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932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932A
KR20130002932A KR1020120063018A KR20120063018A KR20130002932A KR 20130002932 A KR20130002932 A KR 20130002932A KR 1020120063018 A KR1020120063018 A KR 1020120063018A KR 20120063018 A KR20120063018 A KR 20120063018A KR 20130002932 A KR20130002932 A KR 20130002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locking
lock
arm
unlock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842B1 (ko
Inventor
마사오 이시마루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에 의해,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 및 이탈을 양호하게 행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신호 전송 매체(PB)의 양측 외방 부분에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를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 배치하고, 그들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를, 절연 하우징(11)으로부터 일체로 뻗어나가는 해제 암부(14a)에 일체적으로 연설하여 서로 근접·이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하고,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끼리를 근접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부(13f)를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잠금 해제 링크 기구를 구비한 것에 의해, 잠금부(13f)를 변위시키는 잠금 해제 링크 기구의 부품 점수를 저감하여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에 의한 잠금부(13f)의 해제 조작이 용이한 조작으로 확실히 행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를 잠금부에 의해 보지(保持)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이나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 등의 신호 전송 매체를, 회로 배선 기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면 회로 배선 기판에 접합되는 기판 접속 다리부(hold-down)를 통하여 회로 배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커넥터 본체부가 일어서도록 실장되고, 당해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부에 설치된 삽입 개구부로부터 내방을 향해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중 이른바 논집(Non-Zif) 형식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측의 단말 부분에, 예를 들면 절결(切缺) 모양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신호 전송 매체측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에, 전기 커넥터측에 설치된 잠금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당해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상태가 보지되는 자동 잠금 기구가 자주 채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런 종류의 종래의 전기 커넥터(특허문헌 1)에서는, 커넥터 내에 보지된 콘택트군과 신호 전송 매체(FPC)의 각 랜드(land)부의 접촉 압력을 얻기 위한 슬라이더(slider)를 사용하지 않고, 작은 접촉 하중에서도 신호 전송 매체의 탈락을 방지하는 잠금 레버(lock lever)를 축착(軸着)한 구성이 자주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커넥터 본체부에 설치된 잠금부가 별도의 부재에 의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대 등에 의해 커넥터 전체가 고가로 되는 경향이 있다. 또, 잠금부의 자중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측에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보지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종래 커넥터(특허문헌 2)에서는, 하우징의 양단에 부착되고 회로 배선 기판에 납땜되는 보강 금구(金具)에, FPC를 탄성적으로 눌러 지지하는 탄성 지지편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FPC)의 위치 어긋남 등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 구성도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탄성 지지편에 의한 누름력의 작용 방향과 보강 금구의 납땜부가 위치 어긋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잠금부의 해제 조작을 몇 번이나 반복하면, 커넥터 본체부에 계속적으로 부가되는 해제 조작력에 의해, 커넥터 본체부의 실장 상태 등에의 영향이 발생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19613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100370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으로,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 및 이탈을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서는,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판폭 방향의 양측 부분에 잠금부를 걸어맞춰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를 행하는 한편, 잠금 해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잠금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는,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상기 판폭 방향으로 끼운 양측 외방 부분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 배치되고, 그들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캔틸레버(cantilever)상을 이루어 일체로 뻗어나가는 해제 암(arm)부에 연설(連設)되고, 당해 해제 암부의 탄성 변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끼리가 서로 근접·이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끼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잠금부를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잠금 해제 링크(link)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의 양측 외방에 배치된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가, 해제 암부를 통하여 절연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를 변위시키는 잠금 해제 링크 기구의 부품 점수가 저감되어 구조의 간이화가 도모된다. 또,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를,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가락 끝 사이에 끼워넣도록 하여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누르는 것 등에 의해, 잠금부의 해제가 용이한 조작으로 확실히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잠금 해제 링크 기구가, 상기 잠금부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 잠금 부재에 대해서 당접(當接)·이간하도록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에 설치된 해제 누름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부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잠금 암부와, 이 잠금 암부로부터 일체적으로 뻗어나가도록 설치되어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해제력 받이판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에 설치된 해제 누름부는, 상기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끼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해제력 받이판에 당접 가능하게 들어가, 당해 해제 누름부로부터 상기 해제력 받이판에의 당접력에 의해 상기 잠금 암부와 함께 상기 잠금부가 해제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 해제 조작부에 설치된 해제 누름부의 당접 작용으로, 해제력 받이판을 통하여 잠금 암부의 탄성 변위가 행해지고, 이에 따라 잠금부의 해제가 행해지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조작력에 의해 잠금부의 해제가 확실히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해제 암부에는, 적어도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의 이동시에 상기 잠금 부재 또는 절연 하우징의 일부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당접하는 미끄럼 접합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 해제 조작시에 있어서의 해제 암부의 탄성 변위가, 미끄럼 접합 지지부를 통하여 잠금 부재 또는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면서 행해지기 때문에, 잠금 해제 조작이 안정하고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잠금 암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기부(基部)로부터 캔틸레버상으로 뻗어나가는 요동 부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당해 잠금 암부의 요동측 부분에 상기 잠금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상기 