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224A -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224A
KR20120115224A KR1020127012254A KR20127012254A KR20120115224A KR 20120115224 A KR20120115224 A KR 20120115224A KR 1020127012254 A KR1020127012254 A KR 1020127012254A KR 20127012254 A KR20127012254 A KR 20127012254A KR 20120115224 A KR20120115224 A KR 2012011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lunger
sprinkler head
heat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373B1 (ko
Inventor
히로타카 카메이시
마사시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98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87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594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64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65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6431B2/ja
Application filed by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강한 충격 구조(내충격 구조)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한다. 방수구(12)를 가지는 헤드 본체(10)와, 방수구(12)의 하단에 형성된 밸브좌(17)에 압접되는 밸브체(30)와, 밸브체(30)를 지지하는 밸브체 지지 기구(50)를 구비한다. 밸브체 지지 기구(50)는 하부에 플랜지부(52a)를 가지는 원통형의 플런저(52)와, 플런저(52)의 플랜지부(52a)에 설치되는 감열체(55)와, 감열체(55)에 접하고, 헤드 본체(10)의 축심에 대해 직교하여 설치된 감열판(53)을 구비한다. 플런저(52)는 그 하단부가 감열판(53)보다도 하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격에 강한 구조(내충격 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에는 예를 들면 「지수(止水) 수단, 평형기(balancer)를 가지는 잠금(lock) 수단과, 감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 이 지수 수단과 잠금 수단을 수납하는 프레임(frame) 하단부의 내향 돌출 테두리의 내경보다 큰 외경의 돌출 테두리를 평형기에 형성하여 외부의 감열 수단에 충격이 가해져도 평형기가 프레임 내에 함몰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잠금 수단은, 프레임의 계지단부에 계지한 볼(ball), 볼을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슬라이더, 볼의 내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평형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땜납 등의 감열체가 용융했을 때에, 볼과 계지단부와의 계지 상태가 해제되고, 밸브체(體)가 낙하하여 방수(放水)하도록 되어 있지만, 밸브체가 밸브좌(座)로부터 떨어지면, 작동 도중의 누수에 의해 비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잠금 수단인 볼과 계지단부와의 계지 상태가 완전하게 해제될 때까지는, 밸브체가 밸브좌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는, 볼과 계지단부와의 계지 상태가 완전하게 해제될 때까지 밸브체가 밸브좌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밸브체 하부에 변위량이 큰 코일 스프링을 넣거나 밸브체의 외주에 O링(ring)을 설치하고, 그 밸브체를 방수통 내에 설치함으로써 작동 개시시에 있어서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종래의 플래시형(flash type)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디플렉터(deflector), 가이드 롯드(guide rod), 스토퍼 링(stopper ring)에 의해 살수부가 구성되어 있다. 통상, 가이드 롯드의 상단에 스토퍼 링이 고정되고, 또 가이드 롯드의 하단에 디플렉터가 고정됨으로써 살수부는 일체화되어 있다. 또, 다른 살수부로서 디플렉터를 고정시키지 않고, 방수시에 디플렉터 자체를 가이드 롯드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슬라이딩(sliding) 강하(낙하)시키는 것도 있다.
스토퍼 링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방수 동작시에는 프레임의 내주 하단에 설치한 계지단부까지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방수 동작시에는 스토퍼 링이 프레임의 계지단부에 계지하고, 가이드 롯드를 통해 디플렉터를 지지하여 방수를 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1998-179789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도 1)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는, 감열판이 스프링클러 헤드의 최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떠한 물건이 스프링클러 헤드에 부딪친 경우에는 감열판에 닿아 버린다. 감열판은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하기 쉽고, 플런저(plunger)가 감열판에 먹혀들어 버리는 것 같은 사태가 일어난다. 감열판은 땜납 등의 용융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플런저와 결합해 버리면, 땜납 등이 유출되는 간극이 폐색하거나 또는 결합력에 의해 감열판의 하강이 방해되는 등에 의한 작동 불량을 일으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것 때문에 충격에 강한 구조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 전술과 같이 변위량이 큰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되고 있고, 또한 밸브체에 사용되는 O링은 고착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는, 방수 동작시에 살수부가 이동하지만, 이 이동량은 적을수록 동작의 안정성이 향상되지만,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스토퍼 링(stopper ring)이 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이동하고 있어 동작시의 이동량이 컸다.
이 스토퍼 링의 슬라이딩 강하 동작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스토퍼 링의 상부에 코일 스프링을 설치한 것이 있지만, 이 경우에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살수부의 슬라이딩 강하 동작을 가이드 부재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시키는 것도 있지만, 가이드 부재는 방수시의 살수 장해로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충격에 강한 구조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해, 동작의 신뢰성이 높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살수부의 스토퍼 링에 의한 강하 동작의 신뢰성이 높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는, 방수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헤드 본체와, 이 방수구를 폐지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지지하는 밸브체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밸브체 지지 기구는, 하부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의 플랜지부에 설치하는 감열체와, 이 감열체와 접촉시켜 설치하는 감열판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대해서, 상기 플런저의 감열판측의 단부가 헤드 본체의 축심 방향에서 감열판에 대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플런저의 감열판측의 단부가 헤드 본체의 축심 방향에서 감열판에 대해 돌출한다. 이 때문에 스프링클러 헤드에 어떠한 물건이 부딪치는 것 같은 사태가 일어나도, 플런저에 닿고, 플런저는 강성이 높기 때문에 변형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이 때문에 플런저가 감열판에 먹혀드는 일이 없어 작동 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회피되어 충격에 강한 구조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실현할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은, 감열판이, 감열체를 덮는 돌기부와, 이 돌기부의 일단측을 헤드 본체의 축심에 대해 외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원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런저가, 감열판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부(flange part)의 외주연(外周緣)에 단차 또는 테이퍼(taper)면 혹은 R면을 가지고 있고, 이 플랜지부의 외주연은 간극을 통해 감열판의 돌기부와 내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플런저의 플랜지에 단차 또는 테이퍼면 혹은 R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단차 또는 테이퍼면만이 찌부러짐으로써, 플랜지부와 감열판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을 막을 우려가 없어 방수 작동시에 있어서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감열판의 원판부의 외주에 헤드 본체의 측으로 돌출하는 측벽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상기 측벽부를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측벽부의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방수 작동시에 분해 변위하는 플런저 등의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측벽부에 구멍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측벽부의 구멍으로부터 열기류를 감열판의 내측으로 유입시켜 감열체와 접촉하고 있는 감열판의 돌기부에 열을 전하는 열전도로를 만들 수가 있게 되어, 이에 의해 감열체의 용융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또, 측벽부에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에 감열판이 변형하기 쉬워져 이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방수 작동시에 분해 변위하는 플런저 등의 구성 부재의 변형이나 서로 결합하는 것 같은 구성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측벽부의 구멍은 1개 이상 설치할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은 감열판의 돌기부의 저면에 접하는 원판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원판 부재를 상기 측벽부의 구멍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측벽부의 구멍으로부터 열기류를 감열판의 내측으로 유입시켜 원판 부재에 열을 흡수시키고, 그 원판 부재로부터 감열체와 접촉하고 있는 감열판의 돌기부에 열을 전하는 열전도로를 만들 수가 있게 되어, 이에 의해 감열체의 용융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밸브체 지지 기구가 밸브체와 플런저의 사이에 플런저에 결합하는 셋스크류(set screw)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런저가 내부에 구멍을 가지는 주벽부(周壁部)를 가지고 있고, 이 주벽부가 플랜지부에 설치한 감열체와의 접촉 부분에 셋스크류(set screw)와의 결합 부분보다 내외경차가 작은 얇은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플런저에 있어서의 감열체와의 접촉 부분이 셋스크류와의 결합 부분보다 주벽부의 단면적이 작다. 