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667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667A
KR20120138667A KR1020120062588A KR20120062588A KR20120138667A KR 20120138667 A KR20120138667 A KR 20120138667A KR 1020120062588 A KR1020120062588 A KR 1020120062588A KR 20120062588 A KR20120062588 A KR 20120062588A KR 20120138667 A KR20120138667 A KR 20120138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display
optical shutters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229B1 (ko
Inventor
준 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2013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7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left-right translational head movements, i.e. lateral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의 증가의 억제 또는 표시 품질의 저하의 억제를 도모하는 것이다.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학 셔터 각각에서, 한 쌍의 전극(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의 전압에 따라 광학 셔터를 투광 상태로 할지 차광 상태로 할지를 선택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시차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3차원 표시가 요구되는 영역에만 시차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자 등이 표시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시차 배리어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문자가 흐릿하게 되는 것 등으로 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3차원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대형 표시 장치에서 휴대 전화 등의 소형 표시 장치에 이르기까지 표시 장치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는, 부가 가치가 더 높은 제품이 요구되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근년에 들어, 현장감을 더 느낄 수 있는 화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3차원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3차원 표시를 행하는 표시 방식으로서는, 왼쪽 눈으로 보는 화상과 오른쪽 눈으로 보는 화상을 분리하기 위한 안경을 사용하는 방식(화상 분리 방식이라고도 함)과, 표시부에서 왼쪽 눈으로 보는 화상과 오른쪽 눈으로 보는 화상을 분리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여 안경 없이 3차원 표시할 수 있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무안경 방식에 의한 3차원 표시는 안경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이 뛰어나다. 무안경 방식에 의한 3차원 표시는 휴대 전화나 휴대형 게임기 등으로 보급되고 있다.
무안경 방식에 의한 3차원 표시로서는, 표시부에 시차 배리어를 추가하는, 소위 시차 배리어 방식(parallax barrier method라고도 함)이 알려져 있다. 시차 배리어 방식에서의 시차 배리어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차광부이며, 3차원 표시로부터 2차원 표시로 전환하였을 때 해상도가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시차 배리어 방식으로는 2차원 표시와 3차원 표시를 전환하는 경우에 패터닝된 투명 전극을 갖는 액정 패널을 사용하고, 상기 투명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액정층에 의한 투광 또는 차광을 제어하여, 시차 배리어의 유무를 전환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5-258013호 공보
시차 배리어는 표시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차광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표시 휘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는, 상기 시차 배리어가 형성된 상태에서 표시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휘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문자 등이 표시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시차 배리어가 형성되는 것으로 인하여 상기 문자가 흐릿하게 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3차원 표시에 따른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3차원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사용하여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표시면측에 제공되고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학 셔터 각각에서 광을 투과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셔터부를 갖고, 셔터부는, 인가 전압에 따라 배향이 제어되는 액정과,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투광 신호 또는 차광 신호가 입력되는 복수의 제 1 전극과,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투광 신호 또는 차광 신호가 입력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을 갖고, 광학 셔터는, 액정의 일부와, 복수의 제 1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일부와, 복수의 제 2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갖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투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광학 셔터가 투광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에 차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광학 셔터가 차광 상태가 되는 표시 장치이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차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광학 셔터가 차광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에 투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광학 셔터가 투광 상태가 되는 표시 장치도 본 발명의 일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에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학 셔터 각각에서 한 쌍의 전극(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의 전압에 따라 광학 셔터를 투광 상태로 할지 차광 상태로 할지를 선택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시차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3차원 표시가 요구되는 영역에만 시차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자 등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시차 배리어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문자가 흐릿하게 되는 등으로 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셔터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c는 셔터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셔터부에 형성되는 시차 배리어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3a 및 도 3b는 복수의 전극에 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복수의 전극에 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표시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의 구성예〉
