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577A -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577A
KR20120139577A KR1020120064101A KR20120064101A KR20120139577A KR 20120139577 A KR20120139577 A KR 20120139577A KR 1020120064101 A KR1020120064101 A KR 1020120064101A KR 20120064101 A KR20120064101 A KR 20120064101A KR 20120139577 A KR20120139577 A KR 20120139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sheet
adhesive
back lay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후미 기도
쇼우 우찌다
료헤이 사와자끼
마사까즈 모리모또
게이지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6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s B32B27/32 and B32B27/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5/00Presence of styren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C09J2453/006Presence of block copolym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3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with release or antistick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권회체 등으로부터의 되감기성이 양호하며,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등에 적합한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배면층(A)과 기재층(B)과 점착제층(C)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층(A)과 상기 점착제층(C)이 최외층인 점착 시트이며, 상기 배면층(A)의 박리력이 0.1 내지 3.5N/20mm이고, 상기 배면층(A)의 표면 저항값이 1×1014Ω/□ 미만이다.

Description

점착 시트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층과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이 최외층인 점착 시트이며, 권회체 등으로부터의 되감기성이 양호하며,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등에 적합한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 등에 사용되는 점착 시트는, 주로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기 절연성이 높고, 마찰이나 박리시에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러한 점착 시트를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면, 박리할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정전기가 남은 그대로의 광학 부재를 액정 패널에 조립해서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 분자의 배향이 손실되고, 액정 패널에 결손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정전기가 발생하면, 먼지나 쓰레기를 흡인해버린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점착 시트에 각종 대전 방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점착 시트의 점착제에 저분자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점착제 중으로부터 계면활성제를 피착체에 전사시켜서 대전 방지를 행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는, 첨가한 저분자의 계면활성제가 점착제 표면에 블리딩하기 쉬워, 피착체에 대한 오염이 염려된다. 따라서, 저분자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점착제를 광학 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에 적용한 경우에는, 특히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전 방지제로서 도전성 필러를 사용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도전성 필러를 사용하면 투명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광학 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점착 시트에는 적용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 들어 대전 방지제로서,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체인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가 제안되어 있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사용한 점착 시트로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층과 기재층과의 적층체를 2층 공압출에 의해 준비하고, 상기 적층체의 기재층측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시트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점착제층을 도포에 의해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전 방지층의 박리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사용한 점착 시트로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기재층과 중간층과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계 점착제층을 3층 공압출해서 얻어지는 점착 시트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그러나, 기재층의 박리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1654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91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747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5921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표면의 박리성이 양호하여, 테이프의 픽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등에 적합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배면층(A)과 기재층(B)과 점착제층(C)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층(A)과 상기 점착제층(C)이 최외층인 점착 시트이며,
상기 배면층(A)의 박리력이 0.1 내지 3.5N/20mm이고,
상기 배면층(A)의 표면 저항값이 1×1014Ω/□ 미만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C)의 아크릴판에 대한, 측정 온도 23℃, 박리 속도 10m/분, 박리 각도 180도에서의 초기 점착력이 0.8 내지 7N/20mm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C)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배면층(A)이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배면층(A) 중 상기 블록 중합체의 함유 비율이 2 내지 50중량%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배면층(A)이 이형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배면층(A) 중 상기 이형제의 함유 비율이 0.1 내지 20중량%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배면층(A)의 형성 재료(a)와 상기 기재층(B)의 형성 재료(b)와 상기 점착제층(C)의 형성 재료(c)를 포함하는 형성 재료 조성물을 공압출 성형해서 일체화시켜서 얻어진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표면 보호 필름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광학 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의 박리성이 양호하여, 테이프의 픽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등에 적합한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점착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A.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배면층(A)과 기재층(B)과 점착제층(C)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층(A)과 상기 점착제층(C)이 최외층인 점착 시트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배면층(A)과 기재층(B)과 점착제층(C)만으로 형성된 3층의 적층체여도 좋고, 배면층(A)과 기재층(B)과 점착제층(C)과 다른 임의의 적어도 1층으로 형성된 4층 이상의 적층체여도 좋다.