이 때문에 감열체와의 접촉 부분보다 열전도 저항이 큰 상기 결합 부분으로 열이 빠져나가기 어려워져, 상기 접촉 부분에서의 감열체의 용융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플런저의 구멍에 단열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단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감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감열체와의 상기 접촉 부분의 내측에 단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플런저를 보강할 수가 있으므로 내충격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단열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단열 부재가 플런저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에 단열 부재에 부딪치도록 함으로써 플런저나 감열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작동시에 분해 변위하는 플런저 등의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일단측이 헤드 본체에 접속되고, 타단측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계지단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계지단부에 계지하는 볼과, 상기 볼을 계지단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압압함과 아울러 밸브체를 지지하는 슬라이더(slider)와, 상기 볼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평형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연을 내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을 상기 볼의 접촉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볼이 슬라이더의 내측으로 비집고 들어가 평형기에 올라타고, 프레임 계지단부와의 계지가 해제될 때의, 슬라이더의 축방향의 이동량(하강량)이 슬라이더의 내측이 평평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적게 되므로 작동 도중에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슬라이더의 이동량이 작기 때문에 변위량이 큰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접시 스프링과 같은 변위량이 작은 스프링으로 충분히 작동 도중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은 일단측이 헤드 본체에 접속되고, 타단측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계지단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계지단부에 계지하는 볼과, 상기 볼을 계지단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압압함과 아울러 밸브체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볼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평형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연에 상기 볼의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볼의 접촉면의 내측에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볼의 빠져나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시에는 볼이 슬라이더의 내주측으로 비집고 들어갔을 때, 볼이 상방의 빠져나감부 내로 들어가도록 이동하므로 볼이 계지단부로부터 떨어지는 작동 자체를 빠르게 하고, 이에 의해 볼의 이동량을 줄임으로써 슬라이더의 작동 스트로크(stroke)를 줄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평형기에 플런저의 주벽부를 삽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는 주벽부의 일단측에 있어서 외주면에서는 평형기에 삽통되고, 내주면에서는 셋스크류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평형기에 플런저의 주벽부를 삽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는 주벽부의 일단측에 있어서 외주면에서는 평형기의 상기 구멍에 삽통되어 있고, 내주면에서는 셋스크류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강성이 높여져 있어 외력이 가해져도 플런저가 변형될 우려가 없어 작동 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회피된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헤드 본체에는 상기 방수구를 가지는 방수통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측이 헤드 본체에 접속되고, 타단측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계지단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디플렉터와, 디플렉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롯드와, 가이드 롯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링을 가지는 살수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링에는 상기 가이드 롯드의 삽통 구멍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롯드에는 상기 삽통 구멍보다 큰 스토퍼(stopper)용의 단부를 설치하고, 상기 스토퍼 링은, 방수 동작시에, 프레임의 내부를 이동하여 계지단부와 맞닿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스토퍼 링(stopper ring)에 가이드 롯드가 삽통하는 삽통 구멍이 있기 때문에, 방수 동작시에는 우선 밸브체를 구비한 디플렉터가 가이드 롯드와 함께 강하하고, 이에 이어서 스토퍼 링이 코일 스프링으로 압압되어 강하한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디플렉터가, 헤드 본체의 방수통 아래에 설치되고, 그 디플렉터 위에 스토퍼 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방수 동작시에 있어서, 스토퍼 링은, 방수통의 하단 근처로부터 프레임 하단에 있는 계지단부까지밖에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토퍼 링 자체의 이동량이 적게 되므로 이에 의해 작동시의 동작이 안정된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 링에 방수통을 따르게 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스토퍼 링의 내주측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 되어 강하하므로 동작이 안정된다. 특히, 가이드 부재는 상방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시에 있어서 살수 장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토퍼 링이 프레임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링과 헤드 본체의 사이에 스토퍼 링을 프레임의 계지단부를 향해 부세(付勢)하는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스토퍼 링을 압하(壓下)하는 코일 스프링이 스토퍼 링의 외주부와 헤드 본체의 외주부의 하방의 사이에 설치되므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살려 코일 스프링을 스프링클러 헤드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스프링클러 헤드를 소형화하기 쉽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플렉터가 가이드 롯드의 일단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헤드 본체의 방수통의 외측에 프레임과 결합하는 외주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방수통과 외주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일단측을 디플렉터에 고정한 가이드 롯드의 타단측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는, 디플렉터가 가이드 롯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고, 통상의 상태에서는 가이드 롯드가 헤드 본체의 내주부와 방수통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다. 즉, 공간 내에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링은 설치되지 않고, 가는 가이드 롯드만이 설치되므로 헤드 본체의 내주부와 방수통과의 사이에 있는 공간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에 의하면, 플런저의 감열판측의 단부가 헤드 본체의 축심 방향에서 감열판에 대해 돌출하기 때문에, 스프링클러 헤드에 어떠한 물건이 부딪치는 것 같은 사태가 일어나도, 작동 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회피되어 충격에 강한 구조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실현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런저의 상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플런저의 변형예(그 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플런저의 변형예(그 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런저의 변형예(그 3)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슬라이더의 변형예(그 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슬라이더의 변형예(그 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접시 스프링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사시도 및 E-E 단면도이다.
도 10은 스토퍼 링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난 감열판 커버의 평면도, 정면도, C-C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난 슬라이더의 사시도(하방로부터 본 상태) 및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난 접시 스프링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사시도 및 E-E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나타난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감열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감열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단열 부재를 구비하는 플런저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1 실시 형태〔도 1~도 10〕>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이 스프링클러 헤드(1)는, 헤드 본체(10), 프레임(20), 밸브체(30), 살수부(40) 및 밸브체 지지 기구(50)(볼 보유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본체(10)는 중심부가 개구되어 있다. 이 개구부(11)는 후술의 방수통(16)과 함께 방수구(12)를 형성한다. 헤드 본체(10)의 외주부에는 플랜지(13)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13)의 상측의 헤드 본체(10)의 외주부에는 급수관에 접속되는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고, 또 플랜지(13)의 하측의 외주부에는 후술하는 프레임(20)이 장착되기 위한 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 본체(10)의 내측에는 원통형의 방수통(16)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방수통(16)의 하단부에는 예를 들면, 평평하게 형성된 밸브좌(17)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체(30)에 의해 막혀 있다. 이 방수통(16)의 하단부에, 밸브체(30)의 외주가 감합하는 단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헤드 본체(10)는, 플랜지(13)의 하측의 내주부와 방수통(16)의 사이에 대략 구멍 모양 또는 대략 링(ring) 형상의 공간(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18)에는 후술의 가이드 롯드(42)가 수납된다.
프레임(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0)의 상부의 내주부에는 나사부(21)가 형성되고, 헤드 본체(10)의 하부측에 형성된 나사부(15)에 설치된다. 프레임(20)의 하방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계지단부(22)가 설치되고, 계지단부(22)에는 후술의 볼(61)이 계지된다.
