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009A -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12009A KR20130012009A KR1020127021943A KR20127021943A KR20130012009A KR 20130012009 A KR20130012009 A KR 20130012009A KR 1020127021943 A KR1020127021943 A KR 1020127021943A KR 20127021943 A KR20127021943 A KR 20127021943A KR 20130012009 A KR20130012009 A KR 201300120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reated
- tank
- treatment
- mix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5189 flocc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16615 floccul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64 hum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94 flocc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 specifica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49 wel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81 well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QJZYHAIUNVAGQP-UHFFFAOYSA-N 3-nitrobicyclo[2.2.1]hept-5-ene-2,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2C=CC1C(C(=O)O)C2(C(O)=O)[N+]([O-])=O QJZYHAIUNVAGQ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17 catio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11 flocc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1 hu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UKLDDOGISCFCP-JSQCKWNTSA-N 21-Deoxycortison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H]2[C@@H]1[C@@H]1CC[C@@](C(=O)C)(O)[C@@]1(C)CC2=O PUKLDDOGISCFCP-JSQCKWNT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CYKAQOGGFGCMD-UHFFFAOYSA-N Fulvic acid Natural products O1C2=CC(O)=C(O)C(C(O)=O)=C2C(=O)C2=C1CC(C)(O)OC2 FCYKAQOGGFGC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CUFZILGIRCDQQ-KRWDZBQOSA-N N-[[(5S)-2-oxo-3-(2-oxo-3H-1,3-benzoxazol-6-yl)-1,3-oxazolidin-5-yl]m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1O[C@H](CN1C1=CC2=C(NC(O2)=O)C=C1)CNC(=O)C=1C=NC(=NC=1)NCC1=CC(=CC=C1)OC(F)(F)F VCUFZILGIRCDQQ-KRWDZBQOSA-N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class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42 deionis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92 fl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9 fulv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100 fulv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55 fung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7 fung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14 iron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8 nan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20 orga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7 sand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21 sod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2 ultra pure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98 ultrapur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2—Prevention of foa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피처리수에 첨가된 응집제와 피처리수를 혼합하여 플록을 형성하는 혼합조를 갖는 혼합 처리 수단과, 상기 혼합 처리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됨과 아울러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원통 형상의 응집조, 선회류가 발생하도록 피처리수를 상기 응집조의 하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상기 응집조에 도입하는 피처리수 도입구, 및, 상기 응집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피처리수를 상기 응집조의 상부로부터 배출하는 피처리수 배출구를 갖는 응집 처리 수단과, 상기 응집 처리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응집 처리 수단으로부터 도입되고, 피처리수를 고액 분리 처리하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을 갖는 수처리 장치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업용수, 시수(市水), 우물물, 하천수, 호소수, 공장 폐수 등의 피처리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 처리한 후에 여과 처리나 막 분리 처리 등의 고액 분리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업용수, 시수, 우물물, 하천수, 호소수, 공장 폐수 등의 피처리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피처리수에 무기 응집제 및 음이온성 등의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탁질(濁質) 등을 흡착이나 응결 등 하는 응집 처리를 한 후, 모래 여과, 가압 부상 처리나, 섬유 형상의 여과체(여과재) 등을 사용한 여과 처리, 막 분리 처리에 의해 탁질을 제거하는 고액 분리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있다(특허문헌 1~3 참조).
그렇지만, 응집 처리에 있어서는, 응집물(플록)의 조대화에는, 일반적으로 개방형, 즉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응집조가 사용되고 있어, 후단의 고액 분리 처리를 행하는 장치에 피처리수를 송액할 때에 펌프 등의 송액 수단이 필요하고, 이 펌프 등에 의해 플록이 파괴되어 버려, 청징한 처리수를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피처리수를 대기에 개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밀폐형의 응집 처리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 특허문헌 4에서는, 응집 처리 수단의 후단에는, 기본적으로 교반기를 갖는 개방형의 응집조에서 교반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펌프 등에 의해 플록의 파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응집 처리한 후에 고액 분리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로서 확실하게 청징한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태양은 피처리수에 첨가된 응집제와 피처리수를 혼합하여 플록을 형성하는 혼합조를 갖는 혼합 처리 수단과, 상기 혼합 처리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됨과 아울러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원통 형상의 응집조, 선회류가 발생하도록 피처리수를 상기 응집조의 하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상기 응집조에 도입하는 피처리수 도입구, 및, 상기 응집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피처리수를 상기 응집조의 상부로부터 배출하는 피처리수 배출구를 갖는 응집 처리 수단과, 상기 응집 처리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응집 처리 수단으로부터 도입되어, 피처리수를 고액 분리 처리하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에 있다.
또한 상기 피처리수 배출구는 피처리수를 상기 응집조의 상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액 분리 처리 수단이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를 갖는 여과체가 통수시의 여과부의 공극률이 50~95%가 되도록 여과조에 충전되어 있는 여과 처리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 처리 수단은 피처리수를 대기에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며,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혼합 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응집 처리 수단에 도입되고, 피처리수를 송액하는 송액 수단이 상기 혼합 처리수단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제와 피처리수를 혼합하여 탁질 등의 플록을 형성하는 혼합 처리 수단과, 혼합 처리한 피처리수를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응집조에 선회류가 발생하도록 도입하여 플록을 조대화하는 응집 처리 수단과, 응집 처리한 피처리수를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입하여 고액 분리 처리하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을 갖는 수처리 장치로 함으로써, 응집 처리 수단에서 형성한 조대 플록을 펌프 등의 송액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후단의 고액 분리 처리 수단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대 플록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청징한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수처리 장치가 된다.
도 1은 수처리 장치 예의 개략 계통도.
도 2는 응집 처리 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혼합 처리 수단 및 응집 처리 수단의 모식도.
도 4는 응집 처리 수단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상면도, 측면도 및 모식도.
도 5는 수처리 장치의 모식도.
도 6은 다른 수처리 장치의 모식도.
도 7은 다른 수처리 장치의 모식도.
도 8은 여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여과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도 10은 여과 장치의 탁질 포착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수처리 장치의 개략 계통도.
도 2는 응집 처리 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혼합 처리 수단 및 응집 처리 수단의 모식도.
도 4는 응집 처리 수단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상면도, 측면도 및 모식도.
도 5는 수처리 장치의 모식도.
도 6은 다른 수처리 장치의 모식도.
도 7은 다른 수처리 장치의 모식도.
