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436A -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436A
KR20210035436A KR1020190117212A KR20190117212A KR20210035436A KR 20210035436 A KR20210035436 A KR 20210035436A KR 1020190117212 A KR1020190117212 A KR 1020190117212A KR 20190117212 A KR20190117212 A KR 20190117212A KR 20210035436 A KR20210035436 A KR 20210035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locking
gear
electric vehicl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214B1 (ko
Inventor
홍성욱
김학수
한승연
Original Assignee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2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5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량에 접속하여 충전하는 과정에서 충전설비용 충전플러그가 전기차량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플러그와 전기차량의 충전포트 간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충전 플러그의 접속 상태가 외력에 의해 쉽게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충전 시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량 충전설비의 충전플러그를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측에 차량의 중앙 제어회로 케이블 접속되는 중앙제어회로케이블 접속구를 갖고 형성되는 장치 케이스; 상기 장치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충전플러그를 록킹(locking) 및 언록킹(unlocking)하도록 구성되는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의 록킹 동작과 언록킹 동작에 연동하여 록킹과 언록킹 상태에 대한 신호를 차량의 중앙 제어 회로부로 전송하는 록킹-언록킹 상태 판별 수단; 및 상기 장치 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수밀하게 밀봉시키도록 구성되는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LOCKING-UNLOCKING DEVICE OF FOR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PLUG OF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량에 접속하여 충전하는 과정에서 충전설비용 충전플러그가 전기차량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플러그와 전기차량의 충전포트 간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충전 플러그의 접속 상태가 외력에 의해 쉽게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충전 시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 주요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감소에 대한 연구 및 투자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EV(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의 사업이다. 이하에서는 EV, HEV, PHEV, FCEV 등을 통칭하여 전기차(EV: Electric Vehicle)라 한다.
전기차(EV) 사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에서도 활발하며, 국내외 주요 자동차 생산 업체들, 배터리 제조 업체, 및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 제작 업체 등에서 보다 양질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으로 모터를 구동시켜 일정 차속 이상의 주행성을 확보하여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배기가스의 대책의 일환으로 개발된 자동차로 소음이 적고, 배기가스가 전혀 없는 장점이 있으며, 보통 전기에너지로 전동기를 구동시키고,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하는 무공해 자동차로서, 구동력에 필요한 동력원으로 배터리가 사용된다.
상기한 배터리는 차량의 저면에 다수개로 장착되며, 각각의 배터리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전동기에 필요한 적정전압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방전이나 충전 전압의 소모로 인해 충전이 필요할 경우,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충전단자에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충전기로부터 충전용 커넥터를 통해 접속되어 고부하의 충전전류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기자동차는 충전을 위하여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즉,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의 충전 케이블(또는 플러그)이 전기차(전기 자동차)의 주입구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충전 케이블(또는 충전 플러그)은 CP(Control Pilot) 신호를 입력받는 CP(Control Pilot) 포트, 전기차의 인렛에 결합(또는 근접)되어 충전준비완료 사실을 알려주는 물리적인 스위치에 해당하는 PP(Plug Present) 포트, 교류 전원(220VAC)을 인가하는 2개(L, N) 또는 3개의 전원 포트(L1, L2, L3), 및 상기 EVSE의 접지와 연결되는 보호 접지(PE : Protective Earth) 포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전기 자동차와 충전장치 간의 통신 방법은 제어신호(CP) 라인을 통한 PWM(Pulse With Modulation) 제어로 이루어지며, PWM 제어를 통해 전기자동차에서 허용 가능한 에너지의 전류 값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전 플러그는 충전을 위해 충전단자에 탈착과 장착을 반복하다 보면 마모가 발생하여 충전단자와 충전 플러그가 제대로 접속되지 않게 되어 유효 접점수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충전단자와 충전 플러그 사이의 유효 접점수가 감소함에 따라, 고부하의 충전전류가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배터리의 완충 충전시간이 증가되는 동시에, 커넥터로부터 과열이 발생하여 충전기의 시스템이 손상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7405(2011.08.1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03576(2017.11.3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32960(2013.04.0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29916(2012.03.27.