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013B1 -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013B1
KR102070013B1 KR1020120093925A KR20120093925A KR102070013B1 KR 102070013 B1 KR102070013 B1 KR 102070013B1 KR 1020120093925 A KR1020120093925 A KR 1020120093925A KR 20120093925 A KR20120093925 A KR 20120093925A KR 102070013 B1 KR102070013 B1 KR 10207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rea
pen
screen
cont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387A (ko
Inventor
명지혜
고상혁
김태연
박현미
이치훈
이혜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013B1/ko
Priority to EP13181641.5A priority patent/EP2703982A3/en
Priority to US14/011,549 priority patent/US9898111B2/en
Priority to CN201310378835.6A priority patent/CN103631516B/zh
Publication of KR2014003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활용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컨텐츠 화면이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전 정의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의해 사전 정의된 폐곡면이 상기 표시부 상에 정의되는지 확인하는 확인 과정, 상기 폐곡면을 컨텐츠 일부 영역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Contents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기능 운용의 연속성을 지원할 수 있는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가지며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아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 크기가 확대됨과 아울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지원에 힘입어 극적인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때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를 보다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조작을 통하여 컨텐츠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이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컨텐츠를 자신의 의지에 맞게 재생성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 휴대 단말기는 해당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특정 기능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가 해당 편집 기능을 호출하고 활성화하는 경우 특정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런데, 종래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편집 기능은 특정 편집 프로그램을 활성화한 후, 해당 편집 프로그램에서 정의하는 방식에 따라 컨텐츠를 호출하고, 호출된 컨텐츠를 일정한 규정에 따라 편집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컨텐츠 열람 과정에서 편집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여야 하며, 해당 편집 프로그램 활성화 이후 편집하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를 다시 확인 및 선택해야 하는 단계들을 수행해야 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일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작업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많은 단계 수행에 따른 불편함이 존재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연속성을 유지하며 보다 신속하며 용이한 컨텐츠 활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텐츠 화면이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전 정의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의해 사전 정의된 폐곡면이 상기 표시부 상에 정의되는지 확인하는 확인 과정, 상기 폐곡면을 컨텐츠 일부 영역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컨텐츠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전 정의된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며,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의해 사전 정의된 폐곡면이 상기 표시부 상에 정의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폐곡면을 컨텐츠 일부 영역으로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컨텐츠의 일정 부분을 사용자가 희망하는 형태로 절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절개된 일정 영역과 관련된 사용자 기능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터치용 펜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단말기 구성 중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 중 사용자 기능 항목들을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곡면 판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일부 영역 획득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일부 영역 획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시스템(10)은 단말기(100) 및 터치용 펜(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시스템(10)은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표시부에 출력된 컨텐츠를 선택하되 일정 면을 가지도록 폐곡선을 도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시스템(10)은 선택된 일부 컨텐츠를 기반으로 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제공하여 선택된 일부 컨텐츠와 관련하여 활용 가능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즉각적으로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시스템(10)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특정 컨텐츠 중 일부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형태로 절개 및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택된 컨텐츠 기반의 사용자 기능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터치용 펜(200)은 상술한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시스템(10)의 운용에 있어서 단말기(100)의 다양한 입력 이벤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터치용 펜(200)은 단말기(100)에 마련된 거치부에서 탈거된 후 단말기(100)의 펜 터치 패널과의 배치 간격에 따라 펜 호버 이벤트 및 펜 접촉 이벤트, 펜 접촉 후 제스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치용 펜(200)은 펜 터치 패널(145)에 입력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펜이 될 수 있다. 