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834B1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834B1
KR102251834B1 KR1020130080924A KR20130080924A KR102251834B1 KR 102251834 B1 KR102251834 B1 KR 102251834B1 KR 1020130080924 A KR1020130080924 A KR 1020130080924A KR 20130080924 A KR20130080924 A KR 20130080924A KR 102251834 B1 KR102251834 B1 KR 10225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emo
electronic device
inpu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048A (ko
Inventor
김지현
송세준
한영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834B1/ko
Priority to EP21184358.6A priority patent/EP3910452A1/en
Priority to US14/893,674 priority patent/US10877624B2/en
Priority to PCT/KR2014/006159 priority patent/WO2015005674A1/en
Priority to AU2014287956A priority patent/AU2014287956B2/en
Priority to EP14822433.0A priority patent/EP3019932A4/en
Priority to CN201480039582.2A priority patent/CN105378597B/zh
Priority to BR112015029209-7A priority patent/BR112015029209B1/pt
Publication of KR2015000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Abstract

메모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을 감지하여 화면 상에 객체를 추가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추가된 객체를 연계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FOR DISPLAYING IN ELECTRONIC DEVICE}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메모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문서 작성 기능, 메시지 작성 기능 등과 같은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하여, 자신의 기억을 돕기 위해 간단한 글을 작성하도록 하는 메모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메모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만 입력에 해당하는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더하여,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메모를 작성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확인하고자 하는 메모를 로딩해야한다.
이러한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메모 저장시 메모에 대한 생성 시간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메모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화면마다 메모 화면을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전환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화면 제어에 따라 메모 화면도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을 감지하여 화면 상에 객체를 추가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추가된 객체를 연계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객체를 추가하는 동작,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식별자를 추가된 객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다양한 실시들예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마다 메모 화면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화면과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생성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및,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최근 다양하게 이용되는 터치스크린은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는 입력 또는 표시 장치이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키패드와 같은 별도의 입력 장치를 제거하여 표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전체가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풀터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화면으로 활용하여 화면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과 같은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 손가락에 대한 입력 또는 음성 명령 또는 기타 센서로 수신되는 특정 입력 등으로 텍스트, 숫자, 도형, 그래프 등과 같은 객체가 추가된 메모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메모는 문서 작성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메모를 생성하지 못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한 후, 저장된 이미지에 텍스트, 숫자, 도형, 그래프 등과 같은 객체를 추가시킨 메모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메모 작성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메모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문서 작성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와 상관없이 화면상의 입력을 감지하여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마다 객체를 추가시킬 수 있는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된 메모(또는 메모 화면)를 상기 메모가 생성된 화면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된 메모(또는 메모 화면)를 상기 메모가 생성된 화면의 구성 요소와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전환시 디스플레이될 화면과 함께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또는 메모 화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메모 가운데 디스플레이될 화면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메모(또는 메모 화면)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어떠한 종류의 전자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 냉장고, 멀티기능 복합기 (multi-function peripheral), 비디오 게임 콘솔, 디지털 카메라, 휴대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울트라 모바일 PC(Ultra Mobile PC, UMPC), 네비게이션, 스마트 TV, 디지털 시계 및 MP3 재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와 다른 입력수단을 가진 전자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도 본 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이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메모는 문서, 메모 데이터, 문자, 메시지 등과 균등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오디오 처리부(130), 통신 시스템(140), 입출력 제어 모듈(150), 터치스크린(160) 또는 입력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구성은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또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는 전화번호부, 발신메시지 또는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며,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에 대한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는 상기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는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잠금 화면 등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와 각 화면별로 생성된 메모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운영체제 프로그램(113), 메모관리 프로그램(114), 디스플레이 프로그램(1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된 프로그램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 프로그램(113)은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또는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또는 관리, 전력 제어 또는 관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체제 프로그램(113)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프로그램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관리 프로그램(114)은 손가락, 전자펜, 키보드, 키패드, 트랙볼, 음성 또는 기타 센서로 수신되는 특정 입력등과 같은 입력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을 감지하여 메모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메모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메모관리 프로그램(114)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마다 메모 화면을 생성한 후, 화면상에서 감지되는 입력에 대한 객체를 상기 생성된 메모 화면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관리 프로그램(114)은 화면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메모 화면을 생성한 후, 화면상에서 감지되는 입력에 대한 객체를 상기 메모 화면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메모관리 프로그램(114)은 화면별로 부여된 식별자를 해당 화면의 메모 화면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메모관리 프로그램(114)은 디스플레이될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메모 화면을 호출할 수 있다.
