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120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120B1
KR101434120B1 KR1020137002262A KR20137002262A KR101434120B1 KR 101434120 B1 KR101434120 B1 KR 101434120B1 KR 1020137002262 A KR1020137002262 A KR 1020137002262A KR 20137002262 A KR20137002262 A KR 20137002262A KR 101434120 B1 KR101434120 B1 KR 10143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dity
water
washing
cleaning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419A (ko
Inventor
게이스케 모리타
다카시 미야우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3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3Water 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0Water cloudiness or dirtiness, e.g. turbidity, foaming or level of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0Regulation of machine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 e.g. performing an additional rinsing phase, shortening or stopping of the drying phase, washing at decreased noise operation conditions

Abstract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부와, 세정조 내에 세정수를 급수하는 급수 장치와, 세정조로부터 식기 세척기 외부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 장치와, 배수 장치와 연통시켜 마련한 배수 경로를 구비한다. 또한, 배수 경로에 마련되어 배수 경로 내의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와, 탁도 검출부에서 검출한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세정부의 동작 조건을 변경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운전 개시 시에, 물 없음 상태 및 급수 장치에 의한 급수 후의 물 있음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탁도 검출부가 검출한 값을 비교한다. 이것에 의해, 물 있음 상태에서 탁도 검출부가 검출한 값을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의 기준값에 채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식기의 세정에 이용한 세정수의 탁도(투과도)를 검출하기 위한 광 센서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가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를 수용하는 세정조와, 세정조 내부에 배설된 세정 노즐과, 세정 노즐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식기의 세정을 실행할 때에는, 세정조 내에 식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세정조 내에 소정량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세정조 하부에 저류된 세정수가 세정 펌프에 의해 세정 노즐에 공급된다. 세정조 내부에 수용된 식기에 대해서,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어 식기의 세정이 실행된다. 식기에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조의 저부에 저류되고, 세정 펌프에 의해 다시 세정 노즐에 이송된다.
또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의 세정수를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배수 경로를 통해 기외로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 경로의 도중에는 탁도 검출부를 갖고 있으며, 배출되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한다. 탁도 검출부로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투과형의 광 센서가 이용된다. 그리고, 탁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식기의 세정 제어가 실행된다.
종래의 탁도 검출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급수 종료 후, 배수 경로의 도중에 마련한 탁도 검출부에 초기 물이 도달한다. 이 초기 물의 투과도(탁도)를 검출하여 그 값을 기준값으로 한다. 세정 종료 후, 탁도 검출부에 의해, 세정 종료 후에 배출되는 세정수의 투과도를 검출하여, 초기 물의 투과도로부터의 변화량을 검출한다. 이 검출된 변화량에 의해, 배수된 세정수가 어느 정도 오염되어 있는지, 즉, 세정조 내에서 세정하고 있던 식기의 오염 정도를 수치화하여 판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초기 물의 투과도를 검출할 때에, 세정조 내에 다량의 오염물이 투입되어 있었던 경우 등에는 급수에 의해 초기 물이 오염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경우, 급수 종료 후, 탁도 검출부에 오염된 초기 물이 도달한다. 이 오염된 초기 물의 투과도를 기준값으로 하여, 세정 종료 후에 배출되는 세정수의 투과도를 검출한 경우, 그 기준값으로부터의 변화량은 초기 물이 오염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변화량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올바른 오염 정도를 판정하지 못하여, 식기 등의 피세정물의 오염에 따른 적절한 세정을 할 수 없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2-319329 호 공보