잠금 암부는, 상기 잠금 부재의 기부로부터 대략 U자 모양을 이루어 되돌려꺾이도록 뻗어나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등에 수반하여 비교적 작은 공간 내에 잠금 암부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라도, 잠금 암부의 스팬(span)이 길게 확보되기 때문에, 잠금 암부의 탄성 변형이 양호하게 행해지게 되어 잠금부의 걸어맞춤·해제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잠금 부재의 기부는, 인쇄 배선 기판에 땜납 접합되는 기판 접속부와 일체적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 해제 조작부로부터 해제력 받이판에 부가된 해제 조작력이 기판 접속부에서 직접적으로 받아지게 되어, 전기 커넥터 전체의 강도가 양호하게 확보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절연 하우징에는, 상기 잠금 암부를 요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잠금 암 수용실이 설치되고, 이 잠금 암 수용실에는, 상기 잠금 암부의 요동시에 당해 잠금 암부의 일부에 당접하여 상기 잠금부의 요동량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 해제 조작부의 해제 조작시에 있어서의 잠금 암부의 변위량, 즉 잠금부의 변위량이 요동 규제 벽부에 의해 일정량 이하로 억제되게 되어,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잠금부의 돌출량이 적정하게 확보되고, 잠금부 및 이 잠금 해제 링크 기구나 신호 전송 매체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된다. 또,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을 완료하여 잠금 암부가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 당해 잠금 암부의 일부가 요동 규제 벽부에 당접시키는 것 같은 위치 관계로 함으로써, 이른바 삽입 완료의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을 완료하고 있지 않은 상태대로 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삽입 완료 후의 신호 전송 매체에 인발력(引拔力)이 부가된 경우에는, 요동 규제 벽부에 의해 잠금 암부가 잠금부의 해제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신호 전송 매체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잠금 부재에는,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되돌림 스프링편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 해제 조작부를 조작한 후에, 해제 암부의 탄성 변위에 의한 복원력에 더하여 되돌림 스프링편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잠금 해제 조작부에 대해서 보조적으로 부여되기 때문에, 당해 잠금 해제 조작부가, 잠금부의 해제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를 향해 확실히 복귀되게 되어, 잠금 해제 조작부가 복귀되지 않는 것에 의한 잠금부의 불안정 상태가 회피된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는, 잠금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 해제 조작부를, 신호 전송 매체의 양측 외방 부분에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 배치하고, 그들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를,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일체로 뻗어나가는 해제 암부에 일체적으로 연설하여 서로 근접·이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하여 당해 양 잠금 해제 조작부끼리를 근접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잠금 부재를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잠금 해제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잠금부를 변위시키는 잠금 해제 링크 기구의 부품 점수를 저감하여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에 의한 잠금부의 해제 조작이, 용이한 조작으로 확실히 행해지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 및 이탈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가 있어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저렴하게 또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의 구조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배면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로부터 잠금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 일단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 중의 VI-VI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도 5 중의 Ⅶ-Ⅶ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 (B)는 (A)의 상태로부터 해제 조작을 행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도 5 중의 Ⅷ-Ⅷ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 (B)는 (A)의 상태로부터 잠금 해제 조작을 행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일방의 잠금 부재의 구조를 커넥터 내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잠금 부재에 대해서 해제 조작을 행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구조를 커넥터 외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신호 전송 매체(FFC)를 삽입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FFC)의 삽입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대한 신호 전송 매체(FFC)의 삽입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신호 전송 매체(FFC)의 삽입 전에 있어서의 잠금부(신호 전송 매체의 위치 결정부)의 횡단면 설명도, (B)는 신호 전송 매체(FFC)를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 (C)는 신호 전송 매체(FFC)의 삽입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 중의 XV-XV선을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 일단측 부분에 있어서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잠금 부재를 커넥터 외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도 16 중의 XⅧ-XⅧ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 (B)는 (A)의 상태로부터 잠금 해제 조작을 행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회로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에 적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14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기 제품측의 전자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실장되는, 이른바 논집(Non-Zif) 형식의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회로 배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도록 배치되는 가늘고 긴 모양의 절연 하우징(11)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표면이 수평 상태로 뻗어 있는 것으로 하고, 그 회로 배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절연 하우징(11)이 일어서는 방향을 「상방향」, 절연 하우징(11)의 일어서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하방향」이라고 한다. 또, 절연 하우징(11)의 가늘고 긴 모양의 뻗어 있는 방향을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당해 「커넥터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쌍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커넥터 폭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절연 하우징에 대하여]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일어섬측의 단부인 상단면에는, 후술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이나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 등의 신호 전송 매체(PB)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부(11a)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삽입 개구부(11a)의 상방 위치에,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표면에 대략 직교하도록 하여 신호 전송 매체(PB)의 단말 부분이 하방향을 향한 상태에 배치되고(도 12 참조), 이 신호 전송 매체(PB)의 단말 부분이 하강 이동됨으로써, 상기 삽입 개구부(11a)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1)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연 하우징(11)의 중공(中空) 내부에 신호 전송 매체(PB)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상방측으로부터의 삽입 구조에 의하면, 절연 하우징(11)의 삽입 개구부(11a)에 신호 전송 매체(PB)를 삽입함에 즈음하여, 당해 삽입 개구부(11a)와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관계가 상방측으로부터 용이하게 관찰되게 되어,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 동작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 후의 상태가 양호하게 확보된다.