즉 터치용 펜(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용 펜(200)은 펜촉(210), 펜대(220) 및 코일(230)과 펜 버튼(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의 펜대(220)를 파지하고 펜촉(210)을 단말기(100)의 표시부에 접촉시키거나 인접된 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코일(230)과 펜 터치 패널(145) 간에 형성되는 전자기 유도에 따른 입력 이벤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본 발명의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펜 버튼(240)을 마련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활용 기능을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펜 버튼(240)은 펜 터치 패널(145)에 형성되는 전자기 유도 값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이거나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펜 버튼(240)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표시부 상에서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펜 버튼(240)을 누르지 않은 상태와 구별되는 입력 이벤트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펜 버튼(240)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표시부에 일정 폐곡선 형성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펜 버튼(240)이 해제된 상태에서 터치용 펜(200)이 단말기(100)의 표시부를 터치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해당 터치용 펜(200) 상태에 따른 입력 이벤트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컨텐츠 활용 기능을 터치용 펜(200)에 대응하여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의 기능 지원을 위하여 펜 터치 패널(14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터치용 펜(200)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는 터치용 펜(200)을 삽입 및 탈거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용 펜(200)의 삽입 및 탈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나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이 거치부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터치용 펜(200) 탈거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터치용 펜(200)이 거치부에 장착되는 경우 터치용 펜(200)의 장착 또는 삽입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컨텐츠는 외부 서버 장치 또는 웹 서버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 페이지, 특정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사용자가 분류 저장한 파일들을 제공하는 "My files" 기능 수행에 따른 컨텐츠, 대기 화면 컨텐츠, 다양한 아이콘이나 메뉴 등에 해당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상술한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영역 선택에 해당하는 폐곡선 그리기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폐곡선에 의해 지시된 일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텍스트, 메타 데이터 등을 수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해당 일정 영역과 관련된 사용자 기능들 또는 해당 기능 수행 후 이용되었던 사용자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 화면들 중에 사용자가 일정 영역을 선택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기 희망하는 경우 터치용 펜(200)의 간단한 운용만으로도 일정 영역을 선택(Crop)하고, 선택된 일정 영역을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즉각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는 단말기(100)의 입력 수단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 기반의 컨텐츠 일부 영역 선택 및 선택된 일부 영역을 이용한 특정 사용자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 운용을 위한 펜 터치 패널(145)을 기반으로 터치용 펜(20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이벤트를 확인하여 사전 정의된 일정 형태인 경우 본 발명의 컨텐츠 일부 영역 선택 및 활용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술한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거나 특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특히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음성 서비스 채널, 영상 서비스 채널, 데이터 서비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해당 서비스 채널에 따른 특정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 장치 또는 웹 서버 장치로부터 웹 페이지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는 표시부(140)를 통하여 웹 페이지 컨텐츠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가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경우 해당 통화 기능과 관련된 컨텐츠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통신부(110) 관련 컨텐츠 기능은 터치용 펜(200)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선택될 수 있으며,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은 별도의 통신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 기능에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100)의 구동 제어나 사용자 기능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는 측면에서 입력부(120)는 터치 패널(143)과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터치용 펜(200)과 펜 터치 패널(145)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터치용 펜(200)을 활성화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버튼 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특정 사용자 기능을 호출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과정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본 발명의 컨텐츠 일부 영역 선택 및 컨텐츠 활용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30)는 컨텐츠 화면 상에 터치용 펜(200)에 의해 일정 폐곡선이 형성되는 경우 폐곡선 형성에 대한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기반으로 하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호출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기능 호출과 관련된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컨텐츠 화면, 메뉴 컨텐츠 화면, 메모나 이메일 작성 컨텐츠 화면, 웹 페이지 컨텐츠 화면 등을 지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143), 펜 터치 패널(145) 및 표시 패널(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3)은 예를 들면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손가락 등의 물체에 의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한다. 펜 터치 패널(145)은 전자기유도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 유도 변화를 가할 수 있는 터치용 펜(200) 등의 물체에 의한 터치 이벤트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즉 펜 터치 패널(145)은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코일(230)에 의한 전자기 유도를 지원할 수 있고, 전자기 유도가 이루어진 위치 값을 제어부(160)에 전달함으로써 터치용 펜(200)의 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펜 터치 패널(145)은 터치용 펜(200)과의 거리에 따라 차이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값의 크기에 따라 호버링 상태와 접촉 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펜 터치 패널(145)은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펜 버튼(240) 선택에 따른 신호를 구분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펜 버튼(240)이 별도의 무선 장치로 마련되는 경우 펜 버튼(240)에 따른 무선 신호는 제어부(160)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41)은 단말기 구동에 따른 화면 출력 및 사용자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표시 패널(141)은 상술한 다양한 컨텐츠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표시 패널(141)은 터치용 펜(200)에 의한 궤적을 추적할 수 있도록 일정 