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956A -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956A
KR20130007956A KR1020110127279A KR20110127279A KR20130007956A KR 20130007956 A KR20130007956 A KR 20130007956A KR 1020110127279 A KR1020110127279 A KR 1020110127279A KR 20110127279 A KR20110127279 A KR 20110127279A KR 20130007956 A KR20130007956 A KR 20130007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c object
content
mod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645B1 (ko
Inventor
이택헌
이상일
은동진
국승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A284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CA2841524C/en
Priority to EP12811538.3A priority patent/EP2732364B1/en
Priority to CN201280034654.5A priority patent/CN103649899B/zh
Priority to US13/546,681 priority patent/US9727225B2/en
Priority to MX2014000453A priority patent/MX2014000453A/es
Priority to CN201810105537.2A priority patent/CN108052265B/zh
Priority to AU2012281308A priority patent/AU2012281308B2/en
Priority to BR112014000778A priority patent/BR112014000778A2/pt
Priority to PCT/KR2012/005498 priority patent/WO2013009092A2/en
Priority to RU2014100873A priority patent/RU2617384C2/ru
Priority to JP2014520122A priority patent/JP6154374B2/ja
Publication of KR2013000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956A/ko
Priority to US15/670,699 priority patent/US2017033693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화면상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 통해 컨텐츠 복사, 삭제, 제거, 이동, 전송, 속성 변경, 압축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인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USING GRAPHIC OBJE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화면상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 통해 컨텐츠 복사, 삭제, 제거, 이동, 전송, 속성 변경, 압축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는 현대인에게 필수품이 되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데이터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및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증가함에 따라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인터렉션(interaction)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화면 상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별도의 키 조작 또는 메뉴 실행과 같은 복잡한 절차없이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컨텐츠의 복사, 삭제, 이동, 전송, 속성 변경, 압축, 타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보기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을 인식하고,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된 위치에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며,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 감지 시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화면상에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복사, 이동, 삭제, 제거, 전송, 속성 변경, 압축, 연결된 타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보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메뉴 화면으로 이동하거나 메뉴키를 입력하는 별도의 과정없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별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따라 타 단말기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와 컨텐츠를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를 화면 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를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 표시하는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를 타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타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타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타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보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키를 이용하여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 및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키를 이용하여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로써, 개인 정보 단말기(PDA),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노트북(Notebook), 넷북(Netbook), LFD(Large Format Display), 전자 칠판, 터치 모니터(Touch Monitor), 테이블탑(Tabletop)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컨텐츠는 파일, 아이콘, 썸네일 이미지 등과 같은 독립적인 개체와 폴더, 파일 그룹 등과 같은 집합 개체 및 문서 내의 텍스트, 그림, 도형 객체 등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그래픽 오브젝트는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감지 시 화면상에 표시되며,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를 기 설정된 다른 영역과 연관시키기 위한 입구(Gat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저장 영역이 되거나, 타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의 저장 영역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른 영역은 휴대 단말기내의 기능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기능 영역은 복사, 이동, 삭제(Delete), 제거(Uninstall), 타휴대 단말기로의 전송, 서버로의 전송, 속성 변경, 압축 기능, 통신 채널이 연결된 타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보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스처(스트레치(Stretch) 또는 핀치(pinch))에 따라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 오디오 처리부(160), 무선 통신부(150), 터치스크린(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표시 패널(131) 및 터치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 및 음성 인식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112)는 그래픽 오브젝트 식별 데이터베이스(121, DataBase : DB), 권한 DB(122) 및 음성 인식 DB(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일정 범위내에 존재하는 타휴대 단말기들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 기능 활성화 시 타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컨텐츠를 타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P2P(Peer to Peer),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는 타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보기 모드 시 권한 확인을 위한 인증 정보를 통신 채널이 연결된 타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여 인코딩(Encoding) 및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하는 음향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코덱(Codec) 및 오디오 앰프(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와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예컨대, MP3 파일, 동영상 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 신호 등)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60)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10)의 음성 인식부(11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Radio Frequency : RF) 통신부(150)는 기지국과 통화(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포함)를 위한 통신 채널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미도시),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미도시) 및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서버 전송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서버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컨텐츠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Touch Screen,130)은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표시 패널(131) 및 터치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31)은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31)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컨대 페이지 방식의 홈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31)은 가상 영역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화면에 대한 설명은 도 4a 내지 도 9 및 도 10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표시 패널(13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표시 패널(131)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입력장치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이 접촉되는 경우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터치 패널(132)은 터치입력장치의 접촉에 따른 물리량(예컨대 정전 용량, 저항값 등)의 변화를 통해 터치를 인식하고, 터치의 종류(터치, 터치 해제, 탭, 더블 터치, 터치 이동(드래그, 플릭), 멀티 터치 등) 및 터치 위치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132)은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위한 터치 인터렉션 신호,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를 위한 터치 신호, 컨텐츠 또는 그래픽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터치 신호,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 변경을 요청하는 터치 신호 등을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터치 패널(132)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부(140)는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 변경 등을 요청하는 외부키 신호를 제어부(11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버튼식 키패드(Key Pad),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키(Wheel Key), 터치키(Touch key), 터치패드(Touch Pad), 터치스크린(130)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다수의 컨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터치스크린(13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120)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컨텐츠의 이동, 복사, 제거, 삭제, 전송, 속성 변경, 압축 및 타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보기 및 가져오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컨텐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어플리케이션별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매핑한 모드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그래픽 오브젝트가 없는 경우 실행되는 디폴트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서버 전송 모드로 활성화될 때 연결할 서버의 정보(예컨대 아이피 주소, URL 주소, 사용자 아이디, 비밀 번호, 포트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영역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복사 또는 이동 모드로 구동될 때, 컨텐츠를 임시 저장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그래픽 오브젝트 식별 DB(121), 권한 DB(122) 및 음성 인식 DB(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식별 DB(121)는 휴대 단말기(100)가 다수의 타휴대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경우 각각의 타휴대 단말기와 그래픽 오브젝트를 매핑한 DB이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식별 DB(121)는 통신 채널이 연결된 타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권한 DB(122)는 타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타휴대 단말기의 정보는 타휴대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보기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타휴대 단말기를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권한 DB(122)는 타휴대 단말기마다 서로 다른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타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제2타휴대 단말기는 공유 설정한 컨텐츠만을 볼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DB(123)는 음성 인식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인식 DB(123)는 주파수 파형과 그에 대응하는 음소, 음절, 단어 등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음성 인식은 를 하여 음성 파형을 확인하고, 상기 음성 파형과 일치하는 단어나 단어열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방법은 음성 분석, 음소 인식, 단어 인식, 문장 해석, 의미 추출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술은 주지관용의 기술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또는 기 설정된 외부키 신호 입력 감지 시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한 컨텐츠의 복사, 이동, 제거, 삭제, 전송, 속성 변경, 압축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 및 음성 인식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터치 패널(132)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표시 패널(131) 일측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표시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 패널(131)의 기 정의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표시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 패널(131)에 표시되면,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는 기 설정된 디폴트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저장부(120)의 모드 매핑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가 타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타휴대 단말기 전송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기 설정된 서버와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서버 전송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그 이외의 노멀 