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526A - 자동 떡방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떡방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526A
KR20130005526A KR1020110066978A KR20110066978A KR20130005526A KR 20130005526 A KR20130005526 A KR 20130005526A KR 1020110066978 A KR1020110066978 A KR 1020110066978A KR 20110066978 A KR20110066978 A KR 20110066978A KR 20130005526 A KR20130005526 A KR 2013000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shaft
spatula
lanyar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286B1 (ko
Inventor
황보창
Original Assignee
황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창 filed Critical 황보창
Priority to KR102011006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2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4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inclined rotating mixing arms or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자동 떡방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떡방아장치는, 장치본체와, 떡반죽이 내부에 수용되는 반죽공간을 구비하는 반죽솥, 상기 반죽솥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떡반죽을 찧는 방아공이를 구비하는 방아 유닛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반죽솥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아공이가 상기 떡반죽을 찧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떡반죽을 뒤집는 떡반죽 뒤집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떡방아장치{auto rice-flour mill}
본 발명은, 자동 떡방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죽솥에 놓인 떡반죽을 자동으로 방아공이로 찧을 수 있으며, 떡반죽을 찧은 과정에서 자동으로 떡반죽을 뒤집을 수 있는 자동 떡방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찹쌀떡이나 인절미 등의 찹쌀을 주된 재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떡 종류의 경우에는, 찹쌀로 밥을 짓거나 전기로 찐 찰밥 등과 같은 떡반죽을 사람이 직접 떡메를 들었다가 내리치는 동작을 수차례 반복하여 삶아 진 찹쌀이 골고루 으깨어져 쫀득쫀득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떡반죽을 찧는 방법은 무거운 떡메를 사람이 직접 들어올리고 내리쳐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들었으며, 떡메를 치는 사람과 떡쌀이 골고루 으깨지도록 떡반죽을 뒤집는 사람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떡메를 치는 과정에서 적어도 2사람 이상이 필요한 등 결과적으로 떡반죽을 찧는 작업이 쉽지 않아 떡을 만드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급에 차질이 발생한다.
이러한 원시적인 방법을 탈피하고자 사람이 아닌 동력장치를 이용한 자동 떡방아장치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동력장치를 이용한 자동 떡방아장치는 특허공개번호 KR 10-1999-0046623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떡방아장치는, 떡반죽이 놓인 반죽솥과,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캠과, 회전캠에 의해 상승하는 떡메로 이루어진다. 즉,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캠이 떡메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떡메는 자중에 의해 떡반죽으로 자유 낙하함으로써 떡을 찧는 것이다.
한편, 떡반죽이 반죽솥 내벽에 들러붙지 않고 반죽솥 내에서 잘 반죽되려면 떡반죽을 찧는 동작과 뒤집는 동작이 함께 혹은 병행해서 진행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떡방아장치에는 떡반죽을 뒤집기 위한 수단이 갖춰져 있지 않아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에 수작업으로 떡반죽을 뒤집거나 아니면 위험을 감수하고 방아공이가 떡반죽을 찧는 동작 사이사이에 수작업으로 떡반죽을 뒤집어야 했으므로 생산성 및 안전성에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켜 왔다.
