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102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102A
KR20120123102A KR1020127022065A KR20127022065A KR20120123102A KR 20120123102 A KR20120123102 A KR 20120123102A KR 1020127022065 A KR1020127022065 A KR 1020127022065A KR 20127022065 A KR20127022065 A KR 20127022065A KR 20120123102 A KR20120123102 A KR 2012012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urbidity
drainage path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미야우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2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3Water 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Abstract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를, 식기 세척기의 배수 종료시에 배수 경로에 잔류하는 세정수의 수위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식기 세척기의 운전이 종료되었을 때에, 탁도 검출부를 배치한 배수 경로의 배관 내부에는 잔수가 없이,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를 장기간에 걸쳐서 정확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검출하면서, 피세정물의 오염에 따른 세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정에 이용되는 세정수의 탁도(투과도)를 검출하기 위한 광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식기 세척기의 일 예로서 특허문헌 1의 식기 세척기를 설명한다.
특허문헌 1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를 수용하는 세정조와, 세정조 내부에 배설된 세정 노즐과, 세정 노즐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펌프를 구비한다. 이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식기가 세정될 때에는, 세정조 내에 식기가 수용되고, 세정조 내에 소정량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세정조 하부에 저류된 세정수가 세정 펌프에 의해 세정 노즐에 공급된다.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가 세정조 내에 수용된 식기에 분사되어 식기가 세정된다. 식기에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조의 저부에 저류되고, 세정 펌프에 의해 다시 세정 노즐로 이송된다.
또한, 이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의 세정수를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를 구비하고, 배수 경로를 통해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식기 세척기에서는, 이 배수 경로의 도중에 마련된 탁도 검출부가 배출되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한다. 그 탁도 검출부로서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투과형의 광센서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는 세정 공정 중의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를 마련하고 있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식기 세척기는, 세정 펌프에 의해 순환하고 있는 세정수의 순환 경로의 도중에 탁도 검출부를 마련하고 있다. 이 탁도 검출부에 의해서, 세정시의 세정수의 탁도가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식기의 세정의 제어가 실행된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식기 세척기나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에서는, 배관 경로가 세정조의 하방에 있으므로 식기 세척기가 최종적으로 배수해도 잔수가 남는다. 탁도 검출부가 배치된 배관 내부에, 식기로부터 씻겨 세정수에 혼입된 유분 등의 오염물이 부착된다. 이 상태로 식기 세척기가 장기간 사용되면, 빛의 투과도가 서서히 나빠져서, 탁도 검출부가 탁도를 검출하는 정밀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정확한 탁도 판정을 장기간에 걸쳐서, 정확하고 안정되게 실행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6-303773 호 공보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를, 배수 종료시에 배수 경로에 잔류하는 세정수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탁도 검출부를 배수 펌프보다 식기 세척기의 외측의 배수 경로의 높은 위치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세정조로부터 탁도 검출부의 위치가 멀어진다. 이 때문에, 세정 공정 중에서는, 최초로 급수된 깨끗한 상태의 세정수와 세정조 내에서의 오염된 세정수의 교체가 적어, 탁도 검출부를 배치한 배수 경로의 배관 내부를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운전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탁도 검출부가 있는 배관 경로 내부에는 잔수가 없으며, 탁도 검출부는 잔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에는 접촉하지 않아도 되므로,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피세정물로부터 씻겨 세정수에 혼입된 유분 등의 오염물이 탁도 검출부를 배치한 배수 경로의 배관 내부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를 장기간에 걸쳐서 정확하고 안정되게 검출하면서, 피세정물의 오염에 따른 세정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펌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 본체(1)는 내부에 세정조(2)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 세정조(2) 내에 급수 장치(3)에 의해 물 또는 온수를 공급한다. 급수 장치(3)는, 세정조(2)에 연통시켜 마련한 수위 센서(4)에 의해서, 소정의 수위에 달하면 동작을 멈추도록 급수량을 제어하고 있다. 세정조(2)의 저부에는 저수부(2a)가 마련되고, 이 저수부(2a)에 연통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5)가 장착되어 있다.