상태인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디폴트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리스트를 출력하고,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상기 모드 선택 리스트에서 선택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는 복사 모드, 이동 모드, 삭제(delete) 모드, 제거(Uninstall) 모드, 속성 변경 모드, 압축 모드, 타휴대 단말기 전송 모드, 서버 전송 모드 및 타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보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특정 컨텐츠와 그래픽 오브젝트가 연결되는지 확인하며, 특정 컨텐츠와 그래픽 오브젝트가 연결되면,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복사 모드 또는 이동 모드 시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복사 또는 이동 요청된 컨텐츠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다수의 컨텐츠들을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 이미지(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다수의 컨텐츠들을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다수의 컨텐츠들이 겹치지 않도록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토글(Toggle) 방식, 스크롤(scroll) 방식 및 페이지 전환 방식 등을 통해 저장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터치 이벤트 발생 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복사 모드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관련된 영역을 터치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 내에서 터치 이동 이벤트 발생 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복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영역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터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에 따라 색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선택된 컨텐츠를 타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되는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타휴대 단말기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한 타휴대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적어도 하나의 타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타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다수의 타휴대 단말기 모두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컨텐츠 전송 이전에 다수의 타휴대 단말기 중 컨텐츠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타휴대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서버 전송 모드인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서버 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서버와 무선 통신 채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통신 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컨텐츠 전송 모드 시 컨텐츠를 전송할 타휴대 단말기(수신측 단말기)에 따라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 모양, 색상, 명암 등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컨텐츠 전송 모드 시 통신 채널이 연결된 수신측 단말기와 매핑된 정보에 따라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모양, 명암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벡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서 발생하는 기 설정된 터치인터렉션에 대응하여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모양, 명암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모양, 명암 등에 따라 수신측 단말기를 인지하고, 원하는 수신측 단말기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다수의 타휴대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타휴대 단말기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수신측 단말기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컨텐츠 보기 모드 실행 시 컨텐츠를 보고자 하는 타휴대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인증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인증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대로,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보기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수신된 인증 정보와 상기 권한 DB(122)를 비교하여 상기 타휴대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타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112)는 오디오 처리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부(112)는 컨텐츠 전송 모드 시 사용자가 수신측 단말기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는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음성 인식부(112)의 인식 결과와 상기 음성 인식 DB(123)를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30) 일측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130)의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111)는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한편, 이상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10)가 유선 케이블을 통해 타휴대 단말기들 또는 서버와 연결된 경우 유선 통신 채널을 통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MPeg audio layer-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근접 센싱을 위한 근접 센서 모듈 등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201 단계에서 터치스크린(130)의 임의의 위치에서 그래픽 오브젝트(Graphic Object) 생성을 요청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터렉션은 일정 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는 롱 터치 인터렉션, 일정 시간 이내에 터치스크린(130)을 두 번 터치하는 더블 터치 인터렉션, 두 지점 이상을 터치하는 멀티 터치 인터렉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임의의 영역을 사용자가 롱 터치하거나 더블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요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적어도 두 지점을 멀티 터치하고, 멀티 터치된 적어도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스트레치(Stretch) 동작(Gesture) 또는 멀티 터치된 적어도 두지점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핀치(Pinch) 동작에 대응하는 멀티 터치 인터렉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 요청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위한 터치 인터렉션은 일 예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위한 외부키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제1기능이 할당되어 있으며, 기존에 존재하던 기능키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기존의 메뉴키를 활용하는 것으로 가정했을 때, 제어부(110)는 메뉴키가 일정시간(예컨대 1초) 이하로 눌리는 경우 메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일정시간 이상 눌리는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터치스크린(130)의 기 정의된 위치에 생성되고, 사용자의 터치 인터렉션(예컨대 드래그)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외부키는 버튼식키 또는 터치키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키를 이용한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방법은 화면의 크기가 작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요청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213 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대기 화면을 유지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촬영 기능,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요청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203 단계에서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터치스크린(130)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a의 식별 부호 301 및 302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30)의 임의의 두 지점을 멀티 터치한 후 스트레치 동작 시 상기 제어부(110)는 멀티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위치에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는 사용자의 핀치/스트레치 동작에 대응하여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a의 식별 부호 303 및 304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핀치 제스처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스트레치 제스처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는 정적 이미지, 에니메이션 효과를 가지는 동적 이미지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b의 식별 부호 305a의 화면 예시도 및 305b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30)의 임의의 두 지점에서 발생하는 멀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 감지 후 스트레치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305c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멀티 터치가 해제되어도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305d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계속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식별 부호 305e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멀티 터치 후 핀치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식별 부호 305f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 제스처에 따라 멀티 터치된 두 지점 사이의 거리(d)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3c의 306a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30) 일측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후, 식별 부호 306b의 화면 예시도 및 306c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긋기 제스처에 따라 배경 화면을 자르고, 상기 배경 화면이 잘림에 따라 공간이 생성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상술한 그래픽 오브젝트(10)가 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식별 부호 306d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해제 시에도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긋기 제스처가 재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공간을 제거하고, 원래의 배경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일반적인 터치 이동(드래그, 플릭 등)과 상기 긋기 제스처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130)이 압력 감지가 가능한 경우 일정 세기 이상의 터치 이동 감지 시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기 위한 긋기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정 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 후 터치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긋기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음성 인식을 통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식별 부호 307a의 화면 예시도 및 식별 부호 307b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 생성을 위한 기 설정된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화면 일측에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307c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측이 터치된 상태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 생성을 위한 기 설정된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생성되면, 제어부(110)는 204 단계에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는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모드이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는 복사 모드, 이동 모드, 삭제(delete) 모드, 제거(Uninstall) 모드, 속성 변경 모드, 압축 모드, 타휴대 단말기 전송 모드 및 서버 전송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시 기 설정된 디폴트 모드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부(120)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매핑되어 저장된 모드가 존재하지 않았을 때 수행되는 상기 디폴트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는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타휴대 단말기 전송 모드로 결정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서버에 접속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서버 전송 모드로 결정할 수 있으며, 노멀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기 설정된 디폴트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시 상기 다양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리스트를 출력하고, 선택된 모드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 단계에서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은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은 터치스크린(130) 상에 표시된 컨텐츠를 터치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위로 이동한 후 터치 해제 즉, 드래그앤드롭(Drag & Drop) 시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터치하여 그래픽 오브젝트를 가로지르는 동작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은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여 그래픽 오브젝트와 컨텐츠를 중첩시켰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컨텐츠가 일정 시간 이상 중첩되어 있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컨텐츠와 그래픽 오브젝트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는 화면 전체에 컨텐츠가 표시된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 이동 시 원치않는 컨텐츠와 그래픽 오브젝트가 연결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만을 그래픽 오브젝트와 연결하기 위함이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은 플릭(Flick)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가 그래픽 오브젝트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터치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방향으로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터치 이동한 후 터치 해제하는 플릭 제스처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컨텐츠를 상기 플릭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플릭 이벤트로 