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362A -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362A
KR20120117362A KR1020110035077A KR20110035077A KR20120117362A KR 20120117362 A KR20120117362 A KR 20120117362A KR 1020110035077 A KR1020110035077 A KR 1020110035077A KR 20110035077 A KR20110035077 A KR 20110035077A KR 20120117362 A KR20120117362 A KR 20120117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ncrete
work vehicle
formwork
mobil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신
김은현
김태형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362A/ko
Publication of KR2012011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좌측을 지지하고,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위에 배치되는 좌측 지지부; 상기 좌측 지지부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바깥쪽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좌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단 연장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을 지지하고,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위에 배치되는 우측 지지부; 상기 우측 지지부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바깥쪽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단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단 연장부와 상기 우측단 연장부에는 각각 그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 하단을 지지하는 거푸집 잭이 설치되며,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식 작업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양생된 교량의 측방향에 위치하는 캔틸레버부를 연장하는 방식으로 교량을 제작할 수 있어, 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Form travel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분리 타설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FCM(Free Cantilever Method)은 교량의 상부 구조를 시공함에 있어 교량 하부에 동바리 등을 설치하지 않고 이동식 작업차(Form Traveller) 또는 이동식 가설용 트러스를 사용하여 교각으로부터 좌우 평형을 유지하면서 한 세그먼트씩 순차적으로 반복 시공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연결해 나가는 교량상부 가설공법이다.
FCM 공법은 현장타설의 경우 80~250m에 일반적으로 적용되었는데, 최근에는 300m 이상의 장지간에도 적용된 사례가 있으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방식은 40~150m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FCM 공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으며 깊은 계곡이나 하천, 해상 및 도로, 철도통과 위치에 적용될 수 있고, 세그먼트 제작장비를 갖춘 이동식 작업차를 사용하며 커다란 가설장비 없이도 장대교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든 작업이 이동식 작업차 내에서 실시되므로 기후조건에 관계없이 시공될 수 있고,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서 시공속도 및 작업원의 숙련도가 양호하다.
한편 FCM에 의한 교량가설 공법을 크게 분류하면 현장타설 공법(Cast-in Place Cantilever Method)와 프리캐스트(Precast Cantilever Method) 공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FCM 공법에 의해 교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하기 위해서, 이동식 작업차의 구조를 개선하고, 작업을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동식 작업차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교량 제작시 분리 타설을 해서 교량 제작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위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캔틸레버부를 제작하면서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식 작업차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좌측을 지지하고,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위에 배치되는 좌측 지지부; 상기 좌측 지지부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바깥쪽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좌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단 연장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을 지지하고,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위에 배치되는 우측 지지부; 상기 우측 지지부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바깥쪽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단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단 연장부와 상기 우측단 연장부에는 각각 그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 하단을 지지하는 거푸집 잭이 설치되며,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식 작업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는 각각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레일 위에서 상기 이동식 작업차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을 고정하는 메인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좌측단 연장부와 상기 우측단 연장부는 각각 하방으로 설치되는 서스펜션 빔, 상기 서스펜션 빔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은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 잭의 일단은 상기 서스펜션 빔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거푸집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거푸집은 상기 캔틸레버부와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사이에 고정되는 스트러트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레일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 빔과, 일단이 상기 수평 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이동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량의 중앙 부위에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그 상단에 한 쌍의 레일이 시공되는 제1단계; 상기 레일 위에 이동식 작업차가 설치되는 제2단계; 상기 이동식 작업차가 고정되는 제3단계; 상기 이동식 작업차의 상부 프레임의 좌측단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단 연장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단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단 연장부에 구비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일단에 연장되는 캔틸레버부가 형성되는 제4단계; 상기 거푸집이 회전되어 상기 캔틸레버부로부터 탈거되는 제5단계; 추가적인 캔틸레버부를 시공할 필요가 있으면, 해당되는 위치로 상기 이동식 작업차를 이동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이동식 작업차의 상부 프레임의 좌측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을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에 설치된 메인 잭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거푸집의 일단과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가 강봉으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캔틸레버부와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사이에, 상기 캔틸레버부를 지지하는 스트러트가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6단계는. 상기 한 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에 평행한 수평 빔에 고정되는 이동 잭의 인장 또는 수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양생된 교량의 측방향에 위치하는 캔틸레버부를 연장하는 방식으로 교량을 제작할 수 있어, 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식 작업차를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캔틸레버부를 제작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교량의 중앙 부위와, 교량의 캔틸레버부를 분리 타설하는 방법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일괄 타설에 의해서 교량을 제작하는 것에 비해서 소형화되고, 이동이 용이한 이동식 작업차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면정리 작업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면정리 작업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전체 장비가 소형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FCM의 작업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차의 정면도.
