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562A - 와이어 쏘 리프터 - Google Patents

와이어 쏘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562A
KR20130027562A KR1020137002592A KR20137002592A KR20130027562A KR 20130027562 A KR20130027562 A KR 20130027562A KR 1020137002592 A KR1020137002592 A KR 1020137002592A KR 20137002592 A KR20137002592 A KR 20137002592A KR 20130027562 A KR20130027562 A KR 20130027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aw
attached
hook
horizontal
process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649B1 (ko
Inventor
히로시 나카모토
사토시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7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25H1/0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세싱 롤러를 운반하고 프로세싱 롤러를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에 부착하고 그로부터 제거할 뿐만 아니라, 부품을 운반하고, 부품을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에 설정하고 그로부터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와이어 쏘 리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와이어 쏘 리프터(1)는 상승 안내를 위한 폴(2)을 가지는 카트(3); 폴(2)에 의해 지지되어 폴(2)을 따라 상승 및 하강 가능한 상승 부재(4); 상승 부재(4)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평 이동 부재(5); 수평 이동 부재(5)에 부착되어 그 정면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에서 스윙가능한 레벨링 유닛(6); 레벨링 유닛(6)에 부착되어 그 정면에 위치하는 (좌우) 제 1 후크(7) 쌍; 레벨링 유닛(6)에 부착되어 그 정면에 위치하는 (좌우) 제 2 후크 쌍; 제 1 후크(7) 상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롤러(9)를 유지하는 프로세싱 롤러 홀더(10) 및 제 2 후크(8) 상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부품(12)을 유지하는 부품 홀더(11)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 쏘 리프터{WIRE SAW LIFTER}
본 발명은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롤러를 운송하고, 해당 부품을 처리하며, 프로세싱 롤러를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에 부착하고 그로부터 제거하며, 부품을 와이어 쏘에 부착하고 와이어 쏘로부터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쏘는 와이어가 프로세싱 롤러들 사이에서 스트레칭되는 방식으로 여러 차례로 복수의 프로세싱 롤러에 와이어를 감아 반도체와 같은 부품을 규정된 두께의 복수의 판형 바디로 컷팅하고 이어지는 와이어에 대항하여 부품을 가압하는데 사용된다.
와이어 쏘 조립 프로세스는 프로세싱 롤러를 베어링 유닛과 통합시키는데 있어서 프로세싱 롤러를 베어링 유닛으로 부착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와이어 쏘 사용자 측에서 프로세싱 롤러가 닳거나 혹은 부품 컷팅 사양이 바뀌는 경우, 프로세싱롤러 베어링 유닛으로부터 프로세싱 롤러를 제거하고, 새로운 프로세싱 롤러를 부착하고 또는 다른 사양의 프로세싱 롤러를 베어링 유닛에 부착하는 교체 작업이 필요하다.
특허 문서 1 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재 특허 출원인은 이미 프로세싱 롤러를 위한 리프터를 개발하였다. 리프터를 사용하여, 높이 방향 및 수평 방향에서 베어링 유닛에 관해 위치되고 레벨이 유지되는 동안 프로세싱 롤러는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에 부착된다. 상기 리프터를 사용하면 프로세싱 롤러를 베어링 유닛과 통합시키는 작업 및 프로세싱 롤러를 교체하는 작업이 더욱 향상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서 1의 리프터는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롤러에 관한 것으로 프로세싱 대상 부품을 운송하거나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에 설정하거나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로부터 제거하는 데는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부품 운송 수단 또는 또 다른 리프터가, 부품을 운송하고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에 설정하거나 혹은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다.
반면, 특허 문서 2는 와이어 쏘에 부품을 부착하고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리프터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리프터는 부품에만 적용되며, 프로세싱 롤러를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에 통합시키고, 부착하고 또는 그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에는 사용될 수 없다.
JP-A-2010-208790 JP-A-2008-246643
와이어 쏘에 관해서는, 대개,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롤러를 운반하거나, 프로세싱 롤러를 베어링 유닛에 부착하거나 혹은 그로부터 제거하는 작업, 그리고 부품을 운송하거나 부품을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에 설정하거나 혹은 그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시간상 서로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리프터의 카트 부분은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롤러를 운반하거나 프로세싱 롤러를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에 부착하거나 그로부터 제거하는 작업과 부품을 운송하거나 부품을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에 설정하거나 혹은 그로부터 제거하는 작업 양자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프로세싱 롤러를 운반하고 프로세싱 롤러를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에 부착하고 그로부터 제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을 운송하고 부품을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에 부착하고 그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로세싱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 중 선택된 하나와 부품을 고정하는 홀더가 높이 방향과 수평 방향에서 카트의 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높이 조절되는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와이어 쏘 리프터를 제공할 수 있고, 프로세싱 롤러 또는 부품은 부착된 홀더에 의해 규정된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와이어 쏘 리프터를 제공하여, 카트, 상승 부재, 수평 이동 부재, 레벨링(leveling) 유닛, 제 1 후크 쌍, 제 2 후크 쌍, 프로세싱 롤러 홀더 및 부품 홀더를 포함한다. 카트는 상승 안내를 위한 폴(pole)을 구비한다. 상승 부재는 폴에 의해 지지되며, 폴을 따라 상승되고 하향될 수 있다. 수평 이동 부재는 상승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수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벨링 유닛은 상기 수평 이동 부재에 부착되어 수평 이동 부재의 정면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다. 제 1 후크 쌍은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어 레벨링 유닛의 정면에 위치한다. 제 1 후크 쌍은 좌우 제1 후크를 포함한다. 제 2 후크 쌍은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어 레벨링 유닛의 정면에 위치한다. 제 2 후크 쌍은 좌우 제 2 후크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롤러 홀더는 제 1 후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롤러를 유지한다. 부품 홀더는 제 2 후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와이어 쏘의 처리 대상인 부품을 유지한다(청구항 1).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는 일직선상에 배열된다(청구항 2).
프로세싱 롤러 홀더는 브라켓, 한쌍의 롤러 행어 및 프레싱 레버를 포함한다. 브라켓은 레벨링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제 1 후크 상에 제 1 후크 축을 연결하여 레벨링 유닛의 정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 행어 쌍은 매달림 툴을 통해 브라켓에 걸려 브라켓의 정면에 위치하며, 프로세싱 롤러의 2 개의 끝 부분을 지지한다. 프레싱 레버는 롤러 행어에 의해 유지되어 프로세싱 롤러의 2 개의 끝 부분을 가압한다(청구항 3).