인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컨텐츠와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205 단계에서 컨텐츠와 그래픽 오브젝트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209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컨텐츠와 그래픽 오브젝트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7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컨텐츠의 복사 기능, 삭제 기능, 제거 기능, 이동 기능, 타휴대 단말기로의 전송 기능, 서버로의 전송 기능, 속성 변경 기능 및 압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도 9의 화면 예시도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209 단계에서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신호는 상기 201 단계에서 감지된 터치 인터렉션 해제 시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터치 인터렉션이 유지되는 동안에만 터치스크린(130)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인터렉션을 해제해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가 유지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신호는 기 정의된 터치 인터렉션 예컨대 그래픽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화면 밖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신호는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메뉴 또는 취소 키 신호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205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211 단계에서 터치스크린(130) 에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어부(110)는 현재 모드(예컨대 실행 중인 컨텐츠의 종류 또는 실행 중인 기능)에 따라 기 정의된 위치에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그래픽 오브젝트와 컨텐츠를 연결하는 다양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와 컨텐츠를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홈 화면에서 멀티 터치를 이용하여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홈 화면에 적용되며, 멀티 터치로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이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다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컨텐츠는 바로가기 아이콘, 폴더 아이콘, 메뉴 아이콘, 위젯 아이콘,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홈 화면은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4a의 식별 부호 310 내지 340의 화면 예시도 하단을 참조하면, 홈 화면은 5개의 페이지로 구성되었으며, 현재 3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스트레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식별부호 3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상기 스트레치가 감지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3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 즉, 그래픽 오브젝트 (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식별 부호 320 및 3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특정 컨텐츠(20)를 터치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20)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 위로 이동한 후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컨텐츠(20)를 그래픽 오브젝트(10)와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멀티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식별 부호 34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화면 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이동 모드이므로, 상기 특정 컨텐츠(20)는 홈 화면에서 제거되어, 그래픽 오브젝트(10)에 할당된 저장부(120)의 저장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4a에서는 하나의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두개 이상의 컨텐츠를 멀티 터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 4a에서는 컨텐츠를 그래픽 오브젝트(10) 위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와 컨텐츠를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와 컨텐츠를 연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식별 부호 410 및 4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멀티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홈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이동 경로 상에 이동하기를 원하지 않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멀티 터치를 해제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제거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재생성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와 컨텐츠가 일정 시간 이상 중첩되는 경우에만 컨텐츠와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연결하고자 하는 컨텐츠 위에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이동을 일정 시간 동안 멈추고, 이동을 원하지 않는 컨텐츠는 멈추지 않고 지나침으로써 연결하고자하는 컨텐츠만을 그래픽 오브젝트(10)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와 컨텐츠를 연결하는 다른 예에서는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터치 이동 후 터치 해제하는 플릭 이벤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c의 식별 부호 430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30)를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방향으로 플릭(Flick)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440 및 45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릭된 컨텐츠(30)를 그래픽 오브젝트(10)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후, 플릭된 컨텐츠(30)가 그래픽 오브젝트(10)와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46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30)를 그래픽 오브젝트(1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컨텐츠(30)를 그래픽 오브젝트(10)에 할당된 저장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행 또는 열에 위치하는 다수의 컨텐츠를 그래픽 오브젝트(10)로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5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가 나열된 행의 일 측 끝에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5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기 설정된 신호 입력 예컨대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더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520 및 5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행에 위치하는 다수의 컨텐츠를 그래픽 오브젝트(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상기 다수의 컨텐츠가 그래픽 오브젝트(10)로 빨려 들어가는 에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열에 위치하는 다수의 컨텐츠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컨텐츠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로 이동되어 홈 화면에서 제거되는 이동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 위로 이동시킨 후 터치를 해제하지 않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지나친 후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컨텐츠 복사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는 터치 해제 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해제 위치에 따라 이동 모드와 복사 모드를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사 모드와 이동 모드가 별도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치나친 후 터치를 해제하거나, 지나치기 이전에 터치를 해제하는 터치 해제 위치에 관계없이 해당 모드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위치하는 컨텐츠를 현재 화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영역에 위치하는 컨텐츠를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하는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홈 화면의 제3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식별 부호 6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이동(예컨대 스크롤, 플릭 등)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이동 이벤트에 대응하여 홈 화면의 제4페이지를 출력하도록 터치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4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레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식별부호 6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터치스크린(13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4a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다수의 컨텐츠들을 그래픽 오브젝트(1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7의 식별 부호 7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다수의 컨텐츠들을 그래픽 오브젝트(10)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컨텐츠가 중첩되어 표시된 경우 제어부(110)는 토글 방식으로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식별 부호 7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컨텐츠들이 겹치지 않도록 다수의 컨텐츠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컨텐츠가 나열되어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나열된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홈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나열되어 표시되지 않은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스크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720 및 725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나열된 방향(예컨대 세로 방향)으로 터치이동 시 그래픽 오브젝트(10)에 나열된 컨텐츠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컨텐츠를 하나씩 변경하거나, 페이지 단위로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확장하고, 확장된 그래픽 오브젝트(11)에 다수의 컨텐츠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 방향의 스트레치 이벤트를 통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한 후 상기 스트레치 방향과 구분되는 방향(예컨대 좌측 방향)으로 터치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7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좌측 방향으로 확장하고, 확장된 그래픽 오브젝트(11)에 다수의 컨텐츠를 다행 다열로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그래픽 오브젝트(10)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홈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부호 6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그래픽 오브젝트(10)에 표시된 컨텐츠를 터치하여 홈 화면으로 터치 이동한 후 터치 해제함으로써, 그래픽오브젝트(10)에 표시된 컨텐츠를 홈 화면의 4페이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두 개 이상의 컨텐츠를 멀티 터치하여 홈 화면의 제4페이지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 생성을 위한 멀티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식별 부호 6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홈 화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6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10)에 표시된 컨텐츠가 화면 상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그래픽 오브젝트(10)에서 화면으로 컨텐츠가 이동되었을 때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종류)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작성 화면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고, 그래픽 오브젝트(10)에서 이메일 작성 화면으로 파일(문서 파일, 이미지 파일, 음악 파일 등)을 이동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파일을 이메일의 첨부 파일로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문서 작성 화면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고, 그래픽 오브젝트(10)에 표시된 이미지 파일을 문서 작성 화면으로 꺼내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이미지 파일을 문서 내에 그림 객체로 삽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문서 작성 화면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에 저장된 텍스트 객체를 문서 작성 화면으로 꺼내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텍스트를 문서 내에 삽입(붙여넣기)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객체는 단문 메시지(SMS), 웹 페이지, 워드 파일 등에서 적어도 일부의 텍스트를 선택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이다.
또한, 상기 도 7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10) 생성 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일부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10) 생성 시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지 않고, 기 설정된 제스처 입력 시 그래픽 오브젝트(10)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 표시 시 상기 제어부(11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 중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갤러리 응용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동영상 컨텐츠, 문서 컨텐츠 등을 비활성화하여 표시하거나, 그래픽 오브젝트(10)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 4a 및 도 6을 조합하여 사용자는 제1화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2화면으로 용이하게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제1화면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로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2화면으로 화면을 전환한 후 상기 제2화면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10)로부터 상기 이동 또는 복사된 컨텐츠를 제2화면 상으로 꺼냄으로써, 제1화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2화면으로 용이하게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 AP)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타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AP를 통해 타휴대 단말기(101) 또는 서버(102)와 연결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가 타휴대 단말기 전송 모드(이하 제1전송 모드) 또는 서버 전송 모드(이하 제2전송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컨텐츠를 타휴대 단말기(101) 또는 서버(102)에 전송할 수 있다.
