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265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265B1
KR102042265B1 KR1020120142127A KR20120142127A KR102042265B1 KR 102042265 B1 KR102042265 B1 KR 102042265B1 KR 1020120142127 A KR1020120142127 A KR 1020120142127A KR 20120142127 A KR20120142127 A KR 20120142127A KR 102042265 B1 KR102042265 B1 KR 10204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video
writing
timing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187A (ko
Inventor
김형진
박종석
박규화
전판기
홍석정
박정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6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and artist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time, location and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재생되는 동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필기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고 메모 시작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재생 타이밍(timing)을 획득한 다음, 메모 저장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메모 저장 시점에 대응되는 제2 재생 타이밍을 획득하고 상기 필기 입력 영역을 통하여 수신된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 및 상기 제2 재생 타이밍을 반영하여 상기 동영상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작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재생 중에도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통한 메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동영상 재생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메모 삽입 구간의 동영상을 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재생 중에는 메모가 입력될 시점만 지정하고 동영상 재생이 완료된 이후에 지정된 시점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도록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재생되는 동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필기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고 메모 시작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재생 타이밍(timing)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메모 저장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메모 저장 시점에 대응되는 제2 재생 타이밍을 획득하고 상기 필기 입력 영역을 통하여 수신된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 및 상기 제2 재생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동영상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마이크,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재생되는 동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면서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메모 시작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재생 타이밍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는 메모 저장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메모 저장 시점에 대응되는 제2 재생 타이밍을 획득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 및 상기 제2 재생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삽입 기능이 활성화되면, 재생되는 동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면서 상기 동영상과 연관되어 저장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재생 타이밍 중 선택된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는 메모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및 동영상 재생 중 메모 작성이 개시되면 동영상 재생 속도를 감소시키고,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동영상을 정상 속도로 재생하며, 메모 작성 개시 시점과 메모 작성 완료 시점 사이를 메모 삽입 구간으로 설정하며,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을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및 동영상 재생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메모 작성 구간의 시작 시점이 도래하면 메모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제공하며, 메모 작성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 작성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및 동영상 재생 또는 녹화 중에 메모 삽입을 위한 복수의 시점이 선택된 후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선택된 복수의 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응되는 시점에 삽입될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중에도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통한 메모 기능을 수행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동영상 재생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메모 삽입 구간의 동영상을 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재생 중에는 메모가 입력될 시점만 지정하고 동영상 재생이 완료된 이후에 지정된 시점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도록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편집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메모 편집 방법에 따라서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변경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메모 편집 방법에 따라서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변경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메모 편집 방법에 따라서 메모의 삽입 위치 자체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표시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메모 표시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저장된 메모가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필기 입력된 단어에 대한 검색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에 동기되어 저장된 메모를 표시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에 동기되어 저장된 메모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파일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특정 파일이 동영상의 특정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도록 저장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가 동영상의 특정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도록 저장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재생 중에 작성된 메모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메모 파일 편집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1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작성이 개시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35 내지 도 37은 뵨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메모 입력 영역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른 동영상 재생 화면의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 삽입 구간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저장된 메모가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 내지 4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에 대하여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메모가 작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도 4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메모가 작성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시점이 선택된 다음, 선택된 메모 작성 시점에 대응되는 아이템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도 53은 도 5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메모를 삽입할 시점을 선택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54는 도 5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메모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55는 도 5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작성된 메모가 저장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전용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V 입력부(120)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가 하나의 입력부(116)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16)에서 발생하는 각종 입력 데이터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메모 작성 기능, 메모 저장 기능, 메모 삽입 기능 등 본 발명에 다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메모 관련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데이터에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상기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수신되는 터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상기 제어부(180)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18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커서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커서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콜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카드 형식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카드 슬롯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입력부(116)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가 발생한다(S10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는 하드웨어 핫키 조작, 카메라(121)를 통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특정 명령어 등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가 상기 입력부(116)에서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을 활성화시킨다(S110).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의 적어도 일부를 필기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고, 메모 시작 시점(=메모 작성 기능의 활성화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재생 타이밍을 획득한다(S120). 그러면,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필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필기 입력 영역에 필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영역을 통하여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이 필기 입력에 기초한 메모를 생성하며, 상기 메모가 생성된 다음 상기 입력부(116)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S130).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는 상기 생성된 메모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기 입력에 기초한 메모는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상기 필기 입력에 대한 문자 인식 결과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저장 기능을 활성화하여 메모 저장 시점(=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 수신 시점)에 대응되는 제2 재생 타이밍을 획득한다(S14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 및 상기 제2 재생 타이밍을 반영하여 상기 동영상과 연관시켜 저장한다(S150).
여기서 상기 생성된 메모를 상기 동영상과 연관시켜 저장한다는 것은, 상기 생성된 메모의 작성 시점과 저장 시점을 상기 동영상의 재생 타이밍과 동기시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을 상기 제1 타이임으로 설정하고,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메모의 삽입 타이밍을 상기 제2 재생 타이밍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더라도 상기 동영상의 재생 과정을 계속해서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동영상의 재생 과정이 표시되는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화면 전체가 될 수도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의 일부일 수도 있다.
도 2에서 살펴본 메모 파일 생성 방법과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수신되는 미리 정해지 형태의 터치에 기초하여 메모 작성 기능 및 메모 저장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소프트 키에 대한 터치에 기초하여 메모 작성 기능 및 메모 저장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의 (a)는 동영상 재생 중에 사용자가 메모 작성 기능 활성화를 위한 하드웨어 키를 조작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 화면의 전체를 필기 입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화면 위에 필기 입력을 위한 레이어(layer, 151-1)를 생성하며, 사용자는 상기 레이어(151-1)를 통하여 필기를 입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어(151-1)에는 메모 입력 시간(151-2) 및 상기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버튼(151-3)이 표시된다.