펌프(5)의 구성 및 동작을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펌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펌프(5)는 펌프 케이싱(6), 임펠러(7), 전환 밸브(8)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6)에는, 세정 노즐(9)에 토출하는 세정측 파이프(6a)와,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경로(12)에 토출하는 배수측 파이프(6b)가 배치되어 있다. 이 펌프(5)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임펠러(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세정측 파이프(6a) 쪽으로 세정수가 흐르며, 펌프(5)는 세정 펌프로서 기능한다. 그 경우, 전환 밸브(8)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한 압력에 의해 배수측 파이프(6b)의 입구의 벽에 가압되고, 배수측 파이프(6b)가 닫힌 상태가 되어, 배수 경로(12)측에는 세정수는 유입되지 않는다.
반대로, 임펠러(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환 밸브(8)를 개방하도록 세정수의 압력이 가해져, 전환 밸브(8)가 열리고, 배수 경로(12)측으로 세정수가 흘러, 펌프(5)는 배수 펌프로서 기능한다. 모터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전환 밸브(8)는 배수측 파이프(6b)에 대하여 닫힌 상태로는 되어있지 않다.
이와 같이, 펌프(5)는 세정?배수 겸용 펌프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후, 펌프(5)를, 세정 펌프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 세정 펌프(5a)로 하고, 배수 펌프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 배수 펌프(5b)로 하여 표현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세정 공정과 배수 공정을 설명한다.
세정 공정에 있어서는, 이 세정 펌프(5a)에 의해, 세정수가 식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정조(2) 내에 공급된 세정수는 저수부(2a)로부터 세정 펌프(5a)로 흡입되고, 세정 펌프(5a)에 의해, 세정측 파이프(6a)로부터 세정 경로(17)를 통해 세정조(2) 내 저부에 마련된 세정 노즐(9)에 공급된다. 세정 노즐(9)로부터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조(2) 내에 수용된 피세정물(식기)을 세정한 후, 다시 저수부(2a)로 되돌아오는 경로로 순환한다. 또한, 식기 세척기 본체(1)는 세정 노즐(9)과 세정조(2)의 저부 사이에 세정수 가열용의 히터(10)를 장비하고, 세정 노즐(9)의 상방에는, 피세정물을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어서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피세정물에 분사하도록 구성한 식기 바구니(11)를 배치하여 효율적으로 세정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배수 공정에서는, 배수 펌프(5b)는 배수측 파이프(6b)로부터 배수 경로(12)를 통해 세정수를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제어부(13)는 급수 장치(3)나 펌프(5) 등의 전장 부품을 제어하고 있다.
배수 펌프(5b)로부터, 식기 세척기의 외측 즉 배수가 흐르는 하류측의 배수 경로(12)의 도중에, 배출되는 세정수가 상방을 향하여 흐르는 대략 연직부(18)가 마련되고, 그 대략 연직부(18)의 외측에,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탁도 검출부(14)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는 배수 펌프(5b)에 의해, 식기 세척기의 배수 종료시의 잔수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이다. 또한, 세정 공정 시에, 수위 센서(4)가 검지하는 세정 수위보다 낮은 위치이다.
이 탁도 검출부(14)에 대해서, 그 구성 및 동작을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배수 경로(12)의 도중의 대략 연직부(18)에, 배수 경로(12)로부터 돌출시킨 볼록부(15)가 마련된다. 그 볼록부(15)의 하면(15a) 및 상면(15b)의 내면은 도면과 같이 각각 경사져 있다. 즉, 하면(15a)의 내면은, 하면의 배수 경로(12)에 접속되는 측이, 돌출한 볼록부(15)의 정상부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15b)의 내면은, 상면의 배수 경로(12) 접속측이, 돌출한 볼록부(15)의 정상부보다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하면(15a)의 내면은 배수 경로(12)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면(15b)의 내면은 배수 경로(12)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내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좌우의 측면(15c)은 대략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평행으로 대향되어 있다.
또한, 탁도 검출부(14)는 볼록부(15)를 덮도록 배치되며, 측면(15c)의 외측에 탁도 검출부(14)의 발광부(14a)와 수광부(14b)가 대향하여 마련된다. 이때, 발광부(14a)와 수광부(14b)의 거리는 그 검출 능력에 따른 적정한 거리로 설정된다. 볼록부(15)의 폭[양측의 측면(15c) 사이의 거리]은 배수 경로(12)의 대략 연직부(18)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으며, 배수 경로(12)의 폭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가진 볼록부(15)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탁도 검출부(14)는 필요한 적정한 거리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배수 경로(12)는 세정수의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서 필요한 단면적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또한, 탁도 검출부(14)의 발광부(14a) 및 수광부(14b) 사이의 거리에도, 그 검출 능력의 관계로부터 필요 거리가 있다. 탁도 검출부(14)를 배수 경로(12) 전체의 외측에 마련하려고 했을 경우, 발광부(14a)와 수광부(14b) 사이의 거리가 필요 거리를 초과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수 경로(12)의 폭보다 작은 적정한 폭을 가진 볼록부(15)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탁도 검출부(14)가 필요 거리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배수 경로(12)의 단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는 것에 의한 배수 능력의 확보와 탁도 검출부(14)의 검출 정밀도의 확보가 양립한다.
