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490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490A
KR20120118490A KR1020127022633A KR20127022633A KR20120118490A KR 20120118490 A KR20120118490 A KR 20120118490A KR 1020127022633 A KR1020127022633 A KR 1020127022633A KR 20127022633 A KR20127022633 A KR 20127022633A KR 20120118490 A KR20120118490 A KR 20120118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longitudinal direction
inclined surface
signal transmission
transmiss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784B1 (ko
Inventor
요시노부 시마다
마사타카 무로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14734A external-priority patent/JP5182384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이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의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액츄에이터의 조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호 전송 매체 F를 협지 또는 개방하는 액츄에이터(12)의 회동 반경 외방측의 단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경사면부(12 b1)를 설치하고, 작업자의 압압력의 전체를 액츄에이터(12)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작용시켜, 액츄에이터(12)가 뒤틀린 상태로 압압되는 것 같은 사태를 없애어, 신호 전송 매체(F)의 협지 작용이 양호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확인시키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이동 조작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의 고정을 행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각종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과 같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서는, FPC나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가, 절연 하우징(절연체(insulator))의 전단측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고, 이 삽입 시점에 있어서 신호 전송 매체를 개방하는 「접속 해제 위치」에 보유되어 있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커넥터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접속 작용 위치를 향해, 예를 들면 쓰러뜨려지도록 하여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挾持)하는 「접속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면, 당해 액츄에이터에 설치된 캠 부재가 도전 콘택트(contact)를 압압하고, 이에 따라 도전 콘택트가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에 압접하도록 변위하여 신호 전송 매체의 고정을 한다. 한편, 이러한 「접속 작용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가, 원래의 「접속 해제 위치」를 향해, 예를 들면 상방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회동되면, 도전 콘택트가 자신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이에 따라 신호 전송 매체가 개방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는, 「접속 해제 위치」와 「접속 작용 위치」의 사이에 있어서, 예를 들면 당해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회동 중심의 둘레를 회동 조작됨으로써 왕복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지만, 최근과 같이 전기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진행되어 오면, 액츄에이터 자체도 소형화 또는 박형화되어 강성이 저하하는 경향에 있어,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즉, 소형화 또는 박형화에 의해 강성이 저하된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당해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한 방향으로 치우친 조작력이 부가되면, 액츄에이터의 전체가 뒤틀리게 변형하여 일부의 도전 콘택트에 대해서 본래의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버려,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에 도전 콘택트가 양호하게 압접?접속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전기 커넥터 전체와 함께 액츄에이터의 소형화가 진행되면, 액츄에이터가 어느 위치까지 회동되어 있는지, 특히 액츄에이터가 「접속 작용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가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워져 버려, 도전 콘택트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4-71160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이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의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액츄에이터의 조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 또는 개방하는 액츄에이터가, 당해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회동 중심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회동 중심에 관한 반경 방향의 외방측 단면에 있어서 당해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적당한 각도를 이루어 연재하는 경사면부가 설치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를 「접속 해제 위치」로부터 「접속 작용 위치」로 회동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당해 액츄에이터가 「접속 해제 위치」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의 입벽면(立壁面)을 작업자의 손가락끝이 압압할 때에,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경사면부에 대해서 작업자의 손가락끝이 걸리기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에 대해서 압압력이 부가되는 경향으로 된다. 한편,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경사면부에 부가된 압압력도, 당해 경사면부의 경사면에 대해서 대략 직각인 방향, 즉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 양단측으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로부터 부가되는 조작 압압력의 전체로서는 액츄에이터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균일하게 작용하는 경향으로 되고, 종래와 같이 액츄에이터가 뒤틀린 상태로 압압되는 것 같은 사태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액츄에이터의 전체가 대략 평면을 유지하면서 회동되게 되어, 당해 액츄에이터의 회동에 의한 신호 전송 매체의 협지 작용이 양호하게 행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경사면부가 배치된 외형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당해 액츄에이터의 외관 전체를 보았을 때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특징적인 이형상(異形狀)으로서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회동 상태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확인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설치된 경사면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평탄면부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부가, 상기 평탄면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조작력을 부가했을 때에, 경사면부와 평탄면부의 경계 부분에 응력 집중을 발생시키는 것 같은 각부(角部)가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회동 조작에 의한 파손 등의 우려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 양단연부에는 당해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라 대략 평면 모양으로 연출(延出)하는 입상(立上) 벽면부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입상 벽면부의 회동 반경 방향 외단연(外端緣)으로부터 상기 경사면부가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입상 벽면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당해 입상 벽면부의 부분만큼, 액츄에이터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액츄에이터에 조작력을 부가했을 때의 파손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적당한 각도가 4° 내지 1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를 조작할 때에 있어서의 당해 액츄에이터의 전체 길이에 대한 조작 압압력의 균일성과 액츄에이터 전체 길이의 강성의 쌍방이 양호하게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경사면부에는 당해 경사면부를 따라 인접 배치된 별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회피 보조부가 부설되고, 이 조작 회피 보조부를 구성하는 경사면은, 상기 경사면부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르고 