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669B1 -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669B1
KR102530669B1 KR1020200129266A KR20200129266A KR102530669B1 KR 102530669 B1 KR102530669 B1 KR 102530669B1 KR 1020200129266 A KR1020200129266 A KR 1020200129266A KR 20200129266 A KR20200129266 A KR 20200129266A KR 102530669 B1 KR102530669 B1 KR 102530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mo
file
web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165A (ko
Inventor
신지은
황길환
정예림
오향남
임대현
이동열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669B1/ko
Priority to JP2021014193A priority patent/JP7254842B2/ja
Priority to TW110136868A priority patent/TWI800022B/zh
Priority to US17/450,208 priority patent/US11636253B2/en
Publication of KR2022004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or artist information, time, location or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5Rule-based translation
    • G06F40/56Natural langu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제1 디바이스에 설치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앱과 제2 디바이스에서 접속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웹을 연동하는 단계; 상기 앱과 상기 웹의 연동을 통해 상기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을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목록에서 상기 음성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웹 상에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O WRITE MEMO FOR AUDIO FILE THROUGH LINKAGE BETWEEN APP AND WEB}
아래의 설명은 음성 파일과 관련된 메모를 작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음성 변환 기술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 녹음이 종료되면 녹음된 구간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음성 변환 기술의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2217호(공개일 2014년 05월 23일)에는 음성 녹음 및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앱과 웹을 연동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음성 녹음 기능과 메모 작성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앱과 웹을 연동하여 앱에서의 음성 파일의 상태를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앱에서 녹음 중인 파일을 웹 상에서 선택하여 녹음 중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디바이스에 설치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앱과 제2 디바이스에서 접속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웹을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앱과 상기 웹의 연동을 통해 상기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을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동일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기 앱과 상기 웹을 연동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상기 앱에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상기 앱에서의 상태 정보와 녹음 또는 재생 시간을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작성 메뉴를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파일 목록에서 상기 음성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웹 상에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웹에서의 상기 메모 작성 화면을 통해 작성되는 메모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앱에서의 녹음 또는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타임스탬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상기 음성 파일과 연계하여 상기 앱과 상기 앱에서 연동되는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상기 음성 파일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앱 또는 상기 웹에서 상기 음성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듀얼 뷰 방식을 통해 상기 음성 기록과 상기 메모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디바이스에 설치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앱과 제2 디바이스에서 접속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웹을 연동하는 디바이스 연동부; 및 상기 앱과 상기 웹의 연동을 통해 상기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해 상기 앱에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앱과 웹을 연동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음성 녹음 기능과 메모 작성 기능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앱에서의 음성 파일 상태를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할 수 있고, 앱에서 녹음 중인 파일을 웹 상에서 선택하여 녹음 중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기록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성 기록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음성 기록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또는 회의록 관리 서비스), 컨텐츠 제공 서비스, 그룹 통화 서비스(또는 음성 컨퍼런스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메일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도 서비스, 번역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결제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많은 사람들이 회의나 다양한 미팅 상황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음성 녹음을 진행하고 녹음 중인 음성과 관련된 내용의 경우 PC 등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모로 