 외표면이,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제2 실시 형태의 경우, 기저귀의 피부 접합면과 외표면의 쌍방으로 통기로 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저귀의 피부 접합면과 외표면의 쌍방에서 통기로가 형성되어 웨스트 주위에 통기로 구조가 2층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피부 접합면측의 통기로에 의해서 통기성, 유연성이 향상하여 외표면측의 통기로에 의해서 외표면의 촉감(감촉)을 향상시키는 점에 대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와 같은 도면인 도 4a 및 도 4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4a 및 도 4b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도, 통기로 형성 시트(82a)가 되는 아우터 시트(66)와, 제1 부직포 시트 및 제2 부직포 시트가 되는 부직포 시트(76A)를 준비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부의 피부 접합면에서 외표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통기로 형성 시트(82a)를 배치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기저귀 전후방향에 긴 통기로 형성 시트(82a)를 이용하고 있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누름 시트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어서, 도 4a 및 도 4b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66A)의 노출부(78)에서부터 두겹으로 접은 부(88)에 걸쳐 연속적으로 부직포 시트(76A)를 접합하여 접합부(84D)를 형성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부(84D)를 형성하고 있고,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도면 상하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폭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해 단속적으로 접합부(84D)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76A ;아우터 시트(66)의 노출부(78) 및 두겹으로 접은 부(88)에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의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공하여,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한다. 이것에 아울러 흡수성 본체(14)를 부설한다.
마지막으로, 도 4a 및 도 4b의(d)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76A) 및 아우터 시트(66)의 두겹으로 접은 부(88)(부직포 시트(76A)가 접합되어 있다.)를 웨스트 단 테두리(6c)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두겹으로 접어 부직포 시트(76A) 및 아우터 시트(66)의 노출부(78)(부직포 시트(76A)가 접합되어 있다.)에서 중첩시켜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신축부(80)가 형성되어 신축부(80)의 층 사이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사이에 둔다.
[2-5c]그 외:
마지막으로, 통기로 형성 시트와 신축부의 외표면이,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형태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 신축부의 외표면에 통기로가 형성된다. 기저귀의 외표면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기저귀를 교환하는 사람(모친이나 간호자)이 기저귀에 접했을 때에 부드러운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또, 기저귀의 착용시에는 웨스트 피포부가 기저귀의 안쪽에 접혀서 안으로 들어가는 일이 있다. 앞에서 본 같은 구조이면 접혀서 안으로 들어간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닿아도 피부 당이 좋고, 부드러운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와 같은 도면인 도 5a 및 도 5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는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러한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5a 및 도 5b의 (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 시트(82B)가 되는 아우터 시트(66B)와 제2 부직포 시트가 되는 부직포 시트(76B)를 준비한다. 아우터 시트(66B)의 일부에서 흡수성 본체(14)를 구성하는 톱 시트(18)의 일부를 피복 하기 위한,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기저귀 전후방향으로 긴 아우터 시트(66B)를 이용하고 있다.
이어서, 도 5a 및 도 5b의 (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66B)의 이너 시트(64)로부터 노출된 부분(노출부(78))에, 부직포 시트(76B)를 접합하여 접합부(84E)를 형성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부(84E)를 형성하고 있어,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도면 상하 방향)으로 향해 연속적으로, 폭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해 단속적으로 접합부(84E)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의 (c)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76B(아우터 시트(66B)에 접합되어 있다.)의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공하고,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한다. 이것에 아울러 흡수성 본체(14)를 부설한다.
마지막으로, 도 5a 및 도 5b의 (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겹으로 접은 부(88)를 웨스트 단 테두리(6c)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두겹으로 하여 부직포 시트(76B), 이너 시트(64) 및 톱 시트(18)에 대해서 중첩시켜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신축부(80)가 형성되어 신축부(80)의 층 사이에 웨스트 신축재(42)가 사이에 들어간다. 이 예에서는, 아우터 시트(66B)의 두겹으로 접은 부(88)에 의해서, 흡수성 본체(14)의 톱 시트(18)의 일부가 피복되고 있다.
[3]일회용 기저귀의 구성 부재: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와 같이, 적어도 흡수체(22)를 구비한다. 그리고 통상은, 흡수체(22)외에, 톱 시트(18), 백 시트(20) 등을 구성 부재로서 구비한다. 또, 목적에 따라, 입체 개더, 각종 신축재(42) 등의 다른 구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3-1]흡수체:
「흡수체」는, 흡수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 구조체이다. 착용자의 뇨 등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상기 흡수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플러프 펄프(fluff pulf),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이하, 「SAP」라고 적는다.), 친수성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러프 펄프로서는 목재 펄프나 비목재 펄프를 면상에 해섬한 것 등을, 상기 SAP로서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등을, 상기 친수성 시트로서는 티슈, 흡수지,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로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흡수성 재료를 매트 형태로 성형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는 단층이어도 복층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플러프 펄프 100 질량부에 대해서, 10~500 질량부의 SAP를 병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SAP는 플러프 펄프의 매트 중에 혼재시켜도 되고, 복수의 플러프 펄프맛트의 층 사이에 층상에 배치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SAP의 탈락을 방지하여 형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흡수체 전체를 상기 친수성 시트에 의해서 피포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C 및 도 1d에 나타낸 흡수체(22)는, 친수성 시트인 상 티슈(54) 및 하 티슈(56)에 의해서 흡수체(22) 전체가 피포되고 있다.