이미지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표시 패널(141)은 터치용 펜(200)이 최초 접촉되는 지점에 일정 크기의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여 터치용 펜(200)이 최초 접촉된 지점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41)은 터치용 펜(200)의 이동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이미지 효과 예를 들면 실선이나 점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41)은 터치용 펜(200)의 궤적에 의하여 일정 폐곡선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폐곡선 형성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이미지 변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41)은 복수개의 컨텐츠 일부 영역들이 선택되는 경우 각 영역들을 다른 영역과 구분할 수 있도록 또는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141)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 인터페이스 및 터치용 펜(200) 이용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본 운영체제 및 다양한 사용자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는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하여 각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및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0)는 상술한 다양한 컨텐츠 화면 출력을 위하여 각 컨텐츠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일부 영역의 선택 및 선택된 일부 컨텐츠 영역의 활용을 위한 선택 영역 지원 프로그램(151)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영역 지원 프로그램(151)은 컨텐츠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선택 지원 루틴,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용 지원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지원 루틴은 터치용 펜(200)이 거치부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펜 터치 패널(145)을 활성화하거나 일정 주기로 펜 터치 패널(145)을 활성화하거나 펜 터치 패널(145) 활성화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펜 터치 패널(145)에 전원을 공급하고 터치용 펜(200)을 스캐닝하도록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지원 루틴은 터치용 펜(200)이 펜 터치 패널(145)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터치용 펜(200) 접근에 따른 호버링 이벤트를 수집하는 루틴,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펜 버튼(240)이 눌려진 상태에서 표시부(140) 상에 접촉되는 경우 해당 펜 버튼(240)이 눌려진 터치용 펜(200)에 의한 접촉 상태를 감지하고 본 발명의 컨텐츠 일부 영역 선택 기능을 활성화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컨텐츠 일부 영역 선택 기능은 펜 버튼(240)이 눌려진 터치용 펜(200)이 일정 거리 이내로 인접되는 입력 이벤트에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선택 지원 루틴은 펜 버튼(240)이 눌려진 터치용 펜(200)이 표시부(140) 상에서 일정 궤적을 가지는 경우 해당 궤적이 폐곡선을 형성하는지를 확인하는 루틴, 폐곡선 미형성 시 해당 궤적을 제거하는 루틴, 폐곡선 형성 시 해당 폐곡선에 의해 선택된 일부 영역을 선택(Crop)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은 해당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 해당 영역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해당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 화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화면 정보는 예를 들면 웹 페이지 컨텐츠 화면인 경우 URL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화면 정보는 예를 들면 이북 컨텐츠 화면인 경우 해당 이북의 페이지 정보가 될 수 있다. 선택 지원 루틴은 제어부(160)의 펜 터치 지원부(161) 및 영역 확인부(163)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활용 지원 루틴은 선택 지원 루틴에 의하여 컨텐츠 일부 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컨텐츠 일부 영역을 통하여 수행 가능한 또는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루틴, 특정 사용자 기능 선택 시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해당 사용자 기능에 전달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활용 지원 루틴은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기능 선택이 없는 경우 사전 정의된 특정 기능에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활용 지원 루틴은 기능 처리부(165) 역할을 지원한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신호 흐름 제어와 정보 수집 및 출력 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펜 터치 지원부(161), 영역 확인부(163), 기능 처리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펜 터치 지원부(161)는 단말기(100)의 터치용 펜(200) 운용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펜 터치 지원부(161)는 거치부에 마련된 스위치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용 펜(200)이 거치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펜 터치 지원부(161)는 터치용 펜(200)이 거치부에서 탈거되는 경우 펜 터치 패널(14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펜 터치 지원부(161)는 펜 터치 패널(145)을 초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펜 터치 지원부(161)는 펜 터치 패널(145)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영역 확인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펜 터치 지원부(161)는 터치용 펜(200)의 펜 버튼(240)의 누름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펜 버튼(240)이 눌려진 상태에서 터치용 펜(200)의 접근 또는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펜 터치 이벤트를 영역 확인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펜 터치 지원부(161)는 펜 버튼(240)이 눌림 해제된 상태에서 터치용 펜(200)의 접근 또는 접촉에 따라 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펜 터치 이벤트를 영역 확인부(163)에 전달하지 않고 기능 처리부(165)에 바로 전달할 수 있다.
펜 터치 지원부(161)는 터치용 펜(200)의 펜 터치 패널(145)로의 접근 및 접촉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궤적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펜 터치 지원부(161)는 터치용 펜(200)이 거치부에 다시 장착되는 경우 펜 터치 패널(145)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고 펜 터치 패널(145) 운용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펜 터치 지원부(161)는 펜 버튼(240)이 눌려진 상태에서의 궤적과 펜 버튼(240) 눌림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궤적 표현을 서로 다르게 지원할 수도 있다.
영역 확인부(163)는 펜 터치 지원부(161)는 전달되는 펜 터치 이벤트가 일정 폐곡선을 형성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영역 확인부(163)는 전달된 펜 터치 이벤트가 일정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펜 터치 이벤트를 무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영역 확인부(163)는 펜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일정 폐곡선 형성을 확인한 경우 해당 폐곡선 형성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 효과 출력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영역 확인부(163)는 별도의 폐곡선 형성에 대한 이미지 효과 출력 없이 폐곡선 관련 정보를 기능 처리부(165)에 전달할 수 있다.