도 3의 (b)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 버튼(151-3)을 터치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메모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타이밍과 동기시켜 저장하기 위한 "통합저장" 버튼과 상기 생성된 메모를 상기 동영상과 관련없이 별개의 메모로 저장하기 위한 "개별저장" 버튼을 포함하는 선택 버튼(151-4)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선택 버튼(151-4)을 통하여 상기 생성된 메모의 저장 스타일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은 선택적 과정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통합저장" 버튼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메모를 메모 시작 시간과 메모 저장 시간의 반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메모의 저장 위치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151-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필기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의 전체 위에 필기 입력을 위한 레이어(151-1)가 생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의 일부의 위에만 필기 입력을 위한 레이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사용자가 메모 작성 기능 활성화를 위한 하드웨어 키를 조작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을 동영상 재생 영역(151-6)과 필기 입력 영역(151-7)으로 구분하는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과정을 보면서 필기 입력을 통한 메모 작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51)의 화면 하단에 표시된 핸들러(handler, 151-8)에 대한 터치를 화면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을 동영상 재생 영역(151-6)과 필기 입력 영역(151-7)으로 구분하는 설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5의 (b)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러(151-80에 대한 터치를 화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필기 입력 영역(151-7)을 제거하고 상기 터치스크린(151) 전체를 동영상 재생 영역(151-6)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사용자가 메모 작성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키를 조작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의 화면 위에 필기 입력을 위한 레이어(151-1)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의 일부에는 동영상 재생 영역(151-6)을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재생 영역(151-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더라도 동영상 재생 과정을 계속해서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의 활성화되는 시점에서의 동영상의 재생화면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된 동영상 재생화면을 필기 입력 영역인 레이어(151-1)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캡처된 동영상 재생 화면이 상기 레이어(151-1)의 백그라운드로 제공되면 사용자는 상기 캡처된 동영상 재생화면을 보면서(=참조하면서),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필기 입력과 상기 캡처된 동영상의 재생화면 모두를 고려하여 메모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캡처된 동영상의 재생화면에 필기 입력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메모로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화면을 캡처하여 상기 레이어(151-1)의 백그라운드로 표시한 경우에도, 상기 캡처된 동영상의 재생화면을 고려하지 않고, 필기 입력만을 고려하여 메모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화면을 캡처하더라도 상기 캡처된 동영상의 재생화면을 레이어(151-1)의 백그라운드로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이때에도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생성시 상기 캡처된 동영상의 재생화면과 필기 입력 모두를 고려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a)는 사용자가 메모 작성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키를 조작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의 화면 전체 위에 필기 입력을 위한 레이어(151-1)를 생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레이어(151-1) 아래의 레이어인 동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과정을 계속하여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의 활성화 시점에 대응되는 동영상 재생화면을 캡처하고, 메모 생성시에 상기 캡처된 동영상 재생화면과 필기 입력 모두를 고려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모 작성 시작 시점인 제1 재생 타이밍과 메모 저장 시점인 제2 재생 타이밍 모두를 고려하여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를 동영상에 대응되는 메모로 저장하는 것을 살펴 보았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재생 타이밍만을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메모를 상기 동영상에 삽입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문자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는 메모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재생 타이밍만을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메모를 상기 동영상에 대응되는 메모로 삽입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문자 메모를 상기 제2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는 문자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생성된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 및 상기 제2 재생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동영상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살펴볼,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메모 생성 방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에, 터치스크린(151)의 화면 위에 필기 입력을 위한 레이어(151-1)를 생성하거나 별도의 필기 입력 영역(151-7)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의 키보드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151)에는 상기 가상의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메모 편집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 편집 방법을 설명한다.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버튼(151-3)에 대한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입력이 시작된 제1 재생 타이밍을 동영상에 대한 메모 삽입 시작 타이밍으로 설정하고 상기 저장 버튼(151-3)이 터치된 제2 재생 타이밍을 사이 동영상에 대한 메모 삽입 종료 타이밍으로 설정하여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를 저장한다(S2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 및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S210).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동영상의 프로그레스 바와 연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의 프로그레스 바 상에 상기 메모의 작성 시작 시점 및 상기 메모의 저장 시점이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인식되면(S22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 및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다(S230).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메모 편집 방법에 따라서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변경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모 파일이 생성되면, 동영상의 재생 프로그레스 바에서 메모 작성의 시작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재생 타이밍을 가리키는 제1 인디케이터(151-9) 및 상기 동영상의 프로그레스 바(151-5)에서 메모 저장 시점에 대응되는 제2 재생 타이밍을 가리키는 제2 인디케이터(151-10)를 표시한다.
도 9에 도시되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 인디케이터(151-10)에 대하 터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좌측 또는 우측의 타이밍으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인디케이터(151-9)에 대한 터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인티케이터(151-1)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151-10) 모두에 대한 터치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 및 삽입 종료 타이밍 모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이 변경되는 방향 및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이 변경되는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메모 편집 방법에 따라서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변경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모가 동영상에 삽입되었음이 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프로그레스 바(151-5)와 연관되어 표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서 메모 삽입 종료 타이밍(또는 시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메모 삽입 시작 타이밍에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메모 삽입 시작 타이밍에 대응되는 영역 및 메모 삽입 종료 타이밍에 대응되는 영역 각각에 대한 터치를 동시에 이동함으로써 상기 메모 삽입 시작 및 종료 타이밍 모두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메모 편집 방법에 따라서 메모의 삽입 위치 자체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사용자가 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운데 영역에 대한 터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과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메모 표시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살펴본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동영상 재생 중에 필기 입력 기반의 메모 파일이 생성되어 저장된다(S300). 그런 다음, 상기 동영상이 다시 재생되는 중에 제1 재생 타이밍이 도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된 메모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S310).
여기서, 상기 제1 재생 타이밍이란, 상기 저장된 메모의 작성이 시작된 시점을 의미하며, 메모 저장시에는 메모 삽입 시작 타이밍으로 설정된 타이밍이다. 한편, 점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메모를 제거하기 위한 메모 제거 버튼이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다.
상기 메모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 제거 버튼의 터치 여부를 체크한다(S320). 만약, 상기 메모 제거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메모 파일을 제거한다(S330).
그러나 상기 메모 제거 버튼에 대한 터치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 중에 제2 재생 타이밍이 도래되는지를 체크한다(S340). 만약, 상기 제2 재생 타이밍이 도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메모를 제거한다(S330). 그러나 상기 제2 재생 타이밍이 도래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술한 S3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메모 표시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저장된 메모가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동영상 재생 타이밍이 동기화되어 메모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동영상이 다시 재생되는 도중에 제1 재생 타이밍이 도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에 저장된 메모가 표시되는 메모 표시 영역(151-12)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 표시 영역(151-12)에는 메모 표시 영역(151-12)을 터치스크린(151)에서 제거하기 위한 버튼(151-13)이 포함되어 있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동영상 재생 중에 제2 재생 타이밍이 도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에서 메모 표시 영역(151-12)을 제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재생 타이밍이 도래하기 전이어도, 상기 버튼(151-13)이 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 표시 영역(151-12)을 터치스크린(151)에서 제거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어 필기 입력 영역이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다(S400). 그런 다음 상기 필기 입력 영역을 통하여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필기 입력에 대한 문자 인식을 수행한다(S420).