배면층(A)은 1층만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적층체여도 좋다. 기재층(B)은 1층만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적층체여도 좋다. 점착제층(C)은 1층만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적층체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점착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점착 시트(100)는 배면층(A)(10)과 기재층(B)(20)과 점착제층(C)(3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두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공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면층(A)의 형성 재료(a)와 상기 기재층(B)의 형성 재료(b)와 상기 점착제층(C)의 형성 재료(c)를 포함하는 형성 재료 조성물을 공압출 성형해서 일체화시켜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임의의 적절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표면의 박리성이 양호하여, 테이프의 픽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한 용도로는 표면 보호 필름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용도로는 광학 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배면층(A)의 박리력이 0.1 내지 3.5N/20mm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5N/2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N/2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N/2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N/20mm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의 박리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로 인해 테이프의 픽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박리력의 측정 방법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배면층(A)의 표면 저항값이 1×1014Ω/□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1013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1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전 방지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로 인해, 마찰이나 박리시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려워, 먼지나 쓰레기의 흡인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표면 저항값의 측정 방법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측정 온도 23℃, 박리 속도 10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하에서의 점착제층(C)의 아크릴판에 대한 초기 점착력이,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7N/2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N/2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N/2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N/20mm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C)의 아크릴판에 대한 초기 점착력이 적당한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충분한 접착?용이한 박리를 모두 행하기 쉬워, 각종 용도에 널리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초기 점착력의 측정 방법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A-1. 배면층(A)>
배면층(A)은, 바람직하게는 시트 형상이나 필름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가질 뿐 아니라 가요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배면층(A)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다. 배면층(A)이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롤 형상으로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고, 박리성이 향상됨으로써 테이프의 픽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각종 가공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수지, 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 성분과 에틸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배면층(A)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배면층(A)의 수지 성분은 1종만의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배면층(A)은 1층만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적층체여도 좋다. 배면층(A)이 2층 이상의 적층체일 경우에는, 그들의 각 층은 용융 공압출에 의해 서로 접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A)은, 바람직하게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인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록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배면층(A)의 박리성이 양호하여, 테이프의 픽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중합체의 폴리올레핀의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배면층(A)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하기 위한 기능 및 배면층(A)의 박리성을 향상시켜서 테이프의 픽업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이러한 블록 중합체의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배면층(A)의 대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블록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배면층(A) 중에 상기 블록 중합체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고, 안정된 대전 방지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투명성이 높은 배면층(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수세, 건조 등의 처리를 행해도 배면층(A)의 대전 방지성의 저하가 거의 없어, 안정된 대전 방지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블록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배면층(A)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광학 부재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한 것이 된다.
블록 중합체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의 블록이란, 바람직하게는 α-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3-메틸부텐-1, 4-메틸펜텐-1, 3-메틸헥센-1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블록은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과, 바람직하게는 화학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으로는, 예를 들면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우레탄 결합, 이미드 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반복해서 교대로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이 결합함으로써 블록 중합체가 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블록의 분자 말단은,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의 분자 말단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로 변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능기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기, 수산기, 아미노기, 산 무수물기, 옥사졸린기, 에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로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기다.
폴리올레핀의 블록은, 양쪽 말단 변성된 폴리올레핀의 블록만이어도 좋고, 한쪽 말단 변성된 폴리올레핀의 블록만이어도 좋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폴리올레핀의 블록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10000이다.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의 친수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 함유 친수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로는, 예를 들어 폴레에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아민, 이들의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2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8000이다.
폴리에테르 함유 친수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디올의 세그먼트를 갖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디올의 세그먼트를 갖는 폴리에테르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디올의 세그먼트를 갖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에테르디아민의 세그먼트를 갖는 폴리에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디올 또는 폴리에테르디아민의 세그먼트를 갖는 폴리에테르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 함유 친수성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0이다.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면 비이온성 분자쇄로 이격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개의 양이온성기를 분자 내에 갖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양이온성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8000이다.
음이온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술포닐기를 갖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올 또는 폴리에테르를 필수 구성 단위로 하고, 또한 1 분자 내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개의 술포닐기를 갖는 음이온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음이온성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8000이다.
배면층(A)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을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을 감압하에 200 내지 250℃에서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배면층(A)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배면층(A)에 효과적으로 박리성이나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6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4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0 내지 30000이다.
배면층(A)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 중합체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898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48990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배면층(A)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 중합체는, 예를 들어 산요 가세이 고교사제의 「펠레스태트(PELESTAT)」 시리즈로서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요 가세이 고교사제의 「펠레스태트」 시리즈에 있어서의 300, 303, 230 등을 들 수 있다.