상기 메모관리 프로그램(114)은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모관리 프로그램(114)은 메모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거나 메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메모 화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115)은 상기 터치 스크린(16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11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115)은 입력에 따른 객체를 추가하는 메모 생성 동작, 화면 전환에 의해 메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작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115)은 객체를 추가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화면상에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에 객체가 추가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115)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전환시키는 입력이 감지되면, 전환된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을 전환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전환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부가 동작하여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황,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변경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115)은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동작, 메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디스플레이가 중단되는 동작, 메모 화면의 스크롤 동작 등과 같이 메모 화면이 제어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면마다 메모 화면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프로그램도 상기 응용프로그램(116)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상기와 같이 화면마다 메모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또는 인터페이스(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122) 또는 인터페이스(124)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프로세서(122)와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의 연결을 제어하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화면마다 메모 화면을 생성하고, 화면 전환시 메모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100)의 메모 기능은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상기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131) 또는 마이크로폰(1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40)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시스템(140)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150)은 터치 스크린(160) 또는 입력 장치(17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60)은 정보의 디스플레이 또는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장치로, 터치 입력부(161)와 디스플레이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161)는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 모듈(150)을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입력부(161)는 터치 정보를 터치 다운(touch_down), 터치 움직임(touch_move) 또는 터치 업(touch_up)과 같은 명령어 구조로 변경하여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메모 화면 생성을 위한 입력, 상기 메모 화면에 추가할 객체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터치 입력부(161)는 상기 메모 화면을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또는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입력에 따른 객체를 추가하는 메모 생성 동작, 화면 전환에 의해 메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작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객체를 추가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화면상에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에 객체가 추가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전환시키는 입력이 감지되면, 전환된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을 전환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동작, 메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디스플레이가 중단되는 동작, 메모 화면의 스크롤 동작 등과 같이 메모 화면이 제어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 모듈(150)을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7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메모 화면 생성을 위한 입력, 상기 메모 화면에 추가할 객체에 대한 입력을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입력 장치(170)는 상기 메모 화면을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을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전자 장치(100)는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영상 데이터 획득을 위한 이미지 센서 또는 근접 센싱을 위한 근접 센서 모듈 등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전자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을 감지하여 화면 상에 객체를 추가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추가된 객체를 연계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화면에 상응하는 객체 추가 화면을 디스플레이된 화면 일부 또는 전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객체 추가 화면에 객체를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객체 추가 화면은 디스플레이된 화면상에서 감지된 입력에 해당하는 객체가 추가될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될 될 화면에 해당하는 객체를 호출하고, 호출된 객체를 화면 일부 또는 전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화면 전체 또는 화면 일부에 대한 식별자를 객체 또는 객체 추가 화면과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을 감지하여 객체 추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객체 추가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객체 추가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잠금 화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에 대하여 객체 추가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객체 추가 화면에 객체를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객체는 도형, 숫자, 텍스트, 오디오 컨텐츠, 영상 컨텐츠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미리 정의된 입력을 감지하여 객체 추가 화면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생성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1과 같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면은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잠금 화면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다수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3과 같이 객체 추가를 위한 제스처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추가를 위한 제스처는 메모 화면에 객체를 추가시키겠다는 사용자의 입력으로, 이는 메모 화면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이 될 수 있다. 