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748B1 - 자동차 시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748B1
KR100719748B1 KR1020060022666A KR20060022666A KR100719748B1 KR 100719748 B1 KR100719748 B1 KR 100719748B1 KR 1020060022666 A KR1020060022666 A KR 1020060022666A KR 20060022666 A KR20060022666 A KR 20060022666A KR 100719748 B1 KR100719748 B1 KR 10071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ine
control signal
output
vehic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무석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식 이그니션키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시동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식 이그니션 록 스위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자동자를 시동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리셋 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를 통해 각각의 전장품,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가 초기 구동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오 동작하는 경우 상기 출력 구동부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신호들에 의해 전장품,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므로 안전하게 자동차를 시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자동차, 마이크로프로세서, 버튼식 이그니션 키

Description

자동차 시동 장치{APPARATUS FOR IGNITING CAR}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이그니션 록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동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각 부의 출력 신호를 보인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이그니션 록 스위치 30 : 마이크로프로세서
50 : 통신 인터페이스부 70 : 출력 구동부
본 발명은 자동차 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식 이그니션 키를 가지는 자동차를 안전하게 시동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그니션 록 스위치는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스타트스위치라고도 불리운다. 이와 같은, 이그니션록스위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휠(2)과 연결된 조향축(3)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그 전면의 열쇠구멍을 통해 운전자가 시동키를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이그니션록스위치(1)는 상기 조향축(3)의 잠금장치와 일체로 구성 되면서 조향축(3)상에 고정설치되는 이그니션록바디(11)와, 일단이 상기 이그니션록바디(11)의 전면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일체로 결합되고 대시패널을 관통하여 실내측으로 위치되는 타단의 전면에는 시동키가 꽂혀지는 키홈(12a)이 형성되는 이그니션록실린더(12)와, 이 이그니션록실린더(12)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는 소정두께의 실린더커버(13)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향축(3)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장치는 이그니션록바디(11)내에 일체로 구성되며 시동키를 이용해 이그니션록실린더(12)를 회전시킬 때 조향축(3)으로부터 삽탈되면서 조향축(3)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이그니션록실린더(12)의 키 홈(12a)으로 시동키를 꽂은 다 음 엔진의 시동이 걸리는 방향으로 시동키를 회전시켜 주게 되면, 순차적으로 액세서리(ACC;전장품)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ON)에 전원이 인가되며 이후 시동장치(ST)에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의 시동이 걸려지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면 이와 동시에 조향축(3)의 회전을 제어하던 잠금장치가 해제되게 되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상기 조향휠(2)을 회전시켜 가면서 차량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운전이 종료된 후 차량을 주정차시키기 위해 상기 이그니션록실린더(12)의 키홈(12a)에 꽂혀진 시동키를 엔진의 시동이 꺼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순차적으로 시동장치(ST)로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시동이 오프(OFF)되고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ON)의 전원이 오프되며 최종적으로 액세서리(ACC;전장 품)의 전원이 오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이그니션 록 스위치(1)는 운전자가 이그니션록실린더(12)의 키 홈(12a)으로 시동키를 꽂은 다 음 엔진의 시동이 걸리는 방향으로 시동키를 회전시켜 전장품(ACC), 제어장치 및 구동 장치(ON) 및 시동 장치(ST)를 순차적으로 동작하므로, 이그니션 록 스위치(1)의 조작이 매우 어렵고, 특히 시력이 약한 노약자의 경우 상기 이그니션록실린더(12)를 홈(12a)을 삽입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튼식 이그니션 록 스위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자동자를 시동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리셋 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를 통해 각각의 전장품,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가 초기 구동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오동작하는 경우 상기 출력 구동부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신호들에 의해 전장품,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므로 안전하게 자동차를 시동할 수 있는 자동차 시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동 장치는,
자동차의 대쉬 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버튼식 이그니션 록 스위치;
상기 이그니션 록 스위치의 입력이 수신될 때 직렬 통신을 활성하기 위한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와 통신 라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2 통신 라인 제어 신호를 각각 발생하고,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를 각각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삭제