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전 플러그에 사람이나 물체가 부딪히거나 충전 케이블이 건드려진 경우 등의 외력으로 인하여 충전설비용 충전플러그가 전기차량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플러그의 접속 상태가 외력에 의해 쉽게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충전플러그와 전기차량의 충전포트 간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충전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거나 충전 전압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감전, 화재,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계통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전기적 제어로 장치의 언록킹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비상 상황 시, 간단한 수동 조작으로 쉽게 언록킹시킬 수 있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기차량 충전설비의 충전플러그를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측에 차량의 중앙 제어회로 케이블 접속되는 중앙제어회로케이블 접속구를 갖고 형성되는 장치 케이스; 상기 장치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충전플러그를 록킹(locking) 및 언록킹(unlocking)하도록 구성되는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의 록킹 동작과 언록킹 동작에 연동하여 록킹과 언록킹 상태에 대한 신호를 차량의 중앙 제어 회로부로 전송하는 록킹-언록킹 상태 판별 수단; 및 상기 장치 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수밀하게 밀봉시키도록 구성되는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회전 기어; 상기 회전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 구동하는 구동기어 트레인. 및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 기어 트레인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트레인은 회전 축부가 상기 장치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안착되고, 상기 회전 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는 제1 스퍼 기어; 회전 축부가 상기 장치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안착되고, 상기 회전 기어의 타측에서 치합되는 제2 스퍼 기어; 및 회전 축부가 상기 장치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안착되고, 상기 제1 스퍼 기어에 치합되어 그 제1 스퍼 기어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랙 기어로 전달하는 제3 스퍼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퍼 기어는 일측이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소경 기어부보다 직경이 큰 대경 기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퍼 기어는 일측이 상기 회전 기어의 일측에서 그 회전 기어와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스퍼 기어의 대경 기어부와 치합되는 대경 기어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스퍼 기어는 일측이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소경 기어부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제1 스퍼 기어의 소경 기어부의 타측에 치합되는 대경 기어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케이스는 상부 개방의 함체형 하부 수용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은, 일측이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를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장치 케이스 내에 위치되어 선형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 및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는, 일면에 상기 랙 기어가 형성되는 직방형의 블록부, 및 상기 직방형의 블록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가 충전플러그의 록킹-언록킹부에 록킹 및 언록킹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판상의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의 언록킹 상태를 수동 조작으로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은,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레버, 및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으로 상기 제1 스퍼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수동회전 기어 트레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노브(knob), 및 상기 회전판의 타면 중심에서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회전 기어 트레인은, 상기 회전샤프트에 형성되는 기어치와, 내측에서 상기 기어치와 치합하는 수동회전용 스퍼 기어, 및 상기 제1 스퍼 기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동회전용 스퍼 기어와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의 동작을 단속하는 수동언록킹 단속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동언록킹 단속수단은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는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과 동일 선상으로 상기 장치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2 구멍과, 상기 제1 구멍과 제2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언록킹 로드 및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가 상기 제1 구멍과 제2 구멍으로 들어가고, 그 제1 구멍과 제2 구멍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구동시키는 록킹-언록킹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언록킹부재 구동수단은 차량 실내 측에 구비되는 수동조작 버튼의 실행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를 전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로 구성되거나, 차량 실내 측에 구비되는 당김 조작 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를 당기고 복원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구동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킹-언록킹 상태 판별 수단은, 상기 돌출편 측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의 록킹 동작과 언록킹 동작에 연동하여 접촉하고 접촉해제되는 컨텍 접점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와 상부 커버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밀봉 부재와,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의 로드부가 관통하는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의 관통부에 구비되는 제2 밀봉 부재, 및 상기 회전샤프트가 관통하는 케이스의 관통부에 구비되는 제3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전기차량에 접속하여 충전하는 과정에서, 충전 플러그에 사람이나 물체가 부딪히거나 충전 케이블이 건드려진 경우 등의 외력으로 인하여 충전설비용 충전플러그가 전기차량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충전플러그와 전기차량의 충전포트 간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균일한 충전 전압 유지와 안정적인 충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충전 플러그의 헐거움이나 분리로 인한 감전, 화재, 폭발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어계통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전기적 제어로 장치의 언록킹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비상 상황 시, 간단한 수동 조작으로 쉽게 언록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부 