상기 메모 화면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한 객체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으로 객체 추가 화면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객체 추가를 위한 제스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미리 정의된 형태의 입력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객체 추가를 위한 제스처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뿐만 아니라, 트랙볼, thumb stick, 전자펜, 마우스, 음성 또는 기타 센서로 수신되는 특정 입력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펜이라는 입력 수단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수단에 상기 객체 추가를 위한 메모 화면이 실행되도록 하는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버튼을 부착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5와 같이 객체 추가를 위한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실행된 메모 화면에 객체를 추가할 수 있는 객체 입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메모 화면에 추가될 수 있는 객체는 도형, 숫자, 텍스트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객체는 수기 입력 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의 입력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보드, 디지털 글러브,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수단에 의해서도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레이어 형태로 표현된 메모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객체 입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자 장치는 팝업 형태, 멀티 윈도우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객체 입력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객체를 추가하는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스처는 추가하고자 하는 객체의 형태를 표현하는 입력으로, 터치 스크린에 텍스트를 입력하는 제스처, 도형을 그리는 제스처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7과 같이 사용자의 제스처에 해당하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스처에 해당하는 객체를 생성한다는 것은 상기 입력에 해당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에 추가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9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마다 서로 다른 식별자를 정의한 후,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면의 구성요소는 화면에 포함된 버튼, 텍스트, 이미지 등과 같은 구성 객체와 이러한 구성 객체들이 포함하는 레이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객체를 뷰(view)로 표현하고, 상기 레이아웃을 뷰그룹(view group), 독(dock)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각각의 구성 객체 및/또는 레이아웃에 대하여 식별자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홈 화면을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에 대하여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식별자가 부여된 홈 화면에는 기능 실행을 위한 다수의 아이콘 및/또는 위젯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각 아이콘 및/또는 위젯들이 구성 객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 레이아웃이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을 구성하는 아이콘 및/또는 위젯에도 서로 다른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11과 같이 화면 식별자를 메모 화면에 추가할 수 있다. 이는 화면별로 생성된 메모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객체가 추가된 메모 화면과 상기 메모 화면에 객체를 추가하는 입력이 감지된 화면의 식별자를 매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디스플레이시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13과 같이 화면 식별자가 추가된 메모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면에 대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생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전자 장치는 화면의 구성 객체 및/또는 레이아웃에 대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구성 객체 및/또는 레이아웃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사이즈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객체 및/또는 레이아웃의 크기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객체를 추가할 수 있는 메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메모 화면은 객체가 추가될 수 있는 화면으로 객체 추가 화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객체는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연결될 수 있는 오디오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영상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화면에 대한 식별자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식별자를 오디오 컨텐츠와 연결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화면 디스플레이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오디오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301과 같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면은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잠금 화면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다수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303과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될 화면에 대한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를 관리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될 화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화면 전환을 위한 요청을 감지할 경우, 전화 방향에 해당하는 화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환될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들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별로 메모 화면을 정의한 후, 각 화면에서 생성된 메모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는 화면 식별자로 구분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305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될 화면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확인하여 현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기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화면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307과 같이 메모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전환하도록 하는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전환되는 것은 스크롤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스크롤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전환되는 것은 패닝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메모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전환에 따라 상기 메모 화면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스크롤되면, 스크롤된 화면의 위치/방향에 따라 상기 메모 화면도 스크롤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309와 같이 화면 전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메모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이 사라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화면 구성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를 관리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될 화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화면 전환을 위한 요청을 감지할 경우, 전화 방향에 해당하는 화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환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에 대한 객체를 추가할 수 있는 메모 화면을 각각의 화면별로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상기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매핑시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에 대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홈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하도록 하는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객체를 추가하는 입력이 감지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4(a)의 좌측 화면이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전자 장치(401)의 화면이고, 우측 화면이 홈 화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메모 화면(403)이다. 