배면층(A) 중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체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이다. 배면층(A) 중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체의 함유 비율이 2중량% 미만이면, 배면층(A)에 효과적으로 박리성이나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배면층(A) 중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체의 함유 비율이 50중량%를 초과하면, 배면층(A)의 외관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배면층(A) 중에는, 대전 방지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함유시킬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염의 합계의 함유 비율은,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이다.
배면층(A) 중에는 박리성 향상을 위해 이형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형제로는, 예를 들어 지방산 아미드계 이형제, 실리콘계 이형제, 불소계 이형제, 장쇄 알킬계 이형제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성과 블리드 아웃에 의한 오염성의 밸런스가 보다 우수한 박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아미드계 이형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쇄 알킬계 이형제이다. 배면층(A) 중 이형제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이다.
배면층(A)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이다.
배면층(A)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충전제, 안료,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윤활제, 안티 블로킹제 등을 들 수 있다.
<A-2. 기재층(B)>
기재층(B)은, 바람직하게는 시트 형상이나 필름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가질 뿐 아니라 가요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기재층(B)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다. 기재층(B)이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롤 형상으로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어, 각종 가공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수지, 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 성분과 에틸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B)은 1층만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적층체여도 좋다. 기재층(B)이 2층 이상의 적층체일 경우에는, 그들의 각 층은 용융 공압출에 의해 서로 접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B)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충전제, 안료,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윤활제, 안티 블로킹제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B)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이다. 기재층(B)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 박리시에 기재층(B)이 쪼개지거나 찢어질 우려가 있다. 기재층(B)의 두께가 300㎛를 초과하는 경우, 기재층(B)의 스티프니스가 지나치게 커져 접착 후에 들뜸 등이 발생하기 쉬울 우려가 있다.
<A-3. 점착제층(C)>
점착제층(C)은 점착제를 구성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면, 임의의 적절한 층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점착제층(C)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점착제층(C) 중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비정질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비정질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과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엘라스토머, 점착성을 발현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사용 온도 영역에서 고무 탄성을 갖는 것이면, 임의의 적절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비정질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란, 결정 구조를 갖지 않는 비정질성을 갖는다. 비정질성을 갖는 것의 확인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n-헵탄으로의 용해성 시험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정질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n-헵탄에 10중량%의 농도로 용해시켜 그의 용해도를 측정하고, 그 때 실질적으로 완전 용해되었을 경우를 100%로 한 경우, 용해도 90% 이상이 되는 것을 비정질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1-부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이 바람직하다. α-올레핀은 1종만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이어도 좋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과 1-부텐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좁은 분자량 분포(예를 들어, 2 이하)를 나타낸다. 이러한 좁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저분자량 성분의 블리드를 방지할 수 있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9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몰%이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이러한 범위이면, 인성과 유연성과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착제층(C)을 얻을 수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1-부텐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몰%이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1-부텐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이러한 범위이면, 인성과 유연성과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착제층(C)을 얻을 수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공중합 구조로는, 임의의 적절한 공중합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 구조로는, 예를 들어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는 20000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 내지 50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0 내지 300000이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이러한 범위이면, 적절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층(C)을 얻을 수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점착제층(C)이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점착제층(C)의 점착력을 조정하기 위해 점착제층(C)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C)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점착제층(C)의 점착력을 적절하게 저하시키고, 저장 탄성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점착제층(C)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점착제층(C) 중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유 비율은, 원하는 점착력 및 저장 탄성률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함유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유 비율로는,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중량%이다.
스티렌계 수지로는,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용융 압출에 의해 필름 성형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채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란, 적어도 1종의 스티렌계 단량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사용해서 얻어지는 엘라스토머를 말한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1종만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이어도 좋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SEB) 등의 스티렌계 AB형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SBS의 수소 첨가물(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SIS의 수소 첨가물(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IBS) 등의 스티렌계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부타디엔(SBSB) 등의 스티렌계 ABAB형 테트라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BS) 등의 스티렌계 ABABA형 펜타블록 공중합체; 이들 이상의 AB 반복 단위를 갖는 스티렌계 멀티블록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등의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수소 첨가한 수소 첨가물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의 스티렌 블록 구조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중량%이다. 스티렌 블록 구조의 함유 비율이 5중량%보다 적은 경우, 점착제층(C)의 응집력 부족에 의한 점착제 잔여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스티렌 블록 구조의 함유 비율이 40중량%보다 많은 경우, 점착제층(C)이 단단해져, 조면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에틸렌-부틸렌 블록 구조를 갖는 경우, 에틸렌-부틸렌 블록 구조 중에 있어서의 부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중량%이다. 부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이러한 범위이면, 습윤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고, 조면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접착할 수 있는 점착제층(C)을 얻을 수 있다.
