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045A -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045A
KR20060027045A KR1020040075850A KR20040075850A KR20060027045A KR 20060027045 A KR20060027045 A KR 20060027045A KR 1020040075850 A KR1020040075850 A KR 1020040075850A KR 20040075850 A KR20040075850 A KR 20040075850A KR 20060027045 A KR20060027045 A KR 20060027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low path
drain
washing water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161B1 (ko
Inventor
한대영
윤상헌
박능서
김혁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161B1/ko
Priority to US11/070,291 priority patent/US7730897B2/en
Priority to RU2006140245/12A priority patent/RU2339292C2/ru
Priority to EP11180394.6A priority patent/EP2399501B1/en
Priority to AU2005283213A priority patent/AU2005283213B2/en
Priority to EP05808756A priority patent/EP1788922A1/en
Priority to CN2010102315737A priority patent/CN101884521B/zh
Priority to CN200580013955XA priority patent/CN1950015B/zh
Priority to US10/554,864 priority patent/US7726324B2/en
Priority to JP2007532239A priority patent/JP4740247B2/ja
Priority to PCT/KR2005/003051 priority patent/WO2006031064A1/en
Priority to CN2010102315686A priority patent/CN101884520B/zh
Publication of KR2006002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4Flat filt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의 필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와 오물 챔버 내에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수 및 소비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척수가 수용되는 섬프;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세척 펌프; 상기 세척 펌프에서 펌핑된 세척수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배수 챔버를 갖는 배수 펌프; 그리고, 상기 배수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 펌프에 수용된 세척수가 유입되어 필터링되도록 오물 챔버를 갖는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를 제공한다.
식기 세척기, 구동부, 배수 펌프, 샘플링 유로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driving apparatus of dishwasher}
도 1은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동부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4는 도 2의 구동부에서 세척수의 유동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a는 도 2의 구동부에서 하부 분사암에 일부의 세척수를 공급할 때의 세척수의 유동을 나타낸 상면도.
도 5b는 도 2의 구동부에서 상부 분사암에 일부의 세척수를 공급할 때의 세척수의 유동을 나타낸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에 관한 다른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섬프에 필터링 하우징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A"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구동부에서 배수 챔버와 샘플링 유로 및 연결 유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2a은 도 8의 구동부의 세척 행정시 상부 분사암에 일부의 세척수를 공급할 때에 세척수의 유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b는 도 8의 구동부의 배수 행정시 세척수의 유동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섬프 110 : 배수 챔버
112 : 연결부 200 : 세척 펌프
220 : 임펠러 300 : 배수 펌프
400 : 필터링 하우징 410 : 하부 하우징
411 : 임펠러 안착부 412 : 오물 챔버
413 : 연결 유로 414 : 결합부
420 : 상부 하우징 424 : 샘플링 유로
500 : 커버 510 : 필터부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물 챔버에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수 및 소비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크게 터브(1)의 내부에는 상/하부 분사암(4,5), 상/하부랙(6,7) 및 구동부(10) 등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0)에는 세척수를 펌핑하기 위한 상/하부 연결관(2,3)과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9)가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 연결관(2,3)에는 상/하부 분사암(4,5)이 연결된다. 상기 상부 분사암(4)의 상측에는 상부 랙(6)이, 상기 하부 분사암(5)의 상측에는 하부 랙(7)이 설치된다.
상기 상/하부 분사암(4,6)은 구동부(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분사암에는 해당 랙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공이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 분사암에는 구동부의 필터에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를 떨어 내도록 별도의 분사공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구동부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섬프(20)와, 상기 섬프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데우는 히터(30)와, 상기 섬프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세척 펌프(40)와, 상기 섬프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 펌프(50)와, 상기 펌핑된 세척수 중 일부를 분사암으로 안내하고, 나머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섬프(20)에는 실질적으로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세척수 수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와 구획되도록 배수 챔버(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는 유로 제어 장치(25)가 설치되고, 상기 유로 제어 장치에는 유로 제어 밸브(26)가 축결합된다.
상기 세척 펌프(40)는 섬프(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세척 모터(41)와, 상기 필터링 수단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임펠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는 세척 모터의 샤프트에 축결합된다.
