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015A - 이동 단말기 및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015A
KR20120115015A KR1020110032915A KR20110032915A KR20120115015A KR 20120115015 A KR20120115015 A KR 20120115015A KR 1020110032915 A KR1020110032915 A KR 1020110032915A KR 20110032915 A KR20110032915 A KR 20110032915A KR 20120115015 A KR20120115015 A KR 2012011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view
angle view
imag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8164B1 (ko
Inventor
김종환
스리니바스 씨.
라메쉬 브이.
허만 쿠마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164B1/ko
Priority to EP12000801.6A priority patent/EP2509303B1/en
Priority to US13/370,178 priority patent/US9201470B2/en
Priority to CN201210068482.5A priority patent/CN102736843B/zh
Publication of KR2012011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대의 카메라로 동시 촬영된 3차원입체(3D) 방송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터치 입력에 의해 표시, 스위칭(전환) 및 선택을 수행함과 더불어 멀티 앵글 뷰에 대한 캡쳐 및 녹화동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3D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이한 앵글들을 보면서 원하는 앵글의 3D영상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재생, 녹화 및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MOBILE TWRMINAL AND 3D MULTI-ANGLE VIEW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여러 대의 카메라로 동시 촬영된 3차원입체(3D) 방송영상에 대한 멀티 앵글 뷰를 선택적으로 시청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3D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는 2차원 영상 표시의 수준을 넘어서 깊이 지각(depth perception) 내지 입체시(stereovision)를 가능하게 하는 3차원(3D)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영화 및 TV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에서도 3D영상으로 컨텐츠를 제작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3D 멀티앵글(Multi angle)서비스는 여러 대의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된 영상을 시청자가 직접 선호하는 카메라를 선택하여 볼 수 있는 입체형 서비스다. 사용자는 스포츠 및 음악공연등이 이루어질 때 원하는 카메라의 영상을 선택하여 무대 전체 또는 특정 사람 또는 장소만을 골라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3D멀티앵글 서비스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상기 서비스에 적합한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3D 멀티앵글 서비스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3D멀티 앵글 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D멀티 앵글 뷰에 관련된 정보 검색 및 분류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D멀티 앵글 뷰 상태에서 3D영상에 관련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은, 멀티 앵글이 포함된 3차원 입체(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멀티 앵글의 표시 타입을 결정하여, 결정된 표시 타입으로 3D 방송 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앵글 뷰중에서 특정 앵글 뷰의 3D방송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입력은 3차원 입체(3D) 영상 화면의 중앙 또는 앵글 아이콘상에서 감지되는 직선형, 네모형 및 원형의 터치 & 드래그이다.
상기 멀티 앵글 뷰의 표시 타입은 분할 뷰, 갤러리 뷰, PIP뷰 및 스타디움 뷰를 포함한다.
상기 3차원 입체(3D) 영상에 멀티 앵글이 포함되어있는 경우에는 3차원 입체(3D) 영상 화면의 일측에 앵글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앵글 식별 정보는 아이콘 형태, 아이콘 + 텍스트(카메라 대수, 테마),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를 포함한다. 멀티 앵글 뷰에는 앵글별 시청률, 화질, 전송상태, 움직임 정보, 검출인원 및 웹사이트 정보와 같은 앵글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은 상기 표시된 3D방송 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멀티 앵글 뷰는 키 입력, 근접 및 집적 터치 입력 및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스위칭된다.
상기 근접 및 직접 터치 입력은 싱글터치, 터치 & 드래그 및 터치 플리킹을 포함한다.
상기 멀티 앵글 뷰가 분할 뷰인 경우 앵글 뷰의 스위칭은 멀티 앵글뷰의 좌우측에 구비된 양방향 스위칭 아이콘의 터치, 터치 & 플리킹, 이동 단말기의 x,y 및 z축방향의 움직임, 숫자키 또는 숫자버튼 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 앵글 뷰가 PIP 뷰인 경우에는 메인 앵글 뷰를 제외한 나머지 PIP형태의 앵글 뷰들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스위칭된다.
상기 멀티 앵글 뷰가 스타디움뷰인 경우에는 직접 터치 또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 정도에 따라 앵글 뷰가 스위칭된다.
상기 멀티 앵글 뷰가 갤러리 뷰인 경우에는 앵글 스위치의 한쪽 방향 터치에 의해 이미지 형태의 앵글 뷰가 스위칭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멀티 앵글이 포함된 3차원 입체(3D)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멀티 앵글의 표시 타입을 결정 한 후 결정된 표시 타입으로 3D 방송 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중에서 선택된 특정 앵글 뷰의 3D방송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 입력은 3차원 입체(3D) 영상 화면의 중앙 또는 앵글 아이콘상에서 감지된 직선형, 네모형 및 원형의 터치 & 드래그중 하나이며, 상기 멀티 앵글 뷰의 표시 타입은 분할 뷰, 갤러리 뷰, PIP뷰 및 스타디움 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3차원 입체(3D) 영상에 멀티 앵글이 포함되었는지 체크하여, 멀티 앵글이 포함된 경우 3차원 입체(3D) 영상의 일측에 앵글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앵글 식별 정보는 아이콘 형태, 아이콘 + 텍스트(카메라 대수, 테마),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에 앵글별 시청률, 화질, 전송상태, 움직임 정보, 검출인원 및 웹사이트 정보와 같은 앵글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또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상기 표시된 3D방송 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스위칭한다.
