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919A -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919A
KR20050104919A KR1020040030372A KR20040030372A KR20050104919A KR 20050104919 A KR20050104919 A KR 20050104919A KR 1020040030372 A KR1020040030372 A KR 1020040030372A KR 20040030372 A KR20040030372 A KR 20040030372A KR 20050104919 A KR20050104919 A KR 20050104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shing water
wash water
dishwash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027B1 (ko
Inventor
김찬
Original Assignee
미아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아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아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02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4Auxiliary removable stacking elements other than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B65D71/502Coaxi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수 탱크 내부에 장착된 오버플로우관의 외부에 직경이 큰 가이드관이 씌워지도록 장착되어 헹굼작업에서 낙하된 깨끗한 헹굼수의 배출을 자연스럽게 지연시켜 세척수의 사용회수를 늘려줌에 따라 세척작업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케이스(10)의 내부 하측 세척수 탱크(11)와 헹굼수 탱크(12)에 각각 저장된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11a)(12a)들에 의하여 공급관(11b)(12b)들을 통해 각각 이송되어 케이스(10)의 내부 상,하측에서 각각 회전되도록 장착된 분사관(13)의 노즐(13a)들을 통해 래크(14)에 놓여진 식기(14a)들에 차례로 분사되고, 세척수와 헹굼수는 세척수 탱크(11)로 다시 낙하되어 유입되는 시스템의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탱크(11)의 하부에 장착된 경사진 배수관(20)에는 그 상부에 배출공(31)이 뚫려진 오버플로우관(30)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세척수 탱크(11)의 상부 지지프레임(40a)에는 직경이 큰 안내관(40)이 장착되어 오버플로우관(30)의 외부에 씌워지며, 안내관(40)의 하부는 세척수 탱크(11)의 바닥에서 일정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a washing water tank of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수 탱크 내부에 장착된 오버플로우관의 외부에 직경이 큰 가이드관이 씌워지도록 장착되어 헹굼작업에서 낙하된 깨끗한 헹굼수의 배출을 자연스럽게 지연시켜 세척수의 사용회수를 늘려줌에 따라 세척작업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食器洗滌機)는 식기의 세척을 보다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세척기의 하부 탱크들에 각각 담겨진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에 의하여 공급관을 통해 이송되어 회전되는 분사관의 노즐들을 통해 세척수 및 헹굼수가 차례로 고압 분사되어 래크에 놓여진 식기들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큰 찌꺼기들이 1차 제거된 식기들을 래크에 올려놓고 세척기를 작동시키면 세척수가 노즐들을 통해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하고 이어서 세척수의 분사가 정지되면 헹굼수 탱크에 담겨진 깨끗한 물이 식기에 분사되어 식기를 깨끗하게 헹구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노즐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와 헹굼수는 모두 세척수 탱크로 낙하되어 계속 순환되면서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세척수 탱크에는 순환되는 세척수와 함께 헹굼수가 계속 낙하되어 보충되는 것이므로 세척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넘치는 물을 흘려보낼 수 있는 별도의 오버플로우 장치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 탱크(11) 하부에 형성된 배수관(20)에는 오버플로우관(30)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세척수 탱크(11)의 수위가 높아지면 오버플로우관(30)의 상측에 뚫려진 배출공(31)을 통해 하부 배수관(2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배수장치는 세척단계가 완료된 후 헹굼단계에서 낙하된 깨끗한 물이 세척수와 희석되기 전에 대부분의 양이 오버플로우관(30)의 상측 배출공(31)을 통해 곧바로 배출됨에 따라 세척수를 깨끗한 헹굼수와 희석시킬 수 없었으므로 결국 세척작업의 횟수가 증가되면 될수록 세척수가 심하게 오염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세척작업의 횟수가 증가될수록 세척수의 오염이 심화되어 장시간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으므로 결국 세척수를 교체하는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대기시간의 발생이 길어지는 것이므로 세척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없었다.