상기 배수 펌프(50)는 섬프의 배수 챔버(22)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수 펌프는 배수 모터와 임펠러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링 수단은 임펠러(42)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 펌프 하우징(60)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측을 덮도록 설치되는 필터링 하우징(70)과, 상기 필터링 하우징과 섬프의 상측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링 하우징에는 오물 챔버(75) 등이 형성되고, 상기 오물 챔버에는 배수 챔버(22)과 연통되도록 배수부(75a)가 형성된다. 이때, 배수부(75a)는 오물 챔버(75)의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배수 챔버(22)에 삽입된다. 이러한 필터링 하우징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80)에는 필터링 하우징(60)의 오물 챔버(75)에 대응되도록 필터(81)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81) 외측에는 다수개의 회수홀(82)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수홀(82)은 섬프(20)와 연통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링 하우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링 하우징(70)에는 임펠러(42)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세척수 유입부(72)와, 상기 세척수 유입부에 연결되는 메인 유로(73a,73b) 및 샘플링 유로(74)와, 상기 샘플링 유로에 연결되는 오물 챔버(75) 등이 형성된다. 이때, 오물 챔버의 배수부(75a)에는 배수 행정시 오물 챔버의 세척수와 음식물 찌 꺼기를 배수 챔버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용 밸브가 설치된다.
또한, 필터링 하우징(70)의 세척수 유입부(72)에는 메인 유로를 개폐하도록 유로 제어 밸브(26)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유로 제어 밸브는 섬프(20)에 설치된 유로 절환 장치(25)에 축결합된다. 이때, 상기 유로 제어 밸브(26)의 테두리에는 메인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용 리브(26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링 하우징(70)의 샘플링 유로(74)에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오염도 센서(27)가 설치된다. 이러한 오염도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해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예비세척, 본세척, 헹굼, 가열헹굼 및 건조 행정을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하면서 식기를 세척한다. 이러한 각 행정 사이에는 배수 행정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세척 행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세척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세척 모터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임펠러(42)가 회전된다. 이러한 임펠러는 도 4와 같이 섬프(20)의 세척수(세제 포함)를 펌프 하우징(60)의 세척수 유입부(72)로 펌핑시킨다.
이때, 상기 유로 제어 장치(25)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로 제어 밸브(26)는 2개의 메인 유로(73a,73b)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유입부(72)의 세척수 중 일부는 메인 유로(73a,73b)를 통해 상기 상부 및/또는 분사암(4,6)에 유입되고, 나머지는 샘플링 유로(74)를 통해 오물 챔버(75)에 유입된다.
먼저, 세척수의 일부가 메인 유로(73a,73b)를 통해 분사암에 유입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랙의 식기류를 세척하는 경우에, 상기 유로 제어 밸브(26)는 도 5a와 같이 개폐용 리브(26a)가 상부 분사암과 연결된 메인 유로(73b)를 폐쇄시키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세척수 유입부(72)에 유입된 세척수는 개방된 메인 유로(73a)를 통해 하부 분사암에 공급된다.
또, 상부 랙의 식기류를 세척하는 경우에, 상기 유로 제어 밸브(26)는 도 5b와 같이 개폐용 리브(26a)가 하부 분사암과 연결된 메인 유로(73a)를 폐쇄시키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유입부(72)에 유입된 세척수는 개방된 메인 유로(73b)을 통해 상부 분사암에 공급된다.
또, 상/하부 랙의 식기를 세척하는 경우에, 상기 유로 제어 밸브(26)는 상/하부 분사암 모두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2개의 메인 유로(73a,73b)가 동시에 개방되거나 교번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유입부에 유입된 세척수는 상/하부 분사암에 동시적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교번으로 공급된다.
상기 상부 또는/및 하부 분사암에 공급된 세척수는 상부 또는/및 하부 랙에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한다.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는 커버(80)에 떨어지고, 이 세척수는 커버(80)의 회수홀(82)를 통해 섬프(20)에 회수된다.
다음으로, 나머지 세척수가 샘플링 유로(74)를 통해 오물 챔버(75)에 유입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샘플링 유로(74)에는 유로 제어 밸브(26)가 어느 메인 유로를 개방시키 는 것에 상관없이 항상 세척수의 일부가 유입된다.
상기 샘플링 유로의 세척수는 오염도 센서를 거쳐 오물 챔버(75)에 유입되고, 이 세척수는 오물 챔버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필터(81)를 통해 오버 플로우(over flow)된다. 이때, 상기 필터(81)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렇게 필터링된 세척수는 커버(80)의 회수홀(82)을 통해 다시 섬프(20)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필터(81)에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는 하부 분사암(6)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필터(81)에서 떨어진다.