도 8은 여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여과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도 10은 여과 장치의 탁질 포착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수처리 장치의 개략 계통도.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피처리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 처리한 후에, 침전 처리, 가압 부상 처리, 여과 처리나 막 분리 처리 등의 고액 분리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이다.
피처리수로서는, 예를 들면, 부식산·풀브산계 유기물, 조류 등이 생산하는 당 등의 생물 대사물, 또는, 계면활성제 등의 합성 화학 물질 등을 포함하는 물, 구체적으로는, 공업용수, 시수, 우물물, 하천수, 호소수, 공장 폐수(특히, 공장으로부터의 폐수를 생물 처리한 생물 처리수) 등을 들 수 있는데,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식질이란 식물 등이 미생물에 분해됨으로써 발생하는 부식질을 말하고, 부식산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부식질을 함유하는 물은 부식질 및/또는 부식질에 유래하는 용해성 COD 성분, 현탁 물질이나 색도 성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의 일례인 도 1~도 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수처리 장치의 개략 계통도, 도 2는 수처리 장치가 갖는 응집 처리 수단의 상면도(도 2 (a)) 및 측면도(도 2(b)), 도 3은 수처리 장치가 갖는 혼합 처리 수단 및 응집 처리 수단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1)는 피처리수(원수)에 첨가된 응집제와 피처리수를 혼합하여 플록을 형성하는 혼합조를 갖는 혼합 처리 수단(3)과, 혼합 처리 수단(3)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되는 응집 처리 수단(4)과, 응집 처리 수단(4)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를 고액 분리 처리하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을 갖는다. 또한 혼합 처리 수단(3)의 전단에는 응집제를 피처리수에 첨가하는 응집제 도입 수단(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응집제에 한정은 없고, 피처리수 중에 포함되는 현탁물질(탁질), 콜로이드 성분, 용해성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성분 등을 응결이나 응집 등 하여 플록(응집물)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폴리염화알루미늄(PAC) 등의 알루미늄염이나 철염 등의 무기 응집제, 고분자 응집제, MT 아쿠아 폴리머제 양이온 폴리머겔 인 아코젤 C 등의 수중에서 팽윤하고 실질적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양이온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단독 및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처리수를 송액하는 송액 수단으로서 혼합 처리 수단(3)의 전단에 펌프(P1)가 설치되고, 또한, 혼합 처리 수단(3)과 응집 처리 수단(4) 사이에 펌프(P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응집 처리 수단(4)으로부터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에는,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통수되도록, 도 1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란 응집 처리 수단(4)의 전단에 설치한 펌프(2) 등의 송압(피처리수를 송액하기 위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 즉, 송압이 거의 대기로 빠져나가지 않는 밀폐형인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응집 처리 수단(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처리수가 도입되는 원통 형상의 응집조(11)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회류가 발생하도록 피처리수를 응집조(11)의 하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응집조(11)에 도입하는 피처리수 도입구(12)와, 피처리수를 응집조(11)의 상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배출하는 피처리수 배출구(13)를 갖는다. 피처리수 도입구(12)가 응집조(11)의 하부에 설치되고, 피처리수 배출구(13)가 응집조(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선회류는 상향류이다. 또한 응집조(11)는 내부가 중공의 원통의 상면 및 바닥면이 덮개로 덮여 있는 형상이며, 도입된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 즉 밀폐형이다. 또한, 도 1~도 3에서는, 응집 처리 수단(4)으로서, 피처리수를 응집조(11)의 상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배출하는 피처리수 배출구(13)를 갖는 것을 기재했지만, 피처리수 배출구(13)는 응집조(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응집조(11)의 상부로부터 피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응집조(11)의 접선 방향이 아닌 상부 측면에 피처리수 배출구(13)를 갖는 응집 처리 수단(4A)이어도 되고, 또한 응집조(11)의 정상부에 피처리수 배출구(13)를 갖는 응집 처리 수단(4B)이어도 된다. 도 4(a)는 응집 처리 수단(4A)의 상면도, 도 4(b)는 응집 처리 수단(4A)의 측면도, 도 4(c)는 응집 처리 수단(4A)의 모식도, 도 4(d)는 응집 처리 수단(4B)의 상면도, 도 4(e)은 응집 처리 수단(4B)의 측면도, 도 4(f)는 응집 처리 수단(4B)의 모식도이다.
또한, 응집조(11)의 크기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내경은 상한으로 2m 정도이고, 내경:높이=1~5:3~10 정도이면 된다. 또한 피처리수 도입구(12)나 피처리수 배출구(13)를 설치하는 위치에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피처리수 도입구(12)의 통수 방향 단면의 중심 위치가 응집조(11)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피처리수 도입구(12)의 반경+2m 이내, 또한 피처리수 배출구(13)의 통수 방향 단면의 중심 위치가 응집조(11)의 천정부로부터 하방으로 피처리수 배출구(13)의 반경+2m 이내이면 좋다. 또한, 피처리수의 통수량이나 체류시간, G값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피처리수의 통수량은 초기 유속(피처리수 도입구 유속): 0.5~2.0[m/s], 체류시간: 0.1~10분, 바람직하게는 2~5분, 응집조 평균 G값: 20~200[l/s]으로 하면 좋다.
또한 혼합 처리 수단(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피처리수가 도입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혼합조(16)와, 피처리수를 교반하여 응집제와 피처리수를 혼합하는 급속의 교반기(17)와, 혼합 처리한 피처리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일시 저류조(18)를 갖는다.
