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622A - 시트 슬라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슬라이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9622A KR20130009622A KR1020120070681A KR20120070681A KR20130009622A KR 20130009622 A KR20130009622 A KR 20130009622A KR 1020120070681 A KR1020120070681 A KR 1020120070681A KR 20120070681 A KR20120070681 A KR 20120070681A KR 20130009622 A KR20130009622 A KR 201300096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rail
- rail
- guide
- movable
- sli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7—J-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43—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20—Measures for elimination or compensation of play or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시트 슬라이드 장치는 로킹 상태(P)와 언로킹 상태(Q)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시트 슬라이드 장치가 로킹 상태(P)에 있을 경우, 상측 레일(2)에 부착된 로크 부재(18)는 하측 레일(1)에 형성된 로크 홀(10)과 맞물린다. 이것은 하측 레일(1)에 대한 상측 레일(2)의 운동을 규제한다. 시트 슬라이드 장치가 언로킹 상태(Q)에 있을 경우에, 로크 부재(18)는 로크 홀(10)에서 분리되어 상측 레일(2)을 하측 레일(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한다. 언로킹 상태(Q)에서는, 가동부(29)와 하측 레일(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반대로, 로킹 상태(P)에서는, 가동부(29)가 하측 레일(1)과 접촉하여, 가동부(29)와 하측 레일(1) 사이에 간극이 없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측 레일에 대해 상측 레일을 가동(可動)되게 지지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10-315810호 공보에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플라스틱 돌출부를 갖는 슬라이더가 상측 레일에 부착되어 있다. 상측 레일은 이동시 슬라이더를 하측 레일에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것은 상측 레일의 이동시, 하측 레일에 대한 상측 레일의 덜걱거림(rattling)을 방지한다.
그러나, 전술한 문헌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플라스틱 돌출부가 하측 레일에 계속적으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상측 레일을 하측 레일에서 언로킹해도, 상측 레일의 운동에는 저항이 일어나기 쉬울 수 있다. 또한, 하측 레일과 상측 레일 사이에는 치수 정밀도의 오차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 플라스틱 돌출부에 의해 생기는 탄성력은 변하기 쉬우므로, 상측 레일의 운동의 저항을 지나치게 증가시킨다. 이것은 상측 레일의 이동 조작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레일을 하측 레일에 대해 로킹할 경우에,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 사이의 치수 정밀도의 오차는 플라스틱 돌출부의 하측 레일과의 접촉 또는 분리를 야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측 레일은 하측 레일에 대해 덜걱거리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측 레일과 상측 레일 사이에 치수 정밀도의 오차가 있을지라도, 상측 레일을 하측 레일에서 언로킹할 경우, 상측 레일의 운동의 저항을 저감하고, 상측 레일을 하측 레일에 로킹할 경우, 하측 레일에 대한 상측 레일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바닥에 고정된 하측 레일, 시트에 고정되며, 하측 레일에 대해 가동되게 지지되는 상측 레일, 하측 레일에 형성되며, 상측 레일의 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로크부(lock portion), 및 상측 레일에 부착된 로크 부재, 상측 레일에 설치된 가동부, 및 인터로킹(interlocking) 기구를 포함하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시트 슬라이드 장치는, 로크 부재가 로크부와 맞물려 하측 레일에 대한 상측 레일의 운동을 규제하는 로킹 상태와, 로크 부재가 로크부와 분리되어 하측 레일에 대한 상측 레일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언로킹 상태와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가동부는 하측 레일의 가이드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근 및 분리된다. 인터로킹 기구는 로크 부재의 운동을 가동부의 운동으로서 전달한다. 언로킹 상태에서, 가동부는 가이드부로부터 분리된다. 로킹 상태에서, 가동부는 가이드부에 접근하여, 가동부와 가이드부 사이의 간극을 언로킹 상태에서의 간극에 비해 줄인다. 인터로킹 기구는, 상측 레일에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측 레일에 설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는 상측 레일이 하측 레일에 대해 이동하는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가이드는, 슬라이더에 설치된 가동부가 슬라이더의 운동을 통해 가이드부에 대해 분리 또는 접근하게 한다. 인터로킹 기구는 로크 부재의 운동을 슬라이더를 통해 가동부에 전달함으로써, 가동부를 이동시킨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의 (a)는 도 1의 (a)의 해당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본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의 (a)는 로킹 상태의 로크 부재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언로킹 상태의 로크 부재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
도 4의 (a)는 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
도 5의 (a)는 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6의 (a)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7의 (a)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가 로킹 상태에 있을 경우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8의 (a)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2의 (a)는 도 1의 (a)의 해당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본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의 (a)는 로킹 상태의 로크 부재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언로킹 상태의 로크 부재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
도 4의 (a)는 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
도 5의 (a)는 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6의 (a)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7의 (a)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가 로킹 상태에 있을 경우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8의 (a)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언로킹 상태의 가동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슬라이드 장치를 도 1의 (a) 내지 도 6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 중에, 전후 방향(X), 좌우 방향(Y), 및 상하 방향(Z)은 도 1의 (a) 내지 도 2의 (b)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규정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좌측 및 우측의 하측 레일(1)이 차량의 바닥(도시 생략)에 고정된다. 하측 레일(1)은 각각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상측 레일(2)은 시트(도시 생략)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고정된다. 상측 레일(2)은 해당 하측 레일(1)에 각각 떠받쳐져 전후 방향(X)으로 가동되게 지지된다.
