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301A -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301A
KR20120121301A KR1020110039202A KR20110039202A KR20120121301A KR 20120121301 A KR20120121301 A KR 20120121301A KR 1020110039202 A KR1020110039202 A KR 1020110039202A KR 20110039202 A KR20110039202 A KR 20110039202A KR 20120121301 A KR20120121301 A KR 2012012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imer composition
shoe material
adhesive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673B1 (ko
Inventor
천제환
정부영
천정미
오상택
김태균
이원기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03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67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26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28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bstract

본 발명은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6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2.5 중량% 및 나노복합재 0.5~1.5 중량%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주성분에 점착 부여제 0.5~1.5 중량%를 첨가하고, 용제 88.5~96 중량%로 용해시켜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프라이머 조성물의 젖음성 및 응집력이 향상되어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난접착 신발 소재의 접착력이 향상되며,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에 용제를 사용함에 있어, 페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유해성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난접착 신발 소재와 접착제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분자설계로부터 조성물의 종류와 조성비를 선정하고, 또한 방향족 탄화수소계를 제외한 용제와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부품과의 상용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Description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PRIMER COMPOSITION FOR DIFFICULTY ADHESION SHOE MATERIAL}
본 발명은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접착 신발 소재인 생분해성 에텔렌비닐아세테이트계 폼 등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유해성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신발산업에서는 신발용 부품으로 에텔렌비닐아세테이트계 폼 소재가 미드솔 및 인솔 용도로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소재가 비극성이기 때문에 접착이 어려워 통상적으로 프라이머 처리에 의한 표면처리를 한 후 UV를 조사하고 프라이머 및 접착제 순으로 도포하여 신발용 부품들을 접착하고 있지만 저장 안정성 및 접착력을 신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에텔렌비닐아세테이트계 폼 소재와 같은 난접착 신발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극성 용제를 사용하여 프라이머를 제조하였으나 이는 작업자들의 건강을 저해하고 작업시 불쾌감을 유발하며 환경보호의 측면에서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가능한 자극적인 용제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프라이머의 접착력 등 접착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개발들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8473호와 같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선출원하였으며, 상기 선출원된 프라이머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증진제, 실란 커플링제, 저독성 용제를 사용하여 프라이머를 제조함으로써, 난접착성 신발소재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작업자가 휘발성 유독 유기용제로부터 받는 위생성의 피해를 감소시켜 쾌적한 작업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최근 각종 산업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 소재들은 기능성과 환경친화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제품 사용 후 생태계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 부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분해가 되지 않는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에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등을 30~40%정도 사용하여 생분해성 신발용 폼을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8473호와 같은 프라이머 조성물은, 에텔렌비닐아세테이트계 폼 소재와 같은 난접착 신발 소재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폴리락트산 등의 생분해성 물질이 포함된 난접착 신발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 이유는, 폴리락트산 등의 생분해성 물질이 포함된 난접착 신발 소재에 단순히 방향족계 저독성 용제를 사용하면 프라이머의 주성분인 폴리머의 용해가 쉽지 않고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에 젖음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치수안정성이 저하되고 부품 표면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난접착 신발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해성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부재한 실정이며, 이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나노복합재, 점착부여제 및 3종 이상의 용제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그 젖음성 및 응집력을 향상시켜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난접착 신발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에 용제를 사용함에 있어, 페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유해성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난접착 신발 소재와 접착제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분자설계로부터 조성물의 종류와 조성비를 선정하고, 또한 방향족 탄화수소계를 제외한 용제와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부품과의 상용성을 개선시킨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6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2.5 중량%, 나노복합재 0.5~1.5 중량%, 점착 부여제 0.5~1.5 중량% 및 용제 88.5~96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도가 10~50 중량%이고 연화점이 40~120℃인 염화폴리프로필렌 또는 염화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를 5~30 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화합물이다.