본 발명은 배수 경로의 도중에 마련한 탁도 검출부로 세정수의 탁도 검출을 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세정조 내에 다량의 오염물이 투입되고, 급수 종료 후, 탁도 검출부에 오염된 물이 도달한 경우라도, 올바른 오염 정도를 판정할 수 있어서, 피세정물의 오염물에 따른 세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부와, 세정조 내에 세정수를 급수하는 급수 장치와, 세정조로부터 식기 세척기 외부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 장치와, 배수 장치와 연통시켜서 마련한 배수 경로를 구비한다. 또한, 배수 경로에 마련되어 배수 경로 내의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와, 탁도 검출부에서 검출한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세정부의 동작 조건을 변경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운전 개시 시에, 물 없음 상태 및 급수 장치에 의한 급수 후의 물 있음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 있어서, 탁도 검출부가 검출한 값을 비교한다. 이것에 의해, 물 있음 상태에서 탁도 검출부가 검출한 값을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의 기준값으로 채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의 펌프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를 볼록부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를 볼록부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탁도 검출의 초기 설정 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50)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식기 세척기 본체(1)는 내부에 세정조(2)를 갖고 있다. 급수 장치(3)가 세정조(2) 내에 물 또는 온수(세정수)를 공급한다. 급수 장치(3)는, 급수량을 제어하기 위해 세정조(2)에 연통시켜서 마련한 수위 센서(4)에 의해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면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부(13)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세정조(2)의 저부에는 저수부(2a)를 갖고 있다. 또한, 저수부(2a)에 연통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50)는 나아가 세정 노즐(9), 히터(10), 식기 바구니(11), 배수 경로(12), 탁도 검출부(14), 연직부(18) 및 세정 경로(17)를 구비하고 있다.
식기 세척기(50)의 펌프(5)에 대해서 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기(50)에 있어서의 펌프(5)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펌프(5)는 펌프 케이싱(6), 임펠러(7) 및 전환 밸브(8)를 갖고 있다. 펌프 케이싱(6)에는, 저수부(2a)의 세정수를 세정 노즐(9)로 토출하는 세정측 파이프(6a)와, 저수부(2a)의 세정수를 배수 경로(12)로 토출하는 배수측 파이프(6b)가 배치되어 있다. 전환 밸브(8)는 회전축(8a) 주위로 회동하며, 배수측 파이프(6b)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환 밸브(8)는 플랩부(8b)를 갖고 있으며, 수류의 방향에 따라 배수측 파이프(6b)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에 의해 임펠러(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세정수는 세정측 파이프(6a)쪽으로 흐르며, 펌프(5)는 세정 펌프로서 기능한다. 이때, 전환 밸브(8)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한 압력으로 배수측 파이프(6b)의 입구의 벽에 가압되어, 배수측이 닫힌 상태가 되어, 배수 경로(12)측에는 세정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반대로, 임펠러(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세정수는 전환 밸브(8)를 개방하도록 압력을 가하여, 전환 밸브(8)가 열리는 동시에 배수 경로(12)측에 세정수가 흐른다. 이 경우, 펌프(5)는 배수 펌프(배수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모터가 정지하고, 임펠러(7)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환 밸브(8)는 배수측 파이프(6b)를 닫은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펌프(5)는 세정·배수 겸용 펌프로서 기능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펌프(5)가 세정 펌프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를 세정 펌프(5a)라 기재하고, 펌프(5)가 배수 펌프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를 배수 펌프(배수 장치; 5b)라 기재한다.
식기 세척기(50)의 세정 공정에 있어서는, 세정 펌프(5a)에 의해 세정수를 식기 세척기 본체(1)의 내부에서 순환시킨다. 세정조(2) 내에 공급된 세정수는 저수부(2a)로부터 세정 펌프(5a)에 흡입되고, 세정 펌프(5a)에 의해 세정측 파이프(6a)로부터 세정 경로(17)를 통과하여, 세정조(2) 내 저부에 마련된 세정 노즐(9)에 공급된다. 세정 노즐(9)로부터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조(2) 내에 수용된 피세정물(식기 등)을 세정한 후, 다시 저수부(2a)로 되돌아오는 경로로 순환한다. 세정 펌프(5a)와 세정 노즐(9)과 세정 경로(17)로 세정부를 구성한다.
