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944A - 비씨엠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씨엠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944A
KR20090033944A KR1020070099027A KR20070099027A KR20090033944A KR 20090033944 A KR20090033944 A KR 20090033944A KR 1020070099027 A KR1020070099027 A KR 1020070099027A KR 20070099027 A KR20070099027 A KR 20070099027A KR 20090033944 A KR20090033944 A KR 20090033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pas
warning
buzzer
bc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3944A/ko
Publication of KR20090033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CM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RPAS)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BCM 내장 버저(Buzzer)를 공용화하여 RPAS에 활용함으로써 후방 경고용 RPAS 버저를 삭제할 수 있는 RPAS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시스템은, 차량 후방에 장착되어 장애물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RPAS 센서와, 상기 RPAS 센서로부터 검출신호를 제공받아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경고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RPAS 제어기와, 변속기에 장착되어 변속레버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 ON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레버 R스위치와, 시동키가 IGN1 ON된 상태에서 자체 기본경고 기능을 모니터링 한 후 변속레버 R스위치의 ON 신호가 입력되면 RPAS 경고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RPAS 제어기로부터 RPAS 경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자체에 내장된 내장 버저를 통해 RPAS 경고 주파수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BC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BCM, RPAS, 버저 공용, 주파수 변경, 경고

Description

비씨엠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RPAS Warning System using BCM Buzz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BCM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RPAS)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BCM 내장 버저(Buzzer)를 공용화하여 RPAS에 활용함으로써 후방 경고용 RPAS 버저를 삭제할 수 있는 RPAS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는 편의성, 안전성, 보안성 등의 기능들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차량에는 다양한 경고장치가 장착되어 있는바, 경고장치로는 크게 차량 자체의 문제에 대한 경고를 나타내는 BCM(Body Control Module) 장치와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시 장애물 근접 경고를 위한 주차보조시스템(PAS: Parking Aids System)가 있다.
BCM 장치로는 도어열림 경고(door opening warning), 좌석벨트 착용 경고(seatbelt warning), 전조등(illumination), 키 경고(key remind warning), 과속 경고(over speed warning) 등이 있다.
상기 BCM 장치의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해 BCM에는 버저가 내장되며, 이 BCM 내장 버저는 예를 들어 800Hz 주파수 대역의 BCM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기 주차보조시스템(PAS) 중에서 후진시에 경고하는 후방주차보조시스템(RPAS: Rear Parking Aids System)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 2개 이상이 장착되는 RPAS 센서(1)(예를 들어,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와, 이 RPAS 센서(1)의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제어기(2)와, 상기 제어기(2)의 출력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RPAS 버저(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PAS 버저(3)는 상기 BCM 내장 버저보다 고주파인 예를 들어 1700Hz 주파수 대역의 RPAS 경고음을 출력한다.
따라서, BCM 내장 버저의 경고음은 부드러운 음색인데 비해, 후진시 장애물 근접경고를 위한 RPAS 버저(3)의 RPAS 경고음은 날카롭다.
상기 RPAS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RPAS 센서(1)에서 후방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와; RPAS 센서(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어기(2) 내에서 반파정류한 후, 제어기(2) 내의 비교기(comparator)를 이용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와; RPAS 센서(1)의 감지전압이 기준전압에 속하는 경우에 후방에 대한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RPAS 버저(3)에서 경고음을 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에 운전자는 경고음을 듣고 후방 물체가 근접된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RPAS와 BCM 장치가 별개로 구성되고 독립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RPAS 버저(3)와 BCM 내장 버저도 각각 구비되어 원가가 상승하고 조립 작업 공수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BCM 내장 버저를 공용화하여 후방 경고용 RPAS 버저를 삭제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시스템은, 차량 후방에 장착되어 장애물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RPAS 센서와, 상기 RPAS 센서로부터 검출신호를 제공받아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경고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RPAS 제어기와, 변속기에 장착되어 변속레버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 ON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레버 R스위치와, 시동키가 IGN1 ON된 상태에서 자체 기본경고 기능을 모니터링 한 후 변속레버 R스위치의 ON 신호가 입력되면 RPAS 경고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RPAS 제어기로부터 RPAS 경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자체에 내장된 내장 버저를 통해 RPAS 경고 주파수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BC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방법은, 