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212B1 -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212B1
KR100582212B1 KR1020040015932A KR20040015932A KR100582212B1 KR 100582212 B1 KR100582212 B1 KR 100582212B1 KR 1020040015932 A KR1020040015932 A KR 1020040015932A KR 20040015932 A KR20040015932 A KR 20040015932A KR 100582212 B1 KR100582212 B1 KR 10058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rinkler head
deflector
locking
loa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726A (ko
Inventor
심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04001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212B1/ko
Priority to US10/520,041 priority patent/US7222678B2/en
Priority to PCT/KR2004/000492 priority patent/WO2004080542A1/en
Priority to DE112004000409T priority patent/DE112004000409B4/de
Priority to GB0502060A priority patent/GB2413959B/en
Publication of KR2005009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천장의 안쪽에 설치되는 급수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실링 가능하게 밀착되고 화재 발생시 상기 제1하우징에서 이탈되면서 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플렉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록킹되어 상기 디플렉터와 제1하우징 사이의 밀봉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부와, 천장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화재가 발생되면 열에 반응하여 상기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열 감응부와,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된 공구 삽입홀을 밀폐시키는 홀커버로 구성되어, 스프링클러 헤드 내부로 이물질 및 습기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클러의 부식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한다.
스프링클러, 스프링클러헤드, 화재, 소방설비, 집열판, 홀커버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수 파이프 2 : 제1하우징
4 : 제2하우징 6 : 디플렉터
8 : 록킹부 10 : 열감지부
12 : 수나사부 14 : 플랜지부
16 : 물 방출부 18 : 디플렉터 링
20 : 다리 22 : 실링캡
24 : 살수판 26 : 세트 스크류
42 : 록킹링 44 : 록킹 그루브
50 : 제1로딩판 52 : 제2로딩판
54 : 제1집열판 56 : 제2집열판
58 : 제3집열판 60 : 휴즈 메탈
62 : 록킹 스크류 90 : 공구 삽입홀
92 : 홀커버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클러 헤드의 내부로 이물질 또는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클러 헤드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천장(106)의 안쪽에 설치되는 급수 파이프(102)와 연결되는 제1하우징(104)과, 상기 제1하우징(104)과 체결되고 천장(106)에 형성된 관통홀(108)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104)에 밀봉 가능하게 밀착되어 평소에는 제1하우징(104)을 밀봉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제1하우징(104)에서 이탈되면서 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플렉터(112)와, 상기 제1하우징(104)의 하단 내주면에 록킹되어 상기 디플렉터(112)를 지지하여 제1하우징(104)을 밀봉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부(114)와, 천장(106)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화재가 발 생되면 열을 감지하여 상기 록킹부(114)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열 감응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04)은 그 상측에 상기 급수 파이프(102)와 체결되는 수나사부(170)가 형성되고, 그 중간측에 상기 제2하우징(110)과 결합되도록 암나사부(164)가 형성된 플랜지부(162)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상기 디플렉터(112)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물이 방출되는 물 방출부(166)가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110)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측 및 하측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제1하우징(104) 및 천장(106)에 지지되는 브래킷(160)에 체결되는 수나사부(178)가 형성되고, 그 중앙측에는 디플렉터(112)를 조립할 때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홀(1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110)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록킹부(114)의 록킹 링(124)이 끼워져 록킹되는 록킹 그루브(126)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디플렉터(112)는 제1하우징(104)의 물 방출부(166)의 외주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디플렉터(112)가 제1하우징(104)에서 이탈될 때 상기 제2하우징(104)의 록킹 그루브(126)의 상면에 걸림되는 디플렉터 링(130)과, 상기 제1하우징(104)의 물 방출부(166)의 하면에 밀착되어 물 방출부(166)를 밀폐시키는 실링캡(134)과, 상기 실링캡(134)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화재 발생시 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살수판(136)과, 상기 디플렉터 링(130)과 살수판(136)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대(1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캡(134)의 하면에는 상기 실링캡(134)을 물방출부(166)에 밀착시키는 세트 스크류(174)를 체결된다.