세정 노즐(9)과 세정조(2)의 저부 사이에는 세정수 가열용의 히터(10)를 장비하고 있다. 세정 노즐(9)의 상방에는, 피세정물을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피세정물에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식기 바구니(11)를 배치하여, 효율적인 세정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배수 공정에 있어서, 배수 펌프(5b)는 배수측 파이프(6b)로부터 배수 경로(12)를 통해 세정수를 기외로 배출한다. 또한, 제어부(13)가 급수 장치(3), 펌프(5) 및 히터(10) 등의 전장 부품을 구동, 제어하고 있다.
배수 펌프(5b)보다 기외측, 즉 배수가 흐르는 하류측의 배수 경로(12)의 도중에는, 배출되는 세정수가 실질적으로 상방(연직 방향)을 향해 흐르는 연직부(18)가 마련되고, 연직부(18)의 외측에,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14)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탁도 검출부(14)에 대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50)의 탁도 검출부(14)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탁도 검출부(14)를 볼록부(15)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탁도 검출부(14)를 볼록부(15)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배수 경로(12)의 도중의 연직부(18)에, 배수 경로(12)로부터 돌출시킨 볼록부(15)를 마련한다. 볼록부(15)의 하면(15a) 및 상면(15b)의 내면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경사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면(15a)의 내면은 하면(15a)의 배수 경로(12)에 접속되는 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상면(15b)의 내면은 상면(15b)의 배수 경로(12)에 접속되는 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하면(15a)의 내면은 배수 경로(12)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고, 상면(15b)의 내면은 배수 경로(12)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내측을 향하여 각각 경사져 있다(도 4 참조). 또한, 양측의 측면(15c)은 실질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2개 면이 대향하고 있다(도 5 참조).
또한, 탁도 검출부(14)는 볼록부(15)를 덮도록 배치되고, 측면(15c)의 외측에, 발광부(14a)와 수광부(14b)를 대향시켜 배치하고 있다(도 3 및 도 5를 참조). 이때, 발광부(14a)와 수광부(14b)의 거리는 그 능력에 따라 적정한 거리로 하고 있다. 볼록부(15)의 폭[양측의 측면(15c) 사이의 거리 : W1]을 배수 경로(12)의 연직부(18)에 있어서의 폭(W2)보다 작게 하고, 배수 경로(12)의 폭에 대해서 적정한 거리를 가진 볼록부(15)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탁도 검출부(14)에 의한 탁도 검출에 필요한, 적정한 거리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수 경로(12)는 세정수를 기외로 배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면적을 갖는다. 또한, 탁도 검출부(14)의 발광부(14a) 및 수광부(14b)에도, 그 입출력의 관계로부터 필요한 거리가 존재한다. 그렇지만, 탁도 검출부(14)를 배수 경로(12) 전체의 외측에 마련하고자 했을 경우에는, 발광부(14a)와 수광부(14b)의 필요 거리와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15)의 폭(W1)을 배수 경로(12)의 폭(W2)보다 작게 하여 배수 경로(12)의 폭보다 작으며, 적정한 거리를 갖는 볼록부(15)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탁도 검출부(14)에 의한 탁도 검출에 필요한 적정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배수 경로(12)의 단면적을 넓게 취하는 것에 의한 배수 능력의 확보와, 탁도 검출부(14)의 검출 정밀도의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15)의 상하에 형성된 상면(15b) 및 하면(15a)의 내면을 적절한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배수시의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볼록부(15)의 내부에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나 배수 동작에 의해 세정수가 흘러 왔을 때 발생한 거품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배수의 정지시에 탁도 검출을 실행할 때는, 비중이 큰 이물은 아래에 떨어지고, 비중이 작은 것은 상방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검출시에 있어서 안정되고 정밀도가 양호한 검출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50)에 대해서 그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세정 공정에서, 급수 장치(3)가 개방되어 급수가 개시된다. 수위 센서(4)의 검지에 근거하는 제어에 의해, 소정의 수위에 도달한 경우에, 급수 장치(3)를 닫아 급수를 완료한다. 이때, 펌프(5)를 구동하는 모터는 회전하고 있지 않으며, 전환 밸브(8)는 배수측 파이프(6b)를 닫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세정수는 펌프(5)의 내부를 통해서, 세정조(2)의 저수부(2a)에 연통하고 있는 배수 경로(12)에도 도달한다. 그리고, 탁도 검출부(14)의 위치의 배수 경로(12) 및 볼록부(15) 내에도 세정수가 채워지게 된다.