상기 입력은 키 입력, 근접 및 집적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은 수평 및 수직방향의 이동과 회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근접 및 직접 터치 입력은 싱글터치, 터치 & 드래그 및 터치 플리킹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가 분할 뷰인 경우 멀티 앵글뷰의 좌우측에 구비된 양방향 스위칭 아이콘의 터치, 터치 & 플리킹, 이동 단말기의 x,y 및 z축방향의 움직임, 숫자키 또는 숫자버튼 입력에 따라 앵글 뷰를 스위칭한다.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가 PIP 뷰인 경우는 메인 앵글뷰 이외에 PIP형태로 표시되는 앵글 뷰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스위칭한다.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가 스타디움뷰인 경우 직접 터치 또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 정도에 따라 앵글 뷰를 스위칭한다.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가 갤러리 뷰인 경우 한쪽 방향의 앵글 스위치의 터치에 따라 이미지 형태의 앵글 뷰를 스위칭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이한 앵글의 3D영상을 터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앵글 뷰 타입으로 표시, 전환 및 선택을 수행하고, 상기 표시된 각 앵글 뷰에 대하여 캡쳐 또는 녹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의 3D영상에 대하여 보다 편리하게 3D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일종인 분할 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일 예인 PIP 뷰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일 예인 스타디움 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일 예인 갤러리 뷰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앵글 뷰가 있는 채널을 분류하여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스위칭의 수행하는 예.
도 9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앵글 뷰 전환을 수행하고, 키의 롱 프레스(press) 또는 롱 터치를 통해 특정 앵글 뷰를 선택하는 예.
도 10a 및 도 10b는 멀티 앵글에 프리뷰를 표시할 때 각 앵글 뷰에 대한 제어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멀티 앵글 표시상태에서 캡쳐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멀티 앵글 표시상태에서 녹화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멀티 앵글 표시상태에서 타임머신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스타디움 뷰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터치)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는 터치, 터치 & 드래그, 멀티-터치, 롱터치 및 근접 터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가 이동할 때 이동방향을 계산하는 지자기 센서, 회전방향을 계산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151,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일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구성에 대하여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휴대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입체 디스플레이부(252), 감지부(240), 음향출력부(253), 카메라(221), 사용자 입력부(230/231,232), 마이크(222),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253)와 카메라(2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231)와 마이크(2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232)와 인터페이스(270) 등은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231,2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231,232)은 조작부로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231, 2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2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232)은 음향출력부(253)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입체 디스플레이부(252)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는 감지부(240)와 함께 입체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며, 입체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230)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감지부(240)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감지부(240)는 3차원 센서로서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의 3차원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지부(240)는 카메라(221)와 레이저 센서(2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센서(244)는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레이저를 주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를 검출하며, 이를 통하여 단말기 바디와 감지대상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카메라(221)는 사용자 및 감지대상의 2차원 위치를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도 2a 참조).
예를 들어, 단말기는 카메라(22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사용자의 2차원 위치를 판별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현재 어느 영상을 보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는 카메라(221)에 의하여 촬영된 감지대상의 2차원 위치와, 레이터 센서(244)를 통하여 획득된 이격 거리를 서로 조합하여 감지대상의 3차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2차원 영상이 필요한 경우라면 감지부(240)는 카메라(221)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접 센서, 입체 터치센싱부, 초음파 센싱부 등의 형태도 가능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2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카메라(2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2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2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221,2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23)와 거울(2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223)는 카메라(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224)은 사용자가 카메라(2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 출력부는 전면의 음향 출력부(253,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가 장착될 뿐만 아니라,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 위성신호 수신 안테나, 무선 인터넷의 데이터 수신 안테나 등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차원3(D) 입체 영상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이하 3D영상으로 약칭 함)은 모니터 또는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하는 깊이(depth)와 실제감(reality)을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상기 양안시차란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눈에 의해 형성되는 시차(視差)를 말한다. 따라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사용자는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3D영상은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및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은 보통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며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포함된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은 이동 단말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및 렌티큘러 (lenticular) 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3D 영상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
일반적으로 3D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상기 좌 우 영상을 한 프레임내에서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상기 좌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3D 멀티앵글(Multi angle)서비스는 여러 대의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된 영상을 시청자가 직접 선호하는 카메라를 선택하여 볼 수 있는 입체형 서비스다.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3D) 방송 서비스 및 맞춤 영상정보 서비스(VOD : Video On Demand)를 이용할 때 터치를 이용하여 3D영상의 다양한 3D앵글 뷰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실제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3D앵글정보를 표시하는 발명이다. 상기 3D앵글정보는 3D앵글의 프리뷰(Preview), 앵글뷰 간 스위칭, 앵글 뷰 제어메뉴 및 기타 동작(캡쳐,녹화 및 과금)을 포함한다. 상기 3D영상은 3D방송영상 및 3D컨텐츠를 포함한다.
3D멀티앵글 뷰 인디케이션 및 앵글 뷰의 종류
본 발명에서 3D방송은 멀티 앵글 뷰를 지원하는 3D방송(또는 3D방송 영상)과 그렇지 않은 방송으로 구분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해당3D방송에 멀티 앵글이 포한되어 잇는지 체크할 수 있다. 체트결과 하나의 3D방송에 멀티 앵글이 존재하는 경우, 즉, 3D방송이 멀티 앵글 뷰(Multi Angle View)를 지원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의 일측부에 소정의 앵글 표시(Angle Indication)(또는 식별자)을 표시한다.
상기 앵글 표시는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앵글 표시는 아이콘 형태, 아이콘 + 텍스트(카메라 대수, 테마),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로 구현된다.
상기 앵글 표시가 터치(실제터치 및 근접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화면분할하여 각 앵글의 프리뷰(Preview), 텍스트 및 이미지등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각 앵글 뷰의 정보, 예를들면 시청자의 앵글별 시청률, 화질, 전송상태 및 움직임 정보, 검출되는 사람 수 및 관련 웹사이트를 표시해 준다. 특히 앵글 표시에 대하여 특정 터치가 입력되면 바로 웹 사이트로 링크되거나 웹사이트의 프리뷰정보를 보여줄 수도 있다.