또한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면 모양으로 연출하는 입상 벽면부의 반경 방향 외단연까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 방향에 대해서 적당한 각도를 이루어 연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의 조작시에 있어서 경사면부에 작업자의 손가락끝이 걸리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당해 경사면부에 추가하여 설치된 조작 회피 보조부에 의해 한층 현저하게 되어, 작업자로부터 부가되는 조작 압압력이 전체 길이에 있어서 더욱 균일하게 작용하게 되어, 액츄에이터가 뒤틀린 상태로 압압되는 것 같은 사태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액츄에이터의 전체가 대략 평면을 유지하면서 회동되고, 액츄에이터의 회동에 의한 신호 전송 매체의 협지 작용이 지극히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회피 보조부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협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츄에이터를 조작할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에 부가되는 조작력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를 협지 방향으로 조작할 때에, 경사면부에 대해서 작업자의 손가락끝이 확실하게 걸리기 어려워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르고 또한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면 모양으로 연출하는 입상 벽면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협지하는 방향으로 조작력이 부가되는 부위 또는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한 상태로부터 개방하는 방향으로 조작력이 부가되는 부위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조작 지원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의 조작 지원부를 구성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조작자의 손가락끝 단부 또는 조부(爪部)를 계합 가능하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조작시에, 당해 액츄에이터의 조작자의 조부 또는 손가락끝 단부가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의 조작 지원부에 걸리기 쉬워져, 작업자로부터 부가되는 조작 압압력이 액츄에이터의 중앙 부분에 적극적으로 받아져 균일한 조작성이 확실하게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지원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상(彎曲狀) 또는 직선상(直線狀)을 이루어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만곡상의 조작 지원부에 대해서 조작자의 조부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계합함과 아울러, 직선상의 조작 지원부에 대해서 조작자의 손가락끝부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계합하기 때문에, 이들 만곡상 또는 직선상의 조작 지원부를 회동 조작의 상태에 따라 적당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
이상 말한 것처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는,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 또는 개방하는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 외방측의 단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경사면부를 설치하고, 작업자의 압압력의 전체를 액츄에이터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작용시켜, 액츄에이터가 뒤틀린 상태로 압압되는 것 같은 사태를 없애어 신호 전송 매체의 협지 작용이 양호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액츄에이터의 회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확인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이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의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액츄에이터의 조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고, 전기 커넥터의 품질 및 신뢰성을 저렴하게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 액츄에이터가 접속 해제 위치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 신호 전송 매체가 미삽입인 상태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를 삽입하고 나서 액츄에이터를 접속 작용 위치까지 쓰러뜨리도록 회동한 상태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접속 해제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를 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접속 해제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접속 해제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난 접속 작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를 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난 접속 작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난 접속 해제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 일단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난 접속 작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 일단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5 중의 X - X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7 중의 XI - XI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접속 작용 위치로 쓰러뜨려진 상태의 도 2 및 도 9에 나타내진 액츄에이터를 조작자의 손톱으로 일으키는 조작을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 중의 부호 XIII에 나타낸 영역을 확대한 것으로 일방의 도전 콘택트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접속 작용 위치로 쓰러뜨려진 도 13의 상태로부터 액츄에이터를 약간 일으킨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액츄에이터를 접속 해제 위치까지 일으킨 상태를 나타낸 도 13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액츄에이터를 접속 해제 위치까지 일으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타방의 도전 콘택트를 나타낸 도 15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액츄에이터가 접속 작용 위치로 쓰러뜨려진 상태의 일부를 하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저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 액츄에이터가 접속 해제 위치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 신호 전송 매체가 미삽입인 상태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접속 해제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를 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난 전기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의 접속을 행하기 위해서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하여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도 1~도 17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10)는 절연 하우징(11)의 후단연(後端緣) 부분(도 10의 우단연(右端緣) 부분)에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2)를 구비한 이른바 백 플립형(back flip)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술한 액츄에이터(12)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을 삽입하는 커넥터 전단측(前端側)(도 10의 좌단측)과는 반대측의 커넥터 후방측(도 10의 우방측)을 향해 쓰러뜨려지도록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에 상기 절연 하우징(11)은 가늘고 긴 모양으로 연재하는 중공 프레임 모양의 절연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횡폭 방향을, 이하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부르고, 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을 삽입 또는 이탈시키는 방향을 커넥터 전후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그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적당한 형상을 이루는 박판상 금속제 부재에 의해 형성된 2종류의 다른 형상을 가지는 도전 콘택트(13, 14)가 복수체(複數體)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다. 그러한 도전 콘택트(13, 14)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다극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형상을 가지는 일방측의 도전 콘택트(13)와 타방측의 도전 콘택트(14)가 다극 배열의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도전 콘택트(13, 14)의 각각은 신호 전송용 또는 그라운드(ground) 접속용의 어느 것으로서 주인쇄 배선 기판(도 12 및 도 13 중의 부호 P 참조) 상에 형성된 도전로(도시 생략)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된 상태로 사용된다.
