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819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819B1
KR101899819B1 KR1020120085087A KR20120085087A KR101899819B1 KR 101899819 B1 KR101899819 B1 KR 101899819B1 KR 1020120085087 A KR1020120085087 A KR 1020120085087A KR 20120085087 A KR20120085087 A KR 20120085087A KR 101899819 B1 KR101899819 B1 KR 10189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widget
mobile terminal
displaye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661A (ko
Inventor
박혜경
이주우
김혜현
이선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819B1/ko
Priority to US13/956,927 priority patent/US9939998B2/en
Priority to EP13178901.8A priority patent/EP2693727B1/en
Priority to CN201310334629.5A priority patent/CN103581431B/zh
Publication of KR2014001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객체의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을 통해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정보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하나의 상위 컨텐츠에 대응되며, 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객체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는 상기 상위 컨텐츠에 대한 서로 다른 하위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객체의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을 통해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정보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형 이동 단말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아이콘이나 위젯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아이콘이나 위젯은 단순히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바로가기 기능이나 실행 기능만을 제공할 뿐이다.
본 발명은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객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객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객체를 통해 편집된 컨텐츠를 편리하게 재생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내부 영역 및 재생 메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영역 중 상기 재생 메뉴가 이동되는 경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생성 조건이 만족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소정의 생성 조건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생성 명령 입력 및 외부로부터의 디스플레이 객체 구성 정보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객체는 하나의 폴더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영역은 상기 폴더에 포함된 컨텐츠의 카테고리 구분에 따라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메뉴가 이동되는 경로에 둘 이상의 내부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둘 이상의 내부 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컨텐츠 각각이 동시에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재생 메뉴가 이동되는 경로에 둘 이상의 내부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둘 이상의 내부 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카테고리의 컨텐츠들이 순차적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카테고리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내부 영역을 상기 재생 메뉴가 거쳐간 순서에 따라 상기 동일한 카테고리의 컨텐츠들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메뉴는 상기 디스플레이 객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내부 영역 전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재생 메뉴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는 터치-드래그 입력의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내부 영역 및 재생 메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재생 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 객체 내에서 이동되는 경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경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객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편리하게 편집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단위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객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및 편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미리 생성된 객체를 이용하여 멀티 위젯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된 멀티 위젯을 편집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폴더 단위로 멀티 위젯을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홈스크린 상에 멀티 위젯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재생 메뉴버튼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들을 각각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위젯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위젯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조합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멀티 위젯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파일로부터 멀티 위젯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멀티 위젯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에 대응되는 멀티 위젯을 생성하고, 그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등 보조 저장매체(165)와 같이 탈착이 필요한 부품은 외측으로 부터 케이스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케이스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매체(165)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실장되도록 케이스 측면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고,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카드 슬롯(166, 16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보통 디스플레이부(151)에 상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웹페이지, 하나의 컨텐츠,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폴더, 복수의 파일에 대한 바로가기 모음 등의 단위 컨텐츠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객체를 생성하고, 해당 객체를 통하여 단위 컨텐츠를 편집/재생/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안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객체란, 아이콘이나 위젯과 같은 형태로 터치스크린(151)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을 통해 조작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객체는 일반적인 아이콘이나 위젯처럼 반드시 바탕화면이나 홈스크린, 메인 메뉴 등에 한정되어 표시될 필요는 없다. 또한, 디스플레이 객체는 필요에 따라 내부 공간이 분할되어 각 분할된 공간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각 분할된 공간에 복수의 정보와 메뉴들이 함께 배치되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단위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객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및 편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위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객체의 생성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S310). 디스플레이 객체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거나, 자동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 등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객체가 생성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만족된 생성 조건에 따라 미리 결정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위 컨텐츠가 특정 웹페이지인 경우,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생성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북마크 리스트나 홈스크린 상에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디스플레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파일 탐색기나 홈스크린 등에 표시되는 폴더에 대한 디스플레이 객체 생성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폴더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객체가 홈스크린 등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객체를 구성함에 있어, 단위 컨텐츠에 포함되는 하위 컨텐츠를 분석하고, 소정 기준에 따라 디스플레이 객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에 이미지, 텍스트 및/또는 메뉴를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컨텐츠가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하는 폴더인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폴더 내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영상 파일과 음향 파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객체의 내부 공간을 두 영역으로 분할하여 하나의 영역에는 영상 파일에 대응되는 정보가, 다른 영역에는 음향 파일에 대응되는 정보가 각각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객체를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객체가 생성된 후,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객체 내부의 분할된 각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편집하거나, 해당 디스플레이 객체에 대한 단위 컨텐츠 자체를 편집할 수 있다(S320).