도 3의 (a) 내지 도 4의 (b)를 참조하면, 하측 레일(1)은 저부 플레이트부(3), 한 쌍의 측부 플레이트부(4), 한 쌍의 상부 플레이트부(5), 및 한 쌍의 데드 플레이트부(dead plate portion)(6)를 각각 포함한다. 측부 플레이트부(4)는 저부 플레이트부(3)의 좌단부 및 우단부에서 상방으로 만곡 및 연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부 플레이트부(5)는 좌측 및 우측의 측부 플레이트부(4)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만곡 및 연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데드 플레이트부(6)는 좌측 및 우측의 상부 플레이트부(5)에서 하방으로 만곡 및 연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저부 플레이트부(3), 좌측 및 우측의 측부 플레이트부(4), 좌측 및 우측의 상부 플레이트부(5), 및 좌측 및 우측의 데드 플레이트부(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수용 챔버(7)로서 형성된다.
수용 챔버(7)는 상향의 개구(8) 및 해당 개구(8) 아래에 위치되는 홈(9)을 갖는다. 개구(8)는 양쪽 데드 플레이트부(6) 사이에 배치되며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홈(9)은 측부 플레이트부(4)들 중 대응하는 측부 플레이트부(4)와 연관된 데드 플레이트부(6) 사이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된다. 2개의 데드 플레이트부(6) 중 하나는 로크부로서 각각 기능하는 복수의 로크 홀(10)을 갖는다. 로크 홀(10)은, 데드 플레이트부(6)의 미리 정해진 구역에 배치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고, 전후 방향(X)으로 정렬된다.
각각의 상측 레일(2)은, 서로 겹쳐지는 한 쌍의 측부 플레이트(11)에 의해 구성된다. 각각의 측부 플레이트(11)는,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레일(2)의 전단부(2a)와 후단부(2b) 사이에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측부 플레이트(11)의 하부는 하측 레일(1)의 수용 챔버(7)에 수용된다. 측부 플레이트(11)의 하부에는, 한 쌍의 좌측 및 우측의 가이드 플레이트부(13) 및 한 쌍의 아암(arm) 플레이트부(14)가 형성된다. 각각의 아암 플레이트부(14)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3)들 중 대응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3)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만곡 및 연장된다.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부(13)는 해당 개구(8)에 삽입되며, 가이드 플레이트부(13) 사이의 간격을 좌우 방향(Y)으로 넓혀 슬라이딩 홈(12)을 형성한다. 아암 플레이트부(14)는 좌측 및 우측의 해당 홈(9)에 수용된다.
각각의 아암 플레이트부(14)는 롤러(15)를 지지한다. 롤러(15)는 하측 레일(1)의 저부 플레이트부(3) 상에 탑재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가이드(16)는 각각의 아암 플레이트부(14)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도 5의 (a) 내지 도 6의 (b)를 참조하면, 규제면(16a)이 가이드(16) 상에 각각 형성되며, 전후 방향(X)에서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각각의 측부 플레이트(11)의 상부는 하측 레일(1)의 해당 개구(8)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도 1의 (a) 내지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상측 레일(2)은 전후 방향(X)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브래킷(bracket)(17)을 갖는다. 브래킷(17)은 상측 레일(2)의 구성 요소인 2개의 측부 플레이트(11) 중 하나에 부착된다. 로크 부재(18)는 지지 샤프트(19)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브래킷(17)에 의해 지지된다. 로크 부재(18)는 복수의 로크 클로우(claw)(로크부)(18a)를 포함한다. 핸들(20)은 로크 부재(18)에 맞닿아 있다.
