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470B1 -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470B1
KR101609470B1 KR1020140129405A KR20140129405A KR101609470B1 KR 101609470 B1 KR101609470 B1 KR 101609470B1 KR 1020140129405 A KR1020140129405 A KR 1020140129405A KR 20140129405 A KR20140129405 A KR 20140129405A KR 101609470 B1 KR101609470 B1 KR 10160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fumarprotocetraric
thamnol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선
김항건
탄누엔티
김경근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9Liche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Abstract

본 발명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colorectal cancer metastasis comprising extracts of Thamnolia vermicularis or Cetraria ericetorum, or thamnolic acid or fumarprotocetraric acid, or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장암 세포의 이동과 침윤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10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53만 명이 사망하는 난치성 질환이다. 이러한 대장암은 노령화와 식이패턴의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전체 암 발생의 12.7%로 3위를 차지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대장암의 발생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인간의 고형암종들 중에서 정상 점막에서부터 이형성상피, 선종, 선암에 이르는 단계적인 암 발생 과정과 이에 원인이 되는 유전자들의 소실 또는 돌연변이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연구가 가장 잘 밝혀진 암으로 암 발생기전 연구 모델 질환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수행된 대장암의 분자유전학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장암은 유전체의 불안정성 형태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염색체 불안정형(chromosomal instability, CIN) 표현형이고, 다른 하나는 현미부수체 불안정형(high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H) 표현형 대장암이다.
CIN 대장암은 전체 대장암의 75~80%를 차지하며, 문지기 유전자 (Gatekeeper gene)인 APC(adenomatous polyposis coli) 유전자의 배선 돌연변이(germline mutation)에 의해 발생한다고 한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대장암의 발생과정은 APC/β-카테닌(β-catenin)의 기능상실 돌연변이에 의해 시작되어 K-ras와 같은 종양형성 유전자의 기능활성 돌연변이와 p53, Smad2(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2, 18q), Smad4(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4, 18q) 등과 같은 암억제 유전자의 결손 또는 기능소실 돌연변이가 정상 대장 점막에서부터 이형성상피, 선종, 선암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순차적으로 누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 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윈트/β-카테닌(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에서 β-카테닌(β-catenin)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윈트/β-카테닌(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에서 윈트(Wnt) 단백질이 프리즐드(frizzled) 및 LRP5/6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았을 때 β-catenin은 APC-axin-GSK-3β 복합체 내의 카세인 인산화 효소 Ⅰ(casein kinase I)과 GSK3β에 의해서 인산화 및 분해되어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핵내 유전자 발현을 매개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어떤 변이에 의해 세포의 윈트(Wnt) 단백질이 프리즐드(frizzled) 및 LRP5/6 수용체와 결합하게 되면 Dvl(dishevelled)가 활성화되어 APC-axin-GSK-3β 복합체를 해체시키고, GSK3β에 의해 인산화되지 않은 활성형 β-카테닌의 세포질 축전과 핵내 전위가 증가하여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여 각종 암들의 발현을 촉진한다. 또한, 윈트(Wnt) 단백질 자극이 없더라도 이 체계에서 APC 유전자가 소실되거나, axin의 불활성화 변이, β-카테닌 자체의 활성화 변이가 일어나는 경우 암의 발생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세포질 내의 키테닌(KITENIN)은 Dvl(dishevelled) 단백질 및 PKC-δ 단백질과 결합하여 AP-1 전사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암세포의 증식과 침윤을 촉진시켜 각종 암들의 발현을 촉진시키게 된다.
현재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초기에 발견되는 암일 경우 수술, 항암제, 방사선 치료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 부작용 또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대부분 1차 종양이 관찰된 시점에서는 이미 암의 전이가 발견된다. 또한, 말기 암이나 전이된 암의 경우 특별한 치료법이 없어 시한부 인생으로 삶을 마감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독성이 비교적 낮은 천연물로부터 부작용이 적고 암 종의 전이를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효능이 뛰어난 발암 억제제 및 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 mycobionts)와 조류(algae, photobionts)가 복합체가 되어 생활하는 공생생물로서 모양, 크기 및 색깔이 매우 다양하며 주로 바위, 수피 및 토양에서 서식한다. 이러한 지의류는 디디믹 산(didymic acid), 스트렙실린(strepsilin), 소듐 우스네이트(sodium usnate), 레카노릭 산(lecanoric acid), 프소로믹 산(psoromic acid) 등 1, 2차 대사산물들을 생성하여 항미생물(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제초제, 항암, 면역강화, 정신질환 개선 등에 우수한 생리활성을 가지므로 예로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통적으로 식품 또는 약재의 원료로 사용되어 왔다.