[도전 콘택트에 대하여]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에는, 당해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도전 콘택트(도전 단자)(12, 12, ···)가 소정의 피치 간격을 이루어 다극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들 각 도전 콘택트(12)는, 특히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측면 대략 L자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술하듯이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단말부에 접촉하는 접점부(12a)를 상단 부분에 가지고 있다. 그들 각 도전 콘택트(12)의 본체 부분은, 상술한 접점부(12a)로부터 하방을 향해 뻗어 있고,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접촉하는 하단 부분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커넥터 폭방향의 배면측(도 6의 우방측)으로 뻗어나가 있다. 그리고, 그 도전 콘택트(12)의 후방측 뻗어나감단(端) 부분에 접속 단자부(12b)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접속 단자부(12b)가 상술한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형성된 신호용 도전로에 땜납 접합되게 되어 있다.
[잠금 부재에 대하여]
또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박판상의 금속 부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 성형한 한 쌍의 잠금 부재(hold-down)(13, 13)가 배치되어 있다. 그들 각 잠금 부재(13)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장착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고, 특히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당해 잠금 부재(13)의 기부로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대면하도록 하여 상기 절연 하우징(11)의 저면부로부터 일어서는 한 쌍의 잠금 기판(기부)(13a, 13a)을 가지고 있다. 그들 양 잠금 기판(13a, 13a)끼리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기부 접속판(13b)에 의해 커넥터 폭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들 각 잠금 기판(13a) 및 기부 접속판(13b)에는, 복수의 하우징 고정편(13c)이 상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들 복수의 하우징 고정편(13c)은, 절연 하우징(11)의 본체 부분에 저면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압입 상태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잠금 부재(13) 전체의 고정이 행해지고 있다.
또, 커넥터 폭방향의 정면측(도 8의 좌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잠금 기판(13a)의 상단연부(上端緣部)에는, 되돌려꺾음부(13d, 13d)를 통하여 한 쌍의 잠금 암부(13e, 13e)가, 탄성 변위 가능한 요동 부재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되돌려꺾음부(13d, 13d) 및 잠금 암부(13e, 13e)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각 되돌려꺾음부(13d)는 측면 대략 역U자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잠금 기판(13a)의 상단연부로부터 일단 상방측으로 돌출한 후에 하방으로 반전하도록 되돌려꺾여 있다. 그리고, 그들 각 되돌려꺾음부(13d)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잠금 암부(13e)가 각각 하방을 향해 캔틸레버(cantilever)상을 이루도록 뻗어나가 있고, 그 캔틸레버 구조에 의해 당해 각 잠금 암부(13e)가, 상술한 되돌려꺾음부(13d)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커넥터 폭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요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의 양 잠금 암부(13e, 13e)의 하단 부분끼리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양 잠금 암부(13e, 13e)끼리가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술한 한 쌍의 잠금 암부(13e, 13e) 중의 커넥터 내방측에 위치하는 잠금 암부(13e)의 측단연부에는,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보지(保持)를 행하는 잠금부(13f)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부(13f)는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단말 부분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PB1)에 걸어맞춰지는 것이지만, 그들의 구성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특히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한 쌍의 잠금 암부(13e, 13e) 및 잠금부(13f)를 요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잠금 암 수용실(11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 암 수용실(11b)은, 당해 잠금 암 수용실(11b), 및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삽입 공간을 구획하도록 칸막이하는 요동 규제 벽부(11c)를 가지고 있다. 이 요동 규제 벽부(11c)의 벽면에는 잠금 암부(13e)가 당접(當接) 가능하게 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배치 관계에 의해 잠금부(13f)의 요동량이 적당한 범위로 규제되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잠금부(13f)와 함께 잠금 암부(13e)가 요동한 후에, 무부하의 초기 상태로 탄성 복귀함에 즈음하여, 잠금 암부(13e)의 일부가 요동 규제 벽부(11c)에 가볍게 충돌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그때 이른바 클릭음이 발생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술한 요동 규제 벽부(11c)에는, 상기 잠금부(13f)에 대면하는 부분에 슬릿상의 절결(切缺)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절결부를 통하여 잠금부(13f)의 선단 부분이, 절연 하우징(11) 내에 설치된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 공간 내로 돌출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잠금부에 대하여]
