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064A -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064A
KR20120117064A KR1020110034569A KR20110034569A KR20120117064A KR 20120117064 A KR20120117064 A KR 20120117064A KR 1020110034569 A KR1020110034569 A KR 1020110034569A KR 20110034569 A KR20110034569 A KR 20110034569A KR 20120117064 A KR20120117064 A KR 2012011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ealing
edge portion
unit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076B1 (ko
Inventor
윤용중
박수영
김인주
방영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076B1/ko
Priority to TW100149275A priority patent/TWI619987B/zh
Priority to CN201110449980.XA priority patent/CN102736295B/zh
Publication of KR2012011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02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02F1/0107Gaskets, spacers or sealing of cells; Filling and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및 세트 커버들의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를 보호하기 위해 실링 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실링 부재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및 세트 커버들의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를 보호하기 위해 실링 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표시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면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슬림화)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 또는 미감 증진을 위한 디자인 개발은 종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그대로 채용하면서 그 구성요소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나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종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기 위해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고, 또한, 노트북, 모니터, 모바일 기기 또는 텔레비전 등으로 제품화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면 세트 커버와 후면 세트 커버가 추가적으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및 이에 더하여 제품의 전면 및 후면 세트 커버가 필수적으로 사용됨으로 인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줄이거나 디자인을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필수적으로 덮게 되므로, 그로 인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고,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테두리 폭이 증가되고 테두리 부분의 단차로 인하여 다양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고안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품화하는데 필수구성으로 여겨졌던 케이스 및 세트 커버 구성들의 일부를 과감하게 생략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통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및 세트 커버들의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를 보호하기 위해 실링 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실링 부재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및 제 2 장변 중 제 1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기판의 일측에 부착된 복수의 회로 필름; 및 상기 복수이 회로 필름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과 제 1 및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 부재 형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실링 유닛; 및 상기 실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 부재 형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 각각은 상기 실링 부재가 도포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를 검출하는 검출 부재; 상기 검출 부재에 의해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는 도포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켜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경화 부재; 및 상기 검출 부재와 도포 부재 및 상기 경화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 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검출 부재와 도포 부재 및 상기 경화 부재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지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 1 갠트리; 상기 제 1 갠트리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 각각을 지지하는 제 2 갠트리; 및 상기 제 1 갠트리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실링 유닛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키는 제 3 갠트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실링 유닛은 상기 제 2 갠트리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실링 유닛은 상기 제 2 갠트리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실링 유닛은 상기 제 3 갠트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실링 유닛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키는 제 1 갠트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실링 유닛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키는 제 2 갠트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실링 유닛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키는 제 3 갠트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실링 유닛은 상기 제 1 갠트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실링 유닛은 상기 제 2 갠트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실링 유닛은 상기 제 3 갠트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은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련하는 단계;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패널 지지부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널 지지부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및 제 2 장변 중 제 1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기판의 일측에 부착된 복수의 회로 필름; 및 상기 복수이 회로 필름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과 제 1 및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링 부재가 도포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실링제를 경화시켜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경화 부재에 의해 경화되어 형성된 상기 실링 부재를 촬상하여 상기 실링 부재의 형상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패널 결합 부재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패널 지지 부재에 결합시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를 과감하게 제거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 부분의 단차를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디자인 측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및 세트 커버들의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 상부 필름의 박리, 습기 등의 침투, 측면 빛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패널 지지부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 유닛과 실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실링 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넷째, 촬상 부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형성된 실링 부재의 형상을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링 부재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링 부재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실링 부재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실링 유닛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실링 유닛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유닛의 구동에 따른 실링 유닛의 이동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도 8에 도시된 이동 유닛의 구동에 따른 실링 유닛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링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대향 합착된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및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30)를 상호 결합시키는 패널 결합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부 기판(112),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 상부 기판(114)에 부착된 상부 편광 필름(116), 및 하부 기판(112)의 배면에 부착된 하부 편광 필름(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기판(112)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미도시)에 의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화소(미도시)를 포함한다. 각 화소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통 전극은 액정층의 구동 방식에 따라 상부 기판(11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부 기판(112)은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의 차전압에 대응되는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층의 광 투과율을 조절한다.