상기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를 통해 직렬 통신 라인을 활성화한 후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라인 제어 신호를 통해 통신 라인을 활성화한 후 제2 및 제3 제어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직렬 통신 라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를 제1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1 지연기와, 상기 제1 지연기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와,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1 제어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출력 구동부로 공급하는 제1 오아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라인을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라인 제어신호를 제2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2 지연기와, 상기 제2 지연기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2 반전기와,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출력 구동부로 공급하는 제2 오아 게이트와,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3 제어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출력 구동부로 공급하는 제3 오아 게이트를 포함함,;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장품, 상기 구동 장치,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시동 장치를 초기 동작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출력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식 이그니션 록 스위치를 통해 신호가 입력될 때 각각의 전장품,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 순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버튼의 누름으로 인해 자동차를 시동할 수 있어 자동차의 시동 조작이 간단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동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동 장치는, 이그니션 록 스위치(10), 마이크로프로세서(30), 통신 인터페이스부(50), 및 출력 구동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그니션록 스위치(10) 자동차의 대쉬 보드의 소정 위치에 설 치되는 버튼 타입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통상 하나의 입력 포트와 5개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버튼 이그니션 록 스위치의 입력이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될 때 직렬 통신을 활성하기 위한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Contl1)와 통신 라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2 통신 라인 제어 신호(Contl2)를 발생하고, 자동차의 구동 장치(IGN1)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RY)를 동작시키는 제1 제어신호(OUT1), 자동차의 제어 장치(IGN2)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OUT2), 및 시동 장치(ST)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OUT3)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상기 제1 제어신호(OUT1), 제2 제어신호(OUT2), 및 제3 제어신호(OUT3)를 저장하는 메모리(EPROM)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장치(IGN1)는 통상적으로 엔진 시동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장치로서, 일 예로 엔진 제어 유닛(ECU),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ABS), BCM, TCU 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IGN2)는 엔진의 시동과 무관하게 동작하는 장치로서, 일 예로 와이퍼, 원도우 등을 포함한다.
이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는 상기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Contl1)를 통해 직렬 통신 라인을 활성화한 후 활성화된 직렬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구동 장치(IGN1)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OUT1)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라인 제어 신호(Contl2)를 통해 통신 라인을 활성화한 후 활성화된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제어신호(OUT2) 및 제3 제어신호(OUT3)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는 상기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Contl1)를 제1 소정 시간(TD1) 지연시키는 제1 지연기(D1)와, 상기 제1 지연기(D1)의 출력 신 호를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INV1)와, 상기 제1 반전기(INV1)의 출력 신호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의 제1 제어 신호(OUT1)를 논리합하여 상기 출력 구동부(70)로 공급하는 제1 오아 게이트(OR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는, 상기 통신 라인을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라인 제어신호(Contl2)를 제2 소정 시간(TD2) 지연시키는 제2 지연기(D2)와, 상기 제2 지연기(D2)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2 반전기(INV2)와, 상기 제2 반전기(INV2)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OUT2)를 논리합하여 상기 출력 구동부(70)로 공급하는 제2 오아게이트(OR2)와, 상기 제2 반전기(INV2)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3 제어신호(OUT3)를 논리합하여 상기 출력 구동부(70)로 공급하는 제3 오아게이트(OR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출력 구동부(70)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의 제1 오아 게이트(OR1)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 전장품(ACC)과 릴레이(RY)에 공급하고, 상기 제2 오아 게이트(OR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장치(IGN2)로 공급하며, 상기 제3 오아 게이트(OR3)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동 장치(ST)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출력 구동부(70)는 상기 전장품(ACC), 구동 장치(IGN1), 제어 장치(IGN2), 및 시동 장치(ST)를 공급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레지스터(REG)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이 실시 예에서는 통상 구동 장치는 연료 펌프 등의 장치를 말하며, 이 경우 상기 출력 구동부(70)와 릴레이(RY1) 사이에 연료 차단 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료 차단 스위치는 통상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임의로 연료 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동 장치에 있어서, 우선 상기 이그니션록 스위치(10)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Contl1)를 발생한다.