도 1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표시부(10)와 셔터부(20)를 갖는다. 또한, 표시부(10)에는 복수의 화소(100)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셔터부(20)에는 복수의 광학 셔터(200)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1a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부(10)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100)를 사용하여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의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셔터부(20)에서 시차 배리어를 형성함으로써 3차원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셔터(200)의 폭이 화소(100)의 폭보다 좁은 구성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형성되는 시차 배리어의 자유도가 형상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성은, 상기 표시 장치에 시인자(視認者) 탐지 센서를 제공하고, 시인자의 위치에 따라 시차 배리어를 형성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1a에 도시한 표시부(10)로서는, 액정의 배향을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패널 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유기 EL이라고도 함)를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패널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b는, 셔터부(20)의 일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c는 도 1b의 A1-A2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한 셔터부(20)는, 기판(204) 위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전극(201A) 내지 전극(201D))과, 기판(205) 위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전극(203A) 내지 전극(203C))과, 기판(204) 및 기판(205) 사이에 협지(挾持)된 액정(202)을 갖는다. 그리고,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한 셔터부(20)에서는, 기판(204) 위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전극(201A) 내지 전극(201D)) 중 어느 하나의 일부와, 기판(205) 위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전극(203A) 내지 전극(203C)) 중 어느 하나의 일부와, 그들에 협지된 액정(202)의 일부로 광학 셔터(200)가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전극(전극(201A) 내지 전극(201D)) 및 복수의 전극(전극(203A) 내지 전극(203C))은, 투광성을 갖는 도전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산화실리콘을 포함한 산화인듐주석, 산화인듐주석, 산화아연, 산화인듐아연, 또는 갈륨을 첨가한 산화아연 등을 사용하여, 복수의 전극(전극(201A) 내지 전극(201D)) 및 복수의 전극(전극(203A) 내지 전극(203C))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액정(202)은, 공지의 액정 재료를 자유롭게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액정(202)의 배향도 공지의 배향형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VA(Vertical Alignment)형,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셔터부(20)는 상기 배향형에 따라, 배향막 또는 편향 필터 등을 더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기판(204) 및 기판(205)은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기판(204) 및 기판(205)으로서 유리 기판 또는 석영 기판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한 셔터부(20)에서는, 기판(204) 위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전극(201A) 내지 전극(201D)) 및 기판(205) 위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전극(203A) 내지 전극(203C))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투광 신호 또는 차광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광학 셔터(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극 각각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액정의 배향을 제어함으로써, 광학 셔터(200)를 투광 상태로 할지 차광 상태로 할지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복수의 전극(전극(201A) 내지 전극(201D)) 중 어느 하나에 투광 신호가 입력되고, 또 복수의 전극(전극(203A) 내지 전극(203C)) 중 어느 하나에 투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그들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학 셔터(200)가 투광 상태가 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그 외 경우(광학 셔터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한쪽에 차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광학 셔터(200)가 차광 상태가 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기판(204) 위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전극(201A) 내지 전극(201D)) 각각에 대한 신호 및 기판(205) 위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전극(203A) 내지 전극(203C)) 각각에 대한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셔터부(20)에 원하는 형상의 시차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셔터부(20)에 형성되는 시차 배리어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서, 백색의 광학 셔터(200)는 투광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흑색의 광학 셔터(200)는 차광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도 2a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학 셔터(200)가 모두 투광 상태가 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상태는, 표시부(10)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100) 모두를 사용하여 2차원 표시를 행할 때의 상태이다.
또한, 도 2b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시차 배리어가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학 셔터(200) 중, 일부의 열에 포함된 복수의 광학 셔터(200)가 모두 투광 상태가 되고, 나머지 열에 포함된 광학 셔터(200)가 모두 차광 상태가 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b에 도시한 상태는, 표시부(10)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100) 모두를 사용하여 3차원 표시를 행할 때의 상태이다.
또한, 도 2c는, 부분적으로 시차 배리어가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학 셔터(200) 중, 일부의 열에 포함된 복수의 광학 셔터(200)가 모두 투광 상태가 되고, 나머지 열에 포함된 복수의 광학 셔터(200)의 일부가 투광 상태가 되고, 또 나머지 부분이 차광 상태가 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c에 도시한 상태는, 표시부(10)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100)의 일부를 사용하여 2차원 표시를 행하고, 나머지 부분을 사용하여 3차원 표시를 행할 때의 상태이다.
