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122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122A
KR20130018122A KR1020120081732A KR20120081732A KR20130018122A KR 20130018122 A KR20130018122 A KR 20130018122A KR 1020120081732 A KR1020120081732 A KR 1020120081732A KR 20120081732 A KR20120081732 A KR 20120081732A KR 20130018122 A KR20130018122 A KR 20130018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ecu
pronunciation
control mean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810B1 (ko
Inventor
나오키 다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3001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에 발음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는 개조를 미연에 방지하여 발음 장치 본래의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램프 유닛(2)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램프 제어 수단(3)과, 구동되었을 때에 해당 램프로부터 경보음을 발음하는 발음 장치(5)와, 발음 장치(5)를 제어하는 발음 제어 수단(4)을 구비하고 있고, 램프 제어 수단(3)은 발음 제어 수단(4)에 개조가 가해져, 발음 제어 수단(4)에 이어지는 전원선(VW), 제어선(CW), 구동선(MW)이 절단되는 등의 정상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 램프 제어 수단(3) 자신의 정상 동작을 불능하게 하여 램프 유닛(2)이 정상 점등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VEHICULAR LAMP}
본 발명은 타차량이나 보행자에 대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음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차나 전기자동차와 같이 모터를 주행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에서는, 저속시에서의 모터음이 정숙하여 타차량이나 보행자가 자차량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차량의 존재를 통지할 수 없는 것이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모터음과는 별도의 소리, 예컨대 유사 엔진음을 발생시켜, 이 유사 엔진음을 타차량이나 보행자에 대한 경보음으로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차량에 발음 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발음 장치로부터 경보음으로서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에 진동자를 배치하고, 제어된 원하는 타이밍에 진동자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을 진동시켜, 이 진동에 따라 발음시키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의 하나로서 헤드라이트 커버를 들 수 있고, 이 헤드라이트 커버를 진동자에 의해 진동시켜 발음 장치에서의 스피커의 일부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645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8380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발음 장치는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스위치 조작을 잊은 경우, 또는 의도적으로 스위치 조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발음 장치를 설치한 의의를 잃게 된다. 특허문헌 2의 발음 장치에서는 자동적으로 진동자가 진동하여 헤드라이트 커버를 진동시키기 때문에 경보음은 확실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진동자에 이어지는 배선의 접속을 해제하는 등의 개조를 하면 진동자가 진동되지 않게 되어,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운전자가 저속 주행시에 발생하는 경보음을 성가시다고 느꼈을 때에, 이 운전자가 이러한 개조를 하면, 필요할 때에 음성 발생 장치로부터 경보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발음 장치를 설치한 의의를 잃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를 진동시켜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한 발음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개조를 미연에 방지하여 발음 장치의 본래의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램프로서, 이 램프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램프 제어 수단과, 램프에 설치되어 구동되었을 때에 이 램프로부터 경보음을 발음하는 발음 장치와, 발음 장치를 제어하는 발음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램프 제어 수단은 발음 제어 수단이 정상 동작하지 않을 때에 자신의 정상 동작을 불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음 제어 수단이 정상 동작하지 않을 때에 램프 제어 수단이 자신의 정상 동작을 불능하게 하기 위한 제1 형태로서, 램프 제어 수단과 발음 제어 수단은 일체로 패키지화되고, 양 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각 전원선과 양 제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각 제어선이 각각 공통선으로서 상기 패키지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2 형태로서, 발음 제어 수단은 자신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램프 제어 수단은 발음 제어 수단의 이상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지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음 장치에서의 발음을 없애기 위해 발음 장치에 대하여 개조가 가해졌을 때에는, 이것에 따라 램프 제어 수단에서의 정상 동작이 불능 상태로 되고, 램프가 점등하지 않게 되는 등의 상태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발음 장치에 대한 개조가 미연에 방지되게 되고, 발음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이 확보되어, 차량의 안전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헤드램프의 종단면도.
도 2는 전자 진동자(발음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블록 회로도.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헤드램프의 종단면도.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블록 회로도.