상기 록킹부(114)는 상기 디플렉터(126)의 실링캡(134)에 접촉되고 중앙에 스크류홀(176)이 형성되는 제1로딩판(120)과, 상기 제1로딩판(120)과 대향 배치되는 제2로딩판(122)과, 상기 제1로딩판(120)과 제2로딩판(122) 사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로딩판(120)과 제2로딩판(122)이 상호 밀착되면 경사면을 따라 벌어지면서 상기 제2하우징(110)에 형성된 록킹 그루브(126)에 록킹되는 록킹 링(1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 감응부(150)는 상기 제2로딩판(122)의 하측에 장착되어 화재 발생시 집열 기능을 하는 다수의 집열판들(152,154,156)과, 집열판(156)의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집열판들(152,154,156)을 통해 모아진 열이 일정 온도에 도달되면 용융되는 휴즈 메탈(140)과, 상기 제1로딩판(120)에 형성된 스크류홀(176)에 체결되어 제1 및 제2로딩판(120,122), 집열판들(152,154,156) 및 휴즈 메탈(140)을 일체로 체결하는 록킹 스크류(14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록킹 스크류(142)는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세트 스크류(174)를 조정할 때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조립 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상기 제1하우징(104)에 디플렉터(112)를 삽입하면 디플렉터 링(130)이 제1하우징(104)의 물방출부(166)의 외주면에 삽입되고, 실링캡(134)이 물방출부(166)의 하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제2하우징(110)에 하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제1로딩판(120), 록킹링(124), 제2로딩판(122), 다수의 집열판들(152,154,156) 및 휴즈메탈(140)을 순차적으로 배열시킨 후 록킹 스크류(142)를 상기 제1로딩판(120)에 형성된 스크류홀(176)에 체결한 후 상기 록킹 스크류(142)에 적절한 토오크를 가하면 상기 제1로딩판(120)과 제2로딩판(122)이 서로 밀착되고, 이에 따라 제1로딩판(120)과 제2로딩판(1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상기 록킹링(124)이 벌어지면서 상기 제2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록킹 그루브(126)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록킹부(114) 및 열감응부(150)가 결합된 제2하우징(110)을 상기 제1하우징(104)에 조립한다. 즉, 상기 제2하우징(11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78)를 상기 제1하우징(104)의 플랜지부(162)에 형성된 암나사부(164)에 볼트 체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110)에 형성된 공구 삽입홀(172)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디플렉터(112)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디플렉터(112)의 지지대(132)를 잡은 후 상기 록킹 스크류(142)의 중앙으로 렌치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디플렉터(112)의 하부에 체결된 세트 스크류(174)를 풀어주면 상기 디플렉터(112)가 상대적으로 상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물방출부(166)의 하면에 실링캡(134)이 압착되어 확실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조립할 때 상기 디플렉터(112)의 지지대(132)를 잡아주는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구 삽입홀(172)이 제2하우징(110)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한 후 상기 공구 삽입홀(172)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 및 습기 등이 제2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어 내장 부품들을 부식시키고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작동을 초래하게 되어 화재 발생시에도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밀봉시켜 스프링클러 헤드 내부로 이물질 및 습기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클러의 부식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천장의 안쪽에 설치되는 급수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실링 가능하게 밀착되고 화재 발생시 상기 제1하우징에서 이탈되면서 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플렉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록킹되어 상기 디플렉터와 제1하우징 사이의 밀봉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부와, 천장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화재가 발생되면 열에 반응하여 상기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열 감응부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공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 삽입홀을 밀폐시키는 홀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장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천장(61)의 안쪽에 설치되는 급수 파이프(1)와 연결되는 제1하우징(2)과, 상기 제1하우징(2)과 체결되고 천장(60)에 형성된 관통홀(5)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4)과, 상기 