상기 제1 통신 라인 제어신호(Contl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의 제1 지연기(D1)를 통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TD1) 지연된 후 제1 반전기(INV1)에 공급되고, 상기 제1 반전기(INV1)는 상기 도 3의 B)에 도시된 제1 지연기(D1)의 출력 신호를 반전한 후 제1 오아 게이트(OR1)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제어신호(OUT1)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OUT1) 및 제1 반전기(INV1)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1 오아 게이트(OR1)를 통해 논리합된다. 상기 제1 오아 게이트(OR1)의 출력 신호는 제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1 오아게이트(OR1)의 출력 신호가 출력 구동부(70)에 공급되는 동안 상기 구동 장치(IGN1)를 동작시키기 위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의 데이터가 직렬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출력 구동부(70)로 공급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의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출력 구동부(70)는 이 데이터는 전장품(ACC) 및 릴레이(RY) 각각 공급되며, 이 데이터에 따라 전장품(ACC)은 초기 동작하고, 상기 릴레이(RY)의 동작에 따라 구동 장치(IGN1)가 초기 동작된다.
이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 라인 제어 신호(Contl2)를 발생하고, 상기 제2 통신 라인 제어신호(Contl2)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의 제2 지연기(D2)를 통해 도 3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 정 시간(TD2) 지연된 후 제2 반전기(INV2)에 공급되고, 상기 제2 반전기(INV2)는 상기 제2 지연기(D2)의 출력 신호를 반전한 후 제2 오아 게이트(OR2)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도 3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제어신호(OUT2)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OUT2) 및 제2 반전기(INV2)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2 오아 게이트(OR2)를 통해 논리합된다. 상기 제2 오아 게이트(OR2)의 출력 신호는 제 3의 H)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2 오아게이트(OR2)의 출력 신호를 수신한 상기 출력 구동부(70)는 상기 제어 장치(IGN2)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어 장치(IGN)는 초기 제어된다.
이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도 3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제어신호(OUT3)를 출력하고, 상기 제3 제어신호(OUT3) 및 제2 반전기(INV2)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3 오아 게이트(OR3)를 통해 논리합된다. 상기 제3 오아 게이트(OR3)의 출력 신호는 제 3의 J)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3 오아게이트(OR3)의 출력 신호를 수신한 상기 출력 구동부(70)는 상기 스타트 모터인 시동 장치(ST)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시동 장치(ST)는 소정 시간 동안 회전 후 정지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가 리셋(RESET)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EPROM)에 저장된 제1 제어신호(OUT1)(OUT2)(OUT3)를 순차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출력 구동부(70)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전송된 메모리(EPROM)의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각의 전장품(ACC), 구동 장치(IGN1), 제어 장치(IGN2), 및 시동 장치(ST)를 초기 동작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가 오동작하는 경우 상기 출력 구동부(70)의 레지스터(REG)에 저장된 신호들이 전장품(ACC), 구동 장치(IGN1), 제어 장치(IGN2), 및 시동 장치(ST)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므로 각각 전장품(ACC), 구동 장치(IGN1), 제어 장치(IGN2), 및 시동 장치(ST)는 초기 구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동 장치는, 버튼식 이그니션록 스위치를 통해 신호가 입력될 때 각각의 전장품,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 순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버튼의 누름으로 인해 자동차를 시동할 수 있어 자동차의 시동 조작이 간단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리셋 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을 통해 각각의 전장품,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가 초기 구동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오동작하는 경우 상기 출력 구동부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신호들에 의해 전장품,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므로 안전하게 자동차를 시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자동차의 대쉬 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버튼식 이그니션 록 스위치;