(제1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자동차의 헤드램프(HL)에 적용한 제1 실시형태의 종단면도이다. 전면(前面)을 개구한 용기형 램프 보디(11)와, 이 램프 보디(11)의 전면 개구에 부착된 광 투과성 수지를 포함하는 전면 커버(12)로 램프 하우징(1)이 구성되어 있다. 이 램프 하우징(1) 내에는 광원을 포함하는 램프 유닛(2)이 내장되어 있고, 점등했을 때에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전면 커버를 투과하여 전방에 조사한다. 이 램프 유닛(2)은, 여기서는 로우빔 배광으로의 광 조사를 행하는 프로젝터형의 램프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회전 타원면을 기초로 한 리플렉터(22)와, 이 리플렉터(22) 내에 배치된 광원(21), 예컨대 LED(발광 다이오드)와, 리플렉터(22)에 의해 반사된 광원(21)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조사하는 조사 렌즈(23)와, 이들 광원(21), 리플렉터(22), 조사 렌즈(23)를 일체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유닛(2)은 램프 ECU(ECU: 전자 제어 유닛)(3)에 의해 점등·소등 등의 소위 램프 점등 상태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램프 유닛(2)을 스위블 제어(수평 방향의 제어) 또는 레벨링 제어(수직 방향의 제어)하기 위한 스위블 장치나 레벨링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헤드램프의 경우에는, 상기 램프 ECU(3)는 이들 스위블 장치나 레벨링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자동차의 이그니션 키를 온으로 했다면 자동적으로 점등하고 또는 구동하는 램프, 예컨대 DRL(Day Time Running Lamp)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램프 하우징(1) 내에는, 헤드램프(HL)의 정면으로부터 전면 커버(12)를 투과하여 봤을 때에 상기 램프 하우징(1) 내의 불필요한 노현(露見)을 방지하여 외관상의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유사 리플렉터(익스텐션)(13)도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12) 내면의 일부에는, 이 익스텐션(13)에 의해 외부로부터 노현되지 않는 위치에 발음 장치(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발음 장치(5)는, 여기서는 전자 진동자로 구성되어 있어, 통전되었을 때의 전자 작용에 의해 자신이 진동하고, 이것과 일체로 상기 전면 커버(12)를 진동시키며, 이 전면 커버(12)를 발음판으로서 기능시켜 원하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전자 진동자(5)는 발음 ECU(4)에 의해 진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진동자(5)는 원통 용기형을 한 보디(51)의 내부에 배치한 통형상 코어(51a)의 주위에 구동 코일(52)을 감고 있다. 또한, 보디(51)의 개구부에 원환판형을 한 스프링판(53)의 외주연부를 부착하고, 이 스프링판(53)의 내주연부에 진동판(54)을 부착하고 있다. 이 진동판(54)의 내면에는 상기 통형상 코어(51a)의 통 안, 즉 구동 코일(52) 내에 진입 배치된 원기둥형의 마그넷(영구 자석)(55)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이 전자 진동자(5)는 구동 코일(52)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구동 코일(52)에 의해 생기는 교번 자계와 마그넷(55)의 자계로 마그넷(55)이 통형상 코어(51a)의 통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이것과 일체의 진동판(54)은 스프링판(53)을 휘게 하면서 판 두께 방향으로 왕복 이동, 즉 진동되는 것이다. 이 마그넷(55) 및 진동판(54)의 진동은 보디(51)를 통해 전면 커버(12)에 전달되고, 전면 커버(12)가 진동하여 발음된다.