도 3는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수평 빔과 레일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의 흐름도.
도 7 내지 도 9은 이동식 작업차의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교량의 중앙 부위(2)에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해서 양생한 후에, 교량의 중앙 부위(2)에 이동식 작업차를 설치해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교량의 중앙 부위(2)와 기 타설된 교량의 콘크리트(2)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구성요소가 많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로 도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을 중심으로 도면의 위쪽이 좌측이고, 도면의 아래쪽이 우측에 해당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차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차는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10),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지지부(20)와 좌측단 연장부(40),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우측에 위치한 우측 지지부(30)와 우측단 연장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0)은 복수 개의 빔으로 구성된 트러스 구조를 갖으면서, 좌측과 우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강한 힘에 의해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지지부(20)는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좌측을 지지하고,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2) 위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단 연장부(40)는 상기 좌측 지지부(20)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2)의 바깥쪽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좌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우측 지지부(30)는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우측을 지지하고,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2) 위에 배치되며, 상기 우측단 연장부(50)는 상기 우측 지지부(30)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2) 바깥쪽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우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차는 전체적으로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이 대칭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식 작업차는 좌측과 우측의 균형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고, 캔틸레버부(60)의 제작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 타설된 콘크리트(2)의 상면에는 레일(4)이 가설된다. 상기 레일(4)은 복수 개의 에이치 빔(H-beam)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교량의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레일(4)는 볼트 등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 지지부(20)와 상기 우측 지지부(30)는 각각 상기 레일(4) 위에서 상기 이동식 작업차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바퀴(22, 32)와, 상기 한 쌍의 바퀴(22, 32)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10)을 고정하는 메인 잭(24, 34)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지지부(20)와 상기 우측 지지부(30)에는 각각 좌측 고정 잭(28)과 우측 고정 잭(38)이 구비되어, 이동식 작업차의 좌측 및 우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상기 레일(4)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상기 바퀴(22, 32)도 상기 레일(4)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바퀴(22, 32)는 복수 개의 바퀴가 체인 등에 의해서 연결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이동식 작업차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메인 잭(24, 34)은 좌측 지지부(20)에 설치되는 메인 잭(24)과 우측 지지부(30)에 설치되는 메인 잭(34) 두 개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잭(24, 34)은 유압 또는 공기압 등에 의해서 작동할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좌측단 연장부(40)와 상기 우측단 연장부(50)는 각각 하방으로 설치되는 서스펜션 빔(46, 56), 상기 서스펜션 빔(46, 56)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암(48, 58)을 포함한다. 상기 서스펜션 빔(46, 56)은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차례로 상부 작업대(80)와 하부 작업대(9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작업대(80)와 상기 하부 작업대(90)는 각각 작업자가 배치되어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작업의 편의상 상기 상부 작업대(80)는 기 타설된 콘크리트(2)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하부 작업대(90)는 기 타설된 콘크리트(2)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작업대(80)과 상기 하부 작업대(90)를 이용해서 작업자가 면정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좌측단 연장부(40)에는 그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 양생된 콘크리트(2)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캔틸레버부(60)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42)이 설치되고, 상기 거푸집(42) 하단을 지지하는 거푸집 잭(44)이 설치된다. 상기 거푸집(42)은 상기 암(4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잭(44)의 일단은 상기 서스펜션 빔(46)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거푸집(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거푸집 잭(44)의 인장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거푸집(42)은 상기 암(48)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우측단 연장부(50)에는 그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2)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캔틸레버부(60)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52)과, 상기 거푸집(52) 하단을 지지하는 거푸집 잭(54)이 설치된다. 상기 거푸집(52)은 상기 암(5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잭(54)의 일단은 상기 서스펜션 빔(56)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거푸집(5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거푸집 잭(54)의 인장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거푸집(52)은 상기 암(58)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이동식 작업차에는 거푸집 잭(44, 54)가 각각에 인접한 거푸집(42, 52)를 개별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상기 거푸집(42, 52)은 원하는 캔틸레버부(60)의 형태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중앙 부위가 볼록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캔틸레버부(60)의 하단에는 상기 교량의 중앙 부위(2)에 결합되어, 상기 캔틸레버부(60)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트러트(7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시공되는 교량의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동식 작업차를 기준으로 우측은 교량의 중앙 부위(2)와 상기 교량의 중앙 부위(2)의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된 캔틸레버부(60)가 시공된 후의 상태이고, 좌측은 캔틸레버부(60)가 시공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즉 상기 이동식 작업차가 좌측으로 진행되면서 캔틸레버부(60)가 시공된다.