점착제층(C)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점착 부여제; 연화제; 노화 방지제; 올레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액상 아크릴계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지방산 아미드; 인산 에스테르;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내열 안정화제;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등의 충전제 또는 안료; 그 밖의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C)에 함유될 수 있는 다른 성분의 종류, 수 및 양은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성분의 양은, 점착제층(C)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다.
점착 부여제는 점착력의 향상에 유효하다. 점착제층(C)이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경우, 점착제층(C) 중 점착 부여제의 함유 비율은, 응집력의 저하에 의한 점착제 잔여물 발생의 방지를 고려하여, 임의의 적절한 함유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점착제층(C) 중 점착 부여제의 함유 비율은, 점착제층(C)의 수지 성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5중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이다.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계 점착 부여제, 테르펜계 점착 부여제, 로진계 점착 부여제, 페놀계 점착 부여제, 에폭시계 점착 부여제, 폴리아미드계 점착 부여제, 엘라스토머계 점착 부여제, 케톤계 점착 부여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C) 중 점착 부여제는 1종만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이어도 좋다.
탄화수소계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어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어, 크실렌 수지 등), 지방족계 환상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 ?방향족계 석유 수지(예를 들어, 스티렌-올레핀계 공중합체 등), 지방족?지환족계 석유 수지, 수소 첨가 탄화수소 수지, 쿠마론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테르펜계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어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등의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를 변성(예를 들어, 페놀 변성, 방향족 변성, 수소 첨가 변성 등)한 변성 테르펜계 수지(예를 들어, 테르펜-페놀계 수지, 스티렌 변성 테르펜계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계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로진계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어 검 로진, 우드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생 로진); 미변성 로진을 수소 첨가화, 불균화, 중합 등에 의해 변성한 변성 로진(예를 들어, 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그 밖의 화학적으로 개질된 로진 등); 기타 각종 로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페놀계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어 레졸형 또는 노볼락형의 알킬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제는 올레핀 수지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의 블렌드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연화제는 점착력의 향상에 유효하다. 점착제층(C)이 연화제를 함유하는 경우, 점착제층(C) 중 연화제의 함유 비율은 임의의 적절한 양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C) 중 연화제의 함유 비율이 너무 커지면, 고온이나 옥외 폭로시에서의 점착제 잔여물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점착제층(C) 중 연화제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연화제로는, 예를 들어 저분자량의 디엔계 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이나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한쪽 말단 또는 양쪽 말단에 OH기나 COOH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디올,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모노올,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디올,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모노올 등을 들 수 있다. 점착력의 향상을 보다 억제하기 위해서는,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이나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등의 디엔계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나 올레핀계 연화제 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구라레사제의 「쿠라프렌 LIR-200」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C) 중 연화제는 1종만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이어도 좋다.
연화제의 분자량은 임의의 적절한 양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연화제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점착제층(C)으로부터의 블리드에 의한 오염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고, 한편 연화제의 분자량이 너무 커지면, 접착력의 향상 효과가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연화제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50000이다.
점착제층(C)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이다.
점착제층(C)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스퍼터 에칭 처리 등의, 점착성의 제어나 부착 작업성 등을 목적으로 한 표면 처리를 필요에 따라 실시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C)에는, 필요에 따라 실용에 제공되기까지의 사이에 세퍼레이터 등을 임시 부착해서 보호할 수도 있다.
<<B.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배면층(A)의 형성 재료(a)와 기재층(B)의 형성 재료(b)와 점착제층(C)의 형성 재료(c)를 포함하는 형성 재료 조성물을 공압출 성형해서 일체화시켜서 얻을 수 있다.