또, 상기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 부분(도 10의 좌단연 부분)에는 상술한 것처럼 FPC나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는 매체 삽입구(11a)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긴 모양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반대측의 커넥터 전후 방향의 후단연 부분(도 10의 우단연 부분)에는 상술한 일방측의 도전 콘택트(13)나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 등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부착구(11b)가 마찬가지로 가늘고 긴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에 상술한 일방측의 도전 콘택트(13)는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후단측에 설치된 부품 부착구(11b)로부터 전방측(도 10의 좌방측)을 향해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지만, 타방측의 도전 콘택트(14)는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전단측에 설치된 매체 삽입구(11a)로부터 후방측(도 10의 우방측)을 향해 삽입되는 것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된 각 도전 콘택트(13, 14)는 매체 삽입구(11a)를 통해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배선 패턴 Fa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신호 전송 매체 F에 형성된 배선 패턴 Fa는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선 패드(pad)) 또는 쉴드(shield)용 도전로(쉴드선 패드)를 적당한 피치(pitch) 간격으로 배치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도전 콘택트(13, 14)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및 발탈 방향(도 10의 좌우 방향)인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한 쌍의 가늘고 긴 모양 빔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빔(13a, 14a) 및 고정 빔(13b, 14b)을 각각 가지고 있다. 이들 가동 빔(13a, 14a) 및 고정 빔(13b, 14b)은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도시 상하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중의 고정 빔(13b, 14b)은 상기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내벽면을 따라 대략 부동 상태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고정 빔(13b, 14b)의 도시 상방 위치에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가동 빔(13a, 14a)이 연결 지주부(支柱部)(13c, 14c)를 통해 고정 빔(13b, 14b)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 지주부(13c, 14c)는 가는 폭의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 빔(13a, 14a) 및 고정 빔(13b, 14b)의 연재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있어서 도시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 지주부(13c, 14c)의 도시 상단 부분에 연결된 가동 빔(13a, 14a)은 연결 지주부(13c, 14c)의 탄성 가요성(flexibility)에 기초하여 고정 빔(13b, 14b)에 대해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가동 빔(13a, 14a)이 연결 지주부(13c, 14c) 또는 이 근방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의 가동 빔(13a, 14a)의 요동은 도 10의 지면 내에 있어서 상하의 방향으로 행해지게 된다.
또, 상술한 가동 빔(13a, 14a)의 전단측 부분(도 10의 좌단측 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도시 상면측에 형성된 배선 패턴(신호 전송용 또는 쉴드용의 도전로) Fa의 어느 것인가에 접속되는 상단자(上端子) 접촉 볼록부(13a1, 14a1)가 도시 하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고정 빔(13b, 14b)은 전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내벽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고정 빔(13b, 14b)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도 10의 좌방측 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도시 하면측에 형성된 배선 패턴(신호 전송용 또는 쉴드용의 도전로) Fa의 어느 것인가에 접속되는 하단자(下端子) 접촉 볼록부(13b1, 14b1)가 도시 상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 14b1)는 상술한 가동 빔(13a, 14a)측의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의 도시 직하 위치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와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 14b1)의 사이에 신호 전송 매체 F가 협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가동 빔(13a, 14a)의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 및 고정 빔(13b, 14b)의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 14b1)는 서로의 위치를 커넥터 전방측(도 10의 좌방측) 혹은 커넥터 후방측(도 10의 우방측)에 비켜 놓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고정 빔(13b, 14b)은 기본적으로 부동 상태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지만,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선단 부분이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당해 고정 빔(13b, 14b)의 전단 부분을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내벽면으로부터 약간 부상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 빔(13b)의 후단측 부분(도 10의 우단측 부분), 및 고정 빔(14b)의 전단측 부분(도 10의 좌단측 부분)에는 주인쇄 배선 기판(도 12 및 도 13 중의 부호 P 참조) 상에 형성된 도전로에 땜납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b2, 14b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빔(13a, 14a)의 후단측 부분(도 10의 우단측 부분)에는 캠 받이부(13a2, 14a2)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고정 빔(13b, 14b)의 후단측 부분(도 10의 우단측 부분)에는 오목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캠(cam) 받이 오목부(13b3, 14b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캠 받이부(13a2, 14a2) 및 캠 받이 오목부(13b3, 14b3)에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부분에 장착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압압 캠부(12a)가 접촉 배치되어 있다. 