상부 기판(114)은 하부 기판(112)에 형성된 각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하부 기판(112)과 대향 합착된다. 이때, 상부 기판(114)에는 액정층의 구동 방식에 따라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기판(114)은 액정층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컬러 필터로 필터링하여 소정의 컬러 광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소정의 컬러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하부 기판(112) 및 상부 기판(114)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층의 구동 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편광 필름(116)은 상부 기판(114)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부 기판(114)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킨다. 이러한 상부 편광 필름(116)은 컷팅 공정에 의해 상부 기판(114)의 전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부 기판(114)의 전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부 편광 필름(116)의 각 측면은 모따기(Chamfer) 공정에 의해 소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편광 필름(118)은 하부 기판(112)의 배면에 부착되어 백 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조사되는 광을 편광시킨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부 기판(112)의 제 1 및 제 2 장변 중 제 1 장변에 마련된 패드부(미도시)에 접속된 복수의 회로 필름(미도시), 및 복수의 회로 필름에 접속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회로 필름 각각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미도시)가 실장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기판(112)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게이트(또는 스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회로 필름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회로 필름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회로 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화상을 표시하기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미도시), 각종 전원 회로(미도시), 및 메모리 소자(미도시) 등이 실장된다.
백 라이트 유닛(120)은 패널 지지 부재(130)에 수납되는 도광판(122), 반사 시트(124), 및 광학 부재(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광판(122)은 평판 형태(또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시킨다. 이때, 광원은 형광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4)는 도광판(122)의 배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2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반사시킨다.
광학 부재(126)는 도광판(122)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22)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광학 부재(126)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상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널 지지 부재(130)는 상부 편광 필름(116)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패널 지지 부재(130)는 세트 커버(131), 지지 커버(133), 및 가이드 프레임(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트 커버(131)는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커버(133)와 가이드 프레임(135)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이러한 세트 커버(131)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세트 커버(131)는 세트 플레이트(131a), 및 세트 측벽(1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트 플레이트(131a)는 평판 형태로써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커버 역할을 한다.
세트 측벽(131b)은 세트 플레이트(131a)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세트 측벽(131b)은 가이드 프레임(135)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커버 역할을 한다.
지지 커버(133)는 세트 커버(131)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가이드 프레임(135)을 지지함과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한다. 이를 위해, 지지 커버(133)는 백 라이트 유닛(120)을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지지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지지 커버(133)는 세트 플레이트(131a)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나사에 의해 세트 커버(131)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35)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커버(133)의 지지 측벽에 안착됨과 아울러 패널 결합 부재(14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프레임(135)은 결합 부재 형성부(135a), 및 결합 부재 형성부(135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세트 측벽(131b)에 결합되는 가이드 측벽(13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 부재 형성부(135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대향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 부재 형성부(135a)는 패널 결합 부재(140)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 깊이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측벽(135b)은 세트 측벽(131b)에 인접한 결합 부재 형성부(135b)의 일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지지 커버(133)의 지지 측벽과 세트 측벽(131b) 사이의 공간에 배치됨과 아울러 세트 측벽(131b)에 결합된다.
상기의 가이드 프레임(135)과 세트 커버(131)의 결합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세트 커버(131)에 형성된 제 1 체결 부재(131c), 및 가이드 프레임(135)에 형성된 제 2 체결 부재(135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체결 부재(131c, 135c) 각각은 상호 체결을 위해 반대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체결 부재(131c)는 제 2 체결 부재(135c)에 대응되도록 세트 측벽(131b)의 내측벽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2 체결 부재(135c)는 단턱면과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이드 측벽(135b)의 외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단턱면은 제 1 체결 부재(131c)에 체결된 제 2 체결 부재(135c)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경사면은 제 1 및 제 2 체결 부재(131c, 135c)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이드 프레임(135)과 세트 커버(131)가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 측면에서 가이드 프레임(135)은 지지 커버(133)의 지지 측벽과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트 커버(131)는 세트 플레이트(131a)를 통해 지지 커버(133)의 커버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나사에 의해 지지 커버(133)와 결합될 수 있다.
패널 결합 부재(140)는 가이드 프레임(135)의 결합 부재 형성부(135a)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3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때, 패널 결합 부재(140)는 가이드 프레임(135)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결합력 및 두께 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기판(11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편광 필름(11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패널 결합 부재(140)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패널 결합 부재(140)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패널 지지 부재(130)에 결합시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를 과감하게 제거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 부분의 단차를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디자인 측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라이트 유닛(120)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제품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발광 소자이므로 패널 지지 부재(130)에 수납된 백 라이트 유닛(120)은 생략되고, 나아가, 패널 지지 부재(130)의 지지 커버(133) 역시 생략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부 기판(112),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 및 상부 기판(114)에 부착된 상부 편광 필름(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기판(112)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발광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기판(114)은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되어 하부 기판(112)에 형성된 발광 소자를 보호한다. 이때, 상부 기판(114)은 하부 기판(112)에 형성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112)에 형성된 발광 소자는 생략된다.