작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성 녹음과 메모가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음성과 메모를 각각 따로 확인해야 하고 이로 인해 녹음된 내용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면서 메모를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녹음 및 텍스트 변환을 포함하는 음성 기록 기능과 메모 기능을 통합된 하나의 기능으로 제공하여 녹음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결과(이하, '음성 기록'라 약칭함)와 녹음 중에 작성된 메모를 매칭하여 함께 관리할 수 있는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예들은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녹음을 진행하는 디바이스와 메모를 작성하는 디바이스 간에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음성 녹음 기능과 메모 작성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200)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 상에 설치된 전용 앱과 클라이언트 상에서 접속 가능한 컴퓨터 장치(200)와 관련된 전용 웹 사이트를 통해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음성 기록 관리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도 4에 따른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연동부(310), 상태 표시부(320), 및 메모 작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0)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0)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도 3의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가 디바이스 간 연동을 제어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0)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디바이스 연동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0)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0)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30)은 도 4에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들(S410 내지 S430)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0)에서 디바이스 연동부(310)는 제1 디바이스 상의 앱과 제2 디바이스 상의 웹 간의 연동을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앱은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전용 앱을 의미하고, 웹은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전용 웹사이트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는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에 대해 앱과 웹에서 동일한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서로 다른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을 통해 녹음을 진행하고 녹음 중인 음성과 관련하여 PC로 접속한 웹에서 메모를 작성하는 사용 환경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사용 환경은 하나의 예시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 연동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동일 계정으로 로그인된 모바일 앱과 PC 웹을 연동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PC 간에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 연동부(310)는 모바일 앱에서 음성 녹음, 음성 재생, 음성 파일 업로드, 음성 파일 텍스트 변환 등 음성 기록과 관련된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 PC 웹을 자동 실행하여 모바일 앱과 PC 앱의 연동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상태 표시부(320)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모바일 앱과 PC 웹 간의 연동을 통해 모바일 앱에서 녹음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해 해당 음성 파일의 상태 정보를 PC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320)는 모바일 앱에서 녹음이 진행되는 경우 녹음 중인 음성 파일을 PC 웹에서 제공하는 파일 목록에 표시할 수 있고, 해당 음성 파일에 대해 녹음 중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320)는 모바일 앱에서 녹음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해 PC 웹 상의 파일 목록에 모바일 앱에서의 상태(녹음 중)와 녹음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320)는 녹음 상태 이외에도 모바일 앱에서의 모든 상태 값, 예를 들어 음성 파일이 재생 중인 상태, 음성 파일이 업로드 중인 상태, 음성 파일에 대한 텍스트 변환이 수행 중인 상태, 업로드나 텍스트 변환을 위해 대기 중인 상태, 음성 파일의 업로드나 텍스트 변환이 완료된 상태 등을 PC 웹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메모 작성부(330)는 PC 웹의 파일 목록에서 모바일 앱에서 녹음 중인 음성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음성 파일에 대해 PC 웹에서 메모 작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PC 웹은 모바일 앱에서 녹음 중인 음성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선택된 음성 파일에 대해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앱에서 녹음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해 PC 웹에서 메모를 작성하는 경우 모바일 앱에서의 녹음 시간을 기준으로 메모 작성 시간의 타임 스탬프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모바일 앱에서 녹음 중인 음성 파일뿐 아니라, 모바일 앱에서 재생 중인 음성 파일을 대상으로 PC 웹을 통한 메모 작성 기능을 제공하는 것 또한 구현 가능하다.
프로세서(220)는 모바일 앱에서 녹음된 음성 파일을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함으로써 음성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모바일 앱의 녹음 기능을 통해 녹음되는 음성 파일을 전달할 수 있으며, 혹은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음성 파일을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이미 공지된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화자에 의한 발성 구간에 해당되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한 결과인 음성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 화자 별로 발성 구간을 분할하는 화자분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회의, 인터뷰, 거래, 재판 등 여러 화자가 일정한 순서 없이 발성하는 상황에서 녹음된 음성 파일의 경우 발성 내용을 화자 별로 분할하여 자동 기록할 수 있다.