텐션 코일 스프링(21)의 양 단부는 상측 레일(2) 및 로크 부재(18)에 걸려져 있다. 복수의 이스케이프 홀(escape hole)(13a)이, 데드 플레이트부(6)의 로크 홀(10)에 대응하여, 상측 레일(2)의 구성 요소인 가이드 플레이트부(13) 중 하나에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이스케이프 홀(14a)은 로크 홀(10)에 대응하여, 상측 레일(2)의 구성 요소인 아암 플레이트부(14) 중 하나에 형성된다.
도 1의 (a), 도 1의 (b), 및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킹 상태(P)에서, 로크 부재(18)는 핸들(20)과 함께 텐션 코일 스프링(21)에 의해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18)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샤프트(19)를 중심으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로크 클로우(18a)가 하측 레일(1)의 로크 홀(10) 및 상측 레일(2)의 이스케이프 홀(13a, 14a)과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로킹 상태(P)는 하측 레일(1)에 대한 상측 레일(2)의 전후 방향(X)의 운동을 규제한다.
도 3의 (b)는 로킹 상태(P)에서의 텐션 코일 스프링(2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핸들(20)을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b)의 상태에서는,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부재(18)는 지지 샤프트(19)를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로크 클로우(18a)가 하측 레일(1)의 로크 홀(10) 및 상측 레일(2)의 이스케이프 홀(13a, 14a)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것은 도 3의 (a)에 나타낸 로킹 상태(P)를 도 3의 (b)에 나타낸 언로킹 상태(Q)로 전환한다. 언로킹 상태(Q)에서는, 상측 레일(2)이 하측 레일(1)에 대해 전후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면, 각각의 상측 레일(2)은, 인터로킹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하며 로크 부재(18)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버(22)를 갖는다. 각각의 레버(22)는 상측 레일(2)에 대해 지지 샤프트(2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각의 레버(22)는 지지 샤프트(23)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아암부(24), 및 지지 샤프트(2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아암부(25)를 갖는다. 로크 부재(18)와 맞물리는 전달부(24a)가 각각의 상측 아암부(24)에 형성된다. 각각의 전달부(24a)는 로크 부재(18)와 맞물려서, 로크 부재(18)의 회전을 레버(22)의 회전으로서 전달한다.
인터로킹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각각의 슬라이더(26)는 슬라이딩 홈(12) 내에 수용된다. 슬라이더(26)는 상측 레일(2)에 대해 전후 방향(X)으로 왕복 운동한다. 각각의 슬라이더(26)의 단부측은 지지 샤프트(27)를 통해 레버(22)들 중 대응하는 레버(22)의 하측 아암부(25)에 연결된다. 텐션 코일 스프링(28)의 양 단부는 대응하는 레버(22)의 상측 아암부(24)에 연결된다.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가동부(29)가 슬라이더(26)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다. 각각의 가동부(29)는 슬라이딩 홈(1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5의 (b)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각각의 가동부(29)는 중간부(30), 및 중간부(30)에서 좌우 방향(Y)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접촉부(31)를 포함한다. 하측 레일(1)의 해당 데드 플레이트부(6)가 통과되는 통로(32)가 중간부(30)와 각각의 접촉부(31)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접촉부(31)는 해당 인터로킹 수단의 일부인 해당 가이드(16)가 삽입되는 규제 홀(33)을 갖는다. 규제 홀(33)은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접촉부(31)는 하측 레일(1)의 구성 요소인 해당 측부 플레이트부(4)의 내면(4a)(가이드부)에 대면하는 벽부(34)를 갖는다. 벽부(34)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Z)으로 개구되는 클리어런스(31a)가 형성된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부재(18)가 로킹 상태(P)에 있을 경우, 각각의 레버(22)의 전달부(24a)는 로크 부재(18)와 분리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텐션 코일 스프링(28)의 가압력이 연관된 지지 샤프트(23)를 중심으로 레버(22)를 회전시켜서, 해당 슬라이더(26)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가동부(29)가 상측 레일(2)의 슬라이딩 홈(1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은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16)의 규제면(16a)이 해당 접촉부(31)의 규제 홀(33)의 내면을 들어올리게 한다. 