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909A -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가지는 신발 - Google Patents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가지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909A
KR20120129909A KR1020127021396A KR20127021396A KR20120129909A KR 20120129909 A KR20120129909 A KR 20120129909A KR 1020127021396 A KR1020127021396 A KR 1020127021396A KR 20127021396 A KR20127021396 A KR 20127021396A KR 20120129909 A KR20120129909 A KR 20120129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toe
foot
footbed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리시아 황 비숍
Original Assignee
펠리시아 황 비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펠리시아 황 비숍 filed Critical 펠리시아 황 비숍
Publication of KR2012012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5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6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str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적절한 보행과 건강한 발을 유도하는 건강 신발이 제공된다. 신발은 밑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발은 또한 밑창과 함께 배열되고, 풋베드 상에서 사용자의 발을 단단히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풋베드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며,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지 않거나 노출될 수 있게 하는 고정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는 고정 갑피와 밑창 사이에 배열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서 있기, 걷기, 뛰기, 수영 및 발 근육을 사용하는 다른 움직임 동안 엄지발가락에 대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가지는 신발{FOOTWEAR WITH TOE ALIGNER STRUCTURE}
관련출원과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이전 출원인 2010년 1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282,30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원에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또한 2011년 1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3/004,850호를 참조로 포함하며, 이 또한 본원에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기술분야
본 교시는 발을 생물역학적으로 올바른 위치로 정렬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건강 신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교시는 엄지발가락을 제1 중족 관절에 정렬되도록 위치시키는 한편, 발가락이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 발가락 정렬기(aligner) 구조를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신발은 또한 발이 풋베드(footbed)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구조를 포함한다. 본 신발은 적절한 보행 및 건강한 발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상체 부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현대 신발은 종종 앞심(toe box)이 너무 좁아서 착용자의 발가락이 펴지지 못하며 의도된 특성으로 작용하지 못한다. 이러한 신발은 발을 가두어 넣으며, 이것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과 발가락을 변형시키고 잘못 정렬할 수 있다. 특히, 발가락은 서로를 향한 각도로 밀어 넣어질 수 있고, 이는 선 자세이거나 또는 움직이고 있을 때 엄지발가락이 펼쳐져서 신체를 안정화하기 보다는 나머지 발가락을 향해 안쪽으로 향하도록 야기한다. 이 현상은 건강하게 정렬된 발을 잘못 정렬된 발과 각각 비교하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함으로써 관찰할 수 있다. 잘못 정렬된 발은 도 1b에서 상대적으로 큰 무지외반각(hallux valgus angle, HV)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대 신발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건막류, 족저근막염, 무지외반증, 발 뒷꿈치 통증, 골극, 티눈, 재봉사 건막류, 망치족지, 신경종, 및 아치 붕괴(collapsed arch)와 같은 발 질환을 야기하거나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의 질환은 종종 예를 들어 발목, 무릎, 고관절, 등 및 목에서 골격 및 근육의 잘못된 정렬과 같은 상체 질환에 대응한다.
건강한 발에서, 발가락은 신체 균형을 맞추고 발에 대한 압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돕기 위하여 움직이고 펼쳐진다. 이는 신체를 지탱하는 것과 함께 발의 아치, 힘줄, 뼈 및 근육이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나머지 발가락 및 발뒤꿈치에 대하여 평행추로서 작용하는 것이 엄지발가락이다. 엄지발가락, 나머지 발가락 및 발뒤꿈치는 신체를 지탱하는 발의 아치를 고정시키도록 작용한다. 예를 들어 브릿지와 같은 아치를 형성하는 임의의 구조에서와 같이, 아치는 위로부터의 엄청난 양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다. 그러나, 아치의 곡선 아래로부터 압력이 적용된다면, 아치는 쉽게 약해지고, 붕괴될 수 있다. 이 개념은 또한 발의 아치에 적용되며, 많은 사람들에 있어서 아치 서포트(arch support)의 사용이 발의 강도를 실질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는 이유이다.
아치를 고정시키는 것에 더하여, 걷거나 뛸 때 자연스러운 보행 주기(gait cycle)의 마지막에 발가락을 떼는 동안 엄지발가락의 위치는 중요하다. 엄지발가락은 걸음의 마지막에 떨어질 때 체중을 지탱한다. 엄지발가락이 적절하게 정렬되지 않는다면, 제1 중족 관절은 체중을 견디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발은 정렬에서 벗어나게 된다. 엄지발가락, 제1 중족 관절, 및 발뒤꿈치가 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은 경우의 잘못된 정렬은 도 1b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 잘못된 정렬은 엄지발가락이 나머지발가락 및 발뒤꿈치에 대하여 평행추로서 작용하지 못하게 한다. 이는 건막류, 족저근막염, 아치 붕괴, 망치족지 및 다른 질환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 신발이 야기할 수 있는 손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발가락 및 발을 가장 건강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발을 다시 정렬할 수 있는 신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신발은 서 있기, 걷기, 뛰기, 수영 시 및 발 근육을 사용하는 다른 활동 동안 발에 유리할 수 있다.