이와 같이 필터링된 세척수는 짧은 시간 동안에는 일부만이 필터링되는 것 같지만, 본세척 행정 동안에 전체적으로 거의 모든 세척수가 필터링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섬프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샘플링 유로를 통해 오물 챔버에 직접 유입되므로, 상기 오물 챔버에 큰 오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커버의 필터가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필터가 막히면 상기 오물 챔버에 수압이 크게 작용하므로, 상기 오물 챔버의 세척수가 배수호스를 통하여 배수되어 세척수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이렇게 세척수가 불필요하게 배수되면 세척수를 다수 보충해야 하고, 가열 세척시 보충된 세척수를 히터에 의해 가열해야 한다. 따라서, 소비전력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커버의 필터가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므로, 상기 필터에 피로가 누적되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물 챔버 내에 수압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물 챔버에 수압이 높아짐에 따라 세척수가 불필요하게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의 변형을 방지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르면, 세척수가 수용되는 섬프;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세척 펌프; 상기 세척 펌프에서 펌핑된 세척수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배수 챔버를 갖는 배수 펌프; 그리고, 상기 배수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 펌프에 수용된 세척수가 유입되어 필터링되도록 오물 챔버를 갖는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 챔버는 배수 펌프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섬프에는 배수 펌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배수 챔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척수가 펌핑되는 부분과 배수 챔버가 연결되도록 샘플링 유로가 형 성되고, 상기 배수 챔버와 오물 챔버가 연결되도록 연결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링 수단은, 임펠러 안착부, 오물 챔버, 샘플링 유로 및 연결 유로를 가지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오물 챔버에 대응되도록 필터부가 배치된 커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은, 임펠러 안착부, 오물 챔버 및 연결 유로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과, 샘플링 유로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 챔버에는, 섬프와 연통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에는 배수 행정시 배수홀을 개방시키도록 체크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는 펌핑된 세척수의 일부가 배수 펌프(110)를 경유하여 오물 챔버(412)에 유입되어 필터링되도록 유로(424,425)를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구동부는 배수 펌프(300)를 경유하는 유로(424,425)를 가지는 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섬프(100)와 오물 챔버(412)가 분리되게 배치되거나, 또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섬프 내에 오물 챔버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 펌프(300)는 섬프(100)와 오물 챔버(412)에서 분리되게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세척 펌프의 임펠러(220)는 섬프의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섬프(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섬프에는 분사암으 로 펌핑된 세척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회수홀(520)이 배치되고, 상기 오물 챔버(412)에는 오물 챔버의 세척수가 오우버 플로우되면서 필터링되도록 필터부(510)가 배치된다. 여기서, 섬프 내에 오물 챔버가 배치되는 구동부는 부피를 감소시키고 설치상의 편의성 때문에 식기 세척기에 통상적으로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섬프 내에 오물 챔버가 배치되는 구동부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에 관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섬프(100)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세척 펌프(200 : 도 7 참조)와, 상기 세척 펌프에서 펌핑된 세척수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배수 챔버(110)를 갖는 배수 펌프(300 : 도 7 참조)와, 상기 배수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 펌프에 수용된 세척수가 유입되어 필터링되도록 오물 챔버(412)를 갖는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섬프(100)의 내부에는 세척수 수용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 수용부(120)와 구획되도록 배수 챔버(110)가 형성된다. 이때, 배수 챔버(110)는 배수 펌프(300)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챔버에는 배수 행정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부(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 챔버의 구조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링 수단은 임펠러 안착부(411), 오물 챔버(412), 샘플링 유로(424) 및 연결 유로(미도시)를 갖는 필터 하우징(400)과, 상기 필터 하우징(4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오물 챔버(412)에 대응되도록 필터부(510)가 배치되는 커버 (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샘플링 유로(424)는 임펠러 안착부(411)와 배수 챔버(11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필터링 수단은 세척수를 필터링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세척수를 분사암으로 안내하는 기능과, 세척수를 섬프(100)로 회수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필터링 수단은 오로지 세척수를 필터링만 한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편의상 부여된 명칭에 불과하다.