아울러, 상기 나노복합재는,PEGMA/(Na-MMT)-co-MMA/MA 나노복합재로써,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PEGMA,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를 소듐 몬모릴로나이트(Na-MMT, Na-montmorillonite)의 층간에 삽입한 후, 메타크릴산메틸(MMA, Methyl Methacrylate) 및 아크릴산메틸(MA, Methyl Acrylate) 단량체와의 공중합시킨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용제는, 노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메탄올, 싸이클로헥산, 메틸싸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3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나노복합재, 점착부여제 및 3종 이상의 용제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소재가 사용되는 분야인 신발 산업, 가구 산업 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6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2.5 중량%, 나노복합재 0.5~1.5 중량%, 점착 부여제 0.5~1.5 중량% 및 용제 88.5~96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피착재의 표면젖음성 및 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며, 2~6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질된 염화폴리올렌핀 수지 함량이 2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기재에 대한 부착성, 내알칼리성 등의 화학적 성능이 저하되어 접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이 6 중량%를 초과하면 고가의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사용량에 따른 가격이 상승하므로 이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상승 정도를 고려할 때 제적으로 타당하지 않으며. 또한 수지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고 작업성 및 용제에 대한 용해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를 개질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염화도가 10~50 중량%이고 연화점이 40~120℃인 염화폴리프로필렌이나 염화폴리에틸렌 등의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를 5~30 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중합하는데, 액시드계 모노머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선처리제의 접착력이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될 경우 분자량이 작아져 오히려 피착제에 대한 계면 응집력이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시드계 모노머로는 카르복실산, 염산, 옥살산, 말산, 안식향산, 황산, 아미노산, 구연산, 아스코르브산, 질산, 아세트산류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라프트 중합 시, 반응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를 희석시킨 메틸에틸케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접착강도, 내노화성, 응집력이 우수하고 높은 강도를 발현하는 수지로서, 취급하기에 용이하고 다른 수지와의 혼합이 용이한데 이를 1.0~2.5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응집력이 저하되어 접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프라이머의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떨어져 접착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의 사용량이 많아져 경제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나노복합재는 프라이머의 응집력 및 젖음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사용하며, 그 사용량은 0.5~1.5 중량%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복합재 함량이 0.5 중량% 미만일 때는 첨가 효과가 떨어져 프라이머의 응집력이 떨어지며 1.5 중량%를 초과 사용하였을 때는 나노복합재에 포함되어 있는 나노 무기물에 의해 프라이머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나노복합재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PEGMA,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를 소듐 몬모릴로나이트(Na-MMT, Na-montmorillonite)에 삽입한 후, 메타크릴산메틸(MMA, Methyl Methacrylate) 및 아크릴산메틸(MA, Methyl Acrylate) 단량체와의 공중합을 행하여 합성된 PEGMA/(Na-MMT)-co-MMA/MA 나노복합재를 사용하며, 이의 합성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부여제 사용량은 0.5~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점착부여제 함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초기 점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고, 점착부여제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프라이머 조성에 저분자량이 많아 프라이머의 응집력이 감소하고 특히 점착력이 높아 프라이머의 물성 저하가 우려가 된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석유수지계, 변성 석유수지, 알킬페놀수지, 열가소성 테르펜변성 페놀수지, 로진 및 로진에스테르수지, 쿠마론인덴수지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제의 함량은 88.5~96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톨루엔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머의 용해도가 현저히 떨어지므로 용제를 필히 3종 이상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용제는 노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메탄올, 싸이클로헥산, 메틸싸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3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은 사용시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혼합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경화제는 통상적인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경화제의 혼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량의 부족으로 인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탄성체용 프라이머 조성물이 제대로 경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경화제의 혼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빨라 작업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불량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는 통상적인 용제형 경화제로서 NCO 함량이 6~20%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면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혼합용기에 환류 냉각기와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주입장치를 설치한 500ml 반응기에 염화폴리올레핀 수지(Superchlon 930, NIPPON PAPER CHEMICALS)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릭 액시드 1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1000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70℃에서 1시간을 100 rpm 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반응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 1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에 희석시킨 다음 4회에 걸쳐 1시간 단위로 투입하고 온도를 80℃로 승온하여 80 rpm의 교반 속도를 유지하여 그라프트 반응을 시킨 후 메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용제를 휘발시켜 개질된 폴리염화폴리올레핀 수지를 제조하였다.
2. 나노복합재의 제조
혼합용매를 포함하는 환류 냉각기와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주입장치를 설치한 250ml 반응기에 진공 건조된 소듐 몬모릴로나이트(Na-MMT)(Southern Clay) 70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PEGMA) 30 중량%를 가하여 교반기로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원심분리한 것을 혼합용매로 반복하여 세척하고 이것을 진공건조기에서 25℃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여 층간 삽입된 PEGMA/Na-MMT를 제조한 후,
환류 냉각기와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주입장치를 설치한 1L 4구 반응기에 용매로서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PEGMA 또는 상기 PEGMA/Na-MMT를 5 중량%를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잘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혼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 중량%에 사슬연장제로 메칼탑 1.5 중량%,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나이트릴 0.5 중량%를 가하고 70℃에서 15시간 동안 라디칼 중합을 행하여 PEGMA/(Na-MMT)-co-MMA/MA를 제조하였다.