본 교시는 밑창 및 고정 갑피를 포함하는 건강 신발을 제공한다. 고정 갑피는 밑창과 함께 배열될 수 있으며, 밑창의 풋베드 상에서 사용자의 발을 단단히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풋베드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지 않거나 노출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는 고정 갑피와 밑창 사이에 배열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서 있기, 걷기, 뛰기, 수영 및 발 근육을 사용하는 다른 움직임 동안 엄지발가락에 대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본 교시는 또한 밑창 및 윤곽이 진(contoured) 풋베드를 포함하는 건강 신발을 제공한다. 윤곽이 진 풋베드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일 수 있고, 풋베드에 대해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갑피는 밑창과 함께 배열되며,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지 않거나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는 밑창과 함께 배열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서 있기, 걷기, 뛰기, 수영 및 발 근육을 사용하는 다른 움직임 동안 엄지발가락에 대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본 교시는 추가로 밑창과 고정 갑피를 포함하는 건강 신발을 제공한다. 고정 갑피는 밑창과 함께 배열되며, 밑창의 풋베드 상에서 사용자의 발을 단단히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풋베드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지 않거나 노출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는 밑창과 함께 배열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서 있기, 걷기, 뛰기, 수영 및 발 근육을 사용하는 다른 움직임 동안 엄지발가락에 대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이 부분적으로 다음의 설명 부분에서 제시될 것이며, 설명 부분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고, 또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실행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원의 설명에서 특히 지적된 요소 및 조합에 의해 다양한 실시형태의 대상 및 다른 이점이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
도 1a는 엄지발가락, 제1 중족 관절, 및 발뒤꿈치가 일직선인 건강한 발을 나타낸다;
도 1b는 상대적으로 큰 무지외반각(HV)을 가지는 잘못 정렬된 발을 나타낸다;
도 2a는 본 교시의 신발 내에 고정되고 풋베드 상의 적절한 위치에 단단하게 유지된 발을 나타낸다;
도 2b는 풋베드 상에 헐렁하게 유지되고 이에 대하여 이동하여 풋베드에 대하여 부적절한 위치에 있는 발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가죽끈과 같은 갑피를 포함하는 본 교시의 신발의 대안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도 3a 및 도 3b 신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i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 및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유형의 신발을 나타낸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글래디에이터 스타일(gladiator-style) 신발에 포함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나타낸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웨지 스타일(wedge-style) 신발에 포함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나타낸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오픈토 펌프스(open-toe pump)에 포함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나타낸다;
도 5d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커버형 글래디에이터 스타일 신발에 포함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e는 갈라진 밑창 배열을 포함하는 신발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갈라진 밑창을 가지는 신발에 배열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의 다양한 상이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8은 갈라진 밑창의 엄지발가락 측 상에 배열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포함하는 본 교시의 신발을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f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착용자의 발과 함께 발가락 정렬기 구조의 다양한 상이한 형상 및 배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의 다양한 형상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앞서 언급한 일반적인 설명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며, 본 교시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교시는 엄지발가락(10), 제1 중족 관절(20), 및 발뒤꿈치(30)를 직선으로 위치시키도록 작용하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건강 신발(100)에 관한 것이다. 도 2a는 본 교시의 신발(100) 내에 고정되고, 강한 고정 구조(60)에 의해 풋베드(80) 상에 단단하고 정확하게 유지된 발을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 발의 중앙지점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밑창에 부착되는 조절가능한 스트랩 조립체를 포함한다. 서 있기, 걷기, 뛰기 및 다른 움직임 동안, 신발(100)의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고정 구조(60)와 함께 작용하여 밑창의 풋베드(80) 상에 발을 고정시키고, 생물역학적으로 올바른 위치에 발을 정렬하는 한편, 발가락을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신발(100)의 구조는 발 근육을 활성화함으로써 적절한 보행 및 건강한 발을 유도하는 한편, 적극적이고 적절히 정렬되게 함으로써, 발을 운동시키고 강화시킨다. 이에 관하여, 본 교시의 신발(100)은 발의 엄지발가락(10)의 축과 제1 중족 관절(20) 사이에 형성된 각도인 무지외반각(HV)을 적극적으로 줄임으로써 발을 다시 정렬하도록 작용한다.
도 2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가락 정렬기 구조(50)가 엄지발가락(10)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가한 힘은 발이 풋베드(80)에서 이탈하는 원인이 될 수 있고, 따라서 발의 발뒤꿈치(30)는 풋베드(80)의 바깥 또는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하에 논의하게 되는 바와 같이, 신발(100)의 고정 구조(60)는 충분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서 서 있기, 걷기, 뛰기 및 다른 움직임 동안 풋베드(80) 상에 발을 단단히 유지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며, 그로 인해 풋베드(80)에 대해 측면 이동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을 수 있게 한다.
도 2a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고정 구조(60)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에 의해 엄지발가락(10) 상에 가해진 힘에 대하여 풋베드(80) 상에 발을 단단하게 유지하도록 배열된 고정 갑피(6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갑피(62)는 서 있기, 걷기, 뛰기 및 다른 움직임 동안 신발(100)을 신고 있을 때 풋베드(80)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이와 같이, 고정 갑피(62)는 풋베드(80) 상에 발을 유지하고 잡을 수 있는 상대적으로 강한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풋베드(80)는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고 또는 이하에 논의하는 바와 같이 윤곽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고정 갑피(62)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에 의해 가해진 모든 힘이 엄지발가락(10)을 향할 수 있도록 작용함으로써 걷고 뛰는 동안 엄지발가락(10)을 제1 중족 관절과 일직선으로 위치시킨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교시의 신발(100)의 고정 구조(60)는 측면 이동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이 밑창(70)의 풋베드(80) 상에 발을 수용하고 단단하게 유지하도록 설계된 윤곽이 진 풋베드(8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윤곽이 진 풋베드(82)는 완전히 움푹 들어간 풋베드, 움푹 들어간 뒤꿈치 컵,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승된 측벽, 망치족지 패드, 보통의 아치, 발가락 보호구 및/또는 풋베드 상에서 발을 적절하게 정렬된 상태로 계속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추가적인 구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윤곽이 진 풋베드(82)는 움푹 들어간 뒤꿈치 컵의 경우에서와 같이 발의 일부를 지탱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또는 발의 전체 바닥 부분을 지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고정 갑피(62)와 유사하게, 윤곽이 진 풋베드(82)는 풋베드(80) 상의 위치에서 발을 고정하도록 작용함으로써,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에 의해 가해진 모든 힘이 엄지발가락(10)을 향할 수 있도록 하여 엄지발가락(10)을 제1 중족 관절(20)과 일직선으로 위치시킨다.
