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817B1 -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817B1
KR101804817B1 KR1020160108331A KR20160108331A KR101804817B1 KR 101804817 B1 KR101804817 B1 KR 101804817B1 KR 1020160108331 A KR1020160108331 A KR 1020160108331A KR 20160108331 A KR20160108331 A KR 20160108331A KR 101804817 B1 KR101804817 B1 KR 10180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rn
sound
vehicl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재
김홍석
이평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제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제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제이테크
Priority to KR102016010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푸쉬버튼을 누르는 압력 및 시간에 따라, 경적음의 볼륨 및 경적음이 발생되는 시간을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자는 도로 또는 골목길을 주행하는 도중, 해당 환경에 맞추어 경적음의 크기 및 시간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HORN SOUND REGULATING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경적음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고음을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경적음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긴급한 상황을 주변에 알리기 위한 혼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혼 장치는 차량 주행 중 차량의 전방에 출현되는 보행자 또는 차량 기타의 장애물 등이 차량의 주행을 방해할 경우나, 차량의 주행을 주위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클락션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혼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설치된 푸쉬버튼을 운전자가 누르게 되면 차량에 장착된 혼을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혼 장치(1)는 차량의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2)와, 경적음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작동스위치(3)와, 작동스위치(3)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공급부(2)의 전원으로 경적음을 발생시키는 혼(4)을 포함한다. 그리고 혼 장치(1)가 기계식인 경우, 혼(4)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미도시)가 설치되어, 전원공급부(2)의 전원이 콤프레셔로 공급되면 콤프레셔가 혼(4)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혼(4)에서 경적음이 발생된다. 그리고 차량 운전석의 스티어링휠(미도시)에는 푸쉬버튼(미도시)이 구비되며, 푸쉬버튼의 압력이 작동스위치(3)로 전달되어 작동스위치가 온 된다.
이러한 종래의 혼 장치는 항상 동일한 음량으로 경고음이 발생되어, 예를 들면, 조용한 골목길에서 서행 또는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푸쉬버튼을 누르게 되면 필요 이상의 큰 음량으로 경고음이 발생되어, 차량 주변에 심각한 소음공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359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고음을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 공해를 최소화 하도록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운전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푸쉬버튼;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압력의 강도를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압력감지센서;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시간을 감지하여 시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시간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신호와 상기 시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입력된 경적음의 레벨 중 해당 레벨에 해당하는 경적음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경적음의 종류에 해당하는 경적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압력감지범위 중 상기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압력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압력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시간감지범위 중 상기 시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시간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시간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경적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상기 경적신호는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는 크기 정보 및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표시등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적신호의 종류에 해당하는 표시등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표시등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등구동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은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출력부는 차량의 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등은 복수 개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등구동부는 상기 표시등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표시등이 복수 개의 색상 중 선택되는 색상을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된 푸쉬버튼이 가압되면, 압력감지센서가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압력의 강도를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정보 생성 과정; 운전자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된 푸쉬버튼이 가압되면, 시간감지센서가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시간을 감지하여 시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정보 생성 과정; 상기 압력감지신호와 상기 시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가 미리 입력된 경적음의 레벨 중 해당 레벨에 해당하는 경적음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경적음의 종류에 해당하는 경적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부로 상기 경적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출력부가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경적음 출력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호생성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압력감지범위 중 상기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압력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압력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시간감지범위 중 상기 시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시간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시간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경적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생성과정에서,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상기 경적신호는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는 크기 정보 및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생성과정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적신호의 종류에 해당하는 표시등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표시등구동부로 상기 표시등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표시등구동부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푸쉬버튼을 누르는 압력 및 시간에 따라, 경적음의 볼륨 및 경적음이 발생되는 시간을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자는 도로 또는 골목길을 주행하는 도중, 해당 환경에 맞추어 경적음의 크기 및 시간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될 때, 경적음 뿐만 아니라, 표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자는 여러 경적음 중 현재 어느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경적음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10)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운전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푸쉬버튼(미도시),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압력의 강도를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압력감지센서(100),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시간을 감지하여 시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시간감지센서(200), 상기 압력감지신호와 상기 시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적음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경적음의 종류에 해당하는 경적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00), 상기 경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하는 출력부(500) 및,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등(미도시)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표시등구동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푸쉬버튼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에 구비된 스티어링휠의 중앙에 위치되며, 운전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압력감지센서(100)는 예를 들면 압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푸쉬버튼과 연결되어, 푸쉬버튼이 가하는 압력을 압력감지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시간감지센서(200)는 예를 들면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압력감지센서(100)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전달받도록 구성되어, 푸쉬버튼에 압력이 얼마나 오랫동안 가해지는지를 감지하여 시간감지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시간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기준범위DB(300)는 기준압력범위DB(310)와 기준시간범위DB(320)를 포함한다. 