    상기 버튼 이그니션 록 스위치의 입력이 수신될 때 직렬 통신을 활성하기 위한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와 통신 라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2 통신 라인 제어 신호를 각각 발생하고,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동 장치를 각각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를 통해 직렬 통신 라인을 활성화한 후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라인 제어 신호를 통해 통신 라인을 활성화한 후 제2 및 제3 제어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직렬 통신 라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라인 제어 신호를 제1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1 지연기와, 상기 제1 지연기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와,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1 제어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출력 구동부로 공급하는 제1 오아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라인을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라인 제어신호를 제2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2 지연기와, 상기 제2 지연기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2 반전기와,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출력 구동부로 공급하는 제2 오아게이트와,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3 제어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출력 구동부로 공급하는 제3 오아게이트를 포함함 ;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장품, 상기 구동 장치,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시동 장치를 초기 동작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출력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60022666A 2006-03-10 2006-03-10 자동차 시동 장치 KR10071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666A KR100719748B1 (ko) 2006-03-10 2006-03-10 자동차 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666A KR100719748B1 (ko) 2006-03-10 2006-03-10 자동차 시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748B1 true KR100719748B1 (ko) 2007-05-17

Family

ID=3827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666A KR100719748B1 (ko) 2006-03-10 2006-03-10 자동차 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693B1 (ko) * 2007-06-22 2008-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버튼식 시동장치
KR100954215B1 (ko) 2008-04-11 2010-04-22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148A (ko) * 2001-10-16 2003-04-26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의 이그니션 출력 드라이브 보호 회로
JP2005145162A (ja) 2003-11-12 2005-06-09 Calsonic Kansei Corp プッシュスタートスイッチ
JP2005299468A (ja) 2004-04-09 2005-10-27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およびエンジン始動制御方法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148A (ko) * 2001-10-16 2003-04-26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의 이그니션 출력 드라이브 보호 회로
JP2005145162A (ja) 2003-11-12 2005-06-09 Calsonic Kansei Corp プッシュスタートスイッチ
JP2005299468A (ja) 2004-04-09 2005-10-27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およびエンジン始動制御方法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693B1 (ko) * 2007-06-22 2008-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버튼식 시동장치
KR100954215B1 (ko) 2008-04-11 2010-04-22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9264B1 (en) Remote control key for vehicle
CA2502885C (en) System for remotely starting the engine of a vehicle that has a manual transmission
EP2212546B1 (en) Keyless ignition
JP2006335321A (ja) 電子式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5594432B2 (ja) ガイダンス装置、ガイダンス方法
KR100719748B1 (ko) 자동차 시동 장치
US8712647B2 (en) Steering lock driving circuit and steering lock device
JP2005261041A (ja) 駆動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自動車
CA2846976C (en) Engine non-stop warning apparatus
US8855897B2 (en)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US8569908B2 (en) Hybrid vehicle with immobilizer
KR102028627B1 (ko) 차량에 사용되는 스타트/스톱 스위치 시스템
JP2916353B2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682222B1 (ko) 자동차 시동 장치 및 방법
JP4539114B2 (ja) 駆動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自動車
KR20090007061U (ko) 리모콘키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오픈시 시동장치
JP2002104148A (ja) 自動車のパーキングロック機構を自動的に活動化する電子ユニットおよびパーキングロック機構の自動的な活動化を防止する方法
JP4235325B2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機能付遠隔始動装置
JP2003343406A (ja) エンジン始動装置の操作規制機構
JP4165032B2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KR101591776B1 (ko) 차량 도어 자동잠금 제어장치
JP6747205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H1089205A (ja) 自動車の無線始動装置
JP2006082606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KR100205581B1 (ko) 자동차 도어의 중앙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