커버 케이스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구성하는 언록킹 비상 수동조작 수단의 구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구성하는 밀봉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의 전력 회로 계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부 커버 케이스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구성하는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의 구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를 구성하는 밀봉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의 전력 회로 계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는, 크게 장치 케이스(100); 구동 모터(200);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400); 록킹-언록킹 상태 판별 수단(500); 및 밀봉 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차량 충전설비의 충전플러그를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측에 차량의 중앙 제어회로 케이블 접속되는 중앙제어회로케이블 접속구(111)를 갖고 형성되는 장치 케이스(100); 상기 장치 케이스(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모터(200);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충전플러그를 록킹(locking) 및 언록킹(unlocking)하도록 구성되는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 상기 구동 모터(200)의 정역회전 구동력을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으로 전달하며,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록킹 시, 언록킹 방향으로의 동작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400);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록킹 동작과 언록킹 동작에 연동하여 그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록킹과 언록킹 상태에 대한 신호를 차량의 중앙 제어 회로부로 전송하는 록킹-언록킹 상태 판별 수단(500); 및 상기 장치 케이스(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수밀하게 밀봉시키도록 구성되는 밀봉 수단(60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케이스(100)는, 차량의 중앙 제어회로 케이블이 접속되도록 일측에 중앙제어회로케이블 접속구(111)가 형성되며, 상부 개방되어 형성되는 함체형의 하부 수용 케이스(110); 및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제어회로케이블 접속구(111)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중앙 제어회로 케이블이 전기 및 회로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112)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 단자(112)는 전기회로모듈을 통해 하부 수용 케이스(110)에 수용 장착되는 구성부들(즉, 구동 모터와 록킹로드구동 컨택 스위치)과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1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성부들이 제 위치에 안착되고, 또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지지편(113)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기 장치 케이스(100)의 하부 수용 케이스(110)와 상부 커버 케이스(120) 사이에는 그 장치 케이스(100)의 내부를 수밀하게 밀봉시키는 밀봉 수단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 모터(200)는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차량의 중앙 제어회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정역회전구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 모터(200)의 정역 회전 구동은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400)을 거쳐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으로 전달되어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을 구동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은, 일측은 상기 장치 케이스(100)(장치 케이스(100)의 하부 수용 케이스(110))를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장치 케이스(10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모터(200)의 정역 회전 구동력을 상기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400)을 통해 전달받아 선형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 및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와 장치 케이스(100)의 하부 수용 케이스(110) 간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는, 소정 직방형의 블록부(311), 및 상기 직방형의 블록부(311)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단부가 충전플러그의 록킹-언록킹부(예를 들면, 록킹-언록킹 홈)에 록킹 및 언록킹되는 로드부(312)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블록부(311)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400)을 구성하는 일 구성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계속해서, 상기 가이드 부재(320)는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의 양 측부(구체적으로는, 블록부(31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판상의 돌출편(321), 및 상기 돌출편(321)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110)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32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322)은 중앙부에 슬롯(slot) 형태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을 따라 상기 돌출편(321)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가 하부 수용 케이스(110)에서 외부로 관통되는 관통 부분에는 그 장치 케이스(100)의 내부를 수밀하게 밀봉시키는 밀봉 수단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400)은,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력을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으로 전달하며,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록킹 시, 특정의 구동기어 트레인 배열 구조를 통해 언록킹 방향으로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400)은,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회전 기어(410)와, 상기 회전 기어(410)와 치합(기어 결합)되어 회전 구동하는 구동기어 트레인(421, 422, 423) 및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의 블록부(311)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기어 트레인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랙 