밸브체(30)는,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플랜지부(31)를 가지고, 이 플랜지부(31)로 헤드 본체(10)의 밸브좌(17)를 막고 있다. 또한, 밸브좌(17)에는 테플론(등록상표) 시트가 설치되든지, 테플론(등록상표) 코팅이 된다. 밸브체(30)의 하부 중앙에는 오목부(32)가 형성되어 후술의 셋스크류(65)의 머리부가 삽입된다. 밸브체(30)는, 후술하는 밸브체 지지 기구(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살수부(40)는 디플렉터(41), 가이드 롯드(42), 스토퍼 링(43)(및 밸브체(30))을 구비하고 있다. 살수부(40)는 프레임(20) 내에 설치된다. 또한, 디플렉터(41)는 프레임(20)의 하방에 설치해도 좋기 때문에, 살수부(40)는 그 일부가 적어도 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디플렉터(41)는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는 원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에 밸브체(30)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밸브체(30)의 플랜지부(31)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고정되어 있다). 또, 디플렉터(41)에는 가이드 롯드(42)(예를 들면 3개)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1a)(예를 들면 3개)이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롯드(42)의 하단은, 그 삽입 구멍(41a)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디플렉터(41)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밸브체(30), 디플렉터(41) 및 가이드 롯드(42)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30)에의 디플렉터(41)의 장착 상태에 대해서 상술한다. 밸브체(30)는 밸브좌(17)와 접촉하고, 지수(止水)를 유지하기 위한 플랜지부(31)와, 플랜지부(31)의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다리부를 가지고 있고, 이 다리부는 그 상부가 디플렉터(41)의 중앙 개구부(구멍)보다 조금 소경의 구부(口部)로 되어 있고, 구부의 하측이 디플렉터(41)의 중앙 개구부의 구멍 직경보다 조금 큰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플렉터(41)는 밸브체(30)에의 접속 개구(홈부(groove part))에서 회동(回動)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가이드 롯드(42)의 상단에는 스토퍼용의 직경 확대된 단부(42a)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롯드(42)에는 도너츠 모양으로 형성된 스토퍼 링(43)이 상하로 진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도 10 참조).
스토퍼 링(43)에는 가이드 롯드(42)를 삽통시키기 위한 삽통 구멍(예를 들면 3개)이 설치되어 있고, 이 삽통 구멍에 의해, 스토퍼 링(43)은 방수 작동시에, 가이드 롯드(42)에 슬라이딩하여 계지단부(22)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가이드 롯드(42)에 장착되어 있다. 관점을 바꾸면, 가이드 롯드(42)는, 방수 작동시에, 스토퍼 링(43)의 삽통 구멍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스토퍼 링(43)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삽통 구멍은 단부(42a)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링(43)은 통상시는, 디플렉터(41) 위에 설치되고, 프레임(20)의 높이 방향의 거의 중간으로서의, 프레임(20)에 설치한 슬릿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슬릿은 반드시 스토퍼 링(43)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통상시는, 스토퍼 링(43)의 하면은, 코일 스프링(44)에 압압되어 디플렉터(41)의 상면에 거의 겹치는 위치에 있지만, 방수 동작시에는 디플렉터(41)과 가이드 롯드(42)가 하강하고, 가이드 롯드(42)의 상단의 단부(42a)는, 스토퍼 링(43)에 닿을 때까지 하강한다(도 2(c) 참조). 스토퍼 링(43)의 외경은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방수 동작시에, 밸브체 지지 기구(50)가 낙하하면, 스토퍼 링(43)은 코일 스프링(44)에 눌려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까지 하강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44)은 프레임(20)의 내주면에 접하는 것 같은 크기(외경)를 가지고 있고, 헤드 본체(10)의 외주부의 하방과 스토퍼 링(43)의 외주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44)의 설치에는 큰 스페이스(space)가 필요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 링(43)의 중앙에 설치한 구멍의 내경은 방수통(16)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 링(43)은 내주의 일부를 절결홈(cut out groove)을 통해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단면 L자 모양의 가이드 부재(43a)가 내주측의 예를 들면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링(43)은 강하할 때에는 이 가이드 부재(43a)에 의해, 헤드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방수통(16)의 외주에 가이드 된다. 스토퍼 링(43)이 균형 있게 강하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43a)의 수나 피치(pitch)는 적당하게 설정된다.
밸브체 지지 기구(50)는 감열부(51), 볼(ball) 보유 기구(60), 접시 스프링(64) 및 셋스크류(set screw)(65)를 구비하고 있다.
감열부(51)는 플런저(52), 감열판(53) 및 단열재(54)를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5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플랜지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52a)는 그 하면이 감열판(53)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52)의 내부에는 암나사(52b)가 형성되고, 셋스크류(65)의 다리부에 있는 수나사가 나사 삽입되어 양자는 결합하고 있다. 플런저(52)의 상부로부터 도너츠 모양의 감열체(예를 들면 땜납 등)(55)가 삽입되어 플런저(52)의 플랜지부(52a) 위에 실려 있다. 이 감열체(55)의 상부에 원판 모양으로서 단면 크랭크(crank)형의 감열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감열판(53)은 플런저(52)의 플랜지부(52a)에 설치된 감열체(55)를 덮는 돌기부(53a)와, 이 돌기부(53a)에 연속하고, 헤드 본체(10)의 축심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원판부(53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감열판(53)에는 후술하는 볼 보유 기구(60)에 의해 감열체(55)를 압축하도록 힘이 걸려 있다.
감열판(53)의 상부에는 도너츠 모양의 단열재(54)가 설치되고, 감열판(53)으로 받은 열이 후술하는 평형기(63)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듯이, 단열재(54)와 감열판(53)의 사이에는 직경이 큰 다른 감열판(71)을 필요에 따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볼 보유 기구(60)는 볼(61), 슬라이더(62), 평형기(63) 및 접시 스프링(6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평형기(63)는 감열체(55)를 압축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피스톤에 상당하는 기능을 한다.
볼(61)의 외주 하부는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에 계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볼(61)을 위로부터 누르는 것이 슬라이더(62)이고, 슬라이더(62)로부터 볼(61)에 힘이 걸림으로써 볼(61)에는 내측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평형기(63)는 볼(61)의 내측에 설치되고, 이 내측으로 비집고 들어가려고 하는 볼(61)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슬라이더(62) 및 평형기(63) 모두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 구멍이 있고, 평형기(63)의 관통 구멍에는 플런저(52)가 관통하고 있다. 플런저(52)의 외경은 평형기(63)의 관통 구멍의 내경보다 조금 작고, 양자는 결합하고 있지 않다. 또, 슬라이더(62)의 관통 구멍의 내경은 셋스크류(65)의 다리부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고, 양자는 결합하고 있지 않다.
평형기(63)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통부와, 그 통부의 상방에 설치된 원판부를 조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평형기(63)의 외주 하부에는 단부(段部)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 하부의 단부는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의 내주 하부에 있는 단부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평형기(63)의 하측으로부터 외력이 걸린 경우에는 이 부분에서 충격을 흡수한다. 또, 평형기(63)의 통부의 하부에 있어서 중앙의 관통 구멍의 주위에는 단열재(54)가 감합하는 단부(63a)가 돌출되고, 평형기(63)의 원판부의 상부에는 볼(61)이 닿는 볼 받이용의 단부(63b)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62)의 외주측 하부에는 오목부(62a)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62a)의 볼(61)이 접하는 면은 하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테이퍼 모양(경사부)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볼(61)에는 항상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걸리므로 평형기(63)를 하방으로, 또 슬라이더(62)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감열체(55)인 땜납이 용융하여 유출하면, 평형기(63)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볼(61)이 내측으로 비집고 들어가고,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와의 계지 상태가 해제되므로 볼 보유 기구(60)는 감열부(51)와 함께 낙하한다. 볼 보유 기구(60)가 낙하하면, 이에 수반하여 살수부(40)를 구성하는 밸브체(30), 스토퍼 링(43) 등이 낙하하여 방수를 하게 된다.
셋스크류(65)는 직경 확대된 머리부와 가는 직경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볼트로서, 그 다리부의 하부가 플런저(52)의 상부와 결합함으로써, 볼 보유 기구(60)로서의 평형기(63), 슬라이더(62) 및 감열부(51)를 일체화하고 있다.