매달림 툴은 매달림 아이 볼트 및 매달림 축을 포함한다. 매달림 축은 느슨하게 매달림 아이 볼트를 통해 삽입된다. 프로세싱 롤러는 롤러 행어에 의해 유지되어 자유롭게 전후 방향, 회전 방향 및 경사 방향에서 변위될 수 있다(청구항 4).
프레싱 레버는 수평 지지 포인트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롤러 행어에 부착되어 롤러 행어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고, 프레싱 레버는 롤러 행어의 측면 표면상에 고정되게 배열된다(청구항 5).
부품 홀더는 슬라이더 가이드, 슬라이더 및 포크(fork)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가이드는 레벨링 유닛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제 2 후크 축을 제 2 후크 상에 연결하여 레벨링 유닛의 정면에 위치하게 된다.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가이드에 부착되어 전후 방향에서 이동가능하다. 포크 부재는 슬라이더에 부착되어 부품을 고정한다(청구항 6).
상승 부재를 동반하는 상승 구동 디바이스는 배터리, 상승 모터 및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배터리는 카트에 장착된다. 상승 모터는 폴의 측면에 부착되어 배터리에 의해 구동된다. 전송 수단은 폴의 상부 및 바닥 위치 사이에 제공되며, 상승 모터에 의해 구동될 때 폴을 따라 상승 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청구항 7).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는 수평 이동 부재를 동반하여 수평 피드 스크류 축 및 수평 피드 너트를 포함한다. 수평 피드 스크류 축은 상승 부재에 부착되고 조작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수평 피드 너트는 수평 이동 부재에 부착되고, 수평 피드 스크류 축에 연결되어 스크류쌍을 형성하고, 수평 이동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청구항 8).
레벨링 구동 디바이스는 레벨링 유닛을 동반하여 지지 축,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 및 레벨링 피드 너트를 포함한다. 지지 축은 수평 이동 부재에 부착되고 레벨링 유닛을 지지하여 레벨링 유닛은 수평 방향에서 스윙 가능하다.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은 수평 이동 부재에 부착되고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레벨링 피드 너트는 레벨인 연결 축을 통해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어, 전후 방향에서 연장되고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에 연결되어 스크류 쌍을 형성한다(청구항 9).
본 발명을 따르는 와이어 쏘 리프터에서, 프로세싱 롤러 홀더는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는 (좌우)제 1 후크 쌍 상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정면에 위치하며, 부품 홀더는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는 (좌우) 제 2 후크 쌍 상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정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프로세싱 롤러 홀더가 선택되어 와이어 쏘 리프터에 부착되면, 와이어 쏘 리프터는 프로세싱 롤러를 운반하거나 프로세싱 롤러를 와이어 쏘에 부착하거나 그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부품 홀더가 선택되어 와이어 쏘 리프터에 부착되면, 와이어 쏘 리프터는 부품을 운반하고 또는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상에 설정하거나 혹은 그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와이어 쏘 리프터의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청구항 1).
게다가, 프로세싱 롤러 홀더 혹은 부품 홀더가 와이어 쏘 리프터의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어 그 정면에 위치하게 될 때, 프로세싱 롤러 홀더 또는 부품 홀더는 카트의 폴에 대해 높이 방향 및 수평 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경사도를 조절하여 레벨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싱 롤러 홀더 및 부품 홀더 각각의 위치 및 자세가 쉽게 조정될 수 있다(청구항 1).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가 일직선 상에 배열될 때,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의 전체 혹은 부분이 프로세싱 롤러 홀더 또는 부품 홀더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따라서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다. 게다가 프로세싱 롤러 홀더 또는 부품 홀더의 무게는 분산된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청구항 2).
제 1 후크 축이 제 1 후크 상에 걸리는 방식으로 제 1 후크 축이 제 1 후크와 맞물리므로, 와이어 쏘 리프터의 기능, 즉, 이동, 상승 및 하강 그리고 레벨링을 활용하여 제 1 후크 축은 제 1 후크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싱 롤러 홀더가 롤러 행어 쌍이 매달림 툴을 통해 브라켓 상에 매달려 브라켓 정면에 위치하게 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면, 롤러 행어에 의해 유지되는 롤러 행어의 자유도는 증가된다. 프로세싱 롤러는 매달린 상태로 유지되고 중력의 영향을 받으므로, 위치는 쉽게 조절된다. 게다가 프로세싱 롤러의 두 개의 끝 부분은 프레싱 레버 및 롤러 행어 쌍에 의해 신뢰가능하게 유지된다(청구항 3).
매달림 툴이 매달림 아이 볼트 및 아이 볼트를 통해 느슨하게 삽입되는 매달림 축으로 구성되면, 롤러 행어에 의해 유지되는 프로세싱 롤러는 전후 방향, 회전 방향 및 경사 방향에서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 그 결과, 무거운 프로세싱 롤러의 부착 및 제거 작업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청구항 4).
프레싱 레버가 수평 지지 포인트 축을 통해 롤러 행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롤러 행어 옆에 위치하고, 롤러 행어의 측면 표면상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프레싱 레버는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는 예기치 않게 폐쇄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세싱 롤러는 안전성의 측면에서 쉽게 부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고 따라서 작업 효율이 증가된다. 프로세싱 롤러가 프레싱 레버에 의해 가압되면, 프로세싱 롤러는 운송과정 동안 신뢰가능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프레싱 레버의 예기치 않은 개방으로 인해 프로세싱 롤러를 떨어뜨리는 사고 또는 그 유사 사고가 예방될 수 있고, 안전성의 측면에서 유익하다(청구항 5).
부품 홀더가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고 제 2 축을 제 2 후크 상에 연결한 결과 레벨링 유닛의 정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중심 롤러에 대한 리프터의 기능을 활용하여 부품 홀더는 제 2 후크에 부착되거나 제 2 후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포크 부재가 슬라이더에 의해 전후방 이동하므로, 부품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청구항 6).