기어(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 기어트레인은 회전 축부가 하부 수용 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안착되고, 상기 회전 기어(410)의 일측에 치합되는 제1 스퍼 기어(spur gear)(421)와, 회전 축부가 하부 수용 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안착되고, 상기 회전 기어(410)의 타측에서 치합되는 제2 스퍼 기어(422), 및 회전 축부가 하부 수용 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안착되고 상기 제1 스퍼 기어(421)에 치합되어 그 제1 스퍼 기어(421)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랙 기어(430)로 전달하는 제3 스퍼 기어(4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스퍼 기어(421)는 일측이 상기 회전 기어(410)에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제1 소경 기어부)(421a)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소경 기어부(421a)보다 직경이 큰 대경 기어부(421b)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스퍼 기어(422)는 일측이 상기 회전 기어(410)의 일측에서 그 회전 기어(410)와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422a)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스퍼 기어(421)의 대경 기어부(421b)와 치합되는 대경 기어부(422b)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스퍼 기어(423)는 일측이 상기 랙 기어(430)에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423a)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소경 기어부(423a)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제1 스퍼 기어(421)의 소경 기어부(제1 소경 기어부)(421a)의 타측에 치합되는 대경 기어부(423a)로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선형이동거리(즉, 스트로크(stroke) 거리)는 매우 짧은 거리에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3 스퍼 기어(423)의 대경 기어부(423b)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기어치들의 형성 각도 범위가 90°범위 전후로 형성되거나,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어 트레인에서 상기 제1 스퍼 기어(421)는 회전 기어(410)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면서도 그 회전 기어(410)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스퍼 기어(422)는 회전 기어(410)의 일측을 지지하게 구성됨으로써, 회전 기어(4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그 회전 기어(410)의 회전 구동력이 확실하고 신뢰성있게 전달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록킹-언록킹 상태 판별 수단(500)은,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록킹 동작과 언록킹 동작에 연동하여 그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록킹과 언록킹 상태에 대한 신호를 차량의 중앙 제어 회로부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의 블록부(311)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편(321) 측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록킹 동작과 언록킹 동작에 컨텍 접점하는 컨텍 접점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텍 접점 스위치는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선형 이동으로 록킹 상태에서는 접점되어 온(ON) 신호를 전달하고, 언록킹 상태에서는 접점 해제되어 오프(OFF)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밀봉 수단(600)은 장치 케이스(100)를 외부로부터 수밀하게 밀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치 케이스(100)의 하부 수용 케이스(110)와 상부 커버 케이스(12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밀봉 부재(610), 및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가 관통하는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110)의 관통부(101)에 구비되는 제2 밀봉 부재(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밀봉 부재(610)는 상기 상부 커버 케이스(12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밀봉 부재(610)는 실리콘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밀봉 부재(620)는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310)의 로드부(312)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110)의 관통부(101)를 패킹하여 구비되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의 패킹체(packing bod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 수단(60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을 구성하는 회전 레버(710)의 회전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부에 구비되는 오-링(O-ring) 형태의 제3 밀봉 부재(630)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는,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언록킹 상태를 수동 조작으로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은,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레버(710), 및 상기 회전 레버(710)의 회전으로 상기 제1 스퍼 기어(421)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수동회전 기어 트레인(721, 722, 7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은 상기 회전 레버(710)를 원위치(록킹 회전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원 부재(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레버(710)는, 하부 수용 케이스(120)의 외부에 구비되는 회전판(711)과, 상기 회전판(711)의 일면(노출면)에 형성되는 노브(knob)(712), 및 상기 회전판(711)의 타면 중심에서 하부 수용 케이스(11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샤프트(7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레버(710)는 그 회전 레버(710)에 연결되는 수동 조작 수단에 의해 차량 실내 측에서 운전자의 수동 조작으로 회전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회전 레버(710)의 노브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량 실내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차량 실내 측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수동 조작 레버(또는 수동 조작 노브)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샤프트(713)가 관통하는 하부 수용 케이스(110)의 관통부(102)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713)와 관통부(102) 간을 수밀하게 밀봉하기 위한 제3 밀봉 부재(630)가 구비된다.