접시 스프링(64)은 도 9에 나타내듯이 중앙에 관통 구멍(64a)이 있는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중앙의 관통 구멍(64a)으로부터 균등하게 60°의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슬릿(64b)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슬릿(64b) 사이에는 관통 구멍(64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접시 스프링(64)은 1매 또는 복수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고, 예를 들면 3매 상하 방향으로 조합하여 밸브체(30)와 슬라이더(62)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이 접시 스프링(64)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접시 스프링(64)은 관통 구멍(64a) 내에 셋스크류(65)가 삽통되어 밸브체(30)와 슬라이더(62)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접시 스프링(64)의 관통 구멍(64a)은 셋스크류(65)의 머리부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셋스크류(65)의 머리부의 높이는 적층된 복수매의 접시 스프링(64)의 자유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접시 스프링(64)을 포갯을 때에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셋스크류(65)의 머리부의 높이가 낮으면 조립시에 접시 스프링(64)을 필요이상으로 찌그러뜨리면 기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그러한 일이 없을 정도로 셋스크류(65)의 머리부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안정된 상태로 접시 스프링(64)을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클러 헤드(1)에는 도 1의 상태에 있어서는 방수구(12)의 소화수의 수압이나 부품의 조립 하중이 볼(61)에 작용하고, 볼(61)은 내측(중심측)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볼(61)은 평형기(63)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되어 있고, 볼 보유 기구(60)는 볼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접시 스프링(64)이 밸브체(30)를 상방으로 압압하고 있고, 밸브체(30)가 헤드 본체(10)의 방수구(12)를 봉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클러 헤드(1)에는 가압된 소화수가 공급되지만 소화수는 누설되지 않는다. 또, 살수부(40)는 밸브체(30)에 디플렉터(41)가 고정되고, 디플렉터(41)에 가이드 롯드(42)가 고정되어 있고, 밸브체(30)가 방수구(12)를 봉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가이드 롯드(42)가 헤드 본체(10)의 공간(18)에 수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의 스프링클러 헤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a)~도 2(d)는 스프링클러 헤드(1)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a) 스프링클러 헤드(1)의 감시 상태에 있어서는 헤드 본체(10)의 방수구(12)에는 가압된 소화수가 공급되어 있고, 밸브체(30)에는 소화수의 압력이 가해져 있다(도 1 참조). 화재가 발생하여 그 열기류가 감열판(53)에 닿으면 가열되어 감열판(53)의 열은 감열체(55)에 전파한다. 그리고, 감열체(55)가 주위로부터 가열되어 용융하기 시작하면, 용융된 감열체(55)는 플런저(52)와 감열판(53)(돌기부(53a))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유출하여 그 체적이 감소한다(도 2(a)).
이 때에 슬라이더(62)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눌려진 볼(61)은 내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고 있고, 후술하듯이 평형기(63)가 감열판(53)측으로 강하하여 볼(61)이 이동해도 밸브체(30)는 밸브좌(17)에 압접되어 방수구(12)를 막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접시 스프링(64)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접시 스프링(64)을 복수매 겹침으로써, 접시 스프링(64)이 밸브체(30)에 의한 씰(seal)을 유지할 수 있는 만큼의 소정량의 스트로크(stroke)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볼 보유 기구(60)가 완전하게 낙하할 때까지 밸브체(30)가 밸브좌(17)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b) 감열체(55)가 용융하여 외부로 유출하면, 감열판(53)은 감열체(55)의 유출량에 대응하여 강하한다. 감열판(53)이 강하하면, 감열판(53) 위에 장착되어 있는 단열재(54) 및 평형기(63)가 강하한다. 평형기(63)가 강하하면, 평형기(63)와 슬라이더(62)의 사이의 간극이 넓어지고, 내측으로 부세되어 있는 볼(61)이 평형기(63)의 단부(63b)를 넘어 내측으로 이동하고,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와 볼(61)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에 수반하여 밸브체(30) 및 밸브체 지지 기구(50)는 강하한다(도 2(b)).
(c) 밸브체(30)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접시 스프링(64)을 포함하는 밸브체 지지 기구(50)가 낙하하면, 밸브체(30)가 강하한다. 또, 밸브체(30)의 강하에 수반하여 밸브체(30)에 장착되어 있는 디플렉터(41), 디플렉터(41)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롯드(42), 및 스토퍼 링(43)이 강하한다. 가이드 롯드(42)가 강하하면, 그 상부에 있는 단부(42a)가 스토퍼 링(43)에 계지되고, 스토퍼 링(43)은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에 계지되고, 밸브체(30) 및 디플렉터(41)가 가이드 롯드(42)에 의해 프레임(20)으로부터 매달린 상태로 된다(도 2(c)). 또한, 이 동작시 스토퍼 링(43)은 계지단부(22)에 계지할 때까지는 가이드 롯드(42)와 함께 하강하고, 스토퍼 링(43)이 계지한 후에 가이드 롯드(42)만이 더 하강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방수 동작시에 있어서, 디플렉터(41)는 가이드 부재(43a)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가이드 롯드(42)와 함께 하강하므로 디플렉터(41)의 하강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스토퍼 링(43)을 프레임(20)의 높이 방향의 거의 중간에 설치함으로써 스토퍼 링(43) 자체의 하강량도 줄일 수 있으므로 방수시의 동작이 순조롭게 된다.
그런데, 스토퍼 링(43)의 가이드 부재(43a)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고, 이 때문에 방수시의 살수 장해로 되기 어렵다. 이 점에 대해서 설명하면, 종래의 가이드 부재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던 것이 있지만, 이 경우에 가이드 부재의 길이가 길거나 굵거나 하면, 방수시, 밸브체에 닿은 물이 반사할 때 등, 가이드 부재에 물이 닿아, 가이드 부재가 살수의 장해로 되고 있었다. 즉, 가이드 부재(43a)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방수시에 있어서의 밸브체(30)와의 거리를 떼어 놓음으로써 가이드 부재(43a)가 살수 장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 이상과 같이 하여 밸브체(30)가 강하하면 방수구(12)는 개방되고, 가압된 소화수가 디플렉터(41)를 통해 살수되어 화재를 소화한다(도 2(d)).
다음에,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인 플런저(plunger)(52), 슬라이더(62) 및 접시 스프링(64)의 특징 부분에 대해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런저(52))
도 3은 플런저(52)의 상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의 플런저(52)는 상기와 같이 그 선단부가 감열판(53)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1로부터 그 해당 부분을 추출하면, 도 3에 나타나듯이 되지만, 어떠한 물건이 스프링클러 헤드(1)에 부딪친 경우(특히 하방으로부터)에는 플런저(52)가 이와 같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 물건이 플런저(52)에 닿고, 감열판(53)에 그 물건이 닿는 것이 피해진다. 플런저(52)는 감열판(53)에 비해 그 강성이 높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변형될 우려가 없다. 이 때문에 플런저(52)가 감열판(53)에 먹혀드는 것 같은 우려가 없어 작동 불량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 플런저(52)는 그 상단부가 평형기(63)의 상단까지의 길이를 가지고(도 1 참조), 셋스크류(65)가 플런저(52)와 결합하고 있고,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클러 헤드(1)에 대해 횡방향으로부터의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플런저(52) 또는 셋스크류(65)가 변형될 우려가 없어 작동 불량이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평형기(63)의 외주 하부에 있는 단부는 계지단부(22)의 내주 하부에 있는 단부와 계지하고 있으므로 횡방향이나 하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강하고, 받은 외력은 프레임(2)으로 전해진다.