그리고,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은, 침전 처리, 가압 부상 처리, 여과 처리나, 막 분리 처리 등, 탁질 등의 플록을 제거하는 고액 분리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탁질 등과 응집제로 형성된 플록을 포착하는 끈 형상(섬유 형상)의 여과체를 갖는 여과 장치(20)이다. 또한, 침전 처리나 가압 부상 처리는, 응집제를 피처리수에 첨가할 때에, 가성 소다, 소석회나 황산 등으로 pH 조정을 행하고, 최후에 유기계 고분자 응집제로 현탁물을 플록화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유기 응결제를 병용해도 좋다. 또한 막 분리 처리로서는 정밀 여과막(MF막), 한외 여과막(UF막), 나노 여과막(NF막), 또는, 역침투막(RO막)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처리 장치(1)에서는, 우선, 원수조(2)에 저류된 피처리수(원수)가 통수하는 배관에, 응집제가 응집제 도입 수단(6)에 의해 도입되고, 피처리수에 응집제가 첨가된다. 그리고, 응집제가 첨가된 피처리수는 혼합 처리 수단(3)의 혼합조(16)에 도입되고, 교반기(17)에 의해 비교적 급속하게 교반되어, 피처리수와 응집제가 혼합된다. 이것에 의해, 피처리수 중에 포함되는 탁질 등과 응집제로 플록이 형성된다. 이어서, 플록이 형성된 피처리수는 일시적으로 저류조(18)에 저류된다. 그리고, 일시적으로 저류조(18)에 저류된 피처리수는 펌프(P2)에 의해 송액되고, 응집 처리 수단(4)의 응집조(11)의 하부에 접선 방향에 설치된 피처리수 도입구(12)로부터 응집조(11)의 하부에 도입된다. 이와 같이, 응집조(11)의 하부에 접선 방향에 설치된 피처리수 도입구(12)로부터 피처리수를 도입하면, 도 2(a)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회류가 발생한다. 이 선회류에 의해 상기 혼합 처리 수단(3)에서 형성된 플록이 비교적 완만하게 교반되어 조대화하고, 그리고, 상승하면서 피처리수 배출구(13)까지 달하고, 이 피처리수 배출구(13)로부터 배출된다. 이 플록을 조대화시키는 처리를 응집 처리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응집조(11)는 내부에 칸막이, 내관이나 교반기 등, 다른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므로, 이 피처리수의 선회류를 저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록이 부재에 충돌 등 하여 미세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양호하게 플록을 조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응집조(11)는 내부에 아무것도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물론, 메인티넌스도 용이하고, 또한 제작 비용이나 운전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향류에서의 통수에서는 숏 패스해 버리므로 응집 효율이 나빠지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통수하면 물의 흐름이 불균일하게 되어 플록이 파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향류로 하면, 수면이 응집조(11) 전체에서 균일하게 상승하기 때문에 교반이 안정하여, 효율적으로 플록의 조대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응집조(11)는 상면 및 바닥면이 덮개로 덮여 있는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도입된 피처리수는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이며, 펌프(P2)의 송압은, 피처리수 배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에서도,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응집 처리되어 피처리수 배출구(13)로부터 배출된 피처리수는 피처리수 배출구(13)와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을 연결하는 배관에 통수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펌프(P2)의 송압은 피처리수 배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에서도 유지되고 있다. 또한 응집 처리 수단(4)으로부터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에는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통수되도록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즉, 응집 처리 수단(4)의 피처리수 배출구(13)와,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에 피처리수를 도입하는 입구와는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응집 처리 수단(4) 및 고액 분리 처리 수단(5) 사이에,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에 피처리수를 통수하기 위한 펌프 등의 송액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피처리수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에 송액 되게 된다. 따라서, 펌프 등의 송액 수단에 의해 조대화시킨 플록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에 의해, 플록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어, 확실하게 청징한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응집 처리 수단(4) 및 고액 분리 처리 수단(5) 사이에,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에 피처리수를 통수하기 위한 펌프 등의 송액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응집 처리 수단의 응집조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된 상태의 수처리 장치나, 피처리수가 응집 처리 수단으로부터 고액 분리 처리 수단까지의 사이에 대기에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통수되는 수처리 장치에서는, 이 펌프 등의 송액 수단의 사용에 의해, 응집 처리에 의해 조대화시킨 플록을 파괴하여 미세화 해버린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플록이 파괴되면, 후단의 고액 분리 처리 수단에 의해, 플록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없게 되어, 청징한 처리수를 얻기 어렵게 된다. 또한 응집 처리의 후에 더욱 교반기 등으로 비교적 급속하게 교반하는 장치를 가지면, 플록을 파괴해 버려, 마찬가지로 청징한 처리수를 얻기 어렵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응집 처리 수단(4) 자체와, 응집 처리 수단(4) 및 고액 분리 처리 수단(5) 사이의 송액을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지 않은 수처리 장치(1)로 했지만, 또한, 혼합 처리 수단(3)도 피처리수를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하고,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혼합 처리 수단(3)으로부터 응집 처리 수단(4)에 도입되는 수처리 장치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처리수(원수)가 저류된 원수조(2)와, 혼합 처리 수단(3A)과, 혼합 처리 수단(3A)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되는 응집 처리 수단(4)과, 응집 처리 수단(4)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를 고액 분리 처리하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또한 혼합 처리 수단(3A)의 전단에는 응집제를 피처리수에 첨가하는 응집제 도입 수단(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3과 동일한 장치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동일한 장치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수처리 장치에서는, 혼합 처리 수단(3A)은 라인 믹서를 2개 직렬로 연결한 것이며,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유지되는 것이다. 물론, 라인 믹서의 수에 한정은 없다. 또한 혼합 처리 수단(3A), 응집 처리 수단(4) 및 고액 분리 처리 수단은 차례로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혼합 처리 수단(3A)으로부터 응집 처리 수단(4)을 경유하여 고액 분리 처리 수단에 이르기까지,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통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혼합 처리 수단(3A)으로부터 고액 분리 처리 수단까지, 혼합 처리 수단(3A)의 전단에 설치된 펌프(P1)의 송압이 유지되기 때문에, 송액 수단은 혼합 처리 수단(3A)의 전단에 설치된 펌프(P1)뿐이어도 된다. 따라서, 펌프를 복수 설치하는 것에 의한 비용이나 메인티넌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면적이 작은 관점에서 라인 믹서가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배관을 연장하여 체류 시간을 길게 한 라인 혼합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한 예에서는, 혼합 처리 수단(3)에 도입하기 전의 피처리수에 응집제를 첨가하도록 했지만, 피처리수를 도입한 혼합 처리 수단(3), 즉 혼합조(16)에 응집제를 첨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혼합조나 라인 믹서를 복수 설치하고, 각 혼합조나 라인 믹서마다 상이한 종류의 응집제를 첨가하도록 해도 된다. 라인 믹서마다 상이한 종류의 응집제를 첨가하는, 즉, 상이한 종류의 응집제를 첨가할 때마다 라인 믹서에 통수하는 구성으로 한 수처리 장치에 대하여,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처리수(원수)가 저류된 원수조(2)와, 혼합 처리 수단(3B)과, 혼합 처리 수단(3B)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되는 혼합 처리 수단(3B')과, 혼합 처리 수단(3B')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되는 응집 처리 수단(4)과, 응집 처리 수단(4)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를 고액 분리 처리하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을 갖는다. 또한 혼합 처리 수단(3B)의 전단에는 무기 응집제를 피처리수에 첨가하는 무기 응집제 도입 수단(6A)이 설치되고, 혼합 처리 수단(3B')의 전단에는 고분자 응집제를 피처리수에 첨가하는 고분자 응집제 도입 수단(6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 처리 수단(3B)의 상류측에는, pH 조정제를 피처리수에 도입하는 pH 조정제 도입 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5와 동일한 장치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동일한 장치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수처리 장치에서는, 혼합 처리 수단(3B) 및 혼합 처리 수단(3B')은 라인 믹서를 각각 3개 직렬로 연결한 동일 구조이며,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유지되는 것이다. 물론, 라인 믹서의 수에 한정은 없다. 또한 혼합 처리 수단(3B) 및 혼합 처리 수단(3B'), 응집 처리 수단(4) 및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은 차례로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혼합 처리 수단(3B)으로부터 혼합 처리 수단(3B') 및 응집 처리 수단(4)을 경유하여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에 이르기까지,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통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혼합 처리 수단(3B)으로부터 고액 분리 처리 수단(5)까지, 혼합 처리 수단(3B)의 전단에 설치된 펌프(P1)의 송압이 유지되기 때문에, 송액 수단은 혼합 처리 수단(3B)의 전단에 설치된 펌프(P1)뿐이어도 된다. 따라서, 펌프를 복수 설치하는 것에 의한 비용이나 메인티넌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응집제를 첨가하고 혼합 처리 수단(3B)에서 처리한 후에, 상이한 종류의 응집제인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고 혼합 처리 수단(3B')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무기 응집제와 탁질, 용해성 COD 성분 등으로 플록이 형성되고, 또한, 이 플록과 고분자 응집제로 더욱 큰 플록이 형성되어 선회류에 의해 조대화된다.