이 압압 캠부(12a)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캠면(cam surface)은 상기 가동 빔(13a, 14a)의 캠 받이부(13a2, 14a2), 및 고정 빔(13b, 14b)의 캠 받이 오목부(13b3, 14b3)에 대해서 미끄럼 움직임이 자유롭게 접촉하고 있고, 이러한 접촉 배치 관계에 의해 액츄에이터(12)가 압압 캠부(12a)의 회동 중심 X(도 10 및 도 11 참조)의 회전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에 상술한 가동 빔(13a, 14a)의 캠 받이부(13a2, 14a2), 및 고정 빔(13b, 14b)의 캠 받이 오목부(13b3, 14b3)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나 있듯이 「접속 작용 위치」까지 회동된 압압 캠부(12a)에 대해서 가볍게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당해 압압 캠부(12a)를 도 11의 「접속 작용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부분(도 10 및 도 11의 우단 부분)에 있어서 회동되도록 배치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전체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모양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전폭과 거의 같은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12)는 당해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회동 중심, 즉 상술한 압압 캠부(12a)의 회동 중심 X(도 10 및 도 11 참조)의 회전에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이 회동 중심 X에 관한 회동 반경의 외방측의 부분(도 11의 우단측 부분)이 개폐 조작부(12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폐 조작부(12b)에 대해서 작업자에 의한 적당한 조작력이 부여됨으로써, 액츄에이터(12)의 전체가 도 10과 같이 거의 직립한 상태의 「접속 해제 위치」와, 도 11과 같이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거의 수평으로 쓰러뜨려진 상태의 「접속 작용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에 개폐 조작부(12b)가 압압 캠부(12a)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는 도전 콘택트(13, 14)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슬릿(slit) 모양 관통 구멍부(12c)가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가 「접속 해제 위치」(도 10 참조)까지 회동되었을 때에는 이 슬릿 모양 관통 구멍부(12c)의 내방으로 도전 콘택트(13, 14)의 가동 빔(13a, 14a)의 후단 부분이 들어가게 되어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개폐 조작부(12b)를 작업자가 손가락끝에 의해 「접속 해제 위치」(도 10 참조)로부터 「접속 작용 위치」(도 11 참조)를 향해 쓰러뜨리도록 하여 회동 조작을 하면, 상술한 압압 캠부(12a)의 회전 반경이 고정 빔(13b, 14b)와 가동 빔(13a, 14a)의 사이에 있어서 증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압 캠부(12a)의 직경이 증대하는 변화에 따라서 상기 가동 빔(13a, 14a)의 후단측에 설치된 캠 받이부(13a2, 14a2)가 도시 상방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변위하고, 이에 따라 캠 받이부(13a2, 14a2)와 반대측(커넥터 전단측)에 설치된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가 하방으로 눌러 내려져 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최종 회동 위치인 「접속 작용 위치」까지 회동한 때에는(도 11 참조), 상술한 가동 빔(13a, 14a)의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와 고정 빔(13b, 14b)의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 14b1)가 이들 양자의 사이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상하로부터 압접하여 신호 전송 매체 F의 협지를 하게 된다. 이 때에 신호 전송 매체 F의 배선 패턴(신호 전송용 및 쉴드용의 도전로) Fa에 대해서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 및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 14b1)가 압접되고, 이에 따라 전기적인 접속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가 「접속 해제 위치」(도 10 참조)로부터 후방측으로 쓰러뜨리도록 회동되어 「접속 작용 위치」(도 11 참조)까지 이동된 상태에 있어서는, 당해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도시 하면측 부분이 주배선 기판 P에 대면하도록 근접하는 배치 관계로 되지만, 이 때의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하면측 부분에는 주배선 기판을 향해 돌출하는 보호 돌기부(12d)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호 돌기부(12d)는 전술한 도전 콘택트(13, 14)의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복수 배치되어 있고, 각각 대략 사각기둥 모양의 블록체로서 형성된 각 보호 돌기부(12d)가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에 수반하여 일체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호 돌기부(12d)의 각각은 커넥터 길이 방향 즉 도전 콘택트(13, 14)의 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전술한 타방측의 형상을 가지는 도전 콘택트(14)에 대응하는 위치, 즉 다극 배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일방측의 