상술한 표시 장치에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학 셔터 각각에서, 한 쌍의 전극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광학 셔터를 투광 상태로 할지 차광 상태로 할지를 선택한다. 즉, 상기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시차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표시 장치에서는, 3차원 표시가 요구되는 영역에만 시차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자 등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시차 배리어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문자가 흐릿하게 되는 등으로 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표시 장치가 갖는 셔터부(20)로서, 광학 셔터(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극 중 양쪽 모두에 차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광학 셔터(200)가 차광 상태가 되고, 광학 셔터(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한쪽에 투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광학 셔터(200)가 투광 상태가 되는 셔터부(20)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표시 장치가 갖는 셔터부(20)로서, 광학 셔터(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극 중 양쪽 모두가 동일 기판 위에 형성되는 구성의 셔터부(20)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4b는, 셔터부(20)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에 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구동 회로(30)는 셔터부(20)의 외부에 제공된다. 그리고, 구동 회로(30)는, 접속 단자(31)를 통하여 셔터부(2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구동 회로(30)는, 단결정 실리콘 기판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한 구동 회로(32A), 구동 회로(32B)는 셔터부(20)에 내장된다. 그리고, 구동 회로(32A), 구동 회로(32B)는 외부 회로(3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셔터부(2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 각각에 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구동 회로(32A), 구동 회로(32B)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한 구성은 도 3b에 도시한 구성과 비교하여, 표시 장치 전체로서의 제조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구성은 도 3a에 도시한 구성과 비교하여, 셔터부(20)에 포함되는 전극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셔터부(20)에 포함되는 전극의 개수와 동일 개수의 접속 단자(31)가 필요하다. 따라서, 셔터부(20)에 배치될 수 있는 접속 단자의 개수가 셔터부(20)에 포함되는 전극의 최대 개수가 된다. 이에 대하여, 도 3b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배치될 수 있는 접속 단자의 개수에 제약을 받지 않고, 상기 전극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셔터부(20)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미세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셔터부(20)에 형성되는 시차 배리어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한 구동 회로(30)는, 셔터부(20)의 외부에 제공된다. 그리고, 구동 회로(30)는, 스위치(206)를 통하여 셔터부(2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에 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바꿔 말하면, 도 4a에 도시한 구성은, 도 3a에 도시한 구성에서 복수의 전극 각각과 구동 회로(30) 사이에 스위치(206)가 제공된 구성이다.
도 4b에 도시한 구동 회로(32A), 구동 회로(32B)는 셔터부(20)에 내장된다. 그리고, 구동 회로(32A), 구동 회로(32B)는 외부 회로(3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셔터부(20)에 포함된 전극 각각에 대하여 스위치(206)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바꿔 말하면, 도 4b에 도시한 구성은, 도 3b에 도시한 구성에서 복수의 전극 각각과 구동 회로(32A), 구동 회로(32B) 사이에 스위치(206)가 제공된 구성이다. 도 4b에 도시한 구성의 경우, 구동 회로(32A), 구동 회로(32B)를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스위치(206)로서 적용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한 구동 회로(32A), 구동 회로(32B)를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도 4a에 도시한 스위치(206), 및 도 4b에 도시한 구동 회로(32A), 구동 회로(32B)를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스위치(206)로서는,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 등의 주기율표 제 14족 원소를 주된 구성 원소로 하는 반도체층, 또는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산화물(이하, 산화물 반도체라고도 함)을 재료로 하는 반도체층(이하, 산화물 반도체층이라고도 함)에 채널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는, 밴드 갭이 넓고, 또 진성 캐리어 밀도가 낮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층에 채널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에서는, 오프 전류를 매우 낮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a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서 동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부(10)에서는 동화상 표시를 행하기 위하여 정상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요구되지만, 셔터부(20)에는 3차원 표시 및 2차원 표시의 전환에 따라 정기적으로 또는 부정기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셔터부(20)를 구동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기간은, 셔터부(20)에 형성되는 시차 배리어의 형상이 유지되는 기간과 비교하여 현저히 짧다. 