영역 확인부(163)는 폐곡선이 형성되면, 해당 폐곡선에 의하여 정의되는 컨텐츠 일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영역 확인부(163)는 폐곡선에 의하여 정의된 영역의 이미지 정보, 해당 폐곡선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해당 폐곡선에 포함된 정보에 링크된 정보 또는 해당 폐곡선 영역이 배치된 컨텐츠 화면의 화면 정보, 기타 폐곡선 영역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영역 정보는 기능 처리부(165)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영역 확인부(163)는 폐곡선 판정을 수행할 때, 사전 정의된 다양한 기준에 따라 폐곡선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영역 확인부(163)에 의한 폐곡선 판정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능 처리부(165)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 지원을 처리하는 구성이다. 특히 기능 처리부(165)는 본 발명의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을 위하여 기능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즉 기능 처리부(165)는 영역 확인부(163)로부터 일정 폐곡선으로 정의된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영역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기능 처리부(165)는 해당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또는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기능 처리부(165)는 특정 사용자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용자 기능에 해당 영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처리부(165)는 선택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사용자 기능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며, 영역 정보를 사용자 기능 화면의 일정 영역에 배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기능 처리부(165)는 추가 입력되는 입력 신호 또는 터치용 펜(200)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이벤트에 따라 해당 사용자 기능 운용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일정 영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처리부(165)는 폐곡선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타 단말기에 이메일 서비스 채널, 메시지 서비스 채널 또는 채팅 서비스 채널 등을 통하여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처리부(165)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메모 기능 화면에 출력하여 추가적인 메모 작성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처리부(165)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사전 정의된 스크랩 노트에 자동 저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활용 방법은 먼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501 단계에서 특정 기능 수행에 따른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사전 정의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고, 해당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전 정의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대기 화면 구성 시 사전 정의된 대기 화면용 컨텐츠를 표시부(140)에 출력함으로써 대기 컨텐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전 정의된 메뉴 배열이나 메뉴 페이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검색 기능 지원을 위한 검색 기능 지원 컨텐츠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터치용 펜(200) 운용을 위한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펜 터치 패널(145)을 활성화하고 터치용 펜(200)의 접근 또는 접촉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터치용 펜(200)에 배치된 펜 버튼(240)이 눌려진 상태에서 펜 터치 패널(145)의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접촉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특정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펜 버튼(240) 누름에 따른 무선 신호를 터치용 펜(200)으로부터 수신하거나, 펜 버튼(240) 누름에 따른 전자기 유도 값의 변화를 펜 터치 패널(14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503 단계에서 사전 정의된 방식에 의한 폐곡선 선택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터치용 펜(200)의 펜 버튼(240)이 눌려진 상태에서 폐곡선 형성을 위한 일정 궤적 운동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펜 터치 패널(145)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값의 변화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발생된 입력 이벤트가 폐곡선 형성을 위한 입력 이벤트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5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터치용 펜(200)에 의해 지시된 특정 기능 수행 예를 들면, 터치용 펜(200)의 핸드라이팅 기능 지원을 위한 팝업창 출력, 터치용 펜(200)의 설정 변경 지원, 터치용 펜(200)에 의한 드로인 기능 지원 등을 위한 이벤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펜 버튼(240)이 눌려진 상태에서 터치용 펜(200)으로부터 일정한 궤적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궤적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입력 이벤트를 무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503 단계에서 사전 정의된 방식의 폐곡선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507 단계로 분기하여 폐곡선으로 정의되는 영역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폐곡선으로 정의되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의 이미지 정보, 해당 영역의 텍스트 정보, 해당 영역과 관련된 URL 정보, 해당 영역과 관련된 기타 메타데이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509 단계에서 영역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기능을 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처리 이력에 따라 적어도 일회 이상 또는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사용자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이력 기반의 사용자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 및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통하여 수행 가능한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511 단계에서 영역 정보 처리를 위한 특정 사용자 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513 단계로 분기하여 선택된 사용자 기능에 따른 영역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영역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텍스트, URL 정보, 메타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해당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를 생성하거나, 해당 영역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원 장치에 업로드 하거나, 해당 영역 정보를 특정 편집 프로그램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컨텐츠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기능이 완료되면 이전 제공된 화면 즉 501 단계에서 제공된 특정 기능 화면이 출력된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특정 사용자 기능 선택이 없는 경우 또는 특정 사용자 기능 선택을 취소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501 단계로 복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 출력 시 제공되는 취소 버튼을 클릭하거나 또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 이외의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동작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 정보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는데, 상술한 취소 동작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의 영역 정보를 버퍼에서 제거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컨텐츠 일부 영역 선택을 취소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컨텐츠 화면 중 일부를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선택(Crop)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또한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과 관련된 사용자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 중 컨텐츠 일부 영역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컨텐츠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특정 웹 서버 접속을 요청한 경우, 601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웹 서버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컨텐츠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통신부(110)를 활성화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 또는 사전 