형상을 가지는 도전 콘택트(13)의 기판 접속부(13b2, 13b2)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2)의 전체와 함께 보호 돌기부(12d)가 회동될 때에 있어서는 일방측의 도전 콘택트(13)의 기판 접속부(13b2)에 대해서 상시 비간섭의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 타방측의 형상을 가지는 도전 콘택트(14)에 대해서는, 당해 도전 콘택트(14)의 후방측(도 16의 우방측)에 상당하는 위치에 각 보호 돌기부(12d)의 회동 반경 내방측의 내단면(內端面)(12d1)이 비간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액츄에이터(12)가 「접속 작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보호 돌기부(12d)의 내단면(12d1)은 타방측의 도전 콘택트(14)를 구성하고 있는 고정 빔(14b)의 후단면(도 17의 상단면)(14b4)으로부터 후방측(도 17의 상방측)으로 약간 이간한 위치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양쪽 단면끼리를 이간시킨 대면 배치 관계에 의해 타방측의 도전 콘택트(14)에 대한 비간섭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타방측의 도전 콘택트(14)가 보유되어 있는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후단연부(後端緣部)(도 17의 상단연부(上端緣部))(11c)는 커넥터 전후 방향(도 16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기 타방측의 도전 콘택트(14)의 후단면(도 17의 상단면)(14b4)과 대략 일치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후단연부(도 17의 상단연부)(11c)에 대해서도 상술한 보호 돌기부(12d)의 내단면(12d1)은 후방측(도 17의 상방측)으로 약간 이간한 위치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양쪽 단면끼리를 이간시킨 대면 배치 관계에 의해 절연 하우징(11)에 대한 각 보호 돌기부(12d)의 비간섭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보호 돌기부(12d)에 있어서의 회동 반경 외방측에 설치된 외단면(外端面)(12d2)은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와 같이 회동 반경 외방측의 조작측의 외단면(도 10 및 도 13의 우단면)으로부터 약간 내방측(도 10 및 도 13의 좌방측)으로 끌어들여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보호 돌기부(12d)의 외단면(12d2)이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조작측 외단면에 대해서 단차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도 13에 나타나 있듯이, 작업자의 손톱 S가 상술한 보호 돌기부(12d)에 의해 형성된 단차, 및 이 단차로부터 회동 반경 외방측의 부위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용이하게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단차를 형성하고 있는 보호 돌기부(12d)의 외단면(外端面)(12d2)은 상술한 일방측의 도전 콘택트(13)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13b2)의 후단면(도 10 및 도 13의 우단면)으로부터, 액츄에이터(12)의 후방측(도 10 및 도 13의 우방측), 즉 액츄에이터(12)가 「접속 작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액츄에이터(12)의 조작측 외단면측을 향해 약간 돌출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톱 S가 커넥터 내방측(도 13의 좌방측)을 향해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보호 돌기부(12d)의 외단면(12d2)에 대해서 작업자의 손톱 S가 맞닿게 되기 때문에 도전 콘택트(13)의 기판 접속부(13b2)에 대해서 작업자의 손톱 S가 접촉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보호 돌기부(12d)의 외단면(12d2)에 대해서 작업자의 손톱 S가 맞닿게 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를 「접속 작용 위치」로부터 「접속 해제 위치」로 회동할 때에, 작업자의 손톱 S가 상기 외단면(12d2)으로부터 압압 캠부(12a)측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어져, 액츄에이터(12)의 슬릿 모양 관통 구멍부(12c)로부터 돌출된 도전 콘택트의 가동 빔(13a, 14a)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12)와 주인쇄 배선 기판 P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보호 돌기부(12)에 의해 액츄에이터(12)의 후방측(도 13의 우방측)으로부터 덮이게 되고, 이 액츄에이터(12)와 주인쇄 배선 기판 P의 간극의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도전 콘택트(13, 14) 등의 커넥터 부품에 대해서 작업자의 손톱 S가 접촉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보호 돌기부(12)는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개폐 조작부(12b)의 조작측 외단면에 대해서 단차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을 행하는데 즈음하여, 작업자의 손가락 선단부가 액츄에이터(12)와 보호 돌기부(12d)의 단차에 용이하게 걸리게 되어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이 안전하고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다극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도전 콘택트(13)의 기판 접속부(13b2, 13b2)끼리의 사이 부분에 보호 돌기부(12d)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를 「접속 작용 위치」에 이동시켰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보호 돌기부(12d)가 도전 콘택트(13)의 기판 접속부(13b2, 13b2)끼리의 사이 부분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양자의 간섭이 방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다극상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도전 콘택트(1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2)를 단축해도 간섭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짐과 아울러, 도전 콘택트(13)의 기판 접속부(13b2, 13b2)끼리의 사이 부분이 액츄에이터(12)의 보호 돌기부(12d)에 의해 덮이게 되기 때문에, 이 사이 부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 전기적으로 합선시키는 것 같은 사태가 방지된다.