시공이 완료된 캔틸레버부(60)에는 각각 스트러트(70)가 설치되어, 상기 캔틸레버부(60)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차는 교량의 종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스트러트(70)가 종방향으로 10개씩, 즉 좌측과 우측을 포함해서 20개가 동시에 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수평 빔과 레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작업차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캔틸레버부(60)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차는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이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이동식 작업차는 좌측 지지부(20)와 우측 지지부(30)에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도 4는 일측에서 이동식 작업차를 바라본 도면이지만, 좌측 지지부(20)와 우측 지지부(30)에서 동일하게 형성되고,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도면으로 두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상기 좌측 지지부(20)와 상기 우측 지지부(30)는 상기 바퀴(22, 32)가 마련되는 수평 빔(26, 36)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빔(26, 36)은 상기 레일(4)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이동식 작업차의 종방향 이동 방향과 일치한다.
상기 수평 빔(26, 36)에는 브라켓(28, 38)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28, 38)에는 이동 잭(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잭(6)의 타단은 상기 레일(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잭(6)은 상기 레일(4)에 형성된 구멍에 핀 결합을 할 수있어서, 이동식 작업차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이동 잭(6)을 탈거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잭(6)은 유압 또는 공기 등에 의해서 인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수평 빔(26, 36) 즉, 이동식 작업차를 이동시킬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교량의 시공 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 후에, 도 7 내지 도 9을 이용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시공 방법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교량의 중앙 부위(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이 이루어진다(S10).
양생이 완료된 기 타설된 교량의 콘크리트(2)의 상단에 한 쌍의 레일(4)이 시공된다(S12). 한 쌍의 레일(4)은 2개 이상의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기 타설된 교량의 콘크리트(2)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이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현한다.
이어서 상기 레일(4) 위에 이동식 작업차가 설치된다(S14). 이때 레일(4)과 이동식 작업차의 바퀴(22, 32)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캔틸레버부(60)를 시공하기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식 작업차가 이동된다(S20). 이때 이동식 작업차는 바퀴(22, 32)에 의해서 상기 레일(4) 위의 어느 부분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이동식 작업차는 상기 이동 잭(6)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압축과 인장을 반복해서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원하는 위치로 이동식 작업차가 이동된 후에는 이동식 작업차는 고정된다(S32). 이때 상기 메인 잭(24, 34)을 인장시켜서, 상기 바퀴(22, 32)가 상기 레일(4)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42, 52)을 상기 거푸집 잭(44, 54)에 의해서 해당 위치에 고정한다(S23). 이어서 설계된 위치에 스트러트(70)를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42, 52)을 강봉(72)으로 연결한다.
상기 거푸집(42, 52)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해서 캔틸레버부(60)를 완성한다(S40).
이어서 상기 거푸집(42, 52)을 회전시켜서,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42, 52)을 탈거하고, 상기 메인 잭(24, 34)을 압축한다(S50). 상기 메인 잭(24, 34)이 압축되기 때문에, 상기 바퀴(22, 32)는 상기 레일(4)에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추가로 제작해야할 캔틸레버부(60)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60). 이동식 작업차는 교량의 종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교량의 캔틸레버부(60)가 시공 완료되지 않은 경우, 즉 추가로 시공되어야 할 캔틸레버부(6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동식 작업차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S20)에 상술한 작업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이동식 작업차의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와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레일(4)을 통해서 이동식 작업차가 이동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즉 캔틸레버부(60)를 시공하기 전에 원하는 시공 위치에 이동식 작업차가 이동되고, 이어서 고정된 상태이다.
이동식 작업차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잭(24, 34)은 압축되어, 상기 바퀴(22, 32)가 상기 레일(4)에 접촉한다. 이동식 작업차가 원하는 위치에 이동되면, 상기 메인 잭(24, 34)은 인장되고, 상기 바퀴(22, 32)는 상기 레일(4)과 접촉하지 않고 떠 있게 되기 때문에 이동식 작업차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거푸집(42, 52)이 수직하게 회전되고, 스트러트(70)가 설치된 상태이다.