제2하우징(4)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2)에 밀봉 가능하게 밀착되어 제1하우징(2)의 하단을 밀봉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제1하우징(2)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제1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플렉터(6)와, 상기 제2하우징(4)의 내주면에 록킹되어 디플렉터가 제1하우징(2)에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디플렉터(6)를 지지하는 록킹부(8)와, 천장(6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화재가 발생되면 열에 반응하여 상기 록킹부(8)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열 감응부(1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2)은 그 상측에 상기 급수 파이프(1)와 체결되는 수나사부(12)가 형성되고, 그 중간측에 상기 제2하우징(4)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32)를 갖는 플랜지부(14)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상기 디플렉터(6)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물이 방출되는 물 방출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측 외주면에는 제1하우징(2)의 암나사부(32)에 체결되는 제1수나사부(34)가 형성되고, 그 하측 외주면에는 천장(60)에 지지되는 브래킷(36)에 체결되는 제2수나사부(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의 중앙측에는 상기 디플렉터(6)를 상기 제1하우징(2)의 물방출부(16)의 하면에 가압하기 위해 상기 디플렉터(6)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홀(9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의 내주면에는 상기 디플렉터(6)가 걸림 작용되는 걸림돌기(40)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40)에는 상기 록킹부(8)의 록킹 링(42)이 끼워져 록킹되는 록킹 그루브(44)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 삽입홀(90)을 밀폐시켜 상기 공구 삽입홀(90)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 또는 수분이 제2하우징(4)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홀커버(92)가 장착된다.
상기 홀커버(92)는 상기 제2하우징(4)의 제1수나사부(34)와 제2수나사부(38) 사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공구 삽입홀(90)을 밀폐시키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상기 제1하우징(2)의 플렌지부(14)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리브(94)가 형성된다.
이러한 홀커버(92)는 상기 제2하우징(4)의 외주면에 강제 끼움방식으로 장착되어 상기 공구 삽입홀(90)을 밀폐시킨다.
상기 디플렉터(6)는 상기 제1하우징(2)의 물 방출부(16)의 외주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디플렉터(6)가 상기 제1하우징(2)에서 이탈될 때 상기 제2하우징(4)의 걸림돌기(40)에 걸림되는 디플렉터 링(18)과, 상기 제1하우징(2)의 물 방출부(16)의 하면에 밀착되어 물 방출부(16)를 밀폐시키는 실링캡(22)과, 상기 실링캡(22)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화재 발생시 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살수판(24)과, 상기 디플렉터 링(18)과 살수판(24)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대(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캡(22)의 하면에는 세트 스크류(26)가 체결되어 상기 세트 스크류(26)를 풀면 상기 디플렉터(6)가 상승되면서 실링캡(22)이 물방출부(16)에 밀착되어 상기 물방출부(16)를 밀봉시킨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4)에 형성된 공구 삽입홀(90)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지지대(20)를 잡아주어 디플렉터(6)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록킹부(8)는 상기 디플렉터(6)의 실링캡(22)의 하면에 접촉되고 중앙에 스크류홀(48)이 형성되는 제1로딩판(50)과, 상기 제1로딩판(50)과 대향 배치되는 제2로딩판(52)과, 상기 제1로딩판(50)과 제2로딩판(52) 사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1로딩판(50)과 제2로딩판(52)이 상호 밀착되면 벌어지면서 상기 제2하우징(4)에 형성된 록킹 그루브(44)에 록킹되는 록킹 링(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 감응부(10)는 상기 제2로딩판(52)의 하측에 장착되어 화재 발생시 집열 기능을 하는 다수의 집열판들(54,56,58)과, 상기 집열판들(54,56,58)의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집열판들(54,56,58)을 통해 모아진 열이 일정 온도에 도달되면 용융되는 휴즈 메탈(60)과, 제1로딩판(50)에 형성된 스크류홀(48)에 체결되어 제1 및 제2로딩판(50,52)과 집열판들(54,56,58), 휴즈 메탈(60)을 일체로 체결하는 록킹 스크류(6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로딩판(50)과 제2로딩판(52)은 서로 대향되는 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두 경사면 사이에 록킹링(42)이 위치되어, 상기 록킹 스크류(62)를 조이면 상기 제1로딩판(50)과 제2로딩판(52)이 상호 밀착되면서 록킹링(42)이 경사면을 따라 벌어지면서 제2하우징(4)의 록킹 그루브(44)에 록킹된 다.