기준압력범위DB(310)는 복수 개의 기준압력감지범위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기준압력감지범위는 예를 들어 3개로 구성되어, 제 1 기준압력감지범위, 제 2 기준압력감지범위 및 제 3 기준압력감지범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1 기준압력감지범위에서 제 3 기준압력감지범위로 갈수록 푸쉬버튼이 가하는 압력이 강해지도록 구성된다. 기준시간범위DB(320)는 복수 개의 기준시간감지범위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기준시간감지범위는 예를 들어 3개로 구성되어, 제 1 기준시간감지범위, 제 2 기준시간감지범위 및 제 3 기준시간감지범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1 기준시간감지범위에서 제 3 기준시간감지범위로 갈수록 푸쉬버튼이 가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압력감지신호와 시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입력된 경적음의 레벨 중 해당 레벨에 해당하는 경적음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경적음의 종류에 해당하는 경적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어부(400)는 기준압력범위DB(310)에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압력감지범위 중 상기 압력감지센서(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압력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압력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시간감지범위 중 상기 시간감지센서(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시간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시간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상기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경적신호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감지신호가 제 3 기준압력감지범위에 해당하고, 상기 시간감지신호가 제 3 기준시간범위에 해당하면, 제어부(400)는 제일 크고 긴 경적소리를 내는 경적신호를 선택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위험의 강도가 클수록 푸쉬버튼을 강하고 길게 누르는 경향이 있고, 위험의 강도가 작을수록 푸쉬버튼을 약하고 짧게 누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제어부(400)는 푸쉬버튼을 강하게 누를수록, 그리고 푸쉬버튼을 길게 누를수록 크고 긴 경적소리를 내는 경적신호를 선택하고, 반대로, 푸쉬버튼을 약하게 누를수록, 그리고 푸쉬버튼을 짧게 누를수록 작고 짧은 경적소리를 내는 경적신호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400)는 미리 입력된 다양한 표시등제어신호 중 선택한 경적신호의 종류에 해당하는 표시등제어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표시등제어신호를 후술하는 표시등구동부(6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출력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 경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기계식 출력부 또는 전자식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출력부는 예를 들면,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미도시)와, 에어를 공급받아 경적음을 출력하는 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적신호를 전달은 상기 콤프레셔는 상기 혼으로 공급하는 에어의 압력 및 에어를 공급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혼이 출력하는 경적음의 크기 및 시간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전자식 출력부는 예를 들면, AD컨버터(미도시), DA컨버터(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D컨버터는 상기 경적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디지털신호를 생성하여 DA컨버터로 전달한다. 상기 DA컨버터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아날로그신호를 전달받아 경적음으로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경적음은 일반적인 클락션 소리 뿐 아니라, 엔진음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운전자가 푸쉬버튼을 누르는 압력 및 시간에 따라, 경적음의 볼륨 및 경적음이 발생되는 시간을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자는 도로 또는 골목길을 주행하는 도중, 해당 환경에 맞추어 경적음의 크기 및 시간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표시등구동부(600)는 제어부(400)가 전달하는 표시등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표시등(미도시)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표시등은 예를 들면, 푸쉬버튼의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으며, 빨간, 파랑, 초록 등 다양한 색상을 발광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표시등은 점등 또는 점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어부(400)가 제일 크고 긴 경적소리를 내는 경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부(500)로 전달한 경우, 제어부(400)는 상기 경적신호에 해당하는 위험을 뜻하는 빨간색 표시등을 제어하도록 빨간색 표시등을 점등하는 표시등제어신호를 표시등구동부(600)로 전달하고, 표시등구동부(600)는 빨간색 표시등을 일정 시간, 예를 들면 5초 동안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제어부(400)가 제일 작고 짧은 경적소리를 내는 경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부(500)로 전달한 경우, 제어부(400)는 비교적 많이 위험하지 않은 초록색 표시등을 제어하도록 초록색 표시등을 점등하는 표시등제어신호를 표시구동부로 전달하고, 표시등 구동부는 초록색 표시등을 예를 들면 1초 동안 짧게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될 때, 경적음 뿐만 아니라, 표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자는 여러 경적음 중 현재 어느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정숙성이 월등히 뛰어난 일부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출력하는 경적음이 얼마나 큰지, 얼마나 오랫동안 출력되고 있는지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표시등을 참조하면, 현재 어느 경적음이 출력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경적음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운전자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된 푸쉬버튼(미도시)이 가압되면, 압력감지센서(100)가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압력의 강도를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압력감지신호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S100).
이어서, 운전자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된 푸쉬버튼이 가압되면, 시간감지센서(200)가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시간을 감지하여 시간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간감지신호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S110). 이때, 상기 S100단계 및 상기 S110단계는 그 순서가 바뀔수도 있을 것이다.
그 후, 상기 압력감지신호와 상기 시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400)가 미리 입력된 경적음의 레벨 중 해당 레벨에 해당하는 경적음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경적음의 종류에 해당하는 경적신호를 생성한다(S130). 이때, 제어부(400)는 기준압력범위DB(310)에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압력감지범위 중 상기 압력감지센서(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압력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압력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시간감지범위 중 상기 시간감지센서(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시간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시간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상기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경적신호를 선택한다.
