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820U - 전두부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전두부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820U
KR20130006820U KR2020120004172U KR20120004172U KR20130006820U KR 20130006820 U KR20130006820 U KR 20130006820U KR 2020120004172 U KR2020120004172 U KR 2020120004172U KR 20120004172 U KR20120004172 U KR 20120004172U KR 20130006820 U KR20130006820 U KR 201300068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heat exchange
reservoir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진
조창근
Original Assignee
임현진
조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진, 조창근 filed Critical 임현진
Priority to KR2020120004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820U/ko
Publication of KR20130006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23L3/015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using sub- or super-atmospheric pressures, or pressure variations transmitted by a liquid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3/00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 F28C3/04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the heat-exchange media both be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두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 하부에 배출관이 연결된 교반기와, 이 교반기의 배출관에서 유입된 고온의 콩가루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열교환부재와, 이 열교환부재를 통해 냉각된 콩가루 혼합물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고, 응고제 투입구, 및 배출구가 일정부위에 형성된 저장고, 및 상기 저장고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고의 일정 부위에 장착된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구성이 간단한 열교환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고 색상 및 냄새가 양호한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전두부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whole bean curd}
본 고안은 전두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한 열교환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고 색상 및 냄새가 양호한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두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재래식 두부 제조방법은 대두를 선별하고 세척하고 분쇄가 용이하게 되도록 수침하여 불린 후 불린 대두를 물을 조금씩 가하면서 파쇄기로 파쇄한다.
그 후 증숙된 콩즙을 고운 천을 이용 여과하여 비지와 두유를 분리하고 응고제를 넣은 두유를 일정시간 혼합한 후 방치한 다음 압착하여 두부가 충분히 굳은 후에 상자 채로 물에 넣었다가 상자만 꺼내고 두부는 장시간 물에 담겨지고 판매되는 단계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두부 분리단계에서 비지가 부산물로 생성되고, 이로 인해 대두에 있는 단백질, 생리활성물질(식이섬유질, 레시틴, 사포신, 이소플라본 등)을 모두 회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원료인 대두 사용량에 비하여 최종제품인 두부생산량이 현저히 적게 생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압착하는 과정에서 약 BOD 10,000ppm의 순물이 나오게 되므로 폐수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두 수침 및 불림공정 및 비지 분리공정, 압착공정 등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약 10 ~ 24시간이라는 막대한 시간이 요구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 분말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82829호)" 과 "고 기능성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 분말의 제조장치(실용신안등록 제0263191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나 실용신안 및 기타 사용중인 전두부 공정을 보면 밀폐된 압력용기와 고온의 스팀을 사용하므로 콩의 영양분이 파괴되고 색상이 변할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가 심하고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고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한 열교환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고 색상 및 냄새가 양호한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두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전두부 제조 장치는, 하부에 배출관이 연결된 교반기와, 이 교반기의 배출관에서 유입된 고온의 콩가루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열교환부재와, 이 열교환부재를 통해 냉각된 콩가루 혼합물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고, 응고제 투입구, 및 배출구가 일정부위에 형성된 저장고, 및 상기 저장고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고의 일정 부위에 장착된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부재는, 내부에 액체 매체가 충전된 온수통과, 상기 교반기의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온수통에 내장된 온수통 이동관과, 상기 온수통의 액체 매체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한 가열 부재; 내부에 액체 매체가 충전된 냉수통과, 이 온수통의 온수통 이동관과 연결되고 상기 냉수통에 내장된 냉수통 이동관과, 상기 냉수통의 액체 매체를 냉각시키는 냉동기를 포함한 냉각 부재; 및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 사이에 장착된 열전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구성이 간단한 열교환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고 색상 및 냄새가 양호한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두부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두부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 으로 도시한 전두부 제조 장치는 하부에 배출관(34)이 연결된 교반기(12)와, 이 교반기(12)의 배출관(34)에서 유입된 고온의 콩가루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열교환부재(40)와, 이 열교환부재(40)를 통해 냉각된 콩가루 혼합물이 유입관(36)을 통해 유입되고, 응고제 투입구(28), 및 배출구(30)가 일정부위에 형성된 저장고(18), 및 이 저장고(18)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고(18)의 일정 부위에 장착된 진공펌프(26)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부재(40)는 통상적으로 가열 부재와 냉각 부재 및 그사이에 장착되는 열전 반도체 소자(2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열전 반도체 소자(22)를 이용하는 것은 보다 효율적인 방열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가열 부재는 내부에 액체 통상적으로 물인 매체가 충전된 온수통(14)과, 상기 교반기(12)의 배출관(34)과 연결되고 상기 온수통(14)에 내장된 온수통 이동관(32)과, 상기 온수통(32)의 액체 매체를 가열시키는 히터(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 부재는 내부에 액체 매체가 충전된 냉수통(16)과, 상기 온수통의 온수통 이동관(32)과 연결되고 상기 냉수통(16)에 내장된 냉수통 이동관(33)과, 상기 냉수통(16)의 액체 매체를 냉각시키는 냉동기(24)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이동관(32,33)은 코일 형상이나 지그재그로 배치시켜야 열 전달 효과가 최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대두를 분쇄하여 콩가루를 만든 후 이 콩가루와 끊은 물을 상기 교반기(12)에서 교반하게 된다.
그 후 교반이 잘 이루어진 콩가루 혼합물은 상기 배출관(34)을 통해 상기 온수통(14)에 장착된 온수통 이동관(32)으로 유입되는데 이 온수통(14)의 온도는 100℃이하로 설정되므로 콩의 단백질에는 손상이 가해질 수 없다.
상기 온수통(14)의 이동관(32)에 유입되는 콩가루 혼합물은 상시 냉수통(16)의 냉수통 이동관(33)으로 유입되면서 냉각하게 되는데 이냉수통(16)의 온도가 3℃이내가 되도록 상기 냉동기(24)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냉수통 이동관(33)에 유입되는 콩가루 혼합물은 상기 냉수통(16)에서 냉각되고 상기 유입관(36)을 통해 상기 저장고(18)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투입구(28)를 통해 유입되는 응고제에 의해 일정한 굳기로 응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 폄프(26)에 의해 상기 유입관(36)으로 유입되는 콩가루 혼합물은 연속하여 상기 저장고(18)로 유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배출구(30)를 통해 배출된 전두부는 일정한 용기에 포장되고 살균한 후 제품으로 출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전두부 제조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전두부 제조 장치, 12 : 교반기,
14 : 온수통, 16 : 냉수통,
18 : 저장고, 20 : 히터,
22 : 열전 반도체 소자, 24 : 냉동기,
26 : 진공 펌프, 28 : 응고제 투입구,
30 : 배출구, 32,33 : 이동관,
34 : 배출관, 36 : 유입관,
40 : 열교환부재