상기 앵글 표시 선택시 소정 형태 및 크기의 앵글 뷰(Angle View)가 표시된다. 상기 앵글 뷰의 종류, 크기 및 모양은 앵글 뷰 선택 메뉴에서 설정된다. 상기 앵글 뷰의 종류는 분할 뷰, PIP (Picture In Picture) 뷰, 스타디움 뷰 및 갤러리 뷰로 구분된다. 상기 각종 앵글 뷰의 종류는 앵글 뷰 선택 메뉴에서 직접 선택하거나 또는 앵글 표시(이하 앵글 아이콘으로 약칭함)가 터치 & 드래그될 때 드래그 방향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특정 위치가 터치되었을 때 소정 위치에 앵글 뷰의 종류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키 입력에 대응하여 앵글 뷰가 스위칭되도록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앵글 아이콘을 터치한 후 좌우 또는 상하로 드래그하면 분할뷰로 표시하고, 상기 앵글 아이콘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큰 네모를 그리면 갤러리뷰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앵글 아이콘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작은 네모를 그리면 PIP뷰로 표시하고, 상기 앵글 아이콘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원을 그리면 스타디움(Stadium) 뷰로 표시한다. 특히 분할뷰의 경우 좌우로 앵글 아이콘을 드래그하면 가로형태로 분할뷰를 표시하고, 상하로 드래그하면 세로현태의 분할뷰를 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앵글 아이콘을 터치하지 않고 현재 화면중앙에 직선 또는 네모 및 원형태의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각종 뷰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기형태가 변경될 때, 예를들면 가로보기에서 세로보기로 변경될 때 멀티 앵글 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여러가지 분할뷰중에서 특정 뷰타입이 선택되면 해당 프리뷰 화면에는 멀티 뷰 제어메뉴, 스위칭 아이콘(상하좌우이동 아이콘) 및 뷰의 갯수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3D멀티앵글 뷰의 표시
도 3은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일 예인 분할 뷰를 나타낸다. 특히 도 3은 멀티 앵글 아이콘을 좌우로 드래그한 경우의 멀티뷰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3D영상(3D방송 또는 3D컨텐츠)가 선택되면 현재 채널(3D영상)이 멀티 앵글 뷰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앵글 표시(50)를 표시한다. 상기 앵글 표시(50)는 아이콘 형태, 아이콘 + 텍스트(카메라 대수, 테마),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로 구현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앵글 표시(50)를 "앵글 아이콘"으로 칭한다.
상기 앵글 아이콘(50)이 터치(직접 터치 또는 근접 터치)되면 화면의 일측부, 예를들면 화면 상단에 멀티-뷰 제어메뉴(51)가 표시된다. 이후 상기 멀티-뷰 제어메뉴가 터치(tap)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메인 뷰(View 1)를 포함하여 각 앵글에 따른 3D영상의 다른 뷰(View 2)가 화면 분할되어 표시된다. 이때, 현재 화면에 표시된 뷰 1은 강조되어 표시된다(하이라이트, 테두리 표시).
다른 실시예로서 멀티 앵글 뷰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상기 멀티-뷰 제어메뉴에 해당하는 지점을 터치했을 때 상기 멀티-뷰 제어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각 앵글에 따른 3D영상의 프리뷰(View 1 및 View 2)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프리뷰 화면에는 멀티 뷰 영상, 멀티 뷰 제어 아이콘(메뉴)(51), 스위칭 아이콘(좌우이동 아이콘)(52) 및 뷰의 갯수를 나타내는 아이콘(View 1, View 2)들이 표시된다.
상기 스위칭 아이콘(52)은 앵클 뷰를 스위칭하기 위한 아이콘으로, 좌 또는 우측 스위칭 아이콘(52)을 터치할 때마다 새로운 앵글 뷰가 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은 한 화면에 2개의 앵글뷰가 프리뷰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사용자 설정에 의해 그 표시 갯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일 예인 PIP 뷰를 나타낸다.
PIP 뷰는 앵글 아이콘(50)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작은 네모를 그리는 경우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앵글 아이콘(50)상에서 작은 네모를 그리면 메인 뷰(View 1)의 우측 상단에 소정 크기의 PIP에 복수의 앵글 뷰(서브 뷰) 중의 하나인 앵글 뷰(View 2)가 표시된다.
상기 PIP뷰에서 앵글 뷰간 스위칭(전환)은 PIP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PIP에서 각 앵글 뷰는 소정 시간주기로 스위칭되며, 스위칭 도중에 사용자가 PIP내의 특정 앵글 뷰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앵글 뷰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 메인 뷰와 교체되어 표시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일 예인 스타디움 뷰를 나타낸다. 도 5a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 단말기를 회전시켰을 때의 앵글 뷰 스위칭을 나타내고, 도 5b는 시계방향으로 이동 단말기를 회전시켰을 때의 앵글 뷰 스위칭을 나타낸다.
스타디움(Stadium) 뷰는 앵글 아이콘(50)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원을 그리는 경우에 표시되며, 모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앵글 뷰가 표시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타디움 뷰에는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선택한) 메인 뷰(View 4)와 볼 수 있는(선택할 수 있는) 보조 뷰(View 1~View 3)들이 표시된다. 이때, 복수의 카메라들에 의한 촬영된 앵글 뷰들은 반시계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메인 뷰는 다른 보조 뷰와 구별되도록 표시된다.
상기 스타디움 뷰에서 앵글 뷰간 스위칭(전환)은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 및 기울기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앵글 뷰를 보기 위해 이동 단말기를 시계방향(Clockwise) 또는 반시계방향(Anti-clockwise)으로 이동 단말기를 회전시키면(기울이면)(멈추면), 감지부(140)의 기울기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 및 정도를 파악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이동 단말기의 회전방향 및 정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앵글 뷰를 결정한 후 해당 앵글 뷰의 3D영상을 표시하고, 화면에 메인 뷰와 함게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앵글 뷰가 어떤 앵글 뷰인지를 표시한다(원형태의 점선). 이를 위하여 메모리(180)에는 회전정도에 대응되어 각 앵글 뷰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앵글 뷰가 표시되는 시점은 회전이 멈춘 시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세로보기에서 가로보기로 전환한 경우 화면에 멀티 뷰 앵글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일 예인 갤러리 뷰를 나타낸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갤러리 뷰는 앵글 아이콘(50)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큰 네모를 그리는 경우에 표시된다. 갤러리 뷰는 모든 이용 가능한 앵글 뷰를 이미지(jpeg 이미지) 형태(정지 뷰)로 보여주는 모드이다. 상기 갤러리 뷰에서 정지 뷰간 이동 그리고 특정 3D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앵글 뷰로의 스위칭(전환)은 스위칭 아이콘(55)를 통해 수행된다.