이어서 제어부(400)가 출력부(500)로 상기 경적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출력부(500)가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40). 그리고 출력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 경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한다. 이때, 경적음은 경적신호의 종류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 출력되고, 길게 또는 짧게 출력된다.
그 후, 제어부(400)는 상기 경적신호의 종류에 해당하는 표시등제어신호를 생성한다(S150). 이어서 제어부(400)는 표시등구동부(600)로 상기 표시등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표시등구동부(600)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등(미도시)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제어한다(S160). 이때, 표시등은 경적신호의 종류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빨간, 파란 등의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100: 압력감지센서 200: 시간감지센서
300: 기준범위DB 310: 기준압력범위DB
320: 기준시간범위DB 400: 제어부
500: 출력부 600: 표시등구동부

Claims (10)

  1.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운전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푸쉬버튼;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압력의 강도를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압력감지센서;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시간을 감지하여 시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시간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신호와 상기 시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입력된 경적음의 레벨 중 해당 레벨에 해당하는 경적음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경적음의 종류에 해당하는 경적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표시등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적신호의 종류에 해당하는 표시등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표시등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등구동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압력감지범위 중 상기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압력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압력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시간감지범위 중 상기 시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시간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시간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경적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상기 경적신호는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는 크기 정보 및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출력부는 차량의 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은 복수 개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등구동부는 상기 표시등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표시등이 복수 개의 색상 중 선택되는 색상을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7. 운전자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된 푸쉬버튼이 가압되면, 압력감지센서가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압력의 강도를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정보 생성 과정;
    운전자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된 푸쉬버튼이 가압되면, 시간감지센서가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시간을 감지하여 시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정보 생성 과정;
    상기 압력감지신호와 상기 시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가 미리 입력된 경적음의 레벨 중 해당 레벨에 해당하는 경적음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경적음의 종류에 해당하는 경적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부로 상기 경적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출력부가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경적음 출력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호생성과정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적신호의 종류에 해당하는 표시등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표시등구동부로 상기 표시등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표시등구동부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압력감지범위 중 상기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압력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압력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입력된 복수 개의 기준시간감지범위 중 상기 시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시간감지신호가 어느 기준시간감지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경적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과정에서,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상기 경적신호는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는 크기 정보 및 경적음이 외부로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음 조절 방법.
  10. 삭제
KR1020160108331A 2016-08-25 2016-08-25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180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31A KR101804817B1 (ko) 2016-08-25 2016-08-25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31A KR101804817B1 (ko) 2016-08-25 2016-08-25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817B1 true KR101804817B1 (ko) 2017-12-05

Family

ID=6092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31A KR101804817B1 (ko) 2016-08-25 2016-08-25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8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79B1 (ko) 2019-04-22 2019-11-27 설진길 차량용 경적장치
CN112046393A (zh) * 2019-06-05 2020-12-08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方向盘
CN113173122A (zh) * 2021-04-29 2021-07-27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鸣笛控制方法、车辆、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10102009A (ko) 2020-02-11 2021-08-19 김지혜 차량의 경적 제어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79B1 (ko) 2019-04-22 2019-11-27 설진길 차량용 경적장치
CN112046393A (zh) * 2019-06-05 2020-12-08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方向盘
EP3747700A1 (en) * 2019-06-05 2020-12-09 Pegatron Corporation Steering wheel
US11396261B2 (en) 2019-06-05 2022-07-26 Pegatron Corporation Steering wheel
KR20210102009A (ko) 2020-02-11 2021-08-19 김지혜 차량의 경적 제어 시스템
CN113173122A (zh) * 2021-04-29 2021-07-27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鸣笛控制方法、车辆、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173122B (zh) * 2021-04-29 2024-04-16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鸣笛控制方法、车辆、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817B1 (ko)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1148476B1 (ko) 자동차 보조경적 장치
JP5985704B1 (ja) フォークリフト安全装置
US20180170242A1 (en) Bluetooth-enabled vehicle lighting control hub
KR101610409B1 (ko)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
KR20100115966A (ko) 자동차의 적응적 실내 조명 자동 제어장치
KR20090013139U (ko)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US20180361928A1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sound of turn signal lamp of vehicle
JP6044406B2 (ja) エンジン不停止警告装置
US10011218B2 (en) Warning signal control system for motor vehicles
JPH07244800A (ja) 移動体検出装置
CN110386119B (zh) 车辆辅助转向系统和方法
KR20190059586A (ko)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
KR101912172B1 (ko) 전조등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468949B2 (ja) アクセル操作報知装置
US11027609B1 (en) Steering wheel
KR20040065871A (ko) 후진 시 방향등이 동작하는 차량
JP4560097B2 (ja) 音声出力器
KR200482677Y1 (ko) 자동차 브레이크 숙달 보조 장치
US20040041700A1 (en) Speed indicating means
JPH07251691A (ja) 移動体検出装置
KR100599473B1 (ko) 주차브레이크 경고 시스템
KR20170003484U (ko) 차량용 제동등
KR20090033944A (ko) 비씨엠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040279A (ja) 機器制御装置及び車載機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