이후, 제어부(180)는 편집이 완료된 디스플레이 객체의 정보에 따라, 단위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S330).
물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S320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 단위 컨텐츠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스플레이 객체를 이용하여 단위 컨텐츠를 편집/재생/공유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들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객체는 위젯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러한 위젯 형태의 디스플레이 객체를 "멀티 위젯(Multi-widget)"이라 칭한다. 물론, 이는 서술의 편의를 위한 가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객체는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위젯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컨텐츠 리스트의 항목 형태(예를 들어, 갤러리의 이미지 리스트나 동영상 플레이어의 동영상 리스트에서의 썸네일 등)를 가질 수도 있고, 일반적인 아이콘을 대체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멀티 위젯은 미리 생성된 아이콘이나 위젯 등의 객체에 다른 컨텐츠나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미리 생성된 객체를 이용하여 멀티 위젯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표시되는 홈스크린 상에 이미지 액자 위젯(410)이 배치된다. 이때, 사용자가 이미지 액자 위젯(410)을 포인터(420)를 이용하여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롱터치)으로 선택하면, 도 4의 (b)와 같이 멀티 위젯을 구성하기 위한 선택 메뉴(43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 메뉴(430)에서 음악(431)을 선택하는 경우 도 4의 (c)와 같이 선택 가능한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는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악 파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유/무선으로 접속 가능한 외부기기, 웹이나 클라우드 등에 위치한 음향 컨텐츠(즉, 음악 파일 및 스트리밍 포함)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리스트에서 특정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항목(441)을 선택하면, 도 4의 (d)와 같이 액자 위젯(410)은 멀티 위젯(410')으로 그 형식이 변경되면서 내부 공간이 둘로 나뉘어 좌측 영역(411)에는 기존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우측 영역(413)에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앨범 재킷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앨범 재킷 이미지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의 명칭이나 저작권 정보, 재생 시간 정보 등 해당 컨텐츠에 대한 획득 가능한 다른 정보가 대신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 형태에 따라 복수의 음향 컨텐츠가 선택될 수도 있고, 폴더 단위로 음향 컨텐츠가 선택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멀티 위젯의 편집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된 멀티 위젯을 편집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도 4를 통해 전술된 방법으로 생성된 멀티 위젯(410')의 우측 영역(412)을 분할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a)와 같이 우측 영역(412)에 포인터(420)로 소정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롱터치 입력)을 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편집 메뉴(51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텍스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텍스트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미도시). 여기서 텍스트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4의 (c)와 유사하게 파일 리스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웹페이지나 문서 열람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체 또는 일부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텍스트의 선택이 완료되면, 도 5의 (b)와 같이 멀티 위젯(410")의 기존 우측 영역(412)이 다시 상하로 분할되어 상단(412')에는 기존의 음악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고, 하단(413)에는 새로이 추가된 텍스트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도 5의 (a)와 같은 상황에서 편집 메뉴(510)의 삭제 메뉴를 선택하면, 멀티 위젯은 다시 도 4의 (a)와 같은 액자 위젯으로 원상복귀될 수 있다.
한편, 멀티 위젯은 하나의 폴더를 단위 컨텐츠로 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폴더 단위로 멀티 위젯을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1) 상으로 파일 탐색기가 실행되어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폴더들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명령 입력(예를 들어,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이나 소정의 메뉴 조작 또는 그 둘의 조합 등)을 통해, 특정 폴더(611)를 선택하여 해당 폴더에 대한 멀티 위젯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선택된 폴더에 포함된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멀티 위젯의 내부 공간을 카테고리별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에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가 선택된 폴더에 포함된 컨텐츠를 이미지, 동영상, 음악, 문서 파일로 카테고리를 구분한 경우, 선택된 폴더에 대한 멀티 위젯은 도 6의 (b)와 같이 폴더 형태의 테두리(620)에 내부 공간이 네 개의 영역(621, 622, 623, 624)으로 분할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추가로, 멀티 위젯의 내부에는 재생 메뉴버튼(625, 또는 재생 메뉴 아이콘)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재생 메뉴버튼을 이용한 컨텐츠의 재생/공유 방법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멀티 위젯은 전술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이나 메인메뉴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생성시 직접 선택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6의 (b)를 포함한 일부 도면들에서는, 간명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멀티 위젯이나 위젯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멀티 위젯이나 위젯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사용자가 멀티 위젯의 카테고리 구성을 변경하거나, 각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각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편집을 희망하는 컨텐츠에 터치 또는 롱터치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악 카테고리를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음악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영역(623)을 터치 입력으로 선택하면 도 6의 (c)와 같이 편집 메뉴(630)가 표시될 수 있다. 편집 메뉴(620)에는 카테고리 삭제 메뉴(631), 파일 편집 메뉴(632) 및 카테고리 추가 메뉴(633)가 포함될 수 있다.
