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317Y1 - 차량의 경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경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317Y1
KR200418317Y1 KR2020060007175U KR20060007175U KR200418317Y1 KR 200418317 Y1 KR200418317 Y1 KR 200418317Y1 KR 2020060007175 U KR2020060007175 U KR 2020060007175U KR 20060007175 U KR20060007175 U KR 20060007175U KR 200418317 Y1 KR200418317 Y1 KR 200418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uplight
signal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욱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7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3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3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음기와, 차량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빛을 점멸되게 조사하여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상향등과, 경음기 및 상향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연동스위치와, 연동스위치의 온 신호를 입력받아 경음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음신호와 상향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된 경음신호를 입력받아 경음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경음기를 구동시키는 경음기 릴레이와, 제어부에서 출력된 점멸신호를 입력받아 상향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향등을 점멸시키는 상향등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 주행 중 위급 상황 발생 시 경음기와 상향등을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이나 청각 장애인에게도 위급 상황을 제대로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차량, 경음기, 상향등, 경고 장치, 위급 상황

Description

차량의 경고 장치{Car warning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경음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향등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3의 연동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음기 20: 경음기 스위치
30: BCM 40: 경음기 릴레이
50: 상향등 60: 상향등 스위치
70: 상향등 릴레이 80: 연동스위치
본 고안은 차량의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중 위급 상황 발생 시 경음기와 상향등을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이나 청각 장애인에게도 위급 상황을 제대로 알릴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 중 긴급 상황 발생 시 경적을 울려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경음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경음기는 보통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스위치를 누르면 작동된다.
상기 경음기는 에어컴프레서를 갖춘 차량에 사용되는 공기식과 전원을 이용한 전기식이 있으며, 평형과 맴돌이형으로 원형의 금속판(다이어프램)에 공명판을 부착하여 전자석에 심봉을 넣은 아마추어로 진동시켜 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경음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경음기 제어장치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음기(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경음기 스위치(20)와, 상기 경음기 스위치(20)가 온 되면 상기 경음기(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BCM(Body Control Module; 30)과, 상기 BCM(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경음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음기 릴레이(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경음기 제어장치는 긴급 상황 발생 시 상기 경음기 스위치(20)를 누르면 상기 BCM(30)에서 경음기(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경음기 릴레이(40)는 상기 경음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향등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상향등 제어장치는 차량의 전면 좌, 우측에 설치되어 빛을 상향으로 점멸되게 조사하는 상향등(50)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상향등 스위치(60)와, 상기 상향등 스위치(60)가 온 되면 상기 상향등(50)을 점멸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BCM(30)과, 상기 BCM(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상향등(50)에 전원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여 상기 상향등(50)을 점멸시키는 상향등 릴레이(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상향등 제어장치는 위급 상황 시 상향등 스위치(60)를 온시키면 BCM(30)은 상향등(50)을 점멸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상향등 릴레이(70)는 상기 BCM(3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상향등(50)에 전원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여 상기 상향등(50)을 점멸시킴으로써 위급 상황을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음기 및 상향등 제어장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 위급 상황 시 운전자가 경음기와 상향등을 모두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 경음기 및 상향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각각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시각 장애인이나 청각 장애인에게 위급 상황을 알리고자 할 경우 경음기와 상향등 중 하나만을 작동시켜서는 위급 상황을 제대로 알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차량 주행 중 위급 상황 발생 시 경음기와 상향등을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이나 청각 장애인에게도 위급 상황을 제대로 알릴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경고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차량의 경고 장치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음기와, 차량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빛을 점멸되게 조사하여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상향등과, 상기 경음기 및 상향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연동스위치와, 상기 연동스위치의 온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경음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음신호와 상기 상향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경음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경음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경음기를 구동시키는 경음기 릴레이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점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상향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상향등을 점멸시키는 상향등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동스위치는 멀티펑션스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미 설명한 종래기술 및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동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고 장치는 크게 경음기(10), 상향등(50), 연동스위치(80), BCM(Body Control Module; 30), 경음기 릴레이(40) 및 상향등 릴레이(70)로 구성된다.
상기 경음기(10)는 위급 상황 발생 시 경고음을 울려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위급 상황을 알려준다.
상기 상향등(50)은 차량의 전면 좌, 우측에 설치되며, 위급 상황 발생 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빛을 점멸되게 조사하여 위급 상황을 알려준다.
상기 연동스위치(80)는 상기 경음기(10) 및 상향등(50)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로서,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 된다. 이러한 연동스위치(8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 뒤쪽에 장착된 멀티펑션스위치(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CM(30)은 상기 연동스위치(80)의 상태에 따라 상기 경음기(10) 및 상향등(50)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연동스위치(80)에서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경음기(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음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상향등(50)을 점멸시키기 위한 점멸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BCM(30)은 제어부의 일실시예로서 구현된 것이다.
상기 경음기 릴레이(40)는 상기 BCM(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경음기(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즉, 상기 BCM(30)으로부터 경음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경음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BCM(30)으로부터 경음신호를 입력받지 않으면 상기 경음기(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경고음을 더 이상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상향등 릴레이(70)는 상기 BCM(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상향등(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즉, 상기 BCM(30)으로부터 점멸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상향등(50)에 전원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여 상향등(50)을 점멸시키고, 상기 BCM(30)으로부터 점멸신호를 입력받지 않으면 상기 상향등(50)에 일정 주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향등(50)의 점멸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향등 릴레이(70)는 상기 상향등(50)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한 주기로 단속하여 상기 상향등(50)을 점멸시킬 수 있도록 플래셔 유니트(FLASHE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고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 주행 중 위급 상황이 발생된 경우 운전자는 연동스위치(80)를 온시킨다. 그러면, BCM(30)은 상기 연동스위치(80)의 온 신호를 입력받아 경음기(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음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향등(50)을 점멸시키기 위한 점 멸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BCM(30)에서 출력된 경음신호 및 점멸신호는 각각 경음기 릴레이(40)와 상향등 릴레이(70)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음기 릴레이(40)는 상기 경음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상향등 릴레이(70)는 상기 상향등(50)에 전원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여 상향등(50)을 점멸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고 장치는 경음기(10)와 상향등(50)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스위치(80)를 별도로 마련하여 위급 상황 발생 시 상기 연동스위치(80)를 조작함으로써 경음기(10)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더불어 상향등(50)을 점멸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위급 상황 시 운전자가 경음기와 상향등을 모두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 경음기 및 상향등을 작동시키기 매우 용이하며, 시각 장애인이나 청각 장애인에게도 위급 상황을 제대로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경고 장치는 위급 상황 발생 시 별도로 장착된 연동스위치를 조작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향등 을 점멸시킴으로써 운전자가 경음기와 상향등을 연동시키기 매우 용이하며, 시각 장애인이나 청각 장애인에게도 위급 상황을 제대로 알릴 수 있다.