상기 수동회전 기어 트레인(721, 722, 723)은, 상기 회전 레버(710)의 회전샤프트(713)에 형성되는 기어치(721)와, 내측에서 상기 기어치(721)와 치합하는 수동회전용 스퍼 기어(722), 및 상기 제1 소경 기어부(421a)가 형성되는 반대면의 제1 스퍼 기어(420)에 형성되어 상기 수동회전용 스퍼 기어(722)와 치합되는 제2 소경 기어부(7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은, 제어계통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전기적 제어로 장치의 언록킹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비상 상황 시, 수동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회전 레버(710)를 회전시킴으로써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30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전기차량의 충전구로부터 충전플러그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는,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의 동작을 단속하는 수동언록킹 단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동언록킹 단속수단은, 회전판(711)에 형성되는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과 동일 선상으로 상기 장치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제2 구멍과, 상기 제1 구멍과 제2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언록킹 로드 및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가 상기 제1 구멍과 제2 구멍으로 들어가고, 그 제1 구멍과 제2 구멍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구동시키는 록킹-언록킹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언록킹부재 구동수단은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언록킹부재 구동수단은 차량 실내 측에 구비되는 수동조작 버튼의 실행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를 전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조작 버튼과 솔레노이드 구동장치에는 상시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동조작 버튼은 수동조작 레버(수동조작 노브)에 일체로 형성되는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 스위치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의 수동조작 레버를 조작할 때 일차적으로 수동조작 버튼을 누르게 되면 록킹-언록킹 로드가 제1 구멍과 제2 구멍에서 빠져나와 회전 레버(71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고, 이후 수동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록킹-언록킹 구동수단은 기계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가 제1 구멍과 제2 구멍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량 실내 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회전 링크,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수동조작 레버(수동조작 노브)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일체로 구성되는 당김 조작 레버(예를 들면, 고리형 조작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리형 조작 레버는 수동조작 레버의 하부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수동조작 레버(예를 들면, T자형 레버)를 당기는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상기 록킹-언록킹 구동수단 또한, 운전자가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의 수동조작 레버를 조작할 때 일차적으로 당김 조작 레버를 당기게 되면 록킹-언록킹 로드가 제1 구멍과 제2 구멍에서 빠져나와 회전 레버(710)가 회전 가능한 상태한 상태에서, 이후 수동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700)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에 따르면, 전기차량에 접속하여 충전하는 과정에서, 충전 플러그에 사람이나 물체가 부딪히거나 충전 케이블이 건드려진 경우 등의 외력으로 인하여 충전설비용 충전플러그가 전기차량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충전플러그와 전기차량의 충전포트 간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균일한 충전 전압 유지와 안정적인 충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충전 플러그의 헐거움이나 분리로 인한 감전, 화재, 폭발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계통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전기적 제어로 장치의 언록킹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비상 상황 시, 간단한 수동 조작으로 쉽게 언록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장치 케이스
101, 102: 관통부
110: 하부 수용 케이스
111: 중앙제어회로케이블 접속구
112: 접속 단자
113: 지지편
120: 상부 커버 케이스
200: 구동 모터
300: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
310: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
311: 블록부
312: 로드부
320: 가이드 부재
321: 돌출편
322: 가이드 레일
400: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
410: 회전 기어
421: 제1 스퍼 기어
421a, 422a, 423a: 소경 기어부(제1 소경 기어부)
421b, 422b, 423b: 대경 기어부
422: 제2 스퍼 기어
423: 제3 스퍼 기어
430: 랙 기어
500: 록킹-언록킹 상태 판별 수단(컨텍 접점 스위치)
600: 밀봉 수단
610: 제1 밀봉 부재
620: 제2 밀봉 부재
630: 제3 밀봉 부재
700: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
710: 회전 레버
711: 회전판
712: 노브
713: 회전샤프트
721: 기어치
722: 수동회전용 스퍼 기어
723: 제2 소경 기어부

Claims (12)

  1. 전기차량 충전설비의 충전플러그를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측에 차량의 중앙 제어회로 케이블 접속되는 중앙제어회로케이블 접속구를 갖고 형성되는 장치 케이스;