이 잠금부(13f)는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단말 부분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PB1)에 대응하여 설치된 것이다. 즉, 특히 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신호 전송 매체(PB)의 단말 부분에는, 당해 신호 전송 매체(PB)의 판폭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단연(端緣) 부분에, 절결 모양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PB1)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리셉터클 커넥터(1)의 내부에 신호 전송 매체(PB)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1)측에 설치된 잠금부(13f)가, 신호 전송 매체(PB)측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PB1)에 걸어맞춰져, 그 위치 결정부(PB1)에 대한 잠금부(13f)의 걸어맞춤 작용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 상태가 보지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잠금부(13f)는, 전술한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위치 결정부(PB1)의 내방으로 들어가는 판상 부재로 형성된 것이며, 상술한 잠금 암부(13e)의 요동측 부분으로부터, 상술한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 공간 내를 향해 돌출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부(13f)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은, 이른바 후크(hook)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보다 긴 돌출 길이를 가지는 하단연으로부터 짧은 돌출 길이의 상단연까지의 사이를 경사 안내변이 경사져 뻗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이 잠금부(13f)의 상술한 하단연은, 당해 잠금부(13f)의 돌출 방향(도 7의 우방향)을 향해 약간 하강하는 경사변을 이루도록 뻗어 있다. 이러한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잠금부(13f)는, 전술한 한 쌍의 잠금 암부(13e, 13e) 중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내측에 배치된 잠금 암부(13e)의 내측 단연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잠금부(13f)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의 정면측에 한 쌍 설치되어 있지만, 커넥터 폭방향의 배면측, 혹은 정면측 및 배면측의 쌍방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4 (A)에 나타나 있듯이 하여 절연 하우징(11)의 삽입 공간 내에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단말 부분이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오면, 도 13 및 도 14 (B)에 나타나 있듯이,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측 선단연이, 전술한 잠금부(13f)의 경사 안내변에 당접하고, 삽입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하방향으로 뻗어 있던 잠금 암부(13e)가, 상단측의 되돌려꺾음부(13d)를 요동 지점(支點)으로 하여 커넥터 폭방향의 외방측으로 밀어넣어지도록 탄성 변위된다.
이 잠금 암부(13e)의 탄성 변위 상태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단말 부분이 더 하방으로 밀어넣어져 가면, 예를 들면 도 14 (C)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잠금부(13f)의 후크 형상 부분이, 잠금 암부(13e)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절결 모양의 오목부)(PB1)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요동된다. 이에 의해 잠금부(13f)가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PB1)에 대해서 걸어맞춤 상태로 되어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 상태가 보지된다.
이와 같이,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삽입을 완료하여 잠금 암부(13e)가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 있어서는, 잠금 암부(13e)의 일부가 요동 규제 벽부(11c)에 가볍게 충돌하여, 이른바 삽입 완료의 클릭음을 발생하는 것 같이 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을 완료하고 있지 않은 상태대로 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삽입 완료 후의 신호 전송 매체(PB)에 인발력이 부가된 경우에는, 당해 신호 전송 매체(PB)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PB1)가, 잠금부(13f)의 하단연을 구성하는 경사변에 압접하여, 그 경사변으로 이루어지는 하단연에 발생하는 분력에 의해, 잠금 암부(13e)와 함께 잠금부(13f)가 해제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그러한 잠금부(13f) 및 잠금 암부(13e)의 이동은, 잠금 암부(13e)가 요동 규제 벽부(11c)에 당접함으로써 저지되고, 그 결과 신호 전송 매체(PB)의 인발 또는 탈락이 방지된다.