그런 다음, 상기 필기 입력 중 특정 단어에 대한 선택하기 위한 터치 및 상기 선택된 단어의 검색을 위한 검색 버튼에 대한 터치가 수신된다(S42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한 문자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S430).
한편,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한 검색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한 검색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한 검색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특정 단어에 대한 검색의 범위가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필기 입력된 단어에 대한 검색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5의 (a)는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어 필기 입력 영역(151-7)에 작성된 필기 입력 중 특정 단어 "A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수신되어 상기 "AA"가 선택된 다음, 사용자가 검색 버튼(151-14)을 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A"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검색 결과를 검색 결과 표시 영역(151-1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에 동기되어 저장된 메모를 표시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6의 (a)는 현재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한 복수의 메모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동영상이 다시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동영상에 대해서는 3개의 메모가 특정 재생 타이밍 영역에 삽입되어 저장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의 (a) 상태에서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와 연관되어 표시된 특정 메모 삽입 표시를 터치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된 특정 메모 삽입 표시에 대응되는 저장된 메모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에 동기되어 저장된 메모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7의 (a)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복수의 동영상 중 그에 대응되는 메모가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의 아이콘에는 메모 아이콘이 부가적으로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7의 (a)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 아이콘을 포함하는 동영상의 아이콘을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동영상의 전체를 재생할지 아니면 메모 있는 구가만 재생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1-16)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동영상 재생 중 활성화된 메모 작성 기능에 따라 필기 입력에 기초한 메모가 생성된다(S500). 그런 다음 메모 저장 버튼에 대한 터치가 수신된다(S510).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메모를 저장하는 데 있어서, 상기 저장되는 메모에 암호를 설정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S52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암호 설정에 동의하는지를 체크한다(S530). 만약, 상기 사용자가 암호 설정에 동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암호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로 메모를 저장한다(S540). 이 경우 상기 저장된 메모를 다시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암호 설정에 동의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며, 입력된 암호 설정 버튼에 대한 터치를 수신한다(S55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암호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를 저장한다(S560). 이 경우, 상기 저장된 메모를 다시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암호 입력을 통한 인증 절차가 필요하다.
도 18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른 암호 설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사생활 보호 및 비밀 유지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입력부(116)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가 발생한다(S600).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가 상기 입력부(116)에서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기능을 활성화시킨다(S610).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마이크(122)를 활성화시키고, 메모 시작 시점(=메모 작성 기능의 활성화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재생 타이밍을 획득한다(S62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를 생성하며, 상기 메모가 생성된 다음 상기 입력부(116)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S630).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는 상기 생성된 메모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저장 기능을 활성화하여 메모 저장 시점(=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 수신 시점)에 대응되는 제2 재생 타이밍을 획득한다(S64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 및 상기 제2 재생 타이밍을 반영하여 상기 동영상과 연관시켜 저장한다(S650).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마이크(122)를 통하여 음향 신호가 수신된다(S700).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재생 중인 동영상의 음향 신호를 필터링하고(S710), 상기 필터링된 음향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S72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Speech To Text, STT) 결과 생성된 문자를 상기 동영상의 특정 재생 타이밍 구간에 대응되는 메모로 저장한다(S730).
도 2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필터링된 음향 신호를 녹음하고, 상기 녹음된 음향 신호를 상기 특정 재생 타이밍 구간에 대응되는 메모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a)는 동영상 재생 중에 사용자가 녹음 버튼을 누름으로써 마이크를 온(on) 시켜 메모 작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21의 (b)는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음성 메모가 상기 동영상의 특정 재생 타이밍 구간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21의 (b)에 도시된 마이크 모양의 아이콘(151-17)은 상기 동영상에 매칭되어 저장된 음성 메모가 출력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일 수 있다. 도 21의 (c)는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저장된 메모가 특정 재생 타이밍이 도래하면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메모 파일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51)에는 필기 입력 영역(151-7)과 음성 인식 결과가 표시되는 영역(151-18)이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영역(151-18)에 표시되는 문자는 도 21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 생성된 문자 메모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입력을 통하여 생성되는 메모를 확인함과 동시에 필기 입력을 통한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151-18)에 표시되는 문자는 상기 동영상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문자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동영상에 대한 문자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필기 입력을 통한 메모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필기 입력 영역에 음성 인식 결과 생성된 문자 메모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문자 메모가 표시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필기를 상기 필기 입력 영역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문자 메모 및 상기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메모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입력부(116)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가 발생한다(S800).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데이터가 상기 입력부(116)에서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에 대한 메모 삽입 기능을 활성화시킨다(S810). 메모 삽입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로 삽입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S82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된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에 대한 터치를 수신한다(S830). 이는 상기 특정 데이터가 상기 동영상에 삽입될 메모로 선택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특정 데이터가 선택된 다음, 상기 동영상의 재생 타이밍 중 특정 재생 타이밍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수신된다(S840). 이는 특정 데이터가 메모로 삽입될 위치가 선택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특정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특정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는 메모로 삽입한다(S850). 한편, 상기 동영상에 메모로 삽입되는 데이터는 상술한 메모 생성 방법들 중 하나에 의하여 생성된 메모 파일일 수 있고, 텍스트 파일, 음향 파일, 이미지 파일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상기 메모 삽입 기능이 수행되는 도중에도 상기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재상 과정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계속하여 표시한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특정 파일이 동영상의 특정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도록 저장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24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51)에는 재생 중인 동영상에 메모로 삽입될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1-19)가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24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51-19)에 표시된 복수의 파일 중 "파일4"를 상기 재생중인 동영상에 삽입될 파일로 선택한 다음, 상기 동영상의 재생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터치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선택된 파일이 삽입될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메모 삽입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그레스 바의 터치의 이동에 다른 화면 전환 기능은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메모 생성 방법에 따라서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가 동영상의 특정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도록 저장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25의 (a)는 사용자가 필기 입력 영역에 입력된 필기 입력에 대한 터치를 프로그레스 바의 특정 재생 타이밍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필기 입력에 기초한 메모를 상기 특정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는 메모로 설정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기 입력 영역(151-7)에 표시된 필기 입력은 이미 저장되어 있는 메모 파일에 대한 불러오기 기능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필기 입력 영역(151-7)에 표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 입력 영역(151-7)에 표시된 필기 입력은 필기 작성 기능이 활성화된 다음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일 수도 있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 재생 중에 작성된 메모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6은 복수의 동영상 강의 각각에 대하여 메모가 생성되어 삽입된 것을 나타낸다. 도 27은 각각이 삽입된 메모를 포함하는 동영상이 하나의 동영상으로 통합되어 관리되며, 제어부(180)는 특정 메모 목차 선택시 해당 부분으로 이동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영상 및 메모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8은 동영상 각각에 있어서, 메모와 메모가 삽입된 재생 타이밍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이 목차로 통합되어 관리되며, 제어부(180)는 특정 메모 목차 선택시 해당 부분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메모 목차에 대응되는 동영상 및 메모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메모 파일 편집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 파일 편집 방법을 설명한다.