「흡수체」는, 목적에 따라 구형태, 모래시계 형태 등의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이용하면 좋다. 예를 들면, 도 1c및 도 1d에 나타낸 흡수체(22)는, 구형 태 흡수체를 이용한 예이다. 또한,「흡수체」는, 통상,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흡수체(22)와 같이, 그 표면측을 톱 시트(18)에 의해서 피복됨과 동시에, 그 이면측을 백 시트(20)에 의해서 피복된다. 즉, 흡수체(22)는, 톱 시트(18)와 백 시트(20)의 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3-2]톱 시트:
「톱 시트」는, 흡수체의 표면(기저귀의 장착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대향하는 측의 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는 시트이다. 착용자의 뇨 등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적어도 일부(전부 또는 일부)가 액투과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액투과성 재료로서는, 직포, 부직포, 다공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친수화 처리를 가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Airthrough; 카드 열풍), 카드 엠보스 등의 제법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를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화 처리는, 부직포의 원면에 대해서 계면활성제를 도포, 스프레이, 함침 등 시키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톱 시트는 「적어도 일부」가 액투과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가랑이 피포부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배치 위치와 중첩하는 부분이 액투과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피부와 대향하는 측의 면 모두가 톱 시트에 의해서 커버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도 7a~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 중앙부에만 액투과성 재료로부터 되는 톱 시트(318)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 측 테두리부(사이드 플랩 부분)에는 통기 발수성 재료로 이루어진 사이드 시트(319)를 배치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많다. 상기 통기 발수성 재료로서는, 카드 엠보스, 스판본드 등의 제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수성이 높은 SMS, SMMS 등의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3]백 시트:
 백 시트는, 흡수체의 이면(기저귀의 장착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배향하는 측의 면)을 피복 하도록 배치되는 시트이다. 백 시트는, 착용자의 뇨가 기저귀 외부에 누설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액불투과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다.
백 시트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흡수체에 흡수된 뇨의 누락을 방지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적어도 흡수체의 배치 위치를 커버하도록 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불투과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액불투과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은 0.1~수㎛의 미세한 구멍이 다수 형성된 필름이며, 액불투과성이지만 투습성을 갖는다. 따라서, 방루성을 확보하면서, 기저귀 내부 공간의 열기를 방지할 수 있다.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도 7b~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시트(320)의 외표면측에 커버 시트(324)를 맞댄 형태가 잘 이용된다. 이 커버 시트(324)는, 백 시트(320)를 보강하여 백 시트(320)의 감촉(촉감)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커버 시트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되는 건식 부직포, 습식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4]입체 개더:
「입체 개더」는, 기저귀의 피부 접합면에 배치된, 입체적으로 기립하는 방루벽이다.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서 접합시켜서, 레그 신축재(42)와 상사는 배설물의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낸 입체 개더(26), 도 7b에 나타낸 입체 개더(326)와 같이, 부직포 시트(32, 332)에 의해서 구성되어 부직포 시트(32, 332)의 층 사이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42, 36, 336)를 사이에 두고 고정된 구조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입체 개더 신축재(42, 36, 336)의 수축력에 의해서 입체 개더(26, 326)가 입체적으로 기립한다. 통상은, 흡수체(22)의 양측으로 좌우 한 쌍 배치한다.
부직포 시트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사이드 시트와 같게, 통기 발수성 재료로부터 되는 부직포 시트를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a~도 1e 및 도 6b~도 6d에 나타낸 부직포 시트(32), 도 7b~도 7d에 나타낸 부직포 시트(332)는 모두 통기 발수성의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부직포 시트는, 오로지 입체 개더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괜찮고, 입체 개더와 기저귀의 다른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괜찮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로지 입체 개더를 형성하는 부직포 시트(32)를 이용하여 이것을 흡수성 본체(14)에 대해서 부설하여, 흡수성 본체(14)와 일체적으로 입체 개더(26)를 구성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많다. 한편,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부직포 시트(332)에 의해서 입체 개더(326)와 사이드 시트(319)를 구성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많다.
[3-5]흡수성 본체:
「흡수성 본체」는, 흡수체가 내포된 흡수 패드이다. 흡수성 본체는 후술하는 외장체와 일체가 되어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한다. 「흡수 패드」란, 흡수체, 톱 시트 및 백 시트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패드상의 부재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흡수성 본체(14)와 같이, 흡수체(22)의 표면을 피복하는 톱 시트(18)와 흡수체(22)의 이면을 피복하는 백 시트(20), 흡수체(22)의 주연부에 대해 맞대어 톱 시트(18)와 백 시트(20)와의 층 사이에 흡수체(22)가 내포된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3-6]외장체:
「외장체」란,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 하는 구조체이다. 「외장체」는 단독으로 또는 흡수성 본체와 일체가 되어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 및 한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된 팬츠형을 나타낸다.