상부 편광 필름(116)은 상부 기판(114)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부 기판(114)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킨다. 이러한 상부 편광 필름(116)은 컷팅 공정에 의해 상부 기판(114)의 전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부 기판(114)의 전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부 편광 필름(116)의 각 측면은 모따기(Chamfer) 공정에 의해 소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부 편광 필름(116)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상부 기판(114)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기판(114)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 편광 필름(116)은 보호 필름(미도시)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 기판(114) 상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3D용 디스플레이 패널인가에 따라 상부 편광 필름(116), 보호 필름, 및 3D용 편광 필름(미도시)이 조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부 기판(114) 상에 부착되는 상부 편광 필름(116), 보호 필름, 및 3D용 편광 필름(미도시)의 조합을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름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대향 합착된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및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3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30)를 상호 결합시키는 패널 결합 부재(14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를 보호하는 실링 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실링 부재(2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실링 부재(2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과 제 1 및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장변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회로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이 부분은 별도의 기구물(미도시)에 의해 감싸여진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장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는 상기의 실링 부재(250)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실링 부재(250)는 실리콘 계열 또는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또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정 택 타임(Tack Time)을 고려하면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링제의 점도(Viscosity)는 1500 ~ 30000cps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상 공정 시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실링제의 색상은 무색(또는 투명) 또는 유색(예를 들어, 청색, 적색, 또는 흑색)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 측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각각의 측면 전체와 상부 기판(112)에 인접한 상부 편광 필름(116)의 측면 일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및 상부 편광 필름(116)의 측면 전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편광 필름(116)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과 측면 전체,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각각의 측면 전체, 및 하부 기판(112)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기판(114)에 상부 편광 필름(116) 대신에 보호 필름이 부착된 경우에도 실링 부재(250)는 보호 필름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과 측면 전체, 보호 필름의 측면 일부, 또는 보호 필름의 측면 전체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2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가 삭제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를 외부 환경 또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한다. 즉, 실링 부재(2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2) 상부 편광 필름(116)의 박리를 방지한다.
3)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취급시 인적 피해를 방지한다.
4) 습기 등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5)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광의 전반사에 의한 측면 빛샘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되는 실링 부재(2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손상, 상부 편광 필름(116)의 박리, 습기 등의 침투, 측면 빛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도 4와 결부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500)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600), 및 패널 지지부(60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실링 부재 형성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부 기판(112),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 상부 기판(114)에 부착된 상부 편광 필름(116), 및 하부 기판(112)의 배면에 부착된 하부 편광 필름(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부 편광 필름(116) 상에 부착된 3D용 편광 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부 기판(112), 하부 기판(112)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114), 및 상부 기판(114)에 부착된 상부 편광 필름(1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편광 필름(116)은 보호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부 편광 필름(116) 또는 상부 기판(114) 상에 부착된 3D용 편광 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 기판(114) 상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3D용 디스플레이 패널인가에 따라 상부 편광 필름(116), 보호 필름, 및 3D용 편광 필름(미도시)이 조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부 기판(114) 상에 부착되는 상부 편광 필름(116), 보호 필름, 및 3D용 편광 필름(미도시)의 조합을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름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부 기판(112)의 제 1 및 제 2 장변 중 제 1 장변에 마련된 패드부(미도시)에 접속된 복수의 회로 필름(119a), 및 복수의 회로 필름(119a)에 접속된 인쇄회로기판(119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500)은 평판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 지지부(600)는 베이스 프레임(500)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패널 지지부(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스테이지(610), 및 스테이지(610)를 지지하는 스테이지 지지 유닛(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이지(610)는 스테이지 지지 유닛(630)에 지지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로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스테이지(610)는 스테이지 지지 유닛(630)에 지지되는 워크 테이블(612), 및 워크 테이블(612) 상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돌출부(6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워크 테이블(612)은 스테이지 지지 유닛(630)에 지지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다. 이때, 워크 테이블(612)은 스테이지 지지 유닛(630)에 의해 승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워크 테이블(61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로딩시 패널 로딩 위치로 상승(또는 하강)하고, 돌출부(614)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안착되면 공정 위치로 하강(또는 상승)할 수 있다.
돌출부(61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워크 테이블(612)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 로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한다. 이때, 돌출부(61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한편, 패널 지지부(600)는 돌출부(614)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공 흡착하는 복수의 진공 흡착 홀(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패널 지지부(600)는 돌출부(614)에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로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일시적으로 지지한 후,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돌출부(614)에 안착시키는 복수의 리프트 핀(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스테이지 지지 유닛(630)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테이지(61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스테이지 지지 유닛(630)은 선반(631), 지지축(633), 및 구동부(6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반(631)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부(635)를 지지한다.
지지축(633)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하여 스테이지(610)의 워크 테이블(612)의 배면에 결합된다.