따라서, 접촉부(31)가 하측 레일(1)의 구성 요소인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가이드부)에 접근 및 접촉하여, 내면(5a)과 접촉부(31) 사이에는 간극(G)이 없어지게 된다(접근 상태(SP)). 즉, 로킹 상태(P)에서는, 각각의 접촉부(31)가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에 가압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로크 부재(18)가 언로킹 상태(Q)에 있을 경우에, 로크 부재(18)는 텐션 코일 스프링(28)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2개의 레버(22)의 전달부(24a)를 들어올린다. 이것은 연관된 지지 샤프트(23)를 중심으로 각각의 레버(22)를 회전시켜, 해당 슬라이더(26)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가동부(29)가 상측 레일(2)의 슬라이딩 홈(12)에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도 4의 (b) 및 도 6의 (a)를 참조하면, 각각의 가이드(16)의 규제면(16a)이 각각의 접촉부(31)의 규제 홀(33)의 내면을 들어올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각각의 가동부(29)는 연관된 가이드(16)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에서 접촉부(31)를 분리함으로써, 내면(5a)과 접촉부(31) 사이에는 간극(G)이 다시 생긴다(분리 상태(SQ)). 결과적으로,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언로킹 상태(Q)에서, 각각의 접촉부(31)는 하측 레일(1)의 내면(4a)에 약간 접촉하며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과는 분리된다. 이는 하측 레일(1)에 대한 상측 레일(2)의 전후 방향(X)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의 시트 슬라이드 장치를 도 7의 (a) 및 도 8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 2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와 유사 또는 동일한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a) 내지 도 8의 (b)를 참조하면, 각각의 가이드(16)는 해당 측부 플레이트부(4)의 내면(4a)과 대면하는 규제면(16b)을 갖는다. 규제면(16b)은 전후 방향(X)에서 외측으로 경사진다. 각각의 접촉부(31)는 좌우 방향(Y)으로 약간 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로크 부재(18)가 로킹 상태(P)에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접촉부(31)는 하측 레일(1)의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에 접근 및 접촉하여, 내면(5a)과 접촉부(31) 사이에는 간극(G)이 없어진다(접근 상태(SP)). 즉, 로킹 상태(P)에서는, 각각의 접촉부(31)는 내면(5a) 및 내면(4a) 양쪽에 가압된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로크 부재(18)가 언로킹 상태(Q)에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접촉부(31)는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에서 분리되어, 내면(5a)과 접촉부(31)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된다. 한편, 접촉부(31)는 해당 측부 플레이트부(4)의 내면(4a)에서도 분리되어, 내면(4a)과 접촉부(31)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된다(분리 상태(SQ)). 즉, 언로킹 상태(Q)에서는, 각각의 접촉부(31)는 내면(5a) 및 내면(4a) 양쪽에서 동시에 분리되게 된다. 이것은 하측 레일(1)에 대한 상측 레일(2)의 전후 방향(X)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는 후술하는 이점을 갖는다.
(1) 로크 부재(18)가 언로킹 상태(Q)에 있을 경우에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측 및 후측의 가동부(29)가 해당 인터로킹 수단을 통해 분리 상태(SQ)로 각각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4의 (b) 및 도 6의 (a)를 참조하면, 각각의 가동부(29)의 각각의 접촉부(31)와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된다. 이것은, 하측 레일(1)과 상측 레일(2) 사이에 치수 정밀도의 오차가 있을 경우에도, 하측 레일(1)에 대한 상측 레일(2)의 운동의 저항을 저감한다. 결과적으로, 상측 레일(2)의 원활한 운동이 가능해진다.