풋베드(80) 또는 윤곽이 진 풋베드(82)는 밑창(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밑창(70)과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교시의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엄지발가락(10)을 다른 발가락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잘못 정렬된 엄지발가락 상에 가해지는 힘을 형성하도록 형상화되고 배열된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신발(100)의 밑창(70) 상에 단단하게 지지된 반강성(semi-rigid) 구조일 수 있으며, 따라서 엄지발가락(10), 또는 임의의 다른 발가락과 접촉될 때 이동되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길이, 형상, 및 밑창(70)의 풋베드(80) 상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다양한 형상은 도 7a 내지 도 7c, 도 9a 내지 도 9f 및 도 10a 내지 도 10e에 나타내어져 있지만, 나타낸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9c 및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엄지발가락(10)과 두 번째 발가락(40) 사이에서 세로로 연장될 수 있고, 엄지발가락(10)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이어질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또한 엄지발가락(10)과 두 번째 발가락(40) 사이의 주름에 신발(100) 밑창(70)의 앞 끝으로부터 이어질 수 있다(통상적으로 플립 플랍(flip flop)의 가죽 끈이 있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한편, 또한 엄지발가락(10)을 똑바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엄지발가락(10)과 두 번째 발가락(40) 사이의 주름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 방식으로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또한 일직선으로 엄지발가락(10)을 놓는 임의의 길이, 형상 또는 폭으로 엄지발가락(10)의 중간 길이를 따라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도 9e에서와 같이 엄지발가락(10)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어디에나 위치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또한 상이한 중증도의 무지외반 변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 9f에서와 같이 풋베드(80) 상에 임의의 각으로 위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더 심각한 발 변형은 발을 완전히 똑바르게 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일부 발 형태에 대해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엄지발가락(10)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서 오히려 퍼지게 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도 10d 및 도 10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엄지발가락(10) 및/또는 두 번째 발가락(40)의 안쪽의 실루엣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본 교시의 신발(100)과 같이 전체 갑피가 없는 신발 내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구현은 발의 발가락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마찰 없이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신발(100)을 신고 있을 때, 주된 접촉 지점은 엄지발가락(10)의 내부 측 표면 상에 있을 수 있는 반면, 발가락의 남은 표면은 덮여지지 않고 티눈, 물집, 내신성 발톱 등과 같은 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마찰 지점으로부터 자유롭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엄지발가락(10), 제1 중족 관절(20), 및 발뒤꿈치(30)를 정렬하면서 착용자의 엄지발가락(10)을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착용자가 서 있을 때와 자연스러운 보행 주기의 마지막에 발가락을 떼는 동안 엄지발가락(10)의 정렬 및 독립적 움직임은 착용자가 맨발로 걷고 뛰는 것을 모의할 수 있게 하므로, 상기 엄지발가락(10)의 정렬 및 독립적 움직임은 중요하다. 동시에, 고정 갑피(62) 및/또는 윤곽이 진 풋베드(82)는 안정화 요소로서 작용하여 풋베드(80) 상에서 발이 단단하게 들어간 채로 유지되게 하고, 발이 풋베드(8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본 교시 신발(100)의 설계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에 의해 가해진 힘이 엄지발가락(10)에 대하여 향할 수 있게 한다. 사용 동안, 이 힘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엄지발가락(10)과 제1 중족 관절(20) 사이에 형성된 무지외반각(HV)을 줄임으로써 발을 다시 정렬한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에 의해 엄지발가락(10)에 가해진 힘은 발 근육을 훈련시켜 과도한 아치 서포트 없이 적절히 정렬된 발을 지지한다. 이러한 재정렬은 정렬되지 않은 엄지발가락, 족저근막염, 아치 붕괴 등과 같은 현대 신발에 의해 야기된 발 질환과 관련된 통증 및 불편함을 경감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교시의 신발(100)은 서 있기, 걷기, 뛰기 및 다른 움직임 동안 적절한 정렬로 근육을 활성화시키고 운동시킴으로써 착용자가 발을 적극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는 착용자가 휴식 중일 때에만 발가락의 정렬을 증진할 수 있는 공지된 신발과는 대조적이다.
동시에, 본 교시의 신발(100) 구조는 발가락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신발(100)의 개방 특성은 티눈, 굳은살 및 건막류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는 서 있기, 뛰기, 걷기 및 다른 움직임 동안 전체 갑피에 마찰에 의하여 일어나는 문지름을 방지한다. 이는 발의 발가락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둘러싸는 주머니를 포함하는 공지된 신발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주머니는 특히 발로부터 수직 위 또는 아래로, 또는 수평으로 마찰 없이 발가락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교시의 신발(100)은 엄지발가락(100)을 제1 중족 관절(20) 및 발뒤꿈치(30)와 정렬하면서,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구부러질 수 있게 한다. 신발(100)은 건강, 회복 및 치료적 품질을 가질 수 있고, 유행대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용이하게 신고 착용자의 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신발(100)은 해변 또는 락커룸에서와 같은 습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교시 신발(100)의 특징은 신발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다른 신발 스타일로 용이하게 포함될 수 있다.