여기에서, 상기 제2하우징(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록킹 그루브(44)는 상기 제2하우징(4)의 하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안쪽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록킹 그루브(44)에 록킹되는 록킹링(42), 제1 및 제2로딩판(50,52)이 상기 제2하우징(4)의 안쪽으로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집열판들(54,56,58)은 상기 록킹 스크류(6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상기 제2로딩판(52)의 하면에 상기 제2로딩판(52)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집열판(54)과, 상기 제1집열판(54)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집열판(56)과, 상기 제2집열판(56)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면에 휴즈메탈(60)이 장착되는 제3집열판(5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집열판(54,56,58)은 그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록킹 스크류(62)는 렌치 등의 공구가 통과하는 관통홀(9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96)에는 관통홀(96)을 밀봉시키는 캡(98)이 끼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조립 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제1하우징(2)의 물방출부(16)의 외주면을 따라 디플렉터(6)를 삽입하여 상기 디플렉터(6)의 실링캡(22)을 물방출부(16)의 하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의 하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제1로딩판(50), 록킹링(42), 제2로딩판(52)을 순차적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제2로딩판(52)의 하측에 다수의 집열판들(54,56,58)과 휴즈 메탈(6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1로딩판(50)의 스크류홀(48)에 록킹 스크류(62)를 체결하고 상기 록킹 스크류(62)에 적절한 토크를 가하면 상기 제1로딩판(50)과 제2로딩판(52)이 상호 밀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로딩판(50)과 제2로딩판(52)의 경사면을 따라 록킹링(42)이 벌어지면서 제2하우징(4)에 형성된 록킹 그루브(4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부(8)와 열감응부(10)를 제2하우징(4)에 체결한 후 상기 제2하우징(4)의 제1수나사부(34)를 상기 제1하우징(2)의 플랜지부(14)에 형성된 암나사부(32)에 체결한다. 그러면, 디플렉터(6)에 체결된 세트 스크류(26)가 상기 제1로딩판(50)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4)에 형성된 공구 삽입홀(90)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디플렉터(6)의 지지대(20)를 잡아 상기 디플렉터(6)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한 후 상기 록킹 스크류(62)에 형성된 관통홀(96)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조정 스크류(26)를 풀면 상기 세트 스크류(26)가 제1로딩판(50)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디플렉터(6)가 상대적으로 상승되면서 실링캡(22)이 제1하우징(2)의 물방출부(16)의 하면에 압착되어 물방출부(16)를 밀봉시킨다.
상기와 같은 물방출부(16)의 밀봉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록킹 스크류(62)의 관통홀(96)에 캡(98)을 끼워 상기 관통홀(96)을 밀봉시키고, 상기 제2하우징(4)의 외주면에 홀커버(92)를 강제 끼움 방식으로 장착하여 상기 제2하우징(4)에 형성된 공구 삽입홀(90)을 밀봉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홀커버(92)를 제2하우징(4)의 외주면에 장착하여 공구 삽입홀(90)을 막음으로써, 상기 공구 삽입홀(90)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 및 수분 등이 상기 제2하우징(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조립이 완료되면 천장(61)에 형성된 관통구멍(5)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2)의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2)를 급수 파이프(1)에 체결하고, 상기 제2하우징(4)의 제2수나사부(38)를 상기 천장(61)의 관통 구멍(5)에 장착된 브래킷(36)에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과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 상태도들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장(61)에 조립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뜨거워진 기류가 상승하여 상기 집열판들(54,56,58)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상기 집열판들(54,56,58)들이 가열되면 휴즈 메탈(60)이 빠른 시간 이내에 용융된다.