메모 작성부(330)는 모바일 앱에서 녹음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해 PC 웹을 통해 작성되는 메모를 별도 파일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해당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모바일 앱과 PC 웹에서 모두 연동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 작성부(330)는 모바일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해 PC 웹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모를 해당 음성 파일로부터 생성된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메모 작성부(330)는 모바일 앱에서 녹음이 진행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음성 기록과 녹음 진행 중에 작성된 메모를 매칭할 수 있다. 음성 기록은 화자 발성 구간의 기점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 작성부(330)는 음성 기록의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해당 구간에 작성된 메모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메모 작성부(330)는 음성 기록이 존재하는 음성 파일에 대해 모바일 앱에서 음성 파일이 재생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음성 기록과 음성 재생 중에 작성된 메모를 매칭하여 기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모 작성부(330)는 특정 시점의 발성 구간에 작성된 메모를 해당 시점의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모바일 앱 또는 PC 웹을 통해 특정 음성 파일에 대한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음성 파일의 음성 기록과 메모를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녹음 중에 혹은 음성 재생 중에 작성된 메모를 음성 기록과 함께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 기록과 메모를 듀얼 뷰 방식으로 함께 보여줄 수 있다. 듀얼 뷰 방식은 음성 기록과 메모를 두 개의 열로 나란히 보여주는 방식으로, 이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과 해당 음성의 녹음이나 재생 시간 동안 작성된 메모를 나란히 보여줌으로써 대화 기록을 탐색하기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과 메모를 듀얼로 보여주는 방식 이외에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음성 기록과 메모 중 하나를 단독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기록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은 음성 녹음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화면(500)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화면(500)은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의 홈 화면 구성으로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요 메뉴 목록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음성 기록을 폴더 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폴더 목록(501)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화면(500)은 새로운 음성 기록을 생성하기 위한 '새노트 만들기' 메뉴(502)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화면(500)에서 '새노트 만들기' 메뉴(502)가 선택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을 제공한다.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은 음성 기록의 제목을 입력하기 위한 '제목' 입력란(611), 참석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참석자' 입력란(612), 음성 녹음을 위한 '녹음 시작' 메뉴(613), 음성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파일 업로드' 메뉴(61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을 생성하기 위해 녹음 기능과, 파일 업로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에서 '녹음 시작' 메뉴(613)가 선택되는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녹음 화면(720)을 제공한다. 음성 녹음 화면(720)은 기본적인 녹음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녹음이 진행된 시간 정보, 녹음을 일시정지하기 위한 일시정지 버튼, 녹음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음성 녹음 화면(720)은 녹음 중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메모 인터페이스(721), 및 녹음 중에 북마크를 기록할 수 있는 북마크 인터페이스(72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메모 인터페이스(721)는 텍스트 기반의 입력은 물론이고,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기능, 파일 첨부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모 인터페이스(721)를 통해 녹음 중에 해당 음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이나 첨부할 내용 등을 메모로 작성할 수 있고, 메모 이외에도 북마크 인터페이스(722)를 통해 중요 구간의 녹음 시점에 북마크를 남길 수 있다. 녹음 진행 시간을 기준으로 녹음 중에 입력된 메모나 북마크가 기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모 작성이 시작된 시점의 녹음 진행 시간이 메모 작성 시간으로 기록될 수 있고, 북마크가 입력된 시점의 녹음 진행 시간이 북마크 지정 시간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음성 기록에 대한 북마크는 북마크 인터페이스(722)를 이용한 수동 설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 설정 기능 또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전에 정해진 주요 키워드(일례로, 음성 기록의 제목이나 태그 등)가 발성되는 구간에 북마크를 자동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에서 '파일 업로드' 메뉴(614)가 선택되는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음성 파일을 탐색하기 위한 파일 탐색 화면을 제공하고, 파일 선택 화면에서 특정 파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파일의 업로드를 실행하는 파일 업로드 화면을 제공한다. 파일 업로드 화면은 선택된 파일에 대한 정보(예컨대, 파일 이름, 파일 길이 등)와 함께, 파일 업로드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녹음 화면(720)을 통한 음성 녹음이 완료되거나 혹은 파일 업로드 화면을 통한 파일 업로드가 완료되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 기록 생성 과정의 진행 상황을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을 통해 보여줄 수 있다. 