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879Y1 - 교정용 신발 - Google Patents
교정용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3879Y1 KR200363879Y1 KR20-2004-0019960U KR20040019960U KR200363879Y1 KR 200363879 Y1 KR200363879 Y1 KR 200363879Y1 KR 20040019960 U KR20040019960 U KR 20040019960U KR 200363879 Y1 KR200363879 Y1 KR 2003638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
- foot
- height
- shoes
- user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55 hallu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72 metatars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53 second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3 ul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바닥면은 지면에 접하고 그 상면은 사용자의 발에 접하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정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그 상면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위에, 사용자의 발의 내측 종궁(inner longitudinal arch)에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밑창은, 그 내측 및 외측의 양측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밑창의 중앙부위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밑창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변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의 체중이 발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교정할 수 있는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발은 인간의 체중을 지탱한다. 인체에 있어서 척추, 목뼈, 골반, 어깨 등과 같은 골격은 양발을 기초로 하여 평형(수평)을 유지한다. 이러한 발은 여러 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어서, 인체의 체중을 발에서 고르게 분포하도록 한다. 특히 인간이 걷거나 뛰는 동작을 할 때에는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은 물론이고, 지면으로부터 전해오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발의 구조가 바람직하지 않게 변형이 되면, 양발에서 인체의 체중을 적절하게 나누어 지탱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하나의 발에서도 체중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인체의 여러 부분에 변형이 오게 되고, 통증도 유발하게 된다. 또한, 그와는 역으로, 인체의 어떤 부분에 변형이나 통증이 발생하게 되면, 이에 따라 신체의 균형이 깨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발의 변형을 가지고 오게 된다.
이렇듯,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피면, 26개의 뼈와 이들을 연결하는 관절들, 그리고 이러한 뼈와 관절을 결합시키기 위한 100개가 넘는 인대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인체의 체중을 고르게 나누어 지탱하기 위한 발의 구조를 살펴보면, 인간의 발에는 내측 종궁(inner longitudinal arch), 외측 종궁(outer longitudinal arch), 척골궁(상횡궁이라고도 함, metatarsal arch) 및 횡궁(하횡궁이라고도 함, transverse arch)의 모두 4개의 궁(arch)이 형성되어 있다. 발의 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점a와 점b를 연결하는 궁이 내측 종궁이고, 점b와 점c를 연결하는 궁이 외측종궁, 점a와 좀c를 연결하는 궁이 척골궁이고, 점와 점e를 연결하는 궁이 횡궁이다. 이러한 4개의 궁이 모두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여야 발의 본래의 역할을 발휘하게 외어 인체는 바르게 균형을 가지게 되고, 걷거나 뛰는 동작에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4개의 궁들이 각각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여야 인체의 체중이 발의 a,b,c,d,e 각 지점에 고르게 분포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체가 균형을 이루고, 충격이 인체로 전달되는 것이 감소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궁들이 정상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너무 크거나 너무 작게 되는 등 그 형태가 변형되면, 인체의 체중은 발바닥에 정상적으로 분포되지 않고, 이에 따라 인체의 전체적인 균형을 무너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궁들을 바로 잡아 교정하고자 하는 시도는 지금까지 있어 왔다. 즉, 인체의 양쪽 발에 분포되는 체중의 분포를 측정하여, 체중이 비정상으로 많이 가해지는 지점의 하중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해, 원하는 일부 부위를 두껍게 하여 신발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정용 깔창이 쓰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교정용 깔창을 사용한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깔창을 신발의 내부에 깔아야 하기 때문에, 운동화나 구두 등과 같은 종류의 신발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슬리퍼와 같이 사람들이 많은 시간 사용하는 종류의 신발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신발의 내부에 사용되는 교정용 깔창이 신발의 내부 길이와 폭과 같은 형태에 정확에 일치하여야 원하는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교정용 깔창을 사용하던 신발에 정확히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정확히 맞추지 못한 교정용 깔창을 깐 신발을 사용하게 되면, 그 깔창이 밀리게 되면서 그 위치가 있어야 할 위치에서 벗어나며 변형이 오게 되어, 결과적으로 원하는 교정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교정용 깔창이 적용되는 신발은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신발의 형태를 고려하지 않고 제작된 신발에 교정용 깔창을 어떠한 신발에 깔게 되면, 충분한 교정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고령인 경우, 깔창의 높이로 인한 높아진 신발의 내부 높이 때문에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동작을 하는 동안, 신발이 벗겨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어 위험하기도 하다.
