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612A - 메소겐 함유 화합물 - Google Patents

메소겐 함유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612A
KR20130004612A KR1020127032325A KR20127032325A KR20130004612A KR 20130004612 A KR20130004612 A KR 20130004612A KR 1020127032325 A KR1020127032325 A KR 1020127032325A KR 20127032325 A KR20127032325 A KR 20127032325A KR 20130004612 A KR20130004612 A KR 2013000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ohexyloxy
hexyloxy
phenoxy
trans
methylp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011B1 (ko
Inventor
멩 헤
아닐 쿠마
지핑 샤오
시아오-만 다이
루이송 수
Original Assignee
트랜지션즈 옵티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163,180 external-priority patent/US20100014010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2/163,116 external-priority patent/US20090326186A1/en
Application filed by 트랜지션즈 옵티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트랜지션즈 옵티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403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the structure containing one or more specific, optionally substituted ring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84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monocyclic hydroxy carboxylic acids, the hydroxy groups and the carboxyl groups of which are bound to carbon atoms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92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monocyclic hydroxy carboxylic acids, the hydroxy groups and the carboxyl groups of which are bound to carbon atoms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with etherified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06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09K19/201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containing additionally a linking group other than -COO- or -OCO-, e.g. -CH2-CH2-, -CH=CH-, -C=C-; containing at least one additional carbon atom in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e.g. -(CH2)m-COO-(CH2)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3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non-aromatic rings, e.g. cyclohexane rings
    • C09K19/3001Cyclohexane rings
    • C09K19/3066Cyclohexane rings in which the rings are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e.g. esters or ethers
    • C09K19/3068Cyclohexane rings in which the rings are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e.g. esters or ethers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3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ring systems, i.e. fused, bridged or spiro ring systems
    • C09K19/322Compounds containing a naphthalene ring or a completely or partially hydrogenated naphthalen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60Pleochroic dy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2019/044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 C09K2019/0448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the end chain group being a polymerizable end group, e.g. -Sp-P or 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09K2019/2035Ph-COO-P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09K2019/2078Ph-COO-Ph-COO-P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3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 C09K19/340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oxygen as hetero atom
    • C09K2019/342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oxygen as hetero atom the heterocyclic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메소겐성 구조 및 하나 이상의 긴 가요성 단편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의 합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다양한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제형, 및 제품 및 안과용 장치에서의 이의 용도도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메소겐 함유 화합물{MESOGEN CONTAINING COMPOUND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메소겐 함유 화합물, 이의 제형(formulation), 광학 요소, 액정 중합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LC")의 분자들은 우선적인 방향으로 상호 배열되는 경향이 있어, 이방성의 광학적, 전자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 유체 물질을 생성한다. 메소겐은 LC의 기본 단위로, LC에서 구조적인 정렬(structural order)을 유도한다.
액정 중합체("LCP")는 액체 상태에 있으면서 고도로 정렬된 구조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이다. LCP는 강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서 LC 디스플레이용의 약한 겔에 이르는 광범위한 용도를 갖는다. LCP의 구조는 치밀하게 충전된 섬유상 중합체 쇄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들 쇄는 거의 중합체의 융점까지 자기 강화를 제공한다.
LC에서는 분자 구조의 광학적 이방성 또는 불순물의 존재나 이색성 염료의 존재로 인해 이색성이 생길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색성(dichroism)"은,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의 2개의 직교하는 평면 편광된 성분 중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더 강하게 흡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선글라스용 선형 편광 렌즈, 및 선형 편광 필터와 같은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는, 전형적으로 이색성 물질(예컨대 이색성 염료)을 함유하는 연신된 중합체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그 결과,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는 단일의 선형 편광 상태를 갖는 정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가, 적절한 파장의 불규칙적으로 편광된 복사선 또는 반사된 복사선에 노출될 경우, 상기 요소를 통해 투과된 복사선의 일부 %는 선형 편광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선형 편광시킨다"는 광파의 전기 벡터의 진동을 한 방향 또는 평면으로 한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는 전형적으로 착색된다. 즉,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는 착색제(즉, 이색성 물질)를 함유하고, 화학선에 응답하여 변하지 않는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화학선(actinic radiation)"은 전자기 복사선, 예를 들면 응답을 야기할 수 있는 자외선 및 가시선을 의미한다.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의 색상은 그 요소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착색제에 의존할 것이며, 가장 통상적으로는 중간색(예를 들면 갈색 또는 회색)이다. 따라서,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는 이들의 색조 때문에, 반사된 광의 눈부심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특정한 저광(low-light) 조건 하에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게다가,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는 단일의 착색된 선형 편광 상태만을 갖기 때문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능력이 제한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는 전형적으로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연신된 중합체 필름의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색성(dichroic)"은,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의 2개의 직교하는 평면 편광된 성분 중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더 강하게 흡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색성 물질은 투과된 복사선의 2개의 직교하는 평면 편광된 성분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흡수할 수 있지만, 이색성 물질의 분자들이 적절히 위치 또는 배치되지 않는다면, 투과된 복사선의 순(net) 선형 편광이 달성되지 않을 것이다. 즉, 이색성 물질의 분자들이 불규칙적으로 위치됨으로 인해, 개개의 분자들에 의한 선택적인 흡수가 서로를 상쇄시켜 순 또는 전체적 선형 편광 효과가 달성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순 선형 편광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물질에 의한 배열에 의해 이색성 물질의 분자들을 적절히 위치 또는 배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위에서 논의된 이색성 요소와는 달리, 종래의 광변색성 요소, 예컨대 종래의 열 가역적 광변색성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광변색성 렌즈는, 일반적으로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예를 들면 "투명한 상태")로부터 제 2 상태(예를 들면 "착색된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이어서 열 에너지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변색성(photochromic)"은,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변하는 적어도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을 가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의 광변색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저광 조건 및 밝은 조건 모두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그러나, 선형 편광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광변색성 요소는 복사선을 선형 편광시키도록 개조되어 있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의 광변색성 요소의 흡수비는 어느 상태에서든 일반적으로 2 미만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흡수비(absorption ratio)"는 제 1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선형 편광된 동일 파장 복사선의 흡수에 대한, 제 1 평면에서 선형 편광된 복사선의 흡수 비율을 지칭하는데, 이때 상기 제 1 평면은 최고 흡수도를 갖는 평면으로 취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광변색성 요소는 반사된 광의 눈부심을 종래의 선형 편광 요소와 동일한 정도까지 감소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광변색성-이색성 물질이 개발되어 왔다. 광변색성-이색성 물질은 광변색성(즉,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변하는 적어도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을 가짐) 및 이색성(즉,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의 2개의 직교하는 평면 편광된 성분 중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더 강하게 흡수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광변색성 물질 및 광변색성-이색성 물질은 기재 또는 유기 물질, 예를 들면 LCP 기재를 비롯한 중합체 기재 내로 혼입될 수도 있다. 광변색성 물질 및 광변색성-이색성 물질이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변화될 때, 광변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분자(들)가 하나의 입체구조적 상태로부터 제 2의 입체구조적 상태로 입체구조적 변화(conformational change)를 겪을 수도 있다. 이러한 입체구조적 변화는 상기 화합물이 차지하는 스페이스의 양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특정한 광변색성 물질 및 특정한 광변색성-이색성 물질이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예를 들면 투명한 상태로부터 착색된 상태로, 착색된 상태로부터 투명한 상태로, 편광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편광된 상태로 및/또는 편광된 상태로부터 편광되지 않은 상태로 효과적으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상기 광변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이, 허용 기간에 걸쳐 목적하는 응답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하나의 입체구조적 상태로부터 제 2의 입체구조적 상태로 전이되기에 충분할 만큼 신축적인 화학적 환경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광변색성 및 광변색성-이색성 물질 및 기재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LCP와 같은 새로운 중합체성 물질, 및 이러한 새로운 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는 신규한 메소겐 함유 화합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제형, 광학 요소, 액정 중합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구조 중 하나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또는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a)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i) R 기,
ii) ―(L)y-R로 표시되는 기,
iii) ―(L)-R로 표시되는 기,
iv) ―(L)w-Q로 표시되는 기,
v)
Figure pat00003
로 표시되는 기,
vi) ―(L)y-P로 표시되는 기, 또는
vii) ―(L)w-[(L)w-P]y로 표시되는 기
이고;
b) 각각의 P는 Q 기, 아미노, 알킬아미노, 나이트로,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2-클로로아크릴레이트, 2-페닐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페닐렌,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2-클로로아크릴아마이드, 2-페닐아크릴아마이드, 옥세테인, 글리시딜, 사이아노, 바이닐 에테르, 바이닐 에스터, 스타이렌 유도체, 실록세인, 에틸렌이민 유도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키랄 또는 비키랄 1가 또는 2가 기(상기 1가 또는 2가 기는 스테로이드 라디칼, 터페노이드 라디칼, 알칼로이드 라디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반응성 기이고, 이때 치환체는 알킬, 알콕시, 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알킬알콕시, 플루오로알킬, 사이아노, 사이아노알킬, 사이아노알콕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P는 2 내지 4개의 반응성 기를 갖는 구조이거나, 또는 P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전구체이고;
c) Q 기는 하이드록시, 아민, 알켄일, 알카인일, 아지도, 실릴, 실릴하이드라이드, 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 싸이올, 아이소사이아나토, 싸이오아이소사이아나토, 아크릴옥시, 메타크릴옥시, 2-(아크릴옥시)에틸카밤일, 2-(메타크릴옥시)에틸카밤일, 아지리딘일, 알릴옥시카보닐옥시, 에폭시, 카복실산, 카복실산 유도체(상기 카복실산 유도체는 특히 카복실산 에스터, 아마이드 및 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됨) 또는 아실 할라이드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복실산 유도체는 이타콘산 에스터, 말레산 유도체, 푸마르산 유도체, 비치환된 신남산 유도체, 및 메틸, 메톡시, 사이아노 및 할로겐 중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신남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되고;
d) 각각의 L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아릴렌, (C1-C30)알킬렌, (C1-C30)알킬렌카보닐옥시, (C1-C30)알킬렌아미노, (C1-C30)알킬렌옥시, (C1-C30)퍼플루오로알킬렌, (C1-C30)퍼플루오로알킬렌옥시, (C1-C30)알킬렌실릴, (C1-C30)다이알킬렌실록실, (C1-C30)알킬렌카보닐, (C1-C30)알킬렌옥시카보닐, (C1-C30)알킬렌카보닐아미노, (C1-C30)알킬렌아미노카보닐, (C1-C30)알킬렌아미노카보닐옥시, (C1-C30)알킬렌아미노카보닐아미노, (C1-C30)알킬렌유레아, (C1-C30)알킬렌싸이오카보닐아미노, (C1-C30)알킬렌아미노카보닐싸이오, (C2-C30)알켄일렌, (C1-C30)싸이오알킬렌, (C1-C30)알킬렌설폰 및 (C1-C30)알킬렌설폭사이드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다치환, 일치환, 비치환 또는 분지된 스페이서, 및 단일 결합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각각의 치환체는 (C1-C5)알킬, (C1-C5)알콕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사이아노, (C1-C5)알칸오에이트 에스터, 아이소사이아나토, 싸이오아이소사이아나토 및 페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e) R 기는 수소, C1-C18 알킬, C1-C18 알콕시, C1-C18 알콕시카보닐, C3-C10 사이클로알킬, C3-C10 사이클로알콕시, 폴리(C1-C18 알콕시), 및 비치환되거나, 사이아노,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C1-C18 알콕시로 치환되거나,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로 다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된 C1-C18 알킬 기로부터 선택되고;
f) 메소겐-1 및 메소겐-2 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강성의 곧은 막대형 액정 기, 강성의 굽은 막대형 액정 기 또는 강성의 디스크형 액정 기이고;
g) T 기는 P, 및 수소, 아릴, 알킬, 알콕시, 알킬알콕시, 알콕시알콕시, 폴리알킬에테르, (C1-C6)알킬(C1-C6)-알콕시(C1-C6)알킬, 폴리에틸렌옥시 및 폴리프로필렌옥시로부터 선택되고;
w는 1 내지 26의 정수이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는 1 또는 2이고, 단,
(i) X 기가 R로 표시되는 경우, w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는 1이고;
(ii) X 기가 ―(L)y-R로 표시되는 경우, w는 1이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는 1이고;
(iii) X 기가 ―(L)w-R로 표시되는 경우, w는 3 내지 26이고, z는 2이고;
(iv) X 기가 ―(L)w-Q로 표시되는 경우, P가 Q 기로 표시되면 하나 이상의 Q는 하이드록시, 아지도, 실릴, 실릴하이드라이드, 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 싸이올, 아이소사이아나토, 싸이오아이소사이아나토, 2-(아크릴옥시)에틸카밤일, 2-(메타크릴옥시)에틸카밤일, 아지리딘일, 알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산, 카복실산 에스터, 아마이드, 카복실산 무수물 및 아실 할라이드로부터 선택되고, w는 1이고, z는 1이며; P가 Q 기 이외의 것이면 각각의 w는 독립적으로 1 내지 26의 정수이고, z는 1이고;
(v) X 기가
Figure pat00004
로 표시되는 경우, w는 1이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단 ―(L)y-는 단일 결합과는 상이한 2개 이상의 L 기를 포함하고, z는 1이고;
(vi) X 기가 ―(L)y-P(단, 하나 이상의 P는 옥세테인 작용기와는 상이함)로 표시되는 경우, w는 1이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는 1이고, ―(L)y-는 메소겐과 P 사이에 25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0개 이상의 결합의 선형 시퀀스를 포함하고;
(vii) X 기가 ―(L)w-[(L)w-P]y로 표시되는 경우, 각각의 w는 독립적으로 1 내지 25의 정수이고, y는 2 내지 6의 정수이고, 그에 따라 z는 1이고;
―(L)y- 및 ―(L)w-에서 2개의 아릴렌 기가 단일 결합에 의해 연결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13은 본원에 기술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특정 실시양태의 예시적인 합성 방법을 도시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도 1은 루이스산 촉매작용 또는 염기 촉매작용에 의한, 메소겐 함유 연질 쇄 아크릴레이트 시스템의 합성 공정을 도시하고;
도 2a 및 2b는 화학식 V에 따른 구조를 갖는 바이-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 공정을 도시하고;
도 3 및 4는 화학식 IV에 따른 구조를 갖는 바이-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2가지 합성 공정을 도시하고;
도 5는 화학식 IV에 따른 구조를 갖는 바이-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미츠노부(Mitsunobu) 커플링 반응을 도시하고;
도 6은 화학식 VI 또는 VII에 따른 구조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 공정을 도시하고;
도 7은 화학식 II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구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연결기의 사용을 도시하고;
도 8은 화학식 III에 따른 구조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 공정을 도시하고;
도 9는 화학식 VI에 따른 구조를 갖는 바이-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 공정을 도시하고;
도 10 및 11은 화학식 VI에 따른 구조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 공정을 도시하고;
도 12는 화학식 VI 또는 VII에 따른 구조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 공정을 도시하고;
도 13은 화학식 VIII에 따른 구조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 공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소겐 함유 화합물, 및 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정 조성물 및 제형을 기술한다. 본원에 개시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예컨대 안과 요소, 디스플레이 요소, 윈도우 및 미러를 비롯한 광학 요소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제형 및 조성물, 예컨대 액정 중합체("LCP")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LCP 형성용 단량체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메소겐은 액정("LC")의 기본 단위로, 액정에서 구조적인 정렬을 유도한다. LC의 메소겐성 부분은 전형적으로 강성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는 LC 조성물 중의 다른 메소겐성 성분과 함께 배열되어 LC 분자들을 한 방향으로 배열시킨다. 메소겐의 강성 부분은 강성 분자 구조, 예컨대 단환식 또는 다환식 방향족 환 구조를 비롯한 단환식 또는 다환식 환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잠재적인 메소겐의 예는 본원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고, 문헌[Demus et al., "Flussige Kristalle in Tabellen," VEB Deutscher Verlag fur Grundstoffindustrie, Leipzig, 1974 및 "Flussige Kristalle in Tabellen II," VEB Deutscher Verlag fur Grundstoffindustrie, Leipzig, 1984]에 기재된 메소겐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LC는 또한 LC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가요성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요성 부분은 LC에 유동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LC는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고, 정렬된(또는 배열된)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정렬되지 않은 상태의 LC 분자는 본질적으로 불규칙적인 배향을 취할 것이다. 즉, LC 분자에 대한 일반적인 배향(general orientation)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정렬 또는 배열된 상태의 LC 분자는 일반적으로, LC 분자의 메소겐성 부분이 LC 물질 전체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배향을 취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열시킨다(align)" 또는 "배열된(aligned)"은 또 다른 물질, 화합물 또는 구조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적절히 배치 또는 위치시킴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LC 분자의 메소겐성 부분은 평행한 배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LC 분자의 메소겐성 부분은, 예를 들어 반사형 편광판에서와 같이 나선형 배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LC 조성물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 물질에 사용될 수도 있고, LCP 합성용 단량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단량체로서 거동하여 중합체를 형성할 수도 있고, 비단량체성 성분, 예를 들면 비단량체성 LC 성분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가교결합된 망상구조체 또는 LCP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화합물(compound)"은 둘 이상의 요소, 성분, 재료 또는 부분이 결합하여 형성된 물질을 의미하고, 둘 이상의 요소, 성분, 재료 또는 부분이 결합하여 형성된 분자 및 거대분자(예를 들면 중합체 및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메소겐 함유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 예를 들면 기재의 적어도 일부 상의 경화된 코팅 및 필름과 같은 층(이는 목적하는 특정 특성을 기재에 부여할 수도 있음)으로서의 용도, 및 성형품, 조립품 및 주조품과 같은 제품으로서의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소겐 함유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조성물은, 예컨대 광학 데이터 저장 용도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재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적어도 부분적인 층, 코팅 또는 필름(이는 목적하는 특정 특성을 기재에 부여할 수도 있음)으로서, 포토마스크로서 및 장식용 안료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화장품 및 보안 용도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6,217,948 호 참조); 의료, 치과, 접착 및 입체조형 용도를 위한 경화성 수지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7,238,831 호 참조); 전술한 용도 및 각종 관련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성형품, 조립품 또는 주조품과 같은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메소겐 함유 조성물은 LC 및/또는 LCP로 제형화될 수도 있고, 이는 광학 요소, 예를 들면 안과 요소, 디스플레이 요소, 윈도우, 미러, 능동 및 수동 액정 셀, 요소 및 장치, 및 다른 관심 있는 LC 또는 LCP 함유 물품, 예를 들면 편광판, 광학 보상판(예컨대 미국 특허 제 7,169,448 호 참조), 광학 지연판(예컨대 미국 재발행 특허 제 RE39,605 E 호), 컬러 필터, 및 광파 회로용 파장판(예컨대 미국 특허 제 7,058,249 호 참조)에 사용되거나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LCP는 지연판, 광 도파로, 반사판, 원 편광판, 넓은 시야각의 필름 등과 같은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는, 하나 이상의 광변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물질 또는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LC 단량체로서의 특정 용도를 가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의 메소겐 함유 물질은 특정한 광변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물질, 예를 들면 안과 요소 및 광학 요소에, 목적하는 운동성(kinetic property)을 제공하는 데 특히 적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LCP는 또한 염료용 호스트 물질, 예를 들면 감광성 및 비감광성 물질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감광성 물질은 유기 광변색성 물질, 예를 들면 열 가역적 및 비-열 가역적 물질뿐만 아니라 광변색성/이색성 물질, 무기 광변색성 물질, 형광 또는 인광 물질 및 비선형 광학 물질(non-linear optical material, "NLO")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감광성 물질은 고정된 색조의 염료, 이색성 물질, 열변색성 물질, 및 안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메소겐 단위, 하나 이상의 반응성 기, 및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연결기(이는 선형 길이가 원자 결합 1 내지 500개일 수도 있음)를 포함하고, 따라서 LC로서 작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LC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조성물 내로 혼입될 수도 있고, LC 단량체, 예컨대 LCP 형성용 LC 단량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될 수도 있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5
화학식 I에서,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i) -R 기; (ii) 구조 ―(L)y-R로 표시되는 기; (iii) 구조 ―(L)-R로 표시되는 기; (iv) 구조 ―(L)w-Q로 표시되는 기; (v) 구조
Figure pat00006
로 표시되는 기; (vi) ―(L)y-P로 표시되는 기; 또는 (vii) ―(L)w-[(L)w-P]y로 표시되는 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에서, 각각의 P 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반응성 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반응성 기는 성장하는 중합체 상의 기와 반응하거나 공단량체 또는 반응성 기와 반응하여, 화학식 I에 상응하는 구조 또는 그의 잔기가 중합체 내로 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P는 중합가능한 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기일 수도 있고, 이때 상기 중합가능한 기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도록 된 임의의 작용기일 수 있다. 중합 반응의 예는 문헌[Hawley's Condensed Chemical Dictionary Thirteenth Edition, 1997, John Wiley & Sons, pages 901-902]에서 "중합"의 정의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중합 반응은, 자유 라디칼이 개시제이고, 이것이 단량체의 이중 결합에 한쪽에서 첨가되어 이와 반응함과 동시에 다른 쪽에서 새로운 자유 전자를 생성하는 "첨가 중합"; 2개의 반응 분자가 합해져서 물 분자와 같은 작은 분자가 제거되면서 보다 큰 분자를 형성하는 "축합 중합"; 및 "산화적 커플링 중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P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전구체일 수도 있다. 또한, 중합가능한 기의 예는 하이드록시, 아크릴옥시, 메타크릴옥시, 2-(아크릴옥시)에틸카밤일, 2-(메타크릴옥시)에틸카밤일, 아이소사이아나토, 아지리딘, 알릴옥시카보닐옥시, 및 에폭시(예컨대 옥시란일메틸)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P는 복수의 반응성 기(예컨대 본원에 개시된 반응성 기)를 갖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반응성 기를 2 내지 4개 갖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P 상에 다중 반응성 기를 가지면 중합체 내로의 보다 효과적인 혼입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개별적인 중합체 스트랜드들 사이의 가교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다중 반응성 기를 갖는 P 기의 적합한 예는 다이아크릴로일옥시(C1-C6)알킬; 다이아크릴로일옥시아릴; 트라이아크릴로일옥시(C1-C6)알킬; 트라이아크릴로일옥시아릴; 테트라아크릴로일옥시(C1-C6)알킬; 테트라아크릴로일옥시아릴; 다이이하이드록시(C1-C6)알킬; 트라이하이드록시(C1-C6)알킬; 테트라이하이드록시(C1-C6)알킬; 다이에폭시(C1-C6)알킬; 다이에폭시아릴; 트라이에폭시(C1-C6)알킬; 트라이에폭시아릴; 테트라에폭시(C1-C6)알킬; 테트라에폭시아릴; 다이글리시딜옥시(C1-C6)알킬; 다이글리시딜옥시아릴; 트라이글리시딜옥시(C1-C6)알킬; 트라이글리시딜옥시아릴; 테트라글리시딜옥시(C1-C6)알킬; 및 테트라글리시딜옥시아릴을 포함한다.