또한, 세척수의 교체를 위하여 오버플로우관(30)을 위로 잡아당기면 세척수가 좁은 배수관(20)을 통해 일시에 배출되면서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오버플로우관(30)을 통해 세척수가 역류되면서 토출되어 작업자의 신체와 옷을 더럽히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을 뿐 아니라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된 후에도 오버플로우관(30)을 다시 세척수 탱크(11)의 바닥에 장착된 좁은 배수관(20)을 통해 끼우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척수 탱크 내부에 장착된 오버플로우관의 외부에 직경이 큰 가이드관이 씌워지도록 장착되어 헹굼작업에서 낙하된 깨끗한 헹굼수의 배출을 자연스럽게 지연시켜 세척수의 사용회수를 늘려줌에 따라 세척작업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스(10)의 내부 하측 세척수 탱크(11)와 헹굼수 탱크(12)에 각각 저장된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11a)(12a)들에 의하여 공급관(11b)(12b)들을 통해 각각 이송되어 케이스(10)의 내부 상,하측에서 각각 회전되도록 장착된 분사관(13)의 노즐(13a)들을 통해 래크(14)에 놓여진 식기(14a)들에 차례로 분사되고, 세척수와 헹굼수는 세척수 탱크(11)로 다시 낙하되어 유입되는 시스템의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탱크(11)의 하부에 장착된 경사진 배수관(20)에는 그 상부에 배출공(31)이 뚫려진 오버플로우관(30)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세척수 탱크(11)의 상부 지지프레임(40a)에는 직경이 큰 안내관(40)이 장착되어 오버플로우관(30)의 외부에 씌워지며, 안내관(40)의 하부는 세척수 탱크(11)의 바닥에서 일정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의 케이스(10) 내부 하측에는 세척수 탱크(11)와 헹굼수 탱크(1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탱크(11)(12)들에 각각 저장된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11a)(12a)들에 의하여 각각의 공급관(11b)(12b)들을 통해 이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11b)(12b)들을 통해 이송된 세척수와 헹굼수는 케이스(10)의 내부 상,하측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분사관(13)의 노즐(13a)들을 통해 래크(14)에 놓여진 식기(14a)들에 차례로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13a)들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와 헹굼수는 세척단계에 의하여 세척수가 먼저 분사된 후 식기의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수의 분사가 종료되고 수초의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소량의 알코올이 첨가된 고온의 헹굼수가 식기에 분사되어 식기를 살균하고 세제를 중화시킨 후 비교적 깨끗한 상태의 헹굼수가 세척수 탱크(11)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식기세척기(1)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세척수 탱크(11)에 장착된 오버플로우관(30)의 외부에 직경이 큰 안내관(40)이 장착되어 헹굼수의 배출을 자연스럽게 지연시켜 세척수의 사용회수를 늘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세척수 탱크(11)의 하부에는 배수관(20)이 장착되어 있고, 배수관(20)은 위로부터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래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진 배수관(20)에는 오버플로우관(30)이 수직으로 끼워져 있고, 오버플로우관(30)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위로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관(30)의 하부에는 패킹(33)이 삽입되어 오버플로우관(30)과 배수관(2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관(30)의 상부에는 배출공(31)이 뚫려져 있고, 헹굼수의 낙하로 인하여 세척수 탱크(11)에서 수위가 높아지면 배출공(31)을 통해 물이 오버플로우관(30) 내부로 유입된 후 그 하부의 배수관(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 탱크(11)의 상부에는 지지프레임(40a)이 장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40a)의 양측에는 걸름망(15)이 장착되어 세척수 탱크(11)로 낙하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찌꺼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0a)의 중앙에는 오버플로우관(30) 보다 직경이 큰 안내관(40)이 장착되어 있고, 안내관(40)은 오버플로우관(30)의 외부에 씌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관(40)의 하부는 세척수 탱크(11)의 바닥에서 일정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버플로우관(30)에 뚫려진 배출공(31)의 주위는 안내관(40)에 의하여 커버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세척단계가 완료된 후 헹굼단계가 진행되면서 헹굼수가 낙하되어 세척수 탱크(11)의 수위가 높아지면 낙하된 헹굼수가 안내관(40)에 의하여 차단되어 곧바로 오버플로우관(30)의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세척수와 희석되는 단계를 거치는 동안 안내관(40)의 내부에 위치한 희석된 세척수들만 오버플로우관(30)의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므로 비교적 깨끗한 헹굼수의 배출이 최대한 지연된다.