또한, 종래의 신발에 교정용 깔창을 적용하는 경우, 이러한 교정용 깔창이 필요한 사람은 체중이 신발에 균일하게 않게 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미 사용하던 신발의 밑창의 하면은 닳아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인간의 체중 분포의 측정은 신발을 신고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맨발로 측정하는 것이어서, 맨발에 맞추어 제작된 교정용 깔창을 이미 바닥면의 일부분이 닳아 버린 신발에 깔게 되면, 원하는 교정의 효과는 얻을 수 없다. 이는 바닥면이 닳지 않은 새신발에 교정용 깔창을 깔아서 쓴다고 하더라도, 신발을 사용함에 따라 그 신발의 바닥면이 닳게 되면 다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신발의 밑창의 필요한 부위의 높이를 높게 하여 변형된 발의 형태를 바로 잡아 체중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는 교정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인체의 발의 골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정용 신발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교정용 신발을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도5의 높이변경부재의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교정용 신발의 덮개부를 생략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교정용 신발의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교정용 신발 10 ... 밑창
12 ... 상면 14, 16 ... 수용홈
20 ... 제1돌출부 22 ... 제2돌출부
30 ... 높이변경부재 50 ... 덮개부재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신발은, 사용자의 발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바닥면은 지면에 접하고 그 상면은 사용자의 발에 접하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정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그 상면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위에, 사용자의 발의 내측 종궁(inner longitudinal arch)에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밑창은, 그 내측 및 외측의 양측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밑창의 중앙부위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밑창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변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정용 신발을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신발(1)은, 밑창(10)과 덮개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밑창(10)은, 교정용 신발(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발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발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 밑창(10)은 사용자인 인체의 체중이 가해지는 곳이며, 그 바닥면(14)은 사용자가 교정용 신발(1)을 신고 서 있거나 걷거나 뛰는 경우, 지면에 접한다. 밑창(10)은, 생고무 등과 같이 탄력과 강성을 겸비한 재료로 만들어져, 충격은 흡수하면서도 사용에 의해서 쉽게 닳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창(10)의 상면(12)에는 제1돌출부(20)와 제2돌출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돌출부(20)는, 상면(12)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위에 사용자의 발의 내측종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돌출부(20)는 인체의 발에 있어서, 발꿈치에서부터 발바닥의 안쪽에 위치한 궁인 내측종궁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교정용 신발(1)을 착용하였을 때, 내측종궁을 전제적으로 잘 지지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도 3은 평면도이기 때문에 그 높이가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제1돌출부(20)는 내측종궁의 형상에 맞추어 그 중앙부위(202)가 그 주변의 가장자리 부위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많이 상승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돌출부(22)는, 밑창(10)의 상면(12)의 앞쪽에 형성된다. 사용자가 교정용 신발(1)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발가락이 시작되는 부위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돌출성형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발에 먹물을 칠하고 하얀 종이에 족적을 찍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각 발가락의 첫 번째 마디부분들은 발바닥으로부터 함몰되어 있어서, 종이에는 찍히지 않게 되는 데, 제2돌출부(22)는 바로 그 부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제2돌출부(22)를 위에서 본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엄지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 사이 부분에는 전방으로 올라간 부분(220)이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발을 안정감 있게 지지할수 있다.
