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111A - 전동 차일드 락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차일드 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111A
KR20130005111A KR1020110066493A KR20110066493A KR20130005111A KR 20130005111 A KR20130005111 A KR 20130005111A KR 1020110066493 A KR1020110066493 A KR 1020110066493A KR 20110066493 A KR20110066493 A KR 20110066493A KR 20130005111 A KR20130005111 A KR 20130005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child
door 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111A/ko
Publication of KR2013000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차일드 락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차일드 락 장치는, 차일드락 또는 차일드언락을 수행하는 차일드락 구동모듈과, 도어락 또는 도어언락을 수행하는 도어락 구동모듈과, 도어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락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도어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락 신호가 입력 후 미리 정한 시간내에 도어락 신호가 재입력되면 상기 차일드락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차일드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도어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차일드 락 장치{Electronic child lock device}
본 발명은 전동 차일드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일드 락 기능 설정 시 차량 도어 제어모듈(DDM)과 연동하여 전동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락 제어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차일드 락과 언락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차일드 락(Child lock) 장치는 뒷좌석에 어린아이가 탑승하는 경우에 아이들이 무심코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당기더라도 차량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잠금장치의 링크 연결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차일드 락 장치가 잠김 상태인 경우에는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당기더라도 차량의 도어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없어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것이고 해제 상태인 경우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통해서 도어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평상시의 상태이다.
이에, 차일드 락을 설정하면 차량 내 인사이드 도어핸들로는 열리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타인이 열어주거나, 운전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언락을 설정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일드 락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는 차량 도어의 도어잠금장치 부근에 장착되어 있어, 조작레버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빨을 멀리 뻗거나 몸을 숙여 조작레버를 더듬더듬 찾아서 작동시켜야 한다. 또한, 운전자가 손으로 조작레버를 찾더라도 손으로 조작하기가 여의치 않아 열쇠나 별도의 물건을 이용하여 조작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처럼 차일드 락 조작레버의 조작이 번거로워 차일드 락을 이용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율이 높고, 운전자가 운전중에 차일드 락 또는 언락을 조작하기 위해 몸을 숙이거나 팔을 뻗는 경우 운전에 방해를 주어 안전운전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락 제어 버튼을 이용한 전동식 차일드 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차일드 락 장치는, 차일드락 또는 차일드언락을 수행하는 차일드락 구동모듈과, 도어락 또는 도어언락을 수행하는 도어락 구동모듈과, 도어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락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도어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락 신호가 입력 후 미리 정한 시간내에 도어락 신호가 재입력되면 상기 차일드락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차일드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도어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신호 또는 도어언락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락 제어 리모컨과, 상기 도어락 제어 리모컨으로부터 도어락 신호 또는 도어언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도어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차량 바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도어언락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일드락 구동모듈 및 상기 도어락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차일드 언락 및 도어언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일드락 구동모듈은, 차일드 언락 시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잠금장치의 링크를 연결시키고, 차일드 락 시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잠금장치의 링크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구동레버과, 상기 구동레버를 움직이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차량 도어 제어모듈로부터 정방향 신호가 인가되면 시계방향으로 움직여 차일드 락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 도어 제어모듈로부터 역방향 신호가 인가되면 시계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차일드 언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동 차일드 락의 조작이 용이하여 차일드 락 설정 빈도율이 높아져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차일드 락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차일드락 구동모듈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차일드 락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교통수단 또는 그와 유사한 용어는 스포츠 기능 차량(SUV), 버스, 트럭, 다양한 상업차량을 포함하는 승용 자동차, 다양한 보트와 배를 포함하는 워터크래프트(watercraft), 에어크래프트(aircraft) 등등과 같은 모터 차량, 하이브리드(hybrid) 차량, 전기차량,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량, 수소(hydrogen-powered)차량, 그밖의 다른 연료를 이용하는 차량(예를 들어, 석유외의 연료를 이용하는 차량)들을 포함한다. 특히, 상술한 하이브리드 차량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자원(예를 들어, 가솔린과 전기 에너지 둘다 이용하는 차량)을 이용한 차량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차일드 락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차일들 락 장치는 차량 도어 제어모듈(100), 도어락 제어버튼(200), 도어락 제어 리모컨(300), 차량 바디 제어모듈(400), 도어락 구동 모듈(500) 및 차일드 락 구동모듈(600)을 구비한다.
차량 도어 제어모듈(DDM;driver door module:100)은 도어락 제어버튼(200)으로부터 도어락 신호 또는 도어언락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락 구동 모듈(500)을 제어하여 도어락 또는 도어언락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어락 제어버튼(200)은 1회 눌려지면 도어락 신호를 출력하고, 2회 눌려지면 도어언락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도어락 제어버튼(200)은 도어락 버튼과 도어언락 버튼을 구분하여 구비할 수 있다.
도어락 제어 리모컨(300)은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눌려지면 도어락 신호 또는 도어언락 신호를 출력한다.
차량 바디 제어모듈(BCM;body control module;400)은 도어락 제어 리모컨(300)으로부터 도어락 신호 또는 도어언락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 도어 제어모듈(100)로 전달한다.
도어락 구동 모듈(500)은 차량 도어 제어모듈(100)에 의해 제어되어 도어락 또는 도어언락을 수행한다.
차일드 락 구동모듈(600)은 차량 도어 제어모듈(100)에 의해 제어되어 차일드락 또는 차일드언락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차일드 락 구동모듈(600)은 도 2와 같이 모터(610), 모터톱니(620), 레버톱니(630), 구동레버(620)를 구비한다.
모터(610)는 차량 도어 제어모듈(100)로부터 정방향 신호가 인가되면 시계방향으로 움직여 모터톱니(6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모터톱니(620)에 맞물려있는 레버톱니(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레버(640)가 오른쪽으로 움직여 인사이드 핸들(미도시)과 도어 잠금장치(미도시)의 링크의 연결을 해제시킴으로써 차일드 락이 수행된다.
한편, 차량 도어 제어모듈(100)로부터 역방향 신호가 인가되면 시계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모터톱니(62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모터톱니(620)에 맞물려있는 레버톱니(63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레버(640)가 왼쪽으로 움직여 인사이드 핸들(미도시)과 도어 잠금장치(미도시)의 링크를 연결시킴으로써 차일드 언락이 수행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차일드 락 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 도어 제어모듈(100)은 도어락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도어 언락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S101), 도어언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어락 구동모듈(500) 및 차일드락 구동모듈(600)을 구동하여 도어 언락 및 차일드 언락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S102).
한편, 도어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 도어 제어모듈(100)은 도어락 구동모듈(500)을 구동하여 도어락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S103).
그 후, 차량 도어 제어모듈(100)은 미리 설정된 시간(예, 5초)이내에 도어락 신호가 재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04), 도어락신호가 재입력된 경우 차일드 락 구동모듈(600)을 제어하여 차일드 락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S105).
이와같이, 본 발명은 도어 락 버튼을 1회 누른 후 5초 이내로 한번 더 입력되면 차일드 락의 신호가 인가되어 차일드 락을 수행하고, 도어언락 버튼을 누르면 도어 언락 신호가 출력되면서 도어 언락과 차일드 언락을 같이 수행한다.
이와같이, 차량 도어 제어모듈은 차일드 락 실행을 위한 정방향 신호가 입력되면 전동 차일드 락 모터를 시계방향으로 움직여 차일드 락을 실행한다. 한편, 차량 도어 제어모듈은 언락 실행을 위한 역방향 신호가 입력되면 전동 차일드 락 모터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차일드 언락을 실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 도어 제어모듈
200 : 도어락 제어버튼
300 : 도어락 제어 리모컨
400 : 차량 바디 제어 모듈
500 : 도어락 구동 모듈
600 ; 차일드락 구동 모듈
610 : 모터
620 : 모터톱니
630 : 레버톱니
640 : 구동레버