먼저, 타휴대 단말기(101)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타휴대 단말기(101)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각각 AP에 접속한 상태이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제1전송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1전송 모드가 활성화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브로드케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타휴대 단말기(101) 역시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제1전송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제1전송 모드가 활성화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브로드케스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로드케스팅된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100) 또는 타휴대 단말기(101)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휴대 단말기(101)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 또는 타휴대 단말기(101)는 응답 메시지를 타휴대 단말기(101)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제1전송 모드 상태에서 타휴대 단말기(101)가 브로드캐스팅한 메시지 또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타휴대 단말기(101)와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그래픽 오브젝트(10)와 타휴대 단말기(101)의 그래픽 오브젝트(10) 사이에 통로(통신 채널)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전송 모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브로드캐스팅한 메시지 또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휴대 단말기(101)는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츠를 타휴대 단말기(101)에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타휴대 단말기(101)의 사용자가 컨텐츠와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타휴대 단말기(101)는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2)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와이파이를 통해 AP와 연결되고, 상기 AP는 인터넷망(103)을 통해 서버(10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제2전송 모드를 가지는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서버(102)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100)는 기 설정된 서버(102)에 통신 채널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2)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서버(102)에 대한 정보(예컨대 아이피 주소, 맥 어드레스, 포트 번호 등)를 기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수의 서버가 저장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서버 리스트를 출력하고, 컨텐츠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AP를 통해 타휴대 단말기(101) 또는 서버(102)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가 제1전송 모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지그비, 홈 RF, DLNA,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타휴대 단말기(101)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타휴대 단말기(101)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통신 채널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가 제2전송 모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AP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예컨대 3G 통신망 및 4G 통신망(LTE(Long Term Evolution)망, 와이브로 통신망 등))을 통해 서버(102)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b 및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타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신측 단말기와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송신측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도 8b의 식별 부호 8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8c의 식별 부호 8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측 단말기의 사용자도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송신측 단말기에서 수신측 단말기를 지정(선택)한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는 지정된 수신측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생성되면,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한 수신측 단말기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8a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가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수신측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하고,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제1전송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도 8b의 식별 부호 820 및 8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송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컨텐츠를 터치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위로 이동시킨 후 터치를 해제하면,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수신측 단말기에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30)은 이동된 컨텐츠가 그래픽 오브젝트(10) 안으로 빨려들어가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b 및 8c에서는 수신측 단말기로 컨텐츠가 이동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컨텐츠 전송 시 복사본을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30)은 컨텐츠의 복사본이 그래픽 오브젝트(10) 안으로 빨려들어가는 이미지 효과 및 원본 컨텐츠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이미지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측 단말기가 컨텐츠를 전송하면,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도 8c의 식별 부호 843의 화면 예시도, 식별 부호 845의 화면 예시도 및 식별 부호 847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수신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c의 식별 부호 843, 845 및 847의 화면 예시도의 이미지 효과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이미지 효과를 통해 컨텐츠의 수신 정도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송신한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도 8c의 식별 부호 85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3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수신된 컨텐츠가 그래픽 오브젝트(10)에서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수신측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도 8c의 식별 부호 855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컨텐츠를 기 정의된 시작 위치 즉, 첫번째 컨텐츠가 위치하는 좌측 상단으로 이동시킨 후 컨텐츠들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수신된 컨텐츠를 시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컨텐츠가 마지막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통해 복잡한 과정없이 컨텐츠를 타휴대 단말기에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c에서는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컨텐츠가 바로 화면 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수신된 컨텐츠를 화면 상으로 바로 이동하지 않고, 그래픽 오브젝트(10) 내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 후 기 설정된 제스처 입력 시 화면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수신된 컨텐츠를 자신이 원하는 화면에 좀 더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신측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컨텐츠가 설치(install)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인 경우 수신측 단말기는 송신측 단말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요청하고,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설치 파일을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설치를 필요로하는 경우 컨텐츠 전송 시 설치 파일을 함께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전송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P2P(Peer To Peer), 와이파이 다이렉트(Direct), 적외선 통신, 홈 RF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 연결을 위한 페어링 과정(Paring Procedure)은 사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그래픽 오브젝트(10) 생성 시 송신측 단말기는 페어링을 위한 방송 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송출하고, 상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자동으로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여 근거리무선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형성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송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황에 따라 송신측 단말기로 동작하거나, 수신측 단말기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2 개의 휴대 단말기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휴대 단말기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통해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개 이상의 휴대 단말기가 통신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컨텐츠 송신이 요청되는 경우 송신측 단말기는 나머지 모든 휴대 단말기에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일부 휴대 단말기에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일부 휴대 단말기에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측 단말기는 컨텐츠 전송 요청 시 통신 채널이 연결된 휴대 단말기 리스트를 표시하고, 선택된 휴대 단말기에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9의 식별 부호 9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와 관련된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식별 부호 9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에 따라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920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해칭 방향을 달리하여 색상 변화를 표현하였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식별 부호 9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에 따라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 변경 시 이를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9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10)와 관련된 영역을 터치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10)와 관련된 영역을 터치한 후 가로 방향으로 터치 이동 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터치 이동 방향과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터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멀티 터치된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 해제 후 재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1001 단계에서 적어도 두 지점에서 발생하는 멀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1의 식별 부호 11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웹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화면의 두 지점을 멀티 터치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1003 단계에서 터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1005 단계에서 멀티 터치 이동(예컨대 스트레치 또는 핀치)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1007 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롱터치에 매핑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터치 해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멀티 터치 이동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1009 단계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0.5 초, 1 초 등)이 경과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2의 203 단계로 진행하여 도 2에서 상술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1의 식별 부호 11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멀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011 단계에서 멀티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화면 줌 인 또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터치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스트레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도 11의 식별 부호 11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013 단계에서 멀티 터치가 해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013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스트레치 또는 핀치에 대응하여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멀티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멀티 터치 후 멀티 터치 이동이 발생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줌 기능과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터치 방향을 이용하여 화면 줌 기능과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구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멀티 터치 후 기 설정된 특정 방향으로 스트레치 또는 핀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줌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스트레치 또는 핀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방향은 45도 이상 90 도 미만과 같이 일정 범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이동 모드, 제1전송 모드 및 제2전송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는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100)에서 삭제하는 삭제 모드, 컨텐츠를 제거(Uninstall)하는 제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는 컨텐츠의 속성을 변경하는 속성 변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속성 변경 모드는 컬러 이미지 파일을 흑백 이미지 파일로 변경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속성 변경 모드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는 압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는 압축 모드로 동작 시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다수의 파일 또는 폴더) 들을 기 설정된 포맷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터렉션 해제 시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제거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래픽 오브젝트(10)를 기 설정된 도킹 영역(Docking Area)으로 이동시키거나, 기 설정된 도킹 제스처(예컨대 원, 삼각형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의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도킹 영역에 도킹(Docking)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가 