도 1a에 나타낸 외장체(16)는,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기 전 외장체(62) 및 후 외장체(6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14)와 일체가 되어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10) 및 한 쌍의 레그 개구부(12)가 형성된 팬츠형을 나타낸다. 또, 도 6a에 나타낸 외장체(216)는,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부분과 가랑이를 피포하는 부분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외장체(216) 단독으로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210) 및 한 쌍의 레그 개구부(212)가 형성된 팬츠형을 나타낸다.
외장체(16, 216)에 대해 접합부 7, 8(접합부 207, 208)에 대신하여 계합 가능한 패스너 부재가 부설되어 그 패스너 부재끼리를 서로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팬츠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 또는 상기 패스너 부재끼리가 미리 계합되어 팬츠형을 나타내고 있는 형태의 것도 「외장체」에 포함된다. 상기 패스너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메카니컬 패스너 등을 들 수 있다.
외장체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기저귀 내부 공간의 열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통기성이 뛰어난 소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그 외의 합성 섬유로부터 되는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외장체는 2매 이상의 부직포가 붙여 합쳐져 구성되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도 1d에 나타낸 외장체(16)는 2매 이상의 부직포(이너 시트(64, 61), 아우터 시트(66, 63) 및 누름 시트(68))를 맞댄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6d에 나타낸 외장체(216)도 2매 이상의 부직포(이너 시트(215), 아우터 시트(217) 및 누름 시트(268))를 맞댄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매 이상의 부직포의 층 사이에는 신장 상태의 각종 신축재(42)가 고정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본 같은 신축재(42)는, 외장체에 대해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유동성의 높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히트 시일을 비롯한 열이나 초음파 등에 의한 용착에 의해 고정된다. 도 1d에 나타낸 외장체(16)는, 이너 시트(64)와 아우터 시트(66)의 층간, 이너 시트(61)와 아우터 시트(63)의 층 사이에, 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재(42, 40) 및 타미 신축재(42, 44)를 사이에 두고 고정되어 있다. 또, 외장체(16)는, 누름 시트(68)와 아우터 시트(66)의 층간, 누름 시트(68)와 아우터 시트(63)의 층 사이에, 신장 상태의 웨스트 신축재(42)를 사이에 두어 고정되어 있다.
[3-7]기저귀 본체: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성 본체와 외장체의 2 피스 구성을 뽑지 않는 것이 많다.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흡수체와 흡수체를 피복하는 각종 시트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구조체는 「기저귀 본체」라고 칭해진다. 기저귀 본체」는, 각종 시트의 층 사이에 흡수체가 내포되고 있어 기저귀의 본질적 기능인 흡수·유지 기능을 발휘하는 부재이다. 편, 흡수체를 내포하지 않고, 흡수·유지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부재(사이드 시트와는 별체의 사이드 플랩, 지착 테이프 등 )는 「기저귀 본체」의 구성 부재는 아니다.
예를 들면 도 7b~도 7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는 흡수체(322)와 흡수체(322)를 피복하는 톱 시트(318), 사이드 시트(319), 백 시트(320) 및 커버 시트(324)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기저귀 본체(370)를 구비하고 있다. 도 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에서, 지착 테이프(311), 전 사이드 플랩(372) 및 후 사이드 플랩(374)은 기저귀 본체(370)를 구성하지 않는다.
[3-8]각종 신축재(42):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는, 웨스트 신축재(42), 레그 신축재(42), 타미 신축재(42) 등의 신축재(4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과 같이, 웨스트 신축재(42)나 타미 신축재(42)를 본 발명에 말하는 「신축부」, 「신축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신축재(42)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3-8a]웨스트 신축재(42):
웨스트 신축재(42)는, 웨스트 피포부에 배치되는 신축재(42)이다. 웨스트 신축재(42)에 의해서 웨스트 피포부에 웨스트 개더가 형성된다.
웨스트 신축재(42)는, 기저귀의 웨스트 단 테두리에 따라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란, 기준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 대체로 평행인 것을 의미한다. 즉, 엄밀한 의미로 평행일 필요는 없다. 단, 도 1e에 나타낸 웨스트 신축재(42)는 웨스트 단 테두리(2c, 6c)와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a 및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스트 신축재(42)로서 복수 라인의 선 형태 신축재(42)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웨스트 단 테두리(2c, 6c)를 따라서, 전 피포부(2)와 후 피포부(6)의 쌍방에 웨스트 신축재(42)를 배치하는 것이 많다. 한편,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웨스트 신축재(42)로서 1매의 면상 신축재(42)(신축성 폼 등)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후 피포부의 웨스트 단 테두리를 따라서, 후 피포부에만 웨스트 신축재(42)를 배치하는 것이 많다.