다음에, 스프링클러 헤드(1)에 대해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의 외력에 대처한 플런저(52)의 구성예를 도 4~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플런저(52)의 하단에 있는 플랜지부(52a)의 상부에 직경 확대된 단차(52c)를 설치한 예이다. 바꾸어 말하면, 플랜지부(52a)의 하부에 직경 축소된 단차를 설치한 예이다.
플런저(52)의 플랜지부(52a)에 이러한 단차(52c)를 설치함으로써, 외력은 우선 모서리부(B점)에 닿기 때문에, 하방 및 비스듬한 하방의 외력에 의해 모서리부(A점)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모서리부(B점)는 그것이 만일 변형되어, 그 변형 부분의 상부측에 직경 확대된 단차(52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변형 부분이 플런저(52)와 감열판(5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52d)을 막거나 변형에 의해 플런저(52)와 감열판(53)이 맞물려, 결합할 우려가 없어 작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5(a), 도 5(b)는 플런저(52)의 플랜지부(52a)의 하단에 모서리를 둥글게 한 R면(52e) 또는 테이퍼(모따기 C면)(52f)를 설치한 예이다.
플런저(52)는 플랜지부(52a)의 그 하단을 이러한 플랜지부(52a)의 상부보다도 가는 직경으로 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하방 및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하단부가 만일 변형되었다고 해도, 그 변형 부분이 간극(52d)을 막거나 변형에 의해 플런저(52)와 감열판(53)이 맞물려, 결합할 우려가 없어 작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6은 플런저(52)의 플랜지부(52a)의 상부에 단차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 하부에 테이퍼(52g)를 설치한 예이고, 도 4와 도 5b의 형상을 조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플런저(52)는 플랜지부(52a)의 부분을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하방 및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플랜지부(52a) 하단부가 만일 변형되었다고 해도, 그 변형 부분이 간극(52d)을 막거나 변형에 의해 플런저(52)와 감열판(53)이 맞물려, 결합할 우려가 없어 작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플런저(52)는 플랜지부(52a)의 하단에 단차 또는 테이퍼면 혹은 R면을 구비함으로써, 하방 및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하단부가 만일 변형되었다고 해도, 플랜지부(52a)의 하부측과 감열판(53)의 돌기부(53a)가 소정의 간극을 통해 배치되므로, 바꾸어 말하면, 플랜지부(52a)의 하부측이 소정의 간극을 통해 감열판(53)의 돌기부(53a)와 내접하도록 배치되는 위치 관계를 유지하므로 감열판(53)에 외력이 걸려 변형되어도 작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간극에는 땜납을 충전하도록 해도 좋다.
(슬라이더(62))
우선, 슬라이더(62), 볼(61) 등으로 이루어지는 볼 보유 기구(60)를 가지는 스프링클러 헤드(1)에 요구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볼(61)이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기 전에, 밸브체(30)가 밸브좌(17)로부터 떨어지면, 작동 도중의 누수에 의해 비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스프링클러 헤드(1)에는 밸브체를 지지하는 잔존 하중이 필요하다. 또, 잔존 하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62)의 하강량(작동 스트로크(stroke)라고 함)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변위량이 큰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슬라이더(62)의 작동 스트로크보다 코일 스프링의 변위량을 크게 하여 작동 도중의 누수를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더(62)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슬라이더(62)의 작동 스트로크를 작게 하고, 또한 접시 스프링(64)의 형상을 궁리함으로써 접시 스프링 자체의 변위량을 크게 하고, 벌크(bulk)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했다.
여기서, 도 1로 돌아가 슬라이더(62)의 형상에 주목하면, 슬라이더(62)의 외주부측의 오목부(62a)의 볼(61)과 접하는 면은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이 볼(61)과 접촉하고 있다.
슬라이더(62)는 이러한 형상이 채용됨으로써, 볼(61)이 슬라이더(62)의 내측으로 비집고 들어가 평형기(63)에 타고 올라갈 때의 슬라이더(62)의 축방향의 이동량(작동 스트로크(stroke))이 슬라이더(62)의 내측에 오목부가 설치되지 않고 평평하게 되어 있는 경우(종래예)에 비해 적어도 되어, 이 때문에 접시 스프링(64)에 필요한 변위량, 즉 볼(61)이 계지단부(22)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날 때까지 밸브체(30)를 밸브좌(17)에 압접해 두기 위해 필요한 스트로크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slider)(62)의 변형예를 도 7 및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슬라이더(62)에 볼의 빠져나감부(62b)를 형성한 예이다. 빠져나감부(62b)는 슬라이더(62)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로 구성된다. 이 도에 있어서, 볼(61)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단부 형성면을 개시하는 점(A점)의 위치는, 볼 중심 위치보다 볼 반경 이하의 범위에서 헤드 축심측에 있다(B의 범위 내). 이 도 7에 있어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시에는 볼(61)이 슬라이더(62)의 내측으로 비집고 들어갔을 때, 볼(61)이 상방의 빠져나감부(62b) 내로 들어가도록 이동하므로 볼(61)이 계지단부(22)로부터 떨어지는 작동 자체를 빠르게 하고, 이에 의해 볼(61)의 축방향의 이동량을 줄임으로써 작동 스트로크(stroke)를 줄이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슬라이더(62)의 볼의 접촉면에 테이퍼를 형성한 예이다. 이 슬라이더(62)는 도 1의 테이퍼면과 도 7의 빠져나감부(62b)를 조합한 예이다.
(접시 스프링(64))
다음에, 도 1의 접시 스프링(64)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는 접시 스프링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사시도, 및 E-E 단면도이다.
이 접시 스프링(64)은 중앙에 관통 구멍(64a)이 설치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에 연속하도록 방사상의 6개의 슬릿(slit)(64b)이 설치되어 있다. 슬릿 사이에는 부채형상(삼각형상으로 모서리가 원호상으로 되었음)의 관통 구멍(64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접시 스프링(64)은 상기와 같이 6개의 슬릿(64b)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슬릿(64b)의 개수가 예를 들면 4개와 같이 적으면(종래예), 응력이 높아져 접시 스프링이 갈라지고 버클링(buckling)을 일으키는 경년(經年) 변화를 일으키기 쉽다고 하는 부적합이 있다. 또, 슬릿(64b)이 10개 이상 있으면(종래예), 하중 부족, 휨량의 부족으로 접시 스프링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지 않는다고 하는 부적합이 있다. 이러한 것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슬릿(64b)의 개수를 예를 들면 6개로 하고 있다.
또, 슬릿(64b)의 사이에 관통 구멍(64c)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는 접시 스프링(64)에 걸리는 응력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슬릿(64b)의 사이에 관통 구멍(64c)이 없으면 높은 응력이 발생하여 접시 스프링이 갈라지고 크랙이 발생하거나 한다고 하는 부적합이 있다.
또, 슬릿 사이의 관통 구멍(64c)의 형상은 삼각형으로 모서리를 원호상(부채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각 부에 걸리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 관통 구멍의 형상이 종래와 같이 긴 구멍이나 사각이면 응력이 분산되지 않고, 큰 하중이 걸릴 때에 접시 스프링이 갈라지게 된다.
또, 상기의 접시 스프링(64)의 이점을 다른 관점으로부터 설명한다.