구동부(635)는 지지축(633)에 결합되도록 선반(631)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부(635)는 지지축(633)을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축(633)에 결합된 스테이지(610)는 구동부(635)의 구동에 따라 승강된다. 한편, 실링 부재 형성부(700)에 의한 실링 부재(250)의 형성 방법에 따라서 구동부(635)는 지지축(633)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지지축(633)에 결합된 스테이지(610)는 구동부(635)의 구동에 따라 회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스테이지(61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패널 정렬부(6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 정렬부(6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형성된 정렬 마크(미도시)를 검출하는 마크 검출 유닛(652), 및 마크 검출 유닛(652)에 의해 검출된 정렬 마크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위치를 정렬하는 패널 정렬 유닛(6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크 검출 유닛(65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형성된 정렬 마크(미도시)에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500) 상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한 쌍의 수직 지지대(652a), 및 한 쌍의 수직 지지대(652a) 각각에 설치되어 정렬 마크를 촬상 하는 마크 촬상 유닛(65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 정렬 유닛(654)은 한 쌍의 정렬 가이더(654a), 및 한 쌍의 패널 정렬 바(65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정렬 가이더(654a)는 스테이지(610)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정렬 가이더(654a)는 스테이지(610)의 단변 또는 장변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패널 정렬 바(654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정렬 가이더(654a) 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패널 정렬 바(654b)는 마크 검출 유닛(652)에 의해 검출된 정렬 마크의 위치에 기초하여 스테이지(610)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슬라이딩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형성된 정렬 마크를 기준 위치로 정렬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위치를 정렬한다.
실링 부재 형성부(700)는 스테이지(61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실링 부재 형성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실링 유닛(710), 및 실링 유닛(710)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링 유닛(7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부재(711), 도포 부재(712), 경화 부재(713), 및 지지 모듈(7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출 부재(711)는 지지 모듈(714)에 지지되어 실링 부재(250)가 도포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검출 부재(711)는 레이저(Laser)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즉 상부 기판(114)의 측면을 검출할 수 있다.
도포 부재(7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대향되도록 지지 모듈(714)에 지지되어 검출 부재(711)에 의해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한다. 이를 위해, 도포 부재(712)는 분사 노즐, 및 시린지(Syringe; 71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사 노즐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대향되도록 지지 모듈(714)에 설치된다. 이러한 분사 노즐은 시린지(712a)로부터 제공되는 실링제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도포함으로써,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 중 어느 한 실시 예의 실링 부재(25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분사 노즐은 제팅(Jetting) 또는 공기압(Air Pressure) 방식에 따라 실링제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도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사 노즐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함으로써,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25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사 노즐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25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즉,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사 노즐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가지도록 "⊂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250)가 형성되도록 한다.
시린지(712a)는 분사 노즐에 연통되도록 지지 모듈(714)에 설치된다. 이러한 시린지(172a)는 소정 량의 실링제를 저장하고, 저장된 실링제를 분사 노즐에 제공한다. 이때, 실링제는 실리콘 계열 또는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또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정 택 타임(Tack Time)을 고려하면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실링제의 경화 시간은 5초 이내이고, 실링제의 경화 수축률은 5%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제의 점도(Viscosity)는 1500 ~ 30000cps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상 공정 시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실링제의 색상은 무색(또는 투명) 또는 유색(예를 들어, 청색, 적색, 또는 흑색)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 측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경화 부재(713)는 도포 부재(712)에 인접하도록 지지 모듈(714)에 지지되어 도포 부재(712)와 함께 이동하면서 도포 부재(712)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킨다. 이때, 경화 부재(713)는 도포 부재(712)에 의한 실링제의 도포 시점으로부터 5초 이내에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킨다. 이를 위해, 경화 부재(713)는 실링제의 경화 특성에 대응되도록 소정 온도의 열 또는 자외선을 실링제에 조사한다. 예를 들어, 실링제는 자외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지고, 경화 부재(713)는 자외선 경화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지지 모듈(714)은 검출 부재(711)와 도포 부재(712) 및 경화 부재(713)를 지지하고 이동 유닛(720)의 구동에 따라 검출 부재(711)와 도포 부재(712) 및 경화 부재(713)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지지 모듈(714)은 승강 부재(714a), 지지 브라켓(714b), 지지 프레임(714c), 및 회전 부재(714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 부재(714a)는 이동 유닛(720)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지지 브라켓(714b)을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를 위해, 승강 부재(714a)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 방식, 모터와 볼 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 스크류 방식, 모터와 랙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 방식, 모터와 풀리 및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 방식, 또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방식을 이용하여 지지 브라켓(714b)을 승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 부재(712)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250)를 형성할 경우, 승강 부재(714a)는 분사 노즐의 토출구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중심부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중심부와 상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 브라켓(714b)을 승강시킬 수 있다.