[3-8b]레그 신축재(42):
레그 신축재(42)는 가랑이 피포부에 배치되는 신축재(42)이다. 레그 신축재(42)에 의해서 가랑이 피포부에 레그 개더가 형성된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6a, 도 6b 및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신축재(42, 240)로서 복수 라인의 선 형태 신축재(42)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외장체(216)의 레그 개구부(212)의 바깥 테두리를 따라서, 레그 신축재(42, 240)을 곡선적으로 배치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많다. 이 형태에 대해서는,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신축재(42 240)와 가랑이 피포부(204)에 있어서의 몸통 주위 방향 중앙을 횡단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가랑이 피포부(204)에 있어서의 몸통 주위 방향 중앙에 레그 신축재(42, 240)의 수축력이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흡수체(22)의 주름이 방지되어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해 흡수체(22)가 피트하기 쉬워진다.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는, 후 외장체(65)의 가랑이 피포부(4)에, 레그 신축재(42, 40)를 직선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레그 신축재(42, 40)는 웨스트 단 테두리(6c)와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흡수성 본체(14)에 있어서의 흡수체(22)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서, 레그 신축재(42, 38)를 직선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에 대하고는 레그 신축재(42, 38, 40) 및 전 외장체(62)의 타미 신축재(42, 44)가 일체가 되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킨다.
또, 레그 신축재(42) 38을 배치하면, 기저귀의 착용시에 있고, 흡수성 본체(14)의 양측 테두리가 흡수체(22)보다 일어선 형태가 되기 쉽다. 이러한 형태는, 배뇨 후에 흡수성 본체(14)의 폭 방향 중앙부(즉 흡수체(22)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뇨가 모이기 쉬워진다. 따라서 뇨누락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한편,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7a 및 도 7e에 나타내도록, 레그 신축재(42, 340)으로서 복수 라인의 선 형태 신축재(42)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적어도 가랑이 피포부(304)에, 흡수체(322)의 양측 테두리에 따르는 직선 형태로, 좌우 복수대의 선 형태 신축재(42)를 배치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많다.
[3-8c]타미 신축재(42):
타미 신축재(42)는, 타미피포부에 배치되는 신축재(42)이다. 타미 신축재(42)에 의해서 타미 피포부에 타미 개더가 형성된다. 주로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배치되는 신축재(42)이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내도록, 타미 신축재(42, 44)로서 복수 라인의 선 형태 신축재(42)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웨스트 단 테두리(2c, 6c)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또, 전 피포부(2)와 후 피포부(6)의 쌍방에 타미 신축재(42, 44)를 배치하는 것이 많다. 레그 신축재(42)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부터,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22)의 배치 부위를 횡단하지 않도록 타미 신축재(42, 44)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8d]신축재(42)의 구성, 그 외:
신축재(42)로서는, 천연 고무로부터 되는 평고무, 합성고무(우레탄고무 등)의 탄성사로 이루어진 실고무 등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신축성 네트, 신축성 필름, 신축성 폼(발포합성고무 등)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신축재(42)는, 120~400%의 신장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300%의 신장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하는 것으로 착용자에 대해서 과도의 결합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충분한 신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신축재(42)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열이나 초음파 등에 의한 용착에 의해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핫멜트 접착제, 그 외의 유동성의 높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용착의 방법으로서는 히트 시일링 등을 들 수 있다.
신축재(42)의 고정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신축재(42) 및 상기 신축재(42)를 사이에 두는 부직포 시트의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를 도공 내지 분무하여 고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파이럴 도공 등을 들 수 있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웨스트 신축재(42), 레그 신축재(42), 타미 신축재(42)와 외장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고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 도 6b 및 도 6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는, 누름 시트(268)와 아우터 시트(217)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웨스트 신축재(42, 242)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너 시트(215)와 아우터 시트(217)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42, 240) 및 타미 신축재(42, 244)를 고정하고 있다.
단, 레그 신축재(42)에 대해서는, 흡수성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고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는 부직포 시트 32(입체 개더(26)를 형성하기 위해서 흡수성 본체(14)에 맞댄다)와 같은 종류의 층간 또는 부직포 시트(32)와 커버 시트(24)와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42, 38)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에 대해서는, 누름 시트(68)와 아우터 시트(63, 66)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웨스트 신축재(42)를 고정하고 있다. 또, 이너 시트(61, 64)와 아우터 시트(63, 66)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42, 40) 및 타미 신축재(42, 44)를 고정하고 있다.
한편,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웨스트 신축재(42), 레그 신축재(42)도 기저귀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고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톱 시트와 커버 시트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웨스트 신축재(42)를 고정할 수 있다. 단, 도 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는 기저귀 본체(370)에 대해, 그 웨스트 단 테두리(370c, 370d) 근방에 신축성 부직포(396)를 간헐적으로 접합하여(접합부 386), 신축성 부직포(396)를 구성하는 신축재(42, 391)를 웨스트 신축재(42)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 도 7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는 부직포 시트(332)에 의해서 구성되는 사이드 시트(319)와 커버 시트(324)와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42, 340)를 고정하고 있다. 단, 톱 시트와 커버 시트의 층 사이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42)를 고정해도 된다.
[3-9]지착 테이프:
「지착 테이프」는,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의 어느 쪽이든 한쪽을 다른 쪽에 고정하기 위한 테이프이다. 통상은, 도 7a 및 도 7e에 나타낸 지착 테이프(311)와 같이, 후 피포부(306)의 좌우의 측 테두리(이 예에서는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4a, 374b))로부터 허리 주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부설된다.