또한, 볼록부(15)의 상하의 면(15b, 15a)의 내면이 적절한 경사면을 갖는 것에 의해, 배수시의 세정수의 흐름에 대하여, 이 볼록부(15)의 내부에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탁도 검출부(14)의 검지시에, 세정수가 도달했을 때에 발생한 거품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검지가 배수의 정지시에 실행될 때에는, 비중이 큰 이물질은 하방으로 떨어지며, 비중이 작은 것은 상방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검지시에 있어서, 배수 상태에서도, 정지한 상태에서도, 안정된, 정밀도가 양호한 검지가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세정 공정에서 급수가 실행된다. 급수 장치(3)가 개방되고, 급수가 시작된다. 수위 센서(4)의 검지에 근거하는 제어에 의해, 물이 소정의 수위에 도달했을 경우에 급수 장치(3)가 닫히고, 급수가 완료된다. 이때, 펌프(5)를 구동하는 모터는 회전하고 있지 않으며, 전환 밸브(8)는 배수측 파이프(6b)를 닫고 있지 않으므로, 세정수는 당연히 펌프(5)의 내부를 통과하여 세정조(2)의 저수부(2a)에 연통하고 있는 배수 경로(12)에도 도달한다. 그리고, 탁도 검출부(14)의 높이 위치는, 세정 공정시에 수위 센서(4)에 의해 검지되는 세정 수위보다 낮은 위치이므로, 탁도 검출부(14)의 위치의 배수 경로(12) 및 볼록부(15) 내에도 세정수가 채워져 있다.
세정이 개시되면, 전환 밸브(8)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배수측이 닫히고, 세정수는 배수측에는 침수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초기의 깨끗한 세정수가 가두어진 채로, 세정 공정 중에 순환하는 세정수에 용해된 오염물이, 탁도 검출부(14)에 대향하는 배수 경로 부분인 볼록부(15) 주변의 내면에 부착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탁도 검출부(14)에 대향하는 배수 경로 부분인 볼록부(15) 주변의 내면이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 다만, 이 상태에서는, 탁도 검출부(14)에 대향하는 배수 경로 부분에는 초기의 깨끗한 세정수가 가두어진 채이므로, 세정조(2) 내의 세정수의 오염물이 검지될 수 없다.
세정 공정에서의 세정조(2) 내의 오염물이 검지되는 경우, 배수 펌프(5b)가 조금 동작하고, 그 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 내의 오염된 세정수가, 탁도 검출부(14)에 대향하는 배수 경로 부분인 볼록부(15) 주변에 침입하여, 그 세정수의 탁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때, 탁도 검출부(14)에 대향하는 볼록부(15) 주변에는, 이미 급수 완료시부터의 초기의 세정수가 채워져 있으므로, 세정수의 불연속한 움직임이나 교란된 움직임이 거의 없어, 안정된 상태에서 탁도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와 같이 탁도 검출부 주변에 오염물이 항상 닿아 있는 상태와는 달리, 훨씬 그 오염물이 닿아 있는 상태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탁도에 의해서, 헹굼의 회수가 결정된다.
