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084A -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084A
KR20130009084A KR1020110069920A KR20110069920A KR20130009084A KR 20130009084 A KR20130009084 A KR 20130009084A KR 1020110069920 A KR1020110069920 A KR 1020110069920A KR 20110069920 A KR20110069920 A KR 20110069920A KR 20130009084 A KR20130009084 A KR 2013000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binobin
gastric 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cance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애리
송재인
강유진
용해영
김영중
Original Assignee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9084A/ko
Publication of KR2013000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4Dendrob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석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석곡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덴비노빈은 석곡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성분으로서 위암 전이에 중요한 S100A8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침윤성을 감소시키며, 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위암 억제 효과가 뛰어나 위암 치료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Gastric Cancer Containing Denbinobin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석곡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성분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양은 발암유전자(oncogene) 및 종양억제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와 같은 유전자에 돌연변이(mutation)가 일어나서 발생하는 유전적 질환이며, 세포 차원에 원인이 있는 질환이다. 발암 유전자 산물(oncogene product)들은 정상시에는 세포에서 서로 네트워크를 이루어 세포의 분열이나 분화의 신호전달 체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들의 조절이 비정상적이 되면 세포의 분화 과정이 단절되고 무한정 분열을 계속하게 되어 종양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암은 주로 3가지 치료법, 즉 외과적인 수술, 방사선조사 및 화학요법 중 1 가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치료되고 있다. 수술은 질병 조직을 대부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외과적 수술은 특정 부위, 예컨대 유방, 결장 및 피부에 위치한 종양을 제거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척추와 같이 수술하기 어려운 구역에 있는 종양을 치료하거나 백혈병과 같은 전신에 흩어져 있는 분산성 종양을 치료하는데는 사용할 수 없다. 화학요법은 세포 복제 또는 세포 대사를 붕괴시켜 암을 치료하는 것으로서 각종 종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나, 정상세포에도 작용하므로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특히, 세포분열과 세포대사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조혈기관에 작용하여 환자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부작용은 환자의 생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화학치료제와 관련된 부작용으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약물의 투여시 주의해야 하는 주용량 제한 독성(DLT)이 있다. 예를 들어, 점막염은 여러 항암제, 예컨대 항대사물질 세포독소제인 5-플루오로우라실, 메토트렉세이트 및 항종양 항생제(예, 독소루비신) 등에 대한 주용량 제한 독성이다. 이와 같이 화학치료제 및 방사선 치료에 의한 부작용들은 암 환자의 임상적 처치시 주요 문제가 되고 있으며, 화학요법 치료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정상적인 세포에서도 일어나는 세포분열 또는 세포대사를 붕괴시켜 암치료를 하는 것이 아니라 암세포에서만 발현되거나 과발현되는 유전자 산물을 찾아내어 이들의 발현을 억제한다면 정상세포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만을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는 항암제의 개발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신호전달경로(signal transduction pathway)를 비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발암유전자(oncogene) 또는 종양억제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의 발현단백질을 찾아내어 이들을 조절함으로서 잘못된 신호전달경로를 정상적으로 환원시켜 주면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탁월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항암제를 개발할 수 있다.
위암은 전세계적으로 암이환율 및 암사망율이 가장 높은 암이며,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러시아, 중유럽, 남중미, 홍콩, 스칸디나비아 등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 중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위암에 대한 탁월한 치료효과를 가진 항암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1. Chen et al., J Nutr Biochem, (2010, Nov 8). 2. Tsai et al., J Nutr Biochem, 22(7), 625-623, (2011). 3. Kuo et al., J Biomed SCi, 1(16), 43, (2009).
본 발명은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석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덴비노빈은 석곡추출물에서 추출된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핵심 성분이다.
석곡(Dendrobium moniliforme)은 현화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난초목, 난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에서 여러 개의 굵은 뿌리를 내리고 여러 개의 줄기가 높이 20cm 정도로 모여 자란다. 줄기는 퉁퉁하고 마디가 있다. 잎은 2~3년생으로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며 광택이 있다. 표면은 진록색이고 기부은 엽초와 연결된다. 오래된 줄기에는 잎이 달리지 않는다. 5~6월에 오래된 줄기의 위쪽 마디에서 1~2개의 흰색 또는 연분홍색의 향기가 있는 꽃이 달린다. 중앙부 꽃받침잎은 피침형 예두이고 꽃잎은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 색이 변화가 많은 편이다.
남부지방의 바위 겉이나 노출된 고목 표면에 붙어서 자라는 상록다년초이다.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덴비노빈은 석곡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줄기로부터 추출된다. 또한, 석곡으로 추출하지 않고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덴비노빈의 치료학적 유효농도는 0.01% 내지 25%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덴비노빈은 최소농도 0.01%에서도 위암에 대해 유효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글루칸은 임상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글루칸은 실제 임상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글루칸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위암용 조성물은 암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고, 위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MMP-2, MMP-9의 활성을 감소하고 S100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암세포 침윤성을 감소시켜 항-위암 효과를 나타내는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위암을 억제 및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농도의 덴비노빈을 간암세포(A), 위암세포(B), 자궁경부암세포(C)에 처리한 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암세포 독성을 확인한 실험이다.