지착 테이프는 파스닝 부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스닝 부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메카니컬 패스너(면상 패스너)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카니컬 패스너는 지착력이 높고, 여러 차례의 탈착을 실시해도 지착력이 저하하기 어려운 점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착 테이프(311)를 구성하는 기재(350)의 선단 근방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후크재(348)를 부설한다. 한편, 전 피포부(302)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루프재(346)로 이루어진 프런트 패치(313)를 부설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많다.
지착 테이프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착용자의 체형(구체적으로는, 웨스트 주위, 다리 주위 등)의 치수에 맞추어 적당한 수의 지착 테이프를 부설하면 좋다. 일반적으로는, 유아용의 일회용 기저귀이면 한 쌍(좌우 1 개씩), 성인용의 일회용 기저귀면 2대(좌우 2 개씩)가 부설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그 발명 특정 사항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구조는, 도 1a~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의 구조로 하였다. 이 일회용 기저귀(1)는 유아용 L사이즈의 것이며, 전후방향 길이가 485㎜, 전 피포부(2) 및 후 피포부(6)의 폭(측 테두리 2a, 2b간, 측 테두리 6a, 6b간의 길이)이 325㎜의 것이다. 제조 방법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공정에 의해 실시하였다.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에 대해서는, 도 1f 및 도 1h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신축부(80) 중피부 접합면의 옆에만 배치되어 통기로 형성 시트(82)가 신축부(80)를 구성하는 1의 부직포인 누름 시트(68)에 대해서 접합되고, 그 접합부(84)가 통기로 형성 시트(82)와 누름 시트(68)의 폭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누름 시트(68)와 신축부(80)를 구성하는 다른 부직포인 아우터 시트(63, 66)와의 층 사이에는, 웨스트 신축재(42)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통기로 형성 구조는 기저귀의 뒤 피포부(6)측 뿐만 아니라, 전 피포부(2) 측에도 배치되어 있다.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에 대해서는, 도 1f~도 1h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 시트(82)는 전 외장체(62), 후 외장체(65)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63, 66)의 두겹으로 접은 부(88)를 이용하고 있다. 통기로 형성 시트(82)는 평량 19g/㎡의 스판본드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 대해서는, 아우터 시트(63, 66)의 1의 단부가 웨스트 단 테두리(2c, 6c)에 대해 톱 시트(18) 측에 두겹으로 접힘으로써, 두겹으로 접은 부(88)가 형성되고 있다. 두겹으로 접은 부(88)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80㎜이다.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 피포부(6)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63, 66)에, 누름 시트(68)가 적층되어 신축부(80)가 형성되고 있다. 이 신축부(80)의 층 사이에, 웨스트 신축재(42)가 배치되어 있다.
누름 시트(68)로서는, 이너 시트(61, 64), 아우터 시트(63, 66)와는 별도의 부직포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누름 시트(68)로서는 통기로 형성 시트(82)와 동종의 스판본드 부직포, 즉, 평량 19g/㎡의 발수성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도 1d 및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시트(68)의 선단은 두겹으로 접은 부(88)의 선단에서 비어져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비어져 나온 부분에 의해서 흡수성 본체(14)를 구성하는 톱 시트(18)의 일부가 피복되고 있다. 이 비어져 나온 부분은 통기로 형성 시트(82)의 단부에서부터 35㎜만 초과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톱 시트(18)의 단부로부터 25㎜의 부분을 피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시트(68)는 길이 80㎜(기저귀의 전후방향의 치수)의 것을 이용하여 누름 시트(68)에 대해서 두겹으로 접은 부(88)가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84)는 두겹으로 접은 부(88)의 폭 방향을 향해 7㎜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부(84)는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전후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선 형태 접합부(90)로 하였다. 선 형태 접합부(90)는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폭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선 형태 접합부(90)의 각각은, 복수의 도트 형태 접합부(92)가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전후방향을 향하고 일렬로 배치된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1개의 도트 형태 접합부의 면적은 4.6㎟로 하였다. 형상은 폭 1㎜, 길이 1.5㎜의 구형의 양단에 지름 1㎜의 반원을 결합시킨 것 같은 레이스 트럭 형상으로 하고, 도트 형태 접합부(92)의 전후방향(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은 0.5㎜로 하였다. 5개의 도트 형태 접합부(92)의 집합체가 1개의 선 형태 접합부(90)로서 구성되어 그 선 형태 접합부(90)가 두겹으로 접은 부(88) 및 누름 시트(68)의 전후방향을 향해 2㎜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80)의 층 사이에는, 웨스트 단 테두리(2c, 6c)를 따라서 웨스트 신축재(42)가 신장률 300%(원의 길이의 3배)의 신장 상태로 6개 배치되어 있다. 웨스트 신축재(42)로서는 천연 고무로부터 되는 평 고무(두께 0.35㎜×0.65㎜)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구조는, 도 6a~도 6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의 구조로 하였다. 이 일회용 기저귀(201)는 실시예 1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사이즈, 즉 전후방향 길이가 485㎜, 후 피포부(6)의 폭(측 테두리 6 a, 6 b간의 길이)이 325㎜의 것이다.