상기 필터 하우징(400)은 임펠러 안착부(411), 오물 챔버(412) 및 연결 유로(미도시)를 갖는 하부 하우징(410)과, 샘플링 유로(424)를 갖는 상부 하우징(42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 하우징(410)에는 임펠러 안착부(411)와 오물 챔버(412)가 형성된다. 이때, 오물 챔버(412)는 임펠러 안착부(411)의 둘레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임펠러 안착부의 위치는 세척 모터의 샤프트(2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420)에는 임펠러 안착부(411)의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세척수 유입부(421)가 형성되고, 세척수 유입부(421)에는 메인 유로(422,423)와 샘플링 유로(424)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410)에는 결합부(414)가 형성되고, 상기 섬프의 배수 챔버(110)에는 상기 결합부(414)에 대응되도록 연결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414)와 연결부(112)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샘플링 유로(424)의 세척수가 배수 챔버(110)를 경유하여 오물 챔버(412)에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로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500)는 오물 챔버(412)의 상면을 덮도록 필터부(510)를 갖고, 테두리에 섬프(100)와 연통되도록 회수홀(520)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관(미도 시)과 결합되도록 어뎁터부(530,540)를 갖고, 상기 연결관에는 상하부 분사암(미도시)이 연결된다.
한편, 상/하부 하우징(410) 중 어느 하나에 오물 챔버(412), 샘플링 유로(424) 및 연결 유로(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부 하우징(410)과 상부 하우징(420)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커버(500)와 상부 하우징(420)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섬프(100)에 필터 하우징(400)이 결합된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400)은 보스에 의해 섬프(1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400)의 결합부(414)는 배수 챔버(110)의 연결부(11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유로 제어 밸브(120)는 세척수 유입부(421)에 배치되고, 상기 오염도 센서(130)는 샘플링 유로(424)상에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샘플링 유로와 연결 유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링 수단에는 세척수가 펌핑되는 부분(예 : 임펠러 안착부)과 배수 챔버(110)가 연결되도록 샘플링 유로(424)가 형성되고, 배수 챔버(110)와 오물 챔버(412)가 연결되도록 연결 유로(425 : 도 10 참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414)에는 샘플링 유로의 하류측 일부(424a)와 연결 유로(425)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414)의 내부는 수직하게 구획되어 샘플링 유로의 하류측 일부(424a)와 연결 유로(425)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샘플링 유로(424)와 연결 유로(425)는 배수 챔버(110)를 기준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로와, 토출되는 유로를 구별하 여 칭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샘플링 유로(424)와 연결 유로(425)는 실질적으로 배수 챔버를 경유하는 하나의 유로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배수 챔버(11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수 챔버(110)에는 섬프(100)와 연통되도록 배수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113)을 개폐하도록 체크 밸브(11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체크 밸브(114)는 세척 행정시 화살표와 같이 세척수의 수압(F)에 의해 닫혀 있고, 배수 행정시 배수 펌프(300)의 흡입력에 의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a를 참조하여 본세척 행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세척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세척 펌프(20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임펠러(220)가 회전된다. 이러한 임펠러(220)는 섬프(100)의 세척수를 임펠러 안착부(411)로 유입시키고, 이 세척수는 필터 하우징(400)의 세척수 유입부(421)에 펌핑된다.
상기 세척수 유입부(421)의 세척수는 상기 유로 제어 밸브(120)를 회전시킴에 의해 메인 유로(422,423)들을 선택적, 동시적 또는 교번으로 개폐시킨다. 이때, 상기 펌핑된 세척수 중 일부의 세척수는 메인 유로(422,423)들을 통해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분사암에 유입된다. 도 10a는 상부 분사암에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펌핑된 세척수 중 나머지는 샘플링 유로(424)에 유입된다. 이때, 샘플 링 유로(424)에는 유로 제어 밸브(120)가 어느 메인 유로(422,423)를 개방시키는 것에 상관없이 세척수가 유입된다.
상기 샘플링 유로(424)의 세척수는 결합부(414)의 샘플링 유로(424)를 통해 배수 챔버(110)에 유입된다. 이때, 세척수 중 큰 음식물 찌꺼기는 배수 챔버(110) 내에 가라앉게 되므로, 상기 배수 챔버에서는 음식물 찌꺼기가 1차적으로 걸러진다. 이러한 배수 챔버는 세척 행정시에 침수조 역할을 수행한다.