그 후, 헹굼 공정, 건조 공정이 실행되고, 운전이 종료된다. 운전의 마지막에 배출된 후의 세정수의 잔수의 수위 위치는 탁도 검출부(14)의 위치보다 낮다. 따라서, 운전 종료 후는, 탁도 검출부(14)에 대향하는 배수 경로(12)의 볼록부(15) 주변의 내면이 세정수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오염물이 부착할 일은 없다. 또한, 마른 상태가 되므로, 곰팡이 등의 부착도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최종의 잔수는 기본적으로 깨끗하지만, 역시 다소의 오염물이 들어가 있거나, 또한 세제가 사용되지 않았거나, 적은 세제량으로 세정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특히 오염물의 잔여물이 많은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최종의 잔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탁도 검출부(14)가 배치된 것에 의해, 배수 경로(12)의 배관 내부, 특히 볼록부(15) 주변의 내면에, 피세정물로부터 씻겨 세정수에 혼입된 유분 등의 오염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 공정의 탁도의 검지의 타이밍에 대해서는, 배수하지 않는 레벨로 배수 펌프(5b)가 동작함으로써, 세정 공정의 임의의 타이밍에서의 세정수의 탁도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세정 공정의 최후의 탁도만 측정되거나, 혹은, 헹굼 공정의 탁도가 측정되는 경우는, 그 후의 배수 공정에서, 세정수가 탁도 검출부(14)의 위치보다 위에 있는 타이밍에, 배수 펌프(5b)가 정지한 상태에서, 그 안정된 상태에서의 세정수의 탁도가 측정된다. 또한, 배수의 도중의 세정수가 흐르고 있는 경우라도, 흐름이 안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탁도 검출부(14)에 의한 검지가 실행되어도, 거의 정확한 검지가 가능하다.
또한, 펌프(5)는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해 세정 펌프(5a)와 배수 펌프(5b)의 2종류의 펌프로서 기능하는 세정?배수 겸용 펌프로 했지만, 전환 밸브(8)를 구동 장치에 의해 세정측 파이프(6a)와 배수측 파이프(6b)로의 세정수의 흐름을 전환하여, 1회전 방향으로 2종류의 펌프로서 기능하는 펌프라도 상관없다.
또한, 전환 밸브를 갖는 펌프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전환 밸브가 없는 타입의 펌프나, 또한 세정 펌프와 배수 펌프가 별개의 전용 타입의 것으로 해도, 탁도 검출부(14)가 잔수보다 위에 있으므로, 잔수에 의해 오염물이 탁도 검출부(14)에 부착하는 일은 없다.
또한, 배수 펌프(5b)로부터 식기 세척기의 외측의 배수 경로(12)의 도중에 대략 연직부(18)가 마련되며, 종래와 같은 세정조(2)의 하방이 아니라, 높은 위치에 탁도 검출부(14)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세정 공정 중에 있어서도, 배수 경로(12) 내에서 세정조(2)로부터 꽤 이격된 곳에 배치되게 되며, 최초로 급수된 깨끗한 상태의 세정수가 세정조(2) 내에서의 오염된 세정수와 용이하게는 교체되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의 부착에 대하여 유리하다. 특히, 탁도 검출부가 세정의 순환 경로에 있는 것에 비하면 현격히 유리하다. 여기서, 탁도의 검출의 시간적 지연이나 탁도의 검출 정밀도의 저하는 실용상 문제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14)가, 식기 세척기의 운전에 있어서의 최종의 배수 종료시에 배수 경로(12) 내부에 잔류하는 세정수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식기 세척기의 운전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탁도 검출부(14)가 있는 배수 경로(12)의 볼록부(15)에는 잔수가 없어서, 탁도 검출부(14)가 잔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에는 접촉하지 않아도 되므로,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탁도 검출부(14)가 배치된 배수 경로(12)의 볼록부(15)에, 피세정물로부터 씻겨 세정수에 혼입된 유분 등의 오염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가 장기간에 걸쳐서 정확하고 안정되게 검출되면서, 피세정물의 오염에 따른 세정이 적절히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5)의 상하면(15b, 15a)의 내면이 경사진 것에 의해, 배수시의 세정수의 흐름에 대하여, 이 볼록부(15)의 내부에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되는 세정수에는 거품이 포함되어 있는 일이 있어, 탁도 검지의 정밀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지만, 탁도 검출부(14)의 검지시에 있어서 세정수가 도달했을 때에 발생한 거품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검지가 배수의 정지시에 실행될 때에는, 비중이 큰 이물질은 아래로 떨어지며, 비중이 작은 것은 상방으로 올라갈 수 있다. 또한, 탁도 검출부(14)에 닿은 세정수는, 세정수의 수위가 낮아졌을 경우, 확실히 하측으로 떨어져, 세정수가 탁도 검출부(14)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시에 있어서, 배수 상태에서도, 정지한 상태에서도 안정되게 정밀도가 양호한 검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볼록부(15)의 상하면(15b, 15a)의 내면의 경사 형상은, 도 4에 도시한 일정 경사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매끈하게 혹은 단계적으로 경사가 변화하는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2)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배수 경로의 볼록부 및 탁도 검출부를 도시하는 것이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측단면도이다.