흡수성 본체는 실시예 1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 구조의 흡수성 본체(14)를 이용하였다. 외장체(216)는 실시예 1의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전후 분리형이 아니고, 전 피포부, 가랑이 피포부 및 후 피포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일체형의 것을 이용하였다. 가랑이 피포부의 최협부(A-A'단면의 위치)의 폭은 175㎜로 하였다.외장체(216)에 배치되는 레그 신축재(42, 240)는, 외장체(216)의 레그 개구부(212)의 바깥 테두리를 따라서 곡선적으로 배치하였다.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일회용 기저귀와 같게 하여 구성하였다. 즉, 신축부나 접합부의 구성(각부 치수, 사용 재료 등), 이러한 형성 방법 등은 실시예 1의 일회용 기저귀에 준하여 구성하였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b 및 도 6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에 대해서는, 통기로 형성 시트(282)가 신축부(280) 중 피부 접합면의 옆에만 배치되어 통기로 형성 시트(282)가 신축부(280)를 구성하는 1의 부직포인 누름 시트(268)에 대해서 접합되어 그 접합부(284)가 통기로 형성 시트(282)와 누름 시트(268)의 폭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누름 시트(268)와 신축부(280)를 구성하는 다른 부직포인 아우터 시트(217)와의 층 사이에는, 웨스트 신축재(42, 242)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통기로 형성 구조는 기저귀의 후 피포부(206)측 뿐만 아니라, 전 피포부(202) 측에도 배치되어 있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 시트(282)는 외장체(216)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217)의 두겹으로 접은 부(288)를 이용하고 있다. 통기로 형성 시트(282)는 평량 19g/㎡의 스판본드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201)에 대해서는, 아우터 시트(217)의 1의 단부가 웨스트 단 테두리(202c, 206c)에 대해 톱 시트(18) 측에 두겹으로 접힘으로써, 두겹으로 접은 부(288)가 형성되어 있다. 두겹으로 접은 부(288)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80㎜이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 피포부(206)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217)에, 누름 시트(268)가 적층되어 신축부(280)가 형성되고 있다. 이 신축부(280)의 층 사이에, 웨스트 신축재(42)가 배치되어 있다.
누름 시트(268)로서는, 이너 시트(215), 아우터 시트(217)와는 별도의 부직포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누름 시트(268)로서는 통기로 형성 시트(282)와 동종의 스판본드 부직포, 즉, 평량 19g/㎡의 발수성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시트(268)의 선단은 두겹으로 접은 부 (288)의 선단에서 비어져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비어져 나온 부분에 의해서 흡수성 본체(14)를 구성하는 톱 시트(18)의 일부가 피복되고 있다. 이 비어져 나온 부분은 통기로 형성 시트(282)의 단부에서부터 35㎜만 초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톱 시트(18)의 단부에서부터 25㎜의 부분을 피복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시트(268)는 길이 80㎜(기저귀의 전후방향의 치수)의 것을 이용하여 누름 시트(268)에 대해서 두겹으로 접은 부(288)가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284)는 두겹으로 접은 부(288)의 폭 방향을 향해 7㎜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f에 나타낸 접합부(84)와 동일하게, 접합부(284)는, 두겹으로 접은 부(288) 및 누름 시트(268)의 전후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선 형태 접합부로 하였다. 선 형태 접합부는 두겹으로 접은 부(288) 및 누름 시트(268)의 폭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선 형태 접합부의 구체적 형상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280)의 층 사이에는, 웨스트 단 테두리(202c, 206 c)를 따라서 웨스트 신축재(42, 242)가 신장률 300%(원의 길이의 3배)의 신장 상태로 6개 배치되어 있다. 웨스트 신축재(42, 242)로서는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평고무(두께 0.35㎜×0.65㎜)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으로서 도 7a~도 7e에 나타낸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301)를 제작하였다. 이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301)는 유아용 L사이즈의 것이며, 기저귀 본체(370)의 전후방향 길이를 485㎜, 폭을 230㎜의 구형태로 구성하였다.
기저귀 본체(370)에는, 측 테두리 (370a, 370b)로부터 연장 되도록, 신축성 부직포(395)로 이루어진 후 사이드 플랩(374)을 부설하였다. 신축성 부직포(395)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93, 394)로서는, 평량 18g/㎡의 폴리프로필렌제 스판본드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2매의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의 층 사이에, 신축재(42, 391)로서 10개의 실고무를 5㎜ 피치로 배치하고, 300%의 신장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신축성 부직포(395)를 구성하였다. 
후 사이드 플랩(374)의 사이즈는, 측 테두리(374a, 374b)의 상하 방향 길이를 60㎜, 기저귀 본체의 측 테두리(370a, 370b)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길이를 108㎜로 하였다.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로부터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80㎜로 하였다.