도킹된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기 설정된 제스처 또는 취소 키 등과 같은 그래픽 오브젝트(10) 제거 신호를 입력해야 한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도킹을 해제(예컨대 드래그하여 도킹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한 후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1201 단계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생성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1203 단계에서 컨텐츠 전송 모드가 활성화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송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122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복사 모드, 이동 모드, 삭제 모드, 압축 모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컨텐츠 전송 모드가 활성화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205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전송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송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후술하는 1221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컨텐츠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1207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측 단말기가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1207 단계에서 수신측 단말기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후술하는 1217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209 단계에서 지정된 수신측 단말기와 통신 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수신측 단말기와 통신 채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211 단계에서 지정된 수신측 단말기에 상기 전송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신측 단말기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통해 컨텐츠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지정된 수신측 단말기와 통신 채널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213 단계에서 연결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10)는 1215 단계에서 타휴대 단말기로의 전송 요청 즉, 컨텐츠를 전송할 수신측 단말기의 변경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타휴대 단말기로의 전송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1221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타휴대 단말기로의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후술하는 1217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217 단계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의 정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단말기 정보 입력창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정보는 IP 주소, 아이디 및 비밀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IP 주소, 아이디 및 비밀 번호 등을 이용한 통신 연결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1219 단계에서 입력된 수신측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연결된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221 단계에서 모드 변경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122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변경된 모드에 따른 기능(복사, 삭제, 이동, 압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모드 변경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223 단계로 진행하여 그래픽 오브젝트의 제거가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제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제거가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205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제거가 요청되는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수신측 단말기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수신측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수신측 단말기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연결 가능한 타휴대 단말기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컨텐츠를 전송할 수신측 단말기가 지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3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지정된 수신측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식별 부호 13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에서 컨텐츠가 뛰어나오는 것과 같은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전송받은 컨텐츠가 동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사진 파일 등과 같이 재생가능한 컨텐츠인 경우 식별 부호 13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받은 컨텐츠를 바로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수신측 단말기가 지정되지 않았거나, 지정된 수신측 단말기와 통신 채널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4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연결 가능한 수신측 단말기 리스트(1421)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 리스트(1421)에서 특정 단말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특정 단말기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신측 단말기는 상기 도 13의 식별 부호 1320 화면 예시도 또는 1330 화면 예시도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전송된 컨텐츠를 바로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수신측 단말기가 지정되지 않았거나, 지정된 수신측 단말기와 통신 채널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측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4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의 정보(예컨대 아이디 및 비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창(1431)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 웹페이지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하고, 구매를 원하는 컨텐츠(구매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구매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쇼핑몰 웹 페이지에 접속 중이 아닌 타휴대 단말기로 구매 컨텐츠의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구매 상품을 전송할 단말기의 정보 입력을 위한 정보 입력창을 출력하고,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타휴대 단말기로 상기 구매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컨텐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중인 컨텐츠를 수신측 단말기(101)에 전송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식별 부호 15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컨텐츠 재생 화면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한 후 재생 중인 화면 일측을 터치한 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인터렉션 발생 시 상기 제어부(110)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수신측 단말기(101)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측 단말기(101)는 식별 부호 15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와 동일한 화면을 출력하거나,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이전(예컨대 수초)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츠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스트리밍(Streaming) 컨텐츠도 수신측 단말기(101)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타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타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보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160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채널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홈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603 단계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생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605 단계에서 타 단말의 컨텐츠 보기 모드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보기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3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모드에 따른 기능(복사, 삭제, 이동, 압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컨텐츠 보기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07 단계에서 통신 채널이 연결된 단말기 리스트를 출력하고, 1609 단계에서 특정 단말기의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7의 식별 부호 17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생성된 상태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컨텐츠 보기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7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신된 바와 같이 단말기 리스트(1721)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단말기의 선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1611 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단말기에 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 기 설정된 ID 및 패스워드, 휴대 단말기 전화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받은 특정 단말기는 기 저정된 권한 DB를 검색하여 인증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613 단계에서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1621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15 단계에서 인증 실패 및 인증 재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75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실패 및 인증 재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175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617 단계에서 인증이 재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이 재요청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가 상기 팝업창(1751)에서 “NO”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1607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통신 채널이 연결된 단말기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인증이 재요청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상기 팝업창(1751)에서 “YES”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18 단계에서 인증 정보 수신을 위한 인증 정보 입력창을 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1619 단계에서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인증에 실패한 경우 1615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21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621 단계에서 특정 단말기의 컨텐츠를 그래픽 오브젝트(10)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7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 상에 특정 단말기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권한에 따라 특정 단말기의 전체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상기 특정 단말기가 공유한 일부 컨텐츠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7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영역을 확장하고, 확장된 영역에 이전에 보이지 않던 특정 단말기의 컨텐츠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623 단계에서 가져오기가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져오기는 그래픽 오브젝트(10) 영역 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그래픽 오브젝트(10) 영역 밖으로 터치 이동하는 인터렉션을 통해 요청될 수 있다. 상기 가져오기가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1627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가져오기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25 단계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가져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단말기에 선택된 컨텐츠의 전송(복사 또는 이동)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1627 단계에서 모드 변경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3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변경된 모드에 따른 기능(복사, 삭제, 이동, 압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모드 변경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29 단계에서 단말기 변경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1607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단말기 변경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31 단계로 진행하여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제거가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제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터치 인터렉션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제거가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621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제거가 요청되는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기 선택 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선택된 특정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특정 단말기가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패스워드 입력창을 출력하고,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에 입력된 패스워드를 상기 특정 단말기에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키를 이용하여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 및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키가 메뉴키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상기 외부키가 메뉴키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키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홈키, 볼륨키, 검색키 등 다양한 키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키는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및 제거 기능이 할당된 별도의 버튼식 키, 터치키 또는 소프트키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8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키를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롱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식별 부호 18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정의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18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터치(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8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양을 