이러한, 제1,2 돌출부(20, 22)는 사출성형과 같은 방법에 의해 밑창(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깔창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밑창(10)은 높이변경부재(30)를 포함한다. 높이변경부재(30)는 밑창(10)의 내측 및 외측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중앙부위보다 하측 방향으로 돌출 되도록, 밑창(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필요한 개수만큼 마련된다. 만약 밑창(10)에 높이변경부재(30)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면, 그 밑창은 지면에 대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하게 되지만, 본 고안과 같이 높이변경부재(30)를 구비하게 되면, 그 높이변경부재(30)가 구비된 가장자리부분은 중앙부위에 비해 하측으로 더 돌출되게 되어, 달리 말하면 높이변경부재(30)가 부착된 부분의 밑창(10)의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높아지게 되어, 밑창(10)에 가해지는 체중의 분포에 변화를 갖게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높이변경부재(30)는 최대 5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필요한 숫자는 인체의 체중의 분포를 측정하여 인체의 균형이 깨어진 정도에 따라 정해진다. 즉, 경우에 따라, 높이변경부재(30)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하는 수용홈(14)도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게 된다.
높이변경부재(30)는 필요한 위치에 부착고정되어 그 부분의 높이를 높게 해준다. 도 4를 참조하면, 3개의 높이변경부재(30-1, 30-2, 30-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종궁이 형성된 쪽인 밑창(10)의 내측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그리고, 외측종궁이 형성된 쪽인 밑창(1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높이변경부재(30-4, 30-5)가 마련된다. 높이변경부재(30)들은 밑창(10)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위보다 약간 위에서부터, 인체의 뒷꿈치가 접하게 되는 뒷부분에 이르는 부위에 이르는 부분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높이변경부재(30)는 밑창(10)의 하면(13)에 마련된 수용홈(14)에 배치된 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수용홈(14)은 대응하는 높이변경부재(30)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깊이는 일정하다.
도 5를 참조하면(도 5는 덮개 부재(50)는 생략된 상태의 도 4의 단면도이다), 두 개의 높이변경부재(30-1, 30-4)가 각각의 대응하는 수용홈(14)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중에서 우측에 도시된 높이변경부재(30-4)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높이변경부재(30-4)는 밑창(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부분의 높이(h1)가 밑창(10)의 중앙부위 쪽의 높이(h2)보다 높게 되어 있고 있고 길이(l)를 가지는 쐐기 형태를 가진다. 각각의 높이(h1, h2)는 교정하고자 하는 정도에 따라 정해진다.
한편, 도 5에서, 좌측에 배치된 높이변경부재(30-1)는 두 개의 높이(h1, h2)가 서로 크게 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높이변경부재(30-4, 30-5)의 일측 높이(h1)가 타측 높이(h2)보다 비교적 큰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높이변경부재(30-1, 30-2, 30-3)는 양측의 높이(h1, h2)가 크게 나지 않도록 되어있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의 교정하고자 하는 정도와 형태에 따라 각각의 높이변경부재(30)들의 높이(h1, h2)의 정도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한편, 높이변경부재(30)의 소재는 밑창(10)과 같이 생고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재(50)는, 밑창(10)의 상부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신발의 형태가 슬리퍼인 경우이기 때문에, 덮개부재(50)가 사용자의 발등의 일부분만을 덮는 형태이다. 하지만, 덮개부재(5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여, 발등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뒤꿈치 부분을 지지하는 끈 형태의 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정용 신발(1)은, 사용자가 이를 착용하고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변형되고 바람직하지 못했던 발의 4개의 궁을 보완하여, 체중이 양쪽 발에 고르게 분포되고, 인체의 비틀어 졌던 균형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깔창(인솔)의 높이의 차이를 형성시켜 발의 형태를 교정하던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에 가장 적합하게 신발전체를 제작하는 것이어서, 상술한 바 있는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정당한 장치 예컨대, 본 고안자에 의해 기 출원된 족적 및 골격계 변위측정 시스템등을 이용하여, 어떤 한 사람의 양발에 분포하는 체중과 골격, 예컨대 척추(요추, 흉추, 경추) 등의 전만, 후만, 측만 여부를 측정한다. 