세정 공정이 개시되면, 전환 밸브(8)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배수측이 닫히고, 세정수는 배수측에 침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초기의 세정수가 배수 경로(12)에 갇힌 채로, 세정조(2) 내의 세정수의 오염을 검출할 수 없다.
세정 공정이 종료하고, 세정조(2) 내의 세정수의 오염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배수 펌프(5b)를 약간의 시간 동안 동작시키고, 그 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 내의 오염된 세정수를, 탁도 검출부(14)에 대향하는 배수 경로 부분인 볼록부(15) 주변에 침입시켜서, 그 세정수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탁도 검출부(14)에 대향하는 볼록부(15) 주변에는, 이미 급수 완료시로부터의 초기의 세정수가 채워져 있다. 따라서, 세정수의 불연속인 움직임이나 혼란스러운 움직임이 거의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탁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한 탁도에 따라서, 제어부(13)는, 예컨대 헹굼의 회수를 변경하는 등, 세정 펌프(5a), 히터(10), 급수 장치(3) 또는 배수 펌프(5b) 등의 동작 조건을 변경한다. 그 후, 헹굼, 건조 공정 등의 공정을 실행하고, 운전을 종료한다.
이하, 세정수의 탁도 검출의 방법 및 탁도 검출의 기준값의 초기 설정의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탁도 검출의 초기 설정 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50)에 있어서의 탁도 검출의 방법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운전 개시 후의 급수 후, 배수 경로(12)의 도중에 마련한 탁도 검출부(14)에 초기 물이 도달했을 때에, 탁도 검출부(14)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초기 물의 투과도(탁도)를 검출하여, 그 값을 기준값으로 한다. 세정 종료 후, 탁도 검출부(14)에 의해, 세정 종료 후에 배출되는 세정수의 투과도(탁도)를 검출하고, 기준값으로부터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배수가 어느 정도 오염되어 있는지, 즉 세정조(2) 내에서 세정하고 있던 식기의 오염 정도를 수치화하여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는 탁도 검출부(14)에서 판정한 오염 정도에 따른 조건으로, 세정 공정 종료 후의 헹굼, 건조의 각 공정을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50)에 있어서, 탁도 검출부(14)가 검출하는 투과도는 물 있음 상태가 물 없음 상태보다 높아진다고 하는 특성을 갖는다. 그렇지만, 급수 종료 후, 탁도 검출부(14)의 세정수가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 있음 상태라도 물 없음 상태보다 투과도가 낮아진다.
탁도 검출의 기준값이 되는 초기 물의 투과도를 검출할 때, 세정조(2) 내에 다량의 오염물이 투입되어 있었던 경우 등에는, 급수에 의해 초기 물이 오염되고, 급수 종료 후, 탁도 검출부에 오염된 물이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 오염된 초기 물의 투과도를 기준값으로 하면, 세정 종료 후에 배출되는 세정수의 투과도를 검출했을 때, 기준값으로부터의 변화량은 초기 물이 오염되지 않은 경우보다 작아져, 올바른 오염 정도를 판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선, 식기 세척기(50)에서는, 탁도 검출부(14)를, 발광부(14a)와 수광부(14b)를 대향시켜 마련한 광 센서로 한다.