배면층(A)의 형성 재료(a)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체가 포함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이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배면층(A)의 형성 재료(a)는, 바람직하게는 1) 이들 재료를 텀블 믹서, 리본 블렌더, 헨쉘 믹서 등의 혼합기로 드라이 블렌드해서 혼합하는 방법, 2) 이들 재료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압출기로 용융 혼합해서 펠릿화하는 방법, 3) 이들 재료의 마스터 배치를 미리 제작해 두고, 상기 마스터 배치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과 상기 혼합기로 드라이 블렌드해서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공압출 성형의 방법은, 각 층의 형성 재료에 대해서 각각 압출기 및 공압출용 다이를 사용하여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등에 준해서 행할 수 있다. 이 공압출 성형에 의해, 각 형성 재료 유래의 각 층이 일체화되어서 적층체가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제조할 때에는, 상기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화시켜서 얻어진 적층체에 전리 방사선을 조사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얻어진 적층체에는, 롤 형상으로 권취하기 전, 혹은 롤 형상으로 권취한 후에 다시 되감은 상태에서 전리 방사선을 조사해도 좋다. 전리 방사선의 조사는, 바람직하게는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한다. 전리 방사선으로는, 예를 들어 X선, γ선, 자외선, 가시광선,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조사했을 때의 반응 활성종의 생성율이 높다는 점이나, 조사 대상물에의 침투가 깊다는 점 등으로부터, 전리 방사선으로는 전자선이 바람직하다. 전자선원으로는, 예를 들어 코크로프트 월튼형, 반데그라프트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의 조사는 적층체의 편측으로부터 조사해도 좋고, 양측으로부터 조사해도 좋다. 공정의 간략화라는 점에서, 전리 방사선의 조사는 롤 형상으로 권취하기 전에 적층체를 전리 방사선 조사 장치에 유도해서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의 조사선량은, 층간 밀착성의 향상과 점착 시트의 물성 유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kGy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0kGy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kGy다. 전리 방사선의 가속 전압에 대해서는,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나 점착 시트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의 가속 전압은, 통상 50 내지 300kV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은 1회의 조사여도 좋고, 복수회(바람직하게는 2회)의 조사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시험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또한, %는 중량%를 의미한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이하의 조건으로 GPC 측정을 행하였다.
측정 장치: 도소사제, 형식 「HLC-8120GPC」
칼럼: 도소사제, TSKgel Super HZM-H/HZ4000+HZ3000+HZ2000을 직렬로 접속해서 사용하였다.
칼럼 크기: 각각, 내경 6.0mm×길이 15.0cm
칼럼 온도: 40℃
유속: 0.6mL/분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
샘플 주입량: 20μL
검출기: RI(시차 굴절계)
표준 시료: 폴리스티렌
<표면 저항값의 측정>
온도 23℃, 습도 50%RH의 분위기하에서, 저항률계(미쯔비시 가가꾸 애널리틱제, 하이레스터 UP MCP-HT450형)를 이용하고, JIS-K-6911에 준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박리력의 측정>
점착 시트를 폭 70mm, 길이 100mm의 크기로 절단한 것을 배면층이 표면이 되도록 아크릴판(미쯔비시 레이온사제, 아크릴라이트 L)에 고정하고, 피착체로 하였다. 편면 점착 테이프(닛토덴코사제, SPV-V-420)를 폭 20mm, 길이 10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상기 편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면을 상기 피착체의 배면층 상에 선압 78.5N/cm, 속도 0.3m/분으로 피착체에 부착하였다. 이를 23℃, 50%RH의 환경하에 30분간 방치한 후, 동일한 환경하에서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해서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편면 점착 테이프를, 박리 속도 10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으로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3개의 샘플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박리력으로 하였다.
<초기 점착력의 측정>
롤 형상으로 권회한 점착 시트를 5층 되감고, 외측의 테이프를 잘라낸 후, 상기 점착 시트를 길이 300mm, 폭 20mm로 풀어내어 시험 시료로 하였다.
피착체로서 아크릴판(미쯔비시 레이온사제, 아크릴라이트 L)을 사용하고, 선압 78.5N/cm, 속도 0.3m/분으로 피착체에 부착하고, 이를 23℃, 습도 50%RH의 분위기하에 3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동일한 분위기하에서 만능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꾸쇼제 오토그래프 AG-IS)를 사용하여, 박리 속도 10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으로 피착체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3개의 샘플을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초기 점착력으로 하였다.