카테고리 삭제 메뉴(631)가 선택되면, 음악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영역(623)이 삭제되면서 멀티 위젯의 내부공간은 기존 4분할에서 3분할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카테고리 추가 메뉴(633)가 선택되면, 멀티 위젯의 내부공간은 기존 4분할에서 5분할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새로운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해당 폴더 내의 컨텐츠를 5개의 카테고리로 재분류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새로운 카테고리를 명명하고, 새로운 카테고리에 포함될 컨텐츠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파일 편집 메뉴(632)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6의 (d)와 같이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체크 박스를 이용하여 해당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일부를 선택해제할 수도 있다.
물론, 멀티 위젯의 내부 공간에서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영역이 선택되면, 도 6의 (c)와 같이 편집 메뉴(630)가 표시되는 대신, 바로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멀티 위젯의 내부 공간에 각 카테고리의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썸네일 이미지, 컨텐츠 아이콘, 컨텐츠 명칭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표시될 수 있다.
멀티 위젯은 홈스크린에 일반적인 아이콘이나 위젯을 생성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홈스크린 상에 멀티 위젯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의 빈 공간(즉, 아이콘이나 위젯이 배치되지 않은 공간)에 포인터로(710) 롱터치 입력을 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7의 (b)와 같이 홈스크린을 편집하기 위한 메뉴(720)가 표시될 수 있다. 홈스크린 편집 메뉴(720)에는 아이콘 추가 메뉴, 위젯 추가 메뉴, 멀티 위젯 추가 메뉴(721), 벽지 선택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위젯 추가 메뉴(721)가 선택되면, 도 7의 (c)와 같이 멀티 위젯을 구성할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730)가 표시될 수 있다. 각 카테고리는 체크박스(731,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선택수단)을 통하여 적용 여부가 선택될 수 있다. 만일, 도 7의 (c)와 같이 음악, 텍스트, 이미지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도 7의 (d)와 같은 형태의 멀티 위젯이 홈스크린 상에 생성될 수 있다. 다만,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생성 방법의 경우, 카테고리만 선택되고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는 생성 과정에서 선택되지 않았기 때문에 컨텐츠 선택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컨텐츠 선택 과정은 제어부(180)가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 중 사용자의 억세스 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추가시킬 수 있다. 또는,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고, 이를 통하여 각 카테고리에 속할 컨텐츠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멀티 위젯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재생 메뉴버튼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들을 각각 나타낸다.