그래서, 셔터부(20)에 형성되는 시차 배리어의 형상이 유지되는 기간에서는, 셔터부(2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에 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회로에 대한 전원 전압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만, 구동 회로에 대한 전원 전압의 공급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전극 각각에서의 전압이 변동되어 시차 배리어의 형상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셔터부(20)의 스위치(206)로서 산화물 반도체층에 채널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오프 전류가 매우 낮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적용하는 구성인 경우, 구동 회로에 대한 전원 전압의 공급을 정지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전극 각각에서의 전위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시차 배리어를 형성할 때 또는 시차 배리어의 형상을 변경할 때의 전후의 기간에만 구동 회로에 대하여 전원 전압을 공급하고, 그 외 기간에서 구동 회로에 대하여 전원 전압을 공급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차 배리어의 형상이 유지되는 기간이 장기간에 걸치는 경우에는, 정기적 또는 임시적으로 구동 회로에 대하여 전원 전압을 공급하고, 복수의 전극에 대하여 동일 형상의 시차 배리어를 형성(기설의 시차 배리어를 유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서는, 휴대 전화, 휴대형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전자 서적,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휴대형 게임기로서, 하우징(5001), 하우징(5002), 표시부(5003), 표시부(5004), 마이크로폰(5005), 스피커(5006), 조작 키(5007), 스타일러스(5008)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5003) 또는 표시부(5004)에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5003) 또는 표시부(5004)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편리성이 뛰어난 3차원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는 휴대형 게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는 2개의 표시부(5003) 및 표시부(5004)를 갖고 있지만, 휴대형 게임기가 갖는 표시부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b는 휴대 정보 단말기이며, 하우징(5401), 표시부(5402), 조작 키(5403)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5402)에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540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편리성이 뛰어난 3차원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10: 표시부
20: 셔터부
30: 구동 회로
31: 접속 단자
32A: 구동 회로
32B: 구동 회로
33: 외부 회로
100: 화소
200: 광학 셔터
201A: 전극
201B: 전극
201C: 전극
201D: 전극
202: 액정
203A: 전극
203B: 전극
203C: 전극
204: 기판
205: 기판
206: 스위치
5001: 하우징
5002: 하우징
5003: 표시부
5004: 표시부
5005: 마이크로폰
5006: 스피커
5007: 조작 키
5008: 스타일러스
5401: 하우징
5402: 표시부
5403: 조작 키

Claims (17)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와;
    구동 회로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 위에 제공되고, 복수의 광학 셔터를 포함한 셔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 각각은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는 상기 구동 회로와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 중 하나의 상기 제 1 전극 사이에 제공되고,
    제 1 차광 신호가 상기 제 1 전극에 입력되거나 또는 제 2 차광 신호가 상기 제 2 전극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 각각은 차광 상태가 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의 폭 및 상기 제 2 전극의 폭은 상기 복수의 화소 중 하나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이 제공된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전극이 제공된 제 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한,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기판 위에 제공된,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셔터부에 포함된,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은, 채널이 산화물 반도체층에 형성된 트랜지스터인, 표시 장치.
  7.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와;
    구동 회로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 위에 제공되고, 복수의 광학 셔터를 포함한 셔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 각각은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는 상기 구동 회로와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 중 하나의 상기 제 1 전극 사이에 제공되고,
    제 1 차광 신호가 상기 제 1 전극에 입력되고 제 2 차광 신호가 상기 제 2 전극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 각각은 차광 상태가 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의 폭 및 상기 제 2 전극의 폭은 상기 복수의 화소 중 하나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이 제공된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전극이 제공된 제 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한, 표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기판 위에 제공된,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셔터부에 포함된, 표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은, 채널이 산화물 반도체층에 형성된 트랜지스터인, 표시 장치.