녹음의 경우 녹음과 동시에 음성 파일이 실시간으로 업로드되거나 혹은 녹음이 완료되면 녹음된 음성 파일 전체가 일괄 업로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생성 과정이 완료된 음성 파일에 대해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화면(500)을 통해 해당 음성 파일의 음성 기록과 메모(및 북마크)를 시간적으로 매칭하여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는 모바일 앱과의 연동을 통해 녹음 중 메모를 작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PC 웹 인터페이스 화면(800)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PC 웹 인터페이스 화면(800)은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화면(500)과 마찬가지로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의 홈 화면 구성으로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요 메뉴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모바일 앱과 PC 웹의 연동을 통해 모바일 앱에서의 음성 기록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PC 웹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PC 웹 인터페이스 화면(800) 상에 모바일 앱과 연동되는 음성 파일이 포함된 파일 목록(830)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일 목록(830)에는 모바일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 업로드나 텍스트 변환을 위해 대기 중인 음성 파일, 업로드나 텍스트 변환이 완료된 음성 파일 등 모바일 앱과의 연동을 통해 접근 가능한 음성 파일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PC 웹 인터페이스 화면(800)의 파일 목록(830)을 통해 각 음성 파일에 대한 상태 정보(803), 즉 모바일 앱에서의 상태 값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파일 목록(830)에 포함된 음성 파일을 상태 정보(803) 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일례로 메모 작성이 가능한 상태의 음성 파일과 그 이외에 나머지 음성 파일로 구분될 수 있다. 메모 작성이 가능한 상태의 음성 파일은 모바일 앱에서 녹음 진행 중인 음성 파일 혹은 재생 진행 중인 음성 파일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PC 웹 인터페이스 화면(800)의 파일 목록(830)에 포함된 음성 파일 중 모바일 앱에서 녹음 진행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해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메모' 메뉴(804)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PC 웹 인터페이스 화면(800)의 파일 목록(830)에서 특정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메뉴(804)가 선택되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 작성 화면(931)을 제공한다. 메모 작성 화면(931)에는 모바일 앱에서 녹음 진행 중인 음성 파일의 제목과 참석자를 포함한 파일 정보, 모바일 앱에서의 상태(녹음 중)와 녹음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작성 화면(931)은 메모 작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텍스트 기반의 입력은 물론이고,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기능, 파일 첨부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 작성 화면(931)은 모바일 앱에서 녹음 진행 중인 음성 파일에 북마크를 기록할 수 있는 북마크 인터페이스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메모 작성 화면(931)에서 메모가 작성되는 경우 메모 각각에 대하여 모바일 앱에서 녹음 진행 중인 음성 파일의 녹음 시간을 기반으로 타임스탬프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메모 작성 화면(931)으로 진입하기 위한 '메모' 메뉴(804)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별도 메뉴로 '메모' 메뉴(804)가 제공되지 않고 파일 목록(830)에서 특정 음성 파일, 예를 들어 모바일 앱에서 녹음 진행 중인 음성 파일을 선택하여 진입한 화면에 메모 작성 화면(931)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앱에서 녹음 진행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해 PC 웹의 메모 작성 화면(931)을 통해 작성된 메모는 해당 음성 파일과 연계되어 PC 웹은 물론이고 모바일 앱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프로세서(220)는 모바일 앱 또는 PC 웹을 통해 특정 음성 파일에 대한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음성 파일의 음성 기록과 메모를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PC 웹 인터페이스 화면(800)에서 제공하는 파일 목록에서 특정 음성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음성 파일에 대하여 듀얼 뷰 방식으로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함께 보여줄 수 있다. PC 웹 인터페이스 화면(800)에는 음성 기록 생성 과정에서 입력된 제목(1041)과 참석자 정보(1042)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음성 파일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영역(1060)이 포함될 수 있다.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는 발성 구간 별로 해당 구간의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고, 이때 음성 파일에서 텍스트가 발성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타임스탬프가 표시될 수 있다. 메모 영역(1050)에서는 음성 파일의 녹음 중에 작성된 메모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메모 별로 메모 작성이 시작된 시점의 녹음 진행 시간이 해당 메모의 타임스탬프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두 개의 열로 나란히 보여줄 수 있으며, 이때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매칭하여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자1이 발성한 00분 02초 시점에 작성된 메모를 해당 발성 구간의 텍스트와 같은 선상에 맞춰 보여줄 수 있다.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타임스탬프 기준의 동일선상에 맞추지 않고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각각 시간 순으로 단순 정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외에도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정렬하는 방식은 듀얼 뷰 방식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컨트롤러 영역(1060)은 프로그레스 바, 재생/일시정지 버튼, 뒤로 건너뛰기 버튼, 앞으로 건너뛰기 버튼, 음량 조절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메모가 작성된 구간을 나타내는 메모 인디케이터(1061)와, 북마크가 기록된 구간을 나타내는 북마크 인디케이터(1062)가 프로그레스 바 상에 노출될 수 있다.