또한, 화학식 I과 관련하여, 각각의 Q 기는 하이드록시, 아민, 알켄일, 알카인일, 아지도, 실릴, 실릴하이드라이드, 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 아이소사이아나토, 싸이올, 싸이오아이소사이아나토, 카복실산, 카복실산 에스터, 아마이드, 카복실산 무수물 또는 아실 할라이드를 나타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Q 기는 하나 이상의 Q 기를 포함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이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골격 내로 혼입될 수도 있도록 반응성 기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Q는 하이드록시, 아크릴옥시, 메타크릴옥시, 2-(아크릴옥시)에틸카밤일, 2-(메타크릴옥시)에틸카밤일, 아이소사이아나토, 싸이올, 싸이오아이소사이아나토, 아지리딘, 알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유도체, 및 에폭시(예컨대 옥시란일메틸)로부터 선택된 기를 비롯한, 본원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중합가능한 기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트)아크릴옥시" 및 "(메트)아크릴로일옥시"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로프-2-엔-1-오일옥시 구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화학식 I과 관련하여 기술될 때, L, (L)y 또는 (L)w 기는, 바람직하게는 원자 결합 1 내지 500개의 선형 길이를 갖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즉, 일반 구조 F-L-E의 경우, F 기와 E 기 사이에 있는 연결기의 최장 선형 길이(여기서 F 기 및 E 기는 각각 일반적으로 기 P, R, Q, X, T 또는 메소겐 중 임의의 것을 나타낼 수 있음)는 1 내지 500개 결합(개재 원자를 포함함)의 범위일 수도 있다. 연결기의 선형 길이를 논의할 때, 연결기의 선형 시퀀스 내의 각 결합의 길이 및 연결기의 선형 시퀀스 내의 다양한 개재 원자가 차지하는 거리를 측정하고 그 값들을 합계함으로써 연결기의 길이를 계산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결합의 최장 선형 시퀀스는 연결된 기들 사이의 결합이 25개 이상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결합의 최장 선형 시퀀스는 결합이 30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결합의 최장 선형 시퀀스는 결합이 50개 이상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25개 이상의 결합을 갖는 연결기 L은 생성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에 대한 다양한 이점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면, 25개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연결기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광변색성 화합물과 같은 첨가제의 용해도를 개선시킬 수도 있고; 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더 빠르거나 개선된 배열 특성을 제공할 수도 있고/있거나; 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점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각각의 L 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다치환, 일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페이서 및 단일 결합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w"는 1 내지 26의 정수로 표시되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로 표시되며, "z"는 1 또는 2이다. 1개 초과의 L 기가 예컨대 구조 (L)y 또는 (L)w(여기서 "y" 및/또는 "w"는 1 초과의 정수임)에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인접하는 L 기는 동일한 구조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즉, 예를 들어 구조 ―(L)3- 또는 -L-L-L-을 갖는(즉, "y" 또는 "w"가 3인) 연결기에서, 각각의 -L- 기는 전술된 임의의 L 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인접하는 -L- 기는 동일한 구조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L-L-L-은 -(C1-C30)알킬렌-(C1-C30)알킬렌-(C1-C30)알킬렌-을 나타낼 수도 있다(즉, 존재하는 각각의 -L-은 (C1-C30)알킬렌으로 표시되고, 각각의 인접하는 (C1-C30)알킬렌 기는 알킬렌 기 내에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의 탄소를 가질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L-L-L-은 -아릴렌-(C1-C30)알킬실릴렌-(C1-C30)알켄옥시-를 나타낼 수도 있다(즉, 존재하는 각각의 -L-은 인접하는 -L- 기와 상이하다). 따라서, (L)y 또는 (L)w의 구조는 연결기 -L-의 다양한 순서의 모든 가능한 조합, 예를 들면 인접하는 -L- 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것들 및 인접하는 -L- 기의 전부가 상이한 것들을 포괄하고, 단, 2개의 아릴렌 기가 단일 결합에 의해 연결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화학식 I과 관련하여, R 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말단기를 나타낸다.
또한 화학식 I과 관련하여, 메소겐-1 및 메소겐-2 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강성의 곧은 막대형 액정 기, 강성의 굽은 막대형 액정 기 또는 강성의 디스크형 액정 기이다. 메소겐-1 및 메소겐-2에 대한 구조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메소겐성 기, 예를 들면 문헌[Demus et al., "Flussige Kristalle in Tabellen," VEB Deutscher Verlag fur Grundstoffindustrie, Leipzig, 1974 또는 "Flussige Kristalle in Tabellen II," VEB Deutscher Verlag fur Grundstoffindustrie, Leipzig, 1984]에 언급된 것들 중 임의의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메소겐-1 및 메소겐-2 기는 독립적으로
― [S1]c -[G1 ―[S2]d]d' -[G2 ―[S3]e ]e' -[G3 ―[S4]f ]f' ―S5
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메소겐 구조는, 각각의 G1, G2, 및 G3 기가, 비치환 또는 치환된 방향족 기,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지환족 기,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2가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이때 치환체는 싸이올, 아마이드, 하이드록시(C1-C18)알킬, 아이소사이아나토(C1-C18)알킬, 아크릴로일옥시, 아크릴로일옥시(C1-C18)알킬, 할로겐, C1-C18 알콕시, 폴리(C1-C18 알콕시), 아미노, 아미노(C1-C18)알킬렌, C1-C18 알킬아미노, 다이-(C1-C18)알킬아미노, C1-C18 알킬, C2-C18 알켄, C2-C18 알카인, C1-C18 알킬(C1-C18)알콕시, C1-C18 알콕시카보닐, C1-C18 알킬카보닐, C1-C18 알킬 카보네이트, 아릴 카보네이트, 퍼플루오로(C1-C18)알킬아미노, 다이-(퍼플루오로(C1-C18)알킬)아미노, C1-C18 아세틸, C3-C10 사이클로알킬, C3-C10 사이클로알콕시, 아이소사이아나토, 아미도, 사이아노, 나이트로, 직쇄 또는 분지된 C1-C18 알킬 기(상기 C1-C18 알킬 기는 사이아노, 할로 또는 C1-C18 알콕시로 일치환되거나, 할로로 다치환됨), 및 화학식: -M(T)(t-1) 및 -M(OT)(t-1) 중 하나를 포함하는 기(여기서 M은 알루미늄, 안티몬, 탄탈륨, 타이타늄, 지르코늄 및 규소로부터 선택되고, T는 유기작용성 라디칼, 유기작용성 탄화수소 라디칼,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 및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t는 M의 원자가임)로부터 선택되도록 추가로 정의된다. 또한, 메소겐성 구조에서, "c",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0의 정수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고,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단 d' + e' + f'의 합계는 1 이상이다. 또한 상기 메소겐성 구조와 관련하여, S 기는 스페이서 기를 나타내며 각각의 S1, S2, S3, S4 및 S5 기는 하기 (A) 내지 (C)로부터 선택된 스페이서 단위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A) -(CH2)g-, -(CF2)h-, -Si(CH2)g- 또는 -(Si(CH3)2O)h-(여기서 "g"는 1 내지 20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h"는 1 내지 16의 정수로부터 선택됨);
(B) -N(Z)-, -C(Z)=C(Z)-, -C(Z)=N-, -C(Z')2-C(Z')2- 또는 단일 결합(여기서 Z는 수소, C1-C6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아릴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C1-C6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아릴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됨); 및
(C) -O-, -C(O)-, -C≡C-, -N=N-, -S-, -S(O)-, -S(O)(O)-, -(O)S(O)O-, -O(O)S(O)O-, 또는 직쇄 또는 분지된 C1-C24 알킬렌 잔기(상기 C1-C24 알킬렌 잔기는 비치환되거나, 사이아노 또는 할로로 일치환되거나, 할로로 다치환됨);
단,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2개의 스페이서 단위가 함께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스페이서 단위는 헤테로원자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연결되고, S1 및 S5가 또 다른 기에 연결되는 경우, 이들은 2개의 헤테로원자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연결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메소겐의 구조에서, "c",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20의 정수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3 및 4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단 d' + e' + f'의 합계는 1 이상이다. 본원에 개시된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c",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0의 정수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3 및 4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단 d' + e' + f'의 합계는 2 이상이다. 본원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c",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0의 정수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3 및 4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단 d' + e' + f'의 합계는 3 이상이다. 본원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c",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0의 정수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3 및 4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단 d' + e' + f'의 합계는 1 이상이다.
T 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P, 및 수소, 아릴, 알킬, 알콕시, 알킬알콕시, 알콕시알콕시, 폴리알킬에테르, (C1-C6)알킬(C1-C6)-알콕시(C1-C6)알킬, 폴리에틸렌옥시 및 폴리프로필렌옥시로부터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화학식 I과 관련하여,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구조는 다음을 요구한다:
(i) X 기가 R로 표시되는 경우, w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는 1이고;
(ii) X 기가 ―(L)y-R로 표시되는 경우, w는 1이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는 1이고;
(iii) X 기가 ―(L)w-R로 표시되는 경우, w는 3 내지 26의 정수이고, z는 2이고;
(iv) X 기가 ―(L)w-Q로 표시되는 경우; P가 Q 기로 표시되면 하나 이상의 Q는 하이드록시, 아지도, 실릴, 실릴하이드라이드, 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 싸이올, 아이소사이아나토, 싸이오아이소사이아나토, 2-(아크릴옥시)에틸카밤일, 2-(메타크릴옥시)에틸카밤일, 아지리딘일, 알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산, 카복실산 에스터, 아마이드, 카복실산 무수물 및 아실 할라이드로부터 선택되고, w는 1이고, z는 1이며; P가 Q 기 이외의 것이면 각각의 w는 독립적으로 1 내지 26의 정수이고, z는 1이고;
(v) X 기가
Figure pat00007
로 표시되는 경우, w는 1이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단 ―(L)y-는 단일 결합과는 상이한 2개 이상의 L 기를 포함하고, z는 1이고;
(vi) X 기가 ―(L)y-P(단, 하나 이상의 P는 옥세테인 작용기와는 상이함)로 표시되는 경우, w는 1이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는 1이고, ―(L)y-는 메소겐과 P 사이에 결합 25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결합 30개 이상의 선형 시퀀스를 포함하고;
(vii) X 기가 ―(L)w-[(L)w-P]y로 표시되는 경우, 각각의 w는 독립적으로 1 내지 25의 정수이고, y는 2 내지 6의 정수이고, 그에 따라 z는 1이고;
―(L)y- 및 ―(L)w-에서 2개의 아릴렌 기가 단일 결합에 의해 연결되지는 않는다.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작용성 모노-메소겐 함유 화합물(즉, 하나의 메소겐성 구조를 함유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일 수도 있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작용성 모노-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X 기가 -R로 표시되고, "w"가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가 1인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작용성 모노-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X 기가 ―(L)y-R로 표시되고, "w"가 1이고, "y"가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가 1인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작용성 바이-메소겐 함유 화합물(즉, 2개의 메소겐성 구조(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를 함유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작용성 바이-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구조는 2개의 메소겐성 단위 사이에 장쇄 연결기를 가질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작용성 바이-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X 기가
Figure pat00008
로 표시되고, w가 1이고, y가 2 내지 25의 정수이고, 단 ―(L)y-는 단일 결합과는 상이한 2개 이상의 L 기를 포함하고, z가 1인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작용성 모노-메소겐 함유 화합물(즉, 하나의 메소겐성 구조를 함유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일 수도 있다. 상기 작용성 모노-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X 기가 ―(L)w-Q로 표시되고, P가 Q 기로 표시되면 하나 이상의 Q는 하이드록시, 아지도, 실릴, 실릴하이드라이드, 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 싸이올, 아이소사이아나토, 싸이오아이소사이아나토, 2-(아크릴옥시)에틸카밤일, 2-(메타크릴옥시)에틸카밤일, 아지리딘일, 알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산, 카복실산 에스터, 아마이드, 카복실산 무수물 및 아실 할라이드로부터 선택되고, w가 1이고, z가 1이며; P가 Q 기 이외의 것이면 각각의 w는 독립적으로 1 내지 26의 정수이고, z는 1인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들 실시양태에 따르면,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중합체 골격 내로 혼입될 수도 있는 이작용성 단량체이다. 즉, 메소겐 함유 기는 중합체 골격 내로 혼입되고, Q 기(들)의 잔기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에 각 말단에서 부착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잔기(residue)"는 반응성 기의 반응 후에 남은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작용성 모노-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X 기가 ―(L)y-P(단, 하나 이상의 P는 옥세테인 작용기와는 상이함)로 표시되고, "w"가 1이고, "y"가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가 1이고; ―(L)y-가 메소겐과 P 사이에 결합 25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결합 30개 이상의 선형 시퀀스를 포함하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L)y-는 메소겐과 P 사이에 결합 50개 이상의 선형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X 기가 구조 ―(L)w-[(L)w-P]y로 표시되고, 각각의 "w"가 독립적으로 1 내지 25의 정수이고, "y"가 2 내지 6의 정수이고, "z"가 1인 화학식 I에 따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들 실시양태에 따르면,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3 내지 7개의 반응성 기 P를 가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액정 단량체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액정 단량체"는 단량체 상태 및/또는 중합체 상태에서 액정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단량체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즉, 액정 단량체는 그 자체가 액정 특성을 나타내고/나타내거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내로 혼입되어 LCP를 형성한 후에 액정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당업자는 메소겐 화합물이 중합체 상태에 있는 경우, 메소겐 화합물이 다른 단량체 및/또는 공단량체와 반응하여 중합체를 형성하였고, 따라서 메소겐 화합물은 액정 단량체의 잔기임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도 또한 고려한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 예를 들면 단량체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조성물에 현탁되거나 혼합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에 따르면,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는 중합체 구조 내로, 예를 들면 중합체 골격의 일부로서, 또는 상기 골격 내로 혼입되고 골격으로부터 벗어난 측쇄를 형성하는 단량체로서 혼입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는 또 다른 반응물과 반응한(그에 따라 잔기를 형성한) 것일 수도 있고, 그 반응 생성물이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내로 현탁되거나 혼입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은 액정 중합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LCP는 이방성 LCP, 등방성 LCP, 서모트로픽(thermotropic) LCP 또는 리오트로픽(lyotropic) LCP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LCP는 네마틱 상, 스멕틱 상, 키랄 네마틱 상(즉, 콜레스테릭 상), 디스코틱 상(키랄 디스코틱을 포함함), 불연속 입방 상, 육방 상, 이중연속(bicontinuous) 입방 상, 라멜라 상, 역 육방 컬럼 상 및 역 입방 상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LCP에서, LC 단량체 또는 그의 잔기는, 예컨대 열 에너지 또는 화학선에 응답하여 하나의 상으로부터 또 다른 상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 또는 화학식 III에 따른 구조로 표시되는 액정 단량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II]
Figure pat00009
[화학식 III]
Figure pat00010
이들 실시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II 또는 III에서 P 기는 반응성 기, 예를 들면 중합가능한 기, 복수의 반응성 기 또는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전구체를 포함하는 P 기를 비롯하여, 본원에 기술된 P에 대한 목록에 기재된 것들일 수도 있다. Q 기는 독립적으로, 본원에서 Q 기에 대해 열거된 기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I 또는 III에서, (L) 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본원에 기재된 가능한 (L) 기의 목록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화학식 II 또는 III에서, R 기는 본원에 기재된 가능한 R 기의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화학식 II 또는 III에서의 메소겐 성분은 강성의 곧은 막대형 액정 기, 강성의 굽은 막대형 액정 기 또는 강성의 디스크형 액정 기, 예를 들면 본원에서 추가로 정의되는 하기 구조:
― [S1]c -[G1 ―[S2]d ]d' -[G2 ―[S3]e ]e' -[G3 ―[S4]f ]f' ―S5
를 갖는 것들을 비롯하여 본원에 기재된 메소겐일 수도 있다. 또한, 화학식 II 및 III에서, "w"는 2 내지 25의 정수일 수도 있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V 또는 화학식 V에 따른 구조로 표시되는 바이-메소겐 액정 단량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IV]
Figure pat00011
[화학식 V]
Figure pat00012
이들 실시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IV 또는 V에서 각각의 P 기는 독립적으로 반응성 기, 예를 들면 중합가능한 기, 복수의 반응성 기 또는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전구체를 포함하는 P 기를 비롯하여, 본원에 기술된 P에 대한 목록에 기재된 것들일 수도 있다. Q 기는 독립적으로, 본원에서 Q 기에 대해 열거된 기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V 또는 V에서, (L) 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본원에 기재된 가능한 (L) 기의 목록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화학식 IV 또는 V에서, 각각의 R 기는 본원에 기재된 가능한 R 기의 목록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화학식 IV 또는 V에서의 메소겐 성분은 강성의 곧은 막대형 액정 기, 강성의 굽은 막대형 액정 기, 강성의 디스크형 액정 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화학식 IV 또는 V의 메소겐-1 및 메소겐-2는 본원에서 추가로 정의되는 하기 구조:
― [S1]c -[G1 ―[S2]d ]d' -[G2 ―[S3]e ]e' -[G3 ―[S4]f ]f' ―S5
를 갖는 것들을 비롯하여 본원에 기재된 메소겐 구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화학식 IV 및 V에서, "w"는 2 내지 25의 정수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X가 ―(L)w-Q인 화학식 I에 따른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기 화학식 VI에 따른 구조로 표시되는 이작용성 액정 단량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VI]
Figure pat00013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X가 ―(L)y-P인 화학식 I에 따른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기 화학식 VII에 따른 구조로 표시되는 액정 단량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VII]
Figure pat00014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X가 ―(L)w-[(L)w-P]y인 화학식 I에 따른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기 화학식 VIII에 따른 구조로 표시되는 액정 단량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VIII]
Figure pat00015
본원에 개시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예컨대 본원에 상세히 기술된 화학식 I 내지 VIII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구조는 상기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부분 사이에 긴 가요성 연결기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다양한 구조에서, 연결기 ―(L)y- 및/또는 ―(L)w-, 및 특정한 경우의 -(L)- 기(예를 들면, -(L)-이 25개 이상의 선형 결합을 포함하는 경우)는, 연결기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기 사이에, 화학 결합들의 긴 선형 시퀀스(길이가 화학 결합 25 내지 500개의 범위임)를 포함하는 긴 가요성 연결기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연결기는 상기 2개의 기 사이에, 길이가 화학 결합 30 내지 500개의 범위인 화학 결합들의 긴 선형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연결기는 상기 2개의 기 사이에, 길이가 화학 결합 50 내지 500개의 범위인 화학 결합들의 긴 선형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기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연결기에 의해 연결된 기들 사이의 선형 시퀀스 내 화학 결합은 공유 또는 극성 공유 화학 결합, 예를 들면 공유 또는 극성 공유 σ-결합일 수도 있고, 또한 (π-결합은 선형 시퀀스 내 화학 결합의 길이를 계산할 때 포함되지 않지만) 하나 이상의 π-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기는 결합의 선형 시퀀스를 연결시키는 개재 원자도 또한 포함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 내의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연결기가, 상기 화합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조성물(예를 들면 경화된 조성물)에 특정한 바람직한 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해석에 의해 제한받는 것을 원하지 않지만,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 내의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연결기에 의해, 상기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경화된 조성물이 "보다 연질인" 구조를 갖게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경화된 조성물, 예들 들어 LCP, 층, 코팅, 및 코팅된 물품의 특징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보다 연질인(softer)"은 전형적으로 150 뉴턴(N)/mm2 미만, 예를 들면 0 내지 149.9 N/mm2의 피셔 미세경도(Fischer microhardness)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보다 연질인 구조를 갖는 경화된 조성물은 목적하는 또는 개선된 특성, 예를 들면 개선된 LC 특성, 개선된 광변색 성능 및 개선된 이색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블렌드와 같은 경화된 조성물의 경우, 중합체 내에 경질 및 연질 단편 또는 성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경화된 중합체가 경질 및 연질 단편 또는 성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개념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문헌["Structure-Property-Relationship in Polyurethanes", Polyurethane Handbook, G. Oertel, editor, 2nd ed. Hanser Publishers, 1994, pp 37-53] 참조). 전형적으로 경질 단편 또는 성분은 경화된 중합체 구조 내에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 영역을 포함하는 반면, 연질 단편 또는 성분은 보다 비정질이거나 비결정질이거나 고무질인 영역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내의 성분 또는 단량체 잔기의 구조가 생성 중합체의 경도 또는 연성에 기여하는 것은, 예컨대 생성되는 경화된 중합체의 피셔 미세경도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중합체의 물리적 특성은 이들의 분자 구조로부터 유도되고, 빌딩 블록의 선택, 예컨대 단량체 및 다른 반응물의 선택, 첨가제, 경질 단편과 연질 단편의 비율, 및 중합체 쇄들 사이의 원자 상호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초분자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폴리유레테인과 같은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물질 및 방법은 문헌[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th ed., 1992, Vol. A21, pages 665-716]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광변색성 및/또는 이색성 물질, 및 경화된 층 및 코팅에서는, 중합체성 물질 또는 경화된 층 및 코팅의 연질 단편 또는 성분이 광변색성, 광변색성-이색성 및/또는 이색성 화합물(들)에 개선된 가용화 환경을 제공하여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가역적으로 변형시킬 수도 있는 한편, 중합체성 물질 또는 코팅의 경질 단편 또는 성분이 상기 물질 또는 코팅에 구조적인 일체성을 제공하고/하거나 변형가능한 화합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광변색성 및/또는 이색성 물질에 대한 한가지 용도에서, 중합체 내의 연질 성분과 경질 성분의 균형은 적합한 경화된 물질 또는 경화된 층 또는 코팅, 즉 0 내지 150 N/mm2 범위의 피셔 미세경도를 갖는 물질, 층 또는 코팅(이는 또한 양호한 광변색성 및/또는 이색성의 응답 특성을 나타내기도 함)의 목적하는 이점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용도에서는, 광변색성 및/또는 이색성 물질이 60 N/mm2 미만, 예를 들면 0 내지 59.9 N/mm2, 다르게는 5 내지 25 N/mm2의 피셔 미세경도를 갖는 경화된 중합체성 물질 내에 위치되고, 보다 경질의 중합체성 물질(이는 구조적 강도를 제공함)로 코팅되거나 그 내에 함유될 수도 있다. 추가의 용도에서는, 광변색성 및/또는 이색성 물질이 연질 중합체성 물질, 예를 들면 연질 중합체성 쉘 내에 이미 존재할 수도 있고, 이는 경질 중합체성 코팅 또는 물질, 예컨대 150 N/mm2 초과, 예를 들면 200 N/mm2 또는 그보다 훨씬 더 높은 피셔 미세경도를 갖는 물질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본원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구조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제품, 광학 요소, LC 조성물, LC 셀 등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를 포함하는 액정(LC) 조성물을 제공한다.
LC 조성물은 예를 들면 경화된 LCP를 비롯한 액정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액정 중합체는 제 1 액정 단량체의 잔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때 상기 제 1 LC 단량체의 잔기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구조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이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LCP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이때 상기 공중합체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를 포함하며, 상기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는 예컨대 공단량체 잔기로서 상기 공중합체 내로 혼입된다. 즉,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가 공중합체의 주쇄 내로 혼입될 수도 있고(즉, 상기 잔기의 주쇄가 공중합체의 주쇄 내로 완전히 혼입됨),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가 주쇄로부터 벗어난 측쇄로서 공중합체 내에 혼입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상기 잔기가 반응성 기 P에 의해 주쇄에 결합되고, 잔기의 나머지는 공중합체 주쇄의 측쇄일 수 있음).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가 공중합체의 주쇄 내로 혼입되는 경우, X 기는 ―(L)-Q로 표시될 수도 있고, P는 Q 기로 표시되며, "w" 는 1이고, "z"는 1이다.