도 3은 상기 램프 유닛(2), 전자 진동자(5), 램프 ECU(3) 및 발음 ECU(4)를 포함하는 블록 회로도이며, 여기서는 램프 ECU(3)와 발음 ECU(4)를 하나의 복합 ECU(6)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램프 ECU(3)와 발음 ECU(4)를 하나의 회로 기판에 구축하고, 이 회로 기판 전체를 일체적으로 패키징하여 복합 ECU(6)로서 구성한다. 또는 램프 ECU(3)와 발음 ECU(4)는 각각 별도의 회로 기판에 구축하지만, 양 회로 기판을 일체적으로 패키징하여 복합 ECU(6)로 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라도 이 패키징은 예컨대 수지 몰드 등과 같이 용이하게 분해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하고, 적어도 발음 ECU(4)의 회로 기판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 배선의 절단이나 회로의 변경 등의 소위 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기 복합 ECU(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하우징(1) 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램프 유닛(2)과 전자 진동자(5)에 각각 구동선(MW)을 통해 전기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합 ECU(6)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ECU(3)와 발음 ECU(4)에 공통의 공통 전원선(VW)과 공통 제어선(CW)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 공통 전원선(VW)과 공통 제어선(CW)은 상기 램프 하우징(1)의 램프 보디(11)에 형성한 전선 삽통 구멍(14)에 삽통된 후에 차량에 설치한 메인 ECU(7)에 접속되어 있다. 이 메인 ECU(7)에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각종 스위치(S1)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S2)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 스위치(S1)의 전환 상태나 각종 센서(S2)의 검출 출력에 의해 상기 램프 ECU(3)와 발음 ECU(4)에 대한 전력이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램프 ECU(3)에 대해서는 공통 전원선(VW)을 통해 램프 유닛(2)을 점등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고, 공통 제어선(CW)을 통해 점등 스위치의 온에 의해 램프 유닛(2)을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발음 ECU(4)에 대해서는 공통 전원선(VW)과 공통 제어선(CW)을 통해 차량의 저속 주행을 검출한 차속 센서의 검출 출력에 의해 발음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과 발음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공통 전원선(VW)은 소정의 전압을 전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공통 제어선(CW)은 램프 제어 신호와 발음 제어 신호를 다중화한 제어 신호로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ECU(6)에서는 상기 램프 ECU(3)는 램프 유닛(2)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램프 제어 회로(31)를 구비하고, 상기 발음 ECU(4)는 전자 진동자(5)를 발음 제어하기 위한 발음 제어 회로(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램프 ECU(3)와 발음 ECU(4)는 각각 전압 변환 회로(32, 42)를 구비하고 있고, 각 전압 변환 회로(32, 42)는 공통 전원선(VW)으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각각 램프 점등, 전자 진동자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 경우, 예컨대 램프 점등 전압과 전자 진동자 구동 전압이 같은 경우에는 램프 ECU(3)와 발음 ECU(4)의 각 전압 변환 회로(32, 42)는 생략하여도 좋다. 또는, 램프 점등 전압과 전자 진동자 구동 전압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된 전압과 다른 경우에는, 다른 측의 ECU에만 전압 변환 회로를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램프 ECU(3)와 발음 ECU(4)는 각각 신호 분리 회로(33, 43)를 구비하고 있고, 각 신호 분리 회로(33, 43)는 공통 제어선(CW)으로부터 입력된 다중화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각각 램프 점등, 전자 진동자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 즉 램프 제어 신호와 발음 제어 신호로 분리한다.
이 제1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메인 ECU(7)로부터 공통 전원선(VW)을 통해 복합 ECU(6)에 공급된 전력은, 램프 ECU(3)와 발음 ECU(4)의 각 전압 변환 회로(32, 42)에서 각각 램프 점등과 전자 진동자 구동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된다. 또한, 메인 ECU(7)로부터 공통 제어선(CW)을 통해 복합 ECU(6)에 공급된 다중화된 제어 신호는, 램프 ECU(3)와 발음 ECU(4)의 각 신호 분리 회로(33, 43)에서 각각 램프 점등과 전자 진동자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로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메인 ECU(7)로부터 램프 점등을 위한 제어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는, 램프 ECU(3)는 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공급된 전력을 램프 유닛(2)에 공급하여 램프 유닛(2)을 점등시킨다. 