입력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주소 정보를 가진 서버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해당 서버 장치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컨텐츠 화면을 수신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웹 페이지 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들을 열람하거나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603 화면에서와 같이 웹 페이지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을 선택(Crop)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 정의된 형태의 입력 이벤트 예를 들면 터치용 펜(200)의 펜 버튼(240)을 누른 상태에서 표시부(140) 상에 선택할 영역을 폐곡선으로 그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펜 버튼(240)이 눌린 터치용 펜(200)이 표시부(140) 상에서 일정 궤적을 형성하다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 형성된 폐곡선으로 정의된 컨텐츠 일부 영역을 선택(Crop)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터치용 펜(200)이 표시부(140)에 접촉되는 시점부터 표시부(140)로부터 접촉 해제(Release)되는 시점 사이에 발생한 궤적들을 추적하고, 추적된 궤적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으로 형성된 영역을 선택(Crop)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용 펜(200)이 표시부(140)로부터 접촉 해제된 이후, 폐곡선에 의하여 정의된 영역이 적어도 하나가 있는 경우 605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일부 영역(610)이 선택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제외한 화면 영역의 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컨텐츠 일부 영역(610) 선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사전 정의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화면 중앙에 재배치함으로써 폐곡선에 의하여 정의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일부 영역(610)에는 해당 컨텐츠 일부 영역(610)에 대한 이용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버튼이 일정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취소 버튼이 선택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제거하고 6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컨텐츠 일부 영역(610) 이외의 화면 영역 즉 명도나 채도 등 표시 효과가 변경된 화면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 입력 이벤트를 취소 버튼 선택 이벤트와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디폴트로 설정된 특정 사용자 기능으로 전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메모 기능의 스크랩 노트로 정의된 특정 폴더에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기능 지원과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 중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603 화면에서와 같이 펜 버튼(240)이 눌려진 터치용 펜(200)에 의하여 컨텐츠 화면의 일정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의 영역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영역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을 701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 하단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은 컨텐츠 화면 상에 오버레이되며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의 개수는 사용자 설정이나 제공되는 단말기(100)의 표시부(140)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는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이 5개가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크기 조정 등에 따라 또는 지원되는 표시부(140) 크기에 따라 항목 개수가 더 줄어들거나 더 늘어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은 70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된 형태에서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703 화면에서 제시된 리스트 형태의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은 6개로 표시하였으나, 상술한 리스트 형태 또한 단말기(100)의 표시부(140) 크기 및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의 수는 6개 이하 또는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은 705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펼쳐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은 부채꼴 형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 이외의 화면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보다 많은 개수의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 간의 겹침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은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과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에 포함되는 각 사용자 기능들은 사전 정의된 일정 사용자 기능들이거나,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의 영역 정보와 관련하여 해당 영역 정보를 토대로 운용이 가능한 사용자 기능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은 사용자가 이전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들을 이용하여 사용한 이력을 가진 사용자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기능의 적용 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특정 웹 사이트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특정 웹 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입력받고,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웹 서버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801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웹 서버 장치가 제공하는 아이템 구매 컨텐츠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템 구매 컨텐츠 화면을 열람하는 과정에서 특정 아이템을 스크랩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전 정의된 특정 아이템 선택을 위한 입력 이벤트를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801 화면에서와 같이 터치용 펜(200)의 펜 버튼(240)을 누른 상태에서 해당 특정 아이템이 표시된 컨텐츠 화면에서 해당 아이템을 포함하는 폐곡선을 그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펜 버튼(240)이 눌려진 상태로 일정 궤적을 그리는 동작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면 해당 궤적이 폐곡선을 형성하는 동작인지를 확인하고, 폐곡선을 그리는 동작인 경우 해당 폐곡선이 그려지는 위치 정보와 현재 표시부(140)에 표시된 컨텐츠 화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폐곡선이 그려진 위치의 컨텐츠 화면 영역을 선택(Crop)하여 선택 컨텐츠 일부 영역(610)으로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803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일부 영역(610)이 선택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는 일정 효과를 표시부(140)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80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 컨텐츠 일부 영역(610)이 선택되면 해당 선택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토대로 수행 가능한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을 화면 일정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메모 기능 항목(711)을 선택하는 경우, 805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메모 기능 항목(711)에 전달되는 형태의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면서 선택 컨텐츠 일부 영역(610) 수행을 위한 메모 기능 활성화를 807 화면에서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메모 기능 항목(711) 선택에 따라 메모 기능을 활성화하고, 메모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807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하면서, 선택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메모 기능 활성화 화면의 일정 위치에 일정 크기로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선택 시점의 크기대로 유지하여 메모 기능 활성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전 설정에 따라 일정 크기로 리사이징 예를 들어 더 작게 리사이징하거나 더 크게 리사이징하여 메모 기능 활성화 화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807 화면에서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 운용을 통하여 컨텐츠 일부 영역(610)의 크기를 리사이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803 화면에서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 중 특정 항목이 지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단말기(100)는 809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사전 