도 3a는 샌들형 신발 형태로 가죽 끈 유사 갑피를 포함하는 고정 갑피(62)를 가지는 쌍으로 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신발(100)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가죽 끈 유사 갑피(62)는 밑창(70)의 한 면으로부터 발의 중앙 발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열된 조절가능한 스트랩(66)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랩을 가질 수 있다. 가죽 끈 유사 갑피(62)의 스트랩은 서 있기, 걷기, 수영, 뛰기 및 다른 움직임 동안 발의 측면 이동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밑창(70)의 풋베드(80) 상의 위치에 발을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신발(100)의 풋베드(80)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움푹 들어가서 윤곽이 진 풋베드(82)를 형성할 수 있다. 윤곽이 진 풋베드(82)는 발에 측면 지지를 제공하여 서 있기, 걷기, 뛰기 및 다른 움직임 동안 발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윤곽이 진 풋베드(82)는 완전히 움푹 들어간 풋베드(82), 움푹 들어간 뒤꿈치 컵(84),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승된 측벽(86), 망치족지 패드, 보통의 아치(88), 부분적 발가락 보호구(94), 완전한 발가락 보호구(96) 및/또는 풋베드(80) 상에서 계속 발을 적절하게 정렬된 상태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추가적인 구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의 갑피(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된 측벽(86)은 또한 갑피(62)의 부분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발(100)의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반강성 구조의 형태일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한 쪽 단부는 가죽 끈 유사 갑피(62)의 가죽 끈 스트랩(64)의 더 낮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나머지 단부는 밑창(70)의 풋베드(80)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일 단부는 밑창(70)에 부착되고 그 반대편 단부는 고정 갑피(62)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엄지발가락(10)을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엄지발가락(10)의 길이를 따라 엄지발가락(10)과 두 번째 발가락(40) 사이의 밑창(70)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밑창(70) 및 가죽 끈 스트랩(64)에 대하여 가변적인 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착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상이한 형상, 길이, 두께 및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도 9a 내지 도 9f 및 도 10a 내지 도 10e를 참조한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고정 갑피(62)의 가죽 끈 스트랩(64)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가죽 끈 스트랩(64)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풋베드(80) 및/또는 밑창(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풋베드(80) 및/또는 밑창(70)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사출성형된 EVA, 압축성형된 EVA, 신축성 직물, 고무, 가죽, 합성 가죽 등과 같은 다양한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c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갑피(62)는 조절가능한 스트래핑을 포함할 수 있어서 신발(100)은 개개인의 요구에 맞춘 핏(fit)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조절가능한 스트래핑은 밑창(70)의 한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조절가능한 스트랩(66) 및 고정 갑피(62)의 나머지 측면에 형성된 구멍(68)을 통한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가능한 스트랩(66)은 발에 대해 조여질 수 있고 후크 및 루프형 체결구 배열(58),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과 같은 임의의 다른 체결구 배열을 통해 그 자체에 대해 다시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고정 갑피(62)는 조절가능하지 않은 고정된 스트래핑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갑피(62)는 사출성형된 EVA, 압축성형된 EVA, 신축성 직물, 고무, 가죽, 합성 가죽 등과 같은 발가락 스태빌라이저(stabilizer)(50)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신발(100)의 밑창(70)은 연질 및 가요성인 재료로 또는 사출성형된 EVA 또는 플라스틱, 고무, 가죽, 코르크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밑창(70)은 착용자의 발에 대해 보통의 아치 서포트를 제공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추가로, 밑창(70)은 추가적인 편안함을 위해 깊은 뒤꿈치 컵(84) 및 추가적인 쿠션을 구비할 수 있다. 밑창(70)은 동일 또는 상이한 재료로 된 2개 층 이상의 라미네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교시의 신발(100) 구두창(72)은 도 4e의 신발(10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양호한 그립 또는 가요성을 위한 그루브(groove) 및/또는 가닥(78)을 구비할 수 있다. 구두창(72)의 그루브 및/또는 가닥(78)은 다양한 설계를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깊이, 두께, 질감, 색상 등을 가질 수 있다. 구두창(72)은 고무, 가죽 및 합성 가죽과 같은 다양한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두창(72)은 밑창(70)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사출성형된 라텍스 EVA, 고무, 가죽 및 합성 가죽과 같은 다양한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구두창(72)은 또한 밑창(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신발(100)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1개 부품(one-piece) 단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갑피(62) 및 밑창(70)은 사출성형에 의해 1개 부품 단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발(100)의 고정 갑피(62), 발가락 정렬기 구조(50), 및 밑창(70)은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100)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구비한 압축 성형된 밑창(70) 및 개별적으로 제작된 고정 갑피(62)를 포함할 수 있다. 별개의 그루브 및/또는 가닥(78)이 밑창(70)에 추가될 수 있다. 게다가, 별개의 풋베드 층(80)이 그립 및 감촉과 같은 외관적 또는 실용적 목적을 위해 밑창(70)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신발(100)은 별개의 발가락 정렬기 구성요소(50) 및 개별적으로 제작된 고정 갑피(62)를 수용하는 슬롯이 있는 밑창(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교시의 신발(100)은 샌들과 같은 가죽끈 형 신발로 제한되지 않는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 및 고정 구조(60)는,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i, 도 5a 내지 도 5d, 도 6a 내지 도 6d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다른 유형의 신발(10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는 밑창(70)에 발가락 정렬기 구조(50) 및 발을 고정시키도록 작용하고 이동을 방지하는 정렬기뒤꿈치 캡(42)을 포함하는 신발(100)을 나타낸다.