메모 인디케이터(1061)와 북마크 인디케이터(1062)의 구분이 용이하도록 인디케이터 디스플레이 요소(예컨대, 색상, 모양 등)를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특정 발성 구간의 텍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구간의 음성을 재생할 수 있다. 메모 영역(1050)에서 특정 메모를 선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해당 메모가 작성된 구간의 음성을 재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의 상호 간에 선택 영역을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특정 발성 구간의 텍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메모 영역(1050) 내에서 해당 구간에 작성된 메모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함께 볼 수 있고, 아울러 컨트롤러 영역(1060) 내 프로그레스 바 상의 메모 인디케이터(1061)와 북마크 인디케이터(1062)를 통해 쉽고 편리한 탐색이 가능함에 따라 대화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함께 보여주는 듀얼 뷰 방식 이외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메모 영역(1050)을 표시하지 않고 음성 기록 영역(1040)만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음성 파일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영역(1060)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음성 기록 영역(1040)만을 표시하는 뷰 모드에서는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메모가 작성된 발성 구간의 텍스트를 다른 구간의 텍스트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텍스트의 발성 구간에 작성된 메모가 있음을 나타내는 태그로서 메모 아이콘(1141)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특정 텍스트의 메모 아이콘(1141)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텍스트의 발성 구간에 작성된 메모 전문(1270)을 보여줄 수 있다.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함께 보여주는 듀얼 뷰 모드는 물론이고,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 중 하나만 표시하는 뷰 모드에서도 상호 간의 탐색과 확인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앱과 PC 웹의 연동을 통해 모바일 앱에서 녹음 중인 음성 파일을 PC 웹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모바일 앱에서 녹음 중인 음성 파일을 PC 웹에서 선택하는 경우 PC 웹에서 해당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작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녹음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기록과 녹음된 음성과 관련하여 작성된 메모를 매칭하여 듀얼 뷰로 보여줌으로써 음성 기록과 메모를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디바이스에 설치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앱과 제2 디바이스에서 접속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웹을 연동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앱과 상기 웹의 연동을 통해 상기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을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상기 음성 파일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앱 또는 상기 웹에서 상기 음성 파일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음성 기록을 상기 메모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기록을 상기 메모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상기 음성 기록과 상기 메모를 시간적으로 매칭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동일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기 앱과 상기 웹을 연동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상기 앱에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상기 앱에서의 상태 정보와 녹음 또는 재생 시간을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작성 메뉴를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파일 목록에서 상기 음성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웹 상에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웹에서의 상기 메모 작성 화면을 통해 작성되는 메모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앱에서의 녹음 또는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타임스탬프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상기 음성 파일과 연계하여 상기 앱과 상기 앱에서 연동되는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과 상기 메모를 시간적으로 매칭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듀얼 뷰 방식을 통해 상기 음성 기록과 상기 메모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디바이스에 설치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앱과 제2 디바이스에서 접속된 음성 기록 관리 전용 웹을 연동하는 디바이스 연동부; 및
    상기 앱과 상기 웹의 연동을 통해 상기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해 상기 앱에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상기 음성 파일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하고,
    상기 앱 또는 상기 웹에서 상기 음성 파일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음성 기록을 상기 메모와 연계하여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상기 음성 기록과 상기 메모를 시간적으로 매칭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연동부는,
    동일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기 앱과 상기 웹을 연동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상기 앱에서의 상태 정보와 녹음 또는 재생 시간을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상기 앱에서 녹음 또는 재생 중인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작성 메뉴를 상기 웹 상의 파일 목록에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파일 목록에서 상기 음성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웹 상에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메모 작성부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작성부는,
    상기 웹에서의 상기 메모 작성 화면을 통해 작성되는 메모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앱에서의 녹음 또는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타임스탬프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파일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상기 음성 파일과 연계하여 상기 앱과 상기 앱에서 연동되는 형태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9. 삭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듀얼 뷰 방식을 통해 상기 음성 기록과 상기 메모를 함께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00129266A 2020-10-07 2020-10-07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30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66A KR102530669B1 (ko) 2020-10-07 2020-10-07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2021014193A JP7254842B2 (ja) 2020-10-07 2021-02-01 アプリとウェブサイトの連動によって音声ファイルに対するメモを作成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TW110136868A TWI800022B (zh) 2020-10-07 2021-10-04 通過應用程式與網路的聯動寫入與語音檔有關的備忘錄的方法、系統及電腦可讀記錄介質
US17/450,208 US11636253B2 (en) 2020-10-07 2021-10-07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writing memo for audio file through linkage between app and we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66A KR102530669B1 (ko) 2020-10-07 2020-10-07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65A KR20220046165A (ko) 2022-04-14