상승 부재를 동반하는 상승 구동 디바이스는 폴의 높이로 인해 필요한 상승/하강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프로세싱 롤러 또는 부품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배터리, 상승 모터 및 전송 수단은 폴들 사이 혹은 폴들 근처에서 합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청구항 7).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는 수평 이동 부재를 수반하여, 프로세싱 롤러 또는 부품을 전송하고, 프로세싱 롤러의 부착 또는 제거, 또는 부품의 공급 또는 제거 과정에서 수평 이동 부재의 필요한 이동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프로세싱 롤러 또는 부품의 수평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수평 이동 부재의 위치 조절 이후, 조정된 위치가 수평 피드 스크류 축 및 수평 피드 너트의 스크류 쌍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수평 이동 부재는 조절 이후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청구항 8).
레벨링 유닛을 수반하는 레벨링 구동 디바이스를 통해,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을 회전 시키는 조작이 있을 때, 레벨링 유닛은 지지 축에 대해 스윙한다. 프로세싱 롤러 또는 부품이 와이어 쏘에 탑재되거나 내려지고, 공급될 때 또는 와이어 쏘로부터 제거될 때, 프로세싱 롤러 또는 부품의 기울어짐이 쉽게 수정될 수 있다. 게다가 수정된 위치는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 및 레벨링 피드 너트의 스크류 쌍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레벨링 유닛은 수정 이후에는 기울어지지 않는다(청구항 9).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싱 롤러를 운반하고 프로세싱 롤러를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에 부착하고 그로부터 제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을 운송하고 부품을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에 부착하고 그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리프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와이어 쏘 리프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와이어 쏘 리프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와이어 쏘 리프터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와이어 쏘 리프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싱 롤러 홀더가 부착된 와이어 쏘 리프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싱 롤러 홀더가 부착된 와이어 쏘 리프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싱 롤러 홀더가 부착된 와이어 쏘 리프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부품 홀더가 부착된 와이어 쏘 리프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부품 홀더가 부착된 와이어 쏘 리프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부품 홀더가 부착된 와이어 쏘 리프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 쏘 리프터에서 상승 부재를 수반하는 상승 구동 디바이스의 부분의 확대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 쏘 리프터에 상승 부재를 수반하는 상승 구동 디바이스의 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 쏘 리프터에서 수평 이동 부재를 수반하는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의 부분의 확대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 쏘 리프터에서 수평 이동 부재를 수반하는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의 부분의 확대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 쏘 리프터에서 레벨링 유닛을 수반하는 레벨링 구동 디바이스의 부분의 확대된 후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 쏘 리프터에서 레벨링 유닛을 수반하는 레벨링 구동 디바이스의 부분의 확대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7은 프로세싱 롤러 홀더가 장착된 상태의 스토리지 카트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부품 홀더가 장착된 상태의 스토리지 카트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서로에 대응되게 스토리지 카트와 와이어 쏘 리프터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프로세싱 롤러가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 쌍에 부착될 때, 중요 부분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 쏘 리프터(1)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며, 도 11 내지 도 16은 개별 유닛에 대한 특정 구조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쏘 리프터(1)는 상승 안내를 위한 한쌍의 폴(2)을 구비하는 카트(3), 상승 부재(4)에 의해 지지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수평 이동 부재(5) 및 수평 이동 부재(5)에 부착되어 그 정면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에서 스윙가능한 레벨링 유닛(6)으로 구성된다.
레벨링 유닛(6)은 레벨링 유닛(6)에 부착되어 레벨링 유닛(6)의 정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좌우) 제 1 후크(7) 및 한 쌍의 (좌우) 제 2 후크(8)로 구비된다. 제 1 후크(7)는 프로세싱 롤러 홀더(10) 수단에 의해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롤러(9)를 고정시키도록 제공된다. 제 2 후크(8)는 부품 홀더(11) 수단에 의해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대상으로서 부품(12)를 고정시키도록 제공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후크(7) 및 제 2 후크(8) 들이 일직선 상에서 배열된다. 일직선 상에서, 제 1 후크는 짧은 간격으로 서로 대항하고, 제 2 후크는 카트(3)의 폭에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대항한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롤러 홀더(10)는 탈착가능하게 레벨링 유닛(6)에 부착되어 프로세싱 롤러 홀더(10)의 제 1 후크 축(13)을 제 1 후크(7) 상에 연결한 결과 그 정면에 위치하고 제 1 후크 축(13)에 고정되는 브라켓(14)(예를 들면, T형), 매달림 툴(15)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중심에서 브라켓(4)의 정면 끝 부분상에 매달리고 프로세싱 롤러(9)의 (2 개의 각각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보스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좌우) 롤러 행어(16) 및 롤러 행어(16)에 의해 유지되고 프로세싱 롤러(9)의 (2 개의 각각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보스 부분을 가압하는 한쌍의 (좌우) 프레싱 레버(17)로 구성된다.
프로세싱 롤러 홀더(10)의 제 1 후크 축(13)이 제 1 후크(7) 상에 연결되면, 브라켓(14)의 바닥 부분이 스페이서(14a)를 통해 레벨링 유닛(6)의 정면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그로 인해 규정된 경사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후크 축(13)은 제 1 후크에서 떨어지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후크 형 스토퍼(39)가 각 제 1 후크의 주위에서 제공된다.
(좌우) 롤러 행어(16) 쌍은 복수의 링크 로드(3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링크 로드(38)가 링크 로드(38), 보조 브라켓(36)의 상부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어 거기에 부착된 매달림 바(37) 및 중심에서 매달림 바(37)에 부착되는 매달림 툴(15)에 고정된 (좌우) 보조 브라켓을 통해 T형 브라켓의 정면 끝 부분 상에 걸린다.
도시된 예에서, 매달림 툴(15)은 중심에서 매달림 바(37)에 부착되는 아이 볼트(15a) 및 아이 볼트(15a)를 통해 느슨하게 삽입되고 브라켓(14)의 정면 끝 부분에 고정되는 수평 매달림 축(15b)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롤러 행어(16)는 아이 볼트(15a) 및 매달림 축(15b)를 통해 중력 방향으로 매달리게 된다.
매달린 상태에서, 롤러 행어(16)는 자유롭게 전후 방향, 회전 방향 및 경사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턴 버클(42)이 브라켓(14) 과 링크 로드(38) 사이에서 스트레칭되고, 그에 따라 롤러 행어(16)의 전방 변위가 제한된다.