화학식 I 내지 VIII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스캐폴드(scaffold)를 합성하기 위해 일반적인 합성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상기 화학식의 구조에 대한 접근법의 예시적인 실시양태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반응성 기(하이드록실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기)와 함께 연질 쇄 링커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과잉의 카프로락톤을 사용하는, 루이스산 촉매작용에 의한 공정 또는 염기 촉매작용에 의한 공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생성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구조에 상응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로, 화학식 V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바이-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법이 도 2a 및 2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합성법에 따르면, 반응성 기 P(여기서 P는 하이드록실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임)를 갖는 구조가 6-클로로헥산올로부터 쉽게 합성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화학식 IV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바이-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거나 실험실에서 쉽게 제조되는 출발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으로부터 합성될 수도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화합물의 바이-메소겐 부분은 합성 경로의 후반부에서 혼입된다. 도 5는 화학식 IV에 따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하이드록시 치환된 메소겐 스캐폴드에 대한 링커 부분 상의 유리 하이드록실 기들 사이의 결합 형성에 대한 한가지 접근법을 도시한다. 이 접근법은 메소겐 함유 구조에서 에테르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미츠노부형 커플링 공정을 이용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화학식 VI 또는 VII의 구조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에 대한 합성 접근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합성 접근법에 따르면, 아크릴레이트 치환된 하이드록시메소겐은 루이스산 촉매작용 또는 염기 촉매작용(도 1 참조) 및 카프로락톤을 이용하여 연질 링커 측쇄에 의해 작용화될 수도 있다. 생성되는 하이드록실 말단기는 P 또는 Q 기에 상응할 수도 있고, 반응성 에스터 작용기,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로의 전환에 의해 추가로 작용화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연질 링커 쇄에 대한 또 다른 접근법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링커는 과잉의 1,3-다이옥산-2-온을 사용하는 루이스산 촉매작용 하에서 합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생성된 하이드록시 종결된 링커는 반응성 에스터 작용기,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의 전환에 의해 추가로 작용화될 수도 있다.
도 8은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에 대한 한가지 접근법을 도시한다. 이 접근법에 따르면, 메소겐 측면에 반응성 작용기 P를 갖고 연질 링커 기 측면에 비반응성 기 R을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카프로락톤에 기초한 링커를 사용하여 합성된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에 대한 한가지 접근법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는 연질의 카프로락톤 유도된 링커 기가 석시네이트 다이에스터에 의해 부착된다.
이제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화학식 VI에 따른 구조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테트라하이드로-2H-피란일 에테르로서 보호된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사용하여 합성될 수도 있다. 이들 합성 계획에 따르면, 메소겐은 합성의 최종 단계로서 구조 내로 혼입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학식 VI 또는 VII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에 대한 접근법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는 반응성 기 P 또는 Q와 함께 연질의 카프로락톤에 기초한 링커 2개가 측면에 있는 메소겐 구조가 합성된다. 도 12에 따르면, 반응성 기 P 또는 Q가 하이드록실일 경우, 이는 (메트)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하이드록실 기의 에스터화에 의해 추가로 작용화되어 반응성 에스터 작용기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학식 VIII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다중 반응성 기 P를 갖는 메소겐 함유 구조가 합성된다. 이 접근법에 따르면, 구조 내에 분지점(branching point)을 설정하기 위해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이 사용된다. 도 1 내지 13에 제공된 합성 계획은 단지 예시 목적으로 제공되고, 화학식 I 내지 VIII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합성에 대한 임의의 바람직한 접근법을 나타내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유기 합성 분야의 숙련자는 목표로 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구조에 기초하여 수많은 다른 합성 접근법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대안적인 합성 접근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공중합체 내로 혼입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를 포함하는 블록 또는 비블록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예컨대 공중합체의 주쇄 내로 혼입된 잔기로서, 또는 공중합체의 주쇄로부터 벗어난 측쇄로서 공중합체 내로 혼입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경질 블록 및 연질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실시양태에 따르면,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경질 블록, 연질 블록, 또는 경질 블록 및 연질 블록 둘 다에 혼입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은 블록 공중합체의 블록(예를 들면 경질 블록 및 연질 블록) 중 하나에 용해될 수도 있다(그러나 혼입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비블록 공중합체(즉, 특정 단량체 잔기들의 큰 블록을 갖는 않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랜덤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 주기 공중합체 및 통계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공중합체의 공단량체 잔기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메소겐 함유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2종보다 많은 상이한 유형의 공단량체 잔기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경화된 LCP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연질" 또는 "경질" 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는 0 내지 200 N/mm2보다 작은 피셔 미세경도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는 중합체 골격 상의 인접하는 스트랜드 내 또는 스트랜드 간 가교결합들 사이의 평균 결합 수가 20개 이상일 수도 있다. 즉, 중합체 골격 상의 결합들의 선형 시퀀스에서, 하나의 가교결합과 그 다음의 인접하는 가교결합 사이에는 결합 20개의 선형 시퀀스가 적어도 존재한다. 임의의 해석에 의해 제한받는 것을 원하지 않지만, 중합체(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경화된 LCP) 골격 상의 스트랜드 내 또는 스트랜드 간 가교결합이 멀리(예컨대 결합 20개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생성되는 중합체 스트랜드가 보다 가요성이고, 생성되는 중합체가 "보다 연질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연질" 특성을 갖는 중합체는 특정 용도, 예를 들면 안과 용도(예컨대 광변색 용도)에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LC 조성물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LC 조성물은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감광성 물질, 비감광성 물질 및 하나 이상의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액정, 액정 특성 조절 첨가제, 비선형 광학 물질, 염료, 배열 촉진제, 운동성 향상제(kinetic enhancer), 광 개시제, 열 개시제, 계면활성제, 중합 억제제, 용매, 광 안정제, 열 안정제, 이형제, 레올로지 조절제, 겔화제, 레벨링제, 자유 라디칼 소거제, 커플링제, 틸트(tilt) 조절 첨가제, 블록 또는 비블록 중합체성 물질, 또는 접착 촉진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변색성 화합물"은 열 가역적 광변색성 물질 및 비-열 가역적 광변색성 물질을 포함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각각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예를 들면 "투명한 상태")로부터 제 2 상태(예를 들면 "착색된 상태)로 스위칭하고 열 에너지 및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변색성"은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변하는 적어도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을 가짐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화학선"은 응답을 야기할 수 있는 자외선 및 가시광선과 같은 전자기 복사선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색성"은,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의 2개의 직교하는 평면 편광된 성분 중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더 강하게 흡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감광성 물질"은 전자기 복사선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응답하는 물질, 예를 들면 인광 물질 또는 형광 물질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감광성 물질"은 전자기 복사선에 응답하지 않는 물질, 예를 들면 고정된 색조의 염료 또는 열변색성 물질을 포함한다.
LC 조성물이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및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변색성 화합물은 열 또는 비-열 가역적 피란, 열 또는 비-열 가역적 옥사진, 및 열 또는 비-열 가역적 펄가이드(fulgide)로부터 선택된 광변색성 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무기 광변색성 물질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열 가역적(non-thermally inversible)"은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스위칭하고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 복원하도록 됨을 의미한다.
광변색성 화합물이 선택될 수도 있고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열 가역적 광변색성 피란은 벤조피란, 나프토피란, 예컨대 나프토[1,2-b]피란, 나프토[2,1-b]피란, 인데노-융합된 나프토피란,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645,767 호의 컬럼 2, 라인 16 내지 컬럼 12, 라인 57에 개시된 것들; 및 헤테로사이클릭-융합된 나프토피란,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723,072 호의 컬럼 2, 라인 27 내지 컬럼 15, 라인 55; 제 5,698,141 호의 컬럼 2, 라인 11 내지 컬럼 19, 라인 45; 제 6,153,126 호의 컬럼 2, 라인 26 내지 컬럼 8, 라인 60; 및 제 6,022,497 호의 컬럼 2, 라인 21 내지 컬럼 11, 라인 46에 개시된 것들; 스피로-9-플루오레노[1,2-b]피란; 페난트로피란; 퀴노피란; 플루오로안테노피란; 스피로피란, 예컨대 스피로(벤즈인돌린)나프토피란, 스피로(인돌린)벤조피란, 스피로(인돌린)나프토피란, 스피로(인돌린)퀴노피란 및 스피로(인돌린)피란을 포함한다. 나프토피란 및 상보적인 유기 광변색성 물질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 5,658,501 호의 컬럼 1, 라인 64 내지 컬럼 13, 라인 17에 기술되어 있다. 스피로(인돌린)피란은 또한 문헌[Techniques in Chemistry, Volume III, "Photochromism", Chapter 3, Glenn H. Brown, Editor,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971]에 기술되어 있다.
광변색성 화합물이 선택될 수도 있고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열 가역적 광변색성 옥사진의 예는 벤즈옥사진, 나프트옥사진 및 스피로-옥사진, 예컨대 스피로(인돌린)나프트옥사진, 스피로(인돌린)피리도벤즈옥사진, 스피로(벤즈인돌린)피리도벤즈옥사진, 스피로(벤즈인돌린)나프트옥사진, 스피로(인돌린)벤즈옥사진, 스피로(인돌린)플루오란텐옥사진 및 스피로(인돌린)퀴녹사진을 포함한다.
광변색성 화합물이 선택될 수도 있고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열 가역적 광변색성 펄가이드의 예는 펄기마이드(fulgimide), 및 3-퓨릴 및 3-싸이엔일 펄가이드 및 펄기마이드(이는 미국 특허 4,931,220 호의 컬럼 2, 라인 51 내지 컬럼 10, 라인 7에 개시되어 있음), 및 전술된 광변색성 물질/화합물 중 임의의 것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광변색성 화합물이 선택될 수도 있고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비-열 가역적 광변색성 화합물의 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5/0004361 호의 단락 [0314] 내지 [0317]에 개시된 광변색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광변색성 화합물은 무기 광변색성 화합물일 수도 있다. 적합한 무기 광변색성 화합물의 예는 은 할라이드, 카드뮴 할라이드 및/또는 구리 할라이드의 결정립(crystallite)를 포함한다. 무기 광변색성 물질의 다른 예는 유로퓸(II) 및/또는 세륨(II)을 광물 유리, 예를 들어 소다-실리카 유리에 첨가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무기 광변색성 물질을 용융된 유리에 첨가하여 입자로 형성하고, 이를 본 발명의 조성물 내로 혼입하여 상기 입자를 포함하는 미세입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유리 미립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수의 다양한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무기 광변색성 물질은 문헌[Kirk 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4th ed., volume 6, pages 322-325]에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조성물의 다른 실시양태는 발광 염료, 예를 들면 인광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비롯한 감광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활성화 후 인광 염료 및 형광 염료는 원자 또는 분자가 더 높은 전자 상태로부터 더 낮은 전자 상태로 갈 때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상기 두 염료 유형 사이의 한가지 차이점은, 복사선에 노출 후 형광 염료로부터의 발광 방출이 인광 염료로부터의 그것보다 더 빨리 일어난다는 점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형광 염료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감광성 물질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각종 형광 염료의 목록에 대해서는 문헌[Haugland, R.P. Molecular Probes Handbook for Fluorescent Probes and Research Chemicals, 6th ed., 1996]을 참조한다. 형광 염료의 예는 안트라센, 테트라센, 펜타센, 로다민, 벤조페논, 쿠마린, 플루오레세인, 페릴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인광 염료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감광성 물질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인광 염료의 적합한 예는 금속-리간드 착체, 예를 들면 트리스(2-페닐피리딘)이리듐[Ir(ppy)3] 및 2,3,7,8,12,13,17,18-옥타에틸-21H,23H-포피린 플라티늄(II)[PtOEP]; 및 유기 염료, 예를 들면 에오신(2',4',5',7'-테트라브로모플루오레세인), 2,2'-바이피리딘 및 에르트로신(2',4',5',7'-테트라요오도플루오레세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감광성 물질의 예는 고정된 색조의 염료를 포함한다. 적합한 고정된 색조의 염료의 예는 나이트로벤젠 염료,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나프토퀴논 염료, 벤조퀴논 염료, 페노싸이아진 염료, 인디고이드 염료, 잔텐 염료, 페난트리딘 염료, 프탈로사이아닌 염료 및 트라이아릴메테인으로부터 유도된 염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고정된 색조의 염료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고정된 색조의 염료 또는 다른 발색성 화합물(예를 들면 광변색성 화합물)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열변색성(thermochromic)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다른 화학 물질과 함께 사용되는 염료의 적합한 예는 치환된 페닐메테인 및 플루오란, 예를 들면 3,3'-다이메톡시플루오란(황색); 3-클로로-6-페닐아미노플루오란(오렌지색); 3-다이에틸아미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주홍색); 3-다이에틸-7,8-벤조플루오란(분홍색); 크리스탈 바이올릿(Crystal Violet) 락톤(청색); 3,3',3"-트리스(p-다이메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감청색);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 락톤(녹색); 3,3'-비스(p-다이메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녹색); 3-다이에틸아미노-6-메틸-7-페닐아미노플루오란(검정색), 인돌릴 프탈라이드, 스피로피란, 쿠마린, 펄가이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열변색성 물질은 콜레스테릭 액정, 및 콜레스테릭 액정과 네마틱 액정의 혼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변색성 화합물은 2개 이상의 광변색성 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때 상기 광변색성 기는 개개의 광변색성 기 상의 연결기의 치환체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광변색성 기는 중합가능한 광변색성 기, 또는 호스트 물질과 상용성이도록 개조된 광변색성 기("상용화된 광변색성 기")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고 유용한 중합가능한 광변색성 기의 예는 미국 특허 제 6,113,814 호의 컬럼 2, 라인 24 내지 컬럼 22, 라인 7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고 유용한 상용화된 광변색성 기의 예는 미국 특허 제 6,555,028 호의 컬럼 2, 라인 40 내지 컬럼 24, 라인 56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광변색성 기 및 상보적인 광변색성 기는 미국 특허 제 6,080,338 호의 컬럼 2, 라인 21 내지 컬럼 14, 라인 43; 제 6,136,968 호의 컬럼 2, 라인 43 내지 컬럼 20, 라인 67; 제 6,296,785 호의 컬럼 2, 라인 47 내지 컬럼 31, 라인 5; 제 6,348,604 호의 컬럼 3, 라인 26 내지 컬럼 17, 라인 15; 제 6,353,102 호의 컬럼 1, 라인 62 내지 컬럼 11, 라인 64; 및 제 6,630,597 호의 컬럼 2, 라인 16 내지 컬럼 16, 라인 23에 기술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양태에서 광변색성 화합물은 광변색성 피란일 수도 있다. 이들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변색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X로 표시될 수도 있다:
[화학식 IX]
Figure pat00016
화학식 IX와 관련하여, A는 나프토, 벤조, 페난트로, 플루오란테노, 안테노, 퀴놀리노, 싸이에노, 퓨로, 인돌로, 인돌리노, 인데노, 벤조퓨로, 벤조싸이에노, 싸이오페노, 인데노-융합된 나프토, 헤테로사이클릭-융합된 나프토 및 헤테로사이클릭-융합된 벤조로부터 선택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환,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방향족 환이다. 이들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향족 또는 융합된 방향족 환 상의 가능한 치환체는 미국 특허 제 5,458,814 호, 제 5,466,398 호, 제 5,514,817 호, 제 5,573,712 호, 제 5,578,252 호, 제 5,637,262 호, 제 5,650,098 호, 제 5,651,923 호, 제 5,698,141 호, 제 5,723,072 호, 제 5,891,368 호, 제 6,022,495 호, 제 6,022,497 호, 제 6,106,744 호, 제 6,149,841 호, 제 6,248,264 호, 제 6,348,604 호, 제 6,736998 호, 제 7,094,368, 제 7,262,295 호 및 제 7,320,826 호에 개시된 것들이다. 화학식 IX에 따르면, "i"는 환 A에 부착된 치환체(들) R'의 수일 수도 있고, 0 내지 10의 범위일 수도 있다. 또한, 화학식 IX와 관련하여, B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기를 나타낸다:
메탈로센일기(예를 들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7/0278460 호의 단락 [0008] 내지 [0036])에 기술된 것들);
반응성 치환체 또는 상용화 치환체로 일치환되는 아릴 기(예를 들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7/0278460 호의 단락 [0037] 내지 [0059]에 논의된 것들);
9-줄로리딘일, 페닐 및 나프틸로부터 선택된 비치환, 일치환, 이치환 또는 삼치환된 아릴 기, 피리딜, 퓨란일, 벤조퓨란-2-일, 벤조퓨란-3-일, 싸이엔일, 벤조싸이엔-2-일, 벤조싸이엔-3-일, 다이벤조퓨란일, 다이벤조싸이엔일, 카바조일, 벤조피리딜, 인돌린일 및 플루오렌일로부터 선택된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헤테로방향족 기[여기서, 상기 아릴 및 헤테로방향족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시, 아릴, 모노- 또는 다이-(C1-C12)알콕시아릴, 모노- 또는 다이-(C1-C12)알킬아릴, 할로아릴, C3-C7 사이클로알킬아릴, C3-C7 사이클로알킬, C3-C7 사이클로알킬옥시, C3-C7 사이클로알킬옥시(C1-C12)알킬, C3-C7 사이클로알킬옥시(C1-C12)알콕시, 아릴(C1-C12)알킬, 아릴(C1-C12)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옥시(C1-C12)알킬, 아릴옥시(C1-C12)알콕시, 모노- 또는 다이-(C1-C12)알킬아릴(C1-C12)알킬, 모노- 또는 다이-(C1-C12)알콕시아릴(C1-C12)알킬, 모노- 또는 다이-(C1-C12)알킬아릴(C1-C12)알콕시, 모노- 또는 다이-(C1-C12)알콕시아릴(C1-C12)알콕시, 아미노, 모노- 또는 다이-(C1-C12)알킬아미노, 다이아릴아미노, 피페라지노, N-(C1-C12)알킬피페라지노, N-아릴피페라지노, 아지리디노, 인돌리노, 피페리디노, 모폴리노, 싸이오모폴리노,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노, 테트라하이드로아이소퀴놀리노, 피롤리디노, C1-C12 알킬, C1-C12 할로알킬, C1-C12 알콕시, 모노(C1-C12 )알콕시(C1-C12 )알킬, 아크릴옥시, 메타크릴옥시, 할로겐 또는 -C(=O)R1이고, 여기서 R1은 -OR2, -N(R3)R4, 피페리디노 또는 모폴리노와 같은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2는 알릴, C1-C6 알킬, 페닐, 모노(C1-C6)알킬 치환된 페닐, 모노(C1-C6)알콕시 치환된 페닐,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킬 치환된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콕시 치환된 페닐(C1-C3)알킬, C1-C6 알콕시(C2-C4)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과 같은 기를 나타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5-C7 사이클로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환된 페닐과 같은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페닐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린일, 이미다졸린일, 피롤리디노, 페노싸이아진일, 페녹사진일, 페나진일 및 아크리딘일로부터 선택된 비치환 또는 일치환된 기[여기서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2 알킬, C1-C12 알콕시, 페닐 또는 할로겐임];
4-치환된 페닐[치환체는 다이카복실산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다이아민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아미노 알코올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올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CH2)-, -(CH2)k- 또는 -[O(CH2)k]q-이고, 여기서 "k"는 2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내고, "q"는 1 내지 50의 정수를 나타내며, 치환체는 또 다른 광변색성 물질의 아릴 기에 결합됨];
Figure pat00017
또는
Figure pat00018
로 표시되는 기[여기서, W는 -CH2- 또는 산소와 같은 기를 나타내고; Y는 산소 또는 치환된 질소와 같은 기를 나타내며, 단 Y가 치환된 질소를 나타내는 경우 W는 -CH2-를 나타내고, 상기 치환된 질소의 치환체는 수소, C1-C12 알킬 또는 C1-C12 아실이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C1-C12 알킬, C1-C12 알콕시, 하이드록시 또는 할로겐과 같은 기를 나타내고;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2 알킬과 같은 기를 나타내고; "j"는 0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냄]; 또는
Figure pat00019
로 표시되는 기[여기서, R8은 수소 또는 C1-C12 알킬과 같은 기를 나타내고, R9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나프틸, 페닐, 퓨란일 또는 싸이엔일과 같은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나프틸, 페닐, 퓨란일 및 싸이엔일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2 알킬, C1-C12 알콕시 또는 할로겐임]. 다르게는, B 및 B'는 함께 플루오렌-9-일리덴, 또는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플루오렌-9-일리덴을 형성하는 기를 나타낼 수도 있고, 상기 플루오렌-9-일리덴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2 알킬, C1-C12 알콕시 또는 할로겐이다.