지지 브라켓(714b)은 승강 부재(714a)에 설치되어 회전 부재(714d)와 시린지(712a)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 브라켓(714b)는 "L"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714c)은 지지 브라켓(714b)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 부재(714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검출 부재(711)와 도포 부재(712) 및 경화 부재(713)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 프레임(714c)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 부재(714d)는 지지 프레임(714c)에 결합되도록 지지 브라켓(714b)에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714c)을 회전시킨다. 즉, 회전 부재(714d)는 실링제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대향되도록 90도 단위로 회전시킨다.
한편, 실링 유닛(710)은,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부재(7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촬상 부재(715)는 경화 부재(713)에 인접하도록 지지 모듈(714), 즉 지지 프레임(714c)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촬상 부재(715)는 경화 부재(713)에 의해 경화되어 형성된 실링 부재(250)를 촬상하여 실링 부재(250)의 형상 등을 실시간으로 검사한다. 즉, 촬상 부재(71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형성된 실링 부재(250)를 촬상하여 실링 부재(250)의 형성 상태, 즉 실링 부재(250)의 형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촬상 부재(715)에 의해 생성된 실링 부재(250)의 형상 정보는 이미지 분석 부재(미도시)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미지 분석 부재는 실링 부재(250)의 형상 정보를 분석하여 실링 부재(250)의 폭 또는 두께를 검출하거나, 실링 부재(250)의 단선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8 내지 도 10에서, 이동 유닛(720)은 실링 유닛(710)을 X축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링 유닛(71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동 유닛(720)은 제 1 및 제 2 갠트리(Gantry)(722, 7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갠트리(72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부재(500)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제 2 갠트리(722)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 1 갠트리(722)는 모터와 볼 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 스크류 방식, 모터와 랙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 방식, 또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모터 방식을 이용한다.
제 2 갠트리(724)는 제 1 갠트리(7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링 유닛(71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실링 유닛(71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 2 갠트리(724)는 모터와 볼 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 스크류 방식, 모터와 랙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 방식, 또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모터 방식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이동 유닛(72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유닛(710)을 가속 구간(P1), 정속 구간(P2), 및 감속 구간(P3)으로 나누어 이동시킨다. 여기서, 가속 구간(P1)은 이동 유닛(720)의 구동 시점에서 원하는 이송 속도로 가속하는 구간을 의미하고, 정속 구간(P1)은 일정한 이송 속도를 유지하는 구간을 의미하고, 감소 구간(P2)은 일정한 이송 속도에서 정지 상태로 감속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실링 유닛(710)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닛(720)의 구동에 따라 홈 위치에서 가속 이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 쪽으로 이송되고,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 후,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 타측에서 감속 이송되어 정지하게 된다. 이때, 실링 유닛(710)이 도포 부재(712)는 검출 부재(711)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가 검출되는 동안에만 실링제를 분사한다. 결과적으로, 실링 유닛(710)은 이동 유닛(720)에 의해 이동하면서 정속 구간(P2) 동안에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도 15a 내지 도 15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f를 도 4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600)의 스테이지(610)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안착시킨 후, 패널 정렬부(650)의 구동에 따라 스테이지(610)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위치를 정렬한다.
그런 다음,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닛(720)의 제 1 갠트리(722)의 구동에 따라 실링 유닛(710)을 홈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때, 실링 유닛(710)는 도포 부재(712)를 통해 이동 유닛(720)의 정속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고, 경화 부재(713)를 통해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 타측에 위치한 실링 유닛(710)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닛(720)의 제 2 갠트리(724)의 구동에 따라 90도 회전된 실링 유닛(710)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때, 실링 유닛(710)는 도포 부재(712)를 통해 이동 유닛(720)의 정속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고, 경화 부재(713)를 통해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장변 타측에 위치한 실링 유닛(710)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도 1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닛(720)의 제 1 갠트리(722)의 구동에 따라 90도 회전된 실링 유닛(710)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단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때, 실링 유닛(710)는 도포 부재(712)를 통해 이동 유닛(720)의 정속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고, 경화 부재(713)를 통해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회로 필름(119a)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장변을 제외한 나머지 제 1 및 제 2 단변과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는, 도 5,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실링 부재(250)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단변 타측에 위치한 실링 유닛(710)을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킴과 아울러, 실링 유닛(710)을 실링 부재(250)의 형성 없이, 제 2 갠트리(724)의 구동에 따라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위치로 이송한다. 이때, 실링 유닛(7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단변 타측에서 홈 위치로 이송하는 중에 회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스테이지(610)에서 외부로 언로딩한 다음,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스테이지(610)에 안착시킨 후 상술한 도 15a 내지 도 15f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손상, 상부 편광 필름(116)의 박리, 습기 등의 침투, 측면 빛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서는 실링 유닛(710)이 이동 유닛(720)의 구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 제 2 장변, 제 2 단변, 및 홈 위치 순서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동 유닛(720)의 구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을 따라 Y축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스테이지(610)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나머지 제 2 장변 및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6을 도 4와 결부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500)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600), 및 패널 지지부(60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실링 부재 형성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에서 실링 부재 형성부(8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실링 부재 형성부(800)는 스테이지(61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실링 부재 형성부(8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8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 각각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부재(711), 도포 부재(712), 경화 부재(713), 지지 모듈(814), 및 촬상 부재(7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 각각에서 지지 모듈(814)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의 실링 유닛(710)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지지 모듈(814)은 검출 부재(711), 도포 부재(712), 경화 부재(713), 및 촬상 부재(715)를 지지하고 이동 