하나의 예로, 석이(Umbilicaris esculenta)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특유의 향에 의해 식품으로 사용되거나 복통, 염증 등에 대한 약재로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우스네아 종(Usnea sp.)은 항균, 강심, 진해, 지혈 등에, 네프롬옵시스 오르나타(Nephromopsis ornata)는 건위제로, 탐노리아 종(Thamnolia sp.), 레타릴라 종(Lethariella sp.) 등은 고혈압, 진통, 진정, 해열에 사용되었고, 이 밖에 에버니아 프룬아스트리(Evernia prunastri)는 향료에, 파멜리아 옴파로데스(Parmelia omphalodes)는 염료에 이용되어 있다(Mason et al.,1983). 최근에는 주로 향수나 항생제 제조 및 의약용으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중국 운남성 지역에서는 고급 차의 원료 또는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의류의 생리활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을 이용하여 대장암 전이를 억제하는 효능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또는 이들의 염은 키테닌(KITENIN) 또는 β-카테닌(β-catenin) 유래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하고, 대장암 세포의 이동과 침윤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으므로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상기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및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획득한 대장암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은 유기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서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장암 전이 억제는 대장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거나 감소시켜 대장암 세포의 전이에 의한 사망을 지연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 대장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의 억제 또는 감소는 대장암 세포내에서 윈트/β-카테닌(Wnt/β-catenin) 및 키테닌/AP-1(KITENIN/AP-1) 신호전달체계의 활성을 억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은 대장암 세포 내에서 윈트/β-카테닌(Wnt/β-catenin) 및 키테닌/AP-1(KITENIN/AP-1) 신호전달체계의 활성을 억제하고, 대장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므로 대장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AP-1 리포터 및 KITENIN 벡터 또는 TOPFLASH 리포터 및 β-catenin 벡터를 형질전환시켜 키테닌 또는 β-카테닌에 의해 TOPFALSH 리포터 또는 AP-1 리포터 유전자가 활성화된 인간 배아 신장세포(HEK293T)에 순천대학교의 한국 지의류 연구센터에서 분양 받은 17종의 지의류 추출물은 접종하여 TOPFALSH 리포터 또는 AP-1 리포터 유전자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17종의 지의류 중 A2(Nephroma sp.) 추출물, A5(Physcia sp.) 및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이 TOPFLASH 리포터 활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60% 수준으로 억제하였고, A2(Nephroma sp.) 추출물, A5(Physcia sp.) 추출물,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A26(Flavocetraria nivalis) 추출물 및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이 AP-1 리포터 활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50% 수준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TOPFALSH 리포터 또는 AP-1 리포터 활성을 억제하는 지의류인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및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 배아 신장세포(HEK293T)의 이동(migration)은 지의류 대신 DMSO를 처리한 인간 배아 신장세포(HEK293T)에 비하여 약 20% 억제되었고,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및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의 침윤은 지의류 대신 DMSO를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에 비하여 각각 80%, 60% 억제되었다(실시예 1, 2 및 3-1 참조).