또한 상이한 종류의 응집제를 첨가할 때마다 라인 믹서 및 응집 처리 수단(4)에 순차적으로 통수하는 구성으로 한 수처리 장치로 해도 된다. 이러한 수처리 장치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처리수(원수)가 저류된 원수조(2)와, 혼합 처리 수단(3B)과, 혼합 처리 수단(3B)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되는 응집 처리 수단(4)과, 응집 처리 수단(4)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되는 혼합 처리 수단(3B')과, 혼합 처리 수단(3B')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되는 응집 처리 수단(4')과, 응집 처리 수단(4')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를 고액 분리 처리하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을 갖는다. 도 7에서는, 응집 처리 수단(4)과 응집 처리 수단(4')과는 동일 구조의 것이다. 또한 혼합 처리 수단(3B)의 전단에는 무기 응집제를 피처리수에 첨가하는 무기 응집제 도입 수단(6A)이 설치되고, 혼합 처리 수단(3B')의 전단에는 고분자 응집제를 피처리수에 첨가하는 고분자 응집제 도입 수단(6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 처리 수단(3B)의 상류측에는, pH 조정제를 피처리수에 도입하는 pH 조정제 도입 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6과 동일한 장치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동일한 장치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수처리 장치에서는, 혼합 처리 수단(3B) 및 혼합 처리 수단(3B')은 라인 믹서를 각각 3개 직렬로 연결한 동일 구조이며,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유지되는 것이다. 물론, 라인 믹서의 수에 한정은 없다. 또한 혼합 처리 수단(3B), 응집 처리 수단(4), 혼합 처리 수단(3B'), 응집 처리 수단(4') 및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은 차례로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혼합 처리 수단(3B)으로부터, 응집 처리 수단(4), 혼합 처리 수단(3B') 및 응집 처리 수단(4')을 경유하여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에 이르기까지,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통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혼합 처리 수단(3B)으로부터 고액 분리 처리 수단(5)까지, 혼합 처리 수단(3B)의 전단에 설치된 펌프(P1)의 송압이 유지되기 때문에, 송액 수단은 혼합 처리 수단(3B)의 전단에 설치된 펌프(P1)뿐이어도 된다. 따라서, 펌프를 복수 설치하는 것에 의한 비용이나 메인티넌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응집제가 첨가된 피처리수가 차례로 혼합 처리 수단(3B) 및 응집 처리 수단(4)에서 처리되고, 그 후에 다른 종류의 응집제인 고분자 응집제가 첨가된 피처리수가 차례로 혼합 처리 수단(3B') 및 응집 처리 수단(4')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무기 응집제와 탁질, 용해성 COD 성분 등으로 플록이 형성되어 선회류에 의해 조대화되고, 또한, 이 조대화된 플록과 고분자 응집제로 더욱 큰 플록이 형성되고 선회류에 의해 조대화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5)은 여과 처리 수단이며, 섬유 형상의 여과체를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끈 형상(섬유 형상)의 탁질 포착부를 갖는 여과체가 통수시의 여과부의 공극률이 50~95%가 되도록 여과조에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여과 처리 수단의 구체예로서는 도 8에 도시하는 여과 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8은 여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과 장치(20)는 피처리수가 통수되는 통 형상의 여과조(21)와, 통수되는 피처리수 중의 탁질을 포착하는 여과체(22)를 갖는다. 이 여과체(22)는 여과조(21)의 통수 방향의 양단에 접속되는 코어재(23)와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과조(21)의 통수 방향 양단에는, 탁질 등으로 형성된 플록을 함유하는 피처리수를 자유롭게 통수할 수 있을 정도의 구멍이 복수 설치된 수지제 등의 원형의 플레이트(26)가 설치되고, 각 플레이트(26)의 중심에 코어재(23)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탁질 포착부(24)는 코어재(23)에 일부가 짜 넣어져 고정됨과 아울러 고정되지 않은 소위 루프 형상의 부분은 여과조(21)의 내벽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넓어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여과조(21) 전체에 여과체(22)가 퍼져 있다. 이 때문에, 탁질 포착부(24)는 통수 방향과 교차하므로, 탁질 포착부(24)에 의해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탁질 등을 포착할 수 있다. 또한,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24)는 긴 직사각형(테이프)을 루프 형상으로 한 것이며, 도 9의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24)의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단부까지 도달하지 않은 슬릿(25)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릿(25)을 설치함으로써, 탁질 등의 포착 효과가 향상된다.