정의된 특정 기능 예를 들면 클립보드 기능으로 전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811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일부 영역(610)이 선택되기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특정 사용자 기능에 적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901 화면, 903, 화면, 909 화면 및 911 화면은 실질적으로 앞서 설명한 801 화면, 803 화면, 809 화면 및 811 화면과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903 화면에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이 선택되고 사용자 기능 항목들(710) 중에 특정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메모 기능 항목(711)이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905 화면에서와 같이 메모 기능을 활성화하고, 메모 기능 활성화 화면을 현재 수행되고 있는 기능의 화면과 교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일부 영역(610) 선택 시 제공되었던 화면 효과 즉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제외한 화면을 반전 처리한 효과는 일정 시간 제공된 후, 907 화면에서와 같이 제거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반전 처리 효과를 제거하면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이 배치된 메모 기능 활성화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일부 영역(610) 선택(Crop)을 위한 폐곡선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1001 예시에서와 같이 펜 버튼(240)을 누른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표시부(140)의 일정 지점을 터치한 후 자유 곡선으로 이루어진 궤적을 형성하면, 단말기(100)는 해당 궤적에 따른 폐곡선 영역을 컨텐츠 일부 영역(6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1003 예시에서와 같이 다각형의 궤적에 따른 폐곡선 영역을 컨텐츠 일부 영역(6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궤적의 시작점과 궤적의 종료점 사이에서 형성된 일정 영역을 컨텐츠 일부 영역(6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시작점과 종료점 사이에서 일정 면을 형성하지 않은 궤적은 무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1005 예시에서와 같이 궤적의 시작점과 종료점 사이에 일정 폐곡면이 형성되면 해당 폐곡면만을 컨텐츠 일부 영역(610)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궤적은 무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추가로 1007 예시에서와 같이 궤적의 시작점과 종료점 사이에 다수개의 면을 가진 영역이 마련되도록 궤적이 형성되면, 단말기(100)는 각각의 영역을 컨텐츠 일부 영역(6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이 표시부(140)에 접촉되는 최소 터치다운 이후 표시부(140)로부터 터치 해제되는 시점 사이에 형성되는 궤적에 대하여 컨텐츠 일부 영역(610)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1009 예시에서와 같이 일정 폐곡면 내에 또 다른 폐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내측에 배치된 폐곡면을 컨텐츠 일부 영역(610)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환형의 폐곡면을 컨텐츠 일부 영역(610)으로 선택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폐곡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1011 예시에서와 같이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의 지름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해당 입력 이벤트를 원의 반지름 또는 지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해당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타원 또는 원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선택되는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이벤트에 따른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타원 또는 원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일부 영역 획득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1101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특정 컨텐츠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화면은 다수의 서브 컨텐츠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텍스트 등의 서브 컨텐츠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운용하여 표시부(140)에 출력된 다수의 서브 컨텐츠들 중 제1 서브 컨텐츠(1110)를 선택하기 위해 폐곡선으로 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드로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펜 버튼(240)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용 펜(200)의 펜촉으로 제1 서브 컨텐츠(1110)가 표시된 표시부(140) 영역에 폐곡선을 드로잉할 수 있다. 이때 드로잉되는 페곡선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컨텐츠(1110)의 일부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드로잉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폐곡선으로 정의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 내에 제1 서브 컨텐츠(1110) 전체 크기 중 일정 비율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 11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서브 컨텐츠(1110) 전체를 선택(Crop)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말기(100)는 제1 서브 컨텐츠(1110) 선택(Crop)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선택된 제1 서브 컨텐츠(1110)를 표시부(140)의 일정 위치 예를 들면 중앙에 배치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1103 화면에서 제1 서브 컨텐츠(1110)와 함께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함께 선택 및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서브 컨텐츠(1110) 만을 선택 및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폐곡선에 의하여 정의되는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선택(Crop)하는 과정에서 해당 폐곡선에 내에 특정 서브 컨텐츠의 전체 비율 중 일정 비율 이상이 배치된 경우 해당 서브 컨텐츠 전체가 선택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서브 컨텐츠를 포함하도록 폐곡선을 도시하는 과정에서 일부 실수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서브 컨텐츠를 온전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일부 영역 획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1201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다수의 서브 컨텐츠들이 포함된 컨텐츠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운용하여 컨텐츠 전체 화면에서 특정 서브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획득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펜 버튼(240)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제2 서브 컨텐츠(1120)를 주로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을 드로잉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드로잉한 폐곡선 영역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컨텐츠(1110) 일부 영역과 제2 서브 컨텐츠(1120) 일부 영역을 포함하도록 도시된 경우, 특정 서브 컨텐츠만을 선택(Crop)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폐곡선 영역 내에 포함된 영역의 해당 서브 컨텐츠의 점유 비율을 확인하여 서브 컨텐츠를 취사선택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제2 서브 컨텐츠(1120)의 전체 비율 중 일정 비율 이상 예를 들면 절반 이상의 영역이 폐곡선 영역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서브 컨텐츠(1120)를 폐곡선 드로잉에 의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서브 컨텐츠로 인식하고 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제1 서브 컨텐츠(1110)의 전체 비율 중 일정 비율 이하로 폐곡선 영역 내에 포함된 제1 서브 컨텐츠를 선택하고자 하는 서브 컨텐츠에서 제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12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서브 컨텐츠(1110)는 제외되고 제2 서브 컨텐츠(1120) 전체를 포함하는 일부 컨텐츠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폐곡선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이 선택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사용자 기능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을 활성화하고, 해당 활성화 화면 상에 컨텐츠 일부 영역(610) 또는 제2 서브 컨텐츠(1120)가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운용하여 컨텐츠 화면에서 서브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개략적인 드로잉 동작만으로도 원하는 특정 서브 컨텐츠의 온전한 형태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활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는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는 사전 정의된 일정 입력 이벤트 즉 펜 버튼(240)이 눌려진 상태에서 표시부(140) 상에서의 폐곡선을 가지는 궤적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를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선택(Crop)하는 신호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파지하고 펜 버튼(240)을 누르고 원하는 컨텐츠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궤적 그리기 동작만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과 관련된 또는 사용자가 사용한 이력이 있거나 주로 사용하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바로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610)을 활용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사용자 기능 활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시스템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200 : 터치용 펜