    상기 장치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충전플러그를 록킹(locking) 및 언록킹(unlocking)하도록 구성되는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의 록킹 동작과 언록킹 동작에 연동하여 록킹과 언록킹 상태에 대한 신호를 차량의 중앙 제어 회로부로 전송하는 록킹-언록킹 상태 판별 수단; 및
    상기 장치 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수밀하게 밀봉시키도록 구성되는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회전 기어;
    상기 회전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 구동하는 구동기어 트레인. 및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 기어 트레인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트레인은
    회전 축부가 상기 장치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안착되고, 상기 회전 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는 제1 스퍼 기어;
    회전 축부가 상기 장치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안착되고, 상기 회전 기어의 타측에서 치합되는 제2 스퍼 기어; 및
    회전 축부가 상기 장치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안착되고, 상기 제1 스퍼 기어에 치합되어 그 제1 스퍼 기어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랙 기어로 전달하는 제3 스퍼 기어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퍼 기어는 일측이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소경 기어부보다 직경이 큰 대경 기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퍼 기어는 일측이 상기 회전 기어의 일측에서 그 회전 기어와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스퍼 기어의 대경 기어부와 치합되는 대경 기어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스퍼 기어는 일측이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소경 기어부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제1 스퍼 기어의 소경 기어부의 타측에 치합되는 대경 기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케이스는 상부 개방의 함체형 하부 수용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은, 일측이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를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장치 케이스 내에 위치되어 선형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 및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는, 일면에 상기 랙 기어가 형성되는 직방형의 블록부, 및 상기 직방형의 블록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가 충전플러그의 록킹-언록킹부에 록킹 및 언록킹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판상의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의 언록킹 상태를 수동 조작으로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은,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레버, 및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으로 상기 제1 스퍼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수동회전 기어 트레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노브(knob), 및 상기 회전판의 타면 중심에서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회전 기어 트레인은, 상기 회전샤프트에 형성되는 기어치와, 내측에서 상기 기어치와 치합하는 수동회전용 스퍼 기어, 및 상기 제1 스퍼 기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동회전용 스퍼 기어와 치합되는 소경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수동 언록킹 해제 수단의 동작을 단속하는 수동언록킹 단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언록킹 단속수단은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는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과 동일 선상으로 상기 장치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2 구멍과, 상기 제1 구멍과 제2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언록킹 로드 및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가 상기 제1 구멍과 제2 구멍으로 들어가고, 그 제1 구멍과 제2 구멍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구동시키는 록킹-언록킹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언록킹부재 구동수단은 차량 실내 측에 구비되는 수동조작 버튼의 실행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를 전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로 구성되거나, 차량 실내 측에 구비되는 당김 조작 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를 당기고 복원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언록킹 상태 판별 수단은, 상기 돌출편 측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플러그 록킹-언록킹 수단의 록킹 동작과 언록킹 동작에 연동하여 접촉하고 접촉해제되는 컨텍 접점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와 상부 커버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밀봉 부재와, 상기 록킹-언록킹 로드 부재의 로드부가 관통하는 상기 하부 수용 케이스의 관통부에 구비되는 제2 밀봉 부재, 및
    상기 회전샤프트가 관통하는 케이스의 관통부에 구비되는 제3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KR1020190117212A 2019-09-24 2019-09-24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KR102292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12A KR102292214B1 (ko) 2019-09-24 2019-09-24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12A KR102292214B1 (ko) 2019-09-24 2019-09-24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436A true KR20210035436A (ko) 2021-04-01