[잠금 해제 링크 기구에 대하여]
한편, 상술한 것 같은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에 대한 잠금부(13f)의 걸어맞춤 상태로부터, 후술하듯이 잠금 해제 조작부(14)를 조작하여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지면, 다음에 설명하는 잠금 해제 링크 기구를 통하여 잠금 암부(13e)가, 자신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커넥터 폭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밀어넣어지도록 요동하여(도 7 (B), 도 8 (B) 및 도 10 참조), 잠금부(13f)의 후크 형상 부분이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PB1)로부터 이탈된다. 이 잠금 해제 조작부(14) 및 이 잠금 해제 조작부(14)에 부설된 잠금 해제 링크 기구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즉, 상술한 잠금 해제 링크 기구는,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로부터 잠금부(13f)를 이탈시키도록 설치된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 14)에 부설된 것이지만, 이 잠금 해제 링크 기구가 부설된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 14)는,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들 각 잠금 해제 조작부(14)는, 신호 전송 매체(PB)를 판폭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끼운 위치, 즉 삽입 개구부(11a)의 양측 외방 부분에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 배치되어 있어, 예를 들면 도 13 및 도 15 중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듯이, 그들 한 쌍의 양 잠금 해제 조작부(14, 14)끼리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해제 조작력이 부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도 15에 도시되듯이, 양 잠금 해제 조작부(14, 14)는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해제 암부(14a, 14a)를 통하여 절연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해제 암부(14a)는, 절연 하우징(11)의 저면부로부터 캔틸레버상을 이루어 커넥터 폭방향의 외방측으로 뻗어나간 후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상방측으로 뻗어나가 있고, 이 대략 L자 모양을 이루는 해제 암부(14a)의 상단부에 잠금 해제 조작부(14)가 연설(連設)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각 해제 암부(14a)가 탄성 변위함으로써, 상술한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 14)끼리가 서로 근접·이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제의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짐에 즈음해서는, 상술한 양 잠금 해제 조작부(14, 14)끼리가,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가락 끝 사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도 13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지만, 그 서로 근접된 상태로부터 작업자의 손이 개방되면, 해제 암부(14a)가 가지는 탄성 복귀력에 의해, 양 잠금 해제 조작부(14, 14)끼리가 다시 이간 상태로 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 14)에는, 전술한 것처럼 잠금 해제 링크 기구가 각각 부설되어 있어, 잠금 해제 조작부(14, 14)끼리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당해 잠금 해제 링크 기구를 통하여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로부터 잠금부(13f)가 해제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일측에 배치된 일방측의 잠금 해제 링크 기구의 구조를 설명하지만, 타방측의 잠금 해제 링크 기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도 5 및 도 9~도 11에 도시되듯이, 잠금 해제 조작부(14)에 부설된 잠금 해제 링크 기구는, 상술한 잠금부(13f)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방의 잠금 암부(13e)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일방의 잠금 암부(13e)에 설치된 해제력 받이판(13g)과, 당해 해제력 받이판(13g)에 당접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해제 암부(14a)에 설치된 해제 누름부(14b)를 가지고 있다.
그 중의 해제력 받이판(13g)은 커넥터 길이 방향의 내방측에 배치된 일방의 잠금 암부(13e)의 측연부로부터 타방의 잠금 암부(13e)를 향해 일체적으로 뻗어나가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해제력 받이판(13g)은 잠금 해제 조작부(14)의 이동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뻗어 있고, 양 잠금 해제 조작부(14, 14)끼리가 근접·이간하는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해서, 위에서 보아 약 30도 전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해제력 받이판(13g)에 대응하여, 상술한 해제 암부(14a)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방향의 정면측(도 8의 좌방측)의 측단면에는, 해제력 받이판(13g)을 향해 돌출하는 해제 누름부(14b)가 돌기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해제 누름부(14b)는, 상술한 해제력 받이판(13g)에 당접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잠금 해제 조작부(14)가 조작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해제력 받이판(13g)에 대해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잠금 해제 조작부(14)의 조작시에는 해제력 받이판(13g)에 당접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전술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설치된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 14)가 서로 근접시켜지도록 하여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해제 암부(14a)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상술한 해제 누름부(14b)가 해제력 받이판(13g)에 근접하여, 해제력 받이판(13g)의 경사면부에 해제 누름부(14b)의 선단 부분이 당접한 상태로 된다. 