Claims (2)

  1. 전두부 제조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배출관이 연결된 교반기;
    상기 교반기의 배출관에서 유입된 고온의 콩가루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열교환부재;
    상기 열교환부재를 통해 냉각된 콩가루 혼합물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고, 응고제 투입구, 및 배출구가 일정부위에 형성된 저장고; 및
    상기 저장고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고의 일정 부위에 장착된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부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재는,
    내부에 액체 매체가 충전된 온수통과, 상기 교반기의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온수통에 내장된 온수통 이동관과, 상기 온수통의 액체 매체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한 가열 부재;
    내부에 액체 매체가 충전된 냉수통과, 상기 온수통의 온수통 이동관과 연결되고 상기 냉수통에 내장된 냉수통 이동관과, 상기 냉수통의 액체 매체를 냉각시키는 냉동기를 포함한 냉각 부재; 및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 사이에 장착된 열전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부 제조 장치.
KR2020120004172U 2012-05-18 2012-05-18 전두부 제조 장치 KR201300068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72U KR20130006820U (ko) 2012-05-18 2012-05-18 전두부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72U KR20130006820U (ko) 2012-05-18 2012-05-18 전두부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20U true KR20130006820U (ko) 2013-11-27

Family

ID=5243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172U KR20130006820U (ko) 2012-05-18 2012-05-18 전두부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82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10243A1 (fr) Procede de production d'aliments transformes au soja et dispositif de chauffage-desaeration destine a la production de soupe de soja broye
JP5805171B2 (ja) 高濃度豆乳を用いた硬度及び弾力性が増大した豆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87490B1 (ko) 전두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3621678A (zh) 一种原浆内酯豆腐及其制备方法
CN102613311A (zh) 一种冬瓜汁内脂豆腐制作方法
KR20130006820U (ko) 전두부 제조 장치
CN103621673A (zh) 一种原浆内酯豆腐的制备方法
KR20100132666A (ko) 쌀을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KR100906649B1 (ko) 흑 임자(검은깨)를 이용한 흑 두부의 제조방법
KR100921410B1 (ko) 우유첨가두부의 제조 방법
KR100789410B1 (ko) 두부의 제조 방법
KR100486375B1 (ko) 쌀을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JP2020503890A (ja) 凍結凝固方式を用いた豆腐製造方法
KR20080093471A (ko) 에너지 절약형 포장 바이오 활성 전두부 제조 방법 및 그장치
JP3436927B2 (ja) 豆乳のインライン凝固装置
KR20200044350A (ko) 장기보존 기능성 전두부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240045B1 (ko) 대두배아 함유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KR20120102278A (ko) 매실과 표고버섯균사체를 응고제로 이용한 생식용 쌀두부 제조방법
KR20110127439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토종콩 두부의 제조방법
KR20120044546A (ko) 쌀 함유 두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쌀 함유 두부
KR960003599A (ko) 두부로 만든 국수의 제조방법
KR100563640B1 (ko) 두유에 한천, 알긴산소다를 사용하여 응고한 두유응고식품및 그 제조방법
KR101251747B1 (ko) 껍질을 벗긴 콩을 이용한 고단백 두부의 제조방법
KR20020025570A (ko) 콩물의 농축방법 및 농축장치 그리고 농축콩물로 두부를제조하는 방법
KR20200123354A (ko) 전두부제조 및 두부두유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