다른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및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을 처리한 대장암 세포(Caco-2 및 HCT-116)의 침윤은 지의류 대신 DMSO를 처리한 대장암 세포에 비하여 약 40% 억제되었다(실시예 3-2 참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인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대장암의 증식, 침윤 및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너무 미약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탐노릭 산(thamnolic acid)은 지의류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 중 하나로, IUPAC명은 1,3-벤젠티카르복실산,2-히드록시-4-메톡실-6메틸-,1-(3-카복시-5-포르밀-4,6-디하이드록시-2-메틸페닐)에스터(1,3-Benzenedicarboxylic acid,2-hydroxy-4-methoxy-6-methyl-,1-(3-carboxy-5-formyl-4,6-dihydroxy-2-methyphenyl ester)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92093192-pat00001
상기 탐노릭 산(thamnolic acid)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지의류 형성 곰팡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탐노리아 종(Thamnolia sp.) 지의류 형성 곰팡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은 지의류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로서, IUPAC명은 3-포르민-2-히드록시-4-매탈벤조닉산-4-카복실-3-히드록시-2,5-디메틸페놀에스터(3-Formyl-2-hydroxy-4-methoxy-6-methylbenzoic acid 4-carboxy-3-hydroxy-2,5-dimethylphenyl ester)로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92093192-pat00002

상기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지의류 형성 곰팡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탐노리아 종(Thamnolia sp.) 지의류 형성 곰팡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은 지의류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로서, IUPAC명은 4-(3-카복실프롭-2엔오일옥시메틸)-10-포르밀-3,9-디하이드록시-1,7-디메틸-6-옥스벤조디옥스에피넨-2-카복실산([b][1,4]벤조디(4-(3-carboxyprop-2-enoyloxymethyl)-10-formyl-3,9-dihydroxy-1,7-dimethyl-6-oxobenzo[b][1,4]benzodioxepine-2-carboxylic acid)으로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3]
Figure 112014092093192-pat00003

상기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지의류 형성 곰팡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트라리아 종(Cetraria sp.) 지의류 형성 곰팡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하나의 예로,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주석산, 젖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콜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대장암 세포에서 Wnt/β catenin 신호전달체계 및 KITENIN/AP-1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하여 대장암의 침윤 및 이동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므로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며, 세포 독성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AP-1 리포터 및 KITENIN 벡터 또는 TOPFLASH 리포터 및 β-catenin 벡터를 형질전환시켜 키테닌 또는 β-카테닌 에 의해 TOPFALSH 리포터 또는 AP-1 리포터 유전자가 활성화된 인간 배아 신장세포(HEK293T)에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2차 대사산물인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스쿠아매틱 산(squamat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D-프로토리케스테릭 산(D-protolichesterinic acid) 및 리케스테릭 산(lichesterinic acid)을 각각 접종하여 TOPFALSH 리포터 또는 AP-1 리포터 유전자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및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은 β-카테닌(β-catenin)에 의해서 활성화된 TOPFLASH 리포터 활성을 2차 대사산물 대신 DMSO를 처리한 인간 배아 신장세포(HEK293T)에 비하여 각각 약 40%, 10%, 30% 억제하였고, 키테닌(KITENIN)에 의해서 활성화 된 AP-1 리포터의 활성을 각각 약 9%, 20%, 20% 억제하였다(실시예 4-2 참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인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대장암의 증식, 침윤 및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너무 미약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활제, 습윤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로 적합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내 주입,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국부 투여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1-100 ㎎/kg(체중)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및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및 이들의 염에 대한 구조, 추출법, 효능, 용도, 제형 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유용하다. 하나의 예로,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푸마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및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상기 성분은 원료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이외에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 당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및 올리고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이 음료일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상술한 성분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장암 세포 내에서 윈트/β-카테닌(Wnt/β-catenin) 및 키테닌/AP-1(KITENIN/AP-1) 신호전달체계의 활성을 억제하고, 대장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시키므로 대장암 세포의 전이에 의한 사망을 지연시키거나 대장암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또는 이들의 염 역시 윈트/β-카테닌(Wnt/β-catenin) 및 키테닌/AP-1(KITENIN/AP-1) 신호전달체계의 활성을 억제하고, 대장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시키므로 대장암 세포의 전이에 의한 사망을 지연시키거나 대장암을 치료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천연물인 지의류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극히 적어 매우 안전하므로 약제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및 이들의 염은 윈트/β-카테닌(Wnt/β-catenin) 및 키테닌/AP-1(KITENIN/AP-1) 신호전달체계의 활성을 저해하고, 대장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므로 대장암 전이 억제를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천연물인 지의류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극히 적어 매우 안전하므로 약제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순천대학교의 한국 지의류 연구센터(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 