메모 작성 기능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저장된 메모가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다(S800). 상기 저장된 메모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핫키 조작이 다시 인식된다(S810). 여기서, 상기 핫키는 상기 메모 작성 기능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설정된 핫키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핫키 조작이 다시 인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상기 저장된 메모에 대한 편집 모드로 진입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메모 편집을 수행한다(S820).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라 함은 필기 입력에 대한 삭제, 추가적인 필기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된 메모를 저장한다(S830). 여기서, 상기 편집된 메모는 기존에 메모가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집된 메모는 새로운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편집된 메모가 저장될 데이터 저장 영역을 선택 또는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동영상 재생 중에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메모를 동영상의 재생 타이밍과 연관시켜 저장하는, 다양한 메모 생성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터치스크린(151)의 표시화면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표시화면의 변경 과정을 표시하면서 메모 생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표시화면을 업데이트하면서 메모 작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중에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웹 브라우저 실행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업데이트, 상기 웹 브라우저 실행화면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예컨대, 플래시 기반의 동영상의 재생), 상기 웹 브라우저 실행화면에 표시되는 기사의 업데이트를 반영하면서 메모 작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작성이 개시된다(S1000).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키의 조작, 터치 스크린(151)을 통한 소정의 터치 수신, 카메라(121)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 각종 센싱 수단에 의하여 센싱되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나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 움직임에 기초하여, 메모 작성이 개시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 작성이 개시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속도를 미리 정해진 속도로 감소시킨다(S1010). 이는 사용자 메모를 작성하면서도 재생되는 동영상에 대한 인지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한다(S1020).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개시 후 일정 시간의 경과,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키의 조작, 터치 스크린(151)을 통한 소정의 터치 수신, 카메라(121)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 각종 센싱 수단에 의하여 센싱되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나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 움직임에 기초하여, 메모 작성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메모 작성이 완료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다시 정상 속도로 재생하며(S1030), 상기 메모 작성 개시 시점과 상기 메모 작성 완료 시점 사이를 메모 삽입 구간으로 설정한 다음 메모 삽입을 나타내는 지시 수단을 동영상 재생화면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에 표시한다(S1040).
도 30에 도시된 방법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작성이 개시되는 경우에 동영상 재생을 일시 정지한 다음,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다시 동영상의 재생을 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동영상 재생 화면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에 메모가 삽입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 수단만을 표시할 수 있고, 메모 작성 시간을 고려하여 메모 삽입 구간을 설정하여 이를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1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작성이 개시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31의 (a)는 사용자가 동영상 표시 영역(151-A)에 표시된 의자와 사람을 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3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51-C) 및 사람(151-D)에 대응되는 말 풍선 형태의 메모 입력 영역(151-B)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 입력 영역(151-B)과 동영상 재생 화면에 표시되 객체와의 관계성을 부여한다. 즉,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화면(151-A)에 표시된 객체를 선택하여 그에 대응되는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별 메모 입력 영역은 색상에 의하여 서로 구별될 수 있다.
도 32의 (a)는 사용자가 동영상 표시 영역(151-A)을 왼쪽으로 플리킹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3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 화면 전체에 메모 입력 영역(151-B)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중단하고,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다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성된 메모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작성된 메모와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3의 (a)는 사용자가 동영상 표시 영역(151-A)을 오른쪽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3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 화면을 동영상 표시 영역(151-A)과 메모 입력 영역(151-B)으로 양분할 수 있다. 한편,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다시 도 33의 (a)와 같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4는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 제어 영역(151-E)에 표시된 메모 작성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32나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 입력 영역(151-B)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마킹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거나 일시 정지되면 도 32나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 입력 영역(151-B)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7은 뵨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메모 입력 영역(151-B)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동영상 표시 영역(151-A)을 포함하는 화면 전체에 투명한 메모 입력 영역(151-B)을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메모 입력 영역(151-B) 내에 메모 입력 영역(151-B)을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화면을 동영상 표시 영역(151-A)과 메모 입력 영역(151-B)을 분할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메모를 입력하거나 필기 입력을 통하여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 입력을 통하여 메모를 작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문자로 전환하여 메모를 작성할 수 있고, 음성 입력 자체를 음성 메모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메모 작성이 완료되고 작성된 메모가 저장되면(S1100),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정상 속도로 메모 작성 개시 시점부터 다시 재생한다(S1110).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작성된 완료된 메모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작성이 완료된 메모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는 시간은 메모 작성 시점부터 메모 작성 완료 시점까지일 수 있다. 이 구간 동안 사용자는 작성된 메모를 확인하면서 메모를 편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메모 표시 영역에 대한 터치가 수신되거나 별도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키가 선택되는 경우에 메모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영상 재생이 종료된 다음 다시 동영상이 재생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표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20). 만약, 메모 표시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라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삽입 구간 동안 터치 스크린(151)에 재생되는 동영상과 메모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S1130).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메모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면, 상기 제어부(180)는 화면에 표시된 메모를 제거할 수 있다. 메모 표시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는 미리 정해진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키에 대한 조작,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 등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메모 표시 기능이 비활상화 상태라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삽입 구간에서도 재생되는 동영상만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되, 메모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지는 않는다(S1140). 그러나 이때에서 동영상 재생 제어 영역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에는 메모 삽입 개시 시점과 동영상 삽입 종료 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메모 삽입 지시자(indicator)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메모가 표시되는 도중에 메모 표시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상기 제어부(180)는 화면에 메모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른 동영상 재생 화면의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39의 (a)는 메모 표시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의 동영상 재생화면이며, 도 39의 (b)는 메모 표시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의 동영상 재생화면이다.