도 4b는 밑창(70)과 조절가능한 긴 스트랩(67) 사이에서 연장되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신발(100)을 나타낸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움푹 들어간 풋베드(82)는 밑창(70)에 발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풋베드(82) 상에서 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c는 풋베드(82) 상에서 발의 측면 이동을 방지하는 상승된 측벽(86)이 있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신발(100)을 나타낸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교시의 신발(100)의 상승된 측벽(86)은 움푹 들어간 뒤꿈치 컵(84)과 같은 윤곽이 진 풋베드(82)의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d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캔틸레버(cantilevered) 발가락 정렬기 구조(50) 및 밑창(70)에 발을 고정시키고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발 중앙에 배열된 조절가능한 긴 스트랩(67)을 포함하는 신발(100)을 나타낸다.
도 4e는 밑창(70)에 발을 고정시키도록 배열된 조절가능한 스트랩(66) 및 뒤꿈치 컵(84)이 있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신발(100)을 나타낸다. 구두창(72)은 더 양호한 그립 또는 가요성을 위해 그루브 및/또는 가닥(78)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4f는 오프 센터(off-center) 스트래핑이 있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신발(100)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하나의 고정 스트랩(69")은 그것의 측면 상에 발을 유지하며, 반대편 고정 스트랩(69')은 밑창(70)에 발을 고정시키고 이동을 방지하도록 중앙 측 주변을 둘러싼다. 스트래핑(69")은 발의 측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69' " 부근에서 더 튼튼한 띠(girth) 또는 더 뻣뻣한 듀로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g는 뒤꿈치 캡(42)에 연결되는 스트랩 배열로 배열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을 포함하는 신발(100)을 나타낸다. 스트래핑 배열 및 뒤꿈치 캡(42)은 밑창(70)에 발을 고정시키고 이동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대안적으로 뒤꿈치 캡(42)은 발의 뒤꿈치 주변의 실질적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넓어질 수 있고, 따라서 움푹 들어간 뒤꿈치 컵(84)과 같은 윤곽이 진 풋베드의 추가 없이 측면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h는 밑창(70)에 발을 고정시키고 이동을 방지하도록 작동하는 뒤꿈치 캡(42)에 연결되는 다른 스트랩 배열과 함께 배열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신발(100)을 나타낸다.
도 4i는 밑창(70)에 발을 고정시키고 이동을 방지하는 커버형 글래디에이터 스타일 신발로서 구현한 하나의 연속적 부품에 의해 형성된 고정 갑피(62)와 함께 배열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신발(100)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글래디에이터 스타일 신발(110), 웨지 스타일 신발(120), 오픈토 펌프스(130), 및 커버형 글래디에이터 스타일 신발(140)로 구현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3c에서 나타낸 가죽 끈 신발과 유사하게,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엄지발가락(10)을 중족 관절(20)과 함께 정렬하기 위하여 엄지발가락(10)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서 밑창(70)의 풋베드(8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엄지발가락(1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5a의 글래디에이터 스타일 신발(1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갑피(62)는 복수의 발 스트랩(74) 및 복수의 발목 스트랩(7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갑피(62)는 또한 도 5d의 커버형 글래디에이터 스타일 신발(140)에서 구현된 바와 같은 하나의 연속적 부품일 수 있다. 각각의 신발(110, 120, 130 및 140)에서, 스트랩은 나타낸 개수 및 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수의 발 또는 발목 스트랩(74, 7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74, 76)은 플라스틱, 가죽, 합성 가죽 등과 같은 다양한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신발(110, 120, 130 및 140)은 웨지 힐(90)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힐(90), 예를 들어 통굽 힐, 스파이크 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힐(90)은 다양한 상이한 높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사용 시, 힐(90)의 형상에 기인한 각도에서 착용차의 발로 향한 신체의 압력은 발을 풋베드(80)에 단단히 고정시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력으로서 고정 갑피(62)를 보충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다른 신발(100)은 웨지 힐, 통굽 힐, 스파이크 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본 교시의 신발(100)은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갈라진 밑창을 포함한다.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갈라진 밑창은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부근에서 밑창(70)을 통한 절개부(9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갈라진 밑창을 만들기 위한 절개부(90)의 구현은 서 있기, 걷기, 뛰기 및 다른 움직임 동안 나머지 발가락에 대하여 측면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엄지발가락(10)에 대한 추가적인 독립적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일 단부는 가죽 끈 스트랩(64)의 더 낮은 표면에 부착되고 나머지 단부는 절개부(90) 부근에서 밑창(70)의 풋베드(80)에 부착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가죽 끈 스트랩(64)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밑창(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그 자체가 별개의 구조일 수 있다.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밑창(7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임의의 각도로 엄지발가락(1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는 엄지발가락(10)을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엄지발가락(10)과 두 번째 발가락(4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창(70)의 상부 표면은 오버레이(92)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레이(92)는 갈라진 밑창을 만드는 절개부(90)에 걸쳐 덮이도록 밑창(70)의 상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오버레이(92)는 가죽, 합성 가죽 및 고무와 같은 다양한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오버레이(92)는 밑창(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6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별개의 부품으로서 고정될 수 있다.
도 6d 및 도 6e는 갈라진 발가락 정렬기로서 배열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신발(100)을 나타낸다. 도 6e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갈라진 발가락 정렬기(50)는 밑창(70)에 형성된 분할부 또는 절개부(90) 사이애서 대략 V형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정렬 구조(52, 54)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100)이 착용자의 발에 위치될 때, 갈라진 발가락 정렬기(50)는 엄지발가락(10)을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작용하여, 정렬 구조(52)는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잘못 정렬된 엄지발가락(10)에 가해지는 힘을 만든다.