유닛(820)의 구동에 따라 검출 부재(711), 도포 부재(712), 경화 부재(713), 및 촬상 부재(715)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지지 모듈(814)은 승강 부재(814a), 및 지지 브라켓(81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 부재(814a)는 이동 유닛(820)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지지 브라켓(814b)을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를 위해, 승강 부재(814a)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 방식, 모터와 볼 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 스크류 방식, 모터와 랙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 방식, 모터와 풀리 및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 방식, 또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방식을 이용하여 지지 브라켓(814b)을 승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 부재(712)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250)를 형성할 경우, 승강 부재(814a)는 분사 노즐의 토출구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중심부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중심부와 상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 브라켓(814b)을 승강시킬 수 있다.
지지 브라켓(814b)은 승강 부재(814a)에 설치되어 검출 부재(711), 도포 부재(712), 경화 부재(713), 및 촬상 부재(715)를 지지한다. 즉, 검출 부재(711), 도포 부재(712), 경화 부재(713), 및 촬상 부재(715) 각각은 지지 브라켓(814b)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이때, 도포 부재(712)에 실링제를 제공하는 시린지(712a)는 지지 브라켓(814b)의 상부에 설치된다.
다시 도 16에서, 이동 유닛(820)은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을 Y축 방향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제 3 실링 유닛(810c)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 유닛(72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을 가속 구간(P1), 정속 구간(P2), 및 감속 구간(P3)으로 나누어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이동 유닛(820)은 제 1 내지 제 3 갠트리(822, 824, 8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갠트리(82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부재(500)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제 2 갠트리(822)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 1 갠트리(822)는 모터와 볼 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 스크류 방식, 모터와 랙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 방식, 또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모터 방식을 이용한다.
제 2 갠트리(824)는 제 1 갠트리(8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 각각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제 1 실링 유닛(810a)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도록 제 2 갠트리(824)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실링 유닛(810b)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도록 제 2 갠트리(824)의 타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갠트리(824)는 제 1 갠트리(822)의 구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에 대응되도록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을 동시에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 3 갠트리(826)는 제 1 갠트리(82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제 3 실링 유닛(810c)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제 3 실링 유닛(810c)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제 3 갠트리(826)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도록 제 3 실링 유닛(810c)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 3 갠트리(826)는 제 1 갠트리(822)와 동일한 구동 방식에 이용하여 제 3 실링 유닛(810c)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f를 도 4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600)의 스테이지(610)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안착시킨 후, 패널 정렬부(650)의 구동에 따라 스테이지(610)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위치를 정렬한다.
그런 다음, 제 1 갠트리(822)의 구동에 의한 제 2 갠트리(824)의 Y축 이송에 따라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을 홈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및 제 2 단변 각각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 각각은 도포 부재(712)를 통해 이동 유닛(820)의 정속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 각각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고, 경화 부재(713)를 통해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및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 중간 부분 이후로 이송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과 제 3 실리 유닛(810c)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갠트리(826)의 구동에 따라 제 3 실링 유닛(810c)을 홈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때, 제 3 실링 유닛(810c)은 도포 부재(712)를 통해 이동 유닛(820)의 정속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고, 경화 부재(713)를 통해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 일측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 각각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및 제 2 단변 각각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대한 실링 부재(250)의 형성 공정이 완료되면,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과 제 3 실리 유닛(810c)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링 유닛(810c)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동안,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 각각을 홈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런 다음, 제 3 실링 유닛(810c)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대한 실링 부재(250)의 형성 공정이 완료되면, 제 3 실링 유닛(810c)을 홈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런 다음,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스테이지(610)에서 외부로 언로딩한 다음,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스테이지(610)에 안착시킨 후 상술한 도 18a 내지 도 18c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손상, 상부 편광 필름(116)의 박리, 습기 등의 침투, 측면 빛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와 대비하여 실링 유닛(810a, 810b, 810c)의 개수가 3배로 증가하는 대신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공정 시간을 3배로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9를 도 4와 결부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500)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600), 및 패널 지지부(60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실링 부재 형성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에서 실링 부재 형성부(9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실링 부재 형성부(900)는 스테이지(61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실링 부재 형성부(9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9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실링 부재 형성부(900)에서 이동 유닛(92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의 실링 부재 형성부(8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동 유닛(920)에 대한 설명을 제외한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이동 유닛(92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을 가속 구간(P1), 정속 구간(P2), 및 감속 구간(P3)으로 나누어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이동 유닛(820)은 제 1 내지 제 3 갠트리(922, 924, 9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갠트리(922)는 스테이지(610)의 일측 단변,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에 인접하도록 베이스 부재(500)에 설치되어 제 1 실링 유닛(810a)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제 1 갠트리(922)는 모터와 볼 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 스크류 방식, 모터와 랙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 방식, 또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모터 방식을 이용한다.