KR102292214B1 KR102292214B1 (ko) 2021-08-23

Family

ID=7544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212A KR102292214B1 (ko) 2019-09-24 2019-09-24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2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3113A (zh) * 2021-12-28 2022-03-25 苏州智绿环保科技有限公司 高稳定性一体式电子锁
KR20230030217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인팩 전기 자동차의 충전 플러그용 액츄에이터
WO2023226496A1 (zh) * 2022-05-26 2023-11-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子锁及车辆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405B1 (ko) 2009-11-13 2011-08-17 주식회사 에코카 전기차용 충전 플러그의 록킹장치
KR20120029916A (ko) 2010-09-17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용 커넥터
KR20130032960A (ko) 2011-09-26 201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 접속장치
KR20130129073A (ko) * 2010-05-28 2013-11-27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용 액추에이터
KR101803576B1 (ko) 2011-08-29 2017-11-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차용 충전 플러그
KR101906175B1 (ko) * 2017-04-18 2018-10-12 주식회사 인팩 비상해제 기능을 갖춘 액츄에이터의 록킹장치
JP2019026174A (ja) * 2017-08-02 2019-02-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ロック装置
KR101950224B1 (ko) * 2017-11-24 2019-02-22 주식회사 인팩 충전용 플러그 잠금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405B1 (ko) 2009-11-13 2011-08-17 주식회사 에코카 전기차용 충전 플러그의 록킹장치
KR20130129073A (ko) * 2010-05-28 2013-11-27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용 액추에이터
KR20120029916A (ko) 2010-09-17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용 커넥터
KR101803576B1 (ko) 2011-08-29 2017-11-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차용 충전 플러그
KR20130032960A (ko) 2011-09-26 201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 접속장치
KR101906175B1 (ko) * 2017-04-18 2018-10-12 주식회사 인팩 비상해제 기능을 갖춘 액츄에이터의 록킹장치
JP2019026174A (ja) * 2017-08-02 2019-02-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ロック装置
KR101950224B1 (ko) * 2017-11-24 2019-02-22 주식회사 인팩 충전용 플러그 잠금 액추에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217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인팩 전기 자동차의 충전 플러그용 액츄에이터
CN114233113A (zh) * 2021-12-28 2022-03-25 苏州智绿环保科技有限公司 高稳定性一体式电子锁
WO2023226496A1 (zh) * 2022-05-26 2023-11-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子锁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214B1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215B1 (ko)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KR102292214B1 (ko)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US8550833B2 (en) Lock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US9776521B2 (en) Vehicle and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US8028780B2 (en) Electric vehicle
US10707623B2 (en)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N102315559B (zh) 防止电插头与电动车辆上的充电口之间脱离接合的系统
CN104979115B (zh) 电动车辆检修断路器锁
US8651875B2 (en) Electromechanical pawl for controlling vehicle charge inlet access
KR102019425B1 (ko)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58845B2 (en) Automobile door locking device
US10704302B2 (en) Automobile door locking device
JP2014110205A (ja) 充電ポートロック装置
US20160272077A1 (en) Electric plug-in connection, in particular for electric vehicles
JP2012148598A (ja) 電気自動車
US11085204B2 (en) Automobile door locking device
CN105121217B (zh) 车辆
KR20140073842A (ko) 고전압 배터리의 안전플러그 장치
JP5196240B2 (ja) 高電圧装置
KR20220168387A (ko)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US20200398685A1 (en) Port locking actuator device for vehicle inlet
JP2013138570A (ja) 高電圧機器
KR102533030B1 (ko) 동작 안정성을 갖는 전기차량용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KR102533026B1 (ko) 록킹안정성을 갖는 전기차량용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ES2698898T3 (es) Dispositivo de control para el control de actuadores de enclavami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