특허공개번호 KR 10-1999-0046623 (채만수) 1999. 07. 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죽솥 내에서 떡반죽을 찧거나 뒤집는 동작이 함께 진행될 수 있어 떡반죽이 반죽솥 내벽에 들러붙지 않고 잘 반죽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떡방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본체와, 떡반죽이 내부에 수용되는 반죽공간을 구비하는 반죽솥, 상기 반죽솥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떡반죽을 찧는 방아공이를 구비하는 방아 유닛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반죽솥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아공이가 상기 떡반죽을 찧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떡반죽을 뒤집는 떡반죽 뒤집기를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떡반죽 뒤집기는, 상기 반죽솥의 내벽 형상에 대응되게 아크(arc) 형상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상기 떡반죽에 접촉되어 상기 떡반죽을 뒤집는 뒤집기 주걱 및 상기 뒤집기 주걱을 업/다운(up/down)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걱 업/다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걱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뒤집기 주걱의 업/다운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모터와, 상단부에 상기 뒤집기 주걱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뒤집기 샤프트와, 일단부가 상기 제1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모터의 모터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회동판과, 일단부가 상기 회동판의 타단부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뒤집기 샤프트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걱 구동축과, 상기 뒤집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뒤집기 샤프트의 업/다운 구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뒤집기 샤프트가 통과되는 제1 및 제2 스토퍼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뒤집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모터의 동작 시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사이에서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가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반죽솥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죽솥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죽솥 회전부는, 상기 반죽솥의 하단부에 마련된 반죽솥 회전축과, 상기 반죽솥 회전축에 마련된 제1 스프라켓과, 모터축에 제2 스프라켓이 결합된 제2 모터 및 상기 제1 스프라켓과 제2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아 유닛은, 상기 방아공이가 마련된 방아채와, 상기 방아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방아축과, 상기 방아채을 회동시키는 방아채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아채 회동부는, 상기 방아채의 회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모터와, 상기 제3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된 제3 스프라켓과, 상기 장치본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4 스프라켓과, 상기 제3 스프라켓과 상기 제4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 체인 및 상단부가 상기 방아채와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아채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죽솥, 상기 방아 유닛 및 상기 떡반죽 뒤집기를 부분적으로 커버링하는 안전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커버는 장착 위치와 장착 해제위치 간을 힌지축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식 안전커버이며, 상기 장치본체에는 상기 회전식 안전커버가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장착 해제위치로 이동된 경우, 상기 떡반죽을 찧는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아공이가 상기 떡반죽을 찧는 과정에서 동작에 연동되어 떡반죽 뒤집기가 떡반죽을 찧는 동작에 연동되어 반죽솥 내에서 떡반죽을 찧거나 뒤집음으로써, 떡반죽이 반죽솥 내벽에 들러붙지 않고 잘 반죽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떡방아장치의 안전커버가 생략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떡반죽 뒤집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반죽솥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반죽솥 회전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방아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방아채 회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에서 안전커버를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떡방아장치의 안전커버가 생략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떡반죽 뒤집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반죽솥 회전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반죽솥 회전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방아 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의 방아채 회동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자동 떡방아장치에서 안전커버를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떡방아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본체(110)와, 떡반죽이 내부에 수용되는 반죽공간을 구비하는 반죽솥(121)과, 반죽솥(121)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떡반죽을 찧는 방아공이(131)를 구비하는 방아 유닛(130)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반죽솥(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방아공이(131)가 떡반죽을 찧는 동작에 연동되어 떡반죽을 뒤집는 떡반죽 뒤집기(140)를 포함한다.
장치본체(110)는, 반죽솥(121)과, 방아 유닛(130)과, 떡반죽 뒤집기(140) 등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에 해당된다.
반죽솥(121)은, 방아공이(131)에 의해 찧어질 떡반죽이 수용되는 기구이다. 본 실시예에서 반죽솥(121)은 상측이 원형으로 개구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의 개구부보다 좁아지는 형태를 이룬다. 즉, 반죽솥(121)의 내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형을 이룬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떡반죽 뒤집기(140)는, 반죽솥(121)의 내벽 형상에 대응되게 아크(arc) 형상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떡반죽에 접촉되어 떡반죽을 뒤집는 뒤집기 주걱(141)과, 뒤집기 주걱(141)을 업/다운(up/down)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걱 업/다운 구동부(143)를 포함한다.
뒤집기 주걱(141)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 형태의 반죽솥(121) 내벽에 대응하는 아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업/다운(up/down)되는 뒤집기 주걱(141)이 다운(down)위치에서 넓은 면적으로 반죽솥(121)의 내벽에 인접될 수 있도록 반죽솥(121)의 내벽 형상에 따라 굴곡진 형태를 이룬다.
한편, 주걱 업/다운 구동부(143)는, 뒤집기 주걱(141)의 업/다운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모터(143a)와, 상단부에 뒤집기 주걱(14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뒤집기 샤프트(143b)와, 일단부가 제1 모터(143a)의 모터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모터(143a)의 모터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회동판(143c)과, 일단부가 회동판(143c)의 타단부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뒤집기 샤프트(143b)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주걱 구동축(143d)과, 뒤집기 샤프트(143b)에 연결되어 뒤집기 샤프트(143b)의 업/다운 구동을 안내하는 안내부(143e)를 포함한다.