도 39의 (a) 및 (b)를 참조하면, 동영상 재생화면에는 동영상 표시 영역(151-A),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151-F), 메모 표시 제어 버튼(151-H)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151-F)에는 동영상과 관련된 메모가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지시자(151-G)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시자(151-G)의 시작 시점은 삽입된 메모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기 시작하는 시점이며, 상기 지시자(151-G)의 종료 시점은 삽입된 메모의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의 표시 종료 시점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메모 표시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를 전제로 한다.
사용자는 메모 표시 기능 제어 버튼(151-H)을 터치하여 메모 표시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표시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 표시 제어 버튼(151-H)을 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도 3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표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터치 스크린(151)에 삽입된 메모(151-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표시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메모 표시 제어 버튼(151-H)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도 3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메모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한편, 사용자는 메모 삽입 시작 시점과 메모 삽입 종료 시점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하고 이동시킴으로써 메모 삽입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모 삽입 구간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사용자가 메모 삽입 구간의 종료 시점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한 다음, 터치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메모 삽입 구간의 종료 시점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가 이동된 시점,즉, 메모 삽입 구간의 종료 시점으로 선택된 시점에 대한 정지 영상과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영역(151-I)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정보 제공 영역(151-I)을 보고 메모 삽입 구간의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다시 터치를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정보 제공 영역(151-I)을 통하여 이동된 지점에 대한 정지 영상과 재생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터치가 이동된 다음 그 지점에서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180)는 터치가 해제된 지점을 메모 삽입 구간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메모 삽입 구간의 시작 시점 역시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메모 작성 구간이 설정된다(S1200). 메모 작성 구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메모 작성 구간이 시작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속도를 감소시킨다(S121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20). 메모 작성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구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30). 만약, 메모 작성 구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을 계속하면서(S1240), 다시 S1220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메모 작성 구간이 종료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구간 시작 시점부터 동영상을 다시 재생하면서(S1250), 다시 S1220 단계를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 작성 구간이 설정되어 있으면, 메모 작성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그 구간을 반복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S12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메모 작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정상 속도로 동영상을 재생하며(S1260), 동영상 재생 화면의 특정 영역에 메모 삽입 구간을 표시한다(S127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은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에 표시될 수 있고,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메모 삽입 구간이 표시되는 형태가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메모 삽입 구간은 메모 작성 구간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동영상 재생 타이밍 내에서, 메모 작성 개시 시점과 메모 삽입 구간의 개시 시점이 동일하고 메모 작성 종료 시점이 메모 삽입 시점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메모 삽입 구간은 메모 작성 구간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 작성 구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메모 작성 구간 중에 메모 작성이 완료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구간의 시작 시점과 실제적으로 메모 작성이 완료된 시점 사이를 메모 삽입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도 2에 이를 적용하면, 메모 작성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이 최초로 재생되는 도중에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완료 시점을 메모 삽입 구간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이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이미 앞서 살펴본 바 있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동영상 재생 중 메모 작성이 완료된 다음 작성된 메모가 저장되고, 동영상 재생이 종료된다(S1300). 그런 다음, 상기 동영상이 다시 재생되는 도중에 메모 삽입 구간의 시작 시점이 도래한다(S1310).
그러면,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과정을 동영상 재생 타이밍과 동기시켜 표시할지를 판단한다(S1320). 메모 작성 과정을 동영상 재생 타이밍과 동기시켜 표시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과정을 동영상 재생 타이밍과 동기시켜 출력한다(S1330). 그러면, 재생되는 동영상과 함께 저장된 메모가 작성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메모 작성 과정을 동영상 재생 타이밍과 동기시켜 표시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않은 경우, 상기 작성이 완료된 메모를 메모 삽입 구간 시작 시점부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1340).
두 경우 모두에 따르더라도 메모 삽입 구간 종료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에 메모 표시를 표시하는 것을 종료한다(S1350).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저장된 메모가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의 (a)는 "Fantastic!"이라는 메모가 동영상의 제1 장면(scene 1)과 제3 장면(Scene 3) 사이에서 작성되어 저장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3의 (b)는 메모가 작성되어 저장된 다음 다시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메모가 작성 완료된 상태로 메모 삽입 시작 시점부터 메모 삽입 종료 시점까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 43의 (c)는 메모가 작성되어 저장된 다음 다시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메모 작성 과정이 동영상 재생 타이밍과 동기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4 내지 4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에 대하여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44의 (a)는 동영상 재생 중 저장된 메모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 표시 영역(151-B)에 대한 터치를 터치 스크린(151)의 가장 자리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4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표시 영역(151-B)을 화면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메모 표시 영역(151-B)의 일부가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를 보고 메모가 저장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4의 (b)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화면의 가장 자리에 표시된 메모 표시 영역(151-B)의 일부를 터치하고 그 터치를 화면 중앙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도 44의 (a)와 같이 메모를 다시 화면의 중앙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4의 (c)는 메모 삽입 구간이 종료된 경우, 메모 표시 영역(151-B)의 표시가 종료된 것을 나타낸다.
도 45의 (a)는 동일 시간 대에 복수의 메모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하나의 메모(151-B1)는 동영상 표시 영역(151-A) 내에 말풍선 형태로 제공되며, 나머지 하나의 메모(151-B2)는 동영상 표시 영역(151-A) 바깥에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5의 (B)는 동일 시간 대에 저장된 복수의 메모가 동영상 표시 영역(151-A)와 분리된 메모 표시 영역(151-B)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6의 (a)는 동영상 재생 중에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가 호출되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화면 전체에 메모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모가 호출될 경우, 동영상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4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표시 영역(151-B)을 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도 4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을 재개하면서 화면의 메모 표시 영역(151-B)에 메모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7의 (a)는 동영상 재생 중에 사용자가 메모가 삽입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151-G)을 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4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전체에 메모 표시 영역(151-B)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도 47의 (b)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 표시 영역(151-B)을 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 상태를 다시 도 47의 (a)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일지 정지되었던 동영상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지정한 메모 작성 시작 시점과 메모 작성 종료 시점에 기초하여 메모 작성 구간을 설정한다(S1400). 메모 작성 구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메모 작성 구간의 시작 시점이 도래한다(S1410).