도 8에서는 멀티 위젯의 내부 공간이 3분할된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멀티 위젯은 폴더 형태의 테두리(810)의 내부 공간이 이미지 카테고리 영역(811), 음악 카테고리 영역(812) 및 문서 카테고리 영역(813)으로 분할되며, 그 중앙에 재생 메뉴버튼(81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단순히 재생 메뉴버튼(814)을 터치한 경우 멀티 위젯을 구성하는 모든 컨텐츠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의 (b)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이미지 카테고리에 속한 이미지(821)가 표시되고, 그 위에 오버레이 형태로 문서 카테고리 영역에 속한 텍스트(833)가 표시될 수 있다. 동시에, 음향 출력부를 통해 음악 카테고리에 속한 음악이 재생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 상의 일 영역(822)에는 음악 재생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재생 메뉴버튼(814)이 선택됨에 따라 사용자는 음악을 감상하면서 이미지 위로 출력되는 텍스트를 읽을 수 있다. 여기서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이 복수개인 경우, 이미지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텍스트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스크롤될 수 있으며, 음악은 컨텐츠 단위로 재생이 끝날 때마다 다음 컨텐츠로 변경될 수도 있고, 하나의 컨텐츠가 반복적으로 재생 또는 표시될 수도 있다. 만일,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멀티 위젯에 재생 메뉴버튼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멀티 위젯 상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는 방법으로 해당 멀티 위젯에 대응되는 컨텐츠 전체가 한 번에 재생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체 카테고리 대신, 사용자가 재생 메뉴버튼을 드래그하여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일부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만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만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재생 메뉴버튼을 재생 희망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터치 입력을 해제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해당 카테고리의 컨텐츠만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의 (c)와 같이 재생 메뉴버튼이 음악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영역을 거쳐 문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영역까지 드래그 된 후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 도 8의 (c)와 같이 문서 카테고리에 속한 텍스트(833)가 표시되면서 음악 카테고리에 속한 음악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멀티 위젯의 내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 입력이 감지된 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만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멀티 위젯의 내부 공간은 반드시 상이한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구분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9의 (a)와 같이 멀티 위젯(910)은 복수의 음악 컨텐츠 폴더(911, 912, 913)와 하나의 이미지 컨텐츠(914), 그리고 재생 메뉴 버튼(91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 음악 컨텐츠 폴더는 하나 이상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9의 (b)와 같이 재생 메뉴 버튼이 두 개의 음악 컨텐츠 폴더를 거쳐 이미지로 드래그된 후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 이미지 컨텐츠를 배경 이미지로 하여 드래그 경로 상에 포함되는 두 폴더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들이 소정 순서에 따라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와 같이 재생 메뉴 버튼이 두 개의 음악 컨텐츠 폴더만 거치도록 드래된 후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 드래그 경로 상에 포함되는 두 폴더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들만이 소정 순서에 따라 재생될 수 있다.
재생 순서의 예로, 폴더 간에는 재생 메뉴 버튼의 드래그 경로상의 선후 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폴더 내부의 컨텐츠 간에는 컨텐츠 이름이나 해당 폴더에 추가된 순서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각 내부 영역의 컨텐츠간들의 카테고리가 상이하면 재생 메뉴 버튼의 드래그 경로상의 컨텐츠들이 동시에 재생될 수 있고, 도 9와 같이 각 내부 영역의 컨텐츠들의 카테고리가 동일하면 재생 메뉴 버튼의 드래그 경로가 재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멀티 위젯을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위젯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멀티 위젯(1010) 내부의 분할 영역 중 하나에 공유 메뉴(1014)가 배치될 수 있다. 공유 메뉴(1014)가 선택되면, 멀티 위젯에서 공유 메뉴를 제외한 각 내부 영역 중 공유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윈도우(102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b)와 같이, 메뉴 윈도우 대신 전술한 컨텐츠 재생 방법과 유사하게 재생 메뉴 버튼(1015)을 드래그하여 공유 메뉴(1014)에서 터치 입력이 해제되도록 하면 드래그 경로상에 있는 내부 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만 선택적으로 공유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의 (a) 또는 (b)와 같은 방법으로 공유 대상이 결정되면, 제어부(180)는 공유를 위한 방법(SN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MMS 등)이나 공유 상대방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 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컨텐츠 공유 과정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80)는 공유 방법 및 공유 상대방이 특정되면, 멀티 위젯의 구성정보를 특정된 공유 방법을 통해 특정된 공유 상대방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위젯의 구성정보에는 멀티 위젯의 외형(예를 들어, 분할 영역의 갯수, 분할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등)에 관한 정보 및 멀티 위젯에 포함되는 컨텐츠 리스트, 컨텐츠 파일 자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웹이나 클라우드 등에 위치한 컨텐츠에 대해서는, 파일 자체 대신 해당 컨텐츠의 주소 정보가 구성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 위젯의 구성정보를 수신한 상대방의 단말기에는 도 10의 (c)와 같이 수신된 구성정보에 따른 멀티 위젯을 생성할지 여부를 확인받기 위한 팝업창(103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a)나 (b)에서와 같이 이미지 및 음악 컨텐츠만 공유하기로 한 경우, 상대방 단말기 상에서는 도 10의 (d)와 같은 형태의 멀티 위젯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의하면, 컨텐츠 대신 어플리케이션 정보로 멀티 위젯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위젯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조합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위젯(1110)에 소정의 형태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도 11의 (b)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112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1125)을 통해 특정 연락처가 선택되고,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1127)이 선택된 경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위젯은 