(2) 반대로, 로크 부재(18)가 로킹 상태(P)에 있을 경우에는, 전측 및 후측의 가동부(29)가 해당 인터로킹 수단을 통해 접근 상태(SP)로 각각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가동부(29)의 각각의 접촉부(31)와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 사이에 간극(G)이 없어진다. 이것은, 하측 레일(1)과 상측 레일(2) 사이에 치수 정밀도의 오차가 있을 경우에도, 하측 레일(1)에 대한 상측 레일(2)의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3) 인터로킹 수단은 각각의 상측 레일(2)에 형성된 레버(22), 레버(22)에 연결되는 슬라이더(26), 및 상측 레일(2)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16)에 의해 구성된다. 인터로킹 수단은, 로크 부재(18)가 언로킹 상태(Q)에 있을 경우의 분리 상태(SQ)와, 로크 부재(18)가 로킹 상태(P)에 있을 경우의 접근 상태(SP)로, 가동부(29)를 전환하도록 간단히 구성된다. 여기에서 인터로킹 수단은 인터로킹 기구라고도 할 수 있다.
(4) 제 1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가동부(29)의 각각의 접촉부(31)는, 각각의 상측 레일(2)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에 대해 접촉 및 분리된다. 이것은 언로킹 상태(Q)에서 상측 레일(2)의 운동의 저항을 고르게 저감하고 로킹 상태(P)에서 상측 레일(2)의 덜걱거림을 고르게 방지한다. 이 경우에, 각각의 가이드(16)의 규제면(16a)은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31)의 운동 방향을 상하 방향(Z)으로 설정하도록 형상될 수 있다.
(5) 제 2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상측 레일(2)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뿐만 아니라, 상측 레일(2)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서도, 각각의 가동부(29)의 접촉부(31)가 해당 측부 플레이트부(4)의 내면(4a)에 대해 접촉 및 분리된다. 또한, 이 구성은 언로킹 상태(Q)에서 상측 레일(2)의 운동의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며 로킹 상태(P)에서 상측 레일(2)의 덜걱거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이 경우에, 각각의 가이드(16)의 규제면(16b)은, 해당 측부 플레이트부(4)의 내면(4a)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31)의 운동 방향을 좌우 방향(Y)으로 설정하도록 형상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는 후술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형태에서, 로크 부재(18)가 로킹 상태(P)에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가동부(29)의 각각의 접촉부(31)와 해당 상부 플레이트부(5)의 내면(5a) 사이에는 간극(G)이 없어진다. 그러나, 이 간극(G)은, 로크 부재(18)가 언로킹 상태(Q)에 있을 때의 간극(G)에 비해 크기가 작고 하측 레일(1)에 대한 상측 레일(2)의 덜걱거림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면, 반드시 없을 필요는 없다.
예시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로크 부재(18)의 운동을 해당 가동부(29)의 운동으로서 전달하는 인터로킹 수단은 레버(22), 슬라이더(26), 및 가이드(16)에 의해 형성되는 링크 기구 및 캠 기구 이외의 임의의 적절한 기구가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예시한 실시형태는 각각의 상측 레일(2)의 해당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되는 2개의 가동부(29), 2개의 레버(22), 2개의 슬라이더(26), 및 2개의 가이드(16)를 포함한다. 그러나, 하나의 가동부(29)만이 각각의 로크 부재(18) 아래에 채용 배치될 수 있다.