이 접시 스프링(64)은 하중을 받는 부분과 내주부(중심측)에 형성되는 휘는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하중을 받는 부분은 접시 스프링의 원주부(외주부)가 상당하고, 휘는 부분은 슬릿부의 형상이 상당한다. 이들 2개의 부분을 밸런스(balance) 좋게 변화시킴으로써, 접시 스프링을 임의의 하중과 휨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응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갈라지거나 버클링이 발생하거나 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종래의 접시 스프링에서는 달성할 수 없었던 고하중과 고변위량의 2개를 양립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시 스프링을 방사상의 슬릿과 슬릿 사이에 설치되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단면 형상이 연근형(蓮根型)으로 되는 것을 사용하여 조립 하중과 지수에 필요한 스트로크(stroke)를 확보하도록 했지만, 스프링클러 헤드에 사용되는 접시 스프링의 형상은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립 하중과 지수에 필요한 스트로크를 가지는 것이고, 또한 내식성을 고려한 것이면, 적시(適時) 1매로부터 복수매의 유사한 접시 스프링을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도 11~도 16〕>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도면 부호는 그 명칭 및 기능이 동일하여 상기의 실시의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2는 코일 스프링(44)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헤드 본체(10))
헤드 본체(10)와 프레임(20)의 결합 관계는, 헤드 본체(10)에 암나사가 설치되고, 프레임(20)에 수나사가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20)의 수나사가 헤드 본체(10)의 암나사에 계합하여 양자가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헤드 본체(10)와 프레임(20)의 결합 관계에 있어서, 도 1의 실시의 형태와는 수나사와 암나사의 관계가 역으로 되어 있다.
(밸브체(30))
스프링클러 헤드의 밸브체(30)는, 밸브체(30)의 하방에 셋스크류(65)의 상부가 들어가는 오목부가 있는 점에서는 같지만, 셋스크류(65) 내에 삽통된 접시 스프링(64)과 밸브체(30)의 사이에는 와셔(washer) B가 설치된다. 와셔 B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도너츠 모양의 원판이다. 살수부(40)의 디플렉터(41)의 하면에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가이드 롯드(42)의 하단, 및 가이드 롯드(42)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방으로 절곡된 디플렉터(41)의 날개(발톱) 등이 돌출 부분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이 와셔 B를 설치함으로써 디플렉터(41)의 하면의 돌출 부분을 와셔 B의 상면에서 받아, 접시 스프링(64)에 균등한 힘을 걸도록 하고 있다.
(살수부(40))
스프링클러 헤드의 살수부(40)는 그 기본 구성은 도 1의 실시의 형태와 같지만, 코일 스프링(44)이 헤드 본체(10)의 공간(18)의 상부와 스토퍼 링(43)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이 점이 도 1의 예와는 상위하다.
(플런저(52))
플런저(52)는 그 기본 구성은 도 5(b)의 것과 같고, 작용,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과 같다. 플런저(52)에는 그 플랜지부(52a)의 하단에 테이퍼(모따기 C면)(52f)가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52)는 플랜지부(52a)의 그 하단을 이러한 플랜지부(52a)의 상부보다도 가는 직경으로 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하방 및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하단부가 만일 변형되었다고 해도, 그 변형 부분이 간극(52d)을 막거나 변형에 의해 플런저(52)와 감열판 커버(80)가 맞물려, 결합할 우려가 없어 작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감열판 커버(80))
도 13(a), 도 13(b), 도 13(c)는 감열판 커버(80)의 평면도, 정면도 및 C-C 단면도이다.
감열판 커버(80)는 제1 실시 형태의 감열판(53)을 주발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측에 있는 감열판(71)을 덮을 수 있도록 한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감열판 커버(80)는 주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링 모양의 측벽부의 상부가 개구하고, 그 중앙부에는 플런저가 삽통하는 개구부(80a)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에는 외기를 감열판(71)측으로 집어 넣기 위한 슬릿 모양의 개구부(80b)가 형성되어 있다. 감열판 커버(80)는 감열판(71)을 수납하고, 그 개구부(80b)는 그 높이 방향의 중앙부에 감열판(71)의 주연부(周緣部)가 위치하도록 하고, 감열판(71)의 주연부가 노출하도록 하고(도 11 참조), 열기류가 감열판(71)의 주연부에 직접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80b)를 통과한 열기류가 직접 닿도록 감열판(71)의 외경은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의 내주측의 직경과 대충 같은 크기의 것이 사용되어 있다.
또한, 감열판(71)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듯이,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금속제의 감열 커버(80)의 개구(80a)의 외측 부분을 통해 감열체(55)와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감열판(71)은 상기와 같이 감열판 커버(80)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감열판(71)은 감열체(55)에 열을 전달할 수가 있으면 좋기 때문에, 그것이 가능하면 감열판(71)이 감열체(55)에 접하는 것은 직접 또 간접의 어느 쪽이라도 좋다.
감열판 커버(80)는 금속 부재로 구성되고, 그 하부는 도 1의 감열판(71)과 마찬가지로 감열체(55)를 감싸넣도록 형성되어 감열체(55)와 접하고 있고(도 11 참조), 감열판으로서도 기능한다. 감열판 커버(80)는 감열판(71)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감열판(71)과 같은 재료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두께를 두껍게 한다. 예를 들면, 감열판(71)의 판 두께가 0.05㎜~0.1㎜인 경우에는 감열판 커버(80)의 판 두께를 0.2㎜~0.3㎜로 한다.
또한, 감열판 커버(80)의 개구부(80b)의 높이는 개구부(80b)의 하변이 감열체(55)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이거나 그것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또한, 개구부(80b)의 폭은 도너츠 모양의 감열체(55)의 외경(즉 플런저(5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구부(80b)를 통과한 열기류가 감열체(55)의 가열을 촉진하도록 되어 있다.
감열판 커버(80)는 그 개구부(80b)의 면적이 클수록 또 개수가 많을수록, 감열판(71)에 대해 열기류를 보낼 수 있지만, 개구부는 대향하여 형성한 편이 열기류가 흐르기 쉬워지는 것과, 개구부와 개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대들보(기둥)가 클수록 외력에 견딜 수 있는(강도가 강해지는) 것의 균형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개구부(80b)는 등간격으로 4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62))
도 14(a), 도 14(b)는 볼 보유 기구(60)의 슬라이더(62)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슬라이더(62)는 평평한 판의 하면을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절삭하여 볼(61)의 접촉면인 오목부(62a)를 형성한 것이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더(62)는 평평한 판을 프레스 가공한 것이다. 즉 볼(61)과의 접촉면의 부분만을 비스듬한 상방으로 절곡하여 오목부(62a)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슬라이더(62)와 접시 스프링(64)의 사이에는 와셔 A가 설치된다. 와셔 A는 도너츠 모양의 얇은 원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와셔 A를 설치하는 이유는, 슬라이더(62)의 외주에 있는 볼(61)과의 접촉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경사에 맞추어, 접시 스프링(64)과 슬라이더(62)의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이다.
(접시 스프링(64))
도 15(a)~도 15(e)는 본 실시 형태의 접시 스프링(64)의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 E-E 단면도이다.
이 접시 스프링(64)은 외주부(64e)와 이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기된 돌기부(64f)로 구성되어 있다. 외주부(64e)는 하중을 받는 기능을 하고, 돌기부(64f)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기부(64f)는, 도시와 같이, 거의 같은 폭(평행)으로 되어 있고, 그 밑부분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64f)의 선단끼리의 간격은 도 9의 관통 구멍(64a)의 직경과 마찬가지의 길이로 되어 있다. 또, 이 접시 스프링(64)은 중심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와셔 A와 와셔 B에 의해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구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와 같이 하여 구성함으로써 접시 스프링(64) 그 자체의 구성과 균등한 힘이 가해짐으로써, 종래의 접시 스프링이 예를 들면 3매 필요했다고 해도, 1매의 접시 스프링(64)으로 동일한 기능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셋스크류(65))
셋스크류(65)의 머리부는 밸브체(30)의 저면의 오목부(32)에 수용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셋스크류(65)의 머리부 외주와 밸브체(30)의 오목부(32)의 내주의 간극은 매우 적다. 그렇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큰 간극(32A)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셋스크류(65)의 머리부 단면은 구면(球面)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32)의 저면과는 구면부가 접촉하고 있다.