이러한 메모 화면(403)은 레이어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도면의 메모 화면(403)에는 ID 1에 해당하는 홈 화면의 식별자가 부여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에 대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화면이 될 수 있고,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하도록 하는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객체를 추가하는 입력이 감지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4(b)의 좌측 화면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전자 장치(411)의 화면이고, 우측 화면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메모 화면(411)이다. 이러한 메모 화면(411)은 레이어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도면의 메모 화면(411)에는 ID 2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의 식별자가 부여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면 식별자에 의해 생성된 메모 화면은 각 메모 화면에 부여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황에서는 메모 1(홈 화면에 대한 메모)을 디스플레이하고, 홈 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메모 1 대신 메모 2(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에 대한 메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홈 화면 및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에는 다수의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는 화면을 구성하는 아이콘, 위젯 등과 같은 구성 객체와 상기 구성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인 레이아웃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홈 화면에 포함되어 있는 시계 위젯에 대한 메모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시계 위젯이 다른 화면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메모 화면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는 화면에 포함된 버튼, 텍스트, 이미지 등과 같은 구성 객체와 이러한 구성 객체들이 포함하는 레이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객체를 뷰(view)로 표현하고, 상기 레이아웃을 뷰그룹(view group), 독(dock)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각각의 구성 객체 및/또는 레이아웃에 대하여 식별자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홈 화면을 예를 들면, 홈 화면에는 기능 실행을 위한 다수의 아이콘 및/또는 위젯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각 아이콘 및/또는 위젯들이 구성 객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 레이아웃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501)에는 무선랜, 블루투스, 위치기반 서비스, 화면 회전 등과 같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메뉴(503)와 날씨 위젯(505)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각 메뉴 및/또는 위젯들이 구성 객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 레이아웃이 될 수 있다.
더하여, 현재 날씨를 제공하는 위젯과 날씨 제공 지역을 추가하는 위젯은 하나의 레이아웃에 포함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는 설정 메뉴 및/또는 위젯과 같은 구성 객체에 메모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구성 객체에 메모를 추가하는 것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 객체에 메시지를 남기는 것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는 드래그와 같은 입력으로 화면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 객체를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위치 또는 다른 페이지의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만일, 화면에 대한 식별자로 매핑되어 있는 메모 화면을 이용하여 구성 객체에 대한 메모를 생성하였고, 상기 구성 객체가 다른 화면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메모 화면은 구성 객체가 이동하기 전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구성 객체에 대한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구성 객체에 대한 식별자를 메모 화면에 매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블루투스, 위치기반 서비스, 화면 회전 등과 같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메뉴(503)에 대한 메모 화면(511)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설정 메뉴와 같이 구성 객체에 대한 메모 화면을 생성하도록 하는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성 객체를 선택하거나 구성 객체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입력과 구분되는 입력을 상기 메모 생성을 위한 입력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상기 도 5(b)는 설정 메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메모 화면(501)으로, 상기 메모 화면에는 ID 1에 해당하는 구성 객체의 식별자가 부여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성 객체를 포함하는 레이아웃에 대한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레이아웃에 대한 메모 화면을 생성하도록 하는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에 정의된 입력과 다른 입력으로 정의될 필요가 있다.
상기 도 5(c)는 레이아웃(505)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메모 화면(521)으로, 상기 메모 화면에는 ID 2에 해당하는 레이아웃의 식별자가 부여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 화면과 메모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구성 객체 및/또는 레이아웃이 다른 화면으로 이동되더라도 이동된 구성 객체 및/또는 레이아웃에 대한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화면 구성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화면 전환을 위한 요청을 감지할 경우, 전화 방향에 해당하는 화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환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 화면(601)에 대한 화면 식별자를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화면(601)에는 현재 시간을 제공하는 시계 위젯과 기능 실행을 위한 다수의 아이콘 및/또는 위젯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시계 위젯과 기능 실행을 위한 다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객체(603)를 추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도 6(c)와 같은 메모 화면(605)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605)에 객체(607)를 추가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레이어 형태의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모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홈 화면에 대한 식별자를 매핑(609)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상에 입력에 해당하는 객체를 상기 메모 화면에 추가시킨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객체가 추가된 메모 화면에 객체 추가를 위한 입력이 감지된 화면의 식별자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잠금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면은 입력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된 각각의 화면에 대하여 