제1모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가 제1모드로 결정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식별 부호 1820의 화면 예시도 또는 18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를 롱 터치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8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양을 제2모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가 제2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식별 부호 1820, 식별 부호 1830 또는 식별 부호 184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 즉, 그래픽 오브젝트(10)가 화면에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메뉴키의 롱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8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터치하는 경우와 롱 터치하는 경우에 따라 제1모드 및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가 5개의 모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그래픽 오브젝트(10)를 터치할 때 마다 제1모드에서 제5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5모드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1모드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키를 이용하여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메뉴키의 롱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식별 부호 19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정의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10)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화면상에 위치하는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 위로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 하는 경우 즉, 드래그앤드롭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9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 컨텐츠가 그래픽 오브젝트(10) 영역 안으로 빨려들어 가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19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양을 제1모양으로 변경한 후 상기 이동된 컨텐츠를 변경된 그래픽 오브젝트(10)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디폴트 모드가 제1모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도 19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디폴트 모드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디폴트 모드를 제2모드(예컨대 전송모드)로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상기 식별 부호 19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모드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래픽 오브젝트(10) 영역으로 컨텐츠가 드래그앤드롭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제2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터치스크린
131 : 표시패널 132 : 터치 패널
150 : 무선 통신부 17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10 : 그래픽 오브젝트 111 : 그래픽 오브젝트 관리부
102 : 서버 112 : 음성 인식부
121 : 그래픽 오브젝트 식별 DB 122 : 권한 DB
123 : 음성 인식 DB

Claims (72)

  1.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복사하는 복사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저장 영역으로 이동하는 이동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단말기에서 삭제하는 삭제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단말기에서 언인스톨하는 제거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속성을 변경하는 속성 변경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압축하는 압축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타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전송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제2전송 모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모드; 및
    상기 타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표시하고, 가져올 수 있는 컨텐츠 보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신 연결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시 다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모드 선택 리스트에서 선택된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관련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발생 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 변경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송 모드 활성화 시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제1전송 모드가 활성화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전송이 요청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받은 컨텐츠가 설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송신측 단말기에 설치 파일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전송 요청 시 설치가 필요한 컨텐츠인지 확인하고, 설치가 필요한 컨텐츠인 경우 설치 파일을 함께 전송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다수의 수신측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이 연결된 다수의 수신측 단말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화면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화면 일측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수신 정도를 알리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재생 가능한 컨텐츠인 경우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바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 미수신 시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송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송신측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전송 요청 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상기 전송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서버가 다수인 경우 서버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은
    일정 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는 롱 터치 인터렉션, 일정 시간 이내에 터치가 두 번 발생하는 더블 터치 인터렉션, 일정 압력 이상으로 터치 이동하거나 터치를 일정시간 이상 유지 후 터치 이동하는 긋기 인터렉션 및 적어도 두 지점 이상을 터치하는 멀티 터치 인터렉션 각각 또는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멀티 터치된 적어도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스트레치 인터렉션 및 상기 멀티 터치된 적어도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핀치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 지점에서 멀티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멀티 터치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스트레치 또는 핀치 인터렉션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상기 스트레치 인터렉션이 발생하는 경우 화면을 확대하는 줌 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핀치 인터랙션이 발생하는 경우 화면을 축소하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멀티 터치 인식 후 기 설정된 제1방향으로 스트레치 또는 핀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방향과 구분되는 제2방향으로 상기 스트레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는 경우 화면을 확대하는 줌 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방향으로 핀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는 경우 화면을 축소하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연결하는 단계는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된 방향으로 발생하는 플릭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다수의 컨텐츠가 나열된 열 또는 행의 일측 끝에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거나 다수의 컨텐츠가 나열된 열 또는 행의 일측 끝으로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동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정지상태를 유지하거나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로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표시 모드 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하거나 컨텐츠가 겹치지 않도록 나열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표시하거나 컨텐츠가 겹치지 않도록 나열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하여 표시하거나, 일부 컨텐츠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외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서 탭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컨텐츠 표시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서 롱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제1전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보기 모드 시 통신 채널 연결이 가능하거나 통신 채널이 연결된 단말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서 특정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특정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인증된 경우 상기 특정 단말기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된 컨텐츠를 화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된 컨텐츠의 전송을 상기 특정 단말기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기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의 권한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기 설정된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화면에 표시되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이 유지되는 동안에만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해제 시 상기 화면 상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도킹 영역으로 이동되거나, 기 설정된 도킹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도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33.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을 인식하고,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된 위치에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며,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 감지 시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복사하는 복사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저장 영역으로 이동하는 이동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단말기에서 삭제하는 삭제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단말기에서 언인스톨하는 제거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속성을 변경하는 속성 변경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압축하는 압축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타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전송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제2전송 모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모드; 및
    상기 타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표시하고, 가져올 수 있는 컨텐츠 보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자동으로 결정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거나, 모드 선택 리스트를 출력하여 선택된 모드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관련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발생 시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 변경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38. 제34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 모드 활성화 시 상기 제1전송 모드가 활성화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타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된 타휴대 단말기 리스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고, 상기 타휴대 단말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타휴대 단말기에 상기 전송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전송 시 설치가 필요한 컨텐츠인지 확인하고, 설치가 필요한 컨텐츠인 경우 설치 파일을 함께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설치를 필요로 하는 컨텐츠인지 확인하고, 설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타휴대 단말기에 설치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설치 파일을 더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거나,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시 화면 일측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시 수신 정도를 알리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재생 가능한 컨텐츠인 경우 바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메시지 미수신 시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 정보 입력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모드 상태에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컨텐츠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4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은