배수 챔버(110)의 세척수는 결합부의 연결 유로(425)를 통해 오물 챔버(412)에 유입된다. 이때, 오물 챔버(412)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고, 음식물 찌꺼기의 유입량도 감소된다. 따라서, 오물 챔버(412)에는 종래에 비해 수압이 상대적으로 작게 작용하고, 커버의 필터도 상대적으로 덜 막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크 밸브(114)는 배수 챔버(110)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배수홀(113)을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 챔버(110)의 세척수가 배수홀(113)을 통해 섬프(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오물 챔버(412)에 유입된 세척수는 필터를 통해 오버 플로우(overflow)된다. 이때, 상기 커버(500)의 필터는 세척수에 포함된 작은 음식물 찌꺼기를 2차적으로 걸러낸다. 필터링된 세척수는 커버(500)의 배수홀(113)을 통해 다시 섬프(100)로 유입된다. 여기서, 임펠러(220)의 펌핑력은 세척수를 배수 챔버(110)를 경유하여 오물 챔버(412)에 유입되도록 하는 수압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세척행정이 완료된 후에는 배수 행정이 시작된다. 도 12b를 참조하여 배수 행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배수 펌프(300)가 가동된다. 이때, 상기 배수 펌프(3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체크 밸브(114)는 배수홀(113)을 개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섬프(100)의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는 배수 챔버(110)에 유입된다. 동시에, 상기 오물 챔버(412)에 있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도 배수 챔버(110)에 유입된다. 배수 챔버(110)에 유입된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는 배수부(111)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샘플링 유로의 세척수는 배수 챔버를 경유하여 오물 챔버에 유입되므로, 상기 세척수 중의 큰 음식물 찌꺼기는 배수 챔버에 침전된다. 따라서, 상기 상기 오물 챔버에 큰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오물 챔버에 큰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필터가 막히는 것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가 막히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셋째, 커버의 필터가 막혀 오물 챔버에 수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에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커버의 필터가 막힌 경우에도 상기 섬프의 배수 챔버에 의해 완충되므로, 상기 오물 챔버에 수압이 급격히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체크 밸브는 세척 행정시 세척 펌프의 수압에 의해 폐쇄되고 배수 행정시 배수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개방되므로, 세척 행정시 세척수가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세척수가 수용되는 섬프;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세척 펌프;
    상기 세척 펌프에서 펌핑된 세척수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배수 챔버를 갖는 배수 펌프; 그리고,
    상기 배수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 펌프에 수용된 세척수가 유입되어 필터링되도록 오물 챔버를 갖는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챔버는 배수 펌프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에는 배수 펌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배수 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4. 제3항에 있어서,
    세척수가 펌핑되는 부분과 배수 챔버가 연결되도록 샘플링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 챔버와 오물 챔버가 연결되도록 연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단은:
    임펠러 안착부, 오물 챔버, 샘플링 유로 및 연결 유로를 가지는 필터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오물 챔버에 대응되도록 필터부가 배치된 커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유로는 임펠러 안착부와 배수 챔버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임펠러 안착부, 오물 챔버 및 연결 유로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 그리고,
    샘플링 유로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챔버에는 배수 챔버와 연통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샘플링 유로의 하류측 일부와 연결 유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수 챔버의 연결부에 대응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유로의 하류측 일부와 연결 유로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샘플링 유로의 하류측 일부와 연결 유로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챔버에는 섬프와 연통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에는 배수 행정시 배수홀을 개방시키도록 체크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20040075850A 2004-09-17 2004-09-22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0617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850A KR100617161B1 (ko) 2004-09-22 2004-09-22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US11/070,291 US7730897B2 (en) 2004-09-22 2005-03-03 Dishwasher
EP11180394.6A EP2399501B1 (en) 2004-09-17 2005-09-15 Dishwasher
AU2005283213A AU2005283213B2 (en) 2004-09-17 2005-09-15 Dishwasher
EP05808756A EP1788922A1 (en) 2004-09-17 2005-09-15 Dishwasher
CN2010102315737A CN101884521B (zh) 2004-09-17 2005-09-15 洗碗机
RU2006140245/12A RU2339292C2 (ru) 2004-09-17 2005-09-15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CN200580013955XA CN1950015B (zh) 2004-09-17 2005-09-15 洗碗机
US10/554,864 US7726324B2 (en) 2004-09-17 2005-09-15 Dishwasher
JP2007532239A JP4740247B2 (ja) 2004-09-17 2005-09-15 食器洗い機
PCT/KR2005/003051 WO2006031064A1 (en) 2004-09-17 2005-09-15 Dishwasher
CN2010102315686A CN101884520B (zh) 2004-09-17 2005-09-15 洗碗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850A KR100617161B1 (ko) 2004-09-22 2004-09-22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045A true KR20060027045A (ko) 2006-03-27
KR100617161B1 KR100617161B1 (ko) 2006-08-31

Family