화면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화면 식별자를 각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에 매핑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전환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디스플레이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상응되는 메모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화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전환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 이미지로 구성된 화면(701)을 디스플레이한 전자 장치가 화면 전환을 위한 패닝 입력(703)을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전환을 위한 입력을 감지할 경우, 입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전환(705)시킬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은 꽃 이미지로 구성된 화면을 홈 화면(707)으로 전환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전환과 동시에 전환된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또는 메모 화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별로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화면상에서 감지된 입력에 상응하는 객체를 해당 화면의 메모 화면에 추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객체가 추가된 메모 화면을 해당 화면의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 화면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또는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으로 전환될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홈 화면에 대한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와 매핑된 메모 화면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홈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에 "일정 확인"이라는 객체가 추가되어, 홈 화면으로 전환시 상기 메모 화면도 함께 디스플레이(709)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홈 화면 위에 레이어를 추가하여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레이어의 출력을 제어하여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를 중단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게임, 스케줄러, 문서 작성, 멀티미디어 재생 등과 관련하여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하여 화면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화면 식별자를 각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에 매핑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객체를 추가시키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에 대한 객체를 입력이 감지된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에 추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실행 화면의 식별자로 매핑된 메모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화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 표지 화면(803)과 컨트롤 화면(801)으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에 대한 화면 식별자를 정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앨범 표지 화면과 컨트롤 화면으로 구성된 재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재생 화면에 객체를 추가(805)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도 8(c)와 같은 메모 화면(807)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에 객체를 추가(809)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레이어 형태의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모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재생 화면에 대한 식별자를 매핑(811)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상에 입력에 해당하는 객체를 상기 메모 화면에 추가시킨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객체가 추가된 메모 화면에 객체 추가를 위한 입력이 감지된 화면의 식별자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모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잠금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생성된 각각의 화면에 대하여 화면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화면 식별자를 각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에 매핑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전환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디스플레이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상응되는 메모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화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에는 홈 화면(9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감지된 입력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903)과 상기 실행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90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별로 메모 화면을 생성하여 화면상에서 감지된 입력에 상응하는 객체를 해당 화면의 메모 화면에 추가시킬 수 있으며, 전환되는 화면에 대한 식별자와 매핑된 메모 화면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화면 구성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면 식별자를 이용하여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를 관리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될 화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화면 전환을 위한 요청을 감지할 경우, 전화 방향에 해당하는 화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환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에 대한 객체를 추가할 수 있는 메모 화면을 각각의 화면별로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상기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매핑시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미리 정의된 형태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한다는 것은 객체 추가를 위한 메모 화면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는 것과 균등한 의미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객체의 형태를 표현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입력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화면 전환을 위한 패닝 입력 등과 같이 미리 정의된 입력과 구분되는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입력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트랙볼, thumb stick, 전자펜, 마우스, 음성 또는 기타 센서로 수신되는 특정 입력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하도록 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펜이라는 입력 수단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수단에 상기 객체 추가를 위한 메모 화면이 실행되도록 하는 버튼을 구비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화면 가운데 일부 영역을 정의하여, 상기 정의된 영역에서 감지되는 입력을 메모 화면 생성을 위한 입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테두리 부분을 메모 화면 생성 입력을 감지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01)는 상기 영역에서 입력이 감지(1003)되면 메모 생성을 입력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 화면 생성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된 화면 위에 레이어 형태인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화면(1005)을 생성한 후,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는 입력(1007)에 따라 메모 화면을 화면에 디스플레이(1009)시킬 수 있다.