또한, 화학식 IX와 관련하여, R'는 화학식 IX 중의 환 상의 치환체일 수도 있고, 이때 R'가 sp3 혼성화된 탄소 상의 치환체인 경우,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메탈로센일기; 반응성 치환체 또는 상용화 치환체; 퍼할로(C1-C10)알킬, 퍼할로(C2-C10)알켄일, 퍼할로(C3-C10)알카인일, 퍼할로(C1-C10)알콕시 또는 퍼할로(C3-C10)사이클로알킬; -O(CH2)a(CJ2)bCK3로 표시되는 기[여기서, K는 할로겐이고, J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a"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10의 정수임];
Figure pat00020
또는
Figure pat00021
중 하나로 표시되는 규소 함유 기[여기서, R10,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 알킬, C1-C10 알콕시 또는 페닐; 수소, 하이드록시, C1-C6 알킬, 클로로, 플루오로, C3-C7 사이클로알킬, 알릴 또는 C1-C8 할로알킬; 모폴리노, 피페리디노, 피롤리디노,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아미노(여기서 상기 아미노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페닐, 벤질 또는 나프틸임); 페닐, 나프틸, 벤질, 페난트릴, 피렌일, 퀴놀릴, 아이소퀴놀릴, 벤조퓨란일, 싸이엔일, 벤조싸이엔일, 다이벤조퓨란일, 다이벤조싸이엔일, 카바졸릴 또는 인돌릴로부터 선택된 비치환, 일치환, 이치환 또는 삼치환된 아릴 기임(여기서 상기 아릴 기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 -C(=O)R13[여기서 R13은 수소, 하이드록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아미노, 모노- 또는 다이-(C1-C6)알킬아미노, 모폴리노, 피페리디노, 피롤리디노,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녹시,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아미노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 나프틸, 페녹시 및 페닐아미노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 -OR14[여기서 R14는 C1-C6 알킬,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킬 치환된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콕시 치환된 페닐(C1-C3)알킬, C1-C6 알콕시(C2-C4)알킬, C3-C7 사이클로알킬, 모노(C1-C4)알킬 치환된 C3-C7 사이클로알킬, C1-C8 클로로알킬, C1-C8 플루오로알킬, 알릴 또는 C1-C6 아실임], -CH(R15)R16[여기서 R15는 수소 또는 C1-C3 알킬이고, R16은 -CN, -CF3 또는 -COOR17이고, 여기서 R17은 수소 또는 C1-C3 알킬임], 또는 -C(=O)R18[여기서 R18은 수소, C1-C6 알킬, C1-C6 알콕시, 아미노, 모노- 또는 다이-(C1-C6)알킬아미노,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녹시,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아미노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 나프틸, 페녹시 및 페닐아미노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 4-치환된 페닐[치환체는 다이카복실산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다이아민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아미노 알코올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올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CH2)-, -(CH2)k- 또는 -[O(CH2)k]q-이고, 여기서 "k"는 2 내지 6의 정수이고, "q"는 1 내지 50의 정수이며, 상기 치환체는 또 다른 광변색성 물질 상의 아릴 기에 결합됨]; -CH(R19)2[여기서 R19는 -CN 또는 -COOR20이고, 여기서 R20은 수소, C1-C6 알킬, C3-C7 사이클로알킬,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킬 치환된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콕시 치환된 페닐(C1-C3)알킬,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여기서 상기 상기 페닐 및 나프틸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 -CH(R21)R22[여기서 R21은 수소, C1-C6 알킬,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 및 나프틸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22는 -C(=O)OR23, -C(=O)R24 또는 -CH2OR25이고, 여기서 R23은 수소, C1-C6 알킬, C3-C7 사이클로알킬,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킬 치환된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콕시 치환된 페닐(C1-C3)알킬,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 및 나프틸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24는 수소, C1-C6 알킬, 아미노, 모노(C1-C6)알킬아미노, 다이(C1-C6) 알킬아미노, 페닐아미노, 다이페닐아미노, (모노- 또는 다이-(C1-C6)알킬 치환된 페닐)아미노, (모노- 또는 다이-(C1-C6)알콕시 치환된 페닐)아미노, 다이(모노- 또는 다이-(C1-C6)알킬 치환된 페닐)아미노, 다이(모노- 또는 다이-(C1-C6)알콕시 치환된 페닐)아미노, 모폴리노, 피페리디노,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 또는 나프틸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25는 수소, -C(=O)R23, C1-C6 알킬, C1-C3 알콕시 (C1-C6)알킬, 페닐(C1-C6)알킬, 모노-알콕시 치환된 페닐(C1-C6)알킬,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 또는 나프틸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로부터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동일 원자 상의 2개의 R' 기가 함께 옥소 기,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스피로-카보사이클릭 기, 또는 1 내지 2개의 산소 원자 및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스피로탄소 원자를 포함함)를 함유하는 스피로-헤테로사이클릭 기[상기 스피로-카보사이클릭 및 스피로-헤테로사이클릭 기는 0, 1 또는 2개의 벤젠 환과 어닐화됨(annellated)]를 형성하거나; 또는
R'가 sp2 혼성화된 탄소 상의 치환체인 경우,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C3-C7 사이클로알킬;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여기서 상기 페닐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 -OR26 또는 -OC(=O)R26[여기서 R26은 수소, 아민, 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C1-C6 알킬,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킬 치환된 페닐(C1-C3)알킬, 모노(C1-C6)알콕시 치환된 페닐(C1-C3)알킬, (C1-C6)알콕시(C2-C4)알킬, C3-C7 사이클로알킬, 모노(C1-C4)알킬 치환된 C3-C7 사이클로알킬,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 반응성 치환체 또는 상용화 치환체; 4-치환된 페닐[상기 페닐의 치환체는 다이카복실산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다이아민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아미노 알코올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올 잔기 또는 그의 유도체, -(CH2)-, -(CH2)k- 또는 -[O(CH2)k]q-이고, 여기서 "k"는 2 내지 6의 정수이고, "q"는 1 내지 50의 정수이며, 상기 치환체는 또 다른 광변색성 물질 상의 아릴 기에 결합됨]; -N(R27)R28[여기서 R27 및 R2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8 알킬, 페닐, 나프틸, 퓨란일, 벤조퓨란-2-일, 벤조퓨란-3-일, 싸이엔일, 벤조싸이엔-2-일, 벤조싸이엔-3-일, 다이벤조퓨란일, 다이벤조싸이엔일, 벤조피리딜, 플루오렌일, C1-C8 알킬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C4-C16 바이사이클로알킬, C5-C20 트라이사이클로알킬 또는 C1-C20 알콕시(C1-C6)알킬이거나, 또는 R27 및 R28은 질소 원자와 함께 C3-C20 헤테로-바이사이클로알킬 환 또는 C4-C20 헤테로-트라이사이클로알킬 환을 형성함];
Figure pat00022
로 표시되는 질소 함유 환[여기서 각각의 -V-는 -CH2-, -CH(R29)-, -C(R29)2-, -CH(아릴)-, -C(아릴)2- 및 -C(R29)(아릴)-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R29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이고, 각각의 아릴은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U-는 -V-, -O-, -S-, -S(O)-, -SO2-, -NH-, -N(R29)- 또는 -N(아릴)-이고; "s"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0 내지 3의 정수이며, 단 "r"이 0인 경우 -U-는 -V-와 동일함];
Figure pat00023
또는
Figure pat00024
로 표시되는 기[여기서, 각각의 R30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1-C6 알콕시,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고; R31, R32 및 R3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페닐 또는 나프틸이거나, 또는 R31 및 R32는 함께 탄소 원자 5 내지 8개의 환을 형성하고; "p"는 0 내지 3의 정수임];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8 스피로바이사이클릭 아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8 스피로트라이사이클릭 아민[여기서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릴,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페닐(C1-C6)알킬임]일 수 있거나;
또는 R'는 메탈로센일기; 퍼플루오로알킬 또는 퍼플루오로알콕시; -C(=O)R34 또는 -SO2R34[여기서 각각의 R3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OR35 또는 -NR36R37이고, 여기서 R35, R36 및 R3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C5-C7 사이클로알킬, 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 -C(=C(R38)2)R39[여기서 각각의 R38은 독립적으로 -C(=O)R34, -OR35, -OC(=O)R35, -NR36R37, 수소, 할로겐, 사이아노, C1-C6 알킬, C5-C7 사이클로알킬, 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39는 수소, C1-C6 알킬, C5-C7 사이클로알킬, 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 또는 -C≡CR40 또는 -C≡N[여기서 R40은 -C(=O)R34, 수소, C1-C6 알킬, C5-C7 사이클로알킬, 또는 비치환,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페닐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의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임]일 수 있거나; 또는 인접하는 R' 기의 적어도 한 쌍은 함께
Figure pat00025
또는
Figure pat00026
로 표시되는 기이거나[여기서, D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 또는 -NR27- 기임]; 또는 인접하는 원자 상의 2개의 R' 기가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융합된 기를 형성하고, 상기 융합된 기는 벤조, 인데노, 다이하이드로나프탈렌, 인돌, 벤조퓨란, 벤조피란 또는 싸이아나프텐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LC 조성물은 이색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합한 이색성 화합물은 미국 특허 제 7,097,303 호의 컬럼 7, 라인 6 내지 60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종래의 이색성 화합물의 다른 예는 아조메틴, 인디고이드, 싸이오인디고이드, 메로사이아닌, 인단, 퀴노프탈론계 염료, 페릴렌, 프탈로페린, 트라이페노다이옥사진, 인돌로퀴녹살린, 이미다조-트라이아진, 테트라진, 아조 및 (폴리)아조 염료, 벤조퀴논, 나프토퀴논, 안트로퀴논 및 (폴리)안트로퀴논, 안트로피리미디논, 아이오딘 및 아이오데이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색성 물질은 중합가능한 이색성 화합물일 수 있다. 즉, 이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색성 물질은 중합될 수 있는 기(즉, "중합가능한 기" 또는 "반응성 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이색성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한 기로 종결된 하나 이상의 알콕시, 폴리알콕시, 알킬 또는 폴리알킬 치환체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색성"은,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의 2개의 직교하는 평면 편광된 성분 중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더 강하게 흡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선형 편광시킨다" 또는 "선형 편광"은 광파의 전기 벡터를 한 방향으로 한정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색성 염료는 투과된 복사선의 2개의 직교하는 평면 편광된 성분 중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더 강하게 흡수할 수 있고, 이로써 투과된 복사선의 선형 편광을 초래한다. 그러나, 이색성 염료는 투과된 복사선의 2개의 직교하는 평면 편광된 성분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흡수할 수는 있으나, 이색성 염료의 분자들이 배열되지 않는다면, 투과된 복사선의 순 선형 편광이 달성되지 않을 것이다. 즉, 이색성 염료의 분자들이 불규칙적으로 위치됨으로 인해, 개개의 분자들에 의한 선택적인 흡수가 서로를 상쇄시켜 순 또는 전체적 선형 편광 효과가 달성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순 선형 편광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색성 물질의 분자들을 적절히 배열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5/0003107 호의 단락 [0008] 내지 [0126]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배열 설비를 이용하여 광학 이방성 염료, 예를 들어 이색성 염료의 위치화를 용이하게 하고, 이로써 목적하는 광학 특성 또는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LC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변색성-이색성"은 특정 조건 하에서 광변색성 및 이색(즉, 선형 편광)성 둘 다를 나타냄을 의미하며, 이들 특성은 적어도 계측기에 의해 검출가능하다. 따라서,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특정 조건 하에서 광변색성 및 이색(즉, 선형 편광)성 둘 다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며, 이들 특성은 적어도 계측기에 의해 검출가능하다. 따라서,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변하는 적어도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을 갖고,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의 2개의 직교하는 평면 편광된 성분 중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더 강하게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위에서 논의된 종래의 광변색성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본원에 개시된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열 가역적일 수 있다. 즉,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스위칭하고, 열 에너지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메소겐 함유 물질은 하나 이상의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목적하는 속도로 스위칭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종래의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화학선에 응답하여 하나의 이성질체 형태로부터 또 다른 이성질체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이때 각각의 이성질체 형태는 특징적인 흡수 스펙트럼 및/또는 편광 특성을 갖는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유사한 이성질체성 변형을 겪는다. 이러한 이성질체성 변형(및 역 변형)이 일어나는 속도 또는 스피드는,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즉 "호스트")을 둘러싸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된 층의 특성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본 발명자들은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들)의 변형 속도가 호스트의 쇄 단편의 가요성, 즉 호스트의 쇄 단편의 이동성 또는 점도에 부분적으로 의존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특히,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변형 속도는 일반적으로 딱딱하거나 강성인 쇄 단편을 갖는 호스트에서보다 가요성 쇄 단편을 갖는 호스트에서 더 빠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인 층이 호스트인 본원에 개시된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다양한 이성질체 상태들 사이에서 목적하는 속도로 변형시키도록 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은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의 분자량 및 가교결합 밀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함으로써 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제 1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 1 상태, 및 상기 제 1 흡수 스펙트럼과는 상이한 제 2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 2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상태로 스위칭하고 열 에너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상태로 복원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또한,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 중 하나 또는 둘 다에서 이색성(즉, 선형 편광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활성화된 상태에서 선형 편광성이고, 블리치된(bleached) 또는 페이드된(faded)(즉,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편광성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활성화된 상태"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스위칭시키기에 충분한 화학선에 노출된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지칭한다. 또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둘 다에서 이색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활성화된 상태 및 블리치된 상태 둘 다에서 가시광선을 선형 편광시킬 수 있다. 또한,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활성화된 상태에서 가시광선을 선형 편광시킬 수 있고, 블리치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선형 편광시킬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LC 조성물에 포함될 수도 있는 적합한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5/0012998 호의 단락 [0089] 내지 [0339]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한 광변색성 이색성 화합물에 대한 일반적인 구조는 미국 특허 제 7,342,112 호의 컬럼 5, 라인 35 내지 컬럼 31, 라인 3, 및 컬럼 97 내지 102에 걸친 표 V에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광변색성 화합물 및/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광변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이 혼입된 LC 조성물 또는 LC 조성물이 도포된 것들(예를 들면 기재)이, 활성화된 상태 또는 "블리치된" 상태에서 목적하는 색상 또는 색상들을 나타낼 수 있는 양 또는 비율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종래의 유기 광변색성 화합물(위에서 논의됨)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목적하는 광변색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이 존재한다면, 광변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중요하지 않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변색량"은 목적하는 광변색 효과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광변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LC 조성물 및 다른 물품은 목적하는 광학 특성, 예를 들면 광변색성 및 이색성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양의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및/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LC 조성물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액정, 액정 특성 조절제, 비선형 광학 물질, 염료, 배열 촉진제, 운동성 향상제, 광 개시제, 열 개시제, 계면활성제, 중합 억제제, 용매, 광 안정제(예를 들면 자외선 광 흡수제 및 광 안정제, 예를 들면 장애 아민 광 안정제(HALS)), 열 안정제, 이형제, 레올로지 조절제, 겔화제, 레벨링제(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자유 라디칼 소거제, 또는 접착 촉진제(예를 들면 헥세인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및 커플링제)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액정 물질은 액정 중합체, 액정 예비중합체 및 액정 단량체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비중합체"는 부분적으로 중합된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액정 단량체는 일작용성뿐만 아니라 다작용성 액정 단량체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액정 단량체는 가교결합성 액정 단량체일 수 있고, 또한 광 가교결합성 액정 단량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 가교결합성"은 화학선에 노출시 가교결합될 수 있는 물질(예를 들면 단량체, 예비중합체 또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교결합성 액정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알릴 에테르, 알카인, 아미노, 무수물, 에폭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블록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실록세인, 싸이오사이아네이트, 싸이올, 유레아, 바이닐, 바이닐 에테르 및 이들의 블렌드로부터 선택된 작용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광 가교결합성 액정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알카인, 에폭사이드, 싸이올 및 이들의 블렌드로부터 선태된 작용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가교결합 작용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을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액정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는 서모트로픽 액정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 및 리오트로픽 액정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정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는 주쇄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 또는 측쇄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일 수 있다. 게다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액정 중합체 또는 예비중합체는 가교결합성일 수 있고, 또한 광 가교결합성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액정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의 예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알릴 에테르, 알카인, 아미노, 무수물, 에폭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블록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실록세인, 싸이오사이아네이트, 싸이올, 유레아, 바이닐, 바이닐 에테르 및 이들의 블렌드로부터 선택된 작용기를 갖는 주쇄 및 측쇄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광 가교결합성 액정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의 예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알카인, 에폭사이드, 싸이올 및 이들의 블렌드로부터 선택된 작용기를 갖는 중합체 및 예비중합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는 젖음제, 발포 방지제, 유화제, 분산제, 레벨링제 등으로서 달리 공지된 물질을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일 수 있고, 각 유형의 많은 계면활성제가 시판되고 있다. 사용될 수도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에톡실화된 알킬 페놀, 예컨대 IGEPAL(등록상표) DM 계면활성제 또는 TRITON(등록상표) X-100으로서 판매되는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 아세틸렌성 다이올, 예컨대 SURFYNOL(등록상표) 104로서 판매되는 2,4,7,9-테트라메틸-5-데카인-4,7-다이올, 에톡실화된 아세틸렌성 다이올, 예컨대 SURFYNOL(등록상표) 400 계면활성제 시리즈, 플루오로-계면활성제, 예컨대 FLUORAD(등록상표) 플루오로케미칼 계면활성제 시리즈, 및 캡핑된 비이온성 물질, 예컨대 TRITON(등록상표) CF87로서 판매되는 벤질 캡핑된 옥틸 페놀 에톡실화물, 계면활성제의 PLURAFAC(등록상표) RA 시리즈로서 입수가능한 프로필렌 옥사이드 캡핑된 알킬 에톡실화물, 옥틸페녹시헥사데실에톡시 벤질 에테르, 바이크 케미(Byk Chemie)에 의해 BYK(등록상표)-306 첨가제로서 판매되는 용매 중의 폴리에테르 개질된 다이메틸폴리실록세인 공중합체 및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선형 광학(NLO) 물질의 실시양태는, 비선형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결정을 형성하는 임의의 유기 물질을 실질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들은 현재 입수가능하기도 하고 차후에 합성될 수도 있다. 그의 예는 다음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N-(4-나이트로페닐)-(L)-프롤린올(NPP); 4-N,N-다이메틸아미노-4'-N'-메틸-스틸브아졸륨 토실레이트(DAST); 2-메틸-4-나이트로아닐린(MNA); 2-아미노-5-나이트로피리딘(2A5NP); p-클로로페닐유레아(PCPU); 및 4-(N,N-다이메틸아미노)-3-아세트아미도나이트로벤젠(DAN). 적합한 NLO 물질의 추가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 6,941,051 호의 컬럼 4, 라인 4 내지 37에 개시되어 있다.
열 안정제의 예는 염기성 질소 함유 화합물, 예컨대 바이유레아, 알란토인 또는 그의 금속 염, 카복실산 하이드라자이드, 예컨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복실산 하이드라자이드, 유기 카복실산의 금속 염,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하이드로탈사이트, 제올라이트 및 산성 화합물(예컨대, 붕산 화합물, 하이드록실 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환형 화합물, 카복실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폴리)페놀, 뷰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 및 아미노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형제의 예는 장쇄 지방족 산과 알코올(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의 에스터, 게르베(guerbet) 알코올, 장쇄 케톤, 실록세인, 알파-올레핀 중합체, 장쇄 알케인, 및 15 내지 60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레올로지 조절제는 전형적으로는 분말인 증점제이며, 이는 실리카와 같은 무기 물질, 미세결정질 셀룰로스와 같은 유기 물질, 또는 미립자상 중합체성 물질일 수 있다. 겔화제는 흔히 유기 물질로, 이들이 첨가된 물질의 요변성(thixotropy)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들이다. 적합한 겔화제의 예는 천연 고무, 전분, 펙틴, 한천-한천, 및 젤라틴을 포함한다. 겔화제는 흔히 다당류 또는 단백질에 기초할 수 있다.
자유 라디칼 소거제는 가수분해에 저항성인 합성 슈도펩타이드, 예컨대 카르시닌(Carcinine)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아미노산, 예컨대 L-라이신 라우로일메티오닌; 다중 효소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천연 토코페롤 및 관련 화합물; 및 -OH, -SH 또는 -NRH 기와 같은 활성 수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자유 라디칼 소거제의 추가적인 예는 입체 장애 아민(HALS=장애 아민 광 안정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는 통상적인 광 보호제와는 달리, 조사된 광의 흡수 또는 흡수된 광의 소광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중합체성 물질 및 산화방지제의 광 분해 동안 형성되는 자유 라디칼 및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소거하거나 교체하는 능력에 본질적으로 기초한다.
접착 촉진제는 접착 촉진 오가노-실레인 물질, 예컨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4/0207809 호의 단락 [0033] 내지 [0042]에 기술된 아미노오가노실레인 물질, 실레인 커플링제, 유기 타이타네이트 커플링제 및 유기 지르코네이트 커플링제를 포함한다. 접착 촉진제의 추가적인 예는 롱-프랑(Rhone-Poulenc)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지르코-알루미네이트 접착 촉진 화합물을 포함한다. 알루미늄-지르코늄 착체의 제조법은 미국 특허 제 4,539,048 호 및 제 4,539,049 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는 실험식: (Al2(OR1O)aAbBc )X(OC(R2)O)Y(ZrAdBe)Z(여기서 X, Y 및 Z는 1 이상이고, R2는 2 내지 1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알켄일, 아미노알킬, 카복시알킬, 머캅토알킬 또는 에폭시알킬 기이고, X:Z의 비는 약 2:1 내지 약 5:1임)에 상응하는 지르코-알루미네이트 착체 반응 생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추가적인 지르코-알루미네이트 착체는 미국 특허 제 4,650,526 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염료의 예는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에 목적하는 색상 또는 다른 광학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기 염료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열 촉진제"는 이것이 첨가된 물질의 배열 속도 및 균일성 중 하나 이상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의미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배열 촉진제의 예는 미국 특허 제 6,338,808 호 및 미국 특허 공개 제 2002/0039627 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운동성 향상 첨가제의 예는 에폭시 함유 화합물, 유기 폴리올 및/또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운동성 향상 첨가제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 6,433,043 호 및 미국 특허 공개 제 2003/0045612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 중에 존재할 수 있는 광 개시제의 예는 분열형 광 개시제 및 추출형 광 개시제를 포함한다. 분열형 광 개시제의 예는 아세토페논, α-아미노알킬페논, 벤조인 에테르, 벤조일 옥심, 아실포스핀 옥사이드 및 비스아실포스핀 옥사이드 또는 이러한 개시제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 개시제의 시판 중인 예는 시바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Ciba Chemicals, Inc.)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DAROCURE(등록상표) 4265이다. 추출형 광 개시제의 예는 벤조페논, 미흘러 케톤, 싸이옥산톤, 안트라퀴논, 캄포퀴논, 플루오론, 케토쿠마린 또는 이러한 개시제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LC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는 광 개시제의 또 다른 예는 가시광에 의한 광 개시제이다. 적합한 가시광에 의한 광 개시제의 예는 미국 특허 제 6,602,603 호의 컬럼 12, 라인 11 내지 컬럼 13, 라인 21에 기재되어 있다.