도 2는 인간위암세포에 덴비노빈을 처리한 뒤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Bax)의 발현이 증가하고,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Bcl2)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한 웨스턴 블랏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인간위암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덴비노빈을 처리하여 세포 침윤성 감소를 확인한 세포 침윤성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인간위암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덴비노빈을 처리하여 MMP-2와 MMP-9 단백질의 활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한 젤라틴 자이모그램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인간위암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덴비노빈을 처리하여 S100A8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한 웨스턴 블랏 분석 결과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실험 재료의 준비
(1-1) 석곡으로부터 덴비노빈의 추출
건조한 석곡 줄기를 절단하여 80% 메탄올(MeOH)로 3시간 동안 초음파로 3회 추출하여 그 추출액을 모두 합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총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이로부터 용매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n-헥산, 클로로포름(CHCl3), 부탄올 (n-BuOH)로 분획하였다. 이 중 CHCl3 분획물을 n-헥산, CHCl3,메탄올의 혼합용매 (n-Hexane:CHCl3=1:1→CHCl3→CHCl3:MeOH=100:1→CHCl3:MeOH=0:100)을 사용하여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총 12개의 소분획 (C1-C12)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C4에 대하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EtOAc), 메탄올의 혼합용매(n-Hexane:EtOAc=30:1→n-Hexane:EtOAc=1:1→EtOAc:MeOH=100:0→EtOAc:MeOH=0:100)을 사용하여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총 11개의 소분획 (C4-1-C4-11)으로 나누었다. 이 중 소분획 C4-10을 MeOH로 재결정하여 덴비노빈을 얻었다.
(1-2) 세포 배양
본 실험에 사용된 세포주는 위암 세포로서 SNU-484, 간암 세포로서 SK-Hep-1, 자궁경부암 세포로서 HeLa를 사용하였다.
SK-Hep-1과 HeLa 세포는 10% FBS와 100 units/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DMEM/F12 배지를 사용하여 5% CO2를 함유한 37℃ 항온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SNU-484 세포는 RPMI 1640(L-glutamine) 배지에 10% FBS, 1% 50 unit/ml 젠타마이신을 첨가하여 5% CO2를 함유한 37℃ 항온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덴비노빈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평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덴비노빈을 여러 농도로 하여 위암세포(SNU-484), 간암세포(SK-Hep-1), 자궁경부암세포(HeLa)에 24시간 동안 처리한 뒤 MTT 분석법으로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다.
MTT 분석법은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tetrazolium을 청자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으로 환원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이용하는 검사법이며,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위암세포(SNU-484), 간암세포(SK-Hep-1), 자궁경부암세포(HeLa)에 덴비노빈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덴비노빈의 처리 농도는 위암세포의 경우 5, 10, 15, 20, 25, 30 ㎛, 간암세포의 경우 1, 2, 3, 4, 5, 6, 7, 8, 9, 10, 11 ㎛, 자궁경부암세포의 경우 10, 20, 30, 40, 50 ㎛로 하였다. 배양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웰에 MTT 용액을 100ul씩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희석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각 웰에 100ul의 DMSO를 첨가하여 15-20분간 플레이트 쉐이커로 흔들어 준뒤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흡광도는 MTT가 세포의 의해 환원된 양을 나타내며 각 웰에 존재하는 생존 세포수와 비례한다. 측정된 흡광도 값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도를 계산하고, t-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p < 0.05를 유의적인 수치로 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하다시피 덴비노빈은 모든 암세포(위암, 간암, 자궁경부암)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었고, 위암의 경우는 가장 낮은 농도에서도 독성을 보여 덴비노빈이 모든 암세포에 독성을 보이지만 위암 세포에서 가장 강력한 독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덴비노빈의 인간 위암세포에 대한 세포사멸 효과
인간 위암 세포에 덴비노빈을 10 ㎛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뒤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단백질(Bcl2 및 Bax)의 발현을 확인하여 보았다.