또, 셋스크류(65)의 머리부에 삽통되는 접시 스프링(64)은 외주연(外周緣)이 밸브체(30)측에 배치되고, 내주연(內周緣)이 슬라이더(62)측에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셋스크류(65)가 오목부(32)의 내부에서 기우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6(b)에 나타내듯이 볼 보유 기구(60)가 기울어 작동한 경우에, 셋스크류(65)의 머리부가 구면부이기 때문에, 밸브체(30)의 오목부(32)의 저면과의 마찰 저항이 저감된다. 또, 셋스크류(65)의 머리부와 밸브체(30)의 오목부(32)의 사이의 간극(32A)을 설치함으로써, 오목부(32)의 내부에서의 셋스크류(65)가 기우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셋스크류(65)가 볼 보유 기구(60)의 기울기에 추종하기 쉽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접시 스프링(64)이 압축 상태로부터 무하중 상태로 복원될 때에, 볼 보유 기구(60)의 기울기를 흡수하여 B가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셋스크류(65)가 기울어도 밸브체(30)의 폐지 상태가 유지되고, 보유 기구(60)가 프레임(frame)(20)으로부터 탈락하기까지 밸브체(30)가 열려 방수통(16)으로부터 헤드 본체(10)의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스프링클러 헤드(1)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의 설명과 같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 고유의 구성에 근거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a)~도 16(d)는 스프링클러 헤드(1)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a)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여 그 열기류가 감열판(53)에 닿아 가열되어 감열체(55)에 전파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열판(71) 및 감열판 커버(80)가 열기류에 닿아 가열됨으로써 열을 감열체(55)에 전파하게 된다.
그리고, 감열체(55)가 용융하기 시작하면, 용융된 감열체(55)는 플런저(52)와 감열판 커버(80)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유출하여 그 체적이 감소한다.
이 때에 평형기(63) 슬라이더(62)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눌려진 볼(61)은 내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고 있고, 후술하듯이 평형기(63)가 감열 커버(80)측으로 강하하여 볼(61)이 이동해도 밸브체(30)는 밸브좌(17)에 압접되어 방수구(12)를 막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접시 스프링(64)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접시 스프링(64)은 중심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와셔 A와 와셔 B에 의해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구성함으로써, 접시 스프링(64)이 밸브체(30)에 의한 씰(seal)을 유지할 수 있는 만큼의 소정량의 스트로크(stroke)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볼 보유 기구(60)가 완전하게 낙하할 때까지 밸브체(30)가 밸브좌(17)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b) 감열체(55)가 용융하여 외부로 유출하면, 감열판 커버(80)는 감열체(55)의 유출량에 대응하여 강하한다. 감열판 커버(80)가 강하하면, 감열판 커버(80) 위에 장착되어 있는 단열재(54) 및 평형기(63)가 강하한다. 평형기(63)가 강하하면, 평형기(63)와 슬라이더(62)의 사이의 간극이 넓어지고, 내측으로 부세되어 있는 볼(61)이 평형기(63)의 단부(63b)를 넘어 내측으로 이동하고,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와 볼(61)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에 수반하여 밸브체(30) 및 밸브체 지지 기구(50)가 강하한다(도 16(b)).
(c) 밸브체(30)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와셔 B, 접시 스프링(64), 와셔 A를 포함하는 밸브체 지지 기구(50)가 낙하하면, 밸브체(30)가 강하한다. 또, 밸브체(30)의 강하에 수반하여 밸브체(30)에 장착되어 있는 디플렉터(41), 디플렉터(41)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롯드(42), 및 스토퍼 링(43)이 강하한다(도 16(c)).
(d) 가이드 롯드(42)가 강하하면, 그 상부에 있는 단부(42a)가 스토퍼 링(43)에 계지되고, 스토퍼 링(43)은 프레임(20)의 계지단부(22)에 계지되고, 밸브체(30) 및 디플렉터(41)가 가이드 롯드(42)에 의해 프레임(20)으로부터 매달린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밸브체(30)가 강하하면 방수구(12)는 개방되고, 가압된 소화수가 디플렉터(41)를 통해 살수되어 화재를 소화한다(도 16(d)).
<실시 형태의 변형예〔도 17~도 19〕>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볼, 슬라이더, 평형기에 의한 볼 보유 기구를 구비한 밸브체 지지 기구에 의해 밸브체를 지지하는 스프링클러 헤드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감열체인 땜납을 압축하는 일반적인 피스톤을 가지는 플래시형의 스프링클러 헤드, 예를 들면, 한 벌의 암(arm)으로 밸브체 지지 기구를 구성한 레버식의 스프링클러 헤드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 밸브체를 방수통의 하단에 있는 밸브좌에 압접시켰지만, 밸브체는 방수통의 내측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가이드 롯드에 대해서, 스토퍼 링만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장착하였지만, 디플렉터도 가이드 롯드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의 감열판 커버(80)의 주벽(周壁)에는 슬릿 모양의 개구부(80b)를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도 17에 나타내듯이 개구부(80b)를 설치하지 않는 감열판(53)으로 하여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감열판(71)이 없는 실시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감열판(71)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감열판(71)을 구비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냈지만, 도 18에 나타내듯이 감열판(71)을 구비하지 않는 실시 형태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52)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것이 외부에 대해서 개구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도 19에 나타내듯이 구멍을 막는 단열 부재(81)를 설치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플런저(52)의 구멍을 막는 단열 부재(81)를 설치함으로써 플런저(52)의 두께가 얇아진 부분을 보강할 수가 있고, 또한 단열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감도 성능도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단열 부재(81)는 플런저(52)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방으로부터 물건이 부딪칠 때에 가장 돌출되어 있는 단열 부재(81)에 닿기 쉽게 할 수가 있고, 소화시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플런저(52)나 감열판(53)이 가능한 한 변형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플런저(52)에도 도 19에 나타내는 단열 부재(81)를 설치해도 좋다. 또, 단열 부재(81)는 경질 재료 예를 들면 경질 수지로 형성할 수가 있다.