후 사이드 플랩(374)의 피부 접합면에는 통기로 형성 시트(383)를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접합하였다. 통기로 형성 시트(383)는 스판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평량 18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였다. 이 통기로 형성 시트(383)를 초음파 시일에서 후 사이드 플랩(374)의 피부 접합면에 접합하였다. 접합부(385)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1㎜, 길이 10㎜의 구형태 접합부를 복수 집합적으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구형태 접합부를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50㎜ 간격, 기저귀의 폭 방향으로 8㎜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기저귀 본체(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370c, 370d) 근방의 피부 접합면에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신축성 부직포(396)를 접합하였다 신축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97, 398)로서는, 평량 15g/㎡의 발수성의 SMS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였다. 부직포 시트(397, 398)의 층 사이에는, 신축재(42, 399)로서 10개의 실고무를 5㎜ 피치로 배치하여 300%의 신장 상태로 고정하였다.
신축성 부직포(396)를 초음파 시일에서 기저귀 본체(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370c, 370d) 근방의 피부 접합면에 접합하였다(접합부 386). 즉, 기저귀 본체 (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370c, 370d) 근방의 부분(웨스트피포부)을 통기로 형성 시트(383)로서 이용하였다. 접합부(385)는, 폭 0.4㎜, 길이 10㎜의 구형태 접합부를 복수 집합적으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구형 모양 접합부를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1㎜ 간격, 기저귀의 폭 방향으로 7㎜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으로 하였다.
후 사이드 플랩(374)의 측 테두리(374a, 374b)에는, 측 테두리(374a, 374b)로부터 다시 27㎜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지착 테이프(311)를 접합하였다. 지착 테이프(311)는, 폭 40㎜(후 사이드 플랩(374)의 상하 방향의 길이), 길이 42㎜(후 사이드 플랩(374)의 좌우 방향의 길이)로 하였다. 후 사이드 플랩(374)과 좌우 방향 15㎜의 범위에서 중첩되도록 접합하였다. 접합 방법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한 접착으로 하였다.
지착 테이프(311)는 기재(350)에 대해 그 측 테두리를 기준으로서 안쪽 7~22㎜의 범위에 폭 15㎜(지착 테이프(311)의 좌우 방향의 길이)의 후크재(348)를 접합한 것으로 하였다.
덧붙여 실시예 3의 일회용 기저귀(301)에는, 전 피포부(302) 측에 전 사이드 플랩(372)을 부설하였다. 전 사이드 플랩(372)은 폭 20㎜의 부분을, 사이드 시트(319)로 커버 시트(324)에 끼워,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것으로 고정하였다.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로부터 외부에 노출하는 부분은 윗 바닥 40㎜, 아래 바닥 60㎜의 등각대 형태로 하고, 상기 아래 바닥이 기저귀 본체 (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2c)로부터 15~75㎜의 범위에 배치되도록 부설하였다. 재질은 후 사이드 플랩(374)과 동일한 부직포로 하였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유아용 또는 간호를 필요로 하는 고령자나 장애인 등의 성인용의 일회용 기저귀,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나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이용할 수 있다.
1:일회용 기저귀, 2:전 피포부, 2a, 2b:측 테두리,
2c:웨스트 단 테두리, 4:가랑이 피포부, 6:후 피포부,
6a, 6b:측 테두리, 6c:웨스트 단 테두리,
7, 8:접합부, 10:웨스트 개구부,
12:레그 개구부, 14:흡수성 본체,
15:이너 시트, 16:외장체,
17:아우터 시트, 18:톱 시트,
20:백 시트, 22:흡수체,
24:커버 시트, 26:입체 개더,
28:접합부, 32:부직포 시트,
36:입체 개더 신축재(42),
38, 40:레그 신축재(42), 42:웨스트 신축재(42),
44:타미 신축재(42), 54:상 티슈,
56:하 티슈, 61, 64:이너 시트,
62:전 외장체, 63, 66:아우터 시트,
65:후 외장체, 66A, 66B:아우터 시트,
68:누름 시트, 76A, 76B:부직포 시트,
78:노출부, 80:신축부,
82, 82A, 82B:통기로 형성 시트,
84, 84A, 84B, 84C, 84 D, 84E:접합부,
86:통기로, 88:두겹으로 접은 부,
90, 90A, 90B, 90C:선 형태 접합부,
92, 92A, 92B:도트 형태 접합부,
201:일회용 기저귀, 202:전 피포부,
202a, 202b:측 테두리, 202c:웨스트 단 테두리,
204:가랑이 피포부, 206:후 피포부,
206a, 206b:측 테두리, 206c:웨스트 단 테두리,
207, 208:접합부, 210:웨스트 개구부,
212:레그 개구부, 214:흡수성 본체,
215:이너 시트, 216:외장체,
217:아우터 시트, 240:레그 신축재(42),
242:웨스트 신축재(42), 244:타미 신축재(42),
268:누름 시트, 280:신축부,
282:통기로 형성 시트, 284:접합부,
288:두겹으로 접은 부, 301:일회용 기저귀,
302:전피포부, 304:가랑이 피포부,
306:후 피포부, 311:지착 테이프,
313:프런트 패치, 318:톱 시트,
319:사이드 시트, 320:백 시트,
322:흡수체, 324:커버 시트,
326:입체 개더, 332:부직포 시트,
336:입체 개더 신축재(42), 340:레그 신축재(42),
342:웨스트 신축재(42), 346:루프재,
348:후크재, 350:기재,
370:기저귀 본체, 370a, 370b:측 테두리,
370c, 370d:웨스트 단 테두리,
372:전 사이드 플랩, 374:후 사이드 플랩,
374a, 374b:측 테두리, 383:통기로 형성 시트,
385, 386:접합부, 391:신축재(42),
393, 394:부직포 시트, 395, 396:신축성 부직포,
397, 398:부직포 시트, 399:신축재(42).