KoLRI)으로부터 분양받아 제조한 17종의 지의류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에서 AP-1 리포터 또는 TOPFLASH 리포터 유전자 발현 변화를 루시퍼라제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지의류 추출물 중 네프로마 종(Nephroma sp.; A2), 피시아 종(Physcia sp.; A5),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R208), 플라보세트라리아 니발리스(Flavocetraria nivalis; A26) 및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R02)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의 이동(migration)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인간 신장세포 및 인간 신장세포의 이동율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R02)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R208)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의 침윤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인간 신장세포 및 인간 신장세포의 침윤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R02)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R208) 추출물을 처리한 대장암 세포(Caco-2 및 HCT116)의 침윤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대장암 세포 및 대장암 세포의 침윤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5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R02)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R208)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R02)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탐노릭 산(thamnolic acid)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에서 AP-1 리포터 또는 TOPFLASH 리포터 유전자 발현 변화를 루시퍼라제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R02)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스쿠아매틱 산(squamatic acid)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에서 AP-1 리포터 또는 TOPFLASH 리포터 유전자 발현 변화를 루시퍼라제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R02)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에서 AP-1 리포터 또는 TOPFLASH 리포터 유전자 발현 변화를 루시퍼라제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R208)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에서 AP-1 리포터 또는 TOPFLASH 리포터 유전자 발현 변화를 루시퍼라제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R208)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프로토리케스테릭 산(D-protolichesterinic acid)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에서 AP-1 리포터 또는 TOPFLASH 리포터 유전자 발현 변화를 루시퍼라제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R208)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리케스테릭 산(lichesterinic acid)을 처리한 인간 신장세포(HEK293T)에서 AP-1 리포터 또는 TOPFLASH 리포터 유전자 발현 변화를 루시퍼라제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 지의류 추출물 제조
순천대학교의 한국 지의류 연구센터(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 KoLRI)으로부터 17종의 지의류를 분양받았다. 그 다음 상기 지의류를 배양한 후 건조시키고, 건조된 지의류를 분쇄한 후 아세톤을 첨가하여 쏙시렛 추출장치(Soxhlet extracter)로 추출하였다. 그 다음 상기 지의류 추출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25℃에 보관하였다.
제조예 2 : 세포 배양
먼저, 인간 배아 신장(human embryonic kidney, HEK293T) 세포, 인간 대장암 세포주인 Caco-2 및 HCT116을 10% FBS(fetal bovine serum, Gen Depot, USA), 1%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되어 있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en Depot, USA)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은 온도 37℃, 5% CO2가 존재하는 배양기에서 이루어졌으며, 상기 세포들은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ell line bank,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제조예 3 : 암 특이적 벡터 제조
AP-1 결합서열 또는 TCF/LEF 결합서열을 클로닝하여 AP-1 리포터 벡터 및 TOPFLASH 벡터를 제작하였다. 또한, 키테닌(KITENIN) 유전자의 CDS(coding sequence)를 클로닝하여 KITENIN 발현 벡터를 제작하였고, β-카테닌(β-catenin) 유전자의 CDS(coding sequence)를 클로닝하여 β-catenin 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 루시퍼라제(luciferase) 분석을 통한 지의류 추출물의 암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 측정
지의류 추출물의 암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은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군은 TOPFLASH 리포터 벡터 또는 AP-1 리포터 벡터만 사용하였고, 두 번째 군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KITENIN 발현 벡터 또는 β-catenin 발현 벡터를 사용하였다. 이때, pRL-TK 벡터는 레닐라 루시퍼라제(renila luciferase)를 발현하는 벡터로서, 형질전환한 각각의 웰에서의 형질전환효율을 나타내는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예 2에서 배양한 인간 배아 신장(human embryonic kidney, HEK293T)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각각 500 ㎕/웰로 분주한 후 37℃, 5% CO2가 존재하는 배양기에서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2시간 배양 후 트랜스펙션 시약(transfection reagent)과 상기 각 군의 벡터가 혼합된 물질을 각 웰에 넣어준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해주면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17종의 지의류 추출물을 각각 넣어준 다음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는 용해하여 루시퍼라아제 분석 시스템(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 Promega, USA)을 이용하여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또한, 유의성 검증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ukey's HSD)으로 p<0.0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고, SPSS 17.0(Chicago,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지의류 추출물 중 A2(Nephroma sp.) 추출물, A5(Physcia sp.) 추출물 및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은 β-카테닌(β-catenin)에 의해서 활성화된 TOPFLASH 리포터 활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60% 수준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지의류 추출물 중 A2(Nephroma sp.) 추출물, A5(Physcia sp.) 추출물,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A26(Flavocetraria nivalis) 추출물 및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은 키테닌(KITENIN)에 의해서 활성화 된 AP-1 리포터 활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50% 수준으로 억제하였다.