〔제조예 1〕: 박리제의 제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구라레사제, 상품명 「에발 E-171B」, 에틸렌 구조 단위: 44몰%) 100중량부와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호도가야 가가꾸 고교사제, 상품명 「밀리오네이트 O」) 310중량부를 톨루엔 2000중량부에 분산하고, 2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도중에 환류 장치로부터 수분을 분리 제거하였다. 그 후, 40℃까지 냉각하고 디메틸술폭시드를 300중량부 가하고,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수산기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비가 0.7이 되도록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호도가야 가가꾸 고교사제, 상품명 「밀리오네이트 O」)를 교반하면서 적하하고, 12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 사이에, 계 중 잔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적외 분광 광도계로 정량(2260cm-1 부근)하고, 그 잔존분이 소실된 시점을 종점으로 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340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반응액을 분액하였다. 톨루엔층인 반응액을 110℃에서 1시간 동안 공비 탈수한 후, 이 반응액을 밀폐형 가압 여과기(도요 세이사꾸쇼제, 멸균 여과기)를 사용하여 30℃에서 가압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5000중량부의 메탄올 중에 주입하고, 백색 침전물을 석출시켰다. 이 침전물을 여과 분리한 후, 메탄올로 세정하고, 원심 분리하고 건조 분쇄하여 원하는 박리제 363중량부를 얻었다.
얻어진 박리제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합계 함량은 0.4중량%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은 1.13×105였다. 또한, 박리제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합계 함량(중량%) 및 박리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다.
박리제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합계 함량은, GPC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장치는 도소사제 「TSKgel」(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온도: 40℃, 유량: 0.6ml/분, 농도: 1.0mg/ml, 칼럼: super HZM-H/HZ4000/HZ3000/HZ2000, 검출기: RI(장치 내장))을 사용하고, 얻어진 분자량 분포도에 있어서, 전체 피크 면적에 대한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이 3.0×103 부근에 있는 피크 밸리(valley)(극소값) 이하의 성분의 피크 면적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으로 하였다.
또한, 박리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기 박리제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합계 함량과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분자량 분포도에 있어서,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이 3.0×103 부근에 있는 피크 밸리(극소값)보다도 고분자량의 성분에 관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실시예 1〕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닛본 폴리에틸렌제, 노바텍 LV440, d=0.936, MFR=2.0)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닛본 폴리에틸렌제, 노바텍 LC720, d=0.922, MFR=9.4)와, 펠레스태트 230(산요 가세이제, MFR=12)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배합 비율로 2축 압출기(L/D=51.5, 압출기 온도 180 내지 200℃, 스크류 회전수 100rpm)로 압출한 후, 수욕에서 냉각 후에 펠릿화를 행하고, 얻어진 펠릿을 배면층의 형성 재료로 하였다.
폴리에틸렌(도소제, 페트로센 186R)을 기재층의 형성 재료로 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점착 수지(스미또모 가가꾸사제, 터프셀렌 H5002)를 점착제층의 형성 재료로 하였다.
상기한 각 형성 재료를 3종 3층 인플레이션 성형법(블로우비 2.0, 인출 속도 10m/분)에 의해 다이스 온도 180℃에서 공압출하고,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1)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2)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3)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4)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5)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6)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C1)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C2)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C3)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C4)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C5)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박리제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펠레스태트 230과 계면활성제형 대전 방지제(카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일레스트마스터 LL-10)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배면층/기재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C6)를 얻었다.
배면층의 두께는 3㎛, 기재층의 두께는 30㎛, 점착제층의 두께는 5㎛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점착 시트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시인성을 필요로 하는 광학 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00 점착 시트
10 배면층(A)
20 기재층(B)
30 점착제층(C)

Claims (10)

  1. 배면층(A)과 기재층(B)과 점착제층(C)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층(A)과 상기 점착제층(C)이 최외층인 점착 시트이며,
    상기 배면층(A)의 박리력이 0.1 내지 3.5N/20mm이고,
    상기 배면층(A)의 표면 저항값이 1×1014Ω/□ 미만인,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C)의 아크릴판에 대한, 측정 온도 23℃, 박리 속도 10m/분, 박리 각도 180도에서의 초기 점착력이 0.8 내지 7N/20mm인,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C)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A)이 폴리올레핀의 블록과 친수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A) 중 상기 블록 중합체의 함유 비율이 2 내지 50중량%인, 점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A)이 이형제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A) 중 상기 이형제의 함유 비율이 0.1 내지 20중량%인, 점착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A)의 형성 재료(a)와 상기 기재층(B)의 형성 재료(b)와 상기 점착제층(C)의 형성 재료(c)를 포함하는 형성 재료 조성물을 공압출 성형해서 일체화시켜서 얻어지는, 점착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보호 필름인, 점착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광학 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인, 점착 시트.