또한, 보호 돌기부(12d)는 도전 콘택트(13)의 기판 접속부(13b2)의 후단면으로부터 액츄에이터(12)의 작업자 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톱 S의 선단부가 액츄에이터(12)의 보호 돌기부(12d)에 접촉하여, 이 이상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도전 콘택트(13)의 기판 접속부(13b2)의 단면에 대해서 작업자의 손톱 S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보호 돌기부(12d)는 액츄에이터(12)의 왕복 회동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1)과 비간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의 보호 돌기부(12d)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절연 하우징(11)을 작게 할 필요가 없어져, 그만큼 도전 콘택트(13, 14)의 보유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장척(長尺) 모양으로 연재하고 있지만, 당해 개폐 조작부(12b)의 회동 중심 X에 관한 반경 방향의 외방측에 배치된 조작측의 단면, 즉 액츄에이터(12)가 「접속 해제 위치」(도 4 및 도 5 참조)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의 상단면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경사면부(12b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경사면부(12b1)는 액츄에이터(12)의 연재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하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해서 적당한 각도를 이루어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양쪽 경사면부(12b1, 12b1)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액츄에이터(12)의 연재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평탄면부(12b2)가 장척 모양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의 각 경사면부(12b1)가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적당한 각도, 즉 상술한 평탄면부(12b)를 연출한 수평선에 대한 하강 방향의 경사 각도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4° 내지 1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 각도로 설정한 것은 액츄에이터(12)를 실제로 회동 조작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전체 길이에 대한 조작 압압력의 균일성과 액츄에이터(12)의 전체 길이의 강성의 쌍방이 동시에 양호하게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측에 배치된 경사면부(12b1, 12b1)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중앙측에 설치된 평탄면부(12b2)의 양단부로부터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면부(12b1, 12b2)끼리의 경계 부분에 각부(角部)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개폐 조작부(12b)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연부(兩端緣部)에는 대략 평면 모양을 이루는 양단측 입상 벽면부(12b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양단측 입상 벽면부(12b3)는 액츄에이터(12)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액츄에이터(12)가 「접속 해제 위치」(도 4 및 도 5 참조)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상면으로부터 각 양단측 입상 벽면부(12b3)가 대략 연직 상방을 향해 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양단측 입상 벽면부(12b3)의 상단부로부터 경사면부(12b1)가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양단 부분에 경사면부(12b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이점이 얻어진다. 즉, 액츄에이터(12)를 「접속 해제 위치」로부터 「접속 작용 위치」로 회동할 때에는 액츄에이터(12)가 「접속 해제 위치」(도 10 참조)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의 전단면(도 10 좌측 단면)인 정면측의 입상 벽면부를 작업자의 손가락끝으로 후방측으로 압압하게 되지만, 전술과 같이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양단 부분에 경사면부(12b1)를 설치해 두면, 길이 방향 양단측의 경사면부(12b1)가 설치된 부분에 대해서 작업자의 압압력이 걸리기 어려워져,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에 대해서 압압력이 부가되는 경향으로 된다.
한편,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 양측의 경사면부(12b1)에 대해서 부가된 압압력은 당해 경사면부(12b1)를 구성하는 경사면에 대해서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부가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 양단측으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의 압압력의 전체로서는 액츄에이터(12)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작용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액츄에이터(12)가 뒤틀린 상태로 압압되는 것 같은 사태는 발생하지 않게 되고, 액츄에이터(12)의 전체가 대략 평면을 유지하면서 회동됨으로써, 당해 액츄에이터(12)의 회동에 의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협지 작용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한, 액츄에이터(12)의 외관 전체를 보았을 때에는 특히 도 7 중의 부호 A로 나타내진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듯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이형상으로서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특히, 액츄에이터(12)가 「접속 작용 위치」(도 7 참조)까지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는, 당해 액츄에이터(12)의 외관 전체가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상태로 시각적으로 눈에 띄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가 「접속 작용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확인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양쪽 경사면부(12b1)를 구성하는 경사면이 평탄면부(12b2)로부터 매끄럽게 연속하는 구성으로 해두면, 액츄에이터(12)에 대해서 조작력을 부가했을 때에, 이들 양평탄면부(12b1, 12b2)끼리의 경계 부분에 응력 집중을 발생시키는 것 같은 각부가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양단측 입상 벽면부(12b3)를 통해 조작 회피부(12b1)를 설치해 두면, 양단측 입상 벽면부(12b3)가 부가되어 있는 부분만큼,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에 있어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액츄에이터(12)에 조작력을 부가했을 때의 파손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18~도 20과 관련되는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경사면부(12b1)에 더하여, 별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회피 보조부(12b4, 12b4)가 액츄에이터(12)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 부분에 부설되어 있다. 이들 양쪽 조작 회피 보조부(12b4, 12b4)의 배치 위치는 액츄에이터(12)가 「접속 해제 위치」(도 20 참조)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의 상단 부분으로서 길이 방향 양측의 전방 쪽에 설정되어 있다. 이 조작 회피 보조부(12b4)의 배치 위치는 상술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협지하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12)를 쓰러뜨리도록 조작할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에 부가되는 조작력에 대면하는 위치이다.