여기에서, 여과체(22)는 피처리수의 통수시의 여과부의 공극률이 50~95%, 바람직하게는 6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80%가 되도록 여과조(21)에 충전되어 있다. 공극률은 하기 식으로부터 요청되는 값이다. 그리고, 여과부란 피처리수의 탁질 등이 여과체(22)에 포착되는 영역, 즉, 여과조(21)의 내벽면을 측면으로 하고 통수시의 여과체(22)의 통수 방향 양단을 두께 방향의 양단으로 하여 여과체(22)의 탁질 포착부(24)가 충전되어 있는 층 중, 여과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도 8에서는 코어재(23)의 부분)을 배제한 부분을 말한다. 또한, 여과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여과부는 여과조(21)의 내벽면을 측면으로 하고 통수시의 여과체(22)의 통수 방향 양단을 두께 방향의 양단으로 하여 여과체(22)의 탁질 포착부(24)가 충전되어 있는 층을 말한다. 「여과부의 체적-탁질 포착부의 체적」은,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여과 조작시(피처리수 통수시)에 여과체(22)가 조밀하게 눌리지 않고, 여과조(21) 내에 충전된 상태 그대로 여과 조작시의 여과부가 형성되는 예에서는, 피처리수로 채운 여과조(21)에 여과체(22)를 넣었을 때에 넘친 피처리수의 양으로부터 코어재(23)의 체적을 뺌으로써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여과체(22)의 양단이 각각 여과조(21)의 통수 방향 양단에 고정되어 있고, 여과체(22)는 피처리수의 통수시에 여과조(21) 전체에 퍼져 있기 때문에, 여과조(21)의 내부 전체로부터 코어재(23)의 부분을 뺀 부분이 여과부이다.
공극률(%)=[(여과부의 체적-탁질 포착부의 체적)/여과부의 체적]×100
이러한 여과 장치(20)에 피처리수를 통수하면, 피처리수는 각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24)의 사이나 탁질 포착부(24)에 설치된 슬릿(25)의 사이를 통과하고, 그 때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탁질 등이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24)나 슬릿(25)에 트랩되고, 탁질이 제거된 피처리수가 여과조(21)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통수시의 여과부의 공극률이 50~95%가 되도록 여과체(22)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통수가 방해되지 않고 또한 탁질 등의 트랩도 양호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여과 장치(20)에 도입되는 피처리수는, 탁질 등과 응집제로 형성되고 조대화된 플록의 파괴가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 장치(20)로 양호하게 탁질 등을 트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수시의 여과부의 공극률이 50~95%가 되도록 여과체(22)를 충전함으로써, 통수가 방해되지 않고 또한 탁질 등의 트랩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여과 장치(20)의 폐색을 억제할 수 있어, 청징한 처리수가 얻어진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공극률이 95%보다도 높으면 통수가 양호하게 되어 고속으로 여과하기 쉬워지지만 처리수의 탁도가 현저하게 높아져 버리고, 또한 50% 보다도 낮으면 탁질의 트랩은 양호하지만 통수가 불충분하여 여과 장치나 필요에 따라 후단에 설치하는 막 분리 처리 수단에 폐색이 생겨, 차압 상승 속도가 현저하게 높아져 버린다. 특히, 예를 들면, 100m/h 이상의 고속으로 여과운전을 하거나, 탁도가 높은(예를 들면, 20도 이상) 피처리수를 처리하면, 얻어지는 처리수의 탁도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나, 장치가 폐색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기 쉽지만, 공극률이 50~95%가 되도록 여과체(22)를 충전한 여과 장치(20)로 함으로써, 고속 운전이나 탁도가 높은 피처리수이어도, 폐색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청징한 처리수가 얻어진다. 물론, 저속으로 처리하거나, 탁도가 낮은 피처리수를 처리하는 경우이어도, 폐색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청징한 처리수가 얻어진다. 또한, 공극률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탁질 포착부(24)가 여과조(21)의 통수 방향 양단의 근방까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탁질 포착부(24)가 여과조(21)의 내벽면의 근방까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과부의 체적은, 피처리수의 통수시와, 후술하는 역류세정 시나 여과정지 시 등의 그 밖의 상태에서, 체적 변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과부의 체적 변동률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여과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여과 장치에서는, 여과조(21)의 크기는, 예를 들면, 통 형상이면, 직경 100~1000mm, 높이 200~1000mm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과조(21)의 크기가 여과체(22)에 비교하여 큰 경우에는, 복수의 여과체(22)를 여과조(21)에 충전하거나, 여과체(22)의 탁질 포착부(24)를 크게 하는 등 하여, 통수시의 여과부의 공극률이 50~95%이 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코어재(23)나 탁질 포착부(24)의 재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코어재(23)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를 제조 과정에서 엮어 올림으로써 강도를 갖게 해도 좋다. 또한 비틀림 브러시와 같이 부식되지 않는 SUS나 수지로 피복된 금속에 의한 철사를 코어재(23)로 하고, 탁질 포착부(24)를 균등하게 나열한 후, 금속을 비틀어서, 방사상으로 퍼진 여과체(22)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코어재(23)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코어재(23)가 굴곡하지 않게 됨과 아울러, 여과체(22) 단부의 고정이 용이하게 되므로, 여과체(22)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코어재(23)나 탁질 포착부(24)의 크기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두께 0.05~2mm, 폭 1~50mm, 길이(피처리수를 통수했을 때의 코어재로부터의 거리) 10~500mm 정도, 바람직하게는 두께 0.3~2mm, 폭 1~20mm, 길이 50~200mm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통 형상의 여과조(21)로 했지만, 통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통수할 수 있는 형상, 즉, 중공이면 되고, 예를 들면, 각주로 공동을 설치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플레이트(26)에 코어재(23)의 양단을 고정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코어재의 일단만을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플레이트(26)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코어재(23)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여과조(21)의 끝면에 막대 형상 부재를 배치하고, 코어재(23)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8에서는, 루프 형상의 탁질 포착부(24)를 코어재(23)에 돌출 설치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립 형상의 복수의 탁질 포착부로 하고 각 탁질 포착부의 일단을 코어재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8에서는, 탁질 포착부(24)의 단면 형상을 사각형이 되도록 했지만,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각 탁질 포착부의 길이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탁질 포착부(24)의 재질은 1종류로 했지만, 2종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탁질 포착부에 설치하는 슬릿은 복수이어도 단수이어도 되고,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코어재(23)가 없어도 되고, 탁질 포착부만으로 구성되는 여과체(22)로 해도 되지만, 여과체(22)는 여과조(21)에 대략 균일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탁질 포착부를 여과조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처리, 응집 처리 및 고액 분리 처리에 의해, 청징한 처리수가 얻어지는데, 이온교환 처리 등의 탈이온 처리를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순수나 초순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탈탄산 처리나, 활성탄 처리 등, 피처리수의 정제 처리를 더 행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pH 조정제, 응결제, 살균제, 소취제, 소포제, 방식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자외선 조사, 오존 처리, 생물 처리 등을 병용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술하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처리수(원수)로서 공업 용수(탁도 5~7도)를 도 5에 도시하는 수처리 장치로 처리했다. 사용한 수처리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라인 믹서를 2개 연결한 혼합 처리 수단(3A), 도 2에 도시하는 응집 처리 수단(4) 및 도 8에 도시하는 여과 장치(20)를 차례로 갖고, 송액 수단으로서 혼합 처리 수단(3A)의 전단에만 펌프(P1)가 설치되어 있는 수처리 장치로서, 혼합 처리 수단(3A) 및 응집 처리 수단(4)은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유지되는 것이며, 혼합 처리 수단(3A), 응집 처리 수단(4) 및 여과 장치(20)는 차례로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혼합 처리 수단(3A)으로부터 응집 처리 수단(4)을 경유하여 여과 장치(20)에 이르기까지,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통수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 각 처리 수단의 조건을 기재한다.