Claims (9)

  1.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 하기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와 흡수체가 배치되어 착용자의 가랑이를 피포하는 가랑이 피포부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후 피포부의 일부에 신축성 부직포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는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후 피포부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 이루어진 통기로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는, 상기 신축부에 적층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는 상기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 되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전 피포부의 일부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는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상기 전 피포부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통기로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는 상기 신축부에 적층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복수의 부직포 시트의 층 사이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신축재가 상기 복수의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상기 복수의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가랑이 피포부로부터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단 테두리 및 상기 단 테두리의 연장선보다 웨스트 단 테두리 측의 부분인 웨스트피포부에, 상기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가 상기 신축부에 적층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가, 상기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일회용 기저귀.
  5.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가랑이 피포부로부터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단 테두리 및 상기 단 테두리의 연장선보다 가랑이 측의 부분인 타미 피포부 중 상기 흡수체의 측 테두리에서부터 폭방향 외측의 부분에, 상기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가 상기 신축부에 적층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는 상기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일회용 기저귀.
  6.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또,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으로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7.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통 주위 방향과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의 양방향으로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8. 청구항 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는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 피부 접합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웨스트 단 테두리로 두겹으로 접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 최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9. 청구항 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 형성 시트가, 상기 전 피포부 및 상기 후 피포부의 적어도 한쪽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두겹으로 접은 부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일회용 기저귀.
KR1020127028127A 2010-03-29 2011-03-29 일회용 기저귀 KR101730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5283 2010-03-29
JP2010075283 2010-03-29
PCT/JP2011/057761 WO2011122604A1 (ja) 2010-03-29 2011-03-29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068A true KR20130029068A (ko) 2013-03-21
KR101730212B1 KR101730212B1 (ko) 2017-05-11

Family

ID=4471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127A KR101730212B1 (ko) 2010-03-29 2011-03-29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761179B2 (ko)
KR (1) KR101730212B1 (ko)
CN (1) CN102834081B (ko)
MY (1) MY157092A (ko)
RU (1) RU2560313C2 (ko)
WO (1) WO2011122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8654B2 (ja) * 2012-02-27 2016-08-2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962079B2 (ja) * 2012-03-06 2016-08-0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6089807B2 (ja) * 2013-03-08 2017-03-0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DE102013104659A1 (de) * 2013-05-06 2014-11-06 Eberhard Timm GmbH Entlüftungsvorrichtung für oder als Bestandteil eines Absorptionsartikels
JP6201802B2 (ja) * 2014-02-14 2017-09-2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006373B1 (ja) * 2015-06-08 2016-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吸収性物品
CN106420181A (zh) * 2016-11-21 2017-02-22 广州市汉氏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全面防漏纸尿裤
JP7008085B2 (ja) * 2017-12-25 2022-02-10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7290579B2 (ja) * 2018-01-31 2023-06-13 株式会社瑞光 伸縮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伸縮複合シート及び該伸縮複合シート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
JP7093851B2 (ja) * 2018-05-01 2022-06-30 ピュアウ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流体収集衣服
CN112243369B (zh) * 2018-05-31 2022-11-08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6777211B2 (ja) * 2018-12-27 2020-10-2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0137368A1 (ja) * 2018-12-27 2020-07-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0164061A1 (en) *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JP7358783B2 (ja) * 2019-05-31 2023-10-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7353B2 (ja) * 1992-08-13 2005-07-0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液体不透過性保護用品
JP4205385B2 (ja) * 2002-08-30 2009-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RU2361559C2 (ru) * 2005-03-02 2009-07-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Ад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в виде трусов
JP4871237B2 (ja) * 2007-09-25 2012-02-08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280276B2 (ja) * 2009-03-31 2013-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329322B2 (ja) * 2009-07-09 2013-10-30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7092A (en) 2016-04-29
JPWO2011122604A1 (ja) 2013-07-08
CN102834081B (zh) 2016-11-16
KR101730212B1 (ko) 2017-05-11
WO2011122604A1 (ja) 2011-10-06
RU2012145854A (ru) 2014-05-10
JP5761179B2 (ja) 2015-08-12
RU2560313C2 (ru) 2015-08-20
CN102834081A (zh)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9068A (ko) 일회용 기저귀
JP5540379B2 (ja) 使い捨ておむつ
TWI481393B (zh) 可丟棄尿布
JP5811615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2133294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447091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93461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566393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46275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7202691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7380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40695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38347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524792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66197A5 (ko)
JP613725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71989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81882B2 (ja)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JP4982195B2 (ja) テープ型おむつ
JP5938848B2 (ja)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47983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793489B2 (ja)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JP6028989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931473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20195550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