또한, 양 잠금 해제 조작부(14, 14)가 근접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술한 해제 누름부(14b)가, 해제력 받이판(13g)의 경사면부를 커넥터 폭방향의 외방측으로 누르는 것으로 되어, 도 7 (B), 도 8 (B) 및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당해 해제력 받이판(13g)과 함께 잠금 암부(13e, 13e)가 커넥터 폭방향의 외방측으로 밀어넣어지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탄성 변위한다. 그 결과, 잠금부(13f)의 후크 형상 부분이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PB1)로부터 이탈하고, 이에 따라 잠금부(13f)의 해제가 행해지게 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제 암부(14a)에는, 커넥터 폭방향의 배면측(도 8의 우방측)의 측단면에, 돌기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접합 지지부(14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미끄럼 접합 지지부(14c)는, 커넥터 폭방향의 배면측(도 8의 우방측)에 배치된 잠금 기판(13a)의 표면에 대해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끄럼 접합 지지부(14c)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잠금 해제 조작시에 있어서의 해제 암부(14a)의 탄성 변위가, 당해 미끄럼 접합 지지부(14c)를 통하여 잠금 기판(13a)에 지지되면서 행해지게 되어, 잠금 해제 조작이 안정하고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미끄럼 접합 지지부(14c)는, 적어도 잠금 해제 조작부(14)의 이동시에 있어서 잠금 부재(13)의 일부, 또는 절연 하우징(11)의 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술한 잠금 부재(13)의 기부를 구성하고 있는 양 잠금 기판(13a, 13a)에는, 당해 잠금 기판(13a, 13a)의 각 하단연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커넥터 폭방향의 외방측으로 돌출하는 기판 접속부(13h, 13h)가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들 양 기판 접속부(13h, 13h)는,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대략 일직선 상에 병렬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술한 해제력 받이판(13g)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양 기판 접속부(13h, 13h)가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땜납 접합되어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조작력이 강고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 14)가, 해제 암부(14a, 14a)를 통하여 절연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13f)를 변위시키는 잠금 해제 링크 기구의 부품 점수가 저감되어 구조의 간이화가 도모된다. 또,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14, 14)를,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가락 끝 사이에 끼워넣도록 하여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누르는 것 등에 의해, 잠금부(13f)의 해제 조작이 용이한 작업으로 확실히 행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해제 조작부(14, 14)의 해제 누름부(14c, 14c)의 당접 작용으로, 해제력 받이판을 통하여 잠금 암부(13e)의 탄성 변위가 행해지고, 이에 의해 잠금부(13f)의 해제가 행해지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조작력에 의해 잠금부(13f)의 해제가 확실히 행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등에 수반하여 절연 하우징(11)의 잠금 암 수용실(11b) 내에 있어서의 비교적 작은 공간에 잠금 암부(13e)가 수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잠금 암부(13e)가 잠금 부재(13)의 상단연부로부터 되돌려꺾음부(13d)를 통하여 캔틸레버상으로 뻗어나가는 요동 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암부(13e)의 스팬(span)이 길게 확보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잠금 암부(13e)의 탄성 변형이 양호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잠금부(13f)의 걸어맞춤·해제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해제 조작부(14)로부터 해제력 받이판(13g, 13g)에 부가된 해제 조작력이, 회로 배선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h)에 의해 직접적으로 받아지고, 전기 커넥터 전체에 바라지 않는 힘이 작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접속 강도가 양호하게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잠금 암 수용실(11b)에, 잠금 암부(13e)의 요동시에 당해 잠금 암부(13e)의 일부에 당접하여 잠금부(13f)의 요동량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벽부(11c)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잠금 해제 조작부(14, 14)의 해제 조작에 의한 잠금 암부(13e)의 탄성 변위량, 즉 잠금부(13f)의 탄성 변위량이, 요동 규제 벽부(11c)에 의해 일정량 이하로 억제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에 대한 잠금부(13f)의 돌출량이 적정하게 확보됨과 아울러, 잠금부(13f)를 포함하는 잠금 기구 또는 그 해제 기구나 신호 전송 매체(PB)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된다.
또,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PB)의 삽입을 완료하여 잠금 암부(13e)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했을 때에, 당해 잠금 암부(13e)의 일부를 요동 규제 벽부(11c)에 당접시킴으로써, 이른바 삽입 완료의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PB)의 미삽입 상태가 방지된다. 또한, 삽입 완료 후의 신호 전송 매체(PB)에 인발력이 부가된 경우에, 잠금부(13f)가 해제되는 방향을 향하는 잠금 암부(13e)의 요동이 요동 규제 벽부(11c)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PB)의 상정 외의 탈락이 방지된다.