배수 경로(12)의 도중의 대략 연직부(18)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직선 형상으로 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수의 흐름의 상류측의 상류 연직부(18a)와 하류측의 하류 연직부(18b)가 수평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게 하여 마련되고, 그 사이의 경사부(18c)가 매끈하게 접속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어긋나게 한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연직부(18a)와 하류 연직부(18b)의 관의 폭은 거의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류 연직부(18a)로부터 경사부(18c)에 걸치도록, 대략 연직부(18)로부터 돌출한 볼록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볼록부(16)의 배수 경로(12)[상류 연직부(18a)]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상류 연직부(18a)와 하류 연직부(18b)의 어긋남 치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해 둔다. 따라서, 배수 경로(12)는 대략 연직부(18)의 볼록부(16)의 상방에서 구부러져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그 볼록부(16)의 하면(16a)의 내면은 상기 실시형태 1의 하면(15a)의 내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상류 연직부(18a)에 접속하여, 도면과 같이 경사지게 하며, 상방은 경사부(18c)에 접속함으로써 배수 경로(12)에 직접 접속하고 있으므로, 볼록부(16)의 상방은 개구한 상태의 개구부(16b)로 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측면(16c)은 대략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2면이 평행으로 대향되어 있다.
탁도 검출부 주변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탁도 검출부(14)는 볼록부(16)를 덮도록 배치되며, 측면(16c)의 외측에 발광부(14a)와 수광부(14b)가 대향하여 마련된다. 이때, 발광부(14a)와 수광부(14b)의 거리는 그 검출 능력에 따른 적정한 거리로 설정된다. 볼록부(16)의 폭[양측의 측면(16c) 사이의 거리]은 배수 경로(12)의 대략 연직부(18)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게 되고, 배수 경로(12)의 폭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가진 볼록부(16)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탁도 검출부(14)가 필요한 적정한 거리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16)의 하면(16a)의 내면이 적절한 경사면을 갖고, 상방이 개구부(16b)로서 개구함으로써, 배수시의 세정수의 흐름에 대하여, 이 볼록부(16)의 내부에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탁도 검출부(14)의 검지시에 있어서 세정수가 도달했을 때에 발생한 거품은 상방으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하고, 또한, 검지가 배수의 정지시에 실행될 때에는, 비중이 큰 이물질은 아래로 떨어지며, 비중이 작은 것은 상방으로 보다 신속하게 올라갈 수 있다. 또한, 탁도 검출부(14)에 도달한 세정수는, 세정수의 수위가 낮아졌을 경우, 확실히 하측으로 떨어져, 세정수가 탁도 검출부(14)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시에 있어서, 배수 상태에서도, 정지한 상태에서도 더욱 안정되고 정밀도가 양호한 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볼록부(16)의 하면(16a)의 내면의 경사 형상은 도 7에 도시한 일정 경사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매끈하게 혹은 단계적으로 경사가 변화하는 것이라도 좋다.
식기 세척기로서의, 동작, 작용 및 효과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탁도 검출부를 배치한 배수 경로의 배관 내부에, 피세정물로부터 씻겨 세정수에 혼입된 유분 등의 오염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를 장기간에 걸쳐서 정확하고 안정되게 검출하면서, 피세정물의 오염에 따른 세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으므로, 세정수의 탁도 검출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등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 세정조 2a : 저수부
3 : 급수 장치 4 : 수위 센서
5 : 펌프 5a : 세정 펌프
5b : 배수 펌프 8 : 전환 밸브
9 : 세정 노즐 12 : 배수 경로
14 : 탁도 검출부 14a : 발광부
14b : 수광부 15 : 볼록부
15a : 하면 15b : 상면
15c : 측면 16 : 볼록부
16a : 하면 16b : 개구부
16c : 측면 17 : 세정 경로
18 : 대략 연직부 18a : 상류 연직부
18b : 하류 연직부 18c : 경사부

Claims (8)

  1.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상기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조 내에 급수를 실행하는 급수 장치와, 상기 세정조로부터 상기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경로와, 상기 배수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 경로 내의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를 갖고, 상기 탁도 검출부는 배수 종료시에 상기 배수 경로에 잔류하는 세정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 검출부는 상기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공정에 있어서의 세정 수위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마련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로부터 세정수를 흡입하여, 세정수를 가압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상기 세정 노즐을 연결하는 세정 경로를 추가로 갖고, 상기 펌프는 상기 세정 경로 및 상기 배수 경로 중 어느 한쪽에 세정수의 공급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를 갖는 세정?배수 겸용 펌프인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경로는 세정수가 상방으로 흐르는 대략 연직부를 갖고, 상기 대략 연직부에 배수 경로로부터 돌출시켜 볼록부를 마련하며, 상기 탁도 검출부는 상기 볼록부의 외측에 배치된
    식기 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하면에서 상기 배수 경로와 접속되며, 상기 하면이, 상기 볼록부의 돌출한 정상부보다 상기 하면의 배수 경로 접속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측면이 대략 연직인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탁도 검출부는 상기 측면의 외측에, 대향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갖는
    식기 세척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면에서 상기 배수 경로와 접속되며, 상기 상면이, 상기 볼록부의 돌출한 정상부보다 상기 상면의 배수 경로 접속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방이 상기 배수 경로로 개구되는
    식기 세척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연직부가 상류 연직부와 하류 연직부를 갖고, 상기 상류 연직부와 상기 하류 연직부가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마련되며 매끈하게 접속된
    식기 세척기.