3D 멀티앵글 뷰의 스위칭(전환)
앞에서 간략하게 언급한 앵글 스위칭(전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앵글 뷰 스위칭은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3D영상의 앵글 뷰를 소정 시간 간격, 이동단말기의 기울기(모션 감지) 또는 사용자 터치( 또는 키) 입력에 따라 다른 앵글 뷰로 전환하는 모든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은 터치, 터치 & 드래그, 터치 제스처, 터치 플리킹(Flicking)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 뷰 전환은 멀리 뷰 선택, 스크롤링(scrolling) 및 플리킹 동작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핫키 또는 특정 입력(특정 위치 터치 또는 특정 키 입력)시 멀티 앵글뷰가 있는 채널만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류는 채널 리스트를 직접 표시하거나 채널과 관련되어 앵글 뷰를 이미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앵글뷰의 3D영상 화면에서 두 손 가락에 의한 터치 & 드래그가 입력되면 앵글 뷰가 있는 다른 채널로 전환된다.
도 7a 및 도 7b는 앵글 뷰가 있는 채널을 분류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핫키 또는 화면의 특정 위치 터치를 터치하거나 특정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멀티 앵글뷰가 있는 채널을 분류하여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채널 리스트는 앵글 아이콘이 함께 표시되거나 이미지 형태의 앵글 뷰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스위칭의 수행하는 예이다.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뷰의 스위칭은 자동과 수동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동 스위칭 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주기적으로) 앵글 뷰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방법이다. 특히 PIP뷰의 경우에는 PIP에 표시된 앵글뷰만이 전환된다. 상기 수동 스위칭 방법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앵글 뷰가 전환되는 방법이다.
도 8a는 사용자가 스위칭 아이콘(52)를 여러번 터치하여(tapping) 좌 또는 우측에 미 표시된 앵글 뷰를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앵글 뷰를 선택하는 예이다.
도 8b 및 도 8c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감지를 이용하여 앵글 뷰를 스위칭하는 예들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수평방향(X축)으로 이동시키면 움직임 센서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제어부(180)는 움직임 센서의 감지결과, 예를들면 움직임 거리를 근거를 판단하여 현재 화면에서 표시되고 있는 앵글 뷰를 View 1에서 View 2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은 X축 뿐만 아니라 Y축 또는 Z축방향이 있다.
도 8c는 이동 단말기의 Y축방향의 움직임(회전)을 감지하여 앵글 뷰를 스위칭하는 예이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Y축방향으로 이동 단말기를 회전시키면, 움직임 센서는 회전각에 따라 앵글뷰를 view 1에서 View 2로 전환시킨다. 상기 멀티 앵글 뷰가 전환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특정 앵글 뷰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해당 화면을 메인 뷰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는 보조 뷰로 표시한다.
도 8d는 이동 단말기의 z축방향의 움직임(회전)을 감지하여 앵글 뷰를 스위칭하는 예이다. 특히 도 8d는 앵글 뷰에 중력 효과를 반영한 예이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위쪽(Z축으로)으로 움직이면 움직임 센서(자이로 센서)가 이동 단말기의 상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움직정도에 따라 앵글 뷰를 표시한다. 이때, 회전각에 해당하는 앵글뷰이외의 앵글 뷰들은 중력효과 즉,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복수의 앵글 뷰를 검색하고, 검색중에 원하는 앵글뷰를 직접 터치하여 선택한다.
도 9는 앵글 뷰 번호에 대응되는 숫자키(또는 숫자 버튼)을 입력하여 앵글 뷰 전환을 수행하고, 키의 롱 프레스(press) 또는 롱 터치를 통해 특정 앵글 뷰를 선택하는 예이다. 이때, 화면 상단에 있는 멀티-뷰 제어메뉴에 앵글 뷰의 객수와 번호가 도시되어 있으며, 전환시 현재 앵글 뷰가 표시된다.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은 선호 채널이 멀티터치되면 앵글 뷰를 필터링하여 도 7a 및 도 7b와 같이 표시할 수 있으며, 두 손가락으로 터치 & 드래되면 앵글 뷰가 있는 채널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멀티 앵글에 프리뷰를 표시할 때 각 앵글 뷰에 대한 제어 메뉴의 일 예이다.
도 10a는 하나의 앵글 뷰에 대하여 제어메뉴를 표시하는 예이다. 전술한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앵글뷰가 전환될 때 사용자가 소정의 핫키 또는 전체 화면(앵글 뷰)의 하단부를 터치(예를들면 더블터치)하면, 제어부(180)는 현재의 앵글 뷰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동작(캡쳐, 녹화, 채널변경, 음소거 및 기타)항목이 포함된 제어 메뉴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메뉴에 포함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현재의 앵글 뷰에 대한 각종 동작을수행할 수 있다.
도 10b는 복수의 앵글 뷰에 대하여 제어메뉴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0b는 소정의 핫키 또는 각 앵글 뷰의 하단부를 두 손가락으로 동시에 더블 터치했을 때 각 앵글 뷰의 하단부에 제어메뉴를 포함하는 것으로, 크기의 제약이 있는 경우 검색 가능한 스위칭 바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멀티 앵글 표시상태에서 캡쳐 기능을 수행하는 예이다.
도 10a에 의해 제어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캡처항목을 터치하거나 방송 핫키를 길게 누르면, 제어부(180)는 프리뷰 형태로 보여지는 3D영상에 대하여 싱글 캡쳐 또는 멀티 캡쳐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을 표시한다. 상기 팝업에서 사용자가 멀티 캡쳐를 선택하면 소정 시간간격(2.g., 0.3초, 0.5초, 0.7초등)으로 연속적으로 화면을 캡쳐하여 썸네일 형태로 하단부에 표시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싱글 캡쳐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한 화면만 캡쳐하여 3D영상 화면의 하단부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썸네일 형태의 3D영상의 하단부에는 저장메뉴(저장버튼) 및 취소메뉴(back버튼)이 포함되어 있으며, 썸네일 부분은 터치시 아무런 반응이 없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캡쳐된 3D영상에서 저장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캡쳐된 하나 또는 복수의 3D영상이 메모리(160)의 방송 보관함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이 완료되면 "저장완료"문구가 터치 캡쳐영역에 표시되면서 나머지 캡쳐영상들은 희미하게(dim) 처리된다.