도 11의 (c)와 같이 내부 영역이 3 분할되면서 멀티 위젯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영역(1111)에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위젯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우측 상단 영역(1112)에는 선택된 연락처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며, 우측 하단 영역(1113)에는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멀티 위젯이 선택되면, 각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조합되어 한 번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d)와 같이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선택된 연락처로 전송될 이미지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주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상대방에게, 한 번의 선택으로 원하는 이미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기능 조합의 다른 예로, 도 11의 멀티 위젯에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으로 대체하는 경우, 해당 멀티 위젯이 선택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되고, 이미지가 촬영되면 선택된 연락처로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바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멀티 위젯을 구성하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순서나 조합 형태는 멀티 위젯 생성시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순서를 따를 수도 있고, 제어부(180)가 실행 가능한 형태를 자동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멀티 위젯
일반적으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아이콘에는 해당 컨텐츠의 썸네일이나 확장자에 대응하는 이미지만이 표시되며, 해당 컨텐츠의 재생까지 가능한 위젯에는 썸네일이나 확장자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재생 메뉴버튼이 추가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아이콘이나 위젯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멀티 위젯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서로 다른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즉,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 하나의 멀티 위젯이 생성되되, 멀티 위젯의 내부 공간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부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하나의 상위 컨텐츠에 대응하여 하나의 멀티 위젯이 생성되되, 멀티 위젯의 내부 공간에는 상위 컨텐츠의 하위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이고, 하위 컨텐츠는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스크린샷 썸네일 이미지, 순위 정보, 배경 음악 정보, 줄거리 정보, 등장인물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멀티 위젯의 일례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멀티 위젯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멀티 위젯(1200)은 내부가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분할 영역별로 서로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상단 영역(1210)에는 동영상의 특정 시점의 썸네일 이미지, 우측 상단 영역(1220)에는 해당 동영상의 순위정보, 좌측 하단 영역(1230)에는 해당 동영상의 출연진 정보, 우측 하단 영역(1240)에는 삽입 음향 정보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위젯(1200)의 중앙에는 재생 메뉴 버튼(1250)이 배치될 수 있다. 재생 메뉴 버튼(1250)이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각 분할 영역은 터치입력을 통해 그 크기가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된 크기에 따라 보다 많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b)와 같이 순위 정보가 표시되는 우측 상단 영역(1220)을 좌측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도 12의 (c)와 같이 우측 상단 영역이 확장(1220')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많은 순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우측 상단 영역(1220)을 멀티 위젯(1220)의 좌측 하단 끝까지 드래그하는 경우, 도 12의 (d)와 같이 해당 영역은 멀티 위젯 전체의 크기만큼 확장(1220")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확장된 영역(1220")에는 도 12의 (c)의 경우보다 더 많은 순위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2의 (d)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확장된 영역(1220")이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되면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순위 관련 정보의 검색결과가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도 12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우측 상단 영역을 단순터치하는 방법으로도 순위 관련 정보의 검색결과가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12의 (b) 내지 (d)와 유사하게 좌측 상단 영역(1210)이 확장되면 더 많은 썸네일이 표시될 수 있고, 좌측 하단 영역(1230)이 확장되면 더 많은 출연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각 분할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컨텐츠 자체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고, 무선통신부를 통한 인테넷 검색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이때의 검색어는 컨텐츠의 이름과 해당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의 종류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컨텐츠의 명칭이 "A영화"이고, 정보의 종류가 "순위 정보"인 경우 검색어는 "A 영화 순위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멀티 위젯의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파일로부터 멀티 위젯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동영상 파일에 대응되는 아이콘(1310)에 소정 패턴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롱터치)을 가하면, 도 13의 (b)와 같이 해당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메뉴윈도우(132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위젯 메뉴(1324)가 선택되면, 도 13의 (c)와 같이 멀티 위젯 메뉴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체크 박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팝업 윈도우(133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의 (c)와 같은 형태로 체크 박스가 설정되는 경우, 도 12의 (a)와 유사한 멀티 위젯이 생성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멀티 위젯을 생성하는 대신, 제어부(180)가 자동으로 소정의 기준에 따라 특정 확장자를 갖는 파일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멀티 위젯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설정되는 멀티 위젯은 기존의 동영상 파일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대체하여 표시될 수도 있고, 기존 아이콘과 별도로 미리 설정된 위치(예를 들어, 홈스크린 등)에 생성될 수도 있다. 