즉, 각 조작 회피 보조부(12b4)는 전술한 경사면부(12b1)를 따라 인접 배치된 별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 회피 보조부(12b4)를 구성하고 있는 경사면은 상기 경사면부(12b1)의 전방측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조작 회피 보조부(12b4)의 경사면의 일단연(一端緣)은 상기 경사면부(12b1)를 형성하고 있는 경사면의 전단측의 단연과 공통의 단연을 구성하도록 인접 배치되어 있고. 이 조작 회피부(12b1)의 일단연(공통연(共通緣))으로부터 액츄에이터(12)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르고 또한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면 모양으로 연재하는 정면측 입상 벽면부(12b5)의 반경 방향 외단연까지 연출하고 있다. 이 때의 조작 회피 보조부(12b4)가 연출하는 경사 각도는 액츄에이터(12)의 회동 반경 방향에 대해서 하방측에 적당한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상술한 정면측 입상 벽면부(12b5)는 액츄에이터(12)가 「접속 해제 위치」(도 20 참조)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의 전단면(도 20 좌측 단면)을 이루도록 연재하고 있지만, 이 정면측 입상 벽면부(12b5)의 상단연과 상기 조작 회피 보조부(12b4)의 경사면의 타단연(他端緣)은 공통의 단연을 구성하도록 하여 인접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 회피 보조부(12b4)는 경사면부(12b1)를 형성하고 있는 경사면과 함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하강하도록 경사져 있고 또한 전방측을 향해 하강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된 경사면부(12b1)에 더하여, 전방 측으로 경사져 연출하는 조작 회피 보조부(12b4)를 구비한 제2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 양측의 전방 부분에 대해서, 작업자의 손가락끝이 한층 걸리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시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부가되는 조작 압압력이 전체 길이에 있어서 더욱 균일하게 작용하는 경향으로 되고, 액츄에이터(12)의 회동에 의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협지 작용이 지극히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의 조작 지원부(12b6, 12b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의 조작 지원부(12b6, 12b7)는 액츄에이터(12)의 전후 양쪽 입상 벽면, 즉 상술한 정면측 입상 벽면부(12b5), 및 이 반대측의 배면측 입상 벽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제1의 조작 지원부(12b6)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부는 정면측 입상 벽면부(12b5), 즉 액츄에이터(12)가 「접속 해제 위치」(도 20 참조)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의 전단면(도 20 좌측 단면)에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재하는 가늘고 긴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협지하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12)를 회동 조작할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조작자의 손가락끝 단부가 계합 가능하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제2의 조작 지원부(12b7)는 액츄에이터(12)의 배면측 입상 벽면부, 즉 액츄에이터(12)가 「접속 작용 위치」(도 11 참조)에 누인 상태에 있어서의 하단면(도 11 하측 단면)에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만곡선(彎曲線) 모양으로 연재하는 구덩이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의 조작 지원부(12b7)의 외형선을 형성하는 만곡선은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액츄에이터(12)의 회동 반경 방향의 내방측을 향해 대략 원호상으로 펼쳐 내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를 협지한 상태로부터 개방하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12)를 조작할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조작자의 조부가 계합 가능하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1 및 제2의 조작 지원부(12b6, 12b7)를 가지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시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조작자의 손가락끝 단부 또는 조부가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의 제1 및 제2의 조작 지원부(12b6, 12b7)에 걸리기 쉬워진다. 즉, 직선상을 이루는 제1의 조작 지원부(12b6)에 대해서는 조작자의 손가락끝 단부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계합하고, 만곡상(彎曲狀)을 이루는 제2의 조작 지원부(12b7)에 대해서는 조작자의 조부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계합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직선상 또는 만곡상의 조작 지원부(12b6, 12b7)가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의 상태에 따라 전후의 입상 벽면에 적당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양호한 회동 조작성이 얻어짐과 아울러, 작업자로부터 부가되는 조작 압압력이 액츄에이터(12)의 중앙 부분에 적극적으로 받아지게 되기 때문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일한 조작성이 확실하게 얻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의 조작 지원부(12b6, 12b7)는 모두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지만 볼록부에 의해 구성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 FPC 및 FFC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 외의 신호 전송용 매체 등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와 관련된 액츄에이터는 절연 하우징의 후단 부분에 배치된 것이지만, 전단측 부분에 액츄에이터가 배치된 전기 커넥터나, 전단측 부분과 후단측 부분과의 사이 부분에 액츄에이터가 배치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에는 형상이 다른 도전 콘택트를 이용한 것이지만 동일 형상의 도전 콘택트를 이용한 것이라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하는 다종의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전기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housing)
11a 매체 삽입구 11b 부품 부착구
12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
12a 압압 캠부 12b 개폐 조작부
12b1 경사면부 12b2 평탄면부
12b3 양단측 입상 벽면부 12b4 조작 회피 보조부
12b5 정면측 입상 벽면부 12b6 제1의 조작 지원부
12b7 제2의 조작 지원부
12c 슬릿(slit) 모양 관통 구멍부 12d 보호 돌기부
12d1 내단면 12d2 외단면
13, 14 도전 콘택트 13a, 14a 가동 빔
13a1, 14a1 상단자 접촉 볼록부
13a2, 13b3, 14a2, 14b3 캠(cam) 받이 오목부(가벼운 감합부)
13b, 14b 고정 빔(beam)
13b1, 14b1 하단자 접촉 볼록부
13b2, 14b2 기판 접속부
13b3, 14b3 캠 받이 오목부(가벼운 감합부)
14b4 콘택트(contact) 후단면 13c, 14c 연결 지주부
P 주인쇄 배선 기판
F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a 배선 패턴
X 회동 중심 S 작업자의 손톱

Claims (9)