그리고, 도 10b에 의해 제어메뉴가 각 앵글뷰에 표시된 경우에도 캡처항목을 선택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12는 멀티 앵글 표시상태에서 녹화 기능을 수행하는 예이다.
도 10a 또는 10b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메뉴의 녹화항목을 터치하거나 방송 핫키를 길게 누르면, 제어부(180)는 현재 앵글에 대한 녹화 또는 각 앵글뷰에 대한 3D영상의 녹화를 개시한다.
3D영상의 녹하가 개시되면 특정 앵글뷰 또는 다의 앵글 뷰의 하단에 저장상태 즉, "REC"문구, 저장가능 메모리 공간 및 저장정도(%)가 표시함과 함께 취소버튼(Back버튼), 볼륨, 시점변경 및 깊이변경 버튼을 함께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볼륨버튼을 이용하여 녹화중 볼륨을 조절할 수 있으며, 녹화중 사용자가 저장버튼을 누르거나 녹화 핫 키를 누르면 제어부(180)는 소정의 메시지, 예를들면 "녹화되었습니다" ㄸ는 "저장되었습니다"라는 문구를 표시하고, 해당 녹화 영상을 방송보관함 에 저장한다.
도 13은 멀티 앵글 표시상태에서 타임머신 기능을 수행하는 예이다.
사용자가 제어메뉴의 타임머신 항목(메뉴)을 터치하거나 방송 핫키를 길게 누르면, 제어부(180)는 현재 앵글만 타임머신 녹화 또는 각 앵글뷰에 대한 3D영상의 타임 머신녹화를 개시한다. 상기 타임 머신녹화가 개시되면 3D영상의 재생은 일시 정지되고 3D영상화면의 중앙에 재생 버튼 "▶"이 표시되며, 하단부에 타임머신 아이콘(ⓘ), 녹화시간(00:55), 일시정지 문구 등이 표시된다.
상기 타임머신 상태에서 만약 재생버튼(▶)을 누르면 현재 3D방송이 표시되고 지난방송의 재생버튼(▶)을 누르면 지난 3D방송이 재생된다. 상기 지만 3D방송은 PIP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PIP형태의 3D방송을 터치하면 현재 방송중인 3D방송과 교체된다. 상기 지난 3D방송화면의 하단부에는 재생바와 재생시간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지난 3D방송이 재생될 때 재생바를 터치 & 드래그하여 빨리감기(FF) 또는 되감기(RR)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지난 3D방송에 대한 재생이 종료되면(녹화시간 종료) 지난 방송 또는 PIP표시된 지난방송은 사라진다.
그리고, 타임머신 기능에 의해 녹화된 소정 3D방송을 재생할 때 사용자가 "현재방송" 또는 취소를 나타내는 "Back"버튼을 누르면 타임머신 기능은 취소되고 현재 방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캡쳐 및 녹화(일반 녹화 타임머신 녹화)된 각 앵글 뷰별 3D영상을 SMS, MMS 및 e-mail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한 화면에서 제공되고 있는 멀티 뷰 앵글은 특히 운동경기나 연주회의 경우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앵글 뷰가 결정되며, 복수의 앵글 뷰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많이 보는 앵글 뷰가 존재한다. 따라서, 하나의 3D영상에 대하여 멀티 앵글뷰를 제공하는 경우 각 앵글 뷰에 대하여 차등적인 과금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 앵글에 대한 프리뷰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앵글 뷰 스위칭을 수행할 때 과금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정한 앵글 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과금정보를 근거로 특정 앵글 뷰를 선택하면 메시지(SMS, MMS)로 요금 고지서를 전송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먼저 시청할 특정 채널의 3D영상을 선택합니다. 선택된 3D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며, 제어부(180)는 상기 표시되는 3D 영상이 멀티 앵글 뷰를 제공하는 경우 3D영상 화면의 소정 위치에 소정크기와 형상의 앵글 표시(indication)를 표시한다(S10). 상기 앵글 표시는 아이콘 형태, 아이콘 + 텍스트(카메라 대수 및 테마),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형태로 표시된다. 이하 앵글 아이콘으로 통칭한다.
상기 3D영상과 앵글 아이콘이 표시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11). 상기 터치 입력은 제어 메뉴에 대한 터치 및 그 제어메뉴에서 특정 타입의 앵글 뷰의 선택 그리고 화면 또는 상기 앵글 아이콘에 대한 직접적인 터치 제스처(소형 형상의 터치 & 드래그)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그분석결과에 대응되는 앵글 뷰의 타입을 결정한 후 화면에 결정된 앵글 뷰 타입으로 상기 3D영상을 표시한다(S12, S13).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표시된 멀티 앵글뷰의 프리뷰 화면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터치, 터치& 드래그 및 터치 플리킹) 또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X, Y 및 Z축방향 움직임)에 따라 멀티 앵글 뷰간 화면전환(화면 스위칭)을 수행한다(S14). 또한, 상기 화면 전환은 숫자 버튼 또는 숫자 키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멀티 앵글 뷰간 화면전환중에 원하는 앵글의 3D영상을 터치에 의해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으며, 시청중에도 필요할 경우 상기 멀티 앵글 뷰 표시방법에 의해 다시 멀티 앵글 뷰를 프리뷰 형태로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앵글 뷰의 3D영상을 시청하면서 다양한 동작, 예를들면 캡쳐, 녹화(일반 녹화 및 타임머신 녹화), 저장 및 전송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5). 상기 다양한 동작은 제어메뉴를 통해 지정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어 메뉴를 통해 특정 앵글 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글 뷰에 대한 싱글(개별) 또는 멀티(연속) 캡쳐 또는 녹화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캡쳐 또는 녹화된 3D영상에 대한 저장을 수행함과 함께 송신 메뉴를 제공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S16).