도 10(a)의 음영 처리 영역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입력을 나타내고, 도 10(b) 및/또는 도 10(c)의 음영 처리 영역은 입력에 의해 생성된 메모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한 입력을 상기 메모 화면 생성을 위한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및/또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메모 화면 생성을 위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측에 대하여 입력을 감지한 후 이동되는 입력(1101)에 따라 메모 입력 화면(1103)을 생성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하측에 대하여 입력을 감지한 후 이동되는 입력(1105)에 따라 메모 입력 화면(1107)을 생성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모서리에 대하여 입력을 감지한 후 이동되는 입력(1109)에 따라 메모 입력 화면(1111)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을 화면 상에서 사라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테두리 부분을 메모 화면을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 화면을 제어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메모 화면을 제어한다는 것은 메모 화면을 복사하여 다른 화면 및/또는 다른 화면의 구성 객체의 식별자와 매핑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메모 화면을 다른 화면의 메모 화면에 적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메모 화면을 제어한다는 것은 메모 화면을 다른 화면 및/또는 다른 화면의 구성 객체의 식별자와 매핑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에 부여된 식별자를 변경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1201)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화면(1203)을 제어하는 입력(1205)을 감지할 경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입력(1209)에 따라 메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일정 확인"이라는 객체가 추가된 메모 화면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화면(1207)에서 사라지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13(a)와 같이 무선랜 설정 화면(1301)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무선랜 설정 화면에 대한 식별자를 확인한 후, 상기 식별자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식별자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확인한 후, 도 13(b)와 같이 무선랜 설정 화면 위에 메모 화면(130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무선랜 설정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도 전환된 화면에 대한 메모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무선랜 설정 화면을 스크롤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화면의 스크롤(1309)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1307)도 스크롤 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펜의 입력을 감지하여 메모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전자 펜은 도 14(a)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펜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1401)을 갖는 펜 형태이고,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403)을 포함한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은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시키는 버튼(405)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403)은 상기 전자 펜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동작 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 회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기장에 반응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공진 회로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하도록 하는 버튼(405)은 푸쉬/풀 타입 형태로 메모 화면을 생성하도록 하는 인터럽트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버튼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자 펜 내부에 인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펜의 버튼이 인입된 상태에서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화면(1411)을 유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메모 화면(1421)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음영 처리된 부분이 메모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한다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모 화면의 가로 및/또는 세로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잠금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대한 구성 요소는 화면에 포함된 버튼, 텍스트, 이미지 등과 같은 구성 객체와 이러한 구성 객체들이 포함하는 레이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객체를 뷰(view)로 표현하고, 상기 레이아웃을 뷰그룹(view group), 독(dock)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각각의 구성 객체 및/또는 레이아웃에 대하여 식별자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입력에 해당하는 객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는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에 텍스트, 도형 등과 같은 객체를 추가하는 것으로, 객체는 화면 일부 영역에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크기에 해당하는 메모 화면을 저장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객체를 포함하는 최소한의 영역 크기의 메모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객체가 추가된 메모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전자 펜과 같은 다른 입력 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영역을 잘라내어 이를 메모 화면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다수의 기준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후, 객체가 포함된 기준 정보의 영역만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는 다수의 십자 형태의 기준 정보(1501)를 정의한 후,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는 영역(1503)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 화면(1505)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모 화면의 크기를 판단한 전자 장치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 크기의 메모 화면(전체 화면 크기의 메모 화면)을 도 15(d)와 같이 판단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화면 크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전자 장치는 상기 언급된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메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디스플레이시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이 존재할 경우,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상기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이 존재할 경우,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상기 메모 화면이 존재함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a)는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이 존재하지 않는 화면을 디스프레이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디스플레이시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나 메모 화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1601)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b)는 전자 장치에서 메모 화면이 존재하는 화면을 디스프레이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 디스플레이시 화면에 상응하는 메모 화면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1603) 일부에 메모 화면이 존재함을 표시(1605)한 후,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상에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객체를 추가하는 동작,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식별자를 추가된 객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잠금 화면 등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 입력된 객체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객체 추가를 위한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객체 추가 화면을 생성하여 입력에 해당하는 객체를 추가시킬 수 있다. 