Claims (2)

  1.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음기;
    차량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빛을 점멸되게 조사하기 위한 상향등;
    상기 경음기 및 상향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연동스위치;
    상기 연동스위치의 온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경음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음신호와 상기 상향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경음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경음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경음기를 구동시키는 경음기 릴레이;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점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상향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상향등을 점멸시키는 상향등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스위치는 멀티펑션스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고 장치.
KR2020060007175U 2006-03-17 2006-03-17 차량의 경고 장치 KR200418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75U KR200418317Y1 (ko) 2006-03-17 2006-03-17 차량의 경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75U KR200418317Y1 (ko) 2006-03-17 2006-03-17 차량의 경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317Y1 true KR200418317Y1 (ko) 2006-06-09

Family

ID=4176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175U KR200418317Y1 (ko) 2006-03-17 2006-03-17 차량의 경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3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5658B2 (ja) 車両接近通報装置
JP2007038937A (ja) 自動車用ホーンシステム
KR101804817B1 (ko)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200418317Y1 (ko) 차량의 경고 장치
KR20130018122A (ko) 차량용 램프
JP6863914B2 (ja) 通信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04306954A (ja) 自動車の警報器連動発光装置、および車外音連動警報装置
KR20100041365A (ko) 차량의 도어 열림 경고 방법
JP6596055B2 (ja) 緊急車両の報知装置
JP2007022486A (ja) 車両用ホーン装置
BG66564B1 (bg) Система за светлинна и звукова сигнализацияна маневри при моторните превозни средства
JP2006308838A (ja) 弱音警音器システム
JP2009090715A (ja) 車両の方向指示装置
JP4247837B2 (ja) 自動車の警報装置
JPH11334469A (ja) 方向指示表示音発生装置
KR101912172B1 (ko) 전조등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76390A (ja) 自転車用保安装置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200285549Y1 (ko) 교통신호등의 음성안내 작동신호장치
KR200412581Y1 (ko) 차량의 비상등 제어장치
KR19980021899U (ko) 혼과 패싱 램프가 함께 작동되는 경고시스템
KR100514820B1 (ko) 차량의 램프 점등 확인장치
JP5437733B2 (ja) 発音体駆動装置
KR200415539Y1 (ko) 차량의 비상등 제어장치
KR200213911Y1 (ko) 교통 정리용 신호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