제 2 갠트리(924)는 스테이지(610)의 타측 단변,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단변에 인접하도록 베이스 부재(500)에 설치되어 제 2 실링 유닛(810b)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제 2 갠트리(924)는 제 1 갠트리(922)와 동일한 구동 방식에 이용하여 제 2 실링 유닛(810b)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제 3 갠트리(926)는 스테이지(610)의 일측 장변,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인접하도록 베이스 부재(500)에 설치되어 제 3 실링 유닛(810c)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제 3 갠트리(926)는 제 1 및 제 2 갠트리(922, 924)와 동일한 구동 방식에 이용하여 제 3 실링 유닛(810c)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를 도 4 및 도 19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600)의 스테이지(610)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안착시킨 후, 패널 정렬부(650)의 구동에 따라 스테이지(610)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위치를 정렬한다.
그런 다음,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갠트리(922, 924, 926) 각각을 동시에 구동하여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810a, 810b) 각각을 홈 위치에서부터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및 제 2 단변 각각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 3 실링 유닛(810c)을 홈 위치에서부터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 각각은 도포 부재(712)를 통해 이동 유닛(920)의 정속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및 제 2 단변과 제 2 장변 각각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고, 경화 부재(713)를 통해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및 제 2 단변과 제 2 장변 각각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 각각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및 제 2 단변과 제 2 장변 각각에 대응되는 에지부에 대한 실링 부재(250)의 형성 공정이 완료되면,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 각각을 홈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런 다음,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스테이지(610)에서 외부로 언로딩한 다음,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스테이지(610)에 안착시킨 후 상술한 도 20a 및 도 20b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250)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손상, 상부 편광 필름(116)의 박리, 습기 등의 침투, 측면 빛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와 대비하여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810a, 810b, 810c) 각각이 개별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실링 부재(250)를 형성하는 공정 시간을 더 감소시켜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30: 패널 지지 부재 140: 패널 결합 부재
250: 실링 부재 500: 베이스 부재
600: 패널 지지부 700: 실링 부재 형성부
710: 실링 유닛 711: 검출 부재
712: 도포 부재 713: 경화 부재
714: 지지 모듈 720: 이동 유닛

Claims (24)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실링 부재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및 제 2 장변 중 제 1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기판의 일측에 부착된 복수의 회로 필름; 및
    상기 복수이 회로 필름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과 제 1 및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는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필름의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는 상기 상부 필름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 각각의 측면 전체, 및 하부 기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 형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실링 유닛; 및
    상기 실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실링 부재가 도포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를 검출하는 검출 부재;
    상기 검출 부재에 의해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는 도포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켜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경화 부재; 및
    상기 검출 부재와 도포 부재 및 상기 경화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 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검출 부재와 도포 부재 및 상기 경화 부재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지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이동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부재;
    상기 승강 부재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
    상기 검출 부재와 도포 부재 및 상기 경화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홈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단변, 상기 제 2 장변, 제 2 단변, 및 상기 홈 위치의 순서로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및 제 2 단변과 상기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 형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링 유닛 각각은,
    상기 실링 부재가 도포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를 검출하는 검출 부재;
    상기 검출 부재에 의해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는 도포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켜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경화 부재; 및
    상기 검출 부재와 도포 부재 및 상기 경화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 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검출 부재와 도포 부재 및 상기 경화 부재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지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이동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부재; 및
    상기 승강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검출 부재와 도포 부재 및 상기 경화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2. 제 6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부재는 상기 실링제의 도포 시점으로부터 5초 이내에 상기 도포된 실링제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3. 제 6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경화 부재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경화 부재에 의해 경화되어 형성된 상기 실링 부재를 촬상하는 촬상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4. 제 5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실링 유닛을 가속 구간, 정속 구간, 및 감속 구간으로 나누어 이동시키며,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정속 구간 동안에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 1 갠트리;
    상기 제 1 갠트리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 유닛 각각을 지지하는 제 2 갠트리; 및