그러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을 계속하면서, 메모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한다(S142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이 완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태를 유지하면서, 메모 작성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한다(S1430). 도 4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미리 정해진 속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을 위하여 동영상 재생 속도가 감소된 경우라도,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메모 작성 구간이어도,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정상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를 저장하고, 메모 삽입 구간을 동영상 재생 제어 영역의 프로그레스 바에 표시한다(S144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을 상기 메모 작성 구간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의 시작 시점은 상기 메모 작성 구간의 시작 시점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의 종료 시점은 상기 메모 작성 구간의 종료 시점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 구간이 최초로 재생되는 도중에 메모 작성이 완료되는 경우, 메모 작성 완료 시점을 메모 삽입 종료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가 저장된 메모를 완성된 상태로 메모 삽입 구간 동안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거나, 메모의 작성 과정을 동영상 재생 타이밍과 동기시켜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러한 메모 표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메모 삽입 구간의 시작 시점과 메모 삽입 구간의 종료 시점을 반영하여, 메모 삽입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메모가 작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모 작성 구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메모 작성 구간 시작 시점이 도래하면, 제어부(180)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영역(151-A)의 크기를 감소시킨 다음, 메모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한다.
도 49에서 메모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모 입력을 위한 키패드(151-J)와 키패드(151-J)를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이 표시되는 메모 표시 영역(151-B)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메모 작성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일 뿐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필기 입력으로 바로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필기 입력 영역을 메모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음성 인식을 통한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음성 인식 결과를 문자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메모 표시 영역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9에서 프로그레스 바(151-F)에 표시된 지시자(151-G')는 최초 설정된 메모 작성 구간을 나타낼 수도 있고, 작성된 메모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구간인 메모 삽입 구간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는 향후 살펴볼 도 5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50은 도 4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메모가 작성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모 작성 구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메모 작성 구간 시작 시점이 도래하면, 제어부(180)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영역(151-A)에 대응되는 영역을 필기 입력을 통한 메모 작성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 버튼들(151-K)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이용한 필기 입력을 통하여 화살표를 메모로 작성할 수 있다.
메모가 작성되어 저장된 후, 다시 동영상이 재생되고, 메모 표시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삽입 구간에서는 동영상 재생 속도에 맞추어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된 메모의 작성 과정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메모 삽입을 위한 복수의 시점이 선택된다(S1500).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키 조작,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 터치 스크린(151)을 통한 특정 패턴의 터치 수신 등에 기초하여 특정 시점을 메모 삽입을 위한 시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시점이 선택된 후,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선택된 복수의 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한다(S1510).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아이템은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동영상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관련 정보는 상기 특정 시점에서의 정지 영상,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 중 특정 아이템이 선택된다(S152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아이템에 대응되는 시점에 삽입될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한다(S153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아이템에 대응되는 시점부터 일정 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 구간을 메모 작성 완료 시까지 반복하여 재생한다(S1540). 만약, 1회 재생 중에 메모 작성이 완료될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 구간이 반복 재생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 구간을 1회만 재생할 수도 있다.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작성된 메모를 저장한다(S1550). 한편, 사용자는 메모 삽입 구간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의 시작 시점은 동영상 재생 중에 선택된 작성된 메모에 대응되는 특정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는 기 설정된 메모 삽입 구간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을 변경함으로써 메모 삽입 구간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1에서는 복수의 시점이 선택된 후 동영상 재생이 종료된 경우에, 메모 작성 시점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템들이 표시되는 예를 살펴 보았다. 그러나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시점이 선택된 다음 동영상 재생이 일시 정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선택된 복수의 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메모 작성 시점이 선택된 다음, 선택된 메모 작성 시점에 대응되는 아이템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도 52의 (a) 및 (b)는 동영상 재생 중 사용자가 동영상 표시 영역(151-A)을 터치하여 특정 시점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복수의 시점이 선택된 후 동영상 재생이 종료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5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복수의 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시점에 대응되는 메모의 저장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151-N)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아이템은 그에 대응되는 시점에서의 정지 영상(151-M1)과 재생 시간 정보(151-M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지 영상(151-M1)에는 아이템에 대응되는 시점부터 일정 시점까지의 동영상 구간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버튼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구간의 반복 횟수는 1회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 작성 완료 후에는, 작성된 메모(151-M3)가 대응되는 아이템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3은 도 5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메모를 삽입할 시점을 선택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53의 (a)는 미리 정해진 사각형 형태의 터치가 수신되는 경우, 현재 동영상 재생 시점이 메모 삽입 위치로 지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53의 (b)는 미리 정해진 원 형태의 터치가 수신되는 경우, 현재 동영상 재생 시점이 메모 삽입 위치로 지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터치의 형태에 따라서 향후 작성될 메모에 대한 중요도를 달리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앞서 살펴본 사각형 형태의 터치에 대응되는 메모는 중요 메모로, 원 형태의 터치에 대응되는 메모는 일반 메모로 지정할 수 있다.