열 개시제의 예는 유기 퍼옥시 화합물 및 아조비스(오가노나이트릴) 화합물을 포함한다. 열 개시제로서 유용한 유기 퍼옥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퍼옥시모노카보네이트 에스터, 예를 들어 3급 뷰틸퍼옥시 아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에스터, 예를 들어 다이(2-에틸헥실) 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2급 뷰틸) 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및 다이아이소프로필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아실퍼옥사이드, 예를 들어 2,4-다이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이소뷰티릴 퍼옥사이드, 데칸오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프로피온일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p-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퍼옥시에스터, 예를 들어 t-뷰틸퍼옥시 피발레이트, t-뷰틸퍼옥시 옥틸레이트 및 t-뷰틸퍼옥시아이소뷰티레이트; 메틸에틸케톤 퍼옥사이드; 및 아세틸사이클로헥세인 설폰일 퍼옥사이드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열 개시제는 생성되는 중합물을 변색시키지 않는 것들이다. 열 개시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아조비스(오가노나이트릴) 화합물의 예는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아조비스(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 억제제의 예는 나이트로벤젠, 1,3,5-트라이나이트로벤젠, p-벤조퀴논, 클로라닐, DPPH, FeCl3, CuCl2, 산소, 황, 아닐린, 페놀, p-다이하이드록시벤젠, 1,2,3-트라이하이드록시벤젠, 및 2,4,6-트라이메틸페놀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LC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용매의 예는 LC 조성물의 고체 성분을 용해시키는 것으로, 상기 LC 조성물 및 상기 요소 및 기재와 상용성이고/이거나 LC 조성물이 적용되는 표면(들)의 균일한 피복을 확보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가능한 용매는 다음을 포함한다: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그의 유도체(DOWANOL(등록상표) 공업용 용매로서 판매됨), 아세톤, 아밀 프로피온에이트, 아니솔, 벤젠, 뷰틸 아세테이트, 사이클로헥세인, 에틸렌 글리콜의 다이알킬 에테르, 예컨대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테르 및 그의 유도체(CELLOSOLVE(등록상표) 공업용 용매로서 판매됨),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벤조에이트,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다이메틸 폼아마이드, 다이메톡시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메틸 사이클로헥산온, 사이클로펜탄온,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메틸 프로피온에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자일렌, 2-메톡시에틸 에테르, 3-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LC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중합체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추가적인 중합체성 물질의 적합한 예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962,617 호 및 미국 특허 제 5,658,501 호의 컬럼 15, 라인 28 내지 컬럼 16, 라인 17에 개시된 단량체 및 단량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중합체성 물질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의 중합체성 물질일 수 있고, 투명(transparent)하거나 광학적으로 투명(optically clear)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임의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단량체 및 중합체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폴리올(알릴 카보네이트) 단량체, 예컨대 알릴 다이글리콜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PPG Industries, Inc.)에 의해 상표명 CR-39로 판매되는 단량체인 다이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폴리유레테인 예비중합체와 다이아민 경화제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유레아-폴리유레테인(폴리유레아-유레테인) 중합체(하나의 이러한 중합체를 위한 조성물은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상표명 TRIVEX로 판매되고 있음); 폴리올(메트)아크릴로일 종결된 카보네이트 단량체;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톡실화된 페놀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다이아이소프로펜일 벤젠 단량체; 에톡실화된 트라이메틸올 프로페인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틸렌 글리콜 비스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스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폴리(에톡실화된 비스페놀 A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폴리(바이닐 아세테이트); 폴리(바이닐 알코올);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 폴리(바이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유레테인; 폴리싸이오유레테인;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및 포스젠으로부터 유도되는 카보네이트-연결된 수지(하나의 이러한 물질은 상표명 LEXAN으로 판매되고 있음); 폴리에스터, 예를 들어 상표명 MYLAR로 판매되는 물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바이닐 뷰티랄;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상표명 PLEXIGLAS로 판매되는 물질; 및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폴리싸이올 또는 폴리에피설파이드 단량체와 반응시켜 제조되는 중합체(단독중합되거나, 또는 폴리싸이올,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아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 및 임의적으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또는 할로겐화된 방향족 함유 바이닐 단량체와 공중합되거나 삼원중합됨). 또한, 예컨대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호침투형 망상구조 생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및 전술된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다른 중합체의 블렌드도 고려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추가적인 중합체성 물질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C1-C12)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옥시(알킬렌 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알콕실화된 페놀 메타크릴레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온에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폴리(바이닐 아세테이트), 폴리(바이닐 알코올),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 폴리(바이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바이닐피롤리돈), 폴리((메트)아크릴아마이드), 폴리(다이메틸 아크릴아마이드),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산),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유레테인, 폴리싸이오유레테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타이렌, 폴리(알파 메틸스타이렌), 코폴리(스타이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바이닐뷰티랄, 및 폴리올(알릴 카보네이트) 단량체, 일작용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일작용성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다작용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다작용성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다이아이소프로펜일 벤젠 단량체, 알콕실화된 다가 알코올 단량체 및 다이알릴리덴 펜타에리트리톨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들의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중합체성 물질은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실화된 비스페놀 A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바이닐 아세테이트, 바이닐뷰티랄, 유레테인, 싸이오유레테인, 다이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 카보네이트),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다이아이소프로펜일 벤젠 및 에톡실화된 트라이메틸올 프로페인 트라이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단량체(들)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광학 요소를 제공한다. 광학 요소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적어도 부분적인 층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층"은 층, 코팅 및 필름을 포함하며, 이들은 경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라 기술된 바와 같은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 예를 들어 화학식 I, II, III, IV, V, VI, VII 또는 VIII에 따른 구조를 갖는 것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LC 조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학 및 광학적(optical)"은 광 및/또는 시야에 관한 것이거나 이와 관련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요소 또는 장치는 안과 요소 및 장치, 디스플레이 요소 및 장치, 윈도우, 미러, 및 능동 및 수동 액정 셀 요소 및 장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액정 셀"은 정렬될 수 있는 액정 물질을 함유하는 구조체를 지칭한다. 능동 액정 셀은 액정 물질이 외부 힘(예를 들면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적용에 의해, 정렬된 상태와 정렬되지 않은 상태 사이 또는 2개의 정렬된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는 셀이다. 수동 액정 셀은 액정 물질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는 셀이다. 능동 액정 셀 요소 또는 장치의 일례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과"는 눈 및 시각에 관한 것이거나 이에 관련됨을 의미한다. 안과 요소의 예는, 단일 시야 렌즈 또는 다중 시야 렌즈(이는 분할 또는 비분할된 다중 시야 렌즈(예를 들면 2초점 렌즈, 3초점 렌즈 및 누진 렌즈)일 수 있음)를 비롯한 교정 및 비교정 렌즈뿐만 아니라, 콘택트 렌즈, 안구내 렌즈, 확대 렌즈, 및 보호 렌즈 또는 바이저를 비롯하여 시력을 (미용적으로 또는 달리) 보정, 보호 또는 향상시키는 데 사용되는 다른 요소를 포함하며; 또한 부분적으로 형성된 렌즈 및 렌즈 블랭크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디스플레이"는 단어, 숫자, 기호, 디자인 또는 도면에서의 정보의 가시적 또는 기계판독가능한 표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요소 및 장치의 예는 스크린, 모니터 및 보안 요소(예를 들면 보안 마크 및 인증 마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윈도우"는 이를 통한 복사선의 투과를 허용하도록 개조된 개구부(aperture)를 의미한다. 윈도우의 예는 자동차 및 항공기용 투명체, 필터, 셔터 및 광학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러"는 입사광의 대부분을 거울같이 반사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광학 요소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 예를 들면 경화된 코팅층은,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감광성 물질, 비감광성 물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액정, 액정 특성 조절 첨가제, 비선형 광학 물질, 염료, 배열 촉진제, 운동성 향상제, 광 개시제, 열 개시제, 계면활성제, 중합 억제제, 용매, 광 안정제, 열 안정제, 이형제, 레올로지 조절제, 겔화제, 레벨링제, 자유 라디칼 소거제 및/또는 접착 촉진제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안과 요소의 다양한 실시양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감광성 물질, 비감광성 물질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 상세히 논의되어 있다.
이색성 화합물은 평면 편광된 광의 2개의 직교하는 성분 중 하나를 우선적으로 흡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순 선형 편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색성 화합물의 분자들을 적절히 위치 또는 배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순 선형 편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분자들을 적절히 위치 또는 배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즉, 일반적으로 이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분자들을 배열시켜, 활성화된 상태의 이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분자들의 장축이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이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또한, 이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활성화된 상태가 이들 물질의 이색성 상태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이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시켜, 활성화된 상태의 이색성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의 분자들의 장축을 배열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열시킨다(align)"는 또 다른 물질, 화합물 또는 구조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적절한 배치 또는 위치로 함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색성 화합물 및/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또는 다른 이방성 물질(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특정 실시양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조성물, 예를 들어 이색성 화합물,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또는 다른 이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어도 부분적인 배열은,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자기장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전단력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장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평면 편광된 자외선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적외선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에칭하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러빙하는 것, 및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또 다른 구조체 또는 물질,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 배열 매질을 사용하여 배열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배향된 표면을 이용하여 이색성 화합물 및/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또는 다른 이방성 물질(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특정 실시양태)을 배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배향된 표면에 액정 분자들을, 예컨대 러빙, 그루빙(grooving) 또는 광 배열 방법에 의해 적용하고, 계속해서 액정 분자들을 배열시켜 액정 분자들 각각의 장축이 배향(이는 일반적으로 상기 표면 배향의 일반적인 방향과 평행함)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라 배열 매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액정 물질의 예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 액정 중합체, 액정 예비중합체, 액정 단량체, 및 액정 메소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비중합체"는 부분적으로 중합된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광학 요소가, 광변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포함한 경화된 층을 포함하는 실시양태에 따르면, 코팅은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스위칭하고, 또한 열 에너지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 복원하도록 개조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코팅은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을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하나 이상에서 선형 편광시키도록 개조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코팅은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을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둘 다에서 선형 편광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양태는 기재의 적어도 한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된,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인 층 또는 코팅을 포함하는 광학 요소를 부분적으로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코팅"은 유동성 조성물로부터 유도되는 지지된 필름을 의미하고, 이는 균일한 두께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으며, 중합체성 시트는 특별히 제외시킨다. 층 또는 코팅은 광학 요소의 표면에 적용된 후 경화되어, 경화된 층 또는 코팅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트"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고 자가 지지가능한 예비형성된 필름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에 접속된"은 대상물과 직접 접촉하고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조체 또는 물질을 통해 대상물과 간접 접촉하되 상기 구조체 또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대상물과 직접 접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은 기재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 접촉하고 있을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조체 또는 물질을 통해 기재의 적어도 일부와 간접 접촉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은 하나 이상의 다른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 중합체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과 접촉하고 있을 수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시키는 데 적합한 방법은,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자기장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전단력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장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평면 편광된 자외선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적외선에 노출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시키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에칭하는 것,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러빙하는 것, 및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또 다른 구조체 또는 물질,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 배열 매질을 사용하여 배열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층의 적합한 배열 방법은 미국 특허 제 7,097,303 호의 컬럼 27, 라인 17 내지 컬럼 28, 라인 45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광학 요소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 예를 들면 경화된 층 또는 코팅은 광변색성 화합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이색성 화합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감광성 물질, 비감광성 물질, 및 하나 이상의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액정, 액정 특성 조절 첨가제, NLO 물질, 염료, 배열 촉진제, 운동성 향상제, 광 개시제, 열 개시제, 계면활성제, 중합 억제제, 용매, 광 안정제, 열 안정제, 이형제, 레올로지 조절제, 겔화제, 레벨링제, 자유 라디칼 소거제, 커플링제, 틸트 조절 첨가제 및 접착 촉진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화합물, 물질 및 첨가제의 적합한 예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본 발명의 LC 조성물과 관련된 부분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 기술된 광학 요소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스위칭하고 열 에너지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 복원하도록 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이 광변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의 비착색되거나 투명한 상태에서 제 2의 착색된 상태로 스위칭하고 열 에너지에 응답하여 제 1의 투명한 상태로 복원하도록 개조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을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하나 이상에서 선형 편광시키도록 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선형 편광된 복사선을 투과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요소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소겐 함유 화합의 잔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경화된 적어도 부분적인 층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액정 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액정 상은 네마틱 상, 스멕틱 상, 키랄 네마틱 상 또는 디스코틱 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재, 및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적어도 부분적인 층을 포함하는 안과 요소를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이색성 화합물, 광변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하나 이상의 첨가제; 0 N/mm2 내지 150 N/mm2(특정 실시양태에서는 50 N/mm2 내지 150 N/mm2) 범위의 피셔 미세경도를 갖는 제 1 중합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I, III,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것으로 표시되는 액정 단량체 또는 그의 잔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색성 화합물 및/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액정 단량체 또는 그의 잔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첨가제(들)는 액정, 액정 특성 조절 첨가제, NLO 물질, 염료, 배열 촉진제, 운동성 향상제, 광 개시제, 열 개시제, 계면활성제, 중합 억제제, 용매, 광 안정제, 열 안정제, 이형제, 레올로지 조절제, 겔화제, 레벨링제, 자유 라디칼 소거제, 커플링제, 틸트 조절 첨가제, 및 접착 촉진제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적합한 이색성 화합물, 광변색성 화합물,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및 첨가제는 본원에서, 예컨대 본 발명의 액정 조성물 및 광학 요소를 기술할 때 보다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액정 단량체의 잔기는 액정 중합체 내로 혼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LC 단량체의 잔기는 LCP의 주쇄 내로 혼입되거나, 또는 LCP의 주쇄에 부착된 측쇄로서 혼입될 수 있다. LCP 내로의 LC 단량체 잔기의 혼입은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서 "상태(state)"라는 용어를 수식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 "제 1" 및 "제 2"는 임의의 특정 순서 또는 연대순을 지칭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그 대신 2가지의 상이한 조건 또는 특성을 지칭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코팅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하나 이상의 광학 특성, 예를 들면 가시광선 및/또는 자외선의 흡수 또는 선형 편광에 관해 상이할 수도 있다. 본원에 기술된 안과 요소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스위칭하고 열 에너지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 복원하도록 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인 층이 광변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의 비착색되거나 투명한 상태로부터 제 2의 착색된 상태로 스위칭하고 열 에너지에 응답하여 제 1의 투명한 상태로 복원하도록 개조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은 제 1 상태에서 제 1 색상을 갖고 제 2 상태에서 제 2 색상을 갖도록 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을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하나 이상에서 선형 편광시키도록 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선형 편광된 복사선을 투과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액정 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액정 상은 네마틱 상, 스멕틱 상, 키랄 네마틱 상 또는 디스코틱 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갖는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은 제 1 상태에서 제 1 흡수 스펙트럼을 갖고 제 2 상태에서 제 2 흡수 스펙트럼을 가지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둘 다에서 선형 편광되도록 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액정 셀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액정 셀은 제 1 표면을 갖는 제 1 기재; 제 2 표면을 갖는 제 2 기재;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I, III,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것으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액정 셀과 관련하여, 제 2 기재의 제 2 표면은 제 1 기재의 제 1 표면과 대향하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영역을 획정할 수도 있다.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는 제 1 기재와 제 2 기재 사이의 상기 영역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는 제 1 기재의 제 1 표면, 제 2 기재의 제 2 표면, 또는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둘 다 중 적어도 하나 상의 적어도 부분적인 층 내로 혼입될 수도 있다. 액정 셀은 예를 들면 스크린, 모니터 또는 보안 요소를 비롯한 디스플레이 요소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액정 셀은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적합한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은 본원에서, 예컨대 본 발명의 액정 조성물 및 광학 요소를 기술할 때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액정 셀은,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 중 하나 이상의 표면(예를 들면 제 1 표면 및/또는 제 2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된 적어도 부분적인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은 선형 편광층, 원형 편광층, 타원형 편광층, 광변색층, 반사층, 착색된 층, 지연층 및 광각 시야층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액정 셀은 픽셀화된 셀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픽셀화된(pixelated)"은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액정 셀과 같은 물품이 복수의 개별적인 픽셀(즉, 디스플레이, 이미지 또는 셀 내의 특정 위치를 차지하는 단일점)로 세별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액정 셀은 복수의 영역 또는 구획(즉,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화된 셀일 수도 있다. 개별적인 픽셀의 특성, 예를 들어 색상 및 편광 등은 디스플레이 요소, 액정 또는 물품 내의 다른 픽셀과 관련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I, III,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것으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를 포함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제품은 성형품, 조립품 및 주조품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액정 조성물, 광학 요소, 안과 요소, 액정 셀 및 제품(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것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과 요소를 비롯한 광학 요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액정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단계; 상기 액정 조성물로 기재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는 단계; 코팅층 중의 상기 액정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시키는 단계; 및 액정 코팅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액정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액정은 하나 이상의 메소겐 함유 조성물 또는 그의 잔기; 하나 이상의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 이색성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소겐 함유 조성물 또는 그의 잔기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I, III,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 이색성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코팅 중 액정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시키는 방법은 본원 및 미국 특허 제 7,097,303 호의 컬럼 27, 라인 17 내지 컬럼 28, 라인 45에 기술되어 있다.
액정 코팅층을 경화시키는 것은 액정 조성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정 조성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시키는 방법은 열 에너지(예를 들면 열 개시제를 활성화시키는 것);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감마선, 마이크로파 복사선, 전자 복사선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에 액정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켜, 촉매 또는 개시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중합가능 성분의 중합 반응 또는 가교결합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요구되거나 필요한 경우, 그 뒤에 가열 단계가 후속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액정 코팅층은 특정 경도로 경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양태에서, 액정 코팅층은 0 내지 150 N/mm2 범위의 피셔 미세경도를 갖도록 경화될 수도 있다(이는 또한 양호한 광변색성 및/또는 이색성 응답 특성도 나타냄).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액정 조성물은 60 N/mm2 미만, 예를 들면 0 내지 59.9 N/mm2, 다르게는 5 내지 25 N/mm2의 피셔 미세경도로 경화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액정 코팅층은 150 N/mm2 내지 250 N/mm2, 다르게는 150 N/mm2 내지 200 N/mm2 범위의 피셔 미세경도를 갖도록 경화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액정 조성물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도록, 예를 들면 액정 조성물의 액정 투명 온도를 조정하거나, 액정 조성물의 점도를 저하시키거나, 액정 조성물의 네마틱 상의 상 온도를 넓히거나, 액정 조성물의 상을 안정화시키거나, 액정 조성물의 틸트를 조절하도록 개조될 수도 있다.
적어도 부분적인 층, 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액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을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포함하는 광학 요소, 예를 들어 안과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미국 특허 제 7,342,112 호의 컬럼 83, 라인 16 내지 컬럼 84, 라인 10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개시된 방법은 광학 요소 및 안과 요소와 같은 물품(이는 또한 광변색성 화합물, 이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임바이딩(imbibing), 코팅, 오버몰딩(overmolding),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스프레이 및 스핀 코팅, 커튼 코팅, 플로우 코팅, 딥 코팅, 사출 성형, 캐스팅, 롤 코팅, 및 와이어 코팅에 의해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재는 유기 물질, 무기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면, 복합 물질)으로부터 형성된 기재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기재의 예는 이하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기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는 유기 물질의 구체적인 예는 중합체성 물질, 예를 들어 위에서 상세히 논의된 것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962,617 호 및 미국 특허 제 5,658,501 호의 컬럼 15, 라인 28 내지 컬럼 16, 라인 17에 개시된 단량체 및 단량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중합체성 물질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의 중합체성 물질일 수 있고, 투명하거나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임의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단량체 및 중합체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폴리올(알릴 카보네이트) 단량체, 예컨대 알릴 다이글리콜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상표명 CR-39로 판매되는 단량체인 다이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폴리유레테인 예비중합체와 다이아민 경화제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유레아-폴리유레테인(폴리유레아-유레테인) 중합체(하나의 이러한 중합체를 위한 조성물은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상표명 TRIVEX로 판매되고 있음); 폴리올(메트)아크릴로일 종결된 카보네이트 단량체;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톡실화된 페놀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다이아이소프로펜일 벤젠 단량체; 에톡실화된 트라이메틸올 프로페인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틸렌 글리콜 비스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스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폴리(에톡실화된 비스페놀 A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폴리(바이닐 아세테이트); 폴리(바이닐 알코올);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 폴리(바이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유레테인; 폴리싸이오유레테인;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및 포스젠으로부터 유도되는 카보네이트-연결된 수지(하나의 이러한 물질은 상표명 LEXAN으로 판매되고 있음); 폴리에스터, 예를 들어 상표명 MYLAR로 판매되는 물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바이닐 뷰티랄;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상표명 PLEXIGLAS로 판매되는 물질; 및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폴리싸이올 또는 폴리에피설파이드 단량체와 반응시켜 제조되는 중합체(단독중합되거나, 또는 폴리싸이올,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아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 및 임의적으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또는 할로겐화된 방향족 함유 바이닐 단량체와 공중합 및/또는 삼원중합됨). 또한, 예컨대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호침투형 망상구조 생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및 전술된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다른 중합체의 블렌드도 고려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광학 기재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과 기재(ophthalmic substrate)"는 렌즈, 부분적으로 형성된 렌즈, 및 렌즈 블랭크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안과 기재를 형성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물질의 예는, 안과 기재로서 유용하고 당해 분야에 공지된 중합체, 예를 들면 광학 용도(예컨대 안과 렌즈)를 위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주조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유기 광학 수지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기재를 형성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물질의 다른 예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 중합체성 물질을 비롯한 합성 및 천연 유기 물질, 천연 및 합성 직물, 및 셀룰로스계 물질(예를 들면 종이 및 나무)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기재를 형성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무기 물질의 예는 유리, 광물, 세라믹 및 금속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기재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기재는 반사성 표면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연마된 세라믹 기재, 금속 기재 또는 광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사성 코팅 또는 층은 무기 또는 유기 기재의 표면에 침착되거나 달리 적용되어 이를 반사성으로 하거나 이의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기재는 그의 외표면 상에 보호 코팅, 예를 들면 "경질 코팅(hard coating)"과 같은 내마모성 코팅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시판 중인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안과용 렌즈 기재는 그의 외표면이 쉽게 긁히거나 마멸되거나 흠이 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흔히 그의 외표면에 내마모성 코팅이 이미 적용된 채로 판매된다. 이러한 렌즈 기재의 예는 GENTEX™(상표명) 폴리카보네이트 렌즈(젠텍스 옵틱스(Gentex Optics)로부터 입수가능)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재(substrate)"는 그의 표면(들) 상에 내마모성 코팅과 같은 보호 코팅을 갖는 기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기재는, 비착색되거나 착색된 기재, 선형 편광, 원 편광 또는 타원 편광 기재, 또는 광변색성 또는 착색된 광변색성 기재일 수 있다. 본원에서 기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비착색된(untinted)"은, 착색제 첨가물(예를 들면 종래의 염료)을 본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고 화학선에 응답하여 현저히 변하지 않는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기재를 의미한다. 또한, 기재와 관련하여 "착색된(tinted)"이라는 용어는 착색제 첨가물(예를 들면 종래의 염료)을 갖고 화학선에 응답하여 현저히 변하지 않는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기재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기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선형 편광"은 복사선을 선형 편광시키도록(즉, 광파의 전기적 진동을 한 방향으로 한정하도록) 개조된 기재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기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원 편광"은 복사선을 원 편광시키도록 개조된 기재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기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타원 편광"은 복사선을 타원 편광시키도록 개조된 기재를 지칭한다. 또한, 기재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착색된 광변색성"은, 착색제 첨가물뿐만 아니라 광변색성 물질을 함유하고,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변하는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기재를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착색된 광변색성 기재는 화학선에 노출시 착색제의 제 1 색상 특성 및 착색제와 광변색성 물질의 조합물의 제 2 색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양태에서 광학 요소는 보안 요소일 수도 있다. 보안 요소의 예는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되는 보안 마크 및 인증 마크, 예를 들면 액세스 카드 및 패스, 예컨대 티켓, 뱃지, ID 카드 또는 멤버십 카드, 직불 카드 등; 유통 증권 및 비유통 증권, 예컨대 환어음, 수표, 채권, 지폐, 예금 증서, 주권 등; 정부 문서, 예컨대 통화, 라이선스, 신분증, 혜택 카드(benefit card), 비자, 여권, 공인 인증서, 증서 등; 소비재, 예컨대 소프트웨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비디오 디스크("DVD"), 가전 기기, 가전 제품, 스포츠 용품, 자동차 등; 신용 카드; 및 상품 꼬리표, 라벨 및 포장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이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보안 요소는 투명 기재 및 반사성 기재로부터 선택된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될 수 있다. 다르게는, 반사성 기재가 요구되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기재가 반사성이 아니거나 의도된 용도에 충분할 만큼 반사성이 아닌 경우에는, 보안 마크가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기 전에 반사성 물질이 거기에 먼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 요소를 기재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하기 전에 반사성 알루미늄 코팅이 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안 요소는 비착색된 기재, 착색된 기재, 광변색성 기재, 착색된 광변색성 기재, 선형 편광 기재, 원 편광 기재 및 타원 편광 기재로부터 선택된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된 실시양태에 따른 보안 요소는 미국 특허 제 6,641,874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시야각 의존 특성을 갖는 다층 반사성 보안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코팅 또는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광학 요소는, 광학 요소의 기재에 접속된 각종 코팅 중 임의의 것의 결합, 부착 또는 젖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요소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과 기재의 일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인 프라이머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은 코팅 성분과 요소 또는 기재의 상호작용 및 그 반대의 상호작용을 방지하도록 차단 코팅(barrier coating)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프라미어 코팅의 예는 커플링제, 커플링제의 적어도 부분적인 가수분해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커플링제"는 적어도 한 표면 상의 기와 반응, 결합 및/또는 연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를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커플링제는 유사하거나 다른 표면일 수 있는 적어도 두 표면의 계면에서 분자의 브리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커플링제는 단량체, 올리고머, 예비중합체 및/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유기 금속, 예를 들면 실레인, 타이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알루미네이트, 지르코늄 알루미네이트, 이들의 가수분해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커플링제의 적어도 부분적인 가수분해물"이라는 표현은 커플링제 상의 가수분해가능한 기의 적어도 일부 내지 전부가 가수분해됨을 의미한다. 커플링제 및/또는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 이외에, 프라미어 코팅은 다른 접착 향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라이머 코팅은 접착을 향상시키는 양의 에폭시 함유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접착을 향상시키는 양의 에폭시 함유 물질은 커플링제 함유 코팅 조성물에 첨가되었을 때, 에폭시 함유 물질을 본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커플링제 함유 코팅 조성물과 비교하여, 후속적으로 적용되는 코팅의 접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프라미어 코팅의 다른 예는 미국 특허 제 6,602,603 호 및 미국 특허 제 6,150,430 호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른 광학 요소는,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된, 종래의 광변색성 코팅, 반사 방지 코팅, 선형 편광 코팅, 원 편광 코팅, 타원 편광 코팅, 전이 코팅, 프라미어 코팅(예를 들면, 위에서 논의된 것들) 및 보호 코팅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의 적어도 일부 위에(즉, 오버코팅으로서) 위치하거나,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즉, 언더코팅으로서) 위치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은 기재의 제 1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적어도 부분적인 코팅은 기재의 제 2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될 수 있다(이때 제 1 표면은 제 2 표면과 대향한다).