상기 거푸집 잭(44, 54)이 인장되면서, 상기 거푸집(42, 52)은 상기 암(48, 58)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거푸집 잭(44, 54)이 충분히 인장되어, 상기 캔틸레버부(60)를 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거푸집(42, 52)이 위치하면 상기 거푸집(42, 52)의 일단에 강봉(72)을 설치한다. 상기 강봉(72)은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2)와 상기 거푸집(42, 52)을 연결해서, 상기 거푸집(42, 52)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에, 상기 거푸집(42, 52)이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스트러트(70)는 상기 거푸집(42, 52)이 배치되면서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러트(70)는 상기 캔틸레버부(60)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8의 상태에서 거푸집(42, 52)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 2은 도 8에서 캔틸레버부(60)가 시공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도 9은 도 2에서 캔틸레버부(60)가 시공이 완료된 경우, 즉 콘크리트의 양생이 종결된 후에 이동식 작업차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메인 잭(24, 34)은 압축되어서, 상기 바퀴(22, 32)가 상기 레일(4)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42, 52)은 상기 거푸집 잭(44, 54)이 압축되면서 상기 암(48, 5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42, 52)은 상기 캔틸레버부(6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푸집(42, 52)은 상기 캔틸레버부(60)와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2)의 사이에 고정되는 스트러트(70)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동식 작업차는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스트러트(70)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동식 작업차가 이동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잭(6)의 인장과 압축이 번갈아 가면서 수행된다. 상기 이동 잭(6)은 이동식 작업차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레일(4)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과 핀 결합을 통해서 탈거와 결합을 반복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즉 이동 잭(6)이 상기 레일(4)의 특정 위치에서 인장되면 이동식 작업은 좌측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상기 이동 잭(6)이 상기 레일(4)로부터 탈거되고 압축된 후에 상기 레일(4)의 보다 좌측에 형성된 홈과 핀 결합된 후에 다시 인장되는 방식으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교량의 중앙 부위
10: 상부 프레임 20: 좌측 지지부
30: 우측 지지부 40: 좌측단 연장부
50: 우측단 연장부 60: 캔틸레버부
70: 스트러트 80: 상부 작업대
90: 하부 작업대

Claims (9)

  1.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좌측을 지지하고,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위에 배치되는 좌측 지지부;
    상기 좌측 지지부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바깥쪽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좌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단 연장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을 지지하고,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위에 배치되는 우측 지지부;
    상기 우측 지지부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바깥쪽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단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단 연장부와 상기 우측단 연장부에는 각각 그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 하단을 지지하는 거푸집 잭이 설치되며,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식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는 각각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레일 위에서 상기 이동식 작업차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 양생된 교량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을 고정하는 메인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단 연장부와 상기 우측단 연장부는 각각 하방으로 설치되는 서스펜션 빔, 상기 서스펜션 빔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은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 잭의 일단은 상기 서스펜션 빔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거푸집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캔틸레버부와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사이에 고정되는 스트러트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레일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 빔과,
    일단이 상기 수평 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이동 잭을 포함하는 이동식 작업차.