프레싱 레버(17)는 수평 지지 포인트 축(1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롤러 행어(16)에 부착되고 롤러 행어(16)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게 되며, 프레싱 레버(17)에 부착된 잠금 인덱스 플런저(40)에 의해 개방 위치 잠금 홀(41)로 또는 가압 위치 잠금 홀(41)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홀더(11)는 탈착 가능하게 레벨링 유닛(6)에 부착되어 부품 홀더(11)의 제 2 후크 축(19)을 제 2 후크(8) 상에 연결한 결과 레벨링 유닛(6)의 정면에 위치하고 수직 방향에서 제 2 후크 축(19)의 2개의 끝 부분 및 중앙 부분에 부착되는 한 쌍의 스테이(43), 스테이(43)의 정면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튀어나오는 한 쌍의 (좌우) 슬라이더 가이드(20), 슬라이더 가이드(20)의 쌍에 부착되어 그들 사이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에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21) 및 슬라이더(21)에 부착되어 부품(12)을 유지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포크 부재(22)로 구성된다.
슬라이더(21)는 슬라이더 핸들(45)을 구비하는 편평한 블록처럼 생겼으며, 예를 들어 좌우 끝 위치에서 부착되어 슬라이더(21) 및 슬라이더 가이드(20) 사이에 제공된 선형 가이드(44)에 의해 전후 방향에서 이동가능하다. 오일 팬(46)은 슬라이더(21) 아래에 부착되어 있다.
부품 홀더(11)의 제 2 후크 축(19)이 제 2 후크(8) 상에 걸려 연결되는 동안, 스테이(43)의 바닥 부분(실제, 자세 조절을 위한 복수의 조절 볼트의 팁)이 레벨링 유닛(6)의 정면 표면과 접촉해 있다. 제 2 후크 축(19)은 제 2 후크(8) 뿐만 아니라 제 2 후크 축(19)과 동일한 일직선상에 놓여진 제 1 후크(7)상에도 연결된다. 따라서, 부품 홀더(11)가 부품을 고정하면(12), 그 무게는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에 의해 분산 방식으로 지지된다. 제 1 후크(7) 및 제 2 후크(8)는 항상 동일한 일직선상에 배열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직선상에 각각 배열될 수도 있다.
다음, 와이어 쏘 리프터의 카트(3)는 단계적 조립이다, 즉, (좌우) 수직 폴(2) 쌍의 정면 측에 위치한 카트(3)의 부분은 낮고, 폴(2)의 후면 측에 위치한 카트(3)의 부분은 높다. 카트(3)는 견인 혹은 손으로 미는 형식이며, 방향이 고정된 휠(48)이 정면좌측 및 정면 우측 위치에서 제공되며, 캐스터(49)가 후면좌측 및 후면우측에서 제공되고, 후면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방향가변적인 범용 휠(51), 그리고 아래로 내려지는 운송 핸들(50)을 가진다. 핸드-푸쉬 핸들(53)은 폴(2)의 후방 표면에 각각 부착된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운송 핸들(50)은 핸들 축(5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카트(3)의 후방 부분에 부착되고, 항상 당김 스프링(52)에 의해 압박을 받아 직립하게 된다. 범용 휠(51)에 관해, 브레이크(55)가 페달(54) 조작에 의해 땅에 접촉하게 되면, 카트(3)의 움직임은 제동력에 의해 멈추게 된다. 카트(3)는 캐스터(49) 및 범용 휠(51) 중 하나 혹은 둘 다에 대해 구동 모터를 제공함으로서,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필요하다면, 복수의 위치설정 가이드 롤러(57)가 정면 중심 위치에서 카트(3)에 대해 제공되어, 좌우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대항하고, 전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위치 설정 가이드 롤러(57)는 프로세싱 롤러 홀더(10)가 장착되는(도 19 참조) 스탠드(59)를 구비하는 스토리지 카트(58) 아래에서 제공되는 위치설정 가이드(60)에 의해 안내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위치 설정 가이드(63)는 부품 홀더(11)가 장착되는 스탠드(62)를 가지는 스토리지 카트(61) 아래에 제공되고(도 19 참조), 또는 위치설정 가이드(72)가 카트(3)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64,65) 쌍 아래에서 바닥 표면 혹은 그 유사물 상에 제공된다(도 20 참조). 스토퍼(92,93 또는 94)는 위치설정 가이드(60, 63 또는 72) 사이에 위치하여 카트(3) 및 스토리지 카트(58 또는 61)가 시작을 위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위치까지 제한한다.
도 11 및 12는 상승 부재(4) 및 상승 부재(4)를 수반하는 상승 구동 디바이스(23)을 도시한다. 상승 부재(4)는 예를 들면, C 형 스틸 폴인 폴(2)들의 쌍 상이에 위치하며, 상부, 바닥, 좌 및 우 상승 가이드 롤러(73)의 작업을 통해 폴(2)을 따라 상승 되고 하강될 수 있게 제공된다. 상승 부재(4)는 상승 부재(4)를 수반하는 상승 구동 디바이스(2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구동된다.
상승 구동 디바이스(23)는 카트(3)에 장착된 배터리(24), 폴(2)을 연결하는 연결 판(74)의 후방 표면에 부착되는 상승 모터(25), 폴(2)의 쌍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스프로킷 휠(27), 스프로킷 휠(27) 상에 감긴 엔드리스(endless) 체인(26) 및 다른 구성 부품으로 구성된다. 체인(26)의 부분은 부착부(75)에 의해 상승 부재(4)에 연결된 연결 부분이다.
상승 모터(25)는 스피드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이며, 배터리(24)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상승 모터(25)의 출력 회전 스피드는 감소된다. 상승 모터(25)는 체인(26)을 상부 스프로킷 휠(27)을 회전시킴으로서 각 방향으로 구동하고, 체인(26)의 부착부(75)에 연결된 상승 부재(4)를 폴(2)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시킨다. 상기 구동을 위한 조작은 폴(2) 쌍들 사이의 카트(3)에 장착된 조작 패널(24a)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승 모터(25)에 통합된 스피드 감속기는, 원래의 스피드 감속 기능뿐만 아니라, 상승 부재(4)에 작용하는 무게에 기초한 역구동에 의한 체인(26) 및 스프로킷(27)의 회전을 예방함으로써 상승 부재(4)를 규정된 높이로 유지시키는 자동 멈춤 기능을 가진다. 상기 멈춤 기능은 상승 모터(25)의 빌트 인 스피드 감속기의 자동 멈춤 기능에 의지하는 대신, 제동 수단과 함께 상승 부재(25)를 수반하고, 제동 수단에 의해 상승 모터(25)의 멈춤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또한 실현될 수 있다.