도 54는 도 5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메모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54의 (a)는 동영상 재생이 종료된 후 터치 스크린(151)에 선택된 복수의 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들이 표시되고, 그 중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도 5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아이템을 제외한 전체 화면을 메모 표시 영역(151-B)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도 5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메모 표시 영역(151-B)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4에서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은 키패드를 이용하는 방법, 필기 입력을 이용하는 방법, 음성 인식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5는 도 5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작성된 메모가 저장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55의 (b)에 도시된 메모 목록(M')은, 제어부(180)가 새로운 메모가 작성되면 자동으로 중복되지 않는 제목으로 메모들을 저장할 수 하였음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수행되는 메모 기능 관련 방법들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16: 입력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52: 음향 출력부 160: 저장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부 151-A: 동영상 표시 영역
151-B: 메모 표시 영역

Claims (39)

  1. 터치스크린; 및
    동영상 재생 중에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상기 동영상의 재생 화면과 필기 입력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상기 필기 입력 영역에 대하여 메모 시작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재생 타이밍(timing)을 획득하며,
    메모 저장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메모 저장 시점에 대응되는 제2 재생 타이밍을 획득하고 상기 필기 입력 영역을 통하여 수신된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 및 상기 제2 재생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동영상과 연관시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는 동영상 재생 화면을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동영상 재생 화면을 상기 필기 입력 영역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표시하며, 상기 메모 저장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캡쳐된 동영상 재생 화면을 더 반영하여 상기 메모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필기 입력을 위한 레이어(layer)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을 상기 제1 재생 타이밍으로 설정하고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상기 제2 재생 타이밍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가 저장된 다음 상기 동영상이 다시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부터 상기 제2 재생 타이밍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 및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 및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 및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을 상기 동영상의 재생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와 연관시켜 표시하며,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 및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의 삽입 시작 타이밍 및 상기 메모의 삽입 종료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의 삽입 위치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프로그레스 바와 연관시켜 표시하며, 상기 메모의 삽입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 영역에 표시된 필기 입력 중 특정 단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단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검색의 결과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모를 상기 제1 재생 타이밍 및 상기 제2 재생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동영상의 음향 신호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링된 음향 신호를 녹음하여 음성 메모를 생성하거나 상기 필터링된 음향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문자 메모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문자 메모가 표시된 필기 입력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하며, 상기 문자 메모 및 상기 필기 입력 영역을 통하여 수신된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과 연관되어 저장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재생 타이밍 중 선택된 재생 타이밍에 대응되는 메모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가 선택된 다음 상기 동영상의 재생 프로그레스 바의 특정 재생 타이밍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선택된 특정 타이밍에 대응되는 메모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재생 중 메모 작성이 개시되면 동영상 재생 속도를 감소시키고,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동영상을 정상 속도로 재생하며 메모 삽입 구간을 동영상 재생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에 표시하되,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은 상기 제1 재생 타이밍과 제2 재생 타이밍 사이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성이 완료된 메모를 상기 메모 삽입 구간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거나, 메모의 작성 과정을 동영상 재생 타이밍과 동기시켜 상기 메모 삽입 구간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 작성 개시로 인하여 동영상 재생 속도가 감소된 후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메모 작성 개시 시점부터 동영상을 정상 속도로 다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 작성 개시 시점부터 동영상을 정상 속도로 다시 재생하는 경우, 메모 작성 개시 시점부터 메모 작성 완료 시점까지 작성된 메모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메모 작성 구간의 시작 시점을 메모 작성 개시 시점으로 인식하고, 상기 메모 작성 구간의 종료 시점을 메모 작성 완료 시점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 작성 구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메모 작성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상기 메모 작성 구간에 대응되는 동영상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의 변경을 반영하여,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을 변경하되,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메모 삽입 구간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이 변경될 시점으로 선택되는 시점에 대한 재생 시간 정보 또는 정지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재생 또는 녹화 중에 메모 삽입을 위한 복수의 시점이 선택된 후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선택된 복수의 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응되는 시점에 삽입될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템은,
    상기 선택된 복수의 시점 중 대응되는 시점에서의 재생 시간 정보 및 정지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시점이 선택된 후 동영상 재생이 일시 정지되는 경우에도 선택 시 메모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142127A 2012-03-30 2012-12-07 이동 단말기 KR102042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542 2012-03-30
KR20120033542 2012-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187A KR20130111187A (ko) 2013-10-10
KR102042265B1 true KR102042265B1 (ko) 2019-11-08

Family

ID=4923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127A KR102042265B1 (ko) 2012-03-30 2012-12-0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03456B2 (ko)
KR (1) KR102042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9017B2 (en) 2006-12-22 2009-07-07 Google Inc. Annotation framework for video
US8112702B2 (en) 2008-02-19 2012-02-07 Google Inc. Annotating video intervals
US8566353B2 (en) * 2008-06-03 2013-10-22 Google Inc. Web-based system for collaborative generation of interactive videos
US9557885B2 (en) 2011-08-09 2017-01-31 Gopro, Inc. Digital media editing
JP5853999B2 (ja) * 2013-06-17 2016-02-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遠隔操作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51834B1 (ko) * 2013-07-10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894022B2 (en) 2013-07-19 2018-02-13 Ambient Consulting, LLC Image with audio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US9977591B2 (en) * 2013-10-01 2018-05-22 Ambient Consulting, LLC Image with audio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US10180776B2 (en) 2013-10-01 2019-01-15 Ambient Consulting, LLC Image grouping with audio commentaries system and method
US10057731B2 (en) 2013-10-01 2018-08-21 Ambient Consulting, LLC Image and messag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US9754159B2 (en) 2014-03-04 2017-09-05 Gopro, Inc. Automatic generation of video from spherical content using location-based metadata
KR102266869B1 (ko) * 2014-04-03 2021-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15178691A1 (en) * 2014-05-21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15816B1 (ko) * 2014-07-09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85194B2 (en) 2014-07-23 2017-06-20 Gopro, Inc. Voice-based video tagging
US9792502B2 (en) 2014-07-23 2017-10-17 Gopro, Inc. Generating video summaries for a video using video summary templates
JP6217595B2 (ja) * 2014-10-31 2017-10-25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WO2016076464A1 (en) * 2014-11-14 2016-05-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34870B2 (en) 2015-01-05 2017-08-15 Gopro, Inc. Media identifier generation for camera-captured media
US9679605B2 (en) 2015-01-29 2017-06-13 Gopro, Inc. Variable playback speed template for video editing application
US11199962B2 (en) 2015-04-27 2021-12-14 Shane Venis Freehand memo image authentication
US10186012B2 (en) 2015-05-20 2019-01-22 Gopro, Inc. Virtual lens simulation for video and photo cropping
US10204273B2 (en) 2015-10-20 2019-02-12 Gopro,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ations of moments of interest within video clips post capture
US9721611B2 (en) 2015-10-20 2017-08-01 Gopro, Inc.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video from video clips based on moments of interest within the video clips
US10109319B2 (en) 2016-01-08 2018-10-23 Gopro, Inc. Digital media editing