한편,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재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16~도 18에 관계되는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잠금 부재(hold-down)(13)에, 잠금 해제 조작부(14)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되돌림 스프링편(13i)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되돌림 스프링편(13i)은, 잠금 부재(13)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단판(端板)을 형성하고 있는 기부 접속판(13b)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일체적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된 캔틸레버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되돌림 스프링편(13i)의 상단 부분에 후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고정 삽입부(13j)가, 잠금 해제 조작부(14)의 저면측에 오목하게 설치된 고정홈(14d) 내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가볍게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 조작부(14)가, 도 18 (A)에 도시된 초기 위치(비조작 위치)로부터, 작업자의 잠금 해제 조작에 의해 도 18 (B)와 같이 커넥터 중심측으로 밀어넣어 이동되면, 잠금 해제 조작부(14)의 해제 암부(14a)와 함께 되돌림 스프링편(13i)이 커넥터 중심측을 향해 쓰러지도록 탄성 변위하게 된다. 이때 당해 되돌림 스프링편(13i)의 고정 삽입부(13j)가, 잠금 해제 조작부(14)의 고정홈(14d)의 내부를 미끄럼 운동하여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행해지기 때문에, 잠금 해제 조작부(14)의 조작 이동이 되돌림 스프링편(13i)에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행해진다. 이러한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진 후의 잠금 해제 조작부(14)에는, 해제 암부(14a)의 탄성 복원력에 더하여, 되돌림 스프링편(13i)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잠금 해제 조작 후에 해방된 잠금 해제 조작부(14)는, 원래의 초기 위치를 향해 확실히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제2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해제 암부(14a)의 복원력에 더하여 되돌림 스프링편(13i)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잠금 해제 조작부(14)에 보조적으로 부여되기 때문에, 당해 잠금 해제 조작부(14)가 확실히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으로 되어, 잠금 해제 조작부(14)가 복귀되지 않음에 따라 잠금부(13f)가 잠금 해제 상태대로 유지되는 등의 불안정 상태가 회피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부재(hold-down)(13)의 배면측(도 16의 상방측)에 배치된 잠금 기판(13a)에 대해서, 해제 암부(14a)의 측면 부분이 면접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해제 암부(14a)의 측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미끄럼 접합 지지부(14c)는, 본 실시 형태의 해제 암부(14a)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미끄럼 접합 지지부(14c)의 돌출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를 가지는 단차부(13k)가 잠금 기판(13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잠금 기판(13a)에 설치된 단차부(13k)의 내표면에 대해서, 해제 암부(14a)의 측면 부분이 면접촉하면서 이동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제 암부(14a)의 측면 부분이, 잠금 기판(13a)의 단차부(13k)에 면접촉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해제 암부(14a)의 이동에 지장이 되는 것 같은 돌기물이 잠금 기판(13a)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잠금 해제 조작에 있어서의 해제 암부(14a)의 이동이 한층 확실히 행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는, 수직 삽입형의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평 삽입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이나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의 접속을 행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판과 기판, 혹은 케이블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종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11 절연 하우징
11a 삽입 개구부
11b 잠금 암(arm) 수용실
11c 요동 규제 벽부
12 도전 콘택트(도전 단자)
12a 접점부
12b 접속 단자부
13 잠금 부재(hold-down)
13a 잠금 기판(기부)
13b 기부 접속판
13c 하우징 고정편
13d 되돌려꺾음부
13e 잠금 암부(잠금 해제 링크 기구)
13f 잠금부
13g 해제력 받이판(잠금 해제 링크 기구)
13h 기판 접속부
13i 되돌림 스프링편
13j 고정 삽입부
13k 단차부
PB 신호 전송 매체(FFC 또는 FPC)
PB1 위치 결정부
14 잠금 해제 조작부
14a 해제 암부(잠금 해제 링크 기구)
14b 해제 누름부
14c 미끄럼 접합 지지부
14d 고정홈

Claims (8)

  1.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판폭 방향의 양측 부분에 잠금부를 걸어맞춰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를 행하는 한편, 잠금 해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잠금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는,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상기 판폭 방향으로 끼운 양측 외방 부분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 배치되고,
    그들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캔틸레버상을 이루어 일체로 뻗어나가는 해제 암부에 연설되고, 당해 해제 암부의 탄성 변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끼리가 서로 근접·이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끼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잠금부를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잠금 해제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링크 기구가, 상기 잠금부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 잠금 부재에 대해서 당접·이간하도록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에 설치된 해제 누름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부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잠금 암부와, 이 잠금 암부로부터 일체적으로 뻗어나가도록 설치되어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해제력 받이판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에 설치된 해제 누름부는, 상기 한 쌍의 잠금 해제 조작부끼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해제력 받이판에 당접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당해 해제 누름부로부터 상기 해제력 받이판에의 당접력에 의해 상기 잠금 암부와 함께 상기 잠금부가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암부에는, 적어도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의 이동시에 상기 잠금 부재 또는 절연 하우징의 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당접하는 미끄럼 접합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암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기부로부터 캔틸레버상으로 뻗어나가는 요동 부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당해 잠금 암부의 요동측 부분에 상기 잠금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암부는, 상기 잠금 부재의 기부로부터 대략 U자 모양을 이루어 되돌려꺾이도록 뻗어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의 기부는, 인쇄 배선 기판에 땜납 접합되는 기판 접속부와 일체적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에는, 상기 잠금 암부를 요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잠금 암 수용실이 설치되고,