KR1020120064101A 2011-06-17 2012-06-15 점착 시트 KR201201395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5081A JP5883583B2 (ja) 2011-06-17 2011-06-17 粘着シート
JPJP-P-2011-135081 2011-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577A true KR20120139577A (ko) 2012-12-27

Family

ID=4631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101A KR20120139577A (ko) 2011-06-17 2012-06-15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321885A1 (ko)
EP (1) EP2537904A1 (ko)
JP (1) JP5883583B2 (ko)
KR (1) KR20120139577A (ko)
CN (1) CN102827552A (ko)
TW (1) TW2013075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0627B2 (en) 2013-09-24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3582B2 (ja) * 2011-06-17 2016-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883584B2 (ja) * 2011-06-17 2016-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14173027A (ja) * 2013-03-11 2014-09-22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JP6198445B2 (ja) * 2013-04-26 2017-09-20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PT3323866T (pt) * 2016-11-22 2019-08-21 Henkel Ag & Co Kgaa Adesivo extrudável sensível a pressão, à base de polímero de polibuteno-1 e um copolímero de estireno, adequado para embalagens refechávei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806A (en) * 1979-07-05 1983-04-12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process
JPH09165460A (ja) 1995-12-14 1997-06-24 Hitachi Chem Co Ltd 帯電防止処理方法
JP3488163B2 (ja) 1999-02-10 2004-01-1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ブロックポリマー及びこれからなる帯電防止剤
JP4722250B2 (ja) * 2000-03-30 2011-07-13 日東電工株式会社 標示用粘着テープ
JP4011407B2 (ja) 2001-05-28 2007-11-2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分岐骨格を持つブロックポリマー及びこれからなる帯電防止剤
JP2005023103A (ja) * 2003-06-30 2005-01-27 Sumika Plastech Co Ltd 粘着テープ
JP4866027B2 (ja) 2005-07-04 2012-02-01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光学用保護フィルム
JP5863157B2 (ja) * 2006-12-18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08208173A (ja) * 2007-02-23 2008-09-1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DE102007022727A1 (de) * 2007-02-27 2008-08-28 Tesa Ag Oberflächenschutzfolie mit niedriger Abrollkraft
JP2009275209A (ja) * 2008-04-14 2009-11-26 Nitto Denko Corp 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596299B2 (ja) * 2008-04-15 2014-09-2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4943372B2 (ja) * 2008-04-25 2012-05-30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300310B2 (ja) * 2008-04-25 2013-09-25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0059218A (ja) * 2008-09-01 2010-03-18 Sekisui Chem Co Ltd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5883584B2 (ja) * 2011-06-17 2016-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883582B2 (ja) * 2011-06-17 2016-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0627B2 (en) 2013-09-24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7904A1 (en) 2012-12-26
TW201307518A (zh) 2013-02-16
CN102827552A (zh) 2012-12-19
JP5883583B2 (ja) 2016-03-15
JP2013001829A (ja) 2013-01-07
US20120321885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9575A (ko) 점착 시트
KR20120139576A (ko) 점착 시트
JP5932463B2 (ja) 粘着テープ
JP5483713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20139577A (ko) 점착 시트
KR20140048957A (ko) 점착 시트
JP2009275209A (ja) 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96350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3029374B2 (ja) 積層フィルム
JP2011213752A (ja) 粘着テープ
JP567439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3227372A (ja) 粘着テープ
JP2003119441A (ja) メッキ用マスキングテープ
JP200830855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3121847A1 (ja) 表面保護シート
WO2019203003A1 (ja) 積層フィルム
JP2022167401A (ja) バックグラインド工程用フィルム
JP2023053783A (ja) バックグラインド工程用フィルム及び粘着層付バックグラインド工程用フィルム
JP2022177504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化粧フィルム、および化粧用粘着フィルム
JP2023146177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および半導体製造工程用粘着フィルム
JP2013189006A (ja) 表面保護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