자동차의 시동키가 IGN1 ON된 상태에서 변속레버 R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레버 R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BCM 내장 버저의 RPAS 경고 주파수 대역 작동을 준비하여 RPAS 경고 신호 모니터링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자 동차 후방 물체의 감지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RPAS 제어기에서 상기 감지신호를 반파정류한 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RPAS 센서의 감지전압이 기준전압에 속하면 후방에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RPAS 경고 신호를 BCM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BCM에서 내장 버저를 통해 RPAS 경고 주파수 신호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레버 R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RPAS 기능을 OFF하여 내장 버저를 통한 RPAS 경고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BCM 내장 버저를 공용화하여 후방 경고용 RPAS 버저를 삭제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RPAS 센서(10), RPAS 제어기(20), BCM(30), 변속레버 R스위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PAS 센서(10)는 차량 후방에 장착되어 장애물의 근접 여부를 감지한다.
RPAS 제어기(20)는 상기 RPAS 센서(10)로부터 검출신호를 제공받아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경고를 위한 신호를 경고 조건별로 출력한다.
변속레버 R스위치(40)는 자동차의 변속기에 장착되어 후진을 위해 변속레버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 ON 신호를 BCM(30)에 입력한다.
자동차의 시동키가 IGN1 ON된 상태에서 BCM(30)은 작동을 준비하여 도어열림 경고, 좌석벨트 착용 경고 등과 같은 BCM의 기본경고 기능을 모니터링 한 후 RPAS 경고의 최우선순위에 따라 기본경고 기능을 중지한다.
이후 변속레버 R스위치(40) 신호가 입력된 후 소정시간(예를 들어 0.5초)이 지나면 RPAS 경고음 주파수인 예를 들어 1700Hz 대역으로 경고음을 1회 출력함으로써 차량이 후진할 것이라는 주의 경고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차량이 후진을 시작하면 BCM(30)은 RPAS 경고 기능 수행을 준비한다.
즉, BCM 경고의 800Hz 대역 작동을 중지하고, RPAS 경고의 1700Hz 대역 작동을 준비하여, RPAS 경고 모니터링 상태로 진입한다.
그리고 후진 중에 장애물을 감지하여 RPAS 제어기(20)로부터 RPAS 경고 신호를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1700Hz의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기한 BCM(30)은 마이컴(32), 저항(R), 트랜지스터(Q), 다이오드(D), 내장 버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컴(32)은 내장 버저(34)에 공급되는 전원을 ON/OFF하며, RPAS 경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PWM 제어에 의해 주파수를 800Hz에서 1700Hz로 변경한다.
즉 RPAS 제어기(20)로부터 경고 신호가 입력되면 내장 버저(34)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1700Hz 주파수 신호를 저항(R)을 통해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도 5는 버저에서 출력되는 800Hz와 1700Hz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다.
저항(R)은 상기 마이컴(32)의 출력레벨에서 과전류를 제한한다.
트랜지스터(Q)는 상기 저항(R)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레벨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된다.
내장 버저(34)는 상기 트랜지스터(Q)의 컬렉터와 마이컴(32) 사이에 접속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다이오드(D)는 내장 버저(34)의 양단에 연결되어 정전류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BCM 내장 버저(34)를 공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필요한바, RPAS 경고 기능이 BCM 기본경고 기능보다 우선순위를 갖고, BCM 기본경고 기능 간에는 좌석벨트 착용 경고 > 과속 경고 > 키 경고 > 기타 경고 순으로 우선순위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PAS 경고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순서에 따른 타임 차트이다.
자동차의 시동키가 IGN1 ON된 상태에서(S302) BCM(30)은 BCM의 기본경고 기능을 수행하고 이후 변속레버 R스위치(40) 신호가 입력되면(S304), BCM(30)은 RPAS 기능을 ON한다(S306).
이에 따라 BCM 내장 버저(34)는 RPAS 경고 동작이 가능하다.
변속레버 R스위치(40)가 입력되지 않으면 RPAS 기능을 OFF하여(S322) BCM 내장 버저(34)는 RPAS 경고 동작이 불가능하다.
즉, IGN1 ON이고 변속레버 R스위치(40)가 ON이면 BCM(30)은 RPAS 기능 ON 단계(S306)로 BCM 내장 버저(34)의 BCM 기본경고(800Hz) 대역 작동을 중지하고, RPAS 경고(1700Hz) 대역 작동을 준비하여 RPAS 경고 신호 모니터링 상태로 진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RPAS 센서(10)에 후방 물체의 감지신호가 감지되면(S308) RPAS 제어기(20)는 반파정류한 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RPAS 센서(10)의 감지전압이 기준전압에 속하는 경우에 후방에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RPAS 경고 신호를 BCM의 마이컴에 출력한다(S310).
이에 따라 마이컴(32)은 내장 버저(34)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저항(R)을 통해 트랜지스터(Q)에 1700Hz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단을 액티브시켜 트랜지스터(Q)를 스위칭 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내장 버저(34)가 동작하여 1700Hz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S312).
S310단계에서 RPAS 제어기(20)는 RPAS 경고 신호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BCM(30)의 마이컴(32)에 출력하고, 마이컴(32)은 내장 버저(34)에서 단계별로 출력되는 음의 빠르기 등을 조절하여 경고음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RPAS 버저 삭제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키 위한 BCM 멀티 버저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RPAS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PAS 경고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순서에 따른 타임 차트,
도 5는 버저 주파수 특성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RPAS 센서 20: RPAS 제어기
30: BCM 32: 마이컴
34: 내장 버저 40: 변속레버 R스위치
D: 다이오드 Q: 트랜지스터