    이 잠금 암 수용실에는, 상기 잠금 암부의 요동시에 당해 잠금 암부의 일부에 당접하여 상기 잠금부의 요동량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에는,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되돌림 스프링편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20063018A 2011-06-29 2012-06-13 전기 커넥터 KR101342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3992 2011-06-29
JPJP-P-2011-143992 2011-06-29
JP2011260078A JP5510433B2 (ja) 2011-06-29 2011-11-29 電気コネクタ
JPJP-P-2011-260078 2011-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32A true KR20130002932A (ko) 2013-01-08
KR101342842B1 KR101342842B1 (ko) 2013-12-17

Family

ID=4624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018A KR101342842B1 (ko) 2011-06-29 2012-06-13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34176B2 (ko)
EP (1) EP2541688B1 (ko)
JP (1) JP5510433B2 (ko)
KR (1) KR101342842B1 (ko)
CN (1) CN102856730B (ko)
TW (1) TWI4897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817A (ko) * 2016-12-09 2018-06-19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1672B2 (en) 2013-02-22 2018-05-01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station, radio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WD167929S (zh) 2013-09-20 2015-05-21 第一精工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USD733145S1 (en) * 2014-03-14 2015-06-30 Kingston Digital, Inc. Memory module
JP6273999B2 (ja) * 2014-05-07 2018-02-0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USD735201S1 (en) * 2014-07-30 2015-07-28 Kingston Digital, Inc. Memory module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D792857S1 (en) * 2015-03-23 2017-07-2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emovable terminal block
JP6689063B2 (ja) * 2015-12-09 2020-04-2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70526B2 (en) * 2016-07-01 2018-09-04 Intel Corporation Connector with structures for bi-lateral decoupling of a hardware interface
CN110768062A (zh) * 2019-12-06 2020-02-07 苏州祥龙嘉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侧压解锁式fpc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5180A (ja) * 1987-12-28 1989-07-11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H05159829A (ja) * 1991-12-09 1993-06-25 Du Pont Singapore Pte Ltd 電気ソケット
JP2906110B2 (ja) * 1994-02-18 1999-06-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3355094B2 (ja) * 1996-07-31 2002-12-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挿着用電気コネクタ
TW347927U (en) * 1997-07-19 1998-12-11 Speed Tech Corp Jack connector for random access memory of computer
US5885097A (en) * 1997-08-28 1999-03-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board locking device
JP3517661B2 (ja) 2000-01-11 2004-04-1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Fpc/ffc用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2001217038A (ja) * 2000-02-04 2001-08-10 D D K Ltd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3605586B2 (ja) 2001-09-25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6379168B1 (en) * 2001-12-04 2002-04-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rd edge connector with switch type retainer
TWI223476B (en) * 2003-12-12 2004-11-01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Buckl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JP4028525B2 (ja) * 2004-06-25 2007-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041841Y (zh) * 2007-03-09 2008-03-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JP5217604B2 (ja) * 2008-04-28 2013-06-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5879B2 (ja) * 2009-08-10 2012-04-11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TWM383842U (en) * 2009-08-24 2010-07-01 Horng-Yu Tsai Electrical connector
JP4982770B2 (ja) * 2009-12-04 2012-07-2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195863B2 (ja) 2010-10-12 2013-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88426B2 (ja) 2011-02-22 2012-12-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817A (ko) * 2016-12-09 2018-06-19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842B1 (ko) 2013-12-17
US8734176B2 (en) 2014-05-27
CN102856730A (zh) 2013-01-02
TW201310805A (zh) 2013-03-01
JP5510433B2 (ja) 2014-06-04
EP2541688A2 (en) 2013-01-02
TWI489705B (zh) 2015-06-21
EP2541688B1 (en) 2018-08-08
CN102856730B (zh) 2015-06-17
US20130005174A1 (en) 2013-01-03
EP2541688A3 (en) 2014-04-02
JP2013033704A (ja)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842B1 (ko) 전기 커넥터
EP2500990B1 (en) Electric connector
JP5195863B2 (ja) 電気コネクタ
US8317533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lock member on an elastically displaceable lock arm
KR20130128314A (ko) 전기 커넥터
KR20150110333A (ko) 커넥터
US20130095687A1 (en) Connector
JP2017107711A (ja) コネクタ
US5567171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JP2017117734A (ja) コネクタ
JP2020064834A (ja) 可動コネクタ
JP2019117726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7376499B2 (ja) 可動コネクタ及び可動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9276341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6273999B2 (ja) 電気コネクタ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9102205A (ja) 電気コネクタ
JP2019133892A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WO2022202317A1 (ja) 表面実装コネクタ
JP5971476B2 (ja) コネクタ装置
JP2024090133A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5817504B2 (ja) 電気コネクタ
JP597155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3016337A (ja) 電気コネクタ
JP2014220122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