제1 모터(143a)는 장치본체(110)에 설치되며, 제1 모터(143a)의 모터축에는 회동판(143c)의 일단이 결합됨으로써 제1 모터(143a)의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판(143c)이 회동된다.
뒤집기 샤프트(143b)의 상단부에 뒤집기 주걱(14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떡반죽의 양 또는 뒤집기 주걱(141)의 사용정도에 따라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뒤집기 주걱(141)이 교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뒤집기 샤프트(143b)가 업/다운(up/down)되는데 이러한 뒤집기 샤프트(143b)의 업/다운에 의하여 뒤집기 주걱(141)이 업/다운된다. 이때, 뒤집기 샤프트(143b)의 업/다운은, 뒤집기 샤프트(143b)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주걱 구동축(143d)에 의해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주걱 구동축(143d)의 일단부는 회동판(143c)의 타단부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주걱 구동축(143d)의 타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뒤집기 샤프트(143b)와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회동판(143c)의 타단부는 제1 모터(143a)의 모터축과 이격되는 위치이고, 이러한 이격된 위치에 주걱 구동축(143d)의 일단부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국 제1 모터(143a)의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회동판(143c)이 회동되고, 회동판(143c)의 타단과 일단부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주걱 구동축(143d)이 뒤집기 샤프트(143b)에 제1 모터(143a)의 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뒤집기 샤프트(143b)는, 안내부(143e)에 의해 업/다운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이동방향이 제한되므로, 뒤집기 샤프트(143b)는 회동되지 않고 업/다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안내부(143e)는, 장치본체(110)에 결합되는 고정블록(143ea)과, 고정블록(143ea)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뒤집기 샤프트(143b)가 통과되는 제1 스토퍼(143eb) 및 제2 스토퍼(143ec)와, 제1 스토퍼(143eb) 및 제2 스토퍼(143ec) 사이에 배치되고 뒤집기 샤프트(143b)에 연결되며, 제1 모터(143a)의 동작 시 제1 및 제2 스토퍼(143ec) 사이에서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가동블록(143ed)을 포함한다.
제1 스토퍼(143eb) 및 제2 스토퍼(143ec)에는 뒤집기 샤프트(143b)가 통과하도록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은 뒤집기 샤프트(143b)의 업/다운 방향으로 관통되기 때문에 뒤집기 샤프트(143b)가 회동되지 않는다.
이때, 가동블록(143ed)은 뒤집기 샤프트(143b)와 결합된 상태이고, 상술한 주걱 구동축(143d)의 타단부는 가동블록(143ed)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모터(143a)의 동력이 회동판(143c) 및 주걱 구동축(143d)을 통해 뒤집기 샤프트(143b)에 전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떡방아장치(100)는, 장치본체(110)에 결합되어 반죽솥(1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죽솥 회전부(123)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솥 회전부(123)는, 반죽솥(121)의 하단부에 마련된 반죽솥 회전축(123a)과, 반죽솥 회전축(123a)에 마련된 제1 스프라켓(123b)과, 모터축에 제2 스프라켓(123c)이 결합된 제2 모터(123d)와, 제1 스프라켓(123b)과 제2 스프라켓(123c)을 연결하는 제1 체인(123e)을 포함한다.
제1 스프라켓(123b)과 제2 스프라켓(123c)은 제1 체인(123e)을 통해 연결되므로, 제2 모터(123d)의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제1 스프라켓(123b)이 회전된다, 이때, 제1 스프라켓(123b)은 반죽솥 회전축(123a)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스프라켓(123b)의 회전에 의해 반죽솥 회전축(123a)이 회전된다. 또한, 반죽솥 회전축(123a)은 반죽솥(121)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반죽솥 회전축(123a)에 의해 반죽솥(121)이 회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 유닛(130)은, 방아공이(131)가 마련된 방아채(132)와, 방아채(13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방아축(133)과, 방아채(132)를 회동시키는 방아채 회동부(134)를 포함한다.