    일정 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는 롱 터치 인터렉션, 일정 시간 이내에 터치가 두 번 발생하는 더블 터치 인터렉션, 일정 압력 이상으로 터치 이동하거나 터치를 일정시간 이상 유지 후 터치 이동하는 긋기 인터렉션 및 적어도 두 지점 이상을 터치하는 멀티 터치 인터렉션 각각 또는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멀티 터치된 적어도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스트레치 인터렉션 및 상기 멀티 터치된 적어도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핀치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두 지점에서 멀티 터치가 인식되고, 기 설정된 일정 시간 경과 후 스트레치 또는 핀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상기 스트레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는 경우 화면을 확대하는 줌 인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상기 핀치 인터랙션이 인식되는 경우 화면을 축소하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터치 인식 후 기 설정된 제1방향으로 스트레치 또는 핀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구분되는 제2방향으로 상기 스트레치 인터렉션이 발생하는 경우 화면을 확대하는 줌 인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2방향으로 핀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는 경우 화면을 축소하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가 드래그 또는 플릭 이벤트를 통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다수의 컨텐츠가 표시된 열 또는 행의 일측 끝에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기 설정된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위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 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 표시하거나 컨텐츠가 겹치지 않도록 나열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치거나, 컨텐츠가 겹치지 않도록 나열하여 표시할 때,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하여 표시하거나, 일부 컨텐츠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서 탭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컨텐츠 표시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상에서 롱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제1전송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5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보기 모드 시 통신 채널 연결이 가능하거나 통신 채널이 연결된 단말기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특정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전송하며, 인증된 경우 상기 특정 단말기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내부에 표시된 컨텐츠를 화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터치 인터렉션 감지 시 상기 이동된 컨텐츠의 전송을 상기 특정 단말기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6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기 설정된 그래픽 오브젝트 제거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화면에 표시되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6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이 유지되는 동안에만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해제 시 상기 화면 상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도킹 영역으로 이동되거나, 기 설정된 도킹 제스처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도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64. 기 설정된 외부키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키 입력 인식 시 화면의 기 정의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키는
    별도로 추가되거나, 제1기능이 할당되어 있으며 기존에 존재하던 기능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의 외부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기존의 외부키가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67.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68. 그래픽 오브젝트 생성을 위한 기 설정된 외부키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외부키 신호 입력이 인식되면, 기 정의된 위치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를 결정하며,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연결 감지 시 상기 결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키는
    별도로 추가되거나, 제1기능이 할당되어 있으며 기존에 존재하던 기능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키가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일정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71.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72.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키는
    버튼식키 또는 터치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KR1020110127279A 2011-07-11 2011-11-30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4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2281308A AU2012281308B2 (en) 2011-07-11 2012-07-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CN201280034654.5A CN103649899B (zh) 2011-07-11 2012-07-11 用于使用图形对象控制内容的方法和设备
US13/546,681 US9727225B2 (en) 2011-07-11 2012-07-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MX2014000453A MX2014000453A (es) 2011-07-11 2012-07-11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contenido utilizando un objeto grafico.
CN201810105537.2A CN108052265B (zh) 2011-07-11 2012-07-11 用于使用图形对象控制内容的方法和设备
PCT/KR2012/005498 WO2013009092A2 (en) 2011-07-11 2012-07-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CA2841524A CA2841524C (en) 2011-07-11 2012-07-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EP12811538.3A EP2732364B1 (en) 2011-07-11 2012-07-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RU2014100873A RU2617384C2 (ru) 2011-07-11 2012-07-11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контентом, используя графический объект
JP2014520122A JP6154374B2 (ja) 2011-07-11 2012-07-11 グラフィックオブジェクト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制御方法及び装置
BR112014000778A BR112014000778A2 (pt) 2011-07-11 2012-07-11 método e aparelho para controlar conteúdo usando objeto gráfico
US15/670,699 US20170336938A1 (en) 2011-07-11 2017-08-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78 2011-07-11
KR20110068378 2011-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956A true KR20130007956A (ko) 2013-01-21
KR101948645B1 KR101948645B1 (ko) 2019-02-18

Family

ID=4783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279A KR101948645B1 (ko) 2011-07-11 2011-11-30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727225B2 (ko)
EP (1) EP2732364B1 (ko)
JP (1) JP6154374B2 (ko)
KR (1) KR101948645B1 (ko)
CN (2) CN103649899B (ko)
AU (1) AU2012281308B2 (ko)
BR (1) BR112014000778A2 (ko)
CA (1) CA2841524C (ko)
MX (1) MX2014000453A (ko)
RU (1) RU2617384C2 (ko)
WO (1) WO201300909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722A (ko) * 2013-04-24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와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서버와 제어 방법
KR20150137779A (ko)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2751B2 (en) 2007-06-29 2017-09-26 Apple Inc. Using gestures to slide between user interfaces
US9244606B2 (en) 2010-12-20 2016-01-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on of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084058B2 (en) 2011-12-29 2015-07-14 Sonos, Inc. Sound field calibration using listener localization
KR101991749B1 (ko) * 2012-02-16 2019-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667790B2 (en) * 2012-03-26 2020-06-02 Teratech Corporation Tablet ultrasound system
US9877699B2 (en) 2012-03-26 2018-01-30 Teratech Corporation Tablet ultrasound system
US9106192B2 (en) * 2012-06-28 2015-08-1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playback calibration
US9219460B2 (en) 2014-03-17 2015-12-22 Sonos, Inc. Audio settings based on environment
TWI456458B (zh) 2012-09-03 2014-10-11 Acer Inc 電子裝置以及相關之控制方法
KR101498603B1 (ko) * 2012-09-04 2015-03-05 주식회사 팬택 정보 전달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9569107B2 (en) * 2012-10-16 2017-02-14 Google Inc. Gesture keyboard with gesture cancellation
JP2015533441A (ja) * 2012-11-06 2015-11-24 株式会社ディーアンドエムホールディングス 選択的に協調する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システム
US9654426B2 (en) 2012-11-20 2017-05-16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messages
US9729695B2 (en) 2012-11-20 2017-08-08 Dropbox Inc. Messaging client application interface
US9935907B2 (en) 2012-11-20 2018-04-03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a message client
CN103838489A (zh) * 2012-11-27 2014-06-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3076976A (zh) * 2013-01-07 2013-05-01 华为终端有限公司 添加应用图标的方法、移除应用图标的方法和装置
US9261262B1 (en) 2013-01-25 2016-02-16 Steelcase Inc. Emissive shapes and control systems
US11327626B1 (en) 2013-01-25 2022-05-10 Steelcase Inc. Emissive surfaces and workspaces method and apparatus
US9759420B1 (en) 2013-01-25 2017-09-12 Steelcase Inc. Curved display and curved display support
JP5998964B2 (ja) 2013-01-31 2016-09-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辞書情報表示装置、辞書情報表示方法、辞書情報表示プログラム、辞書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サーバ装置、端末装置
US20140230045A1 (en) * 2013-02-14 2014-08-14 Lg Cns Co., Ltd. Graphical object-based user authentication for computerized devices
WO2014134937A1 (en) * 2013-03-07 2014-09-1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View mode switch of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40258886A1 (en) * 2013-03-07 2014-09-11 Smugmug, Inc. Method for transferring a file from a device
KR102057964B1 (ko) * 2013-03-08 2019-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4850336B (zh) * 2013-05-14 2018-06-22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图标的生成方法及终端
TWI669652B (zh) * 2013-07-12 2019-08-2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及電腦程式
CN103472974A (zh) * 2013-08-19 2013-12-25 华为终端有限公司 应用的分享方法及装置
TWI710356B (zh) * 2013-09-25 2020-11-21 美商德拉工業公司 平板電腦超聲波系統
US9519398B2 (en) 2013-12-16 2016-12-13 Sap Se Search in a nature inspired user interface
US9501205B2 (en) * 2013-12-16 2016-11-22 Sap Se Nature inspired interaction paradigm
JP5737380B1 (ja) * 2013-12-27 2015-06-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144068B (zh) * 2014-01-06 2022-04-22 华为终端有限公司 应用程序显示方法和终端
CN105556454A (zh) * 2014-01-15 2016-05-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操作装置和终端操作方法
WO2015124111A1 (en) * 2014-02-21 2015-08-27 Mediatek Inc. Method to set up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US9264839B2 (en) 2014-03-17 2016-02-16 Sonos, Inc. Playback device configuration based on proximity detection
CN103941064B (zh) * 2014-03-26 2016-10-05 深圳麦科信仪器有限公司 触控示波器波形显示缩放或延迟窗口的调出方法及装置
KR101919349B1 (ko) * 2014-04-04 2018-11-19 가부시키가이샤 코로프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및 게임 프로그램
EP2950179B1 (en) * 2014-05-30 2018-11-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24481B1 (ko) 2014-06-05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52825B2 (en) 2014-09-09 2018-04-24 Sonos, Inc. Audio processing algorithms
KR102393295B1 (ko) * 2014-09-18 202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스타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US10025491B2 (en) * 2014-12-30 2018-07-17 PIQPIQ, Inc. Social messaging system for real-time selection and sorting of photo and video content
BR112017008059B1 (pt) 2015-02-06 2024-01-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ispositivo e método de comunicação
WO2016137139A1 (en) * 2015-02-26 2016-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tem
WO2017049169A1 (en) 2015-09-17 2017-03-23 Sonos, Inc. Facilitating calibration of an audio playback device
US9693165B2 (en) 2015-09-17 2017-06-27 Sonos, Inc. Validation of audio calibration using multi-dimensional motion check
TWI582681B (zh) * 2015-12-31 2017-05-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三維物件創建方法及應用該方法的電子裝置
CN106933473A (zh) * 2015-12-31 2017-07-07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三维物件创建方法及应用该方法的电子装置
US9743207B1 (en) 2016-01-18 2017-08-22 Sonos, Inc. Calibration using multiple recording devices
CN105718202A (zh) * 2016-01-22 2016-06-29 庞迪 一种基于手势的图标迁移实现方法及实现系统
US11106423B2 (en) 2016-01-25 2021-08-31 Sonos, Inc. Evaluating calibration of a playback device
US10003899B2 (en) 2016-01-25 2018-06-19 Sonos, Inc. Calibration with particular locations
US9860662B2 (en) 2016-04-01 2018-01-02 Sonos, Inc. Updating playback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based on calibration data
US9864574B2 (en) 2016-04-01 2018-01-09 Sonos, Inc. Playback device calibration based on representation spectral characteristics
US9763018B1 (en) 2016-04-12 2017-09-12 Sonos, Inc. Calibration of audio playback devices
DK201670596A1 (en) * 2016-06-12 2018-02-19 Apple Inc Digital touch on live video
US9794710B1 (en) 2016-07-15 2017-10-17 Sonos, Inc. Spatial audio correction
US10372406B2 (en) 2016-07-22 2019-08-06 Sonos, Inc. Calibration interface
US10459684B2 (en) 2016-08-05 2019-10-29 Sonos, Inc. Calibration of a playback device based on an estimated frequency response
US20180067641A1 (en) 2016-09-01 2018-03-08 PIQPIQ, Inc.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for real-time selection and sorting of photo and video content
US10147171B2 (en) * 2016-09-21 2018-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ubtracted images
US10264213B1 (en) 2016-12-15 2019-04-16 Steelcase Inc. Content ampl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6599275A (zh) * 2016-12-23 2017-04-2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拍照搜索的方法及装置
CN108696844B (zh) * 2017-03-07 2021-12-24 中移(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系统