따라서, 깨끗한 헹굼수들이 세척수에 충분히 희석된 후 하부로 이동되어 안내관(40) 내부로 유입되어야 만 오버플로우관(30)의 상부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므로 헹굼수가 세척수 탱크(11)의 하부로 이동되는 동안 세척수들에 충분히 희석되어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세척수의 사용횟수를 최대한 늘려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작업의 효율이 극대화되어 식기세척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40a)을 관통하여 고정된 안내관(40)의 상부에는 캡(50)이 결합되고, 오버플로우관(30)의 상부에 고정된 막음판(32)이 캡(50)의 상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50a)로 고정되어 오버플로우관(30)이 캡(50)의 하부에 고정되며, 안내관(40)의 양측으로 돌출된 가이드핀(41)이 캡(50)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진 가이드홈(51)들 내부에 위치되어 캡(50)을 회전시키면 경사진 가이드홈(51)이 가이드핀(41)에 접촉되면서 캡(50)이 승강되어 오버플로우관(30)의 하부가 배수관(20)에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오버플로우관(30)이 캡(5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50a)에 의하여 캡(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캡(50)의 상부에 고정된 손잡이(52)를 회전시키면 경사진 가이드홈(51)이 안내관(40)의 상부 양측 가이드핀(41)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면서 서서히 상승되는 것이므로 캡(50)에 고정된 오버플로우관(30)의 하부가 배수관(20)에서 서서히 상승되어 분리되고, 다시 캡(50)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가이드핀(41)이 가이드홈(51)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되면서 오버플로우관(30)이 다시 하강되어 그 하부가 배수관(20)의 내부에 정확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캡(50)의 손잡이(52)를 잡고 가볍게 회전시키면 오버플로우관(30)이 일정 높이 상승되어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물이 배출되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오버플로우관(30)이 완전히 배수관(20)에 이탈됨에 따라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어 물이 역류되면서 토출되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세척수가 완전히 배출된 후에는 다시 캡(50)을 반대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가이드핀(41)이 가이드홈(51)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되면서 오버플로우관(30)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되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바닥에 위치한 배수관(20)의 위치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오버플로우관(30)의 하부가 정 위치로 하강되어 배수관(20)의 내부에 정확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관(40)의 하부에는 부유물 유도판(42)이 일체로 고정되고, 유도판(42)은 위가 좁고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식으로 형성되어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 찌꺼기들을 안내관(40)으로 유도하여 배출공(31)과 오버플로우관(30)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 탱크(11)에 담겨진 세척수가 펌프(11a)에 의하여 펌핑되어 분사관(13)의 노즐(13a)로 공급되면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가 낮아지면서 수면이 유도판(42)의 하부에 위치되고, 세척작업 및 헹굼작업이 완료되어 세척수와 헹굼수가 세척수 탱크(11)로 낙하되면서 수위가 높아지면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 찌꺼기들이 유도판(42)에 의하여 안내관(40)으로 유도되어 배출공(31)을 통해 찌꺼기들이 우선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므로 세척수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있는 것으로서 세척수의 사용횟수를 획기적으로 늘려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헹굼단계가 진행되면서 헹굼수가 낙하되어 세척수 탱크(11)의 수위가 높아지면 낙하된 헹굼수가 안내관(40)에 의하여 차단되어 곧바로 오버플로우관(30)의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세척수와 희석되는 단계를 거치는 동안 안내관(40)의 내부에 위치한 희석된 세척수들만 오버플로우관(30)의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므로 비교적 깨끗한 헹굼수의 배출이 최대한 지연됨에 따라 깨끗한 헹굼수들이 세척수에 충분히 희석되어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세척수의 사용횟수를 최대한 늘려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작업의 효율이 극대화되어 식기세척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척수 탱크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 탱크가 장착된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시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 탱크가 장착된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장치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 탱크가 장착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식기세척기 10 : 케이스
11 : 세척수 탱크 11a, 12a : 펌프
11b, 12b : 공급관 12 : 헹굼수 탱크
13 : 분사관 13a : 노즐
14 : 래크 14a : 식기
15 : 걸름망 20 : 배수관