방아공이(131)는 방아채(1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방아공이(131)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방아공이(131)가 노후하게 된 경우에는 방아공이(131)를 교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채 회동부(134)는, 방아채(132)의 회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모터(134a)와, 제3 모터(134a)의 모터축에 결합된 제3 스프라켓(134b)과, 장치본체(1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134c)과, 회전판(134c)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4 스프라켓(134d)과, 제3 스프라켓(134b)과 제4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 체인(134e)과, 상단부가 방아채(132)와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회전판(134c)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판(134c)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아채 샤프트(134f)를 포함한다.
제3 스프라켓(134b)과 제4 스프라켓(134d)은 제2 체인(134e)을 통해 연결되므로, 제3 모터(134a)의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제4 스프라켓(134d)이 회전된다, 이때, 제4 스프라켓(134d)은 회전판(134c)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4 스프라켓(134d)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134c)이 회전된다.
방아채 샤프트(134f)는, 상단부가 방아채(132)와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회전판(134c)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판(134c)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방아채(132)는 방아축(13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판(134c)의 회전운동이 방아채 샤프트(134f)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방아채(132)에 전달된다. 즉, 회전판(134c)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방아채 샤프트(134f)의 하단은 회전판(134c)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판(134c)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떡방아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반죽솥(121), 방아 유닛(130) 및 떡반죽 뒤집기(140)를 부분적으로 커버링하는 안전커버(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커버(150)는 외부에서 떡반죽을 찧는 작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안전커버(150)는 장착 위치와 장착 해제위치 간을 힌지축(151)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식 안전커버(150)이다. 장착위치는, 안전커버(150)가 반죽솥(121)과, 방아 유닛(130)과, 떡반죽 뒤집기(140) 등을 커버링하는 위치이다. 장착 해제위치는, 안전커버(150)가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반죽솥(121)과, 방아 유닛(130)과, 떡반죽 뒤집기(140) 등이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이다.
안전커버(150)는, 떡을 찧는 과정에서 떡반죽에 이물질이 첨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죽솥(121)과, 방아 유닛(130)과, 떡반죽 뒤집기(140) 등을 커버링 한다. 또한, 이러한 안전커버(150)는 떡을 찧는 과정에서 방아공이(131) 등에 의해 사람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떡방아장치(100)는, 회전식 안전커버(150)가 장착 위치에서 장착 해제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떡반죽을 찧는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160)를 포함한다.
감지부(160)는 장치본체(110)에 설치되며, 안전커버(150)가 장착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반죽솥(121)과, 방아 유닛(130)과, 떡반죽 뒤집기(140)의 동작을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이러한, 감지부(160)는, 리미트 스위치, 접촉센서, 근접센서 등 안전커버(15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기구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떡방아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공이(131)는 반죽솥(121)에 수용된 떡반죽을 찧는다. 제3 모터(134a)에 의한 회전판(134c)의 회전운동은 방아채 샤프트(134f)에 의해 방아채(132)가 회동하는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방아채(132)에는 방아공이(131)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방아채(132)의 회동에 의해 방아공이(131)가 반죽솥(121)의 떡반죽을 찧는다.
반죽솥(121)은 떡반죽을 찧는 과정에서 회전된다. 즉, 제2 모터(123d)의 모터축의 회전이 제1 체인(123e)을 통해 반죽솥(121)에 전해짐으로써 반죽솥(121)이 회전된다. 이러한 반죽솥(121)의 회전에 의해 떡반죽이 더욱 골고루 찧어진다.
한편, 떡반죽 뒤집기(140)는 떡을 찧는 과정에서 떡을 뒤집어 준다. 즉, 뒤집기 주걱(141)의 다운(down) 위치에서 뒤집기 주걱(141)은 떡반죽의 하측단의 일부분과 접촉된다. 뒤집기 주걱(141)과 접촉된 떡반죽은 뒤집기 주걱(141)의 업(up) 동작에 의해 떡반죽의 다른 부위보다 상승된다. 이러한 떡반죽의 상승은 방아공이(131)의 타격에 의해 반죽솥(121)의 주변부로 퍼진 떡반죽을 중앙부로 모아주는 기능에도 해당된다.