단백질 발현 분석은 웨스턴 블랏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6-웰 플레이트에 인간 위암세포인 SNU-484 세포를 배양하고 24시간 후 무혈청 배지와 덴비노빈을 10 ㎛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PBS로 세포를 씻어준 다음, 용해 버퍼(50 mM Tris-HCl (pH 6.8), 2% SDS, 1 mM EDTA, 100 mM DTT containing protease inhibitor cocktail) 200 ul를 넣어 세포를 떼어내어 단백질 추출물을 만든다. 단백질을 정량(Beckman, DU650)하여 동량의 단백질을 95℃이상에서 5분간 끓인 후 냉각하여 12% SDS-PAGE 젤에 전기영동(Novex Xcell II, E19001)하여 전개된 단백질을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나이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으로 옮겼다. 멤브레인을 5% 스킴 밀크(skim milk)로 블라킹한 뒤, 1차 항체로서 anti-Bcl2, anti-Bax, anti-βactin을 부착시키고, 2차 항체로 붙여준 후 ECL 반응 용액으로 1분 동안 반응시켰다. X-ray 필름에 멤브레인을 노출시켜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는 t-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p < 0.05를 유의적인 수치로 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확인하다시피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Bax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덴비노빈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위암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덴비노빈의 위암세포에 대한 침윤성 감소효과
인간 위암세포(SNU-484)에 덴비노빈을 1, 2.5, 5, 10, 20 ㎛ 농도로 18시간 동안 처리한 뒤 세포의 침윤성 변화여부를 확인하였다.
세포 침윤성 변화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침윤성 연구는 지름이 6.5 ㎜이고 세공 크기(pore size)가 8.0 ㎛인 24-웰 트랜스웰 유닛(transwell unit)을 사용하여 침윤성 연구를 시행하였다(Albini et al., Cancer Res., 47, 3239-3245, 1987). 먼저, 필터의 바깥쪽 바닥 부분에 0.5 ㎎/㎖의 타입 I 콜라겐을 코팅하고 공기 중에서 1시간 정도 건조시킨 다음, 다 마르면 안쪽 부분에 0.5 ㎎/㎖의 재구성된 기저막 물질(Matrigel)로 코팅하였다. 24-웰의 바닥에는 0.1%의 BSA(Sigma)를 함유한 배지를 600 ㎖ 넣고 트랜스웰의 안쪽에는 세포 (5 ×04)를 덴비노빈과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DMEM/F12, 100units/㎖ penicillin-streptomycin) 100 ㎕에 잘 혼합하여 넣었다. 37℃, 5% CO2 배양기에 넣고 17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메탄올에 1분간 담궈서 씻어낸 후 10분 동안 헤마토실린(hematoxylin)으로 세포막 염색을 하고 다시 에오신(eosin)으로 4분 동안 핵염색을 하였다. 필터의 안쪽 부분을 면봉을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안쪽에 남은 세포를 모두 제거하고 한 시간 가량 실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그 필터를 잘라내어 자일렌(xylene)에 넣어서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를 슬라이드 글라스(slide glass)에 놓고 그 위에 캐나다 발삼(Canada balsam)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 커버 글라스 (cover glass)를 덮어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400배율 현미경으로 임의의 13 곳에서 세고을 통과한 세포 수를 세어서 평균을 내었다.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하다시피 덴비노빈을 처리하자 농도 의존적으로 위암 세포의 침윤성이 감소되었다. 이를 통해 덴비노빈이 위암세포의 침윤을 감소시켜 위암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덴비노빈의 위암세포에 대한 MMP-2, MMP-9 활성 감소효과
덴비노빈을 처리하였을때 인간 위암세포에서 침윤 과정에 있어서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 BM)을 분해시키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MMP-2(matrix metalloproteinases-2)와 MMP-9(matrix metalloproteinases-9)의 활성을 연구하기 위해 젤라틴 자이모그램 분석법(gelatin zymogram assay)을 수행하였다.
젤라틴 자이모그램 분석법은 다음과 같다.