이는 도 17의 동작 1701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식별자와 추가된 객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객체가 추가된 화면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이를 추가된 객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 17의 동작 1703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식별자를 추가된 객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객체를 화면 전체 또는 화면 일부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 1 화면 디스플레이시 상기 제 1 화면에 대응되는 제 1 객체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제 2 화면 디스플레이시 상기 제 2 화면에 대응되는 제 2 객체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객체를 추가하는 동작은, 상기 객체를 추가할 수 있는 영역인 객체 추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객체 추가 화면은 화면 식별자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객체 추가 화면은 입력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객체 추가 화면이 제어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중단, 다른 화면으로 이동, 다른 화면으로 복사, 스크롤, 크기 조절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는 추가된 객체의 존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또는 위젯을 포함하는 구성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성 객체들 중 제1 구성 객체에 대하여 메모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화면 상에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하고,
    메모 객체 입력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모 객체 입력 모드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1 구성 객체에 대한 메모 객체를 추가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메모 객체를 추가하기 위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 화면에 상기 메모 객체를 추가하고,
    상기 제1 구성 객체에 대한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 화면과 매핑하고,
    상기 식별자가 매핑된 상기 메모 화면을 저장하고,
    상기 제1 구성 객체가 상기 제1 화면에서 제2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구성 객체에 대한 식별자가 매핑된 상기 메모 화면을 상기 제2 화면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구성 객체에 대한 상기 메모 화면을 상기 제1 화면 일부 또는 전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에 따라 상기 메모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에 따라 상기 메모 화면을 복사 또는 스크롤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또는 위젯을 포함하는 구성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구성 객체들 중 제1 구성 객체에 대하여 메모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화면 상에 상기 메모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
    메모 객체 입력 모드를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메모 객체 입력 모드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1 구성 객체에 대한 메모 객체를 추가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메모 객체를 추가하기 위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 화면에 상기 메모 객체를 추가하는 동작,
    상기 제1 구성 객체에 대한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 화면과 매핑하는 동작,
    상기 식별자가 매핑된 상기 메모 화면을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구성 객체가 상기 제1 화면에서 제2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구성 객체에 대한 식별자가 매핑된 상기 메모 화면을 상기 제2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화면은 입력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메모 화면이 제어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중단, 다른 화면으로 이동, 다른 화면으로 복사, 스크롤, 크기 조절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에는 생성된 상기 메모 화면의 존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삭제
KR1020130080924A 2013-07-10 2013-07-10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5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924A KR102251834B1 (ko) 2013-07-10 2013-07-10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EP21184358.6A EP3910452A1 (en) 2013-07-10 2014-07-09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4/893,674 US10877624B2 (en) 2013-07-10 2014-07-09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PCT/KR2014/006159 WO2015005674A1 (en) 2013-07-10 2014-07-09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U2014287956A AU2014287956B2 (en) 2013-07-10 2014-07-09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14822433.0A EP3019932A4 (en) 2013-07-10 2014-07-09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201480039582.2A CN105378597B (zh) 2013-07-10 2014-07-09 用于显示的方法及其电子装置
BR112015029209-7A BR112015029209B1 (pt) 2013-07-10 2014-07-09 Dispositivo eletrônico e método de exibição de um dispositivo eletrônic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924A KR102251834B1 (ko) 2013-07-10 2013-07-10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048A KR20150007048A (ko) 2015-01-20
KR102251834B1 true KR102251834B1 (ko) 2021-05-14

Family

ID=5228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924A KR102251834B1 (ko) 2013-07-10 2013-07-10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77624B2 (ko)
EP (2) EP3910452A1 (ko)
KR (1) KR102251834B1 (ko)
CN (1) CN105378597B (ko)
AU (1) AU2014287956B2 (ko)
BR (1) BR112015029209B1 (ko)
WO (1) WO2015005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816B1 (ko) * 2014-07-09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333794B2 (ja) * 2015-11-19 2018-05-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WO2017104206A1 (ja) * 2015-12-15 2017-06-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98364B1 (ko) * 2016-03-24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520398B1 (ko) 2016-05-18 2023-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07066268B (zh) * 2017-03-28 2022-03-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微件应用的显示位置切换方法及装置
US10950206B2 (en) * 2017-04-13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KR102339835B1 (ko) * 2017-04-26 2021-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20190056765A1 (en) * 2017-08-16 2019-02-21 Deonna Harris Electronic Scheduling Assembly