이때 스위블 장치나 레벨링 장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DRL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인 ECU(7)로부터 전자 진동자(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는, 발음 ECU(4)는 이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을 전자 진동자(5)에 공급하며, 전자 진동자(5)를 진동시키고 전면 커버(12)를 일체적으로 진동시켜 발음시키며, 이 발음에 의해 경보를 행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운전자 등이 전자 진동자(5)에 의한 발음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개조를 행하고자 한 경우, 복합 ECU(6)는 램프 하우징(1)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래대로의 상태에서는 복합 ECU(6)로부터 전자 진동자(5)로 이어지는 구동선(MW)을 절단할 수는 없다. 이 구동선(MW)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램프 하우징(1)을 파괴해야 하여, 헤드램프(HL)를 파괴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램프 보디(11)는 백 커버(11a)를 구비한 구성이지만, 이 백 커버(11a)는 딜러 등 이외의 사람이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구동선(MW)을 절단하는 대신에 복합 ECU(6)와 메인 ECU(7)를 접속하고 있는 공통 전원선(VW)과 공통 제어선(CW) 중 어느 하나를 절단한 경우에는, 발음 ECU(4)에의 전력과 제어 신호의 공급이 정지되어 전자 진동자(5)의 구동이 정지되고, 발음이 정지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에는 공통 전원선(VW)과 공통 제어선(CW)이 절단되는 것과 동시에 램프 ECU(3)에의 전력과 제어 신호의 공급도 정지되기 때문에, 램프 유닛(2)에서의 점등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 등이 발음 장치의 발음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개조를 했을 때에는, 헤드램프(HL)가 정상적으로 점등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운전자 등이 발음을 정지하기 위한 개조를 하는 것은 미연에 방지된다. 따라서, 발음 장치(5)에 의한 정상적인 발음 동작이 실행되어, 차량의 안전 주행이 확보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램프 ECU(3)와 발음 ECU(4) 각각에 전압 변환 회로(32, 42)와 신호 분리 회로(33, 43)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전압 변환 회로와 신호 분리 회로를 각 ECU(3, 4)와는 독립된 회로로서 구성하고, 변환된 전압이나 분기된 제어 신호를 램프 ECU(3)와 발음 ECU(4)에 각각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램프 ECU(3)와 발음 ECU(4)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압 변환 회로와 신호 분리 회로를 독립된 회로로서 구성한 경우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들 회로를 램프 ECU(3)나 발음 ECU(4)와 함께 일체적으로 패키징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복합 ECU(6)를 램프 하우징(1) 내에 배치했지만 램프 하우징(1)의 외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단, 이 경우에는, 복합 ECU(6)와 발음 장치(전자 진동자)(5)를 접속하는 구동선(MW)이 용이하게 절단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예컨대 복합 ECU(6)를 램프 보디(11)로부터 제거할 수 없도록 램프 보디(11)에 대하여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구동선(MW)이 램프 하우징(1)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는 램프 ECU와 발음 ECU를 복합 ECU로서 일체화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예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헤드램프(HL)의 종단면도이고,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램프 ECU(3)와 발음 ECU(4)는 각각 개별적인 ECU로서 구성되고, 각 ECU(3, 4)는 램프 하우징(1)의 내부 또는 외부, 여기서는 램프 보디(11)의 하면에 각각 지지 브래킷(1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각 ECU(3, 4)는 램프 보디(11)를 관통한 구동선(MW)을 통해 램프 유닛(2)과 전자 진동자(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편 각 ECU(3, 4)는 개별적인 전원선(VW)과 제어선(CW)을 통해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의 메인 ECU(7)에 접속되어 있다. 즉, 램프 ECU(3)와 발음 ECU(4)는 각각 개별적으로 전원선(VW)에 의해 메인 ECU(7)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제어선(CW)에 의해 메인 ECU(7)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램프 ECU(3)는 메인 ECU(7)로부터의 전력과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램프 유닛(2)을 점등한다. 또한, 발음 ECU(4)는 메인 ECU(7)로부터의 전력과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진동자(5)를 구동하여 발음 동작시킨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블록 회로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음 ECU(4)는 이상 검출 회로(44)를 구비하고 이상 검출선(EW)에 의해 상기 램프 ECU(3)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이 이상 검출 회로(44)는, 상기 전원선(VW), 제어선(CW), 구동선(MW)의 단선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예컨대 전원선(VW), 제어선(CW), 구동선(MW)의 전위를 항상 감시하고, 각 선이 절단되었을 때의 전위의 변화를 검출하여 해당 선의 절단을 검출하며, 이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원선(VW), 제어선(CW), 구동선(MW)의 각 선에 콘덴서를 병렬 접속하고, 해당 선이 절단되었을 때의 콘덴서의 자연 방전에 수반되는 