<혼합 처리 수단>
노리타케 컴퍼니제의 형식 1/2-N50-171-1의 라인 믹서를 2개 직렬로 연달아 접속한 것을 혼합 처리 수단으로 하고, 피처리수의 통수 방향의 1번째의 라인 믹서 앞에서 폴리염화알루미늄(PAC: 10중량% as Al2O3)을 피처리수에 대하여 60mg/L 첨가하고 이 1번째의 라인 믹서 출구로부터 2번째의 라인 믹서 입구까지의 체류 시간을 10초 정도로 하고 또한 2번째의 라인 믹서 직전에서 양성 고분자 응집제(쿠리타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쿠리베스트 E851)를 피처리수에 대하여 4mg/L 첨가했다.
<응집 처리 수단>
응집조의 크기: 내경 100mm×높이 510mm
피처리수 도입구의 위치: 통수 방향 단면의 중심 위치가 응집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반경+20mm
피처리수 배출구의 위치: 통수 방향 단면의 중심 위치가 응집조의 천정부(상면)로부터 하방으로 반경+20mm
피처리수의 통수량: 초기 유속(피처리수 도입구 유속) 1.33[m/s]
피처리수의 체류시간: 1분
교반속도(선회류의 회전속도): 20~30rpm
응집조 평균 G값: 121.07[l/s]
<여과 장치>
여과조의 크기: 직경 200mm, 높이 500mm의 아크릴제의 통 형상 컬럼
여과체: 코어재(23) 및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24)로 이루어지는 여과체(22). 코어재는 체적 250mL이고, 각 탁질 포착부(24)의 두께는 0.5mm, 폭 2mm, 길이(피처리수를 통수했을 때의 코어재로부터의 거리) 100mm가 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짜 넣은 것이며, 통수시의 여과부(여과조(21) 내부의 체적으로부터 코어재(23)의 체적을 뺀 것)의 공극률은 60%이다. 그리고, 여과체(22)의 코어재(23)의 양단이 상하에 배치된 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LV=250m/h
응집조에서의 플록 직경과, 여과 장치 입구 및 출구의 탁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여과 장치 입구 탁도-여과 장치 출구 탁도)/여과 장치 입구 탁도×100으로 하여 구한 탁도 감소율, 여과 장치에 통수를 개시하고 나서의 시간 (「통수 후 경과 시간」으로 기재.)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탁도는 포르마진 표준액을 사용한 투과 산란 측정 방식에 의해 구했다.
(비교예 1)
응집 처리 수단을, 응집조와 교반기를 갖고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하고, 응집 처리 수단과 여과 장치 사이에, 피처리수를 송액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또한, 비교예 1의 응집 처리 수단의 체류 시간은 10분 교반속도는 30rpm이다.
|
응집조 체류시간 |
응집조 교반속도 |
응집조 플록직경 |
통수후 경과시간 |
탁도(NTU) | 탁도 감소율 |
|
여과장치 입구 |
여과장치 출구 |
||||||
비교예 1 |
10분 |
30rpm |
2~3mm |
1분후 | 5.81 | 5.16 | 11.2% |
15분후 | 5.51 | 4.24 | 23.0% | ||||
실시예 1 |
1분 |
20~30rpm |
0.5~3mm |
1분후 | 6.48 | 1.55 | 76.1% |
15분후 | 6.38 | 1.70 | 73.4% |
이 결과,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은 응집조에서의 플록 직경은 거의 동등하지만, 여과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는 실시예 1의 쪽이 현저하게 청징했다. 실시예 1에서는, 응집조에서 플록이 조대화되고, 이 조대화된 플록이 펌프 등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여과 장치에 도입되었기 때문에,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대단히 청징한 물이 얻어졌다고 추측된다. 한편, 응집조와 여과 장치 사이에 송액하기 위하여 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던 비교예 1에서는, 여과 장치에 도입되는 피처리수는 플록이 파괴되어, 미세한 것으로 되어 여과 장치에서 포착할 수 없었다고 추측된다.
이하에 여과 장치(20)의 효과를 나타내는 참고예를 나타낸다.