Claims (5)

  1. 차량 후방에 장착되어 장애물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RPAS 센서와,
    상기 RPAS 센서로부터 검출신호를 제공받아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경고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RPAS 제어기와,
    변속기에 장착되어 변속레버가 R단에 위치하는 경우 ON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레버 R스위치와,
    시동키가 IGN1 ON된 상태에서 자체 기본경고 기능을 모니터링 한 후 변속레버 R스위치의 ON 신호가 입력되면 RPAS 경고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RPAS 제어기로부터 RPAS 경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자체에 내장된 내장 버저를 통해 RPAS 경고 주파수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BCM을 포함하는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CM은 상기 RPAS 제어기로부터 경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내장 버저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RPAS 경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출력레벨에서 과전류를 제한하는 저항과,
    상기 저항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레벨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마이컴 사이에 접속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내장 버저와,
    상기 내장 버저의 양단에 연결되어 정전류를 유지시키는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버저는 RPAS 경고 기능이 BCM 기본경고 기능보다 우선순위를 갖고, BCM 기본경고 기능 간에는 좌석벨트 착용 경고 > 과속 경고 > 키 경고 > 기타 경고 순으로 우선순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시스템.
  4. 자동차의 시동키가 IGN1 ON된 상태에서 변속레버 R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레버 R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BCM 내장 버저의 RPAS 경고 주파수 대역 작동을 준비하여 RPAS 경고 신호 모니터링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 후방 물체의 감지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RPAS 제어기에서 상기 감지신호를 반파정류한 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RPAS 센서의 감지전압이 기준전압에 속하면 후방에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RPAS 경고 신호를 BCM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BCM에서 내장 버저를 통해 RPAS 경고 주파수 신호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레버 R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RPAS 기능을 OFF하여 내장 버저를 통한 RPAS 경고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RPAS 제어기에서 RPAS 경고 신호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BCM에 출력하고, 상기 BCM은 단계별로 경고음을 구별할 수 있도록 내장 버저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M 버저를 이용한 RPAS 경고방법.
KR1020070099027A 2007-10-02 2007-10-02 비씨엠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3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27A KR20090033944A (ko) 2007-10-02 2007-10-02 비씨엠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27A KR20090033944A (ko) 2007-10-02 2007-10-02 비씨엠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944A true KR20090033944A (ko) 2009-04-07

Family

ID=4076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027A KR20090033944A (ko) 2007-10-02 2007-10-02 비씨엠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39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9869A (ko) 트레일러 장착 차량의 후방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9131074B (zh) 车内生命体防遗留的告警方法及系统
KR101804817B1 (ko) 차량의 경적음 조절 시스템 및 방법
CN203332001U (zh) 泊车关窗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US20200365003A1 (en) Vehicle alert apparatus
CN106364427B (zh) 一种汽车动力的控制方法及装置
JP2004255977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KR20090033944A (ko) 비씨엠 버저를 이용한 알피에이에스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156330B (zh) 一种挂车转向灯的自动检测方法、装置及系统
JPH10290525A (ja) 車両の電源供給装置
JP2005112056A (ja) タイヤ位置検出装置及びタイヤ圧監視システム
JP2016150656A (ja) 動き検出システム
CN112238810A (zh) 一种车辆驻车安全控制方法与系统
KR20070062661A (ko) 자동차 윈도우 자동 조절장치
KR20080005667A (ko) 비더블유에스를 이용한 터널 인식 및 제어시스템과 그 방법
KR101533805B1 (ko) 누설 전류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9586A (ko)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
KR102091557B1 (ko) 온 보드 진단 데이터를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 보조 표시 시스템
KR20060088650A (ko) 카 오디오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892352B1 (ko) 버글러 혼의 응답시스템 및 방법
JP3836346B2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
KR100571042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후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208474A (zh) 一种儿童状态跟踪预警系统
KR200247209Y1 (ko) 저 전력소모형 오토바이 도난 방지 시스템
KR19980055849A (ko) 휴대폰 사용시 차량 안전운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