인간 위암세포인 SNU-484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BS로 씻어내고 무혈청 배지와 덴비노빈을 농도별로(1, 2.5, 5, 10, 20 ㎛)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후 상등액을 모아서 원심분리하여 Speed Vaccum을 이용해 농축하였다. 단백질을 정량(Beckman, DU650)하여 동량의 단백질을 0.1% 젤라틴이 포함된 10% SDS-PAGE 젤에 전기영동하였다. 젤은 2.5% Triton X-100으로 30분씩 세 번 씻어내고, 40 mM Tris, 200 mM NaCl, 10 mM CaCl2 용액을 넣어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0.1% 코마시 브릴리언트 블루 염색액으로 40분간 염색하고, 10% 아세트산으로 30분씩 두 번 탈색하였다. 이때 전체적인 배경은 푸른색을 나타내며, 단백질이 분해된 부분은 흰색 밴드로 나타난다. 밴드의 두께를 t-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p < 0.05를 유의적인 수치로 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덴비노빈을 농도별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을때 농도 의존적으로 MMP-2와 MMP-9의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낮은 농도의 덴비노빈을 처리하였을 때는 MMP-2와 MMP-9의 활성이 눈에 띄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2.5 ㎛ 이상의 고농도의 덴비노빈을 처리하였을 때부터는 MMP-2와 MMP-9의 활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덴비노빈에 의한 인간위암세포에서의 침윤성 감소(실험예 3의 결과)는 MMP-2와 MMP-9을 매개체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덴비노빈의 위암세포에 대한 S100A8 발현 감소효과
암세포의 침윤성 활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MMP의 활성을 S100 단백질이 증가시킨다고 보고(Saleem et al., Proc. Natl. Acad. Sci, 103, 14825-14830 (2006); Emberley et al., Cancer Res, 63, 1954-1961(2003); Young et al., Arch Pharm Res, 30, 75-81(2007))되어 있으며, 최근 연구는 S100 단백질 중 S100A8(myeloid-related protein-8, MRP8, calgranulin A)이 종양의 발달이나 예측에 관련이 있다고 밝혀져 있다(Ott et al., Cancer Res, 63, 7507-7514(2003); Arai et al., Eur. J. Cancer, 40, 1179-1187(2004)). 이에, 덴비노빈을 인간위암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S100A8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웨스턴 블랏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1차 항체로서 anti-S100A8, anti-βactin을 부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2의 웨스턴 블랏 분석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간위암세포에 덴비노빈을 처리하였을때 S100A4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덴비노빈에 의한 인간위암세포에서의 침윤성 감소(실험예 3의 결과)는 MMP-2, MMP-9과 함께 S100A8을 매개체로 이용함을 알 수 있었다.
항-위암 효과가 뛰어난 본 발명의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및 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하기에 비경구용 제형으로 주사제, 경구용 제형으로 시럽제 및 정제로 제조하였다.
< 제제예 1> 주사액제의 제조방법
유효성분 10 mg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덴비노빈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상기 주사액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덴비노빈······················1 g
염화나트륨···················0.6 g
아스코르브산··················0.1 g
증류수·····················정량
<제제예 2> 시럽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덴비노빈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 2%(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덴비노빈, 사카린, 당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가 되게 하였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덴비노빈················· 2 g
사카린 ·····················0.8 g
당 ························ 25.4 g
글리세린······················ 8.0 g
향미료 ······················ 0.04 g
에탄올 ·······················4.0 g
소르브산 ······················0.4 g
증류수 ·······················정량
< 제제예 3> 정제의 제조방법
유효성분 15 mg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덴비노빈 250 g을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상기 정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덴비노빈 ···················· 250 g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콜로이드성 규산 ················ 32 g
10% 젤라틴 용액
감자전분 ····················160 g
활석 ······················ 50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5

Claims (4)

  1.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2. 덴비노빈(Denbinobin)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덴비노빈은 치료학적 유효용량이 0.01%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덴비노빈은 석곡으로부터 추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10069920A 2011-07-14 2011-07-14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09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920A KR20130009084A (ko) 2011-07-14 2011-07-14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920A KR20130009084A (ko) 2011-07-14 2011-07-14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084A true KR20130009084A (ko) 2013-01-23

Family

ID=4783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920A KR20130009084A (ko) 2011-07-14 2011-07-14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90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3920A (zh) * 2014-06-26 2014-09-03 王芬 一种治疗胃癌的中药组合物
CN104758659A (zh) * 2015-04-30 2015-07-08 王燕刚 一种治疗筋骨病的中药膏剂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3920A (zh) * 2014-06-26 2014-09-03 王芬 一种治疗胃癌的中药组合物
CN104758659A (zh) * 2015-04-30 2015-07-08 王燕刚 一种治疗筋骨病的中药膏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8403B2 (ja) アシュワガンダの葉抽出物による腫瘍細胞選択的増殖阻害
KR101957632B1 (ko) 섬유화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50290231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CELLULAR SENESCENCE COMPRISING QUERCETIN-3-O-beta-D-GLUCURONIDE
KR20080107794A (ko)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US20200376066A1 (en) Immunity-boosting agent, immuno-therapeutic anti-cancer agent, and anti-cancer therapy adverse effect mitigating agent containing anthocyanin-fucoidan complex as active ingredient
KR20100049454A (ko) 암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암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30009084A (ko) 덴비노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위암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42283A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10114346A (ko)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720610B1 (ko) Stat3 저해활성을 갖는 토목향 헥산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20150048563A (ko) 오리나무, 재쑥 및 백화전호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24040A (ko) 해삼 생식선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의 항암 용도
KR102336045B1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5901B1 (ko)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0965304B1 (ko) Hsp 27의 과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609470B1 (ko)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532265B1 (ko) 돌단풍(Aceriphyllum rossii) 유래 3-하이드록시올레안-12-엔-27-오익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골 용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8932B1 (ko)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10602A (ko) 일본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치료 및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926021B1 (ko) 텔렉타디엄 동나이엔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21500A (ko) 청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210145110A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5504B1 (ko)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암 예방 및 치료용 항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