생성된 멀티 위젯의 구성을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멀티 위젯 편집 방법과 유사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멀티 위젯을 통해 동영상 재생이 중단되는 경우 이어보기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어보기 기능이란, 동영상 재생이 중단된 이후 다시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이전에 재생이 중단된 지점부터 재생이 시작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멀티 위젯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소정의 메뉴 조작을 통해 이어보기와 관련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윈도우(141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위젯 생성" 메뉴가 선택된 경우, 동영상 재생 중 재생 중단 상황(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종료,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호신호 수신 등의 이벤트 발생, 이동 단말기의 파워오프 등)이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 14의 (b)와 같이 재생 중단된 동영상에 대한 멀티 위젯(1420)을 생성할 수 있다. 최초로 생성된 멀티 위젯(1420)에는 재생 중단 시점의 썸네일 이미지와 재생 메뉴 버튼(1421)이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 14의 (c)와 같이 해당 동영상의 재생이 재개된 후 또 다시 재생 중단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14의 (d)와 같이 멀티 위젯의 내부가 양분되어 좌측 영역에는 기존에 표시되던 썸네일과 재생 메뉴 버튼(1421')이 배치되고, 우측 영역에는 마지막으로 재생 중단된 시점의 썸네일 영상 및 재생 메뉴 버튼(1422)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멀티 위젯(1420')에서 좌측의 재생 메뉴 버튼(1421')을 선택하는 경우 최초 중단시점부터 해당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고, 우측의 재생 메뉴 버튼(1422)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마지막 중단시점부터 해당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이후로도 해당 동영상이 재생되던 중 중단 상황이 발생하면, 멀티 위젯의 내부는 중단 횟수만큼 분할되어 새로운 썸네일 이미지와 재생 메뉴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미리 설정된 최대 횟수만큼 멀티 위젯의 내부 공간이 분할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새로이 중단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가장 오래된 영역의 썸네일 이미지를 새로운 이미지로 대체할 수 있다.
물론, 도 12의 실시예와 도 14의 실시예가 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위젯이 4개의 분할 영역을 갖는 경우, 두 분할 영역에는 도 14에서와 같이 특정 시점부터 재생이 시작될 수 있는 기능이 배치되고, 나머지 두 분할 영역에는 해당 동영상에 대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멀티 위젯은 동영상 컨텐츠 대신 웹페이지를 대상으로 북마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에 대응되는 멀티 위젯을 생성하고, 그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의 (a)와 같이, 웹페이지(1510)가 네 개의 이미지(1511, 1512, 1513, 1514)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으로 한번에 표시될 수 있는 크기(151')보다 크게 구성된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웹페이지는 상위 컨텐츠에 해당하고, 각 텍스트 및 이미지는 웹페이지라는 상위 컨텐츠를 구성하는 하위 컨텐츠로 볼 수 있다.
이때, 멀티 위젯 방식의 북마크 생성 명령이 소정 형태로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위치(예를 들어, 북마크 리스트나 홈스크린 등)에 도 15의 (b)와 같이 멀티 위젯 방식의 북마크(1520)를 생성할 수 있다. 북마크(1520)의 내부는 해당 웹페이지의 이미지 갯수만큼 분할되며, 분할된 각 영역(1521, 1522, 1523, 1524)에는 이미지들의 썸네일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북마크(1520)의 좌측 하단 영역(1523)이 선택하면, 웹브라우저가 실행되면서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1513)가 중앙에 표시되도록 해당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해당 웹페이지에 다시 방문할 때 원하는 부분부터 바로 억세스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메뉴 구성 형태, 위젯, 아이콘의 형태, 멀티 위젯의 각 분할 영역에 표시되거나 될 수 있는 정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보다 다양한 구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터치스크린;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에 대응되며, 내부가 둘 이상의 영역들로 분할된 디스플레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객체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컨텐트와 관련된 둘 이상의 서브 컨텐트들이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객체는, 상기 내부에 재생 메뉴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메뉴 아이콘이 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객체 내에서 드래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객체 내에서 상기 드래그된 경로에 위치한 영역들에 표시된 서브 컨텐트들을 동시에 재생하고,
    상기 동시에 재생된 서브 컨텐트들은, 서로 다른 타입의 미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컨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컨텐트들은, 상기 동영상 컨텐트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동영상 컨텐트의 썸네일 이미지, 순위 정보, 삽입 음향 정보, 출연진 정보 및 줄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트들은, 상기 동영상 컨텐트의 특정 재생 시점의 썸네일 이미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들 중 상기 특정 재생 시점의 썸네일 이미지가 배치된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트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표시된 서브 컨텐트를 전체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확장되면, 상기 확장된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해당 서브 컨텐트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웹페이지 컨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컨텐트들은, 상기 웹페이지 내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웹페이지에서 상기 선택된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부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85087A 2012-08-03 2012-08-0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87A KR101899819B1 (ko) 2012-08-03 2012-08-0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956,927 US9939998B2 (en) 2012-08-03 2013-08-01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3178901.8A EP2693727B1 (en) 2012-08-03 2013-08-01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310334629.5A CN103581431B (zh) 2012-08-03 2013-08-02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87A KR101899819B1 (ko) 2012-08-03 2012-08-0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661A KR20140018661A (ko) 2014-02-13
KR101899819B1 true KR101899819B1 (ko) 2018-09-20

Family