1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 10 헤드 본체
11 개구부 12 방수구
13 플랜지(flange) 14, 15 나사부
16 방수통 17 밸브좌
18 공간 20 프레임(frame)
21 나사부 22 계지단부
30 밸브체 31 플랜지부
32 오목부 40 살수부
41 디플렉터(deflector) 41a 삽입 구멍
42 가이드 롯드(guide rod) 42a 단부
43 스토퍼 링(stopper ring) 43a 가이드 부재
44 코일 스프링(coil spring)
50 밸브체 지지 기구 51 감열부
52 플런저(plunger)
52a 플랜지부 52b 암나사
53 감열판 54 단열재
55 감열체 60 볼 보유 기구
61 볼(ball)
62 슬라이더(slider) 62a 오목부
63 평형기 64 접시 스프링
65 셋스크류(set screw) 71 감열판
80 감열판 커버(cover) 81 단열 부재

Claims (15)

  1. 방수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헤드 본체와, 이 방수구를 폐지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지지하는 밸브체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밸브체 지지 기구는, 하부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의 플랜지부에 설치하는 감열체와, 이 감열체와 접촉시켜 설치하는 감열판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감열판측의 단부가 헤드 본체의 축심 방향에서 감열판에 대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판은, 감열체를 덮는 돌기부와, 이 돌기부의 일단측을 헤드 본체의 축심에 대해 외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원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런저는, 감열판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부의 외주연에 단차 또는 테이퍼면 혹은 R면을 가지고 있고, 이 플랜지부의 외주연은 간극을 통해 감열판의 돌기부와 내접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판의 원판부의 외주에 헤드 본체의 측으로 돌출하는 측벽부를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구멍을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판의 돌기부의 저면에 접하는 원판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원판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구멍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지지 기구는 밸브체와 플런저의 사이에 플런저에 결합하는 셋스크류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런저는 내부에 구멍을 가지는 주벽부를 가지고 있고, 이 주벽부는 플랜지부에 설치한 감열체와의 접촉 부분에 셋스크류와의 결합 부분보다 내외경차가 작은 얇은 부분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구멍에 단열 부재를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가 플런저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스프링클러 헤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측이 헤드 본체에 접속되고, 타단측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계지단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계지단부에 계지하는 볼과, 상기 볼을 계지단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압압함과 아울러 밸브체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볼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평형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연을 내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을 상기 볼의 접촉면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측이 헤드 본체에 접속되고, 타단측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계지단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계지단부에 계지하는 볼과, 상기 볼을 계지단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압압함과 아울러 밸브체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볼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평형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연에 상기 볼의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볼의 접촉면의 내측에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볼의 빠져나감부를 형성한 스프링클러 헤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기에 플런저의 주벽부를 삽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는 주벽부의 일단측에 있어서 외주면에서는 평형기에 삽통되고, 내주면에서는 셋스크류와 결합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에는 상기 방수구를 가지는 방수통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측이 헤드 본체에 접속되고, 타단측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계지단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디플렉터와 디플렉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롯드와, 가이드 롯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링을 가지는 살수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링에는 상기 가이드 롯드의 삽통 구멍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롯드에는 상기 삽통 구멍보다 큰 스토퍼용의 단부를 설치하고,
    상기 스토퍼 링은, 방수 동작시에, 프레임의 내부를 이동하여 계지단부와 맞닿아 정지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링에 방수통을 따르게 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링은 프레임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링과 헤드 본체의 사이에 스토퍼 링을 프레임의 계지단부를 향해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가이드 롯드의 일단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헤드 본체의 방수통의 외측에 프레임과 결합하는 외주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방수통과 외주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일단측을 디플렉터에 고정한 가이드 롯드의 타단측이 수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127012254A 2009-12-28 2010-12-27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31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8324 2009-12-28
JP2009298324A JP5258743B2 (ja) 2009-12-28 2009-12-28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10015945A JP5506430B2 (ja) 2010-01-27 2010-01-27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JP-P-2010-015945 2010-01-27
JPJP-P-2010-016548 2010-01-28
JP2010016548A JP5506431B2 (ja) 2010-01-28 2010-01-28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10236744 2010-10-21
JPJP-P-2010-236744 2010-10-21
PCT/JP2010/073591 WO2011081147A1 (ja) 2009-12-28 2010-12-27 スプリンクラ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224A true KR20120115224A (ko) 2012-10-17
KR102031373B1 KR102031373B1 (ko) 2019-11-08

Family

ID=4422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254A KR102031373B1 (ko) 2009-12-28 2010-12-27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61498A1 (ko)
KR (1) KR102031373B1 (ko)
CN (1) CN102665825A (ko)
GB (1) GB2488505A (ko)
TW (2) TWI617337B (ko)
WO (1) WO20110811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230A (ko) *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파라텍 스프링클러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6431B2 (ja) * 2010-01-28 2014-05-28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5506430B2 (ja) * 2010-01-27 2014-05-28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ヘッド
EP2897697A2 (en) * 2012-09-21 2015-07-29 Tyco Fire Products LP Sprinkler deflector
JP6034680B2 (ja) * 2012-12-06 2016-11-30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EP3174607B1 (en) * 2014-08-01 2024-05-29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US10940347B2 (en) * 2016-05-04 2021-03-09 The Viking Corporation Concealed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WO2018235334A1 (ja) 2017-06-23 2018-12-27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感熱体用プロテクター
CA3157285A1 (en) * 2018-03-08 2019-09-12 Victaulic Company Fire suppression sprinkler and deflector
AU2020258848A1 (en) 2019-04-10 2021-10-28 Minimax Viking Research & Development Gmbh Institutional sprinklers and installation assemblies
JP7309495B2 (ja) * 2019-07-16 2023-07-18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7290494B2 (ja) * 2019-07-16 2023-06-13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1664557S (ko) 2020-01-07 2020-07-27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953A (ja) * 1995-05-16 1996-11-26 Yoshiaki Kubo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止水部
JPH10179789A (ja) 1996-12-26 1998-07-07 Yoshiaki Kubo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5304887A (ja) * 2004-04-23 2005-11-04 Hochiki Corp 閉鎖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0582212B1 (ko) * 2004-03-09 2006-05-23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 헤드
KR20060055916A (ko) * 2004-11-19 2006-05-24 오주환 조기 반응형 원형 스프링클러 헤드
JP3844176B2 (ja) * 1998-12-22 2006-11-08 ホーチキ株式会社 閉鎖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8178722A (ja) * 2008-04-17 2008-08-07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8002A (en) * 1984-03-13 1986-10-21 Grinnel Corporation Fire protection sprinkler head
US4732216A (en) * 1986-04-21 1988-03-22 Central Sprinkler Corporation Quick release mechanism for sprinkler head
JP3538000B2 (ja) * 1997-07-25 2004-06-14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3807706B2 (ja) * 1998-12-01 2006-08-09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3844175B2 (ja) * 1998-12-17 2006-11-08 ホーチキ株式会社 フラッシュ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4178438B2 (ja) * 2001-03-29 2008-11-12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04141647A (ja) * 2002-10-03 2004-05-20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309942Y1 (ko) * 2002-12-23 2003-04-11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조기 반응형 후러쉬 스프링클러
JP3919675B2 (ja) * 2003-02-17 2007-05-30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用閉鎖型ヘッド及びこれに用いる感熱体の組立方法
TWM261232U (en) * 2004-09-06 2005-04-11 Cherng-Shyong Shyr Structure of water spraying head for fire fight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953A (ja) * 1995-05-16 1996-11-26 Yoshiaki Kubo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止水部
JPH10179789A (ja) 1996-12-26 1998-07-07 Yoshiaki Kubo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3844176B2 (ja) * 1998-12-22 2006-11-08 ホーチキ株式会社 閉鎖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0582212B1 (ko) * 2004-03-09 2006-05-23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 헤드
JP2005304887A (ja) * 2004-04-23 2005-11-04 Hochiki Corp 閉鎖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60055916A (ko) * 2004-11-19 2006-05-24 오주환 조기 반응형 원형 스프링클러 헤드
JP2008178722A (ja) * 2008-04-17 2008-08-07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230A (ko) *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파라텍 스프링클러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61498A1 (en) 2012-10-18
TW201636072A (zh) 2016-10-16
TWI617337B (zh) 2018-03-11
GB201211429D0 (en) 2012-08-08
KR102031373B1 (ko) 2019-11-08
TW201138896A (en) 2011-11-16
WO2011081147A1 (ja) 2011-07-07
TWI549718B (zh) 2016-09-21
GB2488505A (en) 2012-08-29
CN102665825A (zh)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373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120127392A (ko) 스프링클러 헤드
JP6138214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7092545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5506432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1905742B1 (ko) 파열디스크가 일체로 구비된 안전밸브
JP5683423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5506430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4859878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5506431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1857253B1 (ko) 안전밸브
JP5258743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5959318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12087909A (ja) 皿ばねおよびその皿ばねを有する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11218062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9291272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12213443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12005908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200293261Y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감열부재
JP6246045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6033916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4869291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5752003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