CN109947352A (zh) * 2019-03-29 2019-06-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备忘录的创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908584B (zh) * 2019-11-29 2021-07-3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录屏数据的回放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11290810B (zh) * 2020-01-19 2021-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6738940A (zh) * 2022-09-30 2023-09-12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备忘录存储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700A (en) * 1993-02-17 1997-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US6697838B1 (en) * 2000-05-03 2004-02-24 Software Leader, Llc Method and system for annotating information resources in connection with browsing, in both connected and disconnected states
KR20030013444A (ko) * 2000-06-22 2003-02-14 인텔 코오퍼레이션 유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사이 에서의 객체의 전달 방법
US20040078451A1 (en) * 2002-10-17 2004-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parating and saving hyperlinks of special interest from a sequence of web documents being browsed at a receiving display station on the web
US20050091578A1 (en) * 2003-10-24 2005-04-28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sticky notes
US8255819B2 (en) * 2006-05-10 2012-08-28 Google Inc. Web notebook tools
EP3139257A1 (en) 2007-01-19 2017-03-08 LG Electronics Inc.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ouch input device
US20080314941A1 (en) 2007-06-21 2008-12-25 Knych Bernard L Dual function clip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creen
JP2009032224A (ja) 2007-07-05 2009-02-12 Sony Corp 電子機器
US8594740B2 (en) * 2008-06-11 2013-11-26 Pantech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method
KR101561826B1 (ko) 2008-06-11 2015-10-21 주식회사 팬택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1554185B1 (ko) 2008-12-03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JP5531412B2 (ja) * 2009-01-14 2014-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718027B1 (ko) 2010-09-09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모 관리방법
KR20120075845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메모 방법 및 장치
KR20120091826A (ko) 2011-02-10 2012-08-20 팅크웨어(주)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
EP2487584A3 (en) * 2011-02-11 2013-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JP5360140B2 (ja) * 2011-06-17 2013-12-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閲覧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方法
KR101863926B1 (ko) 2011-07-19 2018-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50768B2 (en) * 2012-02-13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KR102042265B1 (ko) * 2012-03-30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73761B1 (ko) * 2012-04-20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95480B1 (ko) * 2012-06-01 2014-05-14 주식회사 팬택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단말
US8868598B2 (en) * 2012-08-15 2014-10-21 Microsoft Corporation Smart user-centric information aggregation
KR101960311B1 (ko) * 2012-10-29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5655B1 (ko) * 2012-10-29 2018-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44460B1 (ko) * 2012-11-12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33637B1 (ko) * 2012-12-20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9261985B2 (en) * 2013-03-11 2016-02-16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based touch-sensitive area for UI control of computing device
US20140282077A1 (en) * 2013-03-14 2014-09-18 Sticky Storm, LLC Software-based tool for digital idea collection, organization, and collaboration
US9823813B2 (en) * 2013-03-15 2017-11-21 Salesforce.Co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action on a database record
US9710147B2 (en) * 2013-05-2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05460B1 (ko) * 2013-06-14 2020-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29209A2 (pt) 2017-07-25
WO2015005674A1 (en) 2015-01-15
AU2014287956B2 (en) 2019-11-14
US20160110035A1 (en) 2016-04-21
BR112015029209B1 (pt) 2022-06-14
CN105378597B (zh) 2019-01-22
EP3910452A1 (en) 2021-11-17
EP3019932A4 (en) 2017-02-22
CN105378597A (zh) 2016-03-02
EP3019932A1 (en) 2016-05-18
AU2014287956A1 (en) 2015-11-12
US10877624B2 (en) 2020-12-29
KR20150007048A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834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809693B2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6999513B2 (ja) イメージ表示方法及び携帯端末
US9582188B2 (en)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are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013098B2 (en)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2207861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CN108958685B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JP6139397B2 (ja) マウス機能提供方法およびこれを具現する端末
US201303006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multi applications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US20140033119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80146B1 (ko)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30093043A (ko) 터치 및 스와이프 내비게이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9400599B2 (en) Method for changing object 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07760A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KR20110055088A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
JP2014164763A (ja) フィードバック提供方法及び端末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33844A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30126428A (ko) 다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KR20140028223A (ko) 주소록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85888B1 (ko) 전자 게시판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32851A (ko)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