ID=4891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087A KR101899819B1 (ko) 2012-08-03 2012-08-0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39998B2 (ko)
EP (1) EP2693727B1 (ko)
KR (1) KR101899819B1 (ko)
CN (1) CN1035814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453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4431B2 (en) 2009-03-16 2015-03-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US10649622B2 (en) 2012-05-09 2020-05-12 Apple Inc. Electronic message user interface
US10235014B2 (en) * 2012-05-09 2019-03-19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EP3822759A1 (en) 2013-09-03 2021-05-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KR102220085B1 (ko) * 2013-10-18 2021-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D733744S1 (en) 2013-10-21 2015-07-0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377929B1 (en) * 2013-12-23 2016-06-28 Symantec Corporation Techniques for presenting inform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9116912B1 (en) 2014-01-31 2015-08-25 EyeGroov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odifying pre-existing media items
US9207844B2 (en) * 2014-01-31 2015-12-08 EyeGroov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ouch-based media creation
US9207857B2 (en) 2014-02-14 2015-12-08 EyeGroov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senting interactive media items
US9519644B2 (en) 2014-04-04 2016-12-13 Facebook, Inc.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media items
CN106462340B (zh) 2014-06-27 2019-09-13 苹果公司 尺寸减小的用户界面
US20160011747A1 (en) * 2014-07-10 2016-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b page thumbnails
CN104079979B (zh) * 2014-07-15 2018-06-05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系统
KR20160014226A (ko) * 2014-07-29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73590B2 (en) 2014-09-02 2018-09-1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416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CN110072131A (zh) 2014-09-02 2019-07-30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KR102343365B1 (ko) * 2015-01-26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객체표시 방법
WO2016134415A1 (en) * 2015-02-23 2016-09-01 Zuma Beach Ip Pty Ltd Generation of combined videos
JP6497965B2 (ja) * 2015-02-23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KR102343990B1 (ko) * 2015-06-15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서로 다른 영역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01329A (ko) * 2015-06-26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094668B (zh) * 2015-06-29 2019-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222932B2 (en) 2015-07-15 2019-03-05 Fyusion, Inc.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ased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1095869B2 (en) 2015-09-22 2021-08-17 Fyu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bined embedd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1006095B2 (en) 2015-07-15 2021-05-11 Fyusion, Inc. Drone based capture of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US10242474B2 (en) 2015-07-15 2019-03-26 Fyusion, Inc. Artificially rendering images using viewpoint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US10147211B2 (en) 2015-07-15 2018-12-04 Fyusion, Inc. Artificially rendering images using viewpoint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US11783864B2 (en) * 2015-09-22 2023-10-10 Fyusion, Inc. Integration of audio into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CN105142119B (zh) * 2015-09-29 2018-12-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彩信接收方法及装置
US20170269795A1 (en) * 2016-03-15 2017-09-21 Sony Corporation Multiview display layout and current state memory
US10455270B2 (en) 2016-03-15 2019-10-22 Sony Corporation Content surfing, preview and selection by sequentially connecting tiled content channels
US10284900B2 (en) 2016-03-15 2019-05-07 Sony Corporation Multiview as an application for physical digital media
DE102016114669A1 (de) * 2016-08-08 2018-02-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Bedienvorrichtung zum Bedienen einer Einrichtung
US11202017B2 (en) 2016-10-06 2021-12-14 Fyusion, Inc. Live style transfer on a mobile device
US10437879B2 (en) 2017-01-18 2019-10-08 Fyusion, Inc. Visual search using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28980B2 (en) 2017-05-12 2021-02-2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laying and managing audio items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US10313651B2 (en) 2017-05-22 2019-06-04 Fyusion, Inc. Snapshots at predefined intervals or angles
US11069147B2 (en) 2017-06-26 2021-07-20 Fyusion, Inc. Modification of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WO2019061232A1 (zh) * 2017-09-29 2019-04-04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创建文件的方法、终端
CN107885430B (zh) * 2017-11-07 2020-07-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18085150A (ja) * 2018-02-08 2018-05-31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92747B2 (en) 2018-04-26 2020-03-17 Fyu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3-D auto tagging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DK179888B1 (en) 2018-09-11 2019-08-27 Apple Inc. CONTENT-BASED TACTICAL OUTPUTS