  13.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 위에 제공되고 복수의 광학 셔터를 포함한 셔터부, 구동 회로, 및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 각각은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는 상기 구동 회로와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 중 하나의 상기 제 1 전극 사이, 또는 상기 구동 회로와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 중 하나의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구동 방법은,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단계와;
    상기 셔터부에 시차 배리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차광 신호를 상기 제 1 전극에 입력하고 제 2 차광 신호를 상기 제 2 전극에 입력하여 상기 제 1 차광 신호 및 상기 제 2 차광 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광학 셔터를 차광 상태로 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오프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오프로 하는 단계 후, 상기 시차 배리어가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배리어는 상기 셔터부의 일부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은 채널이 산화물 반도체층에 형성된 트랜지스터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셔터부의 외부에 제공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기판 위에 제공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20062588A 2011-06-15 2012-06-1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23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3333 2011-06-15
JPJP-P-2011-133333 2011-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667A true KR20120138667A (ko) 2012-12-26
KR101923229B1 KR101923229B1 (ko) 2019-02-27

Family

ID=4735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588A KR101923229B1 (ko) 2011-06-15 2012-06-1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24927B2 (ko)
JP (1) JP5871389B2 (ko)
KR (1) KR101923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8050B2 (ja) 2011-07-15 2017-08-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6277544B2 (ja) * 2013-02-27 2018-02-14 Tianma Japan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端末装置
US9967546B2 (en) 2013-10-29 2018-05-08 Vefx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2D-images and videos to 3D for consumer, commercial and professional applications
US20150116458A1 (en) 2013-10-30 2015-04-30 Barkatech Consult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nhanced 3d-effects for real-time and offline appplications
US10158847B2 (en) 2014-06-19 2018-12-18 Vefxi Corporation Real—time stereo 3D and autostereoscopic 3D video and image editing
KR20160149332A (ko) * 2015-06-17 2016-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05425405B (zh) * 2015-12-09 2019-02-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3d显示面板组件、3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8469682A (zh) * 2018-03-30 2018-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三维显示装置及其三维显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013A (ja) 2004-03-11 2005-09-22 Sharp Corp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US20100177170A1 (en) * 2006-03-31 2010-07-15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allows viewing of three-dimensional image from directions
US7839356B2 (en) * 2005-02-23 2010-11-23 Pixtronix, Incorporated Display methods and apparatus
US20110115839A1 (en) * 2009-11-13 2011-05-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3906A (en) 1952-02-04 1959-04-28 Rehorn Miles Parker Stereoscopic system and apparatus
US3191493A (en) 1963-01-07 1965-06-29 Mainardi Pompey Stereoscopic image-projecting system and method for alignment of images
US3586592A (en) 1968-01-15 1971-06-22 Leo Cahn Three dimensional picture
JPS4827695B1 (ko) 1968-03-21 1973-08-24
US4872750A (en) 1982-07-14 1989-10-10 Nec Home Electronics Ltd. Image projection apparatus
GB8623490D0 (en) 1986-09-30 1986-11-05 Bass M L Display means for stereoscopic images
JP2620240B2 (ja) 1987-06-10 1997-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GB8716369D0 (en) 1987-07-10 1987-08-19 Travis A R L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JPH07101259B2 (ja) 1988-05-10 1995-11-01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US4945407A (en) 1989-05-12 1990-07-31 Winnek Douglas Fredwill High definition, three-dimensional television
US5162897A (en) 1989-08-02 1992-11-10 Hitachi, Ltd. Projection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US5113285A (en) 1990-09-28 1992-05-12 Honeywell Inc. Full color three-dimensional flat panel display
GB9027881D0 (en) 1990-12-21 1991-02-13 Delta System Design Ltd Improvements in 3d imaging systems
US5475514A (en) 1990-12-31 1995-12-12 Kopin Corporation Transferred single crystal arrayed devices including a light shield for projection displays
JPH05122733A (ja) 1991-10-28 1993-05-18 Nippon Hoso Kyokai <Nhk> 3次元画像表示装置
GB9124444D0 (en) 1991-11-18 1992-01-08 Black Box Vision Limited Display device
US5239372A (en) 1991-12-31 1993-08-24 Stereographics Corporation Stereoscopic video projection system
US5410345A (en) 1992-09-09 1995-04-25 Dimension Technologies, Inc. Stroboscopic illumination system for video displays
GB2272555A (en) 1992-11-11 1994-05-18 Sharp Kk Stereoscopic display using a light modulator
US6188518B1 (en) 1993-01-22 2001-02-13 Donald Lewis Maunsell Marti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roducing three-dimensional imagery
GB2278223A (en) 1993-05-21 1994-11-23 Sharp Kk Spatial light modulator and directional display
GB2278480A (en) 1993-05-25 1994-11-30 Sharp Kk Optical apparatus
US5493427A (en) 1993-05-25 1996-02-20 Sharp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display unit with a variable lens
US5777700A (en) 1993-07-14 1998-07-07 Ne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viewing angle dependence
JP3268586B2 (ja) 1993-09-24 2002-03-25 富士通株式会社 立体映像の表示装置と撮影記録装置
US5883739A (en) 1993-10-04 1999-03-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EP0656555B1 (en) 1993-12-01 2003-03-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for 3D images