KR102530669B1 true KR102530669B1 (ko) 2023-05-09

Family

ID=8093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266A KR102530669B1 (ko) 2020-10-07 2020-10-07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36253B2 (ko)
JP (1) JP7254842B2 (ko)
KR (1) KR102530669B1 (ko)
TW (1) TWI8000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5770B1 (ja) * 2021-09-30 2023-01-31 エピックベー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1015A (ja) * 2004-05-25 2005-12-08 Hitachi Hybrid Network Co Ltd 議事録作成支援機能を有する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2005345508A (ja) * 2004-05-31 2005-12-15 Fuji Xerox Co Ltd 聴取支援プログラム、聴取支援装置及び聴取支援方法
US20080033986A1 (en) * 2006-07-07 2008-02-07 Phonetic Search, Inc. Search engine for audio data
US20080031475A1 (en) * 2006-07-08 2008-02-07 Personics Holdings Inc. Personal audio assistant device and method
US9918039B2 (en) * 2006-10-13 2018-03-13 Koninklijke Philips N.V.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igital media storage and playback devices
WO2008048825A2 (en) * 2006-10-13 2008-04-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igital media storage and playback devices
JP2008172582A (ja) * 2007-01-12 2008-07-24 Ricoh Co Ltd 議事録作成再生装置
US20080276159A1 (en) * 2007-05-01 2008-1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eating Annotated Recordings and Transcripts of Presentations Using a Mobile Device
US20120029918A1 (en) * 2009-09-21 2012-02-02 Walter Bachtiger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searching, and sharing spoken content in media files
JP2011244372A (ja) * 2010-05-21 2011-12-01 Kddi Corp 映像切替配信システム
US20120171994A1 (en) * 2010-12-30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secured wireless communication
JP2013101248A (ja) * 2011-11-09 2013-05-23 Sony Corp 音声制御装置、音声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42265B1 (ko) * 2012-03-30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470900B1 (ko) 2012-11-14 2014-12-09 최웅식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음성/텍스트 변환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9443415B2 (en) * 2013-02-06 2016-09-13 Michael Nepo Disseminating information to facilitate user safety
JP6280312B2 (ja) * 2013-05-13 2018-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議事録記録装置、議事録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54205A1 (en) * 2013-12-03 2015-06-04 Snippit Media,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 for Clipping and Sharing Media
US9208822B2 (en) * 2014-03-17 2015-12-08 Clipcast Technologies, LLC Media clip cre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US9666204B2 (en) * 2014-04-30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Voice profile management and speech signal generation
US9202469B1 (en) * 2014-09-16 2015-12-01 Citrix Systems, Inc. Capturing noteworthy portions of audio recordings
JP2016163028A (ja) 2015-03-05 2016-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熱電材料の製造方法
JP6618992B2 (ja) * 2015-04-10 2019-12-11 株式会社東芝 発言提示装置、発言提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86233B2 (en) * 2015-10-23 2018-02-06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content diagnostics
CN105681920B (zh) * 2015-12-30 2017-03-15 深圳市鹰硕音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语音识别功能的网络教学方法及系统
KR101850203B1 (ko) * 2016-04-11 2018-04-1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기기간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US11150864B2 (en) * 2018-04-02 2021-10-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ing enhancement items associated with an audio recording
US20200104783A1 (en) * 2018-09-28 2020-04-02 Evernote Corporation Task-based action generation
US20210044640A1 (en) * 2019-08-09 2021-02-11 Guru Network Limited Livestreaming interactive content to a digital media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65A (ko) 2022-04-14
TWI800022B (zh) 2023-04-21
JP2022061932A (ja) 2022-04-19
US11636253B2 (en) 2023-04-25
US20220108061A1 (en) 2022-04-07
TW202215416A (zh) 2022-04-16
JP7254842B2 (ja)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9303B2 (en) Notebook driven accumulation of meeting documentation and notations
US82662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layered platform with recording and selective playback of content
CN111343074B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和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880874A (zh) 媒体文件的分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093103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text transcript and memo for audio file
KR102530669B1 (ko)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130204414A1 (en) Digital audio communication system
KR102437752B1 (ko) 인공지능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음성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WO2021225104A1 (ja) プログラム、表示方法、端末
KR102427213B1 (ko) 음성 파일에 대한 텍스트 변환 기록과 메모를 함께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03586B1 (ko)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에서 유사 발음의 단어를 포함하여 검색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48356B1 (ko) 영상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연동하여 대화를 기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46300B1 (ko)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88623B1 (ko) 영상 컨텐츠에 대한 합성음 실시간 생성에 기반한 컨텐츠 편집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2353797B1 (ko) 영상 컨텐츠에 대한 합성음 실시간 생성에 기반한 컨텐츠 편집 지원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50549A1 (en) Automatic incident compilation system
JP2023027001A (ja) 音声記録管理システム、音声記録管理装置、音声記録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