상승 모터(25)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기술된 스프로킷 휠(27) 및 체인(26)은 상승 또는 하강 방향에서 상승 부재(4)를 구동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구성한다. 체인/스프로킷 휠 대신에, 전송 수단은 타이밍 벨트/타이밍 풀리(pully), 랙(rack)/피니언(pinion), 피드 스크류/피드 너트 등의 종류 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수평 이동 부재(5) 및 수평 이동 부재(5)를 수반하는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28)를 보여준다. 상승 부재(4)의 정면에서, 수평 이동 부재(5)는 상부, 바닥, 좌 및 우 가이드 롤러(76)의 작업을 통해 (상부 및 바닥) 병렬 가이드 레일(77, C 형 스틸 레일) 쌍을 따라 폴(2)에 수직한 방향으로(즉,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상승 부재(4)의 정면에서 위치하도록 지지된다. 가이드 레일(77)은 상승 부재(4)에 부착되어 그 정면에 위치한다. 수평 이동 부재(5)는 구평 이동 부재(5)를 수반하는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28)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구동된다.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28)는 상승 부재(4)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 이동 핸들(78)에 의해 조작가능한 수평 피드 스크류 축(29) 및 수평 이동 부재(5)에 부착되고 수평 피드 스크류 축(29)에 연결되어 스크류 쌍을 형성하는 수평 피드 너트(3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수평 이동 핸들(78)은 후방측에서 볼때 우측에 놓인다. 후방에 서 있는 작업자가 수평 이동 핸들(78)을 손쉽게 조작하기 위해, 기어 박스(79)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후방측을 향하게 된다. 수평 피드 너트(30)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결과로, 즉, 수평 피드 스크류 축(29)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수평 이동 핸들(78)의 회전은 기어 박스(79) 내부에 제공되는 사면 기어(80,81) 쌍을 통해 수평 이동 핸들(78)의 축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평 피드 스크류 축(29)으로 전달된다. 도 3 등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평 이동 길이는 수평 이동 부재(5)에 부착되는 이동 지시자(90)의 니들을 사용하여, 상승 부재(4)의 후방 측에 부착되는 이동 스케일(91)로부터 쉽게 판독된다.
도 15 및 16은 레벨링 유닛(6) 및 레벨링 유닛(6)을 수반하는 레벨링 구동 디바이스(31)를 도시한다. 레벨링 유닛(6)은 제 1 후크(7) 및 제 2 후크(8)(레벨링 유닛에 부착되어 그 정면에 위치하게 되는)를 스윙 가능하게 수평 이동 부재(5)에 부착하도록 제공된다. 레벨링 유닛(6)은 레벨이고 상부 중심 위치에서 수평 이동 부재(5)의 정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축(32)에 의해 스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 구조에서, 정면측에서 볼 때, 레벨링 유닛(6)은 수평 이동 부재(5)에 관해 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지지축(32)에 대해 스윙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벨링 유닛(6)을 수반하는 레벨링 구동 디바이스(31)에 의해 구동되어, 레벨링 유닛(6)은 레벨링 방향에서 자신의 경사 조절을 할 수 있다.
지지 축(32)은 수평 이동 부재(5)의 정면 표면의 상부 중심 부분에 고정되어, 슬립 타입, 예를 들면 레벨링 유닛(6)의 베어링 부분(82)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복수의 수용 롤러(83)가 레벨링 유닛(6) 및 수평 이동 부재(5)의 사이에 끼워진다. 스윙하는 동안 레벨링 유닛(6)의 바닥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수용 롤러(83)는 예를 들면 레벨링 유닛(6)의 후방 표면으로 고정되고, 그 결과 레벨링 유닛(6) 및 수평 이동 부재(5)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수용 롤러(83)의 축 선은 지지축(32)의 중심선을 가로지르도록 설정된다.
레벨링 구동 디바이스(31)는 수평 이동 부재(5)에 의해 지지되는 레벨링 핸들(84)에 의해 조작가능한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33) 및 레벨인 연결 축(34)을 통해 레벨링 유닛(6)에 부착되는 레벨링 피드 너트(35)로 구성된다. 레벨링 피드 너트(35)는 레벨링 유닛(6)의 연결 축(34)의 레벨 축의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며,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33)에 연결되어 스크류 쌍을 형성한다.
상기 예에서, 레벨링 핸들(84)은 후방측에서 볼 때 우측 편에 놓이게 된다. 후방 측에 서 있는 작업자가 레벨링 핸들(84)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수평 이동 핸들(78)의 아래쪽의 위치에서 기어 박스(85)에 부착되고 후방 측을 향하게 된다.레벨링 피드 너트(35)가 움직인 결과로서, 레벨링 핸들(78)의 회전은 기어 박스(85) 내에 제공되는 사면 기어(86,87) 쌍을 통해 레벨링 핸들(84)의 축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33)에 전달된다.
도 3, 4, 5 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지시자(88)가 레벨링 유닛(7)에 부착되고 각도 지시자(88)의 니들(needle)은 수평 이동 부재(5)의 기어박스(79)에 부착된 각도 스케일 판(89)의 스케일 상의 값을 가리킨다.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33)은 레벨링 핸들(84)의 조작 대신, 전용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다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롤러 홀더(10)가 스토리지 카트(58)의 스탠드(59)상에 장착되고(실제, 제 1 후크 축(13) 및 필요한 경우 제 1 후크 축(13) 아래에 제공되는 보조 제 1 후크 축(13a)이 스탠드(59) 상에 위치한다) 스톱 후크(59a)에 의해 잠긴다.
프로세싱 롤러(9)를 운반하고, 와이어 쏘에 통합시킬 때, 작업자는 도 1 내지 4의 와이어 쏘 리프터를 도 17의 스토리지 카트(58)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때, 도 17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와이어 쏘 리프터가 프로세싱 롤러 홀더(10)를 정확하게 마주하도록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위치설정 가이드(60)에 의해 안내받으면서, 위치설정 가이드 롤러(57)는 프로세싱 롤러 홀더(10)를 서로에 대응되게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마주하게 된다. 이 때, 와이어 쏘 리프터(1)가 와이어 쏘 리프터(1)의 카트(3)의 부분과 스토퍼(92)간의 접촉의 결과로 프로세싱 롤러 홀더(10)가 수용되는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그 때, 조작 패널(24a)을 조작하여 상승 모터(25)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는 낮은 위치에 위치한 상승 부재(4)를 상승시키고, 제 1 후크(7)의 상부 수용 부분이 프로세싱 롤러 홀더(10)의 제 1 후크 축(13)을 수용하도록 하고, 상승 부재(4)를 스탠드(59)를 넘는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와이어 소 리프터(1)를 와이어 쏘 리프터(1)의 프로세싱 롤러(9)를 수용하는 위치까지 후방 이동시킨다. 상기 조작의 결과로, 도 5 내지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롤러 홀더(10)가 와이어 쏘 리프터(1)상에 장착된다.