  6. 교량의 중앙 부위에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그 상단에 한 쌍의 레일이 시공되는 제1단계;
    상기 레일 위에 이동식 작업차가 설치되는 제2단계;
    상기 이동식 작업차가 고정되는 제3단계;
    상기 이동식 작업차의 상부 프레임의 좌측단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단 연장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단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단 연장부에 구비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일단에 연장되는 캔틸레버부가 형성되는 제4단계;
    상기 거푸집이 회전되어 상기 캔틸레버부로부터 탈거되는 제5단계;
    추가적인 캔틸레버부를 시공할 필요가 있으면, 해당되는 위치로 상기 이동식 작업차를 이동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이동식 작업차의 상부 프레임의 좌측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우측을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에 설치된 메인 잭이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거푸집의 일단과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가 강봉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캔틸레버부와 기 양생된 교량의 콘크리트의 사이에, 상기 캔틸레버부를 지지하는 스트러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한 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에 평행한 수평 빔에 고정되는 이동 잭의 인장 또는 수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KR1020110035077A 2011-04-15 2011-04-15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KR20120117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077A KR20120117362A (ko) 2011-04-15 2011-04-15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077A KR20120117362A (ko) 2011-04-15 2011-04-15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62A true KR20120117362A (ko) 2012-10-24

Family

ID=4728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077A KR20120117362A (ko) 2011-04-15 2011-04-15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736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31B1 (ko) * 2012-10-16 2013-04-29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횡단 프레임을 구비한 폼 트래블러 및 그 런칭 방법
CN103924527A (zh) * 2014-04-29 2014-07-16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节约资源、绿色环保、制架一体化的公路梁场布置及其施工方法
CN106835926A (zh) * 2017-02-20 2017-06-13 湖南科技大学 一种小边主跨比预应力混凝土连续梁桥及其施工方法
CN107724249A (zh) * 2017-11-15 2018-02-23 中铁十局集团第工程有限公司 现浇箱梁自动喷淋养护机
CN108316156A (zh) * 2018-04-18 2018-07-24 中铁十九局集团第七工程有限公司 移动模板及其施工方法
CN111042005A (zh) * 2020-01-16 2020-04-21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挂篮法悬臂浇筑波形钢腹板斜交箱梁桥施工方法
CN111335187A (zh) * 2020-03-25 2020-06-26 上海远通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空腹式刚构桥三角区施工工艺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31B1 (ko) * 2012-10-16 2013-04-29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횡단 프레임을 구비한 폼 트래블러 및 그 런칭 방법
CN103924527A (zh) * 2014-04-29 2014-07-16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节约资源、绿色环保、制架一体化的公路梁场布置及其施工方法
CN106835926A (zh) * 2017-02-20 2017-06-13 湖南科技大学 一种小边主跨比预应力混凝土连续梁桥及其施工方法
CN107724249A (zh) * 2017-11-15 2018-02-23 中铁十局集团第工程有限公司 现浇箱梁自动喷淋养护机
CN108316156A (zh) * 2018-04-18 2018-07-24 中铁十九局集团第七工程有限公司 移动模板及其施工方法
CN108316156B (zh) * 2018-04-18 2023-10-03 中铁十九局集团广州工程有限公司 移动模板及其施工方法
CN111042005A (zh) * 2020-01-16 2020-04-21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挂篮法悬臂浇筑波形钢腹板斜交箱梁桥施工方法
CN111042005B (zh) * 2020-01-16 2022-02-01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挂篮法悬臂浇筑波形钢腹板斜交箱梁桥施工方法
CN111335187A (zh) * 2020-03-25 2020-06-26 上海远通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空腹式刚构桥三角区施工工艺
CN111335187B (zh) * 2020-03-25 2021-11-16 上海远通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空腹式刚构桥三角区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362A (ko)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JP5059491B2 (ja) 移動吊支保工の組立て方法
CN107571392B (zh) 一种用于横张法预应力预制小箱梁施工的制梁台座
JP4403051B2 (ja) 波形鋼板ウエブ橋の架設方法
CN109267491B (zh) 一种移动模架及其施工方法
CN107336346B (zh) 一种制梁台座
JP4777922B2 (ja) 移動吊支保工
CN109267490B (zh) 一种长导梁式移动模架及其施工方法
CN102660925B (zh) 一种变幅宽曲线桥移动模架
CN111022079A (zh) 一种栈桥式全断面仰拱二衬台车设备及其施工方法
CN113370384A (zh) 固定液压模板移动台车工装及t梁预制施工工艺
CN107401125B (zh) 一种移动台车的行走装置及使用方法
JP2006077521A (ja) 橋梁構築装置
KR101198376B1 (ko) 에프씨엠 교량의 주두부 시공방법
CN112458912B (zh) 走行式台车及其安装方法、施工方法
CN114657884A (zh) 一种桥台拼装分段推进的下行式移动模架施工方法
JP3804883B2 (ja) コンクリート高構造物構築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斜柱の構築方法
JP4980257B2 (ja) 柱頭部施工用架設装置およびその一部を利用した移動作業車の構築方法ならびに橋梁の張出し施工方法
JP4040900B2 (ja) 立体交差施工方法、立体交差および移動架台
CN109629437A (zh) 一种箱梁移动式整孔现浇设备及其使用方法
KR101200246B1 (ko) 철근조립용 지그의 토글링크식 리프팅 장치
CN110883920B (zh) 一种预制t梁自行式液压模板装置及模板系统
CN214362897U (zh) 一种可重复利用的梁格体系桥纵梁安装及调整平台结构
JP6449637B2 (ja) 建物の構築方法
JP3425352B2 (ja) 自昇式型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