1 하측 레일 2 상측 레일
2a 상측 레일의 전단부 2b 상측 레일의 후단부
4 측부 플레이트부 4a 측부 플레이트부의 내면
5 상부 플레이트부 5a 상부 플레이트부의 내면
6 데드 플레이트부 7 수용 챔버
8 개구 9 홈
10 로크 홀 11 측부 플레이트
12 슬라이딩 홈 13 가이드 플레이트
13a 이스케이프 홀 14 아암 플레이트
14a 이스케이프 홀 15 롤러
16 가이드 16a 규제면
16b 규제면 17 브래킷
18 로크 부재 18a 로크 클로우
19 지지 샤프트 20 핸들
23 지지 샤프트 24 상측 아암부
24a 전달부 25 하측 아암부
26 슬라이더 27 지지 샤프트
28 텐션 코일 스프링 29 가동부
30 중간부 31 접촉부
31a 개구 32 통로
33 규제 홀 34 벽부
2a 상측 레일의 전단부 2b 상측 레일의 후단부
4 측부 플레이트부 4a 측부 플레이트부의 내면
5 상부 플레이트부 5a 상부 플레이트부의 내면
6 데드 플레이트부 7 수용 챔버
8 개구 9 홈
10 로크 홀 11 측부 플레이트
12 슬라이딩 홈 13 가이드 플레이트
13a 이스케이프 홀 14 아암 플레이트
14a 이스케이프 홀 15 롤러
16 가이드 16a 규제면
16b 규제면 17 브래킷
18 로크 부재 18a 로크 클로우
19 지지 샤프트 20 핸들
23 지지 샤프트 24 상측 아암부
24a 전달부 25 하측 아암부
26 슬라이더 27 지지 샤프트
28 텐션 코일 스프링 29 가동부
30 중간부 31 접촉부
31a 개구 32 통로
33 규제 홀 34 벽부
Claims (5)
- 바닥에 고정된 하측 레일,
시트(seat)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 레일에 대해 가동(可動)되게 지지되는 상측 레일,
상기 하측 레일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 레일의 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로크부(lock portion), 및
상기 상측 레일에 부착된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로크부와 맞물려 상기 하측 레일에 대한 상기 상측 레일의 운동을 규제하는 로킹 상태와,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로크부와 분리되어 상기 하측 레일에 대한 상기 상측 레일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언로킹 상태와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시트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 레일의 가이드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근 및 분리되는 가동부, 및
상기 로크 부재의 운동을 상기 가동부의 운동으로서 전달하는 인터로킹(interlocking)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언로킹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로킹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접근하여, 상기 가동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간극을 상기 언로킹 상태에서의 간극에 비해 줄이고,
상기 인터로킹 기구는,
상기 하측 레일에 대해 이동하는 상기 상측 레일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상측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가동부를 상기 슬라이더의 운동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분리 또는 접근시키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로킹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의 운동을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가동부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상측 레일의 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는 규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킹 기구는 상기 상측 레일의 마주보는 측부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레일은 상기 상측 레일의 마주보는 측부들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딩 홈이 2개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가동부 중 하나이고,
각각의 상기 가동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딩 홈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중 하나이고,
각각의 가이드는 상기 접촉부들 중 대응하는 접촉부를 이동시키는 규제면을 갖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측 레일의 이동시 상기 대응하는 접촉부가 통과하는 홈의 내벽면이며, 상기 하측 레일의 마주보는 측부들에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킹 기구는, 상기 상측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 레일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로크 부재와 인터로킹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로킹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의 회전을 상기 레버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154988 | 2011-07-13 | ||
JP2011154988A JP5368516B2 (ja) | 2011-07-13 | 2011-07-13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9622A true KR20130009622A (ko) | 2013-01-23 |
KR101589592B1 KR101589592B1 (ko) | 2016-01-28 |
Family
ID=4747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0681A KR101589592B1 (ko) | 2011-07-13 | 2012-06-29 | 시트 슬라이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668180B2 (ko) |
JP (1) | JP5368516B2 (ko) |
KR (1) | KR101589592B1 (ko) |
CN (1) | CN102874137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0896A (ko) * | 2021-10-08 | 2023-04-17 | 주식회사다스 | 이동식 레일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67602B2 (ja) * | 2010-09-15 | 2014-04-09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
JP5787368B2 (ja) * | 2012-02-13 | 2015-09-30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JP5949282B2 (ja) * | 2012-07-30 | 2016-07-06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
CN106536270B (zh) * | 2014-07-15 | 2018-10-26 | 丰田车体精工株式会社 | 座椅滑动装置 |
JP6401973B2 (ja) * | 2014-08-26 | 2018-10-10 |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 シートレール装置 |
CN104309267B (zh) * | 2014-09-17 | 2016-08-17 |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基板贴合方法、触控显示基板、显示装置 |