그 때, 작업자(10)는 프로세싱 롤러 홀더(10)를 가지는 와이어 쏘 리프터(1)를 와이어 쏘 리프터(1)의 프로세싱 롤러(9)를 수용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위치에서, 작업자는 롤러 행어(16)를 상승시키며, 롤러 행어(16)의 반원 호 모양의 상부 패드(16a)가 프로세싱 롤러(9)의 (2 개의 각각 끝 부분에 위치한)보스 부분을 지지하도록 하고, 프레싱 레버(17)를 낮추어서(폐쇄하여) 반원 호 형의 바닥 패드(17a)를 통해 가압하고, 인덱스 플런저를 잠금 홀(41)로 고정함으로써, 개방되지 않도록 프레싱 레버(17)를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롤러 행어(16)를 상승시키고 적절한 높이에서 정지시키며, 그 결과 프로세싱 롤러(9)가 매달리게 된다.
프로세싱 롤러(9)가 매달리는 동안, 기술한 바와 같이, 스피드 감속기를 구비한 상승 모터(25)의 자동 멈춤 기능으로 인해, 상승 부재(4)는 프로세싱 롤러(9)의 무게로 인해 하강하지 않는다.
그 때, 작업자는 와이어 쏘 리프터(1)의 카트(3)를 프로세싱 롤러(9)가 부착된 와이어 쏘에 가까운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승 모터(25)를 통합을 위한 높이까지 구동하여 프로세싱 롤러(9)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이동 프로세스에서, 턴 버클(42)이 프로세싱 롤러(9)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므로, 중력 중심의 비정상적 움직임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카트(3)는 안정적으로 움직인다.
도 20은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64,65)의 쌍들 사이에서 프로세싱 롤러(9)의 통합 절차를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와이어 쏘 리프터(1)의 카트(3)를 베어링 유닛(64,65)에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바닥 표면에서, 와이어 쏘의 기계 바닥, 또는 그 유사물들은 위치설정 가이드(72)의 쌍으로 형성되어, 위치 설정 가이드(72)에 의해 위치 제한되는 동안 복수의 위치설정 가이드 롤러(57)가 전방으로 안내된다(화살표 a로 표시됨). 그리고 카트(3)는 스토퍼(94)를 치면서 멈추게 된다. 따라서, 카트(3)는 작업자가 베어링 유닛(64,65) 쌍에 대해 일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로 안내되고, 거기서 멈춘다.
그 때, 작업자는 수평 방향에서 아래로 늘어뜨려 매달린 프로세싱 롤러를 밀고 베어링 유닛(64,65) 사이 공간으로 안내하여 그 축이 대략 서로 일치한다. 프로세싱 롤러(9)가 프로세싱 롤러 홀더(10) 상에 매달리므로, 프로세싱 롤러(9)는 수평 압력을 가함으로써 쉽게 안내될 수 있다.
와이어 쏘가 설치된 바닥 표면이 예를 들면 배출 경사 설정 때문에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카트(3)는 완전히 수직으로 직립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프로세싱 롤러(9)는 중력 위치에서 프로세싱 롤러 홀더(10)에 매달려 있고, 따라서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프로세싱 롤러(9)는 거의 기울어 지지 않는다.
그 때, 규정된 방향으로 수평 이동 핸들(78)을 회전시켜 수평 피드 스크류 축(29) 및 수평 피드 너트(30)의 스크류 작용을 통해 수평 이동 부재(5)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프로세싱 롤러(9)를 수평 방향, 즉, 중심 축의 방향에서(화살표 b로 표시됨) 이동시켜 작업자는 프로세싱 롤러(9)의 (하나의 끝에 위치한) 테이퍼드(tapered) 홀(66)을 마주하는 베어링 유닛(64)의 테이퍼드 축(67)에 맞춘다.
그 때, 베어링 유닛(65)을 프로세싱 롤러(9) 끼움 방향으로, 즉,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자는 깃 형상 베어링 유닛(65)의 테이퍼드 축(68)을 다른 보스의 테이퍼드 홀(66)로 끼운다. 그 결과, 프로세싱 롤러(9)는 테이퍼드 부분들 사이에서 끼워지므로 중심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베어링 유닛(64,65)의 쌍 사이에 끼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싱 롤러(9)를 베어링 유닛(64,65)의 쌍에 부착함에 있어서, 프로세싱 롤러(9)의 수평 위치 설정은 수평 이동 부재(5)를 수반하는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의 수평 이동 기능을 활용하여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야기되는 수평 이동 길이는 스케일판(91)상에서 이동 지시자(90)의 위치를 읽음으로써 판독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고정 볼트를 깃 형상 베어링 유닛(65)의 중심 축 홀(69)로 그리고 프로세싱 롤러(9)의 중심 홀(9a)로 삽입하고(화살표 d로 표시됨), 팁 수 스크류를 베어링 유닛(64)의 암 스크류(71)로 스크류하고, 그에 의해 프로세싱 롤러(9)를 베어링 유닛의 쌍에 의해 가압되는 방식으로 단단하게 고정한다. 상기 방식에서, 복수의 프로세싱 롤러(9)가 두 개의 베어링 유닛(64,65) 사이에 부착되고, 베어링 유닛(64,65)에 의해 구동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와이어 쏘 에 통합된다.
프로세싱 롤러(9)는 순서상 상기 작업에 대항하는 작업에 의해 와이어 쏘의 베어링 유닛 쌍(64,65)으로부터 제거된다. 프로세싱 롤러(9)를 통합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을 끝낸 이후, 작업자는 프로세싱 롤러 홀더(10)를 와이어 쏘 리프터(1)로부터 스토리지 카트(58)의 스탠드(59)로 회복시킨다.