도 6d를 참조하면, 신발(100)은 또한 밑창(70)의 앞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착용자의 앞쪽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쪽을 향하는 부분적 발가락 보호구 구조(9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신발(100)은 대안적으로 밑창(70)의 앞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착용자의 발의 앞쪽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쪽을 향하는 완전한 발가락 보호구 구조(96)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d 및 도 6e의 신발(100)은 또한 밑창(70) 상의 위치에서 발을 고정시켜 측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 중앙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열된 조절가능한 스트랩(66)을 가지는 가죽 끈 유사 고정 갑피(62)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100)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움푹 들어간 풋베드, 움푹 들어간 뒤꿈치 컵(84),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승된 측벽(86), 망치족지 패드, 보통의 아치(88), 또는 발이 풋베드와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추가적인 구조 중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윤곽이 진 풋베드(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갈라진 밑창을 가지는 밑창(70) 상에 배열된 바와 같은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다양한 상이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밑창(70)을 통해 절개부(90)의 엄지 발가락 측 상에 배열된 연장된 판으로서 형성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를 포함하는 신발(100)은 도 8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신발(100)은 단일의 사출성형 부품 또는 다양한 부품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b는 V형으로 배열된 2개의 정렬 판(52, 54)을 포함하는 갈라진 발가락 정렬기(5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갈라진 발가락 정렬기(50)는 도 6d 및 도 6e에 나타낸 신발(100)에 포함된다. 각각의 정렬 판(52, 54)은 밑창(70)의 절개부(90)의 어느 한 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7c는 밑창(70)을 통해 절개부(90)의 나머지 발가락 면 상에 배열된 연장된 판으로서 형성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d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착용자의 발과 함께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다양한 상이한 형상 및 배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50)의 다양한 형상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교시의 신발(100)은 신체에 자기 수용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된 특성으로서 발의 생체역학적으로 올바른 움직임을 증진하는 맨발로 걷고 뛰는 것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 현재 이 범주에서 공지된 신발은 이미 발 질환을 겪고 맨발로 움직일 수 없는 인구의 대부분을 다루지 않는다. 본 교시의 신발(100)은 전체 갑피로부터 마찰 없이 엄지발가락을 제1 중족골 및 뒤꿈치와 정렬하면서 착용자의 엄자발가락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는 현대 신발이 야기할 수 있는 손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발을 다시 정렬하여 발의 가장 건강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당업자는 앞서 언급한 설명으로부터 본 교시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교시들이 이의 특정 실시형태 및 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교시의 진정한 범주는 그렇게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의 교시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3)

  1. 밑창;
    밑창과 함께 배열되고, 밑창의 풋베드(footbed) 상에서 사용자의 발을 단단히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풋베드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며,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지 않거나 노출될 수 있게 하는 고정 갑피; 및
    고정 갑피와 밑창 사이에 배열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서 있기, 걷기, 뛰기, 수영 및 발 근육을 사용하는 다른 움직임 동안 엄지발가락에 대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발가락 정렬기(aligner) 구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갑피는 스트랩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밑창의 풋베드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윤곽이 진(contoured) 풋베드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 갑피는 밑창의 발 중앙 부분에 대해서 연장되는 조절가능한 스트랩(stra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밑창은 갈라진 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갈라진 밑창은 오버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7. 제5항에 있어서, 발가락 정렬기 구조는 V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8. 제5항에 있어서, 밑창의 앞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발가락 보호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9. 제1항에 있어서, 밑창은 높은 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0. 밑창;
    밑창 상에 배열되고,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되며 풋베드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윤곽이 진 풋베드;
    밑창과 함께 배열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지 않거나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된 갑피; 및
    밑창과 함께 배열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서 연장되어 서 있기, 걷기, 뛰기, 수영 및 발 근육을 사용하는 다른 움직임 동안 엄지발가락에 대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발가락 정렬기 구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1. 제10항에 있어서, 갑피는 스트랩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2. 제10항에 있어서, 갑피는 풋베드 상에서 사용자의 발을 단단히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풋베드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고정 갑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3. 제10항에 있어서, 윤곽이 진 풋베드는 움푹 들어간 뒤꿈치 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4. 제10항에 있어서, 윤곽이 진 풋베드는 상승된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5. 제10항에 있어서, 밑창은 갈라진 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6. 제15항에 있어서, 갈라진 밑창은 오버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7. 제15항에 있어서, 발가락 정렬기 구조는 V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8. 제10항에 있어서, 밑창의 앞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발가락 보호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19. 제10항에 있어서, 밑창은 높은 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20. 밑창;
    밑창과 함께 배열되고, 밑창의 풋베드 상에서 사용자의 발을 단단히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풋베드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며,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지 않거나 노출될 수 있게 하는 고정 갑피; 및