도 15는 본 발명에서 스타디움 뷰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3D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S20), 사용자가 화면의 중앙 또는 앵글 아이콘위에서 입력한 소정의 터치 입력(원형 제스처)을 근거로 스타디움 뷰 표시가 요청되었음을 판단한다(S21).
사용자의 스타디움 뷰 표시가 요청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3D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정보에 따라 앵글정보, 예를들면 멀티 앵글 뷰 및 각종 정보(앵글 아이콘, 스위칭 아이콘)를 화면에 표시한다(S22).
상기 표시된 멀티 앵글 뷰를 보면서 사용자는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앵글에 대한 전환(스위칭) 및 선택을 수행하여 원하는 3D영상의 앵글을 시청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및 움직임 방향(x, y, z축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표시된 멀티 앵글 뷰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한다(S23, S24). 이후 스위칭되는 앵글 뷰중에서 특정 앵글 뷰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앵글의 3D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는 멀티 앵글 뷰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앵글 뷰에 대하여 캡쳐 또는 녹화(타임 머신 녹화 포함)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 입력에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메뉴상에서의 선택 도는 핫 키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글 뷰에 대한 캡쳐 또는 녹화동작을 수행한다(S25). 상기 캡쳐가 완료되면 저장을 위하여 별도의 저장버튼이 해당 캡쳐된 데이타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녹화중에는 녹화되는 3D영상에 대하여 볼륨, 시점 및 깊이를 변경할 수 있는 버튼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3D영상에 대하여 녹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캡쳐 또는 녹화가 완료되면 제어부(1800는 사용자의 저장 명령에 따라 해당 3D영상을 방송 보관함에 저장하고, 저장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26). 그리고, 상기 저장된 캡쳐 또는 녹화된 특정 앵글의 3D영상은 SMS 또는 MMS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할뷰를 예로들어 3D영상의 갭쳐, 녹화(타임머신 녹화), 저장 및 전송동작을 기술하였지만, 이러한 동작은 PIP뷰, 스타디움 뷰 및 기타 뷰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된 3D영상은 3D방송 영상을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VOD 및 기타 이미지, 동영상을 모두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이한 앵글의 3D영상을 터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앵글 뷰 타입으로 표시, 전환 및 선택을 수행하고, 상기 표시된 각 앵글 뷰에 대하여 캡쳐 또는 녹화를 수행함으로써 멀티 앵글 뷰에 대하여 유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35)

  1. 멀티 앵글이 포함된 3차원 입체(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멀티 앵글의 표시 타입을 결정하여, 결정된 표시 타입으로 3D 방송 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앵글 뷰중에서 특정 앵글 뷰의 3D방송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직선형, 네모형 및 원형의 터치 & 드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3차원 입체(3D) 영상 화면의 중앙 또는 앵글 아이콘상에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앵글 뷰의 표시 타입은
    분할 뷰, 갤러리 뷰, PIP뷰 및 스타디움 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3차원 입체(3D) 영상에 멀티 앵글이 포함되었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멀티 앵글이 포함된 경우 3차원 입체(3D) 영상의 일측에 앵글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식별 정보는
    아이콘 형태, 아이콘 + 텍스트(카메라 대수, 테마),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앵글 뷰에는
    앵글별 시청률, 화질, 전송상태, 움직임 정보, 검출인원 및 웹사이트 정보와 같은 앵글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앵글 뷰는
    특정 앵글 뷰의 3D방송 영상을 선택된 상태에서 가로보기와 세로보기간에 전환이 발생되면 다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핫키 또는 특정 위치 터치 또는 특정 키가 입력되면 멀티 앵글 뷰가 있는 채널만 분류하여 표시하며, 상기 분류된 앵글뷰 리스트는 이미지 형태의 앵글 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3D방송 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앵글 뷰는
    키 입력, 근접 및 집적 터치 입력 및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및 직접 터치 입력은
    싱글터치, 터치 & 드래그 및 터치 플리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앵글 뷰가 분할 뷰인 경우 앵글 뷰의 스위칭은
    멀티 앵글뷰의 좌우측에 구비된 양방향 스위칭 아이콘의 터치, 터치 & 플리킹, 이동 단말기의 x,y 및 z축방향의 움직임, 숫자키 또는 숫자버튼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앵글 뷰가 PIP 뷰인 경우에는 메인 앵글 뷰를 제외한 나머지 PIP형태의 앵글 뷰들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앵글 뷰가 스타디움뷰인 경우에는 직접 터치 또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 정도에 따라 앵글 뷰가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앵글 뷰가 갤러리 뷰인 경우에는 앵글 스위치의 한쪽 방향 터치에 의해 이미지 형태의 앵글 뷰가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3D영상의 싱글 또는 멀티 앵글 뷰에 대하여 캡쳐 또는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캡쳐 또는 녹화된 3D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방송 보관함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는 개별 캡쳐와 연속 캡쳐로 구성되며, 캡쳐된 앵글 뷰는 저장버튼이 부착되어 썸네일 형태로 화면의 하단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는
    일반 녹화와 타임머신 녹화를 포함하며, 상기 일반 녹화가 개시되면 일반 녹화 정보와 함께 저장버튼, 볼륨바, 시점 변경 및 깊이변경 버튼이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머신 녹화가 개시되면 타임머신 재생 아이콘과 함께 타임머신 녹화정보가 표시되고, 타임머신 상태에서 상기 타임 머신 재생아이콘을 누르면 현재 방송과 지난방송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3D 멀티-앵글 뷰 제어방법.