종래의 광변색성 코팅의 예는 이하에 상세히 논의되는 종래의 광변색성 화합물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코팅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광변색성 코팅은 광변색성 폴리유레테인 코팅,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187,444 호에 기술된 것들; 광변색성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코팅,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756,973 호, 제 6,432,544 호 및 제 6,506,488 호에 기술된 것들; 광변색성 폴리실레인 코팅,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556,605 호에 기술된 것들; 광변색성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코팅,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602,603 호, 제 6,150,430 호 및 제 6,025,026 호, 및 WIPO 공개 제 WO 01/02449 호에 기술된 것들; 폴리무수물 광변색성 코팅,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436,525 호에 기술된 것들; 광변색성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코팅,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060,001 호에 기술된 것들; 광변색성 에폭시 수지 코팅,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756,973 호 및 제 6,268,055 호에 기술된 것들; 및 광변색성 폴리(유레아-유레테인) 코팅,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531,076 호에 기술된 것들일 수 있다.
선형 편광 코팅의 예는 종래의 이색성 화합물, 예를 들어 위에서 논의된 것들을 포함하는 코팅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이 코팅(transitional coating)"은 2개의 코팅 사이에서 특성의 구배를 생성하는 것을 보조하는 코팅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이 코팅은 상대적으로 경질인 코팅과 상대적으로 연질인 코팅 사이에서 경도의 구배를 생성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전이 코팅의 예는 복사선 경화된 아크릴레이트계 박막을 포함한다.
보호 코팅의 예는 유기 실레인을 포함하는 내마모성 코팅, 복사선 경화된 아크릴레이트계 박막을 포함하는 내마모성 코팅, 무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카, 티타니아 및/또는 지르코니아에 기초한 내마모성 코팅, 자외광 경화성인 유형의 유기 내마모성 코팅, 산소 차단 코팅, UV 차폐 코팅,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보호 코팅은 복사선 경화된 아크릴레이트계 박막의 제 1 코팅 및 오가노-실레인을 포함하는 제 2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시판 중인 보호 코팅 제품의 예는 에스디씨 코팅스 인코포레이티드(SDC Coatings, Inc.) 및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각각 입수가능한 SILVUE(등록상표) 124 및 HI-GARD(등록상표) 코팅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제공한다.
표 1: 구체적인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구조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1은 본 발명 물질의 제조를 기술한다. 실시예 32는 실시예 1 내지 31의 융점 및 액정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 방법을 기술한다.
언급되는 화학 물질에 하기 약어를 사용하였다:
Al(OiPr)3 - 알루미늄 트라이아이소프로필레이트
DHP - 3,4-다이하이드로-2H-피란
DCC - 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
DIAD -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DMAP -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PPh3 - 트라이페닐 포스핀
PPTS - 피리딘 p-톨루엔설포네이트
pTSA - p-톨루엔설폰산
NMP - N-메틸 피롤리돈
BHT - 뷰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
TBD - 1,5,7-트라이아자바이사이클로[4.4.0]데크-5-엔
THF - 테트라하이드로퓨란
DMF - 다이메틸 폼아마이드
DMA - 다이메틸 아닐린
실시예 1
단계 1
반응 플라스크에 4-하이드록시벤조산(90 그램(g), 0.65 몰(mol)), 에틸 에테르(1000 밀리리터(mL)) 및 p-톨루엔설폰산(pTSA)(2 g)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3,4-다이하이드로-2H-피란(DHP)(66 g, 0.8 mol)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은 DHP의 첨가 후 바로 투명해졌고, 백색의 결정성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백색 결정을 생성물(90 g, 수율 62%)로서 회수하였다. 핵 자기 공명(NMR)은 생성물이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산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반응 플라스크에 단계 1로부터의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산(65.5 g, 0.295 mol),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놀(70.3 g, 0.268 mol), 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66.8 g, 0.324 mol),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DMAP)(3.3 g)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1 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기계적으로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 제거하였다. 백색 결정이 침전되기 시작할 때까지 용액을 농축시켰다. 혼합물에 1 리터의 메탄올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침전된 고형 결정성 생성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백색 결정(126 g)을 생성물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3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인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에이트(120 g, 0.26 mol)를 적당한 반응 플라스크 내에서 1,2-다이클로로에테인(600 mL)에 용해시켰다. 메탄올(300 mL) 및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PPTS)(9 g, 36 밀리몰(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환류시키고, 환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시 백색 결정이 침전되었고, 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모액을 농축시키고 메탄올을 첨가하여 더 많은 백색 결정이 침전되었다. 합한 생성물(90 g)을 메탄올(약 300 mL)로 3회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NMR은 생성물이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4
반응 플라스크에 단계 3의 생성물인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70 g, 190 mmol), 6-클로로-1-헥산올(30 g, 220 mmol), N-메틸 피롤리돈(NMP)(300 mL), 요오드화나트륨(6 g) 및 탄산칼륨(57 g, 41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5 내지 90℃에서 4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부피비 1/1의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1 L) 및 물(500 m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분리된 유기 층을 물로 수회 세척하여 NMP를 제거하고, 이어서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 후, 아세토나이트릴을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백색 결정(76 g)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5
반응 플라스크에 단계 4의 생성물인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2 g, 4.3 mmol), ε-카프로락톤(2.94 g, 26 mmol), 알루미늄 트라이아이소프로폭사이드(0.26 g, 1.3 mmo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4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뷰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BHT)(9 밀리그램(mg), 0.04 mmol), DMAP(0.05 g, 0.43 mmol) 및 N,N-다이에틸아닐린(1.8 g, 1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갓 증류된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1.34 g, 13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5 중량% NaOH 수용액으로 3회, 1 노말(N) HCl 수용액으로 3회, 이어서 5 중량% NaOH 수용액으로 1회 더 세척하였다. 본원에서 중량%가 언급될 때마다 이는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 주의한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 후, 회수된 오일에 100 mL의 메탄올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메탄올 세척을 행하였다. 10분 후, 생성된 흐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혼합물의 흐림이 투명해진 후, 혼합물 상부의 메탄올을 경사분리하였다. 이러한 메탄올 세척을 3회 행하였다. 회수된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재용해시키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점성 액체(3.9 g)를 생성물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6.5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45
실시예 2
단계 1
적당한 반응 플라스크에서 질소의 보호 하에, 1-브로모-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벤젠(43.31 g, 0.285 mol), 4-메톡시페닐보론산(88.1 g, 0.285 mol), 다이메틸 에틸렌 글리콜(500 mL),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 팔라듐(0)(1.64 g, 1.4 mmol), 탄산나트륨(121 g, 1.14 mol) 및 물(570 mL)의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이어서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1 L) 및 물(500 mL)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결정(82 g)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메톡시-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단계 1의 생성물인 4-메톡시-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80 g), 및 피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0 g)를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200℃로 가열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뜨거울 때 물에 부었다. 생성물이 오일로서 분리되었다. 물을 경사분리하고, 생성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물 및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수회 세척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생성물을, 에탄올을 사용하여 재결정화시켜 백색 결정을 생성물(75 g)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하이드록시-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3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대신에 상기 단계 2로부터의 4-하이드록시-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4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결정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4'-(4-트랜스-펜틸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4
단계 3으로부터의 생성물인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4'-(4-트랜스-펜틸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7.2 g, 17 mmol), ε-카프로락톤(5.83 g, 51.1 mmol), 1,5,7-트라이아자바이사이클로[4.4.0]데크-5-엔(TBD)(0.71 g, 5.1 mmol) 및 톨루엔(100 mL)의 혼합물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에 BHT(40 mg, 0.17 mmol), DMAP(0.2 g, 1.7 mmol) 및 N,N-다이에틸아닐린(7.6 g, 51.1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갓 증류된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5.4 g, 51.1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5 중량% NaOH 수용액으로 3회, 1 N HCl 수용액으로 3회, 이어서 5 중량% NaOH 수용액으로 1회 더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 후, 200 mL의 메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5의 메탄올 세척 절차를 따랐다. 회수된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재용해시키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백색 왁스(13 g)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3.0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46
실시예 3
단계 1
4-(헥실옥시)벤조산(92.5 g, 0.42 mol), 1,4-다이하이드로퀴논(229 g, 2.1 mol), DMAP(5 g, 42 mm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400 m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400 mL)를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DCC(94.2 g, 0.46 mol)를 다섯 번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7시간 동안 교반하고, 고체를 여과 제거하였다. 용액을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여 1,4-다이하이드로퀴논을 제거하였다. 회백색 고체(152 g)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일부 생성물을 다음 단계를 위해,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세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분리에 의해 정제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하이드록시페닐 4-(헥실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산 및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놀 대신에 상기 단계 1로부터의 4-하이드록시페닐 4-(헥실옥시)벤조에이트 및 4-(8-(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옥틸옥시)벤조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2 및 3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결정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4-(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 4-(8-하이드록시옥틸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3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 및 6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대신에 상기 단계 2의 생성물인 4-(4-(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 4-(8-하이드록시옥틸옥시)벤조에이트, 및 3 당량의 ε-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5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왁스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3.0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8-(4-(4-(4-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녹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47
실시예 4
실시예 1의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인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1 g, 2 mmol), ε-카프로락톤(6.9 g, 60 mmol), TBD(0.042 g, 0.3 mmol) 및 톨루엔(10 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pTSA(1 g)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퀀칭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에 메탄올(150 mL)을 첨가하였고, 생성물이 오일로서 분리되었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메탄올을 경사분리하고, 이러한 세척 단계를 3회 더 반복하였다. 회수된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재용해시키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백색 왁스(5.8 g)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23.1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6-(6-(6-(6-(6-(6-(6-(6-(6-(6-(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산올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48
실시예 5
6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대신에 7 당량의 ε-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5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왁스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11.0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49
실시예 6
6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대신에 15 당량의 ε-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5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왁스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15.0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6-(6-(6-(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0
실시예 7
6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대신에 4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및 4 당량의 δ-발레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5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왁스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8.0의 평균 분포를 갖는 m+n을 가진 1-(6-(5-(5-(6-(5-(6-(5-(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1
실시예 8
단계 1
반응 플라스크에 8-클로로-1-옥탄올(25 g, 0.183 mol), DHP(15.4 g, 0.183 mo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300 mL)를 첨가하고, 얼음 욕에서 0℃에서 교반하였다. pTSA-일수화물의 결정 몇 개를 첨가하고, 10분 후 얼음 욕을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중탄산나트륨(2 g)을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하고,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0.183 mol)을 함유하는 반응 플라스크에 DMF(600 mL), 중탄산나트륨(61.5 g, 0.732 mol) 및 2,5-다이하이드록시벤조산(28.2 g, 0.183 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내지 12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피비 2/1의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1 L) 및 물(2 L)을 사용하여 추출을 5회 행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3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46.8 g, 약 0.138 mol)을 함유하는 반응 플라스크에 8-클로로-1-옥탄올(45.5 g, 0.276 mol), 탄산칼륨(76 g, 0.55 mol), 요오드화칼륨(1 g, 6 mmol) 및 NMP(30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1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1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1 L) 및 물(2 L)을 사용하여 추출을 행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회수된 오일을 플래시 컬럼 분리(부피비 1/1의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에 의해 정제하였다. 투명한 액체(16.2 g)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헥실 2,5-비스(8-하이드록시옥틸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4
6-클로로-1-헥산올 대신에 8-클로로-1-옥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4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결정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8-하이드록시옥틸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5
반응 플라스크에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인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8-하이드록시옥틸옥시)벤조에이트(30 g, 61 mmol), 석신산 무수물(6.7 g, 67 mmol), DMAP(0.37 g, 3 mmol) 및 THF(150 mL)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메틸렌 클로라이드(1 L) 및 물(1 L)을 사용하여 추출을 행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시켰다. 백색 결정(35 g)을 수득하였다.
단계 6
반응 플라스크에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7 g, 12 mmol), 단계 3으로부터의 6-(테트라하이드로피란-2-일옥시)헥실 2,5-다이(8-하이드록실옥틸옥시)벤조에이트(3 g, 6 mmol), DCC(2.4 g, 12 mmol), DMAP(0.12 g, 1 mmo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7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메탄올을 사용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실리카 겔 플래시 컬럼 분리를 사용하여 추가로 정제한 후, 백색 고체(10 g)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헥실 2,5-비스(8-(3-(8-(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실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카보닐)프로피온일옥시)옥틸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2
실시예 9
반응 플라스크에 실시예 8의 생성물(8 g), 메탄올(50 mL), PPTS(0.21 g) 및 1,2-다이클로로에테인(100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백색 고체를 회수하였다.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20/1 메틸렌 클로라이드/아세톤)에 의해 정제하였다. 점성 오일(5 g)을 생성물로서 회수하였는데, 이는 실온에서 방치시 고화되었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6-하이드록시헥실 2,5-비스(8-(3-(8-(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실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카보닐)프로피온일옥시)옥틸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3
실시예 10
반응 플라스크에 실시예 9의 생성물(3.3 g), N,N-다이에틸아닐린(1 g, 6.77 mmol), BHT(4 mg, 0.02 mmol), DMAP(10 mg, 0.08 mmol) 및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0.68 g, 6.5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희석하고, 5% NaOH 수용액으로 3회, 1 N HCl 수용액으로 3회, 이어서 5% NaOH 수용액으로 1회 더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 후, 생성물을 플래시 컬럼 분리(50/1 메틸렌 클로라이드/아세톤)에 의해 정제하였다. NMR은 회수된 백색 결정(2.5 g)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2,5-비스(8-(3-(8-(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실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카보닐)프로피온일옥시)옥틸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4
실시예 11
단계 3 및 4에서 8-클로로옥탄-1-올 대신에 6-클로로헥산-1-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의 절차를 따랐다. 유상 액체(milky liquid)를 생성물로서 회수하였는데, 이는 실온에서 방치시 고화되었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헥실 2,5-비스(6-(3-(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실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카보닐)프로피온일옥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5
실시예 12
단계 1
4-하이드록시벤조산 및 에틸 에테르 대신에 4'-하이드록시바이페닐-4-카복실산 및 THF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결정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바이페닐-4-카복실산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반응 플라스크에 단계 1의 생성물인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바이페닐-4-카복실산(7.16 g, 24 mmol), 6-브로모헥산-1-올(4.34 g, 24 mmol), NMP(60 mL) 및 탄산칼륨(6.63 g, 4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1(부피)의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500 mL) 및 물(500 m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물로 수회 세척하고, 이어서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 후, 점성 오일(8.3 g)을 생성물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6-하이드록시헥실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바이페닐-4-카복실레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3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산 대신에 상기 단계 2로부터의 2 당량의 6-하이드록시헥실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바이페닐-4-카복실레이트 및 1 당량의 도데케인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2 및 3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고체를 생성물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비스(6-(4-(4-하이드록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도데케인다이오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4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산 대신에 상기 단계 3으로부터의 비스(6-(4-(4-하이드록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도데케인다이오에이트 및 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2의 절차를 따랐다.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헥세인 혼합물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플래시 컬럼 분리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하였다. 백색 결정을 생성물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12-비스(6-(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옥시)도데실-1,12-다이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6
실시예 13
도데케인이산 대신에 2,2,3,3,4,4,5,5,6,6,7,7,8,8,9,9-헥사데카플루오로데케인다이오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고체를 생성물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10-비스(6-(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옥시) 2,2,3,3,4,4,5,5,6,6,7,7,8,8,9,9-헥사데카플루오로데실-1,10-다이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7
실시예 14
단계 1
6-클로로-1-헥산올 및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대신에 2.5 당량의 3-클로로-1-프로판올 및 1 당량의 4-하이드록시벤조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4의 절차를 따랐다. 생성물을 오일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3-하이드록시프로필 4-(3-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8-하이드록시옥틸옥시)벤조에이트 및 석신산 무수물 대신에 2.5 당량의 석신산 무수물 및 1 당량의 단계 1의 생성물인 3-하이드록시프로필 4-(3-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조에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의 단계 5의 절차를 따랐다. 생성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3-(4-(3-(4-카복시뷰탄오일옥시)프로폭시)벤조일옥시)프로폭시)-4-옥소뷰탄-1-산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3
도데케인이산 대신에 상기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의 절차를 따랐다. 생성물을 오일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1-{3-(4-(3-(4-(6-(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옥시)-4-옥소뷰토일옥시)프로필옥시)벤조일옥시)프로필옥시}-4-{(6-(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옥시)}뷰테인-1,4-다이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8
실시예 15
단계 1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놀 대신에 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 2 및 3의 절차를 따랐다. 백색 결정을 생성물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닐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반응 플라스크에 단계 1의 생성물인 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닐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4.98 g, 14.7 mmol), 폴리카프로락톤 다이올(2.6 g, 4.9 mmol, Mn 530, 알드리치(Aldrich) 카탈로그 번호 189405), 트라이페닐 포스핀(PPh3)(3.86 g, 14.7 mmol), THF(40 mL) 및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IAD)(2.98 g, 14.7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에틸 아세테이트 헥세인 혼합물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플래시 컬럼 분리를 이용하여 생성물의 주요 성분을 수집하였다. 백색 고체를 생성물(3.2 g)로서 회수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2.2의 평균 분포를 갖는 각각의 n을 가진 2,2'-비스(6-(6-(4-(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산오일옥시)-6-헥산오일옥시)다이에틸에테르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9
실시예 16
6 당량 대신에 2 당량의 ε-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절차를 따랐다. 왁스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2.1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0
실시예 17
단계 1
하이드로퀴논(110 g, 1.0 mol), pTSA(9.5 g, 0.05 mol) 및 1 L의 다이에틸 에테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반응 플라스크에 DHP(84 g, 1.0 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면서 30분의 기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질소 버블링에 의해 하룻밤 동안 교반한 후, 용액을 300 mL의 물 중 22.5 g의 NaOH(총 1.12 mol)의 질소-퍼징된 용액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수성 NaOH 용액을 300 mL의 다이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얼음 욕에 의해 0℃로 냉각하였다. 중탄산나트륨(5.0 g)을 첨가하고, 교반된 용액을 64 mL의 아세트산(1.12 mol)으로 서서히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18℃에서 하룻밤 동안 저장하고, 이어서 0℃까지 가온시켰다. 침전된 생성물을 300 mL의 물로 3회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수득량은 84 g(43 %)이었다. NMR은 생성물이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페놀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산 및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놀 대신에 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산 및 단계 1의 생성물인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2 및 3의 절차를 따랐다. 생성물을,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부피비 7:3)로 용리시키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최종 생성물을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NMR은 회수된 백색 고체가 4-하이드록시페닐 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3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산 및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놀 대신에 4-(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헥실옥시)벤조산 및 단계 2의 생성물인 4-하이드록시페닐 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2 및 3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4
500 mL들이 1목 둥근바닥 플라스크 내의 400 mL의 CH2Cl2 중 ε-카프로락톤(6.04 g, 52.9 mmol) 및 단계 3으로부터의 생성물인 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4.0 g, 6.6 mmol)의 용액에 트라이아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Al(OiPr)3)(0.41 g, 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보호 하에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N HCl(100 mL, 3회), 5 중량%의 NaOH 수용액(100 mL, 1회) 및 포화 염수(100 mL, 3회)로 세척하였다. 형성된 에멀젼을 파괴시키기 위해 적당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실리카 겔 플러그 컬럼을 통해 플래싱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9.6 g의 왁스상 고체(95.6%)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8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6-(6-(6-(6-(6-(6-(4-(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산올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1
실시예 18
단계 2에서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놀 대신에 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놀을 사용하고, 단계 5에서 ε-카프로락톤 대신에 4 당량의 1,3-다이옥산-2-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3.5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3-(3-(3-(3-(6-(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3-카보닐옥시프로필옥시)-3-카보닐옥시프로필옥시)-3-카보닐옥시프로필옥시)-3-카보닐옥시프로필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2
실시예 19
단계 1
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조산 및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놀 대신에 4-(8-아크릴옥시옥톡시)벤조산 및 4-(트랜스-4-(6-하이드록시헥실옥시)사이클로헥실)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2의 절차를 따랐다. 생성물을 컬럼 분리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4-(트랜스-4-(6-하이드록시헥실옥시)사이클로헥실)페닐 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 6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및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 대신에 상기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인 4-(트랜스-4-(6-하이드록시헥실옥시)사이클로헥실)페닐 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 3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및 펜탄오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5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5.0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6-(6-(6-(트랜스-4-(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펜탄-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3
실시예 20
단계 2에서, 3 당량 대신에 4 당량의 ε-카프로락톤을 사용하고, 펜탄오일 클로라이드 대신에 0.5 당량의 석신일 다이클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9.7의 평균 분포를 갖는 m+n을 가진 1,4-비스-{(6-(6-(6-(6-(6-(6-(트랜스-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뷰탄-1,4-다이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4
실시예 21
4-(헥실옥시)벤조산 대신에 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산을 사용하고, 1,4-다이하이드로퀴논 대신에 바이페닐-4,4'-다이올를 사용하고, 3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대신에 10 당량의 ε-카프로락톤를 사용하고, 펜탄오일 클로라이드 대신에 0.5 당량의 석신일 다이클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7.2의 평균 분포를 갖는 m+n을 가진 1,4-비스{(6-(6-(6-(6-(6-(4-(4-(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페닐옥시카보닐)페닐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뷰탄-1,4-다이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5
실시예 22
단계 1
무수 THF(100 mL) 중 1,12-도데케인다이올(50.0 g, 247 mmol) 및 촉매량의 PPTS의 용액을 함유하는 반응 플라스크에 10 mL의 THF 중 DHP(13.9 g, 165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하에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부었다. 유기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용액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4.8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2
메틸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8.7 g, 57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15.0 g, 57 mmol) 및 THF(60 mL)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반응 플라스크에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11.5 g, 57 mmol), 상기 단계 1의 생성물(13.6 g, 25 mmol) 및 THF(10 m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사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8.9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메틸 4-(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실옥시)벤조에이트와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3
반응 플라스크에 메탄올(100 mL) 중의 상기 단계 2의 생성물(18.0 g, 43 mmol) 및 수산화나트륨(2.56 g, 64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를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 N HCl로 산성화하고, 이어서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고, 염수 및 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18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고, 이는 추가로 정제하지 않았다. NMR은 생성물이 4-(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칸일옥시)벤조산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4
반응 플라스크에 THF(40 mL) 중의 상기 단계 3으로부터의 생성물(7.5 g, 18 mmol), 3-메틸하이드로퀴논(1.12 g, 11 mmol), DCC(4.0 g, 18 mmol) 및 DMAP(1.0 g, 8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이어서, 조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 부피비 20:1)로 정제하여 5.2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2,5-비스(4-(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실옥시)벤조일옥시)톨루엔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6
실시예 23
단계 1
6-클로로-6-헥산-1-올 대신에 1,12-도데케인다이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의 단계 1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2-(6-클로로헥실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반응 플라스크에 상기 단계 1의 생성물(6.4 g, 29 mmol), 트랜스-4-(트랜스-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놀(5 g, 26 mmol), K2CO3(12 g, 87 mmol) 및 NMP(2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환류시켰다. 냉각 후, 혼합물을 물에 붓고,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부피비 1:1)로 추출하고, 이어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8.5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NMR은 생성물이 트랜스-4-(4-(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헥실옥시)페닐)사이클로헥산올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3
1,12-도데케인다이올 대신에 12-하이드록시라우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의 단계 1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칸산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4
3-메틸하이드로퀴논 및 실시예 22의 단계 3의 생성물 대신에 상기 단계 2 및 3으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의 단계 4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2-(6-(4-(트랜스-4-(12-(1-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칸오일옥시)사이클로헥실)페녹시)헥실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7
실시예 24
4-(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칸일옥시)벤조산 및 3-메틸하이드로퀴논 대신에 실시예 23의 단계 3으로부터의 생성물인 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칸산, 및 4-(트랜스-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의 단계 4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2-(6-(4-(트랜스-4-(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칸오일옥시)사이클로헥실)페녹시)-12-옥소도데칸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8
실시예 25
4-(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칸일옥시)벤조산 및 3-메틸하이드로퀴논 대신에 4-(8-(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옥틸옥시)벤조산 및 바이페닐-4,4'-다이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의 단계 4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4,4'-비스(4-(8-(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옥틸옥시)벤조일옥시)바이페닐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69
실시예 26
단계 1
4-(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칸일옥시)벤조산 및 3-메틸-하이드로퀴논 대신에 2,6-다이하이드록시 나프탈렌 및 4-(8-하이드록시옥틸옥시)벤조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의 단계 4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2,6-다이(8-하이드록시옥탄일옥시)벤조일옥시)나프탈렌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단계 2
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 및 8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대신에 상기 단계 1로부터의 2,6-다이(8-하이드록시옥탄일옥시)벤조일옥시)나프탈렌 및 5.5 당량의 ε-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의 단계 4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백색의 왁스상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5.0의 평균 분포를 갖는 m+n을 가진 2,8-다이{4-(6-(6-(6-(6-(6-하이드록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벤조일옥시}나프탈렌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70
실시예 27
5.5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대신에 3 당량의 ε-카프로락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3의 평균 분포를 갖는 m+n을 가진 2,8-다이{4-(6-(6-(6-(6-(6-하이드록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벤조일옥시}나프탈렌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71
실시예 28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 및 6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대신에 실시예 26의 단계 1의 생성물인 2,6-다이-(8-하이드록시옥틸옥시)벤조일)옥시)나프탈렌, 및 5.5 당량의 ε-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5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5의 평균 분포를 갖는 m+n을 가진 2,8-다이{4-(6-(6-(6-(6-(6-(메타크릴로일옥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헥산오일옥시)벤조일옥시}나프탈렌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72
실시예 29
펜탄오일 클로라이드 대신에 3 당량의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3.5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6-(트랜스-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73
실시예 30
0.5 당량의 석신오일 다이클로라이드 대신에 3 당량의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절차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2.1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8-(4-(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페닐옥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74
실시예 31
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 및 6 당량의 ε-카프로락톤 대신에 실시예 17의 단계 3의 생성물인 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 4-(6-하이드록시헥실옥시)벤조에이트, 및 8 당량의 ε-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5의 절차를 따랐다. NMR은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8의 평균 분포를 갖는 n을 가진 1-(6-(6-(6-(6-(6-(6-(6-(6-(6-(6-(4-(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닐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75
실시예 32 - 융점 및 액정 상 전이 온도의 측정
실시예 1 내지 31 각각의 샘플 약 0.1 내지 5 mg을 VWR 비스타 비젼(Vista Vision, 상표명) 현미경 슬라이드에 적용하였다. FISHERFINEST(등록상표) 프리미엄(Premium) 커버 글래스를 상기 샘플에 적용하였다. 얻어진 현미경 슬라이드를 INSTEC(등록상표) HCS302 고온 스테이지 상에 놓고, 이를 OLYMPUS(등록상표) BX51 편광 현미경의 샘플 스테이지 상에 설치하되, 샘플 스폿이 현미경의 광학 경로 내에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현미경에는 INSTEC(등록상표) STC200 온도 조절기를 설치하여 고온 스테이지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DIAGNOSTIC INSTRUMENTS 11.2 컬러 모자이크(Color Mosaic) 카메라를 설치하여 컴퓨터 디스플레이로부터 상 전이가 관찰될 수 있도록 하였다. 25℃에서 출발하여 1℃/분의 속도로 가열하는 동안 샘플을 관찰함으로써 비액정 물질의 융점 및 액정 물질의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25℃ 미만의 융점 및 상(phase)은 측정하지 않았다. 몇몇 경우에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을, 이것이 등방성 상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한 다음, 1℃/분으로 냉각하여 냉각 공정 동안의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액정의 상은 가열 및 냉각 공정 동안에 나타난 조직(texture)에 따라 결정하였다. 표 2에 열거된 상이한 액정 상의 확인에는 문헌[Textures of Crystals by Dietrich Demus and Lothar Richter, published by Verlag Chemie, Weinheim & New York in 1978]을 이용하였다.