그리고, 식기 세척기(5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개시 후[단계(S1)], 배수 전 혹은 배수 후[도 6에 있어서는 배수(단계(S2)) 후의 경우를 기재]의 물 없음 상태에서, 발광부(14a)에 소정의 초기 전압값을 공급하고, 배수 경로(12)의 도중에 마련한 탁도 검출부(14)의 수광부(14b)에 의해, 제 1 투과도의 수광 전압(T1)을 검출한다[단계(S3)].
다음에, 급수 공정을 실행하고[단계(S4)], 그 후의 물 있음 상태에서, 발광부(14a)에 동일 전압값을 공급한 상태에서, 제 2 투과도의 수광 전압(T2)을 탁도 검출부(14)의 수광부(14b)에 의해 검출한다[단계(S5)].
통상, 급수 후, 초기 물이 오염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광부(14b)의 전압값은 물 있음 상태가 물 없음 상태보다 커진다. 세정조(2) 내에 오염물이 투입되어 있고, 급수에 의해 초기 물이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물 있음 상태라도 오염 정도가 커지고, 수광부(14b)의 전압값은 물 없음 상태의 전압값보다 작아진다. 그래서, 제어부(13)는 T1과 T2를 비교하여[단계(S6)], T2>T1라면, 초기 물이 오염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여 제 2 투과도[수광 전압(T2)]를 기준값으로 채용한다[단계(S7)].
그리고, 탁도 검출부(14)의 수광부(14b)의 수광 전압(T2)이 소정의 기준 전압값이 되도록, 발광부(14a)에 공급하는 전압을 조정한다[단계(S8)]. 또한, 이 기준 전압값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록부(15)의 측면(15c)의 투과도나 발광부(14a) 및 수광부(14b)의 개체 차이나 경년 변화에 의한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서,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의 기준값(수광 전압의 기준값)으로서 설정하고 있는 것이며, 반드시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계(S7)까지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한편, 제어부(13)는, T2≤T1이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투과도[수광 전압(T2)]를 기준값으로서 채용하지 않고, 전회 운전시의 기준값을 사용하도록 제어한다[단계(S9)]. 즉, 제어부(13)는 전회 운전시에 발광부(14a)에 공급하고 있던 전압값을 사용하는 등의 제어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탁도 검출의 초기 설정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 내에 다량의 오염물이 투입되어 있고, 급수에 의해 초기 물이 오염되며, 급수 후, 탁도 검출부(14)에 오염된 물이 도달했을 경우 등이라도, 오염된 물의 투과도를 기준값으로 조정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어서, 올바른 오염 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물 없음 상태에서의 투과도를 검출하는 타이밍[단계(S3)의 타이밍]으로서는, 운전 개시 시의, 배수 전 및 배수 후의 어느 쪽이라도 좋다. 운전 개시 시의 배수 전은, 탁도 검출부(14)에는 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물 없음 상태이다. 한편, 운전 개시 시의 배수 후도, 배수 경로(12)를 잔수가 통과한 후는, 탁도 검출부(14)는 물 없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운전 개시 시의 배수 전 또는 배수 후에 검출함으로써, 어느 경우에도 물 없음 상태에서의 투과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펌프(5)를,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해, 세정 펌프(5a) 및 배수 펌프(5b)의 2종류의 펌프로 기능하는 세정·배수 겸용 펌프라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환 밸브(8)를 구동 장치에 의해 동작하여, 세정측 파이프(6a) 또는 배수측 파이프(6b)로 세정수의 흐름을 전환해서, 일회전 방향으로, 2종류의 펌프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 밸브(8)를 갖는 펌프(5)에 대해 설명했지만, 전환 밸브(8)가 없는 타입의 펌프(5)나, 또한, 세정 펌프(5a) 및 배수 펌프(5b)로서, 각각 별개의 전용 타입의 펌프를 이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50)에 의하면, 탁도 검출의 초기 설정 시퀀스에 있어서, 기준값이 되는 급수 후의 초기 물의 투과도를 검출할 때, 운전 개시 시, 배수 경로(12)의 도중에 마련한 탁도 검출부(14)에, 물 없음 상태에서 투과도를 검출시킨다. 그리고, 물 없음 상태에서의 투과도와 급수 후의 물 있음 상태에서의 투과도를 비교하여, 물 있음 상태의 투과도의 값이 물 없음 상태의 투과도의 값보다 크면, 그 값을 기준값으로 한다. 한편, 물 있음 상태의 투과도의 값이 물 없음 상태의 투과도의 값 이하인 경우에는 그 값을 기준값으로 조정하지 않고, 전회 운전시의 기준값을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 내에 다량의 오염물이 투입되고, 급수에 의해 초기 물이 오염되어, 급수 종료 후, 탁도 검출부(14)에 오염된 물이 도달했을 경우 등이라도, 이 오염된 물의 투과도를 기준값으로 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오염 정도를 검출할 수가 있어서, 피세정물의 오염을 적확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피세정물의 오염에 따른 세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 경로의 도중에 마련한 탁도 검출부에서 세정수의 탁도 검출을 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세정조 내에 다량의 오염물이 투입되어, 급수 종료 후, 탁도 검출부에 오염된 물이 도달했을 경우라도, 올바른 오염 정도를 판정할 수 있어서, 피세정물의 오염에 따른 세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 등으로서 유용하다.