3.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pearstic 45-50/18, MERQINSA) 2.5 중량%, 나노복합재 1 중량%에 점착부여제(SU-120, 코오롱유화) 1 중량%를 첨가한 후, 용제로써 메틸에틸케톤 50 중량%, 노말헥산 24.5 중량%, 사이클로헥산 19 중량%를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5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pearstic 45-50/18, MERQINSA) 2 중량%, 나노복합재 1.5 중량%에 점착부여제(SU-120, 코오롱유화) 0.5 중량%를 첨가한 후 용제로써 메틸에틸케톤 50 중량%, 노말헥산 27 중량%, 사이클로헥산 15 중량%를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3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pearstic 45-50/18, MERQINSA) 2.5 중량%, 나노복합재 1.5 중량%에 점착부여제(SU-120, 코오롱유화) 0.5 중량%를 첨가한 후 용제로써 메틸에틸케톤 50 중량%, 노말헥산 27 중량%, 사이클로헥산 15.5 중량%를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3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pearstic 45-50/18, MERQINSA) 1 중량%, 나노복합재 1.5 중량%에 점착부여제(SU-120, 코오롱유화) 1.5 중량%를 첨가한 후 용제로써 메틸에틸케톤 50 중량%, 노말헥산 26 중량%, 사이클로헥산 17 중량%를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0.5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pearstic 45-50/18, MERQINSA) 2.5 중량%, 나노복합재 1 중량%에 점착부여제(SU-120, 코오롱유화) 1 중량%를 첨가한 후 용제로써 메틸에틸케톤 47 중량%, 노말헥산 27 중량%, 사이클로헥산 19 중량%를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열가소성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5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pearstic 45-50/18, MERQINSA) 1 중량%에 점착부여제(SU-120, 코오롱유화) 1 중량%를 첨가한 후 용제로써 메틸에틸케톤 50 중량%, 노말헥산 27 중량%, 사이클로헥산 16 중량%를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켜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화승 T&C사에서 생산한 프라이머 제품인 PR-708을 사용하였다.
(단위 : 중량%)
조성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 5 3 3 0.5 5 PR-708
(톨루엔포함)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1 ) 2.5 2.0 2.5 1.0 2.5 1.0
나노복합재 1 1.5 1.5 1.5 1 -
점착부여제2 ) 1 0.5 0.5 1.5 1 1
아세톤 50 50 50 50 49 50
노말헥산 24.5 27 27 26 27 27
사이클로헥산 19 15 15.5 17 19 16
주)
1) Pearstic 45-50/18 : MERQUINSA
2) SU-120 : 코오롱유화
4.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제조한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부품에 적용하여 고무와의 접착력을 아래 방법에의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의 내용과 같다.
가,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과 고무 시편의 접착
25×100mm의 크기의 기능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부품에 메틸에틸케톤으로 세척한 후 건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프라이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동성화학 DRF) 5 중부를 혼합한 후 도포하고 60℃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아울러, 고무 시트도 25×100mm의 크기로 준비하여 세척한 후 건조한 다음 고무용 프라이머(화승 T&C PR-700)를 도포한 후 60℃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위의 두 피착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한 후 60℃에서 5분간 건조한 후 접합하여 10kg의 하중으로 압착하여 접착하였다. 이때 동일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 시편은 5개를 사용하였다.