다음, 프로세싱 롤러 홀더(10)를 대신하여 부품 홀더(11)를 와이어 쏘 리프터(1)에 부착하여, 와이어 쏘 리프터(1)는 부품(12)를 운반하고, 부품(12)을 와이어 쏘에 공급하고 또는 부품(12)을 와이어 쏘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홀더(11)는 스탠드(62) 및 수용암(62b) 상에 장착되고, 스톱 후크(62a)에 의해 고정된다.
작업자는 도 1 내지 4의 와이어 쏘 리프터를 도 18의 스토리지 카트(61)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키고, 와이어 쏘 리프터(1)를 와이어 쏘 리프터(1)를 정확하게 마주하도록 한다(도 18 및 19 참조). 그렇게 함으로써, 위치설정 가이드(63)에 의해 안내 받으면서, 위치설정 가이드 롤러(57)는 서로에 대하여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태로 부품 홀더(12)를 마주하게 된다. 이 때, 와이어 쏘 리프터는 와이어 쏘 리프터(1)의 카트(3)의 부분과 스토퍼(93)간의 접촉의 결과인 규정된 위치에 멈추게 된다.
그 때, 상승 구동 디바이스(23)을 조작하여 작업자는 제 2 후크를 상승시키고, 부품 홀더(11)의 제 2 후크 축(19)을 제 2 후크(8) 상에 연결하며, 그에 의해 부품 홀더(11)를 와이어 쏘 리프터(1)에 장착한다.
상기 장착 상태에서, 부품(12)은 와이어 쏘 리프터(1)에 의해 운반될 수 있고, 와이어 쏘에 공급되며, 또는 와이어 쏘로부터 제거된다. 작업자는 부품 홀더(11)가 카트(3)를 움직여 운반될 부품(12)을 마주하도록 하고, 부품 홀더(11)의 높이를 부품(12) 수용 높이로 조절한다. 그 때, 슬라이더 핸들(45)을 유지하면서 작업자는 포크 부재(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포크 부재(22)를 부품(12)에 고정되는 부재의 포크 삽입 홀(공간, 미도시)로 삽입한다. 그 때, 작업자는 상승 부재(4)를 상승시킴으로써, 포크 부재(22)를 통해 부품(12)을 들어올리고, 부품(12)을 와이어 쏘로 운반하고, 부품(12)을 레벨이 유지된 채로 부품 지지 디바이스(미도시)로 전달한다. 상기 방식으로, 부품(12)은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에서 컷팅 가능한 상태가 된다.
와이어 쏘가 장착된 바닥 표면이 배출 경사와 같은 기울어짐이 있다면, 와이어 쏘 리프터(1)의 폴(2)은 완벽하게 수직으로 직립되지는 않으며 즉, 부품(12)을 와이어 쏘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기울어진다. 부품(12)의 경사도가 수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레벨링 핸들(84)을 회전함으로써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35)을 회전시켜 레벨링 피드 너트(35)를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지지축(32)에 대해 레벨링 유닛(6)을 스윙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부품 홀더(11)와 함께 포크 부재(22)의 경사도를 수정하여 , 레벨이 설정되어 부품(12)과 함께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위치로 공급된다.
경사도를 수정함에 있어서, 부품(12)의 경사 방향은 각도 지시자(88) 및 각도 스케일 판(89)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부터 판단될 수 있고, 경사각도는 각도 스케일 판(89)의 스케일 상에서 각도 지시자(88)의 표시 위치를 판독하여 알 수 있다. 각도 지시자(88) 및 각도 스케일 판(89)은 시장에서 단순화된 레벨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세싱 롤러(9) 및 부품의 반입 및 운반 뿐만 아니라, 와이어 쏘의 작업, 유지 또는 조사에 필요한 툴과 구성 부품에 대한 반입 및 운반에도 사용된다.
1 : 와이어 쏘 리프터
2 : 폴
3 : 카트
4 : 상승 부재
5 : 수평 이동 부재
6 : 레벨링 유닛
7 : 제 1 후크
8 ; 제 2 후크
9 : 프로세싱 롤러 9a : 중심 홀
10 ; 프로세싱 롤러 홀더
11 : 부품 홀더
12 : 부품
13 : 제 1 후크 축 13a : 보조 후크 축
14 : 브라켓 14a : 스페이서
15 : 매달림 툴 15a : 아이 볼트 15b : 매달림 축
16 ; 롤러 행어 16a : 패드
17 : 프레싱 레버 17a ; 패드
18 : 지지 포인트 축
19 : 제 2 후크 축
20 : 슬라이더 가이드
21 : 슬라이더
22 : 포크 부재
23 : 상승 구동 디바이스
24 : 배터리 24a : 조작 패널
25 : 상승 모터
26 : 체인
27 : 스프로킷 휠
28 :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
29 : 수평 피드 스크류 축
30 : 수평 피드 너트
31 : 레벨링 구동 디바이스
32 : 지지 축
33 :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
34 ; 연결 축
35 : 레벨링 피드 너트
36 : 보조 브라켓
37 : 매달림 바
38 : 링크 로드
39 : 스토퍼
40 : 인덱스 플런저
41 : 잠금홀
42 : 턴 버클

Claims (9)

  1. 와이어 쏘 리프터로서,
    상승 가이드를 위한 폴을 구비하는 카트
    상기 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폴을 따라 상승 및 하강 가능한 상승 부재;
    상기 상승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수평 이동 부재;
    상기 수평 이동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수평 이동 부재의 정면에 위치하여 수평 방향에서 스윙가능한 레벨링 유닛;
    상기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레벨링 유닛의 정면에 위치하며 좌우 제 1 후크를 포함하는 제 1 후크 쌍;
    상기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레벨링 유닛의 정면에 위치하여 좌우 제 2 후크를 포함하는 제 2 후크 쌍;
    상기 제 1 후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와이어 쏘의 프로세싱 롤러를 고정하는 프로세싱 롤러 홀더; 및
    상기 제 2 후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와이어 쏘의 처리 대상인 부품을 고정하는 부품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 리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크 및 상기 제 2 후크는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 리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롤러 홀더는,
    제 1 후크 축을 상기 제 1 후크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레벨링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레벨링 유닛의 정면에 위치하게 되는 브라켓;
    매달림 툴을 통해 상기 브라켓 상에 매달리게 되어 상기 브라켓의 정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프로세싱 롤러의 2 개 끝 부분을 지지하는 롤러 행어 쌍; 및
    상기 롤러 행어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프로세싱 롤러의 2 개 끝 부분을 가압하는 프레싱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 리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림 툴은 매달림 아이 볼트 및 상기 매달림 아이 볼트를 통해 느슨하게 삽입되는 매달림 축을 포함하고, 그로 인해 상기 롤러 행어에 의해 유지되는 프로세싱 롤러가 전후 방향, 회전 방향 및 경사방향에서 자유롭게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 리프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레버는 수평 지지 포인트 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롤러 행어에 부착되어 상기 롤러 행어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고, 프레싱 레버는 상기 롤러 행어의 측면 표면 상에 잠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 리프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홀더는,
    제 2 후크 축을 상기 제 2 후크 상에 연결하여 상기 레벨링 유닛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레벨링 유닛의 정면에 위치하게 되는 슬라이더 가이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 부착되어 전후 방향에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부착되어 부품을 고정하는 포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 리프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부재를 수반하는 상승 구동 디바이스는,
    상기 카트 상에 장착되는 배터리;
    상기 폴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상승 모터;및
    상기 폴의 상부 및 바닥 위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상승 모터에 의해 구동 될 때 상기 폴을 따라 상기 상승 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 리프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 이동 부재를 수반하는 수평 이동 구동 디바이스는,
    상기 상승 부재에 부착되어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수평 피드 스크류 축; 및
    상기 수평 이동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수평 피드 스크류 축에 연결되어 스크류 쌍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 이동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피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 리프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유닛을 수반하는 상기 레벨링 구동 디바이스는,
    상기 수평 이동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레벨링 유닛을 지지하여 상기 레벨링 유닛이 수평 방향에서 스윙 가능하게 하는 지지 축;
    상기 수평 이동 부재에 부착되어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 및
    레벨인 연결 축을 통해 상기 레벨링 유닛에 부착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벨링 피드 스크류 축에 연결되어 스크류 쌍을 형성하는 레벨링 피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 리프터.