그런 후, 얻어진 테이터와 현재 알려진 여러 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각 높이변경부재(30)들의 높이를 필요한 정도로 조정하여, 밑창(10)에 구비하게 한다. 즉, 제1실시예와 같이 외측의 높이변경부재(30-4, 30-5)들을 내측의 높이변경부재(30-1, 30-2, 30-3)들 보다 높게 하면, 발의 외측 가장자리로 치우쳐 가해지던 체중의 분포가 발바닥 전체에 정상적으로 분포하게 되고, 이러한 교정용 신발(1)을 일정기간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발은 정상적이 궁을 가지게 되는 형태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높이변경부재(30)들의 각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예컨대 앞쪽의 높이변경부재(30-1, 30-4)를 같은 높이로 형성하고, 뒤쪽의 높이변경부재(30-3, 30-5)의 높이를 달리하여 적용하면, 비틀어진 형태의 발의 형태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정용 신발(1)은, 슬리퍼 형태인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신발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교정용 신발(1)은, 밑창(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높이변경부재(3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신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교정용 신발(1a)이 덮개부재(50)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 예컨대, 제1,2돌출부(20, 22), 높이변경부재(30)들은, 해당하는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대동소이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교정용 신발(1a)을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면, 높이변경부재(30)를 밑창(10)에 고정하는 방법만이 다르다. 즉, 제1실시예의 경우, 높이변경부재(30)들을 밑창(10)의 하면(14)에 마련된 수용홈(14)에 부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밑창(1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수용홈(16)이 마련되어 있어서, 높이변경부재(30)는 대응하는 각 수용홈(16)에 끼워져 고정되는 점이 다르다. 이때,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견고한 결합을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수용홈(16)은 밑창(10)이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높이변경부재(30)가 삽입되기 전에는 입구가 거의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한편,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인 도 8을 참조하면, 높이변경부재(3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잘 보여준다. 즉, 도면의 좌측의 높이변경부재(30-1)는 수용홈(16)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이고, 우측의 높이변경부재(30-4)는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다. 좌측의 높이변경부재(30-1)가 삽입되기 전에는, 좌측의 수용홈(16)은 밑창(10)이 탄성을 가지는 재료이기 때문에, 높이변경부재(30-1)의 높이보다는 작은 높이의 입구를 가지고 있으나, 탄성력을 극복하며 높이변경부재(30-1)를 수용홈(16)에 삽입하게 되면 그 입구는 확장이 되면서 도면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와 같이 삽입이 완료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높이변경부재(30)가 삽입된 밑창(10)의 가장자리 부위는 중앙부위보다 하측으로 높이변경부재(30)의 두께보다 돌출하게 된다.
한편, 도 9에는, 제3실시예의 교정용 신발(1b)이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덮개부재(50)가 발의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어 교정용 신발(1b)이 운동화 형태로 된 것을 제외하면, 제2실시예의 교정용 신발(1a)과 각 구성요소의 기술적 구성과 작용 및 효과는 거의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신발에 따르면, 각 개인의 신체의 상태에 맞추어 필요한 높이변경부재를 밑창에 직접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의 불균형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체중의 분포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교정이 가능하다.