    상기 제 1 갠트리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실링 유닛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키는 제 3 갠트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 유닛은 상기 제 2 갠트리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실링 유닛은 상기 제 2 갠트리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실링 유닛은 상기 제 3 갠트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실링 유닛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키는 제 1 갠트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실링 유닛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키는 제 2 갠트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실링 유닛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키는 제 3 갠트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 유닛은 상기 제 1 갠트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실링 유닛은 상기 제 2 갠트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실링 유닛은 상기 제 3 갠트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19.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련하는 단계;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패널 지지부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널 지지부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및 제 2 장변 중 제 1 장변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기판의 일측에 부착된 복수의 회로 필름; 및
    상기 복수이 회로 필름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장변과 제 1 및 제 2 단변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는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필름의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는 상기 상부 필름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 각각의 측면 전체, 및 하부 기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23. 제 19 항 내지 제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링 부재가 도포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부에 실링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실링제를 경화시켜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경화 부재에 의해 경화되어 형성된 상기 실링 부재를 촬상하여 상기 실링 부재의 형상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KR1020110034569A 2011-04-14 2011-04-14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KR10179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569A KR101797076B1 (ko) 2011-04-14 2011-04-14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TW100149275A TWI619987B (zh) 2011-04-14 2011-12-28 顯示裝置之製造設備及方法
CN201110449980.XA CN102736295B (zh) 2011-04-14 2011-12-29 制造显示装置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569A KR101797076B1 (ko) 2011-04-14 2011-04-14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64A true KR20120117064A (ko) 2012-10-24
KR101797076B1 KR101797076B1 (ko) 2017-11-13

Family

ID=4699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569A KR101797076B1 (ko) 2011-04-14 2011-04-14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97076B1 (ko)
CN (1) CN102736295B (ko)
TW (1) TWI6199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271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8575B (zh) * 2012-12-07 2016-09-14 普罗科技有限公司 薄膜晶体管液晶显示面板制造方法
KR101502786B1 (ko) * 2012-12-17 2015-03-17 주식회사 프로텍 Tft lcd 패널 제조 장치
JP6275589B2 (ja) * 2013-09-26 2018-02-07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接着剤塗布装置、接着剤塗布方法、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KR102355043B1 (ko) * 2014-03-28 2022-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벤딩 장치
CN108535898A (zh) * 2018-04-11 2018-09-14 蚌埠高华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定位分析式的lcd原料边角检测装置
KR20200102778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널의 위치 정렬 장치
KR20220049872A (ko) * 2020-10-15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를 위한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945A (ja) * 2001-09-27 2003-04-02 Shimadzu Corp シール剤塗布装置
KR20030058726A (ko) * 2001-12-31 2003-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평판표시소자의 기판 합착방법
KR100710683B1 (ko) * 2004-05-12 2007-04-2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씰런트 디스펜서
JP2007121683A (ja) * 2005-10-28 2007-05-17 Citizen Miyota Co Ltd 液晶表示パネル複合基板と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4803613B2 (ja) * 2007-10-15 2011-10-26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ペースト塗布装置
KR20100056124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페이스트 도포방법
JP5469329B2 (ja) * 2008-11-27 2014-04-16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TWI457875B (zh) * 2009-02-19 2014-10-21 Prime View Int Co Ltd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0909900B1 (ko) * 2009-02-25 2009-07-3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271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36295B (zh) 2015-02-04
KR101797076B1 (ko) 2017-11-13
TW201241508A (en) 2012-10-16
TWI619987B (zh) 2018-04-01
CN102736295A (zh)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832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側面シーリング装置
KR101797076B1 (ko)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US95352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EP302954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66064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281383A1 (en) Display Apparatus
US20080230177A1 (en) Enhance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and methods
EP297767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345504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ing device
US916573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display
JP201412687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2855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8005809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32721B1 (ko) 액정표시장치용 자동 접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접착방법
KR20130065254A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79093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사이드 실링 장치
KR102376312B1 (ko) 액정표시장치
CN103424927A (zh) 防止导光板上光泄漏的方法和装置
TW201033685A (en) Display panel with light-blocking glue, and device for molding glue, and apparatus of glue injection and method for coating glue on display panel
KR101278628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60033310A (ko) 레진 경화 장치 및 방법
KR20070082172A (ko) 액정표시장치
TWM444938U (zh) 用於面板的貼合設備及其點膠機構
KR20160116797A (ko) 접착수지 주입장치 및 접착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