이때, 떡반죽이 수용된 반죽솥(121)은 계속 회전되므로, 뒤집기 주걱(141)은 떡반죽의 다른 부위를 계속 상승시켜 떡반죽을 전체적으로 뒤집어 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자동 떡방아장치 110 : 장치본체
121 : 반죽솥 123 : 반죽솥 회전부
123a : 반죽솥 회전축 123b : 제1 스프라켓
123c : 제2 스프라켓 123d : 제2 모터
123e : 제1 체인 130 : 방아 유닛
131 : 방아공이 132 : 방아채
133 : 방아축 134 : 방아채 회동부
134a : 제3 모터 134b: 제3 스프라켓
134c : 회전판 134d : 제4 스프라켓
134e : 제2 체인 134f : 방아채 샤프트
140 : 떡반죽 뒤집기 141 : 뒤집기 주걱
143 : 주걱 업/다운 구동부 143a : 제1 모터
143b : 뒤집기 샤프트 143c : 회동판(143c)
143d : 주걱 구동축 143e : 안내부
143ea : 고정블록 143eb : 제1 스토퍼
143ec : 제2 스토퍼 143ed : 가동블록
150 : 안전커버 151 : 힌지축
160 : 감지부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본체;
    떡반죽이 내부에 수용되는 반죽공간을 구비하는 반죽솥;
    상기 반죽솥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떡반죽을 찧는 방아공이를 구비하는 방아 유닛;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반죽솥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아공이가 상기 떡반죽을 찧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떡반죽을 뒤집는 떡반죽 뒤집기를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떡반죽 뒤집기는,
    상기 반죽솥의 내벽 형상에 대응되게 아크(arc) 형상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상기 떡반죽에 접촉되어 상기 떡반죽을 뒤집는 뒤집기 주걱; 및
    상기 뒤집기 주걱을 업/다운(up/down)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걱 업/다운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걱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뒤집기 주걱의 업/다운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모터;
    상단부에 상기 뒤집기 주걱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뒤집기 샤프트;
    일단부가 상기 제1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모터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회동판;
    일단부가 상기 회동판의 타단부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뒤집기 샤프트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주걱 구동축; 및
    상기 뒤집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뒤집기 샤프트의 업/다운 구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뒤집기 샤프트가 통과되는 제1 및 제2 스토퍼;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뒤집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모터의 동작 시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사이에서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가동블록을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반죽솥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죽솥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솥 회전부는,
    상기 반죽솥의 하단부에 마련된 반죽솥 회전축;
    상기 반죽솥 회전축에 마련된 제1 스프라켓;
    모터축에 제2 스프라켓이 결합된 제2 모터; 및
    상기 제1 스프라켓과 제2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 유닛은,
    상기 방아공이가 마련된 방아채;
    상기 방아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방아축;
    상기 방아채을 회동시키는 방아채 회동부를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채 회동부는,
    상기 방아채의 회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모터;
    상기 제3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된 제3 스프라켓;
    상기 장치본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에 마련된 제4 스프라켓;
    상기 제3 스프라켓과 상기 제4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 체인; 및
    상단부가 상기 방아채와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아채 샤프트를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죽솥, 상기 방아 유닛 및 상기 떡반죽 뒤집기를 부분적으로 커버링하는 안전커버를 더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는 장착 위치와 장착 해제위치 간을 힌지축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식 안전커버이며,상기 장치본체에는 상기 회전식 안전커버가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장착 해제위치로 이동된 경우, 상기 떡반죽을 찧는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떡방아장치.