양단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절단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램프 ECU(3)는 램프 유닛(2)의 점등을 정지하기 위한 제어 정지 회로(34)를 구비하고 있고, 발음 ECU(4)의 이상 검출 회로(44)로부터 이상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램프 ECU(3)의 램프 제어 회로(31)가 이 램프 유닛의 점등 제어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램프 제어 회로(31)는 이상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램프 유닛(2)을 점등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 제2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메인 ECU(7)로부터 전원선(VW)을 통해 램프 ECU(3)에 공급된 전력과, 제어선(CW)을 통해 램프 ECU(3)에 입력된 제어 신호로 램프 ECU(3)는 램프 유닛(2)을 점등시킨다. 이때 스위블 장치나 레벨링 장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DRL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인 ECU(7)로부터 전원선(VW)을 통해 발음 ECU(4)에 공급된 전력과, 제어선(CW)을 통해 발음 ECU(4)에 입력된 제어 신호로 발음 ECU(4)는 전자 진동자(5)를 구동하여 발음시키고, 이 발음에 의해 경보를 행하는 것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한편, 운전자 등이 발음 장치에서의 발음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개조를 행한 경우, 즉 발음 ECU(4)에 이어지는 전원선(VW), 제어선(CW), 구동선(MW) 중 어느 하나를 절단하면, 이 절단은 발음 ECU(4) 내의 이상 검출 회로(44)에서 검출되고, 이상 신호가 램프 ECU(3)에 출력된다. 이 때문에 램프 ECU(3)는 램프 제어 회로(31)에서 이상 신호에 기초하여 램프 유닛(2)의 점등 제어를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발음 장치(5)에 의한 발음이 정지되게 되지만, 만약에 이러한 개조를 행한 경우에는, 야간 주행시에서 헤드램프(HL)의 점등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운전자가 이러한 개조를 행하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발음 ECU(4)에 이어지는 배선 중 어느 것을 절단하여도 헤드램프의 점등이 불가능해지지만,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발음 ECU(4)와 전자 진동자(5)를 접속하는 구동선(MW)을 물리적으로 절단할 수 없도록 하면, 발음 ECU(4)에 설치하는 이상 검출 회로(44)는 전원선(VW)과 제어선(CW)의 절단만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면 되기 때문에, 이상 검출 회로(44)를 간략화하고, 더 나아가서는 발음 ECU(4)의 구성을 간략화하는 데에 있어서 유리해진다. 또한, 발음 ECU(4)의 이상 검출 회로(44)로부터 램프 ECU(3)의 제어 정지 회로(34)에 상시 소정의 전류, 전압을 공급하도록 해두면, 이상 검출선(EW)이 절단된 경우에도 제어 정지 회로(34)가 램프 제어 회로(31)의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상 검출 회로(44)는, 소정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 진동자(5)에서 미리 설정한 레벨에서의 진동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도 이상으로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어떠한 방법에 의해 전자 진동자(5) 자체가 개조되어 경보음을 작게 하는 개조가 행해진 경우에, 이상 검출 회로(44)에서 제어 신호에 대응한 소정 음량으로의 발음이 행해지지 않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이러한 종류의 개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헤드램프, 특히 헤드램프의 로우빔 배광의 램프 유닛에 적용하고 있지만 하이빔 배광의 램프 유닛에 적용하여도 좋고, 또는 헤드램프 이외의 조명용 램프나 리어 램프나 그 외의 표식용 램프여도 좋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발음 장치를 장비한 램프이면 적용할 수 있다. 즉, 발음 장치가 개조되었을 때에 점등 상태가 변화됨으로써 차량의 정상적인 주행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램프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발음 장치는 실시형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자 진동하는 전자 진동자를 진동자로서 이용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왜 소자를 진동자로서 이용한 발음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램프를 이용하여 발음을 행하는 구성의 장치여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발음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램프에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램프 하우징 2: 램프 유닛
3: 램프 ECU 4: 발음 ECU
5: 전자 진동자(발음 장치) 6: 복합 ECU
7: 메인 ECU 11: 램프 보디
12: 전면 커버 13: 익스텐션(유사 리플렉터)
21: 광원(LED) 22: 리플렉터
23: 조사 렌즈 31: 램프 제어 회로
32: 전압 변환 회로 33: 신호 분리 회로
34: 제어 정지 회로 41: 발음 제어 회로
42: 전압 변환 회로 43: 신호 분리 회로
44: 이상 검출 회로 51: 보디
52: 구동 코일 53: 스프링판
54: 진동판 55: 마그넷
VW: 전원선 CW: 제어선