1 : 식기 세척기 본체 2 : 세정조
2a : 저수부 3 : 급수 장치
4 : 수위 센서 5 : 펌프
5a : 세정 펌프 5b : 배수 펌프
6 : 펌프 케이싱 6a : 세정측 파이프
6b : 배수측 파이프 7 : 임펠러
8 : 전환 밸브 8a : 플랩부
8b : 회동축 9 : 세정 노즐
10 : 히터 11 : 식기 바구니
12 : 배수 경로 13 : 제어부
14 : 탁도 검출부 14a : 발광부
14b : 수광부 15 : 볼록부
15a : 하면 15b : 상면
15c : 측면 17 : 세정 경로
18 : 연직부 50 : 식기 세척기

Claims (2)

  1.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상기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조 내에 세정수를 급수하는 급수 장치와,
    상기 세정조로부터 상기 식기 세척기 외부로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 장치와,
    상기 배수 장치와 연통시켜 마련한 배수 경로와,
    상기 배수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 경로 내의 상기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부와,
    상기 탁도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세정수의 상기 탁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세정부, 상기 급수 장치 및 상기 배수 장치의 동작 조건을 변경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탁도 검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광 센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 검출부에 의해, 운전 개시 시에, 물 없음 상태 및 상기 급수 장치에 의한 급수 후의 물 있음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검출한 탁도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때의 상기 수광부의 수광 전압의 기준값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수광부가 운전 개시 시에 검출한 물 없음 상태의 탁도 검출값을 나타내는 수광 전압(T1)보다, 급수 후에 검출한 물 있음 상태의 탁도 검출값을 나타내는 수광 전압(T2)의 쪽이 낮은 경우, 상기 물 있음 상태의 탁도 검출값을 나타내는 수광 전압(T2)을 기준값으로 조정하지 않고, 전회 운전시의 기준값을 사용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가 운전 개시 시에 검출한 상기 물 없음 상태의 탁도 검출값을 나타내는 수광 전압(T1)보다, 급수 후에 검출한 상기 물 있음 상태의 탁도 검출값을 나타내는 수광 전압(T2)의 쪽이 높은 경우, 상기 물 있음 상태의 탁도 검출값을 나타내는 수광 전압(T2)을, 상기 세정수의 탁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때의 상기 수광부의 수광 전압의 기준값이 되도록, 상기 발광부로의 공급 전압을 조정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37002262A 2010-07-29 2011-07-20 식기 세척기 KR101434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0007 2010-07-29
JP2010170007A JP5257419B2 (ja) 2010-07-29 2010-07-29 食器洗い機
PCT/JP2011/004088 WO2012014408A1 (ja) 2010-07-29 2011-07-20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419A KR20130033419A (ko) 2013-04-03
KR101434120B1 true KR101434120B1 (ko) 2014-09-22

Family

ID=4552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262A KR101434120B1 (ko) 2010-07-29 2011-07-20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599423A1 (ko)
JP (1) JP5257419B2 (ko)
KR (1) KR101434120B1 (ko)
CN (1) CN103037748B (ko)
TW (1) TWI454240B (ko)
WO (1) WO2012014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5757A (zh) * 2014-09-01 2016-04-06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带校准功能的浊度检测系统、检测方法及洗碗机
CN104485923B (zh) * 2014-11-03 2017-09-1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浊度传感器校准控制方法和装置