Claims (6)
- 사용자의 발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바닥면은 지면에 접하고 그 상면은 사용자의 발에 접하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정용 신발에 있어서,상기 밑창은, 그 상면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위에, 사용자의 발의 내측 종궁(inner longitudinal arch)에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를 구비하며,상기 밑창은, 그 내측 및 외측의 양측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밑창의 중앙부위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밑창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변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밑창의 상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발가락이 시작되는 부위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성형된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높이변경부재는, 상기 밑창의 하부에 마련된 수용홈에 부착되어 지면에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높이변경부재는, 상기 밑창의 양 측면에 마련된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수용홈은 상기 밑창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 부분이 마련되고,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두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높이변경부재는, 상기 밑창의 양측의 가장자리 쪽의 높이가 중앙부위 쪽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는 쐐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9960U KR200363879Y1 (ko) | 2004-07-13 | 2004-07-13 | 교정용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9960U KR200363879Y1 (ko) | 2004-07-13 | 2004-07-13 | 교정용 신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3879Y1 true KR200363879Y1 (ko) | 2004-10-08 |
Family
ID=4943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9960U KR200363879Y1 (ko) | 2004-07-13 | 2004-07-13 | 교정용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3879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1136B1 (ko) | 2004-12-29 | 2006-12-22 | 이선미 | 교정용 신발 |
KR101052202B1 (ko) * | 2010-07-30 | 2011-07-29 | (주) 엘비스가버 | 신체 균형 보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WO2019093578A1 (ko) * | 2017-11-08 | 2019-05-16 |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
KR102224205B1 (ko) * | 2020-08-22 | 2021-03-05 | 유위상 | 슬리퍼 |
-
2004
- 2004-07-13 KR KR20-2004-0019960U patent/KR20036387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1136B1 (ko) | 2004-12-29 | 2006-12-22 | 이선미 | 교정용 신발 |
KR101052202B1 (ko) * | 2010-07-30 | 2011-07-29 | (주) 엘비스가버 | 신체 균형 보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WO2012015268A2 (ko) * | 2010-07-30 | 2012-02-02 | Yang Heewoon | 신체 균형 보정시스템 |
WO2012015268A3 (ko) * | 2010-07-30 | 2012-04-19 | Yang Heewoon | 신체 균형 보정시스템 |
WO2019093578A1 (ko) * | 2017-11-08 | 2019-05-16 |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
KR20190052736A (ko) * | 2017-11-08 | 2019-05-17 |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
KR102140044B1 (ko) * | 2017-11-08 | 2020-08-03 |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
KR102224205B1 (ko) * | 2020-08-22 | 2021-03-05 | 유위상 | 슬리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925000B1 (en) | Shoe having an internal chassis | |
KR101103537B1 (ko) |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 |
US8523194B2 (en) | Forefoot wedge insert for footwear | |
US20120317844A1 (en) |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 |
CA2886888C (en) | Shoe sole for gait correction or gait preservation | |
US20110000102A1 (en) | Customisable Inserts, Footwear For Use With Same and a Method of Selecting an Insert For Footwear | |
KR20120129909A (ko) | 발가락 정렬기 구조를 가지는 신발 | |
CN104055274B (zh) | 用于鞋子的脚后跟稳定器 | |
RU2611031C2 (ru) | Лыжный ботинок | |
US20100064550A1 (en) | Universal adjustable insole with an arch support and method of using it | |
US20030140523A1 (en) | Footbed plug | |
JPH10234417A (ja) | 靴用中敷き構造 | |
US10299534B2 (en) | Midfoot orthotic shoe insert | |
KR200414204Y1 (ko) | 신발 | |
KR20160001214U (ko) |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 |
US7360326B1 (en) | Flexible footwear sole | |
KR200363879Y1 (ko) | 교정용 신발 | |
CN112956782B (zh) | 鞋底板 | |
US20180008001A1 (en) | Pressure-Relieving Footwear | |
US20230292880A1 (en) |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 |
US10349701B2 (en) | Footwear having a sole formed with a cavity receiving a highly viscous gel | |
KR101098019B1 (ko) | 교정용 보정신발 | |
JPH0870910A (ja) | 履物用中敷および履物 | |
KR101400912B1 (ko) | 신발 밑창 | |
KR100661136B1 (ko) | 교정용 신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922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