그러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로딩판(50)과 제2로딩판(52)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기 록킹링(42)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록킹 그루브(44)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록킹부(8)와 열 감응부(10)가 제2하우징에서 떨어져 나간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6)가 제1하우징(2)에서 분리되면서 제2하우징(2)에 형성된 걸림돌기(40)에 걸림된다. 그러면, 상기 제2하우징(4)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디플렉터(6)의 살수판(24)을 통해 확산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는 제2하우징의 외주면에 홀커버를 강제 끼움 방식으로 장착하여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된 공구 삽입홀을 밀폐시킴으로써,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한 후 상기 공구 삽입홀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이 스프링클러 헤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부식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건물 천장의 안쪽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물 방출부의 외주면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 방출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디플렉터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록킹되고 상기 디플렉터에 나사 체결되는 세크 스크류가 접촉되는 록킹부와;
    상기 천장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화재가 발생되면 열에 반응하여 상기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열 감응부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세트 스크류를 회전시킬 때 상기 디플렉터가 회전되지 않게 지지하는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 삽입홀을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구 삽입홀을 밀폐시키는 홀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커버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주면에 밀봉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 외주면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제1수나사부와 제2수나사부 가 형성되고, 상기 홀커버는 상기 제1수나사부와 제2수나사부 사이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커버의 상면은 상기 제1하우징의 플랜부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커버는 강제 끼움방식으로 상기 제2하우징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040015932A 2003-03-10 2004-03-09 스프링클러 헤드 KR10058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932A KR100582212B1 (ko) 2004-03-09 2004-03-09 스프링클러 헤드
US10/520,041 US7222678B2 (en) 2003-03-10 2004-03-10 Sprinkler head
PCT/KR2004/000492 WO2004080542A1 (en) 2003-03-10 2004-03-10 Sprinkler head
DE112004000409T DE112004000409B4 (de) 2003-03-10 2004-03-10 Sprinklerkopf
GB0502060A GB2413959B (en) 2003-03-10 2004-03-10 Sprinkler h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932A KR100582212B1 (ko) 2004-03-09 2004-03-09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726A KR20050090726A (ko) 2005-09-14
KR100582212B1 true KR100582212B1 (ko) 2006-05-23

Family

ID=3727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932A KR100582212B1 (ko) 2003-03-10 2004-03-09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224A (ko) * 2009-12-28 2012-10-17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클러 헤드
KR101721100B1 (ko) 2016-12-06 2017-03-30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737B1 (ko) * 2006-02-16 2007-05-29 정인진 내장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331641B1 (ko) * 2011-01-21 2013-11-20 김교연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524A (ko) * 1991-06-14 1993-01-15 박원희 1,3-디실라시클로부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524A (ko) * 1991-06-14 1993-01-15 박원희 1,3-디실라시클로부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224A (ko) * 2009-12-28 2012-10-17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31373B1 (ko) * 2009-12-28 2019-11-08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클러 헤드
KR101721100B1 (ko) 2016-12-06 2017-03-30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726A (ko)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6129A (en) Sprinkler head assembly
US20180185683A1 (en) Concealed residential sprinkler
JP5078037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0582212B1 (ko) 스프링클러 헤드
US7222678B2 (en) Sprinkler head
CA1237626A (en) Flash type sprinkler head
US3130790A (en) Flush pendent sprinkler head
KR200309942Y1 (ko) 조기 반응형 후러쉬 스프링클러
CN109224353B (zh) 一种用于除尘器的消防喷水头
US4938292A (en) Flush mounted fire sprinkler head
US4616710A (en) Heat-released plug
KR200394312Y1 (ko)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KR20070100475A (ko) 응축수 배수관용 스팀 트랩
JP2001161852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TWI451890B (zh) Sealing annular spring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structure
JP3844176B2 (ja) 閉鎖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3427232B2 (ja) フラッシュ型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0572712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0149760Y1 (ko) 자동소화 시스템
KR200266335Y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JP3972319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カバー
KR20060055916A (ko) 조기 반응형 원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130067374A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241959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JP2000354641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