    밑창과 함께 배열되고,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서 있기, 걷기, 뛰기, 수영 및 발 근육을 사용하는 다른 움직임 동안 엄지발가락에 대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발가락 정렬기 구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21. 제20항에 있어서, 고정 갑피는 밑창의 발 중앙 부분에 대해서 연장되는 조절가능한 긴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22. 제20항에 있어서, 밑창의 풋베드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윤곽이 진(contoured) 풋베드에 대하여 발의 측면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23. 제20항에 있어서, 밑창은 갈라진 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KR1020127021396A 2010-01-15 2011-01-12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가지는 신발 KR20120129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230010P 2010-01-15 2010-01-15
US61/282,300 2010-01-15
US13/004,850 US8739434B2 (en) 2010-01-15 2011-01-11 Footwear with toe aligner structure
US13/004,850 2011-01-11
PCT/US2011/020940 WO2011088082A2 (en) 2010-01-15 2011-01-12 Footwear with toe aligner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909A true KR20120129909A (ko) 2012-11-28

Family

ID=4427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396A KR20120129909A (ko) 2010-01-15 2011-01-12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가지는 신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39434B2 (ko)
EP (1) EP2523575A4 (ko)
JP (1) JP2013517055A (ko)
KR (1) KR20120129909A (ko)
CN (1) CN102781273A (ko)
AU (1) AU2011205455A1 (ko)
WO (1) WO201108808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871A (ko) 2016-01-19 2017-07-27 이동오 무지외반증 치료용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7405A1 (en) * 2011-12-30 2013-07-04 4C Golf, Inc. Replaceable heel cushion cavity
DE102012206739A1 (de) * 2012-04-24 2013-10-24 Hallufix Ag Hallux-valgus-sandale
ITPI20120105A1 (it) * 2012-10-11 2014-04-12 Narciso Tiziano Valia Struttura di calzatura tipo ciabatta
US20140144048A1 (en) * 2012-11-28 2014-05-29 Luna Sandals, Llc Naturally Adjusting Sandal
US20160255908A1 (en) * 2013-01-18 2016-09-08 Katalin RENTKO SPECIAL SHOE, FOOTWEAR, for FOOT with BUNION
US9320313B2 (en) 2013-02-20 2016-04-26 Nike, Inc. Split-sole footwear
US9204688B2 (en) * 2013-03-13 2015-12-08 Natasha Virginia Hazarian Pre- and post-pedicure footwear apparatus
WO2016050252A1 (en) * 2014-10-02 2016-04-07 Magd Ahmed Kotb Abdalla Shoes for hallux valgus
US11278440B2 (en) 2015-06-09 2022-03-22 Christopher Richard Showalter Orthopedic device providing metered toe traction with variable adduction, dorsiflexion and rotation angles, including lateral glide of the first metatarsal head
JP5960889B1 (ja) * 2015-07-09 2016-08-02 朝日ゴルフ用品株式会社 足指安定サポート具
JP6721995B2 (ja) * 2016-02-05 2020-07-15 福徳産業株式会社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US20200060382A1 (en) * 2017-03-31 2020-02-27 John R. Pepper Digital manipulation device and method
CN107006935A (zh) * 2017-05-08 2017-08-04 刘晓英 扣带拖鞋
CN108185562A (zh) * 2017-12-28 2018-06-22 四川大学 分隔大脚趾的鞋子及配套的袜子
US11284665B2 (en) * 2018-04-20 2022-03-29 Angela A. Hatzis Peditrack
US11051579B2 (en) * 2019-01-16 2021-07-06 Khang Quach Toe guider device for footwear
USD914336S1 (en) 2019-04-12 2021-03-30 Critts, LLC Shoe
USD950204S1 (en) 2019-04-12 2022-05-03 Critts, LLC Shoe
USD913653S1 (en) 2019-04-12 2021-03-23 Critts, LLC Shoe
US11696617B2 (en) 2019-04-12 2023-07-11 Critts, LLC Footwear with toe bar
USD961199S1 (en) * 2020-07-03 2022-08-23 Ockenfels Group GmbH & Co. KG Sandal
EP3995027A1 (de) * 2020-11-10 2022-05-11 Bär GmbH Schuhelement mit einem zehentrennsteg und einem verbreiterungsclip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503A (en) * 1887-07-12 David j
US611860A (en) * 1898-10-04 Robert m
US35629A (en) * 1862-06-17 petbrs
US730366A (en) * 1902-06-19 1903-06-09 Percy John Moore Gunthorp Support for weak or deformed feet.
US736194A (en) * 1902-08-28 1903-08-11 Pliny E Bassett Sandal.
US1098397A (en) * 1913-11-21 1914-06-02 Albert Pecorella Toe-straightening device.
US1167019A (en) * 1914-10-31 1916-01-04 Adam Reed Surgical sandal for treatment of bunions.
US1175718A (en) * 1915-05-24 1916-03-14 Bertha Crowe Foot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bunions.
US1402375A (en) * 1921-01-22 1922-01-03 Parisi Sebastiano Inner sole
US1554883A (en) * 1923-02-05 1925-09-22 Sahlin Max Means for straightening crooked toes
US1624171A (en) * 1925-10-03 1927-04-12 Emelyn O Johnson Toe adjuster
US2075552A (en) * 1936-11-02 1937-03-30 Clarence H Stemmons Sock liner foot corrector
US2510654A (en) * 1945-11-26 1950-06-06 Wilfred A Pepin Foot correction appliance
US2511101A (en) * 1948-11-01 1950-06-13 Clarke Maurice Wright Chiropodial device
US2542319A (en) * 1949-04-26 1951-02-20 Ferri Saul Toe separating and directing device
US2575867A (en) * 1949-08-04 1951-11-20 Ferri Saul Toe spacing device
US2539557A (en) * 1949-10-14 1951-01-30 William B Stroup Shoe construction
US2575868A (en) * 1949-10-20 1951-11-20 Ferri Saul Toe spacing device
US2740207A (en) * 1952-02-21 1956-04-03 Med I Peds Inc Medicated shoes
US2954617A (en) * 1957-05-23 1960-10-04 Nikka Rubber Co Ltd Footwear
US3013564A (en) * 1959-08-17 1961-12-19 Levey Harold Foot-correcting moccasin-like inner slipper
US3275002A (en) * 1963-06-14 1966-09-27 William M Scholl Corrective sandal
US3299894A (en) * 1964-07-08 1967-01-24 Joseph N A Charlebois Podiatrical appliance
US4017987A (en) * 1976-01-28 1977-04-19 Perez Jr Louis A Pedicure sandal
US4207880A (en) * 1978-07-13 1980-06-17 Zinkovich K Helen Combination corrective toe separator apparatus and pedicure aid
JPS57200295A (en) * 1981-06-03 1982-12-08 Nec Corp Bi-substituted garnet liquid-phase epitaxial film
IT8420676V0 (it) 1984-02-02 1984-02-02 Caretti Giuseppe Calzatura chiusa con sede perl'alluce sulla punta.