나, 초기 접착력 평가
제조된 접착시편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만능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100mm/분의 인장속도로 박리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다, 상태 접착력 평가
제조된 접착시편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만능인장시험기(UTM)를 사용하여 100mm/분의 인장속도로 박리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특성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초기 접착력(kgf/cm) 3.1 2.7 2.8 2.6 1.3 1.2 2.6
상태 접착력(kgf/cm) 3.6 2.9 3.1 2.9 1.5 2.0 2.9
치수안정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초기 접척력과 상태 접착력이 모두 우수하였으며, 특히 상태 접착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비교예 3에 비하여 치수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접착력 또한 우수하게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6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2.5 중량%, 나노복합재 0.5~1.5 중량%, 점착 부여제 0.5~1.5 중량% 및 용제 88.5~96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도가 10~50 중량%이고 연화점이 40~120℃인 염화폴리프로필렌 또는 염화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를 5~30 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재는,
    PEGMA/(Na-MMT)-co-MMA/MA 나노복합재로써,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PEGMA,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를 소듐 몬모릴로나이트(Na-MMT, Na-montmorillonite)의 층간에 삽입한 후,
    메타크릴산메틸(MMA, Methyl Methacrylate) 및 아크릴산메틸(MA, Methyl Acrylate) 단량체와의 공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노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메탄올, 싸이클로헥산, 메틸싸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3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20110039202A 2011-04-26 2011-04-26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29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202A KR101297673B1 (ko) 2011-04-26 2011-04-26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202A KR101297673B1 (ko) 2011-04-26 2011-04-26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301A true KR20120121301A (ko) 2012-11-05
KR101297673B1 KR101297673B1 (ko) 2013-08-21

Family

ID=4750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202A KR101297673B1 (ko) 2011-04-26 2011-04-26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6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270B1 (ko) * 2012-03-14 2014-02-03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비할로겐 타입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508638B1 (ko) * 2013-06-25 2015-04-07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겉창용 열가소성폴리우레탄 복합 조성물
KR101515606B1 (ko) * 2014-10-20 2015-04-28 (주)누리켐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WO2017217749A1 (ko) * 2016-06-14 2017-12-21 주식회사 제라원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KR20190053442A (ko) * 2017-11-10 2019-05-20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접착강도가 우수한 프라이머 조성물
KR102142119B1 (ko) * 2019-04-01 2020-08-0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발포체 접착 증진용 수성 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성 세척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3685B1 (en) 2000-04-25 2001-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 dispersed primers
US20060160943A1 (en) * 2005-01-18 2006-07-20 Weir James P Water-based flock adhesives for thermoplastic substrates
KR101061073B1 (ko) 2008-12-30 2011-08-31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접착보강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149741B1 (ko) * 2009-12-16 2012-06-01 안희정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270B1 (ko) * 2012-03-14 2014-02-03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비할로겐 타입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508638B1 (ko) * 2013-06-25 2015-04-07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겉창용 열가소성폴리우레탄 복합 조성물
KR101515606B1 (ko) * 2014-10-20 2015-04-28 (주)누리켐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WO2017217749A1 (ko) * 2016-06-14 2017-12-21 주식회사 제라원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KR20190053442A (ko) * 2017-11-10 2019-05-20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접착강도가 우수한 프라이머 조성물
KR102142119B1 (ko) * 2019-04-01 2020-08-0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발포체 접착 증진용 수성 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성 세척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673B1 (ko)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673B1 (ko)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JP5151982B2 (ja) 感圧式接着剤および感圧式接着フィルム
US11319470B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9796916A (zh) 反复弯曲装置用粘着剂、粘着片、反复弯曲层叠构件及反复弯曲装置
CN109971398A (zh) 反复弯曲装置用粘着剂、粘着片、反复弯曲层叠构件及反复弯曲装置
KR102207421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110111240A1 (en) Acrylic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mulation
TWI791089B (zh) 黏著片及其製造方法、以及黏著性膜
CN110093111B (zh) 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KR102626979B1 (ko) 감온성 점착 시트 및 적층체
KR20170127402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101357270B1 (ko) 비할로겐 타입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WO2004099334A1 (ja) 光学部材用粘着剤および積層体
KR101157113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탄성체용 프라이머 조성물
TWI437067B (zh) 由末端反應性丙烯酸系聚合物所構成之黏著劑組成物及其用途
KR101484906B1 (ko) 폴리우레탄계 사출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TW202405039A (zh) 包含熱塑性聚氨酯之雙組分型(2k)丙烯酸組合物
KR101577768B1 (ko)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KR101399329B1 (ko) 프라이머 조성물
KR101168956B1 (ko) 전처리공정이 필요 없는 충격흡수 고무겔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027662B1 (ko) 페놀 수지 및 톨루엔을 함유하지 않은 폴리아마이드계 신발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JP4543365B2 (ja) 水性2液型プラスチック材料用接着剤組成物
KR101116296B1 (ko) 재박리가 용이한 탁구 라켓용 수성 접착제 조성물
KR101773958B1 (ko) 접착공정 간소화가 가능한 폴리아미드계 신발부품용 수성 프라이머 조성물
JP3962163B2 (ja) ウレタン−アクリル水分散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