(여과 장치의 공극률과 차압 상승 및 처리수 탁도의 관계)
피처리수(원수)로서 탁도 20도의 공업용수를 도 11에 도시하는 수처리 장치(30)를 사용하여, LV 200m/h로 1주일 처리했다. 수처리 장치(3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처리수(원수)가 도입되는 반응조(31)와, 무기 응집제가 유지되는 무기 응집제조(32)로부터 반응조(31)에 무기 응집제를 도입하는 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응집제 도입 수단(33)과, 고분자 응집제가 유지되는 약품조(34)로부터 반응조(31)에 약품을 도입하는 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약품 도입 수단(35)과, 반응조(31)에서 교반기(36)로 교반함으로써 응집 처리한 피처리수가 도입되는 도 8의 여과 장치(20)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여과 장치(20)에 사용한 여과체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재(23) 및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24)로 이루어지고, 여과조(21)의 통수 방향 양단의 플레이트(26)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코어재(23)는 체적 250mL이고, 각 탁질 포착부(24)의 두께는 0.5mm, 폭 2mm, 길이(피처리수를 통수했을 때의 코어재로부터의 거리) 100mm가 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코어재에 짜 넣어진 것이며, 탁질 포착부(24)의 편입 밀도를 변화시켜, 통수시의 여과부(여과조(21) 내부의 체적으로부터 코어재(23)의 체적을 뺀 것)의 공극률이 30, 40, 50, 60, 70, 80, 90, 95, 98%의 여과체를 제작하고, 각 여과체를 사용하여 수처리 했다. 또한, 코어재는 양단에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피처리수 통수시와 그 밖일 때에는 여과부의 체적 변화율은 거의 0%이었다. 또한 여과조(21)의 크기는 직경 200mm, 높이 500mm이다. 또한 응집제로서 피처리수에 대하여 30mg/L의 폴리염화알루미늄(PAC: 10중량% as Al2O3) 및 피처리수에 대하여 0.7mg/L의 양성의 고분자 응집제 쿠리베스트 E851(쿠리타고교제)을 첨가했다. 여과 장치로부터 배출된 처리수의 탁도(처리수 탁도) 및 여과 장치의 차압 상승 속도(차압 상승 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처리수의 탁도는 카올린 표준액을 사용한 투과광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하고, 여과 장치의 차압 상승 속도는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로 구했다.
이 결과, 여과체를 통수시의 여과부의 공극률이 50~95%가 되도록 충전한 여과 장치에서는, 50~95%의 범위외의 것에 비해 현저하게 차압 상승 속도 및 처리수 탁도가 낮아, 청징한 처리수가 얻어지고, 또한 폐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공극률% |
코어재 및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로 이루어지는 여과체 | |
차압 상승 속도 (kPa/D) |
처리수 탁도 (도) |
|
98 | 0 | 16 |
95 | 0 | 3.7 |
90 | 0 | 3 |
80 | 0 | 2.2 |
70 | 0.1 | 1.1 |
60 | 0.1 | 1.1 |
50 | 2 | 0.9 |
40 | 19 | 0.8 |
30 | 50 | 0.4 |
1 수처리 장치
2 원수조
3 혼합 처리 수단
4 응집 처리 수단
5 고액 분리 수단
6 응집제 도입 수단
7 pH 조정제 도입 수단
11 응집조
12 피처리수 도입구
13 피처리수 배출구
16 혼합조
17 교반기
20 여과 장치
21 여과조
22 여과체
23 코어재
24 탁질 포착부
26 플레이트
2 원수조
3 혼합 처리 수단
4 응집 처리 수단
5 고액 분리 수단
6 응집제 도입 수단
7 pH 조정제 도입 수단
11 응집조
12 피처리수 도입구
13 피처리수 배출구
16 혼합조
17 교반기
20 여과 장치
21 여과조
22 여과체
23 코어재
24 탁질 포착부
26 플레이트
Claims (4)
- 피처리수에 첨가된 응집제와 피처리수를 혼합하여 플록을 형성하는 혼합조를 갖는 혼합 처리 수단과,
상기 혼합 처리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도입됨과 아울러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원통 형상의 응집조, 선회류가 발생하도록 피처리수를 상기 응집조의 하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상기 응집조에 도입하는 피처리수 도입구, 및, 상기 응집조의 상부에 설치되고 피처리수를 상기 응집조의 상부로부터 배출하는 피처리수 배출구를 갖는 응집 처리 수단과,
상기 응집 처리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응집 처리 수단으로부터 도입되고, 피처리수를 고액 분리 처리하는 고액 분리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 배출구는 피처리수를 상기 응집조의 상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 분리 처리 수단이 끈 형상의 탁질 포착부를 갖는 여과체가 통수시의 여과부의 공극률이 50~95%가 되도록 여과조에 충전되어 있는 여과 처리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처리 수단은 피처리수를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며, 피처리수가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혼합 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응집 처리 수단에 도입되고, 피처리수를 송액하는 송액 수단이 상기 혼합 처리 수단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79591 | 2010-03-30 | ||
JP2010079591 | 2010-03-30 | ||
PCT/JP2011/058003 WO2011122658A1 (ja) | 2010-03-30 | 2011-03-30 | 水処理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2009A true KR20130012009A (ko) | 2013-01-30 |
Family
ID=4471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1943A KR20130012009A (ko) | 2010-03-30 | 2011-03-30 | 수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305468A1 (ko) |
JP (1) | JP5843071B2 (ko) |
KR (1) | KR20130012009A (ko) |
CN (1) | CN102781847B (ko) |
SG (1) | SG182742A1 (ko) |
TW (1) | TWI508766B (ko) |
WO (1) | WO201112265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2613A (ko) * | 2017-11-08 | 2019-05-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20409B2 (ja) * | 2014-06-18 | 2016-05-18 | 栗田工業株式会社 | 凝集モニタリング装置、凝集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凝集システム |
CN104147953B (zh) * | 2014-08-27 | 2016-08-17 | 苏州清然环保科技有限公司 | 混合装置 |
JP6258277B2 (ja) * | 2014-10-15 | 2018-01-10 | アクアサービス株式会社 | 水質浄化方法および水質浄化システム |
JP6661966B2 (ja) * | 2015-10-23 | 2020-03-11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水中不純物分離器及びこれを備える冷却水循環システム |
CA2980702A1 (en) * | 2016-09-26 | 2018-03-26 | Wilmac, Inc. DBA Boretec Equipment | Portable liquid recovery system with optional preliminary processor and feed |
JP6797706B2 (ja) * | 2017-02-08 | 2020-12-09 | 株式会社東芝 | 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水処理方法 |
JP6602334B2 (ja) * | 2017-03-30 | 2019-11-06 | 栗田工業株式会社 | 規定濃度水の供給方法及び装置 |
JP6965025B2 (ja) * | 2017-05-22 | 2021-11-10 | オルガノ株式会社 | 膜ろ過装置および膜ろ過方法 |
US20240245016A1 (en) * | 2018-09-06 | 2024-07-25 | Marvin Nash | Method of Processing By-Product Water for Optimal Beneficial Use |