ID=3607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850A KR100617161B1 (ko) 2004-09-17 2004-09-22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30897B2 (ko)
KR (1) KR100617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86B1 (ko) * 2007-12-10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와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81B1 (ko) * 2006-09-27 2013-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292538B1 (ko) * 2007-03-15 201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8808463B2 (en) * 2009-05-28 2014-08-1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recycling a rinse aid to precondition soils
CN104665739A (zh) * 2015-02-02 2015-06-03 深圳市科鸿环保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洗碗机
KR102359166B1 (ko) * 2017-03-20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476A (en) 1957-07-31 1962-07-18 Bulpitt And Sons Ltd Improvements in dish-washing machines
US4150680A (en) * 1978-05-26 1979-04-2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soil separator
AU527001B2 (en) 1978-12-29 1983-02-10 Hobart International Inc. Warewasher bypass soil collector
US4243431A (en) * 1979-06-14 1981-01-0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soil separator
US4392891A (en) * 1980-07-02 1983-07-12 Hobart Corporation Dishwasher soil collecting circuit
US4448359A (en) * 1982-06-10 1984-05-15 Hobart Corporation Combination drain pump and grinding apparatus
IT211726Z2 (it) 1987-04-08 1989-04-07 Zanussi Elettrodomestici Macchina lavastoviglie con filtro di ricircolo atupoulente.
SU1738259A1 (ru) 1990-05-07 1992-06-07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Волгоградский тракторный завод им.Ф.Э.Дзержинского" Машина дл мойки посуды
US5377707A (en) * 1993-11-01 1995-01-03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ishwasher pump and filtration system
DE4418523A1 (de) 1994-05-27 1995-11-30 Licentia Gmbh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 mit schwimmergesteuerter Siebkombination
IN186362B (ko) * 1995-07-01 2001-08-18 Lg Electronics Inc
US5779812A (en) * 1995-08-25 1998-07-14 Whirlpool Corporation Multi-mesh mechanical filter screen system for dishwashers
US5803100A (en) * 1995-08-25 1998-09-08 Whirlpool Corporation Soil separation channel for dishwasher pump system
KR970010423B1 (ko) * 1995-09-19 1997-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GB9525590D0 (en) * 1995-12-14 1996-02-14 British Gas Plc Pipe repair clamp
US5909743A (en) * 1997-09-10 1999-06-08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purge filtration system for a dishwasher
US6182674B1 (en) * 1996-11-19 2001-02-06 Whirlpool Corporation Pump and soil collection system for a dishwasher
KR19980057987A (ko) 1996-12-30 1998-09-25 배순훈 전자렌지의 온도제어 방법
KR200196942Y1 (ko) 1998-07-23 2000-12-01 윤종용 식기세척기
US6418943B1 (en) * 1999-06-04 2002-07-16 Whirlpool Corporation Wash liquid circulation system for a dishwasher
KR100339370B1 (ko) 2000-01-31 2002-06-03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펌프 시스템
US7028697B2 (en) * 2002-05-03 2006-04-18 Whirlpool Corporation In-sink dishwasher
KR100457589B1 (ko) * 2002-11-28 200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유로개폐장치
KR100606823B1 (ko) * 2004-05-28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US7409962B2 (en) * 2004-08-31 2008-08-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pump with integrated inlet/outlet por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86B1 (ko) * 2007-12-10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와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30897B2 (en) 2010-06-08
KR100617161B1 (ko) 2006-08-31
US20060060225A1 (en)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823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101283781B1 (ko) 식기 세척기
KR20050062145A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JP4740247B2 (ja) 食器洗い機
US20070119488A1 (en) Dish washer with disc type passage control valve
JP2008513092A5 (ko)
US7730897B2 (en) Dishwasher
KR101268784B1 (ko) 식기 세척기
KR20100000205A (ko) 식기세척기
KR100640870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및 그 제어방법
KR100617123B1 (ko) 식기세척기의 구동부
KR100686096B1 (ko) 식기 세척기
KR100640796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0640797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0686111B1 (ko) 식기세척기의 구동부
KR100628163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EP1973459B1 (en) Dish washer
KR100640897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101169274B1 (ko)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KR100800001B1 (ko) 식기 세척기
KR100539564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1052780B1 (ko) 식기세척기
KR101304682B1 (ko) 식기 세척기
KR20060011279A (ko) 식기 세척기의 보조 오물 걸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