210 : 펜촉 220 : 팬대
230 : 코일 240 : 펜 버튼

Claims (20)

  1. 표시부에 표시된 컨텐츠 화면에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의해 상기 컨텐츠 화면 내 폐곡면이 형성되면, 상기 형성된 폐곡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을 선택(crop)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정보와 연관된 사용자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과 연계하여 운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은
    터치용 펜에 마련된 펜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터치용 펜이 상기 표시부에 접촉됨에 따른 상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용 펜의 접근 및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 유도 검출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crop)하는 과정은
    상기 형성된 폐곡면에 상기 컨텐츠 화면을 구성하는 서브 컨텐츠의 일정 비율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브 컨텐츠 전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형성된 폐곡면에 상기 컨텐츠 화면을 구성하는 서브 컨텐츠의 일정 비율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제외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하단 일정 영역에 배치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리스트 형태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의 인접된 영역에 배치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의 주변에 배치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을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일정 위치에 이동시켜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면은 터치용 펜의 접촉 시작점부터 접촉 해제에 따른 종료점 사이의 궤적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의하여 다수개의 폐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각 영역을 복수개의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
    상기 궤적에 의하여 폐곡면 내에 다른 폐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폐곡면 내에 형성된 상기 다른 폐곡면을 제외한 폐곡면 영역을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을 지름 또는 반지름으로 하는 타원 또는 원을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활용 방법.
  11.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컨텐츠 화면에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의해 상기 컨텐츠 화면 내 폐곡면이 형성되면, 상기 형성된 폐곡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을 선택(crop)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와 연관된 사용자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과 연계하여 운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용 펜; 및
    상기 터치용 펜에 마련된 펜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터치용 펜이 상기 표시부에 접촉됨에 따른 상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펜 터치 패널은
    상기 터치용 펜의 접근 및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 유도 검출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성된 폐곡면에 상기 컨텐츠 화면을 구성하는 서브 컨텐츠의 일정 비율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브 컨텐츠 전체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형성된 폐곡면에 상기 컨텐츠 화면을 구성하는 서브 컨텐츠의 일정 비율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제외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하단 일정 영역에 배치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리스트 형태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 일부 영역의 인접된 영역에 배치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항목을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의 주변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을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일정 위치에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용 펜의 접촉 시작점부터 접촉 해제에 따른 종료점 사이의 궤적에 의하여 상기 폐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궤적에 의하여 다수개의 폐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각 영역을 복수개의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궤적에 의하여 폐곡면 내에 다른 폐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폐곡면 내에 형성된 상기 다른 폐곡면을 제외한 폐곡면 영역을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궤적을 지름 또는 반지름으로 하는 타원 또는 원을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활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120093925A 2012-08-27 2012-08-27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7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925A KR102070013B1 (ko) 2012-08-27 2012-08-27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EP13181641.5A EP2703982A3 (en) 2012-08-27 2013-08-26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US14/011,549 US9898111B2 (en) 2012-08-27 2013-08-27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CN201310378835.6A CN103631516B (zh) 2012-08-27 2013-08-27 触摸敏感设备和对内容的基于触摸的操纵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925A KR102070013B1 (ko) 2012-08-27 2012-08-27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387A KR20140030387A (ko) 2014-03-12
KR102070013B1 true KR102070013B1 (ko) 2020-01-30

Family

ID=4903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925A KR102070013B1 (ko) 2012-08-27 2012-08-27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98111B2 (ko)
EP (1) EP2703982A3 (ko)
KR (1) KR102070013B1 (ko)
CN (1) CN1036315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6341B2 (en) * 2007-05-30 2011-05-03 Microsoft Corporation Recognizing selection regions from multiple simultaneous inputs
KR101985275B1 (ko) * 2012-02-02 2019-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50049045A (ko) * 2013-10-29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화면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339880A (zh) * 2013-12-27 2016-02-1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处理字符的方法及设备
KR102212073B1 (ko) * 2014-03-25 2021-0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화면 부분 캡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9175B1 (ko) * 2014-08-29 202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랩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CN104699385B (zh) * 2014-12-31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445199A (zh) * 2015-08-13 2017-02-22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触控笔、移动终端以及实现数据的连续应用的方法
JP6065146B1 (ja) * 2016-04-27 2017-01-25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720087B (zh) * 2017-06-02 2023-04-04 苹果公司 用于注释内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20027813A1 (en) * 2018-07-31 2020-0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ropping portions of images