  21. 멀티 앵글이 포함된 3차원 입체(3D)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멀티 앵글의 표시 타입을 결정 한 후 결정된 표시 타입으로 3D 방송 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중에서 선택된 특정 앵글 뷰의 3D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3차원 입체(3D) 영상 화면의 중앙 또는 앵글 아이콘상에서 감지된 직선형, 네모형 및 원형의 터치 & 드래그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앵글 뷰의 표시 타입은
    분할 뷰, 갤러리 뷰, PIP뷰 및 스타디움 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3차원 입체(3D) 영상에 멀티 앵글이 포함되었는지 체크하여, 멀티 앵글이 포함된 경우 3차원 입체(3D) 영상의 일측에 앵글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식별 정보는
    아이콘 형태, 아이콘 + 텍스트(카메라 대수, 테마),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에 앵글별 시청률, 화질, 전송상태, 움직임 정보, 검출인원 및 웹사이트 정보와 같은 앵글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핫키, 특정 위치 터치 및 특정 키가 입력되면 멀티 앵글 뷰가 있는 채널만 분류하여 표시하고, 상기 분류된 앵글뷰 리스트는 이미지 형태의 앵글 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또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상기 표시된 3D방송 영상의 멀티 앵글 뷰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키 입력, 근접 및 집적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은 수평 및 수직방향의 이동과 회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및 직접 터치 입력은
    싱글터치, 터치 & 드래그 및 터치 플리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가 분할 뷰인 경우 멀티 앵글뷰의 좌우측에 구비된 양방향 스위칭 아이콘의 터치, 터치 & 플리킹, 이동 단말기의 x,y 및 z축방향의 움직임, 숫자키 또는 숫자버튼 입력에 따라 앵글 뷰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가 PIP 뷰인 경우는 메인 앵글뷰 이외에 PIP형태로 표시되는 앵글 뷰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가 스타디움뷰인 경우 직접 터치 또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 정도에 따라 앵글 뷰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앵글 뷰가 갤러리 뷰인 경우 한쪽 방향의 앵글 스위치의 터치에 따라 이미지 형태의 앵글 뷰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3D영상의 싱글 또는 멀티 앵글 뷰에 대하여 캡쳐 또는 녹화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방송 보관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체영상 제어방법.
KR1020110032915A 2011-04-08 2011-04-08 이동 단말기 및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 KR10175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15A KR101758164B1 (ko) 2011-04-08 2011-04-08 이동 단말기 및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
EP12000801.6A EP2509303B1 (en) 2011-04-08 2012-02-07 Mobile terminal and three-dimensional (3D) multi-angle view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3/370,178 US9201470B2 (en) 2011-04-08 2012-02-09 Mobile terminal and three-dimensional (3D) multi-angle view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210068482.5A CN102736843B (zh) 2011-04-08 2012-03-15 移动终端及其三维(3d)多角度视图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15A KR101758164B1 (ko) 2011-04-08 2011-04-08 이동 단말기 및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15A true KR20120115015A (ko) 2012-10-17
KR101758164B1 KR101758164B1 (ko) 2017-07-26

Family

ID=4565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915A KR101758164B1 (ko) 2011-04-08 2011-04-08 이동 단말기 및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01470B2 (ko)
EP (1) EP2509303B1 (ko)
KR (1) KR101758164B1 (ko)
CN (1) CN102736843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54A1 (ko) * 2013-11-01 2015-05-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서비스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WO2015064855A1 (ko) * 2013-11-01 2015-05-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촬영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KR101530826B1 (ko) * 2014-08-18 2015-06-24 정관호 360도 공간영상 재생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8084347A1 (ko) * 2016-11-03 2018-05-1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96940A (ko) * 2017-02-22 2018-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4466B1 (ko) * 2018-10-13 2019-04-01 탁영한 3d 영상 제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2619B2 (en) * 2005-06-02 2022-09-13 Eli I Zeevi Integrated document editor
JP5302285B2 (ja) * 2010-10-28 2013-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映像出力装置、立体映像出力方法、立体映像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立体映像表示装置
KR101290763B1 (ko) * 2011-06-08 2013-07-2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햅틱전자보드 기반의 시각 장애인용 학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3391355B (zh) * 2012-05-11 2015-05-20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可于任何使用角度下进行立体影像撷取的可携式电子装置
CN102819417B (zh) * 2012-08-16 2015-07-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图片显示处理方法及装置
US9081994B2 (en) 2012-10-05 2015-07-14 Hand Held Products, Inc. Portable RFID reading terminal with visual indication of scan trace
CN103731630B (zh) 2012-10-16 2019-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监控方法、设备和系统
US20140118223A1 (en) * 2012-10-26 2014-05-01 Brigham Young University Graphical view selec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WO2014163214A1 (en) * 2013-04-01 2014-10-0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hanging screen display dire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124802B1 (ko) 2013-06-04 202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15012442A (ja) * 2013-06-28 2015-01-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82661B1 (ko) * 2013-07-12 2020-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4133663B (zh) 2013-08-02 2015-07-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可跟随屏幕自动旋转的浮窗实现的方法、装置和终端
US9594939B2 (en) 2013-09-09 2017-03-14 Hand Held Products, Inc. Initial point establishment using an image of a portion of an object
US9201577B2 (en) * 2013-09-10 2015-12-01 Bose Corporation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udio playback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devices
TWI556624B (zh) * 2014-07-18 2016-1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顯示方法以及影像顯示裝置
EP3010225B1 (en) * 2014-10-14 2019-07-24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ically capturing an image
US11095869B2 (en) 2015-09-22 2021-08-17 Fyu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bined embedd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1006095B2 (en) 2015-07-15 2021-05-11 Fyusion, Inc. Drone based capture of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US10242474B2 (en) 2015-07-15 2019-03-26 Fyusion, Inc. Artificially rendering images using viewpoint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US10147211B2 (en) 2015-07-15 2018-12-04 Fyusion, Inc. Artificially rendering images using viewpoint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US10222932B2 (en) 2015-07-15 2019-03-05 Fyusion, Inc.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ased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CN105357585B (zh) * 2015-08-29 2019-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对视频内容任意位置和时间播放的方法及装置
US11783864B2 (en) 2015-09-22 2023-10-10 Fyusion, Inc. Integration of audio into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KR20170079198A (ko) 2015-12-30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20043A (ko) * 2016-08-17 201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202017B2 (en) 2016-10-06 2021-12-14 Fyusion, Inc. Live style transfer on a mobile device
CN106534959B (zh) * 2016-10-11 2019-09-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直播视频的处理方法及装置
KR102559407B1 (ko) * 2016-10-19 202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437879B2 (en) 2017-01-18 2019-10-08 Fyusion, Inc. Visual search using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CN107231537B (zh) * 2017-05-10 2019-11-15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画中画切换方法和装置
US10313651B2 (en) * 2017-05-22 2019-06-04 Fyusion, Inc. Snapshots at predefined intervals or angles