CA3112909C (en) * | 2018-09-23 | 2024-06-04 | Marvin NASH | Method of processing by-product water for optimal beneficial use |
CN111348774B (zh) * | 2020-03-11 | 2022-03-15 | 昆明弘承食品科技有限公司 | 一种速溶食品加工萃取用污水处理工艺及装置 |
JP7567218B2 (ja) | 2020-06-09 | 2024-10-16 | 栗田工業株式会社 |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
CN113354134B (zh) * | 2021-05-06 | 2022-05-31 | 江苏横河集团有限公司 | 一种工业自动控制仪表系统 |
JP7050201B1 (ja) | 2021-06-11 | 2022-04-07 | 株式会社クボタ | 異種液体混合装置および水処理設備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7125B2 (ko) * | 1973-06-30 | 1981-04-21 | ||
JPS5323032B2 (ko) * | 1973-11-16 | 1978-07-12 | ||
CH581583A5 (ko) * | 1975-01-21 | 1976-11-15 | Von Roll Ag | |
JPS57132541A (en) * | 1981-02-09 | 1982-08-16 | Kurita Water Ind Ltd | Flocculation reactor |
JPS63315110A (ja) * | 1987-06-15 | 1988-12-22 | Japan Organo Co Ltd | 高速濾過器 |
JPH02277507A (ja) * | 1988-12-29 | 1990-11-14 | Fuji Electric Co Ltd | 汚水の凝集装置、管状凝集器及び処理設備並びに凝集剤の注入方法 |
JP3506724B2 (ja) * | 1993-04-09 | 2004-03-15 | 大成建設株式会社 | 濾過機内蔵型シックナ |
GB9317026D0 (en) * | 1993-08-16 | 1993-09-29 | Clean Water Company The Limite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s |
US5904855A (en) * | 1997-02-27 | 1999-05-18 | David H. Manz | Closed chemically enhanced treatment system |
JPH11244870A (ja) * | 1998-03-05 | 1999-09-14 | Nkk Corp | 汚水の凝集沈澱処理装置およびその洗浄方法 |
JPH11262602A (ja) * | 1998-03-18 | 1999-09-28 | Japan Organo Co Ltd | 長繊維束を用いたろ過塔 |
JP4649791B2 (ja) * | 2001-07-19 | 2011-03-16 | 日本錬水株式会社 | 濾過装置 |
JP3779634B2 (ja) * | 2002-03-18 | 2006-05-31 | オルガノ株式会社 | 長繊維ろ過装置 |
JP2004089766A (ja) * | 2002-08-29 | 2004-03-25 | Ebara Corp | 懸濁水の上向流ろ過方法及び装置 |
JP4726181B2 (ja) * | 2004-07-09 | 2011-07-20 | オルガノ株式会社 | 濾過装置 |
JP2007301453A (ja) * | 2006-05-10 | 2007-11-22 | Nippon Rensui Co Ltd | 塩水の精製方法 |
FR2910822B1 (fr) * | 2006-12-29 | 2009-02-27 | Otv Sa | Procede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d'eau par floculation lestee et decantation |
JP4761216B2 (ja) * | 2007-01-12 | 2011-08-31 | 株式会社石垣 | 二段式凝集混和槽 |
JP5005619B2 (ja) * | 2008-06-18 | 2012-08-22 | 佐藤工業株式会社 | 濾過材の再生利用法 |
MY150813A (en) * | 2008-11-04 | 2014-02-28 | Kurita Water Ind Ltd | Filtration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equipment |
GB0906841D0 (en) * | 2009-04-21 | 2009-06-03 | Aljohani Mohammed S | Nanofiltration process |
JP2011206750A (ja) * | 2010-03-30 | 2011-10-20 | Kurita Water Ind Ltd |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
JP5561473B2 (ja) * | 2010-03-31 | 2014-07-30 | 栗田工業株式会社 | 濾過装置及び水処理装置 |
-
2011
- 2011-03-30 WO PCT/JP2011/058003 patent/WO201112265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3-30 KR KR1020127021943A patent/KR201300120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3-30 CN CN201180011536.8A patent/CN10278184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3-30 SG SG2012055380A patent/SG182742A1/en unknown
- 2011-03-30 TW TW100110957A patent/TWI50876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3-30 JP JP2012508359A patent/JP5843071B2/ja active Active
- 2011-03-30 US US13/577,921 patent/US20120305468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2613A (ko) * | 2017-11-08 | 2019-05-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305468A1 (en) | 2012-12-06 |
CN102781847A (zh) | 2012-11-14 |
TWI508766B (zh) | 2015-11-21 |
JPWO2011122658A1 (ja) | 2013-07-08 |
CN102781847B (zh) | 2014-08-27 |
WO2011122658A1 (ja) | 2011-10-06 |
JP5843071B2 (ja) | 2016-01-13 |
TW201143868A (en) | 2011-12-16 |
SG182742A1 (en) | 2012-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12009A (ko) | 수처리 장치 | |
US11339068B2 (en) | Eductor-based membrane bioreactor | |
KR20130018230A (ko) | 여과 장치 및 수처리 장치 | |
JP5257591B2 (ja) | 水処理方法 | |
TWI447076B (zh) | 水處理裝置、水處理方法、膜分離活性污泥處理裝置、膜分離活性污泥處理方法、活性污泥處理裝置、活性污泥處理方法、廢水處理裝置及廢水處理方法 | |
JP2011088053A (ja) | 淡水化処理設備及び方法 | |
JP5142660B2 (ja) | 排水回収装置 | |
JP2010036180A5 (ko) | ||
KR101282985B1 (ko) | 여과 장치 및 수처리 장치 | |
JP5586749B2 (ja) |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およ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 |
KR101469891B1 (ko) | 지표수·지하수 워터블랜딩 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 |
JP4071364B2 (ja) | 逆浸透膜分離装置の前処理装置 | |
JP6662558B2 (ja) |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 |
WO2011136043A1 (ja) | 廃水処理装置および廃水処理方法 | |
KR100538126B1 (ko) | 침지형 막분리를 이용한 유기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그 방법 | |
KR20150146477A (ko) | 기포 발생기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
KR101610599B1 (ko) | 고조류 및 고탁도 시에 적용하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와 침지형 분리막조를 이용한 고도 수처리 장치 및 고도 수처리 방법 | |
JP2002346347A (ja) | ろ過装置及び方法 | |
JP2018008220A (ja) |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 |
JP2010207752A (ja) |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 |
KR100842435B1 (ko) | 전기장 장치와 여과장치를 결합한 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 |
KR102315906B1 (ko) | 수두차를 이용한 막여과 고도정수처리 장치 | |
JP2014046235A (ja) | 造水方法 | |
JP6833645B2 (ja) |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 |
KR101961685B1 (ko) | 슬러지의 침전 및 탈수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