  1.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 또는 개방하는 액츄에이터가, 당해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회동 중심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회동 중심에 관한 반경 방향의 외방측 단면에 있어서 당해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적당한 각도를 이루어 연재하는 경사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설치된 경사면부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평탄면부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부가, 상기 평탄면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 양단연부에는 당해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라 대략 평면 모양으로 연출하는 입상 벽면부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입상 벽면부의 회동 반경 방향 외단연으로부터 상기 경사면부가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적당한 각도는, 4° 내지 1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에는 당해 경사면부를 따라 인접 배치된 별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회피 보조부가 부설되고,
    이 조작 회피 보조부는, 상기 경사면부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르고 또한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면 모양으로 연출하는 입상 벽면부의 반경 방향 외단연까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 방향에 대해서 적당한 각도를 이루어 연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회피 보조부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협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츄에이터를 조작할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에 부가되는 조작력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르고 또한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면 모양으로 연출하는 입상 벽면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협지하는 방향으로 조작력이 부가되는 부위 또는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한 상태로부터 개방하는 방향으로 조작력이 부가되는 부위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조작 지원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지원부를 구성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조작자의 손가락끝 단부 또는 조부를 계합 가능하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지원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상 또는 직선상을 이루어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27022633A 2011-01-27 2011-08-02 전기 커넥터 KR101359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4734A JP5182384B2 (ja) 2010-02-05 2011-01-27 電気コネクタ
JPJP-P-2011-014734 2011-01-27
PCT/JP2011/067663 WO2012101849A1 (ja) 2011-01-27 2011-08-02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490A true KR20120118490A (ko) 2012-10-26
KR101359784B1 KR101359784B1 (ko) 2014-02-07

Family

ID=4658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633A KR101359784B1 (ko) 2011-01-27 2011-08-0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80370B1 (ko)
KR (1) KR101359784B1 (ko)
CN (1) CN102971917B (ko)
TW (1) TWI520449B (ko)
WO (1) WO2012101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4348B2 (ja) * 2016-06-22 2020-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
CN109494500B (zh) * 2017-09-11 2020-08-28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显卡连接器及具有该显卡连接器的电子装置
CN110165452A (zh) * 2018-02-13 2019-08-23 瀚荃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具有双层端子的软扁平电缆电连接器
JP6976230B2 (ja) *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4482A (ja) * 1985-12-26 1987-07-09 日本エス・エイ・イ−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US6394838B1 (en) * 2001-02-05 2002-05-28 Michael Yen Insertion socket for use with a flat cable
JP2004071160A (ja) 2002-08-01 2004-03-04 D D K Ltd コネクタ
JP2004079337A (ja) * 2002-08-19 2004-03-11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4752705B2 (ja) * 2006-09-28 2011-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064743A (ja) * 2007-09-10 2009-03-26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4992707B2 (ja) * 2007-12-28 2012-08-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43497B2 (ja) * 2008-10-01 2013-11-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6281A (en) 2012-09-01
CN102971917A (zh) 2013-03-13
KR101359784B1 (ko) 2014-02-07
EP2680370A4 (en) 2014-08-06
EP2680370B1 (en) 2017-10-04
EP2680370A1 (en) 2014-01-01
WO2012101849A1 (ja) 2012-08-02
CN102971917B (zh) 2015-02-11
TWI520449B (zh)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2384B2 (ja) 電気コネクタ
EP2876737B1 (en) Connector
KR101360505B1 (ko) 전기 커넥터
JP5344059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982758B1 (ko) 케이블 커넥터
US839841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ell member with a holding portion and a release portion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US20130017729A1 (en) Floating connector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strength
TWI687001B (zh) 電連接器
KR101359784B1 (ko) 전기 커넥터
WO2010045338A1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451532B1 (ko) 전기 커넥터
KR101450736B1 (ko) 커넥터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JP5218441B2 (ja) 電気コネクタ
TWI496366B (zh) 電連接器
KR20160110717A (ko) 탄성 시그널 핀
JP2017091600A (ja) 電気コネクタ
KR101311482B1 (ko) 컨택트의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WO2022270276A1 (ja) コネクタ装置
JP2018067464A (ja) 電気コネクタ
JP6569851B2 (ja) 電気コネクタ
TW202131568A (zh) 連接器、對接連接器及電氣機器
KR20230114943A (ko) 플렉서블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