JP6976719B2 (ja) * 2017-05-25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06432B1 (en) 2017-06-07 2021-12-21 Digital Seat 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ed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 to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of a vehicle
US11475409B2 (en) 2017-06-07 2022-10-18 Digital Seat Media,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ecord verification
US11069147B2 (en) 2017-06-26 2021-07-20 Fyusion, Inc. Modification of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US10687119B2 (en) 2017-06-27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virtual reality views
US10062414B1 (en) * 2017-08-22 2018-08-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a future field of view (FOV) for a particular user viewing a 360 degree video stream in a network
CN107632749A (zh) * 2017-09-05 2018-01-26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三维图像视角调整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US10592747B2 (en) 2018-04-26 2020-03-17 Fyu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3-D auto tagging
KR102524586B1 (ko) 2018-04-30 202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360713B1 (en) * 2018-07-17 2019-07-23 Disney Enterprises, Inc. Event enhanc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effects
CN109491561B (zh) * 2018-09-27 2021-02-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终端
WO2020077569A1 (zh) * 2018-10-17 2020-04-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可折叠电子装置及输入控制方法
JP6571859B1 (ja) * 2018-12-26 2019-09-04 Amatelus株式会社 映像配信装置、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配信方法及び映像配信プログラム
US11182768B2 (en) 2019-03-06 2021-11-23 Digital Seat 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individualized content and mobile wallet offers
CN111432074B (zh) * 2020-04-21 2021-06-29 青岛联合创智科技有限公司 一种辅助手机用户进行图片信息采集的方法
US11481807B2 (en) 2020-04-27 2022-10-25 Digital Seat Media, Inc. Delivery of dynamic content based upon predetermined thresholds
US11494737B2 (en) 2020-04-27 2022-11-08 Digital Seat Media, Inc. Interactive and dynamic digital event program
US11657337B2 (en) 2020-04-27 2023-05-23 Digital Seat 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tickets via a machine-readable code
WO2021222934A1 (en) 2020-04-27 2021-11-04 Digital Seat Media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ecord verification
US11488273B2 (en) 2020-04-27 2022-11-01 Digital Seat Media, Inc. System and platform for engag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takeholders
CN112040260A (zh) * 2020-08-28 2020-12-04 咪咕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截图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84081A (zh) * 2021-01-22 2021-05-1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688029B2 (en) 2021-04-27 2023-06-27 Digital Seat Media, Inc. Wagering platforms and access derived from machine-readable cod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348A (ja) * 2000-05-24 2001-11-30 Minolta Co Ltd 送信装置、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および放送方法
KR100379430B1 (ko) * 2000-07-18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화면처리장치 및 방법
US20070002077A1 (en) * 2004-08-31 2007-01-04 Gopalakrishnan Kumar C Methods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Related to Visual Imagery Using Cameraphones
US7864163B2 (en) 2006-09-06 2011-01-0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tructured electronic documents
US8194034B2 (en) * 2006-12-20 2012-06-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isplay
US20080263472A1 (en) * 2007-04-19 2008-10-23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ticker
JP5088017B2 (ja) * 2007-06-28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
US8522289B2 (en) * 2007-09-28 2013-08-27 Yahoo! Inc. Distributed automatic recording of live event
US8531449B2 (en) * 2007-12-18 2013-09-10 Navteq B.V.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angle views of an object-of-interest from images in an image dataset
US8786596B2 (en) * 2008-07-23 2014-07-22 Disney Enterprises, Inc. View point representation for 3-D scenes
US20100208082A1 (en) * 2008-12-18 2010-08-19 Band Crashers, Llc Media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ynchronized multiple streaming camera signals of an event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54A1 (ko) * 2013-11-01 2015-05-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서비스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WO2015064855A1 (ko) * 2013-11-01 2015-05-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촬영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KR20150051047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서비스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KR101529139B1 (ko) * 2013-11-01 2015-06-1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촬영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KR101530826B1 (ko) * 2014-08-18 2015-06-24 정관호 360도 공간영상 재생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6027977A1 (ko) * 2014-08-18 2016-02-25 정관호 360도 공간영상 재생방법 및 그 시스템
US10205969B2 (en) 2014-08-18 2019-02-12 Gwan Ho JEONG 360 degree space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WO2018084347A1 (ko) * 2016-11-03 2018-05-1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49645A (ko) * 2016-11-03 2018-05-1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643304B2 (en) 2016-11-03 2020-05-05 Hanwha Techwin Co., Ltd.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96940A (ko) * 2017-02-22 2018-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4466B1 (ko) * 2018-10-13 2019-04-01 탁영한 3d 영상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9303A2 (en) 2012-10-10
KR101758164B1 (ko) 2017-07-26
EP2509303B1 (en) 2017-04-26
CN102736843A (zh) 2012-10-17
US20120257025A1 (en) 2012-10-11
EP2509303A3 (en) 2013-01-16
CN102736843B (zh) 2016-06-29
US9201470B2 (en)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164B1 (ko) 이동 단말기 및 3d 멀티 앵글 뷰 제어방법
KR1017486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입체영상 제어방법
KR1018516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변환 방법
KR101832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영상 표시방법
US9207859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fixed objects independent of shifting background images on a touchscreen
US9323324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EP217828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related to external devices
KR1019197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06364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2902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110138336A1 (en)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2009480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4000074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9088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97310A1 (e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5544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154775B2 (en) Mobile terminal to display a perceived 3D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22314A (ko) 이동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12957B1 (ko)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4422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820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89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제어방법
KR20130062750A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