USD288742S (en) * 1984-03-22 1987-03-17 Giuseppe Caretti Shoe
US4745927A (en) * 1986-09-12 1988-05-24 Brock N Lee Orthopedic shoe cushion insert apparatus and a method of providing same
US4813162A (en) 1987-08-25 1989-03-21 Evelyn D. Gliege Device for receiving an orthotic insert
FR2624355B3 (fr) 1987-12-09 1990-03-23 Bregeon Cochard Piece monobloc destinee a la confection d'une chaussure
JPH039079U (ko) * 1989-06-12 1991-01-29
US5437616A (en) * 1992-06-05 1995-08-01 Kasahara; Iwao Valgus big toe rectifying supporter
CN2155692Y (zh) * 1993-02-24 1994-02-16 聚上企业股份有限公司 具有防滑及保护脚趾的拖鞋结构
JP3009079U (ja) 1994-09-16 1995-03-28 岩夫 吉水 室内履き
JPH09206110A (ja) * 1996-02-05 1997-08-12 Kubota Sangyo Kk 開放性履物
JPH1199003A (ja) * 1997-08-21 1999-04-13 Atsuko Katagiri スリッパ
JP2001190709A (ja) * 2000-01-05 2001-07-17 Shoji Yoshikawa 足指トレ−ニング履き物
CN2469739Y (zh) * 2001-03-22 2002-01-09 霍平 健足鞋
AU144078S (en) * 2001-05-07 2001-05-31 A shoe
AU144079S (en) * 2001-05-07 2001-05-31 A shoe
US20030172555A1 (en) * 2002-03-15 2003-09-18 Young Chu Internal split toe with a creased sole for climbing shoes
US7082703B2 (en) * 2004-01-30 2006-08-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ports
JP2005230492A (ja) 2004-02-17 2005-09-02 Kazuya Horie 健康5本指間刺激サンダル
JP4504725B2 (ja) * 2004-04-15 2010-07-14 高羽 昭彦 足指を甲被から個別に突き出すことを可能とした履物
DE202004006639U1 (de) * 2004-04-27 2004-07-08 Trinks, Ole, Dr. Zehenzwischenraum-Protektor
GB0411838D0 (en) 2004-05-27 2004-06-30 Harrison Matthew J C Dopie shoe concept
JP3689770B1 (ja) * 2004-09-17 2005-08-31 株式会社アーバンナワチ 靴構造の履物
WO2006107779A2 (en) 2005-04-01 2006-10-12 Steel Michael M Toe separator sock and corrective footwear
US7350251B2 (en) * 2005-07-12 2008-04-01 Kevin Gerard Fraser Cellular cushion
CN101370404A (zh) * 2005-12-13 2009-02-18 阿里斯代尔·考克本 用于具有足跟支撑的露跟式足部装备的装备和方法
US20080115386A1 (en) * 2006-11-17 2008-05-22 Geuss Donald R Split-toed shoe
JP2008264511A (ja) * 2007-03-27 2008-11-06 Tomiko Shibano 履き物
US20090038181A1 (en) * 2007-08-09 2009-02-12 Deirdre Loughnane Footwear with detachable straps
US20090113759A1 (en) 2007-11-05 2009-05-07 Chele Suzanne Heid Therapeutic footwear
US20090133289A1 (en) * 2007-11-28 2009-05-28 Elsa Cantoni Non-constrictive footwear
DE202008008106U1 (de) 2008-06-17 2009-10-29 Hallufix Ag Sandale
WO2010063083A1 (en) 2008-12-05 2010-06-10 Reis Martins Valdenis Separator applied to slippers and the like
US8806781B2 (en) * 2009-08-11 2014-08-19 Hasmig Sabounjian Device for wearing thong-type sand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871A (ko) 2016-01-19 2017-07-27 이동오 무지외반증 치료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9434B2 (en) 2014-06-03
US20110173843A1 (en) 2011-07-21
EP2523575A2 (en) 2012-11-21
AU2011205455A1 (en) 2012-08-30
EP2523575A4 (en) 2013-08-14
WO2011088082A3 (en) 2011-11-17
CN102781273A (zh) 2012-11-14
JP2013517055A (ja) 2013-05-16
WO2011088082A2 (en)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434B2 (en) Footwear with toe aligner structure
US20120317844A1 (en)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US10271612B2 (en) High heel shoe
US10420393B2 (en) Footwear sheet and footwear
KR980008086A (ko) 건강 증진용 신발
US20150013189A1 (en) Shoe with instep elastic insertion and insole with depressions
US11297894B1 (en) Functional shoe insole
KR200480494Y1 (ko) 발가락 교정기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EP4248785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KR100940011B1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KR101269961B1 (ko) 신발창의 구조
KR200462766Y1 (ko) 구두 중창용 허리쇠
EP3533352B1 (en) Minimalist barefoot shoes for correcting flatfeet
KR101524229B1 (ko) 스프링 매립 중창과 플랫폼을 구비하는 하이힐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JP3126650U (ja) 外反母趾の予防と矯正シューズ
KR20140069009A (ko) 신발 및 신발 제조 방법
KR200363879Y1 (ko) 교정용 신발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JP2019150225A (ja) 中敷きおよび履物
JP7350346B2 (ja) 履物
WO2016013042A1 (ja) ヒール及びパンプス用組立式インソール
JP2007082947A (ja) 足底板対応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