표 2: 상 전이 온도 데이터
Figure pat00076
표에는 다음 약자가 사용되었다. 즉, S는 스멕틱 상을 나타내고, Sx는 스멕틱 미확인된 상을 나타내고, SA 스멕틱 A 상을 나타내고, SB는 스멕틱 B 상을 나타내고, SC는 스멕틱 C 상을 나타내고, N은 네마틱 상을 나타내고, I는 등방성 상을 나타내고, K는 결정질 구조를 나타내고, Glass는 정렬된 구조를 전혀 갖지 않는 비정질 상태를 나타낸다. 모든 숫자는, 인접하여 기재되어 있는 약자의 상(phase)이 발생한 온도(단위: ℃)를 나타내는 것이다. 측정된 각각의 상은 //로 분리되어 있는데, 이는 표에 열거된 다음 온도 또는 온도 범위까지 그 상이 이어졌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25 Sx // 37 I는, 스멕틱 미확인된 상이 25℃부터, 등방성 상이 발생한 약 37℃까지 존재하였음을 나타낸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샘플의 상 관찰은 실온(25℃)에서 시작하여 그 다음의 상 전이 온도를 기록하였다.

Claims (15)

  1. 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
    Figure pat00077

    상기 식에서,
    a)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i) R 기, 또는
    ii)
    Figure pat00078
    로 표시되는 기
    이고;
    b) 각각의 P는 Q 기, 아미노, 알킬아미노, 나이트로,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2-클로로아크릴레이트, 2-페닐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페닐렌,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2-클로로아크릴아마이드, 2-페닐아크릴아마이드, 옥세테인, 글리시딜, 사이아노, 바이닐 에테르, 바이닐 에스터, 스타이렌 유도체, 실록세인, 에틸렌이민 유도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키랄 또는 비키랄 1가 또는 2가 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반응성 기이고, 이때 상기 1가 또는 2가 기는 스테로이드 라디칼, 터페노이드 라디칼, 알칼로이드 라디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치환체는 알킬, 알콕시, 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알킬알콕시, 플루오로알킬, 사이아노, 사이아노알킬, 사이아노알콕시 및 이들의 혼합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P는 2 내지 4개의 반응성 기를 갖는 구조이거나, 또는
    P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전구체이고;
    c) Q 기는 하이드록시, 아민, 알켄일, 알카인일, 아지도, 실릴, 실릴하이드라이드, 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 싸이올, 아이소사이아나토, 싸이오아이소사이아나토, 아크릴옥시, 메타크릴옥시, 2-(아크릴옥시)에틸카밤일, 2-(메타크릴옥시)에틸카밤일, 아지리딘일, 알릴옥시카보닐옥시, 에폭시, 카복실산, 카복실산 유도체 또는 아실 할라이드이고, 이때 상기 카복실산 유도체는 특히 카복실산 에스터, 아마이드 및 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복실산 유도체는 이타콘산 에스터, 말레산 유도체, 푸마르산 유도체, 비치환된 신남산 유도체, 및 메틸, 메톡시, 사이아노 및 할로겐 중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신남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되고;
    d) 각각의 L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아릴렌, (C1-C30)알킬렌, (C1-C30)알킬렌카보닐옥시, (C1-C30)알킬렌아미노, (C1-C30)알킬렌옥시, (C1-C30)퍼플루오로알킬렌, (C1-C30)퍼플루오로알킬렌옥시, (C1-C30)알킬렌실릴, (C1-C30)다이알킬렌실록실, (C1-C30)알킬렌카보닐, (C1-C30)알킬렌옥시카보닐, (C1-C30)알킬렌카보닐아미노, (C1-C30)알킬렌아미노카보닐, (C1-C30)알킬렌아미노카보닐옥시, (C1-C30)알킬렌아미노카보닐아미노, (C1-C30)알킬렌유레아, (C1-C30)알킬렌싸이오카보닐아미노, (C1-C30)알킬렌아미노카보닐싸이오, (C2-C30)알켄일렌, (C1-C30)싸이오알킬렌, (C1-C30)알킬렌설폰 및 (C1-C30)알킬렌설폭사이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다치환, 일치환, 비치환 또는 분지된 스페이서, 및 단일 결합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각각의 치환체는 (C1-C5)알킬, (C1-C5)알콕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사이아노, (C1-C5)알칸오에이트 에스터, 아이소사이아나토, 싸이오아이소사이아나토 및 페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e) R 기는 수소, C1-C18 알킬, C1-C18 알콕시, C1-C18 알콕시카보닐, C3-C10 사이클로알킬, C3-C10 사이클로알콕시, 폴리(C1-C18 알콕시), 및 비치환되거나, 사이아노,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C1-C18 알콕시로 치환되거나,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로 다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된 C1-C18 알킬 기로부터 선택되고;
    f) 메소겐-1 및 메소겐-2 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강성(rigid)의 곧은 막대형(straight rod-like) 액정 기, 강성의 굽은 막대형 액정 기 또는 강성의 디스크형 액정 기이고;
    g) T 기는 P, 및 수소, 아릴, 알킬, 알콕시, 알킬알콕시, 알콕시알콕시, 폴리알킬에테르, (C1-C6)알킬(C1-C6)-알콕시(C1-C6)알킬, 폴리에틸렌옥시 및 폴리프로필렌옥시로부터 선택되고;
    w는 1 내지 26의 정수이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z는 1이고, 단,
    (i) X 기가 R로 표시되는 경우, w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L)w-에서 인접한 -L-기의 모두가 같지는 않고;
    (ii) X 기가
    Figure pat00079
    로 표시되는 경우, w는 1이고, y는 2 내지 25의 정수이고, 단 ―(L)y-는 단일 결합과는 상이한 2개 이상의 L 기를 포함하고, z는 1이고;
    연결기 -(L)y-, -(L)w- 또는 이들 모두는 2개의 기 사이에 길이가 화학결합 25 내지 500개의 범위인 화학 결합들의 긴 선형 시퀀스를 포함하고, ―(L)y- 및 ―(L)w-에서 2개의 아릴렌 기가 단일 결합에 의해 연결되지는 않는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소겐-1 및 메소겐-2 기가 독립적으로
    ― [S1]c -[G1 ―[S2]d ]d' -[G2 ―[S3]e ]e' -[G3 ―[S4]f ]f' ―S5
    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
    상기 식에서,
    (i) 각각의 G1, G2 및 G3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방향족 기,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지환족 기,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 및 이들의 혼합기로부터 선택된 2가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치환체는 싸이올, 하이드록시(C1-C18)알킬, 아이소사이아나토(C1-C18)알킬, 아크릴로일옥시, 아크릴로일옥시(C1-C18)알킬, 할로겐, C1-C18 알콕시, 폴리(C1-C18 알콕시), 아미노, 아미노(C1-C18)알킬렌, C1-C18 알킬아미노, 다이-(C1-C18)알킬아미노, C1-C18 알킬, C2-C18 알켄일, C2-C18 알카인일, C1-C18 알킬(C1-C18)알콕시, C1-C18 알콕시카보닐, C1-C18 알킬카보닐, C1-C18 알킬옥시카보닐옥시, 아릴옥시카보닐옥시, 퍼플루오로(C1-C18)알킬아미노, 다이-(퍼플루오로(C1-C18)알킬)아미노, C1-C18 아세틸, C3-C10 사이클로알킬, C3-C10 사이클로알콕시, 아이소사이아나토, 아미도, 사이아노, 나이트로, 직쇄 또는 분지된 C1-C18 알킬 기, 및 화학식 -M(T)(t-1) 및 -M(OT)(t-1) 중 하나를 포함하는 기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직쇄 또는 분지된 C1-C18 알킬 기는 사이아노, 할로 또는 C1-C18 알콕시로 일치환되거나, 할로로 다치환되고, 상기 화학식에서 M은 알루미늄, 안티몬, 탄탈륨, 타이타늄, 지르코늄 및 규소로부터 선택되고, T는 유기작용성 라디칼, 유기작용성 탄화수소 라디칼,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 및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t는 M의 원자가이고;
    (ii) c,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0의 정수로부터 선택되고,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로부터 선택되고, 단 d' + e' + f'의 합계는 2 이상이고; 각각의 S1, S2, S3, S4 및 S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A) 내지 (C)로부터 선택된 스페이서 단위로부터 선택되고:
    (A) -(CH2)g-, -(CF2)h-, -Si(CH2)g- 또는 -(Si(CH3)2O)h-(여기서 g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20으로부터 선택되고, h는 1 내지 16의 정수임);
    (B) -N(Z)-, -C(Z)=C(Z)-, -C(Z)=N-, -C(Z')2-C(Z')2- 또는 단일 결합(여기서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아릴로부터 선택되고, Z'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아릴로부터 선택됨); 및
    (C) -O-, -C(O)-, -C≡C-, -N=N-, -S-, -S(O)-, -S(O)(O)-, -(O)S(O)O-, -O(O)S(O)O-, 또는 직쇄 또는 분지된 C1-C24 알킬렌 잔기(이때, 상기 C1-C24 알킬렌 잔기는 비치환되거나, 사이아노 또는 할로로 일치환되거나, 할로로 다치환됨);
    단,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2개의 스페이서 단위가 함께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스페이서 단위는 헤테로원자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연결되고, S1 및 S5가 또 다른 기에 연결되는 경우, 이들은 2개의 헤테로원자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연결된다.
  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의 IUPAC 명칭을 갖는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메소겐 함유 화합물:
    a) 1,12-비스{2-(4-(4-(4-(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벤조일옥시)페닐)벤조일옥시)에틸옥시)도데실-1,12-다이온;
    b) 1,12-비스(6-(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옥시)도데실-1,12-다이온;
    c) 1,10-비스(6-(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옥시) 2,2,3,3,4,4,5,5,6,6,7,7,8,8,9,9-헥사데카플루오로데실-1,10-다이온;
    d) 1,12-비스{6-(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벤조일옥시)헥실옥시)도데실-1,12-다이온;
    e) 1-{3-(4-(3-(4-(6-(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옥시)-4-옥소뷰토일옥시)프로필옥시)벤조일옥시)프로필옥시}-4-{(6-(4(4-(4-(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벤조일옥시)헥실옥시)}뷰테인-1,4-다이온;
    f) 1-(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g) 1-(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h) 1-(6-(6-(6-(6-(6-(6-(6-(6-(6-(6-(6-(6-(6-(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산올;
    i) 1-(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j) 1-(5-(5-(5-(5-(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k) 1-(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l) 1-(6-(6-(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m) 1-(6-(6-(6-(6-(6-(6-(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n) 1-(6-(5-(5-(6-(5-(6-(5-(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o) 1-(6-(5-(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p) 1-(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q) 1-(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r) 1-(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s) 1-(6-(6-(6-(6-(6-(6-(6-(6-(6-(6-(4-(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닐옥시)헥산오일)헥산오일)헥산오일)헥산오일)헥산오일)헥산오일)헥산오일)헥산오일옥시)-프로프-2-엔;
    t) 1-{3-(3-메타크릴로일옥시-2,2-다이메틸프로필옥시)-3-옥소-2-메틸프로필}-3-{(8-(4-(트랜스-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사이클로헥실옥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카보닐)에틸)}-헥사메틸렌트라이실록세인;
    u) 1-(6-(6-(6-(6-(6-(6-(6-(8-(4-(4-(4-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녹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v) 1-(6-(6-(6-(8-(4-(4-(4-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녹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w) 1-(6-(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x) 1-(6-(6-(6-(6-(6-(6-(6-(6-(6-(6-(6-(트랜스-4-(4-(4-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녹시카보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y) 1-(6-(6-(6-(6-(트랜스-4-(4-(4-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녹시카보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z) 1-(6-(6-(6-(6-(6-(6-(6-(6-(8-(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aa) 1-(6-(6-(6-(6-(8-(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bb) 1-(6-(6-(6-(6-(트랜스-4-(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cc) 1,4-비스-{(6-(6-(6-(6-(6-(6-(트랜스-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뷰탄-1,4-다이온;
    dd) 1,4-비스{(6-(6-(6-(6-(6-(4-(4-(4-(4-(6-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벤조일옥시)페닐)페닐옥시카보닐)페닐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뷰탄-1,4-다이온;
    ee) 1-(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ff) 1-(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gg) 1-(6-(6-(6-(6-(6-(6-(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hh) 1-(6-(6-(6-(6-(6-(6-(6-(4-(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ii) 1-(5-(5-(5-(5-(5-(5-(6-(4-(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jj) 1-(5-(5-(6-(5-(6-(5-(6-(6-(4-(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6-옥소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kk) 1-(6-(6-(6-(4-(트랜스-4-펜틸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ll) 1-(6-(6-(6-(4-(4-벤조일옥시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프로프-2-엔-1-온;
    mm) 1-(6-(6-(6-(6-(6-(6-(6-(6-(4-(4-벤조일옥시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프로프-2-엔-1-온;
    nn) 1-(3-(3-(3-(3-(6-(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3-카보닐옥시프로필옥시)-3-카보닐옥시프로필옥시)-3-카보닐옥시프로필옥시)-3-카보닐옥시프로필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oo) 1-(6-(6-(6-(4-(트랜스-4-프로필사이클로헥실)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소)-2-메틸프로프-2-엔-1-온;
    pp) 1-(6-(6-(6-(6-(6-(6-(6-(6-(8-(4-(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qq) 1-(5-(5-(5-(5-(5-(5-(5-(5-(6-(4-(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rr) 1-(6-(6-(6-(6-(6-(6-(6-(8-(4-(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ss) 1-(5-(5-(5-(5-(5-(5-(5-(5-(5-(6-(4-(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5-옥소펜틸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tt) 1-(6-(6-(6-(6-(6-(6-(6-(6-(8-(4-(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1-카보닐아미노에틸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uu) 1-(6-(6-(6-(6-(6-(6-(6-(8-(4-(4-(4-메톡시벤조일옥시)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옥틸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vv) 1-(6-(6-(6-(6-(6-(6-(6-(6-(6-(6-(6-(트랜스-4-(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프로프-2-엔-1-온;
    ww) 1-(6-(6-(6-(트랜스-4-(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프로프-2-엔-1-온;
    xx) 1-(6-(6-(6-(6-(6-(6-(6-(6-(6-(6-(6-(6-(6-(6-(6-(6-(6-(6-(6-(6-(6-(트랜스-4-(4-(4-메틸벤조일옥시)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프로프-2-엔-1-온;
    yy) 1-(6-(6-(6-(6-(6-(6-(6-(6-(6-(6-(4-(4-(4-에톡시페녹시카보닐)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zz) 1-(6-(6-(6-(6-(4-(4-(4-에톡시페녹시카보닐)페닐옥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2-메틸프로프-2-엔-1-온;
    aaa) 1-(6-(6-(6-(6-(6-(6-(6-(6-(6-(6-(6-(4-(4-페닐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프로프-2-엔-1-온;
    bbb) 1-(6-(6-(6-(4-(4-페닐페녹시카보닐)페녹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프로프-2-엔-1-온;
    ccc) 1-(6-(6-(6-(트랜스-4-(4-(4-페닐페녹시카보닐)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프로프-2-엔-1-온;
    ddd) 1-(6-(6-(6-(6-(6-(6-(6-(6-(6-(6-(6-(트랜스-4-(4-(4-페닐페녹시카보닐)페닐)사이클로헥실옥시)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6-옥소헥실옥시)프로프-2-엔-1-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액정 단량체 또는 그의 잔기인, 메소겐 함유 화합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중합체 골격(backbone) 내로 혼입될 수 있는 이작용성 단량체인, 메소겐 함유 화합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따른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소겐 함유 화합물 또는 그의 잔기;
    임의적으로 액정 중합체; 및
    임의적으로 광변색성(photochromic) 화합물, 이색성(dichroic) 화합물,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 감광성 물질, 비감광성 물질 및 하나 이상의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액정, 액정 특성 조절 첨가제, 비선형 광학 물질, 염료, 배열 촉진제, 운동성 향상제(kinetic enhancer), 광 개시제, 열 개시제, 계면활성제, 중합 억제제, 용매, 광 안정제, 열 안정제, 이형제, 레올로지 조절제, 겔화제, 레벨링제, 자유 라디칼 소거제, 커플링제, 틸트(tilt) 조절 첨가제, 블록 또는 비블록 중합체성 물질, 및 접착 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광변색성 화합물 또는 광변색성-이색성 화합물이, 인데노-융합된 나프토피란, 나프토[1,2-b]피란, 나프토[2,1-b]피란, 스피로플루오로에노[1,2-b]피란, 페난트로피란, 퀴놀리노피란, 플루오로안테노피란, 스피로피란, 벤즈옥사진, 나프트옥사진, 스피로(인돌린)나프트옥사진, 스피로(인돌린)피리도벤즈옥사진, 스피로(인돌린)플루오란텐옥사진, 스피로(인돌린)퀴녹사진, 펄가이드(fulgide), 펄기마이드(fulgimide), 다이아릴에텐, 다이아릴알킬에텐, 다이아릴알켄일에텐, 비-열 가역적(non-thermally reversible) 광변색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중합체가 존재하고, 상기 액정 중합체는, 메소겐 함유 화합물의 잔기가 혼입된 블록 또는 비블록 공중합체인,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소겐 함유 화합물, 제 6 항에 따른 중합체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액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소겐 함유 화합물, 제 6 항에 따른 중합체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액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인 층
    을 포함하는 광학 요소인, 제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층이,
    그의 적어도 일부를 자기장, 전기장, 선형 편광된 복사선 및 전단력 중 하나 이상에 노출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거나;
    적어도 화학선에 응답하여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스위칭되고 열 에너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상태로 복원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상태와 상기 제 2 상태 중 하나 이상에서 적어도 투과된 복사선을 선형적으로 편광시키거나; 또는
    네마틱 상, 스멕틱 상 및 키랄 네마틱 상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액정 상을 포함하는, 광학 요소.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교정 렌즈, 비교정 렌즈, 콘택트 렌즈, 안구내 렌즈, 확대 렌즈, 보호 렌즈 및 바이저로부터 선택된 안과 요소(ophthalmic element);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모니터 및 보안 요소로부터 선택된 디스플레이 요소; 윈도우; 미러(mirror); 및 능동 및 수동 액정 셀 요소로부터 선택되는, 광학 요소.