KR1020110066978A 2011-07-06 2011-07-06 자동 떡방아장치 KR101266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78A KR101266286B1 (ko) 2011-07-06 2011-07-06 자동 떡방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78A KR101266286B1 (ko) 2011-07-06 2011-07-06 자동 떡방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26A true KR20130005526A (ko) 2013-01-16
KR101266286B1 KR101266286B1 (ko) 2013-05-22

Family

ID=4783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978A KR101266286B1 (ko) 2011-07-06 2011-07-06 자동 떡방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2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939A (zh) * 2013-12-10 2014-03-12 郭继朋 馒头自动上蒸笼机
CN108094464A (zh) * 2017-12-27 2018-06-01 安徽麦德发食品有限公司 一种速食方便面加工用和面机
KR102219708B1 (ko) * 2019-12-13 2021-02-25 양혜경 숙성울금을 이용한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CN112914137A (zh) * 2021-03-11 2021-06-08 罗永� 一种拍打式糍粑捶打装置
CN113875923A (zh) * 2021-09-26 2022-01-04 周晓雨 一种年糕制作用糯米捶打装置
CN114083676A (zh) * 2021-12-07 2022-02-25 周丽寅 一种自动化陶瓷练泥设备
CN114158759A (zh) * 2021-11-12 2022-03-11 杨家俊 一种糍粑制作时敲击成型设备
CN114365859A (zh) * 2021-12-31 2022-04-19 岳西县龙之谷农林发展有限公司 一种农产品智能化干制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3218A (zh) * 2014-01-02 2014-03-26 李明科 一种秤砣式打年糕装置
CN105557796B (zh) * 2015-12-23 2017-10-10 温岭市创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麻糍击打加工装置
CN106174667A (zh) * 2016-06-28 2016-12-07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年糕捣舂装置
CN106538649B (zh) * 2016-11-07 2018-08-24 浙江海洋大学 一种改良结构的麻糍加工机
CN106418187B (zh) * 2016-11-07 2019-07-02 浙江海洋大学 一种麻糍加工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939A (zh) * 2013-12-10 2014-03-12 郭继朋 馒头自动上蒸笼机
CN103625939B (zh) * 2013-12-10 2016-08-17 郭继朋 馒头自动上蒸笼机
CN108094464A (zh) * 2017-12-27 2018-06-01 安徽麦德发食品有限公司 一种速食方便面加工用和面机
KR102219708B1 (ko) * 2019-12-13 2021-02-25 양혜경 숙성울금을 이용한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CN112914137A (zh) * 2021-03-11 2021-06-08 罗永� 一种拍打式糍粑捶打装置
CN113875923A (zh) * 2021-09-26 2022-01-04 周晓雨 一种年糕制作用糯米捶打装置
CN113875923B (zh) * 2021-09-26 2023-08-25 广东丽登饼业有限公司 一种年糕制作用糯米捶打装置
CN114158759A (zh) * 2021-11-12 2022-03-11 杨家俊 一种糍粑制作时敲击成型设备
CN114083676A (zh) * 2021-12-07 2022-02-25 周丽寅 一种自动化陶瓷练泥设备
CN114083676B (zh) * 2021-12-07 2023-03-10 周丽寅 一种自动化陶瓷练泥设备
CN114365859A (zh) * 2021-12-31 2022-04-19 岳西县龙之谷农林发展有限公司 一种农产品智能化干制设备
CN114365859B (zh) * 2021-12-31 2022-12-06 岳西县龙之谷农林发展有限公司 一种农产品智能化干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286B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286B1 (ko) 자동 떡방아장치
KR200466194Y1 (ko) 다편축 교반 조리 장치
CA2210225C (en) Clamshell griddle
CN103860037B (zh) 用于烹饪食品的烤架及其操作方法
CN210204469U (zh) 烹饪设备
JP2002336139A (ja) ミキサー
CN106255547B (zh) 搅拌装置
JP2018186707A (ja) 粒餡の製造装置とその使用方法
JP2014226307A (ja) 食材の竪型ミキサー
JP6172606B2 (ja) 自動製パン機
CN206923574U (zh) 一种用于制作面条的面粉搅拌装置
CN107881004A (zh) 一种芝麻炒制机
IT201800003924A1 (it) Macinino per macchina da caffè automatica
CN106614863A (zh) 用于揉搓和挤压面条的自动桌上机
CN110574801A (zh) 一种转筒式揉捻机
JP2014054380A (ja) 麺類茹で装置
JP2014030365A (ja) 食品焼成装置
KR200416633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JP2014050625A (ja) 自動製パン器
CN212545324U (zh) 一种电动压面机
CN215671676U (zh) 一种豆制品磨浆机机盖的翻转机构
CN210528489U (zh) 一种石英石或石英砂焙烧装置
KR101146924B1 (ko) 구이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크레페 외피 구이장치
CN211459861U (zh) 一种能自动翻转食物的烧烤炉
CN207768137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