CN104921683B (zh) * 2015-06-25 2017-09-1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以及基于水位检测的洗碗机控制方法与装置
CN111973122A (zh) * 2019-05-21 2020-11-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排水检测方法及其排水检测装置
CN110226906A (zh) * 2019-06-28 2019-09-13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洗碗机的浊度检测方法及检测系统
CN110879284B (zh) * 2019-12-02 2023-12-22 上海明胜品智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水质的检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114164609A (zh) * 2021-12-30 2022-03-11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涤设备的控制方法、存储介质以及洗涤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9329A (ja) * 1991-04-19 1992-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排水濁度検知装置
JPH07213473A (ja) * 1994-01-31 1995-08-15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3294A (en) * 1984-12-28 1987-03-31 Sharp Kabushiki Kaisha Washing machine
JPH04279136A (ja) * 1991-03-06 1992-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US7371288B2 (en) * 2003-07-03 2008-05-13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682636A (zh) * 2004-04-12 2005-10-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碗机的混浊度通知方法
CN1714733A (zh) * 2004-06-14 2006-01-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餐具洗涤机以及其过程控制方法
KR20080051369A (ko) * 2006-12-05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세척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003418B1 (ko) * 2007-10-22 201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7456A (ko) *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IT1392420B1 (it) * 2008-12-22 2012-03-02 Indesit Co Spa Lavastovigli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9329A (ja) * 1991-04-19 1992-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排水濁度検知装置
JPH07213473A (ja) * 1994-01-31 1995-08-15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9423A4 (en) 2013-06-05
EP2599423A1 (en) 2013-06-05
CN103037748B (zh) 2015-03-04
CN103037748A (zh) 2013-04-10
JP2012029748A (ja) 2012-02-16
KR20130033419A (ko) 2013-04-03
TWI454240B (zh) 2014-10-01
WO2012014408A1 (ja) 2012-02-02
JP5257419B2 (ja) 2013-08-07
TW201208630A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120B1 (ko) 식기 세척기
US9169592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70057678A (ko) 식기 세척기
KR20100037456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WO2011161852A1 (ja) 食器洗い機
JP5257392B2 (ja) 食器洗い機
JP5278355B2 (ja) 食器洗い機
JP2014000188A (ja) 食器洗い機
KR101581757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0129480B1 (ko) 자동 쌀세척기
KR20210099912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JP2010194029A (ja) 食器洗い機
JP4425829B2 (ja) 食器洗浄機
JP2006314501A (ja) 食器洗い機
CN114947675A (zh) 用于洗碗机的节水控制方法及洗碗机
KR20050105721A (ko) 수위 감지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20050022030A (ko)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JP5263083B2 (ja) 食器洗い機
JP2013066596A (ja) 食器洗浄機
JP2010187963A (ja) 食器洗い機
JPH05192289A (ja) 食器洗い乾燥機
JP2011045620A5 (ko)
KR20080087599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