KR1020127022065A 2010-02-25 2011-02-17 식기 세척기 KR20120123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9709 2010-02-25
JP2010039709 2010-02-25
JP2010072022A JP5257392B2 (ja) 2010-02-25 2010-03-26 食器洗い機
JPJP-P-2010-072022 2010-03-26
PCT/JP2011/000868 WO2011105029A1 (ja) 2010-02-25 2011-02-17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102A true KR20120123102A (ko) 2012-11-07

Family

ID=4450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65A KR20120123102A (ko) 2010-02-25 2011-02-17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540207B1 (ko)
JP (1) JP5257392B2 (ko)
KR (1) KR20120123102A (ko)
CN (1) CN102762141B (ko)
TW (1) TWI501745B (ko)
WO (1) WO2011105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763A (ja) * 2011-10-19 2013-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CN106108823B (zh) 2011-12-13 2020-01-10 艺康美国股份有限公司 洗碗机
CN107928584A (zh) * 2017-11-24 2018-04-2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水槽组件和具有其的洗碗机
CN112998614A (zh) * 2019-12-20 2021-06-22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洗碗机控制方法、洗碗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177A (en) * 1895-01-29 Cut-off-valve mechanism
EP0058576A1 (en) * 1981-02-18 1982-08-25 Eaton S.A.M. Sensor arrangement for a washing machine
JPH04240485A (ja) * 1991-01-25 1992-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濁度検知装置
JPH04319329A (ja) * 1991-04-19 1992-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排水濁度検知装置
GB2266898B (en) * 1992-05-09 1995-09-20 Hotpoint Ltd Washing machines
US5331177A (en) * 1993-04-26 1994-07-19 Honeywell Inc. Turbidity sensor with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capability
JP4400318B2 (ja) * 2004-06-07 2010-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ポンプおよびこのポンプを備えた食器洗い機
JP4442447B2 (ja) * 2005-01-28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08038743A (ja) * 2006-08-04 2008-02-21 Nidec Shibaura Corp ポンプおよびこのポンプを搭載した食器洗浄機
KR20080050834A (ko) * 2006-12-04 2008-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세척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62141B (zh) 2015-07-01
JP2011194183A (ja) 2011-10-06
WO2011105029A1 (ja) 2011-09-01
EP2540207A1 (en) 2013-01-02
JP5257392B2 (ja) 2013-08-07
TWI501745B (zh) 2015-10-01
EP2540207B1 (en) 2019-12-04
TW201138703A (en) 2011-11-16
EP2540207A4 (en) 2013-05-29
CN102762141A (zh)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645B1 (ko) 식기 세척기
KR101054148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101434120B1 (ko) 식기 세척기
KR20120123102A (ko) 식기 세척기
WO2011161852A1 (ja) 食器洗い機
KR102541170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KR10105297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0640870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및 그 제어방법
KR10105415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101132906B1 (ko) 식기 세척기
KR100640796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0693518B1 (ko) 식기 세척기 섬프의 거품 역류 방지 구조
JP5136523B2 (ja) 食器洗い機
KR20060027045A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JPH0938599A (ja) 洗浄機
KR20210099912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KR20180121131A (ko) 배수장치 및 이를 갖춘 식기 세척기
KR20050104919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KR20060027044A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20050122363A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KR20050102456A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JP2014057733A (ja) 食器洗浄機
JP2013085740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