US10160350B2 (en) * | 2015-06-30 | 2018-12-2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 Adjusting device for longitudinal adjustment of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assembly |
JP6348195B2 (ja) * | 2016-06-27 | 2018-06-27 | トヨタ車体精工株式会社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US10717373B2 (en) | 2016-06-27 | 2020-07-21 | Toyota Body Seiko Co., Ltd. | Seat slide device |
CN107953804B (zh) * | 2016-10-14 | 2021-04-09 | 丰田车体精工株式会社 | 座椅滑动装置 |
CN107891783A (zh) * | 2017-11-20 | 2018-04-10 | 泰姆勒汽车部件(苏州)有限公司 | 汽车座椅滑动装置 |
CN108188601B (zh) * | 2018-02-07 | 2023-06-09 | 苏州司巴克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 一种油嘴放置机构 |
CN108831253B (zh) * | 2018-05-24 | 2020-06-09 |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 一种英语翻译学习辅助装置 |
CN112356744A (zh) * | 2020-11-06 | 2021-02-12 |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 一种汽车座椅滑轨消间隙机构 |
EP4301624A2 (en) | 2021-03-05 | 2024-01-10 | Camaco, LLC | Reinforced track assembly for vehicle seat |
CN113276733B (zh) * | 2021-06-21 | 2022-07-01 | 延锋国际座椅系统有限公司 | 汽车滑轨的锁止机构及其使用方法 |
CN115431849A (zh) * | 2022-09-28 | 2022-12-06 | 浙江龙生汽车部件科技有限公司 | 带消间隙机构的汽车座椅长滑轨及其涨紧机构的工作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00752A (ja) * | 1996-09-30 | 1998-04-21 | Oi Seisakusho Co Ltd |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48261A (en) | 1992-12-21 | 1994-09-20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Low mass manual two-way seat adjuster |
JPH10315810A (ja) | 1997-05-17 | 1998-12-02 | Nissan Shatai Co Ltd | スライドレールの構造 |
JP3989172B2 (ja) * | 2000-11-29 | 2007-10-10 | シロキ工業株式会社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JP2002283888A (ja) * | 2001-03-29 | 2002-10-03 | Tachi S Co Ltd | 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
KR100442746B1 (ko) * | 2001-11-08 | 2004-08-02 | 주식회사다스 |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킹시스템 |
KR200357471Y1 (ko) * | 2004-02-23 | 2004-07-30 | 주식회사다스 | 자동차용 시트로킹장치의 로크가이드 |
FR2884462B1 (fr) * | 2005-04-18 | 2007-06-29 | Faurecia Sieges Automobile | Glissie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
JP5430331B2 (ja) * | 2009-10-05 | 2014-02-26 | デルタ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装置のロックユニット取付構造 |
-
2011
- 2011-07-13 JP JP2011154988A patent/JP5368516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6-27 US US13/534,676 patent/US8668180B2/en active Active
- 2012-06-29 KR KR1020120070681A patent/KR1015895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7-11 CN CN201210252228.0A patent/CN102874137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00752A (ja) * | 1996-09-30 | 1998-04-21 | Oi Seisakusho Co Ltd |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0896A (ko) * | 2021-10-08 | 2023-04-17 | 주식회사다스 | 이동식 레일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018439A (ja) | 2013-01-31 |
CN102874137B (zh) | 2015-08-05 |
US8668180B2 (en) | 2014-03-11 |
JP5368516B2 (ja) | 2013-12-18 |
KR101589592B1 (ko) | 2016-01-28 |
US20130015312A1 (en) | 2013-01-17 |
CN102874137A (zh) | 2013-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09622A (ko) | 시트 슬라이드 장치 | |
US8469328B2 (en) |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 |
US8770534B2 (en) |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 |
EP2738037B1 (en) |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 |
US8925889B2 (en) | Vehicle seat sliding device | |
KR20160083210A (ko) |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및 그 조립방법 | |
JP2006281893A (ja) | 自動二輪車用サイドトランクのロック装置 | |
US10850642B2 (en) | Seat slide device | |
KR101294388B1 (ko) | 자동차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 |
JP6334750B1 (ja) | 引き違い戸装置 | |
CN210122859U (zh) | 手套箱解锁装置和车辆 | |
JP6679410B2 (ja)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JP2004210258A (ja) |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KR101732914B1 (ko) | 차량용 도어래치 | |
US10040374B2 (en) | Seat slide device | |
CA2856459C (en) | Cage door-shaft door coupling | |
US11572255B2 (en) | Door lock operation member for elevator door lock device | |
JP6492876B2 (ja) |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JP6510587B2 (ja) | エレベータのフロアドア開閉装置および異常判定装置 | |
KR101585265B1 (ko) |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크장치 | |
JP7436264B2 (ja)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JP6422402B2 (ja) | エレベータのドアシグナル装置 | |
JP3137523U (ja) | パチンコ遊技機の施錠装置 | |
JPWO2014097372A1 (ja) | シートスライド装置及びシート装置 | |
JP2022110611A (ja)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