US11653072B2 (en) 2018-09-12 2023-05-16 Zuma Beach Ip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nteractive media content
JP7363069B2 (ja) * 2019-03-20 2023-10-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EP3948517A1 (en) 2019-05-31 2022-02-0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CN110851098B (zh) * 2019-10-31 2024-0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窗口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CN112486451B (zh) * 2020-11-27 2022-03-11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语音播报方法、计算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711372B (zh) * 2020-12-28 2022-03-11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视障模式下的页面响应方法、计算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903181A (zh) * 2021-02-24 2021-06-04 北京康斯特仪表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压力表
CN112988009A (zh) * 2021-03-12 2021-06-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文件处理方法和装置
US11941237B2 (en) 2021-05-17 2024-03-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shared content to applications
US11875016B2 (en) 2021-05-17 2024-01-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media items shared from distinct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1155A1 (en) * 2003-10-02 2005-04-14 Geoffrey Martin Virtual player capable of handling dissimilar content
KR101330873B1 (ko) * 2007-03-07 2013-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웹페이지의동영상 재생 방법
KR101380004B1 (ko) * 2007-03-23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방법
US8281255B2 (en) * 2007-07-26 2012-10-02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arious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in multiple menu structures
CN100514338C (zh) 2007-10-16 2009-07-15 深圳掌媒科技有限公司 提供可分解阅读原版媒体内容的系统、方法及播放装置
US8875023B2 (en) * 2007-12-27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Thumbnail navigation bar for video
TWI381304B (zh) * 2008-04-22 2013-01-01 Htc Corp 使用者介面顯示區域的調整方法、裝置及儲存媒體
JP4670938B2 (ja) 2008-11-04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TW201039159A (en) 2009-04-30 2010-11-01 Dvtodp Corp Method and web server of processing dynamic picture for searching purpose
KR101624157B1 (ko) * 2009-06-09 201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탐색을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US20110087992A1 (en) * 2009-10-13 2011-04-14 Microsoft Corporation Thumbnail image substitution
KR20110074166A (ko)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US20110164175A1 (en) * 2010-01-05 2011-07-0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ubtitl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8291452B1 (en) * 2011-05-20 2012-10-16 Google Inc. Interface for watching a stream of videos
JP5625642B2 (ja) 2010-09-06 2014-11-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データ分割方法及びデータ分割プログラム
US20120124517A1 (en) * 2010-11-15 2012-05-17 Landry Lawrence B Image display device providing improved media selection
KR20120054948A (ko) 2010-11-22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
KR101832463B1 (ko) * 2010-12-01 201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EP2573759A3 (en) 2011-09-20 2013-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EP2615564A1 (en) * 2012-01-11 2013-07-17 LG Electronics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051718A (zh) 2012-12-25 2013-04-17 青岛盛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动态待机界面及各级菜单生成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453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3727B1 (en) 2019-10-02
US20140040742A1 (en) 2014-02-06
KR20140018661A (ko) 2014-02-13
CN103581431A (zh) 2014-02-12
EP2693727A3 (en) 2016-11-09
CN103581431B (zh) 2016-05-04
US9939998B2 (en) 2018-04-10
EP2693727A2 (en)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81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8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639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83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이의 기록 매체
KR101260770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에서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KR1019197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97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22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KR10189981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21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17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9245A (ko) 더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500517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264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음악재생 제어방법
KR1020654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7255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22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73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628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4998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스크롤 방법
KR101919790B1 (ko) 이미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16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54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070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30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