MW: 구동선 EW: 이상 검출선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된 램프로서, 이 램프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램프 제어 수단과, 상기 램프에 설치되어 구동되었을 때에 상기 램프로부터 경보음을 발음하는 발음 장치와, 상기 발음 장치를 제어하는 발음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제어 수단은 상기 발음 제어 수단이 정상 동작하지 않을 때에 자신의 정상 동작을 불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 수단과 상기 발음 제어 수단은 일체로 패키지화되고, 양 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각 전원선과 양 제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각 제어선이 각각 공통선으로서 상기 패키지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제어 수단은 자신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제어 수단은 상기 발음 제어 수단의 이상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장치는 전자(電磁) 작용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전자 진동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20081732A 2011-08-10 2012-07-26 차량용 램프 KR101429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4681 2011-08-10
JP2011174681A JP5758737B2 (ja) 2011-08-10 2011-08-10 車両用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122A true KR20130018122A (ko) 2013-02-20
KR101429810B1 KR101429810B1 (ko) 2014-08-18

Family

ID=4767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732A KR101429810B1 (ko) 2011-08-10 2012-07-26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0026B2 (ko)
JP (1) JP5758737B2 (ko)
KR (1) KR101429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4400A1 (fr) * 2013-04-16 2014-10-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equipe d'un avertisseur sonore
ES1137559Y (es) * 2015-03-02 2015-06-09 Galvez José Luis Pardo Avisador de seguridad para vehículos eléctricos
FR3036771B1 (fr) * 2015-05-26 2021-05-07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US11313150B1 (en) * 2019-10-30 2022-04-26 Elie Ribacoff Magnetic lock release indicator / power failure indicator
WO2022210601A1 (ja) * 2021-03-30 2022-10-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接近通報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9549U (ja) * 1983-01-14 1984-07-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の後退警告装置
JP2004136831A (ja) * 2002-10-21 2004-05-13 Takumakkusu:Kk 音響発生装置および自動車
KR100504661B1 (ko) * 2003-03-11 2005-08-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혼 스위치 연동형 헤드램프 장치
KR100514820B1 (ko) * 2003-04-09 2005-09-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점등 확인장치
JP4316397B2 (ja) * 2004-02-09 2009-08-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擬似音発生装置、車両、擬似音発生方法および擬似音発生プログラム
KR20040080398A (ko) * 2004-08-03 2004-09-18 권대웅 신광원과 마이크로웨이브센서모듈을 이용한 후방감지등 인터페이스
JP2007283809A (ja) 2006-04-13 2007-11-01 Anden 車両周辺に対して警報を発する警報音発生装置
JP2010186456A (ja) 2009-02-11 2010-08-26 Saito Seisakusho:Kk 電気自動車の運転音および警報の発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35482A (ja) 2013-02-21
JP5758737B2 (ja) 2015-08-05
US20130038445A1 (en) 2013-02-14
US8730026B2 (en) 2014-05-20
KR101429810B1 (ko) 201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810B1 (ko) 차량용 램프
JP6494133B2 (ja) 車両ハンドル支援モジュール
JP2013241156A (ja) 車両用灯具
US9457710B2 (en) Operation-sound generator
JP2011183979A (ja) 車両用発音装置
JP2021513479A (ja) 乗り物用の搭載型の警報音装置及び機器
KR101435332B1 (ko) 차량용 등기구
US9121560B2 (en) Motor vehicle
JP2007001437A (ja) 車両の後側方障害物警報システム
KR20140071084A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장치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WO2022210601A1 (ja) 車両接近通報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KR100514820B1 (ko) 차량의 램프 점등 확인장치
JP3236753U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ーカメラ警告ライト
JPH11334469A (ja) 方向指示表示音発生装置
JP3153788U (ja) 自動車用警音発生装置
JP5437733B2 (ja) 発音体駆動装置
JP3099419U (ja) 車載用照明装置
JP2007176390A (ja) 自転車用保安装置
KR200418317Y1 (ko) 차량의 경고 장치
KR200352271Y1 (ko) 자동차의 미등 켜짐 경보장치
KR20160134196A (ko) 주문형 반도체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 램프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2023146706A (ja) 灯具
KR20230126603A (ko) 차량의 헤드라이트 미작동 경고음 발생장치
KR19990033589A (ko) 핸드 브레이크 작동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