KR1020137002592A 2011-03-28 2012-02-27 와이어 쏘 리프터 KR101257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69764A JP5041613B1 (ja) 2011-03-28 2011-03-28 ワイヤソー用リフター
JPJP-P-2011-069764 2011-03-28
PCT/JP2012/054704 WO2012132695A1 (ja) 2011-03-28 2012-02-27 ワイヤソー用リフ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562A true KR20130027562A (ko) 2013-03-15
KR101257649B1 KR101257649B1 (ko) 2013-05-07

Family

ID=4693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592A KR101257649B1 (ko) 2011-03-28 2012-02-27 와이어 쏘 리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041613B1 (ko)
KR (1) KR101257649B1 (ko)
CN (1) CN103068716B (ko)
MY (1) MY162409A (ko)
TW (1) TWI394623B (ko)
WO (1) WO2012132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2869A (zh) * 2018-05-21 2019-11-29 王四兵 新型多功能切墙钻孔开槽及材料提升一体机
CN109019165B (zh) * 2018-08-07 2020-10-27 新昌县联航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力施工用放线机用便捷型上料机
CN110400984B (zh) * 2019-07-16 2024-03-22 重庆能源职业学院 新能源汽车电池系统火烧试验系统及试验方法
CN114227620B (zh) * 2021-11-26 2024-01-23 燕山大学 用于工件对接的六自由度末端安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151Y2 (ko) * 1986-10-30 1991-10-15
JPH0635107B2 (ja) * 1987-12-26 1994-05-11 株式会社タカトリハイテック ワイヤソー
JP3413769B2 (ja) * 1994-03-31 2003-06-09 株式会社日平トヤマ ワーク搬出入装置
JP3790580B2 (ja) * 1996-07-02 2006-06-28 三井造船株式会社 鉄道車輪輪軸搬送ロボット
JP4066112B2 (ja) * 1999-01-28 2008-03-26 株式会社スーパーシリコン研究所 ワイヤソーの制御方法及びワイヤソー
JP2002283209A (ja) * 2001-03-26 2002-10-03 Nippei Toyama Corp ワイヤソーのローラ搬送具
TWM271640U (en) * 2005-01-24 2005-08-01 Ching Hung Machinery & Electri Oblique body structure of CNC wire cutting machine
JP4901550B2 (ja) * 2007-03-30 2012-03-21 トーヨーエイテック株式会社 ワイヤソー
JP4825867B2 (ja) * 2008-12-25 2011-11-30 コマツNtc株式会社 ワイヤソーシステム
JP4859257B2 (ja) * 2009-03-10 2012-01-25 コマツNtc株式会社 メインローラ用リフ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2695A1 (ja) 2012-10-04
TWI394623B (zh) 2013-05-01
CN103068716B (zh) 2014-08-13
JP2012201479A (ja) 2012-10-22
KR101257649B1 (ko) 2013-05-07
CN103068716A (zh) 2013-04-24
TW201247347A (en) 2012-12-01
JP5041613B1 (ja) 2012-10-03
MY162409A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9257B2 (ja) メインローラ用リフタ
JP2010208790A5 (ko)
KR101257649B1 (ko) 와이어 쏘 리프터
US11273716B2 (en) Electric work vehicle
EP2960183A1 (en) Stacker cra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201185577Y (zh) 砍蕉机械辅助装置
CN212024600U (zh) 一种大型齿轮加工用换刀吊具
EP2500312A1 (en) Heavy load cassette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method
CN212559345U (zh) 一种高温合金浇铸工艺用多功能电动提升装置
JP2008247107A (ja) スペアタイヤ移載装置
CN210340233U (zh) 一种工件托运装置
KR101554110B1 (ko) 컨베이어 벨트의 리턴 아이들러 롤러 교환장치
CN113213379A (zh) 一种机械自动化生产用升降平台
CN114082944B (zh) 一种大重量工件排蜡用辅助装置
CN217264581U (zh) 一种机电安装用升降安装架
CN214360084U (zh) 一种物流仓储用托举装置
JPH0889041A (ja) 根菜収穫機
CN220885713U (zh) 一种链条输送机
CN218965443U (zh) 一种铜丝锭快速抓取旋转机械臂
CN211572797U (zh) 树状升降旋转伸缩式立体车库的挂座式停靠结构
CN214236930U (zh) 一种优化插销机构的车厢底板翻转机
CN218202078U (zh) 移动装置及操作平台
CN114229737B (zh) 一种物料升降料架
CN213135201U (zh) 一种铣刀定位架
CN211198525U (zh) 一种建筑工程机械维修工作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