이하 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 억제 실험에서는 Wnt/β-카테닌 신호전달체계 또는 AP-1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지의류인 A2(Nephroma sp.) 추출물, A5(Physcia sp.) 추출물,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A26(Flavocetraria nivalis) 추출물 및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지의류 추출물의 암 세포 이동(migration) 억제 효과 확인
먼저, 상기 제조예 2에서 배양한 인간 배아 신장(human embryonic kidney, HEK293T)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00 ㎕/웰로 분주한 후 37℃, 5% CO2가 존재하는 배양기에서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웰 가운데를 팁을 이용하여 창상(wound)을 생성하였다. 원을 생성한 웰에 A2(Nephroma sp.) 추출물, A5(Physcia sp.) 추출물,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A26(Flavocetraria nivalis) 추출물 및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을 넣고, 37℃, 5% CO2가 존재하는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이동성은 0, 12, 24 및 48시간 마다 사진 촬영하여 관찰하였으며, 배양 48시간째 각 웰의 창상(wound) 넓이를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지의류 추출물 대신 DMSO를 처리한 HEK293T 세포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또한, 유의성 검증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ukey's HSD)으로 p<0.0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고, SPSS 17.0(Chicago,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HEK293T 세포에 지의류 추출물을 처리한 후 배양 시간이 길어질수록 창상(wound)의 넓이가 좁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R02 및 R208 지의류를 처리하고 48시간 배양한 세포의 경우 창상(wound)의 넓이가 대조군에 비하여 20% 넓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지의류 추출물의 암 세포 침윤 억제 효과 측정
3-1. 지의류 추출물 처리에 따른 HEK293T 세포 침윤 억제 효과 측정
8㎛ 공극크기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1% 젤라틴이 코팅된 필터가 있는 트랜스웰 챔버(transwell chamber, Corning Costerm Corning, NY, USA)를 이용하여 세포의 침윤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예 2에서 배양한 HEK293T 세포를 2.4 × 106 세포/웰이 되도록 챔버의 윗 부분에 각각 분주하였다. 챔버의 하층에는 0.2% BSA와 1 ㎍/mL 피브로넥틴(fibronectin)을 포함하는 배양배지를 분주하였다. 그 다음 상기 HEK293T 세포에 A2(Nephroma sp.) 추출물, A5(Physcia sp.) 추출물,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A26(Flavocetraria nivalis) 추출물 및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을 각각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이 끝난 세포는 Diff Quick 키트(sysmex, Kobe, Japan)을 이용하여 고정 및 염색시킨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침윤된 세포의 수를 계수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지의류 추출물 대신 DMSO를 처리한 HEK293T 세포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또한, 유의성 검증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ukey's HSD)으로 p<0.0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고, SPSS 17.0(Chicago,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R02 추출물과 R208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서 침윤된 세포의 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약 80%, 60%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3-2. 지의류 추출물 처리에 따른 대장암 세포 침윤 억제 효과 측정
상기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장암 세포인 Caco-2 및 HCT116 세포에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및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을 처리하여 침윤된 세포의 수를 계수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지의류 추출물 대신 DMSO를 처리한 대장암 세포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또한, 유의성 검증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ukey's HSD)으로 p<0.0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고, SPSS 17.0(Chicago,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R02 추출물과 R208 추출물을 처리한 Caco-2 및 HCT116 세포에서 침윤된 세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 루시퍼라제(luciferase) 분석을 통한 지의류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2차 대사산물의 암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 측정
4-1.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한 지의류 추출물로부터 2차 대사산물 분리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또는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을 2 mL의 아세톤에 녹인 후, 190nm 및 400nm의 검출파장을 가진 분광광도계(photodiode array detector, SPD-M20A)를 갖춘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컬럼(YMC-Pack ODS-A, 150×3.9mm I.D.)에 흡착시켰다. 그 다음 0.04% 디플루오로아세틸(TFA)가 혼합된 80% 메탄올 용액을 용매로 사용하여 용출속도 1 mL/분, 온도 40℃의 조건에서 HPLC를 실시하여 2차 대사산물을 얻었다.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은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및 스쿠아매틱 산(squamatic acid)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은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D-프로토리케스테릭 산(D-protolichesterinic acid) 및 리케스테릭 산(lichesterinic acid)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4-2. 루시퍼라제(luciferase) 분석을 통한 지의류 추출물의 암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4-1에서 R208(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또는 R02(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2차 대사산물인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스쿠아매틱 산(squamat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D-프로토리케스테릭 산(D-protolichesterinic acid) 및 리케스테릭 산(lichesterinic acid)의 암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군은 TOPFLASH 리포터 벡터 또는 AP-1 리포터 벡터만 사용하였고, 두 번째 군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KITENIN 발현 벡터 또는 β-catenin 발현 벡터를 사용하였다. 이때, pRL-TK 벡터는 레닐라 루시퍼라제(renila luciferase)를 발현하는 벡터로서, 형질전환한 각각의 웰에서의 형질전환효율을 나타내는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또한, 유의성 검증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ukey's HSD)으로 p<0.0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고, SPSS 17.0(Chicago,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그 결과를 표 1,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지의류 2차 대사산물 inhibition of