Claims (5)

  1. 차일드락 또는 차일드언락을 수행하는 차일드락 구동모듈;
    도어락 또는 도어언락을 수행하는 도어락 구동모듈; 및
    도어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락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도어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락 신호가 입력 후 미리 정한 시간내에 도어락 신호가 재입력되면 상기 차일드락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차일드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도어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전동 차일드 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신호 또는 도어언락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락 제어 리모컨; 및
    상기 도어락 제어 리모컨으로부터 도어락 신호 또는 도어언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도어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차량 바디 제어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일드 락 장치.
  3.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언락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일드락 구동모듈 및 상기 도어락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차일드 언락 및 도어언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일드 락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락 구동모듈은,
    차일드 언락 시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잠금장치의 링크를 연결시키고, 차일드 락 시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잠금장치의 링크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구동레버; 및
    상기 구동레버를 움직이는 모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일드 락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차량 도어 제어모듈로부터 정방향 신호가 인가되면 시계방향으로 움직여 차일드 락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 도어 제어모듈로부터 역방향 신호가 인가되면 시계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차일드 언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일드 락 장치.
KR1020110066493A 2011-07-05 2011-07-05 전동 차일드 락 장치 KR20130005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493A KR20130005111A (ko) 2011-07-05 2011-07-05 전동 차일드 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493A KR20130005111A (ko) 2011-07-05 2011-07-05 전동 차일드 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11A true KR20130005111A (ko) 2013-01-15

Family

ID=4783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493A KR20130005111A (ko) 2011-07-05 2011-07-05 전동 차일드 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1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4975A (zh) * 2014-04-18 2015-11-1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车门接合检测
CN107605277A (zh) * 2017-10-31 2018-01-19 无锡瑞林控制软件有限公司 电子儿保机构
US10208514B2 (en) 2017-03-22 2019-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ock transition method and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4975A (zh) * 2014-04-18 2015-11-1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车门接合检测
CN105034975B (zh) * 2014-04-18 2019-01-1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车门接合检测
US10208514B2 (en) 2017-03-22 2019-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ock transition method and assembly
CN107605277A (zh) * 2017-10-31 2018-01-19 无锡瑞林控制软件有限公司 电子儿保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2669B2 (ja) 車両エントリー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US10125524B2 (en) Vehicle door latch control device
US10358845B2 (en) Automobile door locking device
WO2016132464A1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EP2902574B1 (en) Vehicle door latch controller
CN104816610A (zh) 车辆的门装置
JP5812186B2 (ja)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と携帯リモコンキー
WO2018116383A1 (ja) 携帯端末及び車両の遠隔操作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8035649B (zh) 列车车门控制系统以及列车
US85386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movement capability and/or a closure device
KR101896711B1 (ko) 능동형 도어락 시스템
CN101746332B (zh) 汽车车锁的控制方法
US20140114539A1 (en) Vehicular power source control apparatus
KR20130005111A (ko) 전동 차일드 락 장치
JP2018516325A (ja) 自動車ドアラッチを制御する方法
WO2022213874A1 (zh) 车辆的快捷启动的方法及装置
KR20210035436A (ko)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JP2013121752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140353986A1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for a vehicle door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locking system for a vehicle door
JPH1059132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21146855A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用プログラム
KR100719748B1 (ko) 자동차 시동 장치
CN112141019B (zh) 车辆起动机构
KR101916457B1 (ko) 차량 테일 게이트의 전자식 개폐장치
KR101000134B1 (ko) 차량 도어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