30 : 오버플로우관 31 : 배출공
32 : 막음판 33 : 패킹
40 : 안내관 40a : 지지프레임
41 : 가이드핀 42 : 유도판
50 : 캡 50a : 볼트
51 : 가이드홈 52 : 손잡이

Claims (3)

  1. 케이스(10)의 내부 하측 세척수 탱크(11)와 헹굼수 탱크(12)에 각각 저장된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11a)(12a)들에 의하여 공급관(11b)(12b)들을 통해 각각 이송되어 케이스(10)의 내부 상,하측에서 각각 회전되도록 장착된 분사관(13)의 노즐(13a)들을 통해 래크(14)에 놓여진 식기(14a)들에 차례로 분사되고, 세척수와 헹굼수는 세척수 탱크(11)로 다시 낙하되어 유입되는 시스템의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탱크(11)의 하부에 장착된 경사진 배수관(20)에는 그 상부에 배출공(31)이 뚫려진 오버플로우관(30)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세척수 탱크(11)의 상부 지지프레임(40a)에는 직경이 큰 안내관(40)이 장착되어 오버플로우관(30)의 외부에 씌워지며, 안내관(40)의 하부는 세척수 탱크(11)의 바닥에서 일정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40)은 지지프레임(40a)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그 상부에는 캡(50)이 결합되고, 오버플로우관(30)의 상부에 고정된 막음판(32)이 캡(50)의 상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50a)로 고정되어 오버플로우관(30)이 캡(50)의 하부에 고정되며, 안내관(40)의 양측으로 돌출된 가이드핀(41)이 캡(50)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진 가이드홈(51)들 내부에 위치되어 캡(50)을 회전시키면 경사진 가이드홈(51)이 가이드핀(41)에 접촉되면서 승강되어 오버플로우관(30)의 하부가 배수관(20)에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40)의 하부에는 부유물 유도판(42)이 일체로 고정되고, 유도판(42)은 위가 좁고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식으로 형성되어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 찌꺼기들을 안내관(40)으로 유도하여 배출공(31)과 오버플로우관(30)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KR1020040030372A 2004-04-30 2004-04-30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KR10057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72A KR100577027B1 (ko) 2004-04-30 2004-04-30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72A KR100577027B1 (ko) 2004-04-30 2004-04-30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919A true KR20050104919A (ko) 2005-11-03
KR100577027B1 KR100577027B1 (ko) 2006-05-10

Family

ID=3728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372A KR100577027B1 (ko) 2004-04-30 2004-04-30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2121B2 (en) * 2006-11-30 2012-08-28 Premark Feg L.L.C. Drain system for a warewa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357B1 (ko) * 2016-10-18 2017-10-27 송영일 식기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2121B2 (en) * 2006-11-30 2012-08-28 Premark Feg L.L.C. Drain system for a ware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027B1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7133B2 (en) Use of recycled wash and rinse water for the pre-rinse operation of dishes
JP5442772B2 (ja) 食器洗浄機および洗浄品目のすすぎのための方法
KR20050105706A (ko)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100577027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탱크
JP4210646B2 (ja) 食器洗浄液とすすぎ液を受容するための収集手段を備えた食器洗浄機
KR20110107517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재사용 구조
KR20040095833A (ko)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100505153B1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시스템
JP5257392B2 (ja) 食器洗い機
KR20140110109A (ko) 콩나물 세척 장치
US20110120503A1 (en) Rinsing/sanitiz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KR101315288B1 (ko) 세척수 및 헹굼수 재활용을 위한 식기세척기
KR20070033129A (ko) 웨이퍼용 척 세정장치
CN210263249U (zh) 一种清洗槽
KR200441600Y1 (ko) 안전형 헹굼 수조를 갖는 업소용 식기 세척기
KR200425237Y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폐온수 이용구조
KR102006154B1 (ko) 수압식 식기세척기의 세척수를 이용한 애벌용 식기세척기
KR200281679Y1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시스템
KR100658846B1 (ko) 식기 세척기의 탑노즐 연결부 구조
KR200368995Y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조
JP2002325716A (ja) 食器洗い機
KR960002221Y1 (ko) 기포세척조를 탑재한 식기세척기
JPH08206053A (ja) 食器洗浄機内への洗浄剤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6219674A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20050105705A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