  13.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표면을 갖는 제 1 기재;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제 1 표면과 대향하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영역을 획정하는(define) 제 2 표면을 갖는 제 2 기재;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에 의해 획정된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소겐 함유 화합물, 제 6 항에 따른 중합체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액정 조성물; 및
    임의적으로 상기 제 1 기재 및 상기 제 2 기재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된 선형 편광층, 원형 편광층, 타원형 편광층, 광변색층, 반사층, 착색된(tinted) 층, 지연층 및 광각(wide-angle) 시야층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부분적인 층을 포함하는 액정 셀인, 제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이, 복수의 영역 또는 구획을 포함하는 픽셀화된 셀인, 액정 셀.
  15.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액정 조성물을 제형화하고,
    상기 액정 조성물로 기재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고;
    코팅 중의 상기 액정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시키고;
    액정 코팅층을 경화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안과 요소의 제조 방법.
KR1020127032325A 2008-06-27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KR101602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63,116 2008-06-27
US12/163,180 2008-06-27
US12/163,180 US20100014010A1 (en) 2008-06-27 2008-06-27 Formulations comprising mesogen containing compounds
US12/163,116 US20090326186A1 (en) 2008-06-27 2008-06-27 Mesogen containing compounds
US12/489,811 2009-06-23
US12/489,811 US7910019B2 (en) 2008-06-27 2009-06-23 Mesogen containing compounds
PCT/US2009/048632 WO2009158483A1 (en) 2008-06-27 2009-06-25 Mesogen containing compound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057A Division KR101329831B1 (ko) 2008-06-27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196A Division KR20150140413A (ko) 2008-06-23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12A true KR20130004612A (ko) 2013-01-11
KR101602011B1 KR101602011B1 (ko) 2016-03-09

Family

ID=4112928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057A KR101329831B1 (ko) 2008-06-27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KR1020127032325A KR101602011B1 (ko) 2008-06-27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KR1020127032326A KR101344609B1 (ko) 2008-06-27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KR1020127032323A KR101601359B1 (ko) 2008-06-27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057A KR101329831B1 (ko) 2008-06-27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326A KR101344609B1 (ko) 2008-06-27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KR1020127032323A KR101601359B1 (ko) 2008-06-27 2009-06-25 메소겐 함유 화합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910019B2 (ko)
EP (4) EP2698411B9 (ko)
JP (2) JP5462871B2 (ko)
KR (4) KR101329831B1 (ko)
CN (1) CN102112579B (ko)
AU (1) AU2009262166B2 (ko)
BR (1) BRPI0910172B1 (ko)
CA (1) CA2728555C (ko)
ES (1) ES2459917T3 (ko)
HK (1) HK1154617A1 (ko)
MX (1) MX2010013089A (ko)
WO (1) WO2009158483A1 (ko)
ZA (1) ZA20100880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149A (ko) * 2017-09-13 2019-03-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반응성 메조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
WO2019054587A1 (ko) * 2017-09-13 2019-03-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반응성 메조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8546B2 (en) 2003-07-01 2013-08-27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8545015B2 (en) 2003-07-01 2013-10-01 Transitions Optical, Inc. Polarizing photochromic articles
US8582192B2 (en) 2003-07-01 2013-11-12 Transitions Optical, Inc. Polarizing photochromic articles
US7342112B2 (en) * 2003-07-01 2008-03-11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compounds
US8545984B2 (en) 2003-07-01 2013-10-01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8211338B2 (en) 2003-07-01 2012-07-03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compounds
US8623238B2 (en) 2008-06-27 2014-01-07 Transitions Optical, Inc. Mesogenic stabilizers
US8613868B2 (en) * 2008-06-27 2013-12-24 Transitions Optical, Inc Mesogenic stabilizers
US8431039B2 (en) * 2008-06-27 2013-04-30 Transitions Optical, Inc. Mesogenic stabilizers
US8628685B2 (en) * 2008-06-27 2014-01-14 Transitions Optical, Inc Mesogen-containing compounds
US8349210B2 (en) * 2008-06-27 2013-01-08 Transitions Optical, Inc. Mesogenic stabilizers
US9475901B2 (en) * 2009-12-08 2016-10-25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alignment materials having improved adhesion
US9139571B2 (en) 2010-12-16 2015-09-22 Transitions Optical, Inc. Methods of making fused ring compounds
US8779168B2 (en) 2010-12-16 2014-07-15 Transitions Optical, Inc. Lactone compounds and materials made therefrom
BR112013031234B1 (pt) 2011-06-06 2021-01-26 Transitions Optical, Inc. artigo fotocrômico
JP5718260B2 (ja) * 2011-09-08 2015-05-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重合性組成物、高分子材料、及びフィルム
WO2014032772A1 (en) * 2012-08-29 2014-03-06 Merck Patent Gmbh Bimesogenic compounds and mesogenic media
US20140264979A1 (en) 2013-03-13 2014-09-18 Transitions Opticals, Inc. Method of preparing photochromic-dichroic films having reduced optical distortion
EP3201292B1 (en) * 2014-09-30 2018-08-01 Transitions Optical, Inc. Ultraviolet light absorbers
US10323188B2 (en) * 2014-12-19 2019-06-18 Merck Patent Gmbh Liquid-crystalline medium and high-frequency components comprising same
KR102326314B1 (ko) 2015-02-06 2021-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보상필름, 반사 방지 필름과 표시장치
US11199653B2 (en) 2015-10-30 2021-12-14 Transitions Optical, Inc. Optical article with gradient light influenc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344213B2 (en) * 2016-07-22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Reactive mesogen and liquid crystal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WO2018121873A1 (en) 2016-12-30 2018-07-05 Transitions Optical, Ltd. Polarizing article and method of forming a polarizing article
EP3621958A1 (en) 2017-05-10 2020-03-18 Transitions Optical, Ltd. Photochromic indeno fused phenanthrenopyran compounds
US10619099B2 (en) * 2017-08-25 2020-04-14 Ppg Industries Ohio, Inc. Dielectric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10866455B2 (en) 2017-10-19 2020-12-15 Ppg Industries Ohio, Inc. Display devices including photochromic-dichroic compounds and dichroic compounds
US11959007B2 (en) * 2018-01-22 2024-04-16 Merck Patent Gmbh Dielectric materials
WO2020119877A1 (en) * 2018-12-10 2020-06-18 Transitions Optical, Ltd. Mesogen compounds
EP4004145A1 (en) * 2019-07-30 2022-06-01 Transitions Optical, Ltd. Mesogen compounds
KR20210058453A (ko) 2019-11-14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열전도성 에폭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반도체 패키징용 소재, 성형물, 전기전자 소자 및 반도체 패키지
TWI794742B (zh) 2020-02-18 2023-03-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抗病毒化合物
CN115349006A (zh) * 2020-03-27 2022-11-15 光学转变有限公司 介晶化合物
US11963868B2 (en) 2020-06-01 2024-04-23 Ast Products, Inc. Double-sided aspheric diffractive multifocal le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US20230400616A1 (en) 2020-11-10 2023-12-14 Transitions Optical, Ltd. Photochromic-Dichroic Articles
KR20220085616A (ko) 2020-12-15 202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에폭시 화합물, 이로부터 얻어지는 조성물, 반도체 장치, 전자 장치, 물품 및 에폭시 화합물 제조 방법
US11697666B2 (en) 2021-04-16 2023-07-11 Gilead Sciences, Inc. Methods of preparing carbanucleosides using amides
JPWO2022250083A1 (ko) * 2021-05-28 2022-12-01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025A (ko) * 1999-02-10 2001-11-15 요헨 카르크, 안드레아스 비베르바흐 액정 물질 혼합물
KR20010110721A (ko) * 2000-02-03 2001-12-13 추후제출 액정형 가역 정보표시매체 및 이것을 이용한 비접촉ic카드
JP2008100982A (ja) * 2006-09-21 2008-05-01 Chisso Corp 三官能性化合物、組成物およびその重合体

Family Cites Families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6605A (en) * 1982-09-09 1985-12-03 Kabushiki Kaisha Suwa Seikosha Photochromic coating composition and photochromic synthetic resin ophthalmic lens
US4539048A (en) * 1983-02-09 1985-09-03 Jos. Cavedon Company Inc. Aluminum zirconium metallo-organic complexes useful as coupling agents
US4539049A (en) * 1983-02-09 1985-09-03 Jos. Cavedon Co., Inc. Aluminum zirconium metallo-organic complex useful as coupling and hydrophobic agents
AU564689B2 (en) * 1985-07-09 1987-08-20 Kureha Kagaku Kogyo K.K. Photochromic lens
US4650526A (en) * 1986-03-18 1987-03-17 Man-Gill Chemical Company Post treatment of phosphated metal surfaces by aluminum zirconium metallo-organic complexes
JPS63311321A (ja) * 1987-06-15 1988-12-20 Sharp Corp 走査型光プリンタ
US4931220A (en) * 1987-11-24 1990-06-05 Ppg Industries, Inc. Organic photochromic pigment particulates
US5871665A (en) * 1992-04-27 1999-02-16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Electrooptical liquid crystal system
US5578252A (en) * 1993-06-21 1996-11-26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substituted naphthopyran compounds
US5466398A (en) 1993-06-21 1995-11-14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substituted naphthopyran compounds
US5466396A (en) * 1993-11-19 1995-11-14 Lever Brothers Company Isethionate esters of alkyl alkoxy carboxylic acid
US5651923A (en) 1993-12-09 1997-07-29 Transitions Optical, Inc. Substituted naphthopyrans
US5458814A (en) * 1993-12-09 1995-10-17 Transitions Optical, Inc. Substituted naphthopyrans
US5650098A (en) * 1993-12-09 1997-07-22 Transitions Optical, Inc. Substituted naphthopyrans
US5514817A (en) * 1994-08-04 1996-05-07 Ppg Industries, Inc. Substituted phenanthropyrans
US5645767A (en) * 1994-11-03 1997-07-08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indeno-fused naphthopyrans
US5962617A (en) * 1995-02-02 1999-10-05 Simula Inc. Impact resistant polyurethan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658501A (en) * 1995-06-14 1997-08-19 Transitions Optical, Inc. Substituted naphthopyrans
DE59605843D1 (de) * 1995-07-28 2000-10-12 Rolic Ag Zug Photovernetzbare flüssigkristalline 1,2-Phenylen-Derivate
GB9522362D0 (en) * 1995-11-01 1996-01-03 Secr Defence Liquid crystal polymers
GB2311289B (en) 1996-03-19 1999-11-17 Merck Patent Gmbh Reactive mesogenic compounds
JP4496439B2 (ja) * 1996-03-19 2010-07-07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反応性液晶化合物
US5723072A (en) * 1996-06-17 1998-03-03 Ppg Industries, Inc. Photochromic heterocyclic fused indenonaphthopyrans
US5698141A (en) * 1996-06-17 1997-12-16 Ppg Industries, Inc. Photochromic heterocyclic fused indenonaphthopyrans
TW373123B (en) * 1996-07-26 1999-11-01 Merck Patent Gmbh Combination of optical elements, means to produce substantially linear polarized light, optical retardation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R2751971B1 (fr) * 1996-07-31 1998-11-20 Essilor Int Nouvelles spirooxazines homoazaadamantane et leur utilisation dans le domaine de l'optique ophtalmique
IL131483A0 (en) * 1997-02-21 2001-01-28 Ppg Industries Inc Photochromic polyurethane coating and articles having such a coating
GB9706202D0 (en) * 1997-03-25 1997-05-14 James Robinson Ltd Neutral colouring photochromic 2H-naphthol[1,2-b]pyrans and heterocyclic pyrans
US6025026A (en) * 1997-06-30 2000-02-15 Transitions Optical, Inc. Process for producing an adherent polymeric layer on polymeric substrates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DE19841343A1 (de) * 1997-09-17 1999-03-18 Merck Patent Gmbh Polymerfilm
US5891368A (en) * 1997-10-01 1999-04-06 Ppg Industries, Inc. Fluoranthenopyrans
US6106744A (en) * 1997-12-03 2000-08-22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pyrano-fused naphthopyrans
US6268055B1 (en) * 1997-12-08 2001-07-31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epoxy resin coating composition and articles having such a coating
US5879592A (en) * 1997-12-10 1999-03-09 Ppg Industries, Inc. Water soluble photochromic compounds, compositions and optical elements comprising the compounds
US6630597B1 (en) * 1997-12-15 2003-10-07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6-aryl substituted 3H-naphtho(2,1-b)pyrans
DE69903042T2 (de) * 1998-07-10 2003-08-07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e sechsgliedrige heterocyclisch kondensierte naphthopyrane
US6022495A (en) * 1998-07-10 2000-02-08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benzopyrano-fused naphthopyrans
US6022497A (en) * 1998-07-10 2000-02-08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six-membered heterocyclic-fused naphthopyrans
JP4531984B2 (ja) * 1998-09-11 2010-08-25 トランジションズ・オプテ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重合性ポリアルコキシル化ナフトピラン
US6555028B2 (en) * 1998-09-11 2003-04-29 Transitions Optical, Inc. Polymeric matrix compatibilized naphthopyrans
WO2000034808A1 (en) * 1998-12-07 2000-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tterned layer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a cholesteric order
US6436525B1 (en) * 1998-12-11 2002-08-20 Ppg Industries Ohio, Inc. Polyanhydride photochromic coating composition and photochromic articles
US6060001A (en) * 1998-12-14 2000-05-09 Ppg Industries Ohio, Inc. Alkoxyacrylamide photochromic coatings compositions and photochromic articles
US6432544B1 (en) * 1998-12-18 2002-08-13 Ppg Industries Ohio, Inc. Aminoplast resin photochromic coating composition and photochromic articles
US6506488B1 (en) * 1998-12-18 2003-01-14 Ppg Industries Ohio, Inc. Aminoplast resin photochromic coating composition and photochromic articles
GB9906168D0 (en) * 1999-03-17 1999-05-12 Rolic Ag Liquid crystal compounds
US6338808B1 (en) * 1999-03-31 2002-01-15 Fuji Photo Film Co., Ltd.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mprising liquid crystal molecules and alignment promoter
JP4169429B2 (ja) * 1999-04-08 2008-10-22 株式会社Adeka 重合性光学活性化合物
EP1194487B1 (en) * 1999-07-02 2005-05-11 PPG Industries Ohio, Inc. Poly(meth)acrylic photochromic coating
US6150430A (en) * 1999-07-06 2000-11-21 Transitions Optical, Inc. Process for adhering a photochromic coating to a polymeric substrate
AU1383701A (en) * 1999-09-16 2001-04-17 Merck Patent Gmbh Optical compensa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i
US6296785B1 (en) * 1999-09-17 2001-10-02 Ppg Industries Ohio, Inc. Indeno-fused photochromic naphthopyrans
US6348604B1 (en) * 1999-09-17 2002-02-19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naphthopyrans
US6353102B1 (en) * 1999-12-17 2002-03-05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naphthopyrans
JP2001271069A (ja) * 2000-03-27 2001-10-02 Tokyo Magnetic Printing Co Ltd 可逆的記録媒体用組成物のための高分子液晶
US6531076B2 (en) * 2000-02-04 2003-03-11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organic resin composition
ATE279492T1 (de) * 2000-03-02 2004-10-15 Merck Patent Gmbh Mehrschichtiger reflektierender film oder pigment mit von blickwinkel abhängigen reflektionseigenschaften
US6875483B2 (en) * 2000-07-06 2005-04-05 Fuji Photo Film Co., Ltd.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mprising liquid crystal molecules and alignment promoter
US6577798B2 (en) * 2000-07-18 2003-06-10 Reveo, Inc. Method for producing non-linear optical organic crystal film
KR100776701B1 (ko) * 2000-10-04 2007-11-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중합 가능한 액정 디옥세탄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액정 디바이스
US6433043B1 (en) * 2000-11-28 2002-08-13 Transitions Optical, Inc. Removable imbibition composition of photochromic compound and kinetic enhancing additive
KR20020077439A (ko) 2000-12-14 2002-10-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액정 디스플레이 라미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US6736998B2 (en) * 2000-12-29 2004-05-18 Transitions Optical, Inc. Indeno-fused photochromic naphthopyrans
US7238831B2 (en) * 2001-01-23 2007-07-03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esogens
ATE276332T1 (de) * 2001-05-08 2004-10-15 Merck Patent Gmbh Polymerisierbares flüssigkristallmaterial
JP4223394B2 (ja) * 2001-07-09 2009-02-12 サウスウェスト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新規メソゲン及びそれらの合成及び使用
EP1295863A1 (en) * 2001-09-24 2003-03-26 Rolic AG Liquid crystalline "laterally polymerizable" compounds
AU2002356562A1 (en) * 2001-10-16 2003-04-28 Lightwave Microsystems Corporation Waveplate and optical circuit formed from mesogen-containing polymer
US7410691B2 (en) * 2001-12-27 2008-08-12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optical article
US7320826B2 (en) * 2003-03-20 2008-01-22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articles with reduced temperature dependenc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US7262295B2 (en) * 2003-03-20 2007-08-28 Transitions Optical, Inc. Indeno-fused photochromic naphthopyrans, naphthols and photochromic articles
US7632540B2 (en) * 2003-07-01 2009-12-15 Transitions Optical, Inc. Alignment facilities for optical dyes
US7342112B2 (en) * 2003-07-01 2008-03-11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compounds
US7256921B2 (en) * 2003-07-01 2007-08-14 Transitions Optical, Inc. Polarizing, photochrom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110090B1 (ko) * 2003-07-16 2012-02-15 롤리크 아게 배향층용의 중합 가능한 공중합체
JP4788123B2 (ja) * 2003-09-19 2011-10-05 Jnc株式会社 光重合性液晶組成物、その重合体または重合体組成物及び光学異方性膜
US7094368B2 (en) * 2003-12-10 2006-08-22 Transitions Optical, Inc. Pyrano-quinolines, pyrano-quinolinones, combinations thereof, photochromic compositions and articles
US7097303B2 (en) * 2004-01-14 2006-08-29 Ppg Industries Ohio, Inc. Polariz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GB0414888D0 (en) 2004-07-02 2004-08-04 Univ Cambridge Tech Liquid crystal device
DE602005005749T2 (de) * 2004-08-10 2009-04-30 Merck Patent Gmbh Polymerisierbare mesogene Cyclohexylphenylderivate
JP2006323069A (ja) * 2005-05-18 2006-11-30 Fujifilm Holdings Corp 光学補償シート、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998269B2 (ja) * 2005-10-17 2012-08-15 旭硝子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液晶組成物、光学異方性材料、および光学素子
JP4545095B2 (ja) * 2006-01-11 2010-09-15 株式会社Adeka 新規重合性化合物
US7481955B2 (en) * 2006-05-31 2009-01-27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materials comprising metallocenyl groups
US7927671B2 (en) * 2006-09-21 2011-04-19 Chisso Corporation Trifunctional compound, composition and polymer thereof
KR101085313B1 (ko) 2007-01-23 2011-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술폰기를 가지는 새로운 액정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액정조성물 및 이 액정 조성물을 사용한 광학 필름
US7910020B2 (en) * 2008-06-27 2011-03-22 Transitions Optical, Inc. Liquid crystal compositions comprising mesogen containing compou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025A (ko) * 1999-02-10 2001-11-15 요헨 카르크, 안드레아스 비베르바흐 액정 물질 혼합물
KR20010110721A (ko) * 2000-02-03 2001-12-13 추후제출 액정형 가역 정보표시매체 및 이것을 이용한 비접촉ic카드
JP2008100982A (ja) * 2006-09-21 2008-05-01 Chisso Corp 三官能性化合物、組成物およびその重合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149A (ko) * 2017-09-13 2019-03-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반응성 메조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
WO2019054587A1 (ko) * 2017-09-13 2019-03-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반응성 메조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분산 보상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8413A2 (en) 2014-02-19
CA2728555A1 (en) 2009-12-30
JP2011526296A (ja) 2011-10-06
KR101601359B1 (ko) 2016-03-08
HK1154617A1 (en) 2012-04-27
JP2013224296A (ja) 2013-10-31
KR101329831B1 (ko) 2013-11-14
ES2459917T3 (es) 2014-05-12
EP2698412A3 (en) 2014-05-28
MX2010013089A (es) 2011-02-15
US20090323011A1 (en) 2009-12-31
KR101602011B1 (ko) 2016-03-09
JP5462871B2 (ja) 2014-04-02
BRPI0910172A2 (pt) 2016-01-19
WO2009158483A1 (en) 2009-12-30
EP2698413B1 (en) 2016-12-28
AU2009262166B2 (en) 2013-01-10
EP2303987B9 (en) 2014-09-10
US7910019B2 (en) 2011-03-22
CN102112579A (zh) 2011-06-29
EP2303987B1 (en) 2014-03-26
AU2009262166A1 (en) 2009-12-30
CN102112579B (zh) 2014-10-29
EP2698412B1 (en) 2016-10-12
EP2303987A1 (en) 2011-04-06
KR20110013519A (ko) 2011-02-09
ZA201008805B (en) 2012-05-30
EP2698412A2 (en) 2014-02-19
KR20120140685A (ko) 2012-12-31
EP2698411A2 (en) 2014-02-19
EP2698411B9 (en) 2017-12-06
EP2698411A3 (en) 2014-05-14
KR20120138842A (ko) 2012-12-26
EP2698411B1 (en) 2017-02-01
CA2728555C (en) 2014-03-18
EP2698413A3 (en) 2014-06-04
BRPI0910172B1 (pt) 2019-05-07
KR101344609B1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609B1 (ko) 메소겐 함유 화합물
KR101288271B1 (ko) 메소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
EP2686401B9 (en) Mesogen-containing compounds
KR20150140413A (ko) 메소겐 함유 화합물
AU2013200702B2 (en) Mesogen containing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