US10083537B1 (en) 2016-02-04 2018-09-25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a moving visual element to a video
US9838731B1 (en) 2016-04-07 2017-12-05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track selection in video editing with audio mixing option
US9794632B1 (en) 2016-04-07 2017-10-17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based on audio track changes in video editing
US9838730B1 (en) 2016-04-07 2017-12-05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track selection in video editing
US10185891B1 (en) 2016-07-08 2019-01-22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pac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US9836853B1 (en) 2016-09-06 2017-12-05 Gopro, Inc. Thre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video highlight detection
JP6784115B2 (ja) * 2016-09-23 2020-11-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284809B1 (en) 2016-11-07 2019-05-07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synchronizing events in visual content with musical features in audio content
US10262639B1 (en) 2016-11-08 2019-04-16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musical features in audio content
US10534966B1 (en) 2017-02-02 2020-01-14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ctivities and/or events represented in a video
US10127943B1 (en) 2017-03-02 2018-11-13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deos based on music
KR102328102B1 (ko) * 2017-03-08 2021-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US10185895B1 (en) 2017-03-23 2019-01-22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activities captured within images
US10083718B1 (en) 2017-03-24 2018-09-25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diting videos based on motion
US10187690B1 (en) 2017-04-24 2019-01-22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to detect and correlate user responses to media content
USD916720S1 (en) * 2018-02-22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250050B2 (en) 2018-03-01 2022-02-15 The Software Mackiev Company System for multi-tagging images
CN108260013B (zh) * 2018-03-28 2021-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及终端
CN108737904B (zh) * 2018-04-13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数据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8710521B (zh) * 2018-05-15 2021-09-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便签生成方法和终端设备
KR102558363B1 (ko) 2018-08-08 2023-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21800B1 (ko) * 2018-08-08 202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로잉 입력에 의한 애니메이티드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2651A (ko) * 2019-04-18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3515B1 (ko) * 2020-03-09 2022-03-11 전태우 콘텐츠의 플레이 중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427213B1 (ko) * 2020-09-23 2022-08-01 네이버 주식회사 음성 파일에 대한 텍스트 변환 기록과 메모를 함께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03586B1 (ko) * 2020-09-29 2023-02-24 네이버 주식회사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에서 유사 발음의 단어를 포함하여 검색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30669B1 (ko) 2020-10-07 2023-05-09 네이버 주식회사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13365154A (zh) * 2021-06-03 2021-09-07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77082B1 (ko) * 2021-07-30 2022-03-22 아이디아이디 주식회사 멀티 트랙에 대한 편집 동작에 기반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0611A1 (en) * 2002-04-19 2004-04-29 Toshiaki Kakii Video editing system, video editing metho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of visual information, apparatus therefor,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53737A1 (en) * 2007-03-30 2008-10-16 Masaru Kimura Video Player And Video Playback Control Method
US20110138354A1 (en) * 2009-12-07 2011-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video player component for mashup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7739584B2 (en) * 2002-08-08 2010-06-15 Zane Vella Electronic messaging synchronized to media presentation
US20040152055A1 (en) * 2003-01-30 2004-08-05 Gliessner Michael J.G. Video based language learning system
EP1677531A4 (en) * 2003-10-16 2009-03-04 Panasonic Corp VIDEO / AUDIO RECORDING / PLAYBACK, VIDEO / AUDIO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US20050206751A1 (en) * 2004-03-19 2005-09-22 East Kodak Company Digital video system for assembling video sequences
US20090191519A1 (en) * 2004-12-23 2009-07-30 Wakamoto Carl I Online and computer-based interactive immersive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entertainment and social networking
US8170395B2 (en) * 2006-05-07 2012-05-01 Wellcomema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montage video data
US7954049B2 (en) * 2006-05-15 2011-05-31 Microsoft Corporation Annotating multimedia files along a timeline
US8330773B2 (en) * 2006-11-21 2012-12-11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ata and handwriting screen capture and forwarding
US8819719B1 (en) * 2006-12-06 2014-08-26 Google Inc. Real-time video commenting
US8140973B2 (en) * 2008-01-23 2012-03-20 Microsoft Corporation Annotating and sharing content
US9390169B2 (en) * 2008-06-28 2016-07-12 Apple Inc. Annotation of movies
US20100318520A1 (en) * 2009-06-01 2010-12-16 Tele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entary that is related to content
KR101691829B1 (ko) * 2010-05-06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393000B1 (en) * 2010-06-04 2019-08-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multiplayer g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1718027B1 (ko) * 2010-09-09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모 관리방법
US9047005B2 (en) * 2011-02-03 2015-06-02 Sony Corporation Substituting touch gestures for GUI or hardware keys to control audio video play
US20120208160A1 (en) * 2011-02-16 2012-08-16 RadOnc eLearning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teaching and testing radiation oncology skills
WO2012122706A1 (en) * 2011-03-16 2012-09-20 Peking University Superimposed annotation output
US20120276504A1 (en) * 2011-04-29 2012-11-01 Microsoft Corporation Talking Teacher Visualization for Language Learning
US9066145B2 (en) * 2011-06-30 2015-06-23 Hulu, LLC Commenting correlated to temporal point of video data
US8515241B2 (en) * 2011-07-07 2013-08-20 Gannaway Web Holdings, Llc Real-time video editing
US20130067394A1 (en) * 2011-09-12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Pointer invocable navigational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0611A1 (en) * 2002-04-19 2004-04-29 Toshiaki Kakii Video editing system, video editing metho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of visual information, apparatus therefor,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53737A1 (en) * 2007-03-30 2008-10-16 Masaru Kimura Video Player And Video Playback Control Method
US20110138354A1 (en) * 2009-12-07 2011-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video player component for mashup interfa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6395호(2012.03.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63002A1 (en) 2013-10-03
US9703456B2 (en) 2017-07-11
KR20130111187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265B1 (ko) 이동 단말기
KR101892638B1 (ko) 이동 단말기
US9143589B2 (en) Mobile terminal intended to more efficiently display content on th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9135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96671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932437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77486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94476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a rear inpu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78798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53359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sic play thereof
EP241071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883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이의 기록 매체
KR101786978B1 (ko) 이동 단말기
US100425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4571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15015A (ko) 이동 단말기 및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
KR201101229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30012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편집 방법
KR1018822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0810B1 (ko) 이동 단말기
US2015037318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8466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6483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편집 방법
KR201700271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53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