TOPFLASH AP-1
R02 Thamnolia vermicularis Thamnolic acid ++ +
Baeomycesic acid + +
Squamatic acid - -
R208 Cetraria ericetorum Fumarprotocetraric acid ++ +
D-protolichesterinic acid - -
Lichesterinic acid - -
실험결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및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은 β-카테닌(β-catenin)에 의해서 활성화된 TOPFLASH 리포터 활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약 40%, 10%, 30% 억제하였다.
또한, 탐노릭 산(thamnolic acid), 베오마이세식 산(baeomycesic acid) 및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은 키테닌(KITENIN)에 의해서 활성화 된 AP-1 리포터 활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약 9%, 20%, 20% 억제하였다.

Claims (4)

  1.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탐노릭 산(thamnolic acid)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탐노릭 산(thamnolic acid)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대장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3.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탐노릭 산(thamnolic acid)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Thamnolia vermicularis) 추출물,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Cetraria ericetorum) 추출물, 탐노릭 산(thamnolic acid),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 탐노릭 산(thamnolic acid)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fumarprotocetraric acid)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대장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
KR1020140129405A 2014-09-26 2014-09-26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60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05A KR101609470B1 (ko) 2014-09-26 2014-09-26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05A KR101609470B1 (ko) 2014-09-26 2014-09-26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470B1 true KR101609470B1 (ko) 2016-04-05

Family

ID=5580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405A KR101609470B1 (ko) 2014-09-26 2014-09-26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171A (ko) 2021-12-09 2023-06-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증식 및 전이 억제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vol.4(9), pp.817-823 (2010.5.4.)
Letter Planta Med. vol.70, pp.1098-1100 (2004.)
Letter Planta Med. vol.77, pp.2042-2046 (20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171A (ko) 2021-12-09 2023-06-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증식 및 전이 억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307B1 (ko) 안토시아닌-후코이단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제, 면역항암제 및 항암제 부작용 완화제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09470B1 (ko)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170098170A (ko) 신규한 인돌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816601B1 (ko) 오가피 열매 유래 물질이 포함된 혈관노화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3461B1 (ko) 백미 추출물의 디옥시퍼굴라리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결핵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00088231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암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43058B1 (ko) 슈도사이펠라리아 코리아세아 추출물, 또는 피스키오스포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WO2018056772A1 (ko)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KR101678646B1 (ko) 빵 나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00124086A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085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2471017B1 (ko) 청괴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185901B1 (ko)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336045B1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2126B1 (ko)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4-하이드록시데리신 또는 크산토안젤롤을 함유하는 악액질 또는 노인성근육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68932B1 (ko)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1984A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20160034752A (ko) 플라보세트라리아 커큐레타 추출물, 또는 우스닉 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230099141A (ko) 흑법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6283B1 (ko) 카지놀 a 또는 이를 포함하는 꾸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광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3748B1 (ko) 합다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 내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230035824A (ko) 원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로 인한 부작용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