JP2951202B2 (ja) 1994-02-23 1999-09-20 三洋電機株式会社 メガネ無し立体表示装置
US5640273A (en) 1994-03-28 1997-06-17 Sanyo Electric Co., Ltd. Three-dimensional display panel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using the same
JP2919759B2 (ja) 1994-05-18 1999-07-19 三洋電機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る立体表示装置
JPH08240790A (ja) 1994-12-16 1996-09-17 Sharp Corp 自動立体表示装置および空間光変調器
GB2296617A (en) 1994-12-29 1996-07-03 Sharp Kk Observer tracking autosteroscopic display
GB9513658D0 (en) 1995-07-05 1995-09-06 Philips Electronics Uk Ltd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6377230B1 (en) 1995-10-05 2002-04-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hree dimensional display unit and display method
JP3229824B2 (ja) 1995-11-15 2001-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EP2309482A3 (en) 1998-10-30 2013-04-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ield sequanti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head mounted display
US6597348B1 (en) 1998-12-28 2003-07-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US7145536B1 (en) 1999-03-26 2006-12-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519251B2 (ja) * 1999-10-13 2010-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882012B2 (en) 2000-02-28 2005-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518552B (en) 2000-08-18 2003-01-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ha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385579B2 (en) 2000-09-29 2008-06-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3259395A (ja) 2002-03-06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立体表示方法及び立体表示装置
JP2004077567A (ja) 2002-08-09 2004-03-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7193593B2 (en) 2002-09-02 2007-03-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4094058A (ja) 2002-09-02 2004-03-2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4294914A (ja) 2003-03-27 2004-10-21 Sanyo Electric Co Ltd 立体映像表示装置
TWI368774B (en) 2003-07-14 2012-07-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emitting device
US7158278B2 (en) * 2004-04-12 2007-01-02 Alexander Kastalsky Display device based on bistable electrostatic shutter
CN101714323B (zh) 2004-04-22 2012-12-0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装置及其驱动方法
JP4331134B2 (ja) * 2005-03-25 2009-09-16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7145158A (ja) * 2005-11-28 2007-06-14 Fujitsu Ten Ltd 車載用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07219510A (ja) * 2006-02-13 2007-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US8154493B2 (en) 2006-06-02 2012-04-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106865B2 (en) 2006-06-02 2012-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GB2457692A (en) 2008-02-21 2009-08-26 Sharp Kk A display device with a plurality of viewing modes
CN102077331B (zh) 2008-06-27 2014-05-07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薄膜晶体管
JP5345359B2 (ja) 2008-09-18 2013-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薄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0128306A (ja) 2008-11-28 2010-06-1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5590868B2 (ja) 2008-12-11 2014-09-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5100670B2 (ja) 2009-01-21 2012-12-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タッチパネル、電子機器
JP2010251156A (ja) 2009-04-16 2010-11-04 Panasonic Corp カラー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63250B2 (ja) 2009-06-30 2014-07-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11059589A (ja) * 2009-09-14 2011-03-2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表示装置、携帯情報端末、携帯情報端末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1069869A (ja) 2009-09-24 2011-04-07 Casio Computer Co Ltd 表示装置、及び画像制御方法
WO2011122299A1 (en) 2010-03-31 2011-10-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013A (ja) 2004-03-11 2005-09-22 Sharp Corp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US7839356B2 (en) * 2005-02-23 2010-11-23 Pixtronix, Incorporated Display methods and apparatus
US20100177170A1 (en) * 2006-03-31 2010-07-15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allows viewing of three-dimensional image from directions
US20110115839A1 (en) * 2009-11-13 2011-05-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0011A1 (en) 2012-12-20
US9024927B2 (en) 2015-05-05
KR101923229B1 (ko) 2019-02-27
JP2013020247A (ja) 2013-01-31
JP5871389B2 (ja)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229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03609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045070B2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JP2014512560A (ja) 多時点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
US902509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optical device
US8933924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unit
KR102134904B1 (ko) 3차원 표시 장치 및 3차원 표시 장치용 액정 렌즈부
JP5942129B2 (ja) 表示装置
US20130050284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unit
US9451246B2 (en) Display device
JP2015001614A (ja) 表示装置
US9338444B2 (en) Display device
KR102081328B1 (ko) 3차원 표시 장치 및 3차원 표시 장치용 전환부
US8803763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267959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30100375A1 (en) Display device, spacer,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139746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2014228852A (ja) 表示装置
KR101675845B1 (ko) 액티브 리타더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
US20130286005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of
KR10197438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29998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JP2016099481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