KR20200095972A (ko) * 2019-02-01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 입력에 기능을 맵핑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417640A (zh) * 2019-07-22 2019-11-05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消息发送和接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050864B (zh) * 2019-12-27 2023-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截屏方法及相关设备
CN114035739B (zh) * 2021-11-12 2023-12-2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图形绘制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7346A1 (en) * 2003-06-20 2004-12-23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selection and handling
US20050093868A1 (en) * 2003-10-30 2005-05-05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ens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US20110297457A1 (en) * 2010-06-08 2011-12-08 Chia-Jui Yeh Electromagnetic pen with a multi-functions tail part
US20110310034A1 (en) * 2010-06-16 2011-12-22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20092269A1 (en) * 2010-10-15 2012-04-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manipulating onscreen data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9427A (en) * 1992-02-10 1996-07-2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Graphic indexing system
US7299424B2 (en) * 2002-05-14 2007-11-20 Microsoft Corporation Lasso select
US7058902B2 (en) * 2002-07-30 2006-06-06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on-object context menus
US7554530B2 (en) * 2002-12-23 2009-06-30 Nokia Corporation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eaturing stroke-based object selection and functional object activation
US7623119B2 (en) * 2004-04-21 2009-11-24 Nokia Corporation Graphical functions by gestures
US20060023077A1 (en) 2004-07-30 2006-02-0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hoto editing
US8643605B2 (en) * 2005-11-21 2014-02-04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Gesture based document editor
CN100530066C (zh) * 2005-12-22 2009-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根据用户操作习惯自动调整菜单排序的方法
US8196055B2 (en) * 2006-01-30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pplication windows in an operating system
KR100672605B1 (ko) * 2006-03-30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WO2009018314A2 (en) * 2007-07-30 2009-02-05 Perceptive Pixel,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large-scale, multi-user, multi-touch systems
TWI374658B (en) * 2007-09-29 2012-10-11 Htc Corp Image process method
US20090100383A1 (en) * 2007-10-16 2009-04-16 Microsoft Corporation Predictive gesturing in graphical user interface
JP5428436B2 (ja) * 2009-03-25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82854B2 (en) * 2009-07-08 2015-1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multi-touch interactions with a touch sensitive screen
KR101622196B1 (ko) * 2009-09-07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피오아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8966395B2 (en) * 2010-03-03 2015-02-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263706A (zh) * 2010-05-26 2011-11-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截取图像的方法及装置
JP5429060B2 (ja) * 2010-06-08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こ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9323807B2 (en) * 2010-11-03 2016-04-26 Sap Se Graphical manipulation of data objects
WO2012066591A1 (ja) * 2010-11-15 2012-05-2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メニュー表示方法、コンテンツ画像表示方法、機能実行方法
CN102135853A (zh) * 2011-03-09 2011-07-27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用于触控显示装置的信息处理方法
KR101859099B1 (ko) * 2011-05-31 2018-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878785B1 (en) * 2011-10-05 2014-11-04 Google Inc. Intent determination using geometric shape inpu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7346A1 (en) * 2003-06-20 2004-12-23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selection and handling
US20050093868A1 (en) * 2003-10-30 2005-05-05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ens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US20110297457A1 (en) * 2010-06-08 2011-12-08 Chia-Jui Yeh Electromagnetic pen with a multi-functions tail part
US20110310034A1 (en) * 2010-06-16 2011-12-22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20092269A1 (en) * 2010-10-15 2012-04-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manipulating onscreen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98111B2 (en) 2018-02-20
US20140055398A1 (en) 2014-02-27
CN103631516A (zh) 2014-03-12
CN103631516B (zh) 2019-05-28
EP2703982A3 (en) 2015-03-25
KR20140030387A (ko) 2014-03-12
EP2703982A2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013B1 (ko)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210026880A1 (en) Management of local and remote media items
US1155624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pying and pasting content in a computing device
EP2732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WO2019128732A1 (zh) 一种图标管理的方法及装置
AU2014100585B4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interfaces from a template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084041B1 (ko)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US91105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memo layer and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365895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interfaces from a template
KR10189981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418725B2 (ja) 録音機能が連動されたメモ機能運用方法および装置
EP2521022A2 (en) Method for finely controlling conten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3005215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EP2891941A1 (en) Converti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03631510A (zh) 通过识别书写手势控制移动终端功能执行的方法及装置
KR20130133980A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CA2846482A1 (en) Method of providing of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20140125671A (ko)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500281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6903A (ko) 전자장치에서 일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98952B1 (ko) 복합 터치 패널 운용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30398A (ko) 명령어 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60055022A (ko) 이동 단말기
KR20200086653A (ko) 컨텐츠의 스크롤 시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