US10599319B2 (en) 2017-03-13 2020-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rag and drop insertion control object
KR102318556B1 (ko) * 2017-04-12 2021-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DK180127B1 (en) * 2017-05-16 2020-05-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VING USER INTERFACE OBJECTS
CN107219970A (zh) * 2017-05-19 2017-09-29 智器云南京信息科技有限公司 可视化分析图表的操作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终端
KR102161880B1 (ko) * 2018-06-28 2020-10-05 주식회사 힐세리온 초음파 영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조직의 사이즈 검출방법
US10299061B1 (en) 2018-08-28 2019-05-21 Sonos, Inc. Playback device calibration
US11206484B2 (en) 2018-08-28 2021-12-21 Sonos, Inc. Passive speaker authentication
RU2691975C1 (ru) * 2018-10-03 2019-06-19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олетаев Система связи
US11016643B2 (en) * 2019-04-15 2021-05-25 Apple Inc. Movement of user interface object with user-specified content
CN111273846B (zh) * 2019-04-29 2022-04-01 深圳市鸿合创新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工具栏的调节方法及交互式显示设备
CN110262713B (zh) * 2019-05-29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及终端设备
US10734965B1 (en) 2019-08-12 2020-08-04 Sonos, Inc. Audio calibration of a portable playback device
CN110533655A (zh) * 2019-08-30 2019-12-03 深圳开立生物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测量信息处理方法、装置、超声设备及存储介质
US11404028B2 (en) 2019-12-16 2022-08-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notification handling
US11042222B1 (en) 2019-12-16 2021-06-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designation and sharing
US11093046B2 (en) 2019-12-16 2021-08-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designation for remote content source device
US11487423B2 (en) * 2019-12-16 2022-1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input areas and hidden inputs
CN113050864B (zh) * 2019-12-27 2023-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截屏方法及相关设备
US11811604B2 (en) 2021-03-17 2023-11-07 Stripe, Inc. Cross-platform contract valid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739A (ko) * 2005-10-28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080102644A (ko) * 2007-05-21 2008-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매크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00032560A (ko) * 2008-09-18 2010-03-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
KR20100037945A (ko)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2111B2 (en) 1998-01-26 2016-03-22 Apple Inc.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JP3798170B2 (ja) 1999-02-08 2006-07-19 シャープ株式会社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を備えた情報処理システム
US6664991B1 (en) 2000-01-06 2003-12-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 menus on a pen-based device
US7106464B1 (en) * 2000-07-26 2006-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images to a remote location
JP4102045B2 (ja) * 2001-09-28 2008-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スクトップ上の隠蔽ウインドウ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処理装置
KR100438578B1 (ko) 2001-12-13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 장치의 파일 탐색기와 그 파일 탐색기를이용한 파일 복사 및 이동방법
JP3745290B2 (ja) * 2002-02-28 2006-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
US7058902B2 (en) 2002-07-30 2006-06-06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on-object context menus
US6944859B2 (en) * 2003-01-30 2005-09-13 Epocrat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stalling data on a handheld computer
WO2006066411A1 (en) * 2004-12-22 2006-06-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ling attachment content on a mobile device
CN101375237A (zh) * 2005-09-19 2009-02-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图形对象的绘制方法
KR100791287B1 (ko) * 2005-10-26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객체의 3차원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8196055B2 (en) * 2006-01-30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pplication windows in an operating system
EP1840707A1 (en) 2006-03-31 2007-10-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Edit menu with a reduced set of functions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877707B2 (en) * 2007-01-06 2011-01-25 Apple Inc. Detecting and interpreting real-world and security gestures on touch and hover sensitive devices
US8645863B2 (en) * 2007-06-29 2014-02-04 Microsoft Corporation Menus with translucency and live preview
EP2201448A4 (en) 2007-09-11 2013-10-16 Smart Internet Technology Cr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FILE TRANSFER
EP2201440A4 (en) * 2007-09-11 2012-08-29 Smart Internet Technology Crc Pty Ltd INTERFACE ELEMENT FOR A COMPUTER INTERFACE
US8564574B2 (en) 2007-09-18 2013-10-22 Acer Incorporated Input apparatus with multi-mode switching function
KR101427259B1 (ko) * 2007-10-05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EP2060970A1 (en) * 2007-11-12 2009-05-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JP4729062B2 (ja) * 2008-03-07 2011-07-20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システム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54855A1 (en) * 2008-04-08 2009-10-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superimposed user interface
JP5171386B2 (ja) * 2008-05-19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826181B2 (en) 2008-06-28 2014-09-02 Apple Inc. Moving radial menus
KR101524616B1 (ko) * 2008-07-07 201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756519B2 (en) * 2008-09-12 2014-06-17 Google Inc. Techniques for sharing content on a web page
WO2010036050A2 (en) * 2008-09-26 2010-04-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83390B2 (en) * 2008-10-01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objects on multi-touch user interface
CA2680977C (en) * 2008-10-06 2018-08-07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Tariff management configuration automation
CN101751286B (zh) 2008-11-28 2015-05-13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直觉化档案传输方法
US8671344B2 (en) * 2009-02-02 2014-03-11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100229129A1 (en) * 2009-03-04 2010-09-09 Microsoft Corporation Creating organizational container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8473862B1 (en) * 2009-05-21 2013-06-25 Perceptive Pixel Inc. Organizational tools on a multi-touch display device
JP5402650B2 (ja) * 2009-06-09 2014-01-29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制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JP5377143B2 (ja) * 2009-07-29 2013-12-2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KR101611302B1 (ko) * 2009-08-10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스쳐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418079B2 (en) * 2009-09-01 2013-04-09 James J. Nicholas, III System and method for cursor-based application management
KR101784466B1 (ko) * 2009-09-15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WO2012044363A1 (en) * 2010-09-30 2012-04-0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active reading
US8487888B2 (en) * 2009-12-04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interaction on multi-touch display
CN102103456B (zh) * 2009-12-18 2013-01-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展现窗口中的元素的方法及装置
US8232990B2 (en) * 2010-01-05 2012-07-31 Apple Inc. Working with 3D objects
US20110163944A1 (en) * 2010-01-05 2011-07-07 Apple Inc. Intuitive, gesture-based communications with physics metaphors
US8756532B2 (en) * 2010-01-21 2014-06-17 Cisco Technology, Inc. Using a gesture to transfer an object across multiple multi-touch devices
US8839150B2 (en) * 2010-02-10 2014-09-16 Apple Inc. Graphical objects that respond to touch or motion input
US8769443B2 (en) * 2010-02-11 2014-07-01 Apple Inc. Touch inputs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items
US20110205169A1 (en) * 2010-02-24 2011-08-25 Primax Electronics Ltd. Multi-touch input apparatus and its interface method using hybrid resolution based touch data
US8296332B2 (en) * 2010-04-01 2012-10-23 Apple Inc. Visual manipulation of database schema
EP2556339B8 (en) * 2010-04-09 2018-12-26 TomTom Navigation B.V.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cost function
US20120026100A1 (en) * 2010-07-30 2012-02-02 Migos Charles J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ligning and Distributing Objects
US9081494B2 (en) * 2010-07-30 2015-07-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pying formatting attributes
US8875047B2 (en) * 2010-08-31 2014-10-28 Blackboard Inc. Smart docking for windowing systems
US20120154295A1 (en) * 2010-12-17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Cooperative use of plural input mechanisms to convey ges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739A (ko) * 2005-10-28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080102644A (ko) * 2007-05-21 2008-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매크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00032560A (ko) * 2008-09-18 2010-03-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
KR20100037945A (ko)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722A (ko) * 2013-04-24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와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서버와 제어 방법
KR20150137779A (ko)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17384C2 (ru) 2017-04-24
EP2732364A2 (en) 2014-05-21
EP2732364B1 (en) 2019-05-22
KR101948645B1 (ko) 2019-02-18
MX2014000453A (es) 2014-03-21
CN103649899B (zh) 2018-03-09
US20170336938A1 (en) 2017-11-23
JP2014527657A (ja) 2014-10-16
CN108052265B (zh) 2021-05-11
US9727225B2 (en) 2017-08-08
BR112014000778A2 (pt) 2017-02-14
AU2012281308B2 (en) 2015-11-05
CA2841524A1 (en) 2013-01-17
JP6154374B2 (ja) 2017-06-28
EP2732364A4 (en) 2015-06-24
WO2013009092A3 (en) 2013-04-11
AU2012281308A1 (en) 2013-05-09
RU2014100873A (ru) 2015-07-20
WO2013009092A2 (en) 2013-01-17
CN103649899A (zh) 2014-03-19
US20130019193A1 (en) 2013-01-17
CA2841524C (en) 2019-08-27
CN108052265A (zh)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645B1 (ko)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6119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309705B2 (ja) 携帯端末機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その装置
US10705682B2 (en) Section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KR102032449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EP2701053B1 (en)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execution in a mobile terminal by recognizing writing gestur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064952B1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KR101971067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1881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ide menus
KR102070013B1 (ko)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9298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130007811A (ko) 외부 장치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51834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142546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20120015968A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AU2014312481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JP2013077302A (ja) 携帯端末機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および装置
US201301012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ersonalized contents
KR102064397B1 (ko) 전자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74898B1 (ko) 휴대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6008567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20066255A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