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598B1 -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598B1
KR102419598B1 KR1020200014242A KR20200014242A KR102419598B1 KR 102419598 B1 KR102419598 B1 KR 102419598B1 KR 1020200014242 A KR1020200014242 A KR 1020200014242A KR 20200014242 A KR20200014242 A KR 20200014242A KR 102419598 B1 KR102419598 B1 KR 10241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ensing unit
balancer
pressur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362A (ko
Inventor
안유성
임광훈
Original Assignee
(주)광운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운기업 filed Critical (주)광운기업
Priority to KR102020001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59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감지부에 탄발 압력을 가해지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시 열감지부에 구비하는 퓨즈가 어느정도 녹게 되어 탄발 압력의 이하로 지지강도가 떨어지면 탄발 압력에 의해 열감지부가 다 녹기 전에 하방으로 분리 이탈되도록 하여 배수구의 개방을 신속하게 촉진시키도록 하여 화재 초기진압이 더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로서,
슬라이더(500) 및 발란서(600)에 하방으로 설정압력의 탄성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수단(P)을 구비하여 화재가 발생시 열감지부(800)에 구비하는 퓨즈(810)가 어느정도 녹게 되어 탄발 압력의 이하로 지지강도가 떨어지면 탄발 압력에 의해 발란서(600)를 포함한 열감지부(800)가 퓨즈(810)가 다 녹기 전에 하방으로 분리 이탈되도록 하여 배수구(410)의 개방을 신속하게 촉진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화재시 배수구의 개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개방을 촉진시키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소화설비로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열을 감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여 소화수를 자동 분사하므로 초기 화재를 진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헤드에 대한 선행기술로 본 출원인이 등록권자인 등록특허 10-1608881호 "퓨즈타입 스프링클러가 제안되었고, 그 기술적 구성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하부 내측에 지지턱(12)을 돌출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10); 상기 몸체(10)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배수구(41)를 갖는 연결구(40);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열감지부(20);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내통(31)과 내통 중앙에 연결구의 배수구(41)를 가스켓으로 기밀 차단하는 플렌저(35)을 갖는 디플렉터(30)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열감지부(20)는 몸체(10) 하부에 설치되되 감열판(21) 상측에 설치되어 화재 열에 용융되는 퓨즈(22)와, 상기 퓨즈 상부에 설치되는 발란서(25)와, 상기 발란서(25) 상부에 설치되어 감열판(21)에 고정 결합된 홀더(24) 및, 상기 홀더(24)와 몸체의 지지턱(12) 사이로 설치되는 지지링(26)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감지부(20)에 구비되는 퓨즈(22)가 녹아 내려 퓨즈(22) 설치공간이 제거되면서 열감지부(20)를 지지하는 부분이 제거됨에 따라 열감지부(20)가 하방으로 분리 이탈되고 디플렉터(30)가 하강하여 몸체(10)의 하단에 걸려지므로서 배수구(41)를 통해 소화수가 하방으로 배수로 분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화재가 발생시 열이 열감지부(20)에 구비하는 퓨즈(22)가 녹을 때 까지는 배수구(41)가 개방되지 않고 지체된 상태에서 퓨즈(22)가 충분히 녹아내려야 소화수가 분사되기 때문에 화재에 대한 소화가 지체되어 화재 초기진압이 늦어지는 등 소화 대응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열감지부(20)는 감열판(21)이 다단으로 적층된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각 감열판(21)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 중에 공기 중의 오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식과 염분 등으로 각 감열판(21)은 열 감지기능이 저하되어 성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열감지부에 탄발 압력을 가해지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시 열감지부에 구비하는 퓨즈가 어느정도 녹게 되어 탄발 압력의 이하로 지지강도가 떨어지면 탄발 압력에 의해 열감지부가 다 녹기 전에 하방으로 분리 이탈되도록 하여 배수구의 개방을 신속하게 촉진시키도록 하여 화재 초기진압이 더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열감지부의 열감지 성능을 최대한 보호 유지하여 작동성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해결할 과제에 대한 해결수단을 설명한다.
중앙부에 배수구를 형성하면서 상 하방부에 체결나사부를 형성하는 연결바디와, 상기와연결바디의 하방에 체결하여 연결되면서 하방 내측에 지지턱을 형성하는 관체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단부가 프레임의 상단에 걸려져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디플렉터와, 상기 연결바디의 내부 하단에 끼워 구비하는 밸브와, 상기 프레임 하단의 지지턱에 링으로 받쳐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내입되는 발란서와, 상기 발란서의 하방에 체결구로 끼워져 슬라이더에 체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열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클러 헤드로서,
상기 슬라이더와 발란서의 사이에 탄발수단을 구비하여 화재가 발생시 열감지부에 구비하는 퓨즈(810)가 어느정도 녹게 되어 탄발 압력의 이하로 지지강도가 떨어지면 탄발 압력에 의해 발란서를 포함한 열감지부가 다 녹기 전에 하방으로 분리 이탈되도록 하여 배수구의 개방을 신속하게 촉진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한다.
상기 탄발수단은 슬라이더의 하단 둘레에 끼워지는 발란서를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하면서 하단에 내측으로 걸림단턱을 형성함과, 상기 열감지부를 하단에서 끼워 슬라이더에 끼워진 슬라이더핀에 체결구를 체결함과, 상기 슬라이더와 발란서의 사이에 위치하여 발란서의 하단에 받쳐져 탄발력을 가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상기 탄발수단은,
상기 밸브의 하방에 내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공에 스프링을 내입시키어 밸브의 하단에 받쳐지도록 하는 슬라이더의 상단 중앙에 형성한 돌출편에 스프링이 끼워져 수직상으로 스프링이 지지되어 슬라이더에 탄발력을 가하도록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상기 탄발수단은,
상기 밸브의 하방에 내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공에 스프링을 내입시키어 슬라이더의 상단에 끼워지는 머리부에 형성한 돌출편에 끼워지는 스프링이 수직상으로 지지되어 슬라이더에 탄발력을 가하도록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열감지부는 다단으로 적층된 형태로 결합되는 감열판에서 하단에 위치한 감열판에 그 위로 적층된 감열판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통공을 갖는 커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열감지부에 탄발 압력을 가해지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시 열감지부에 구비하는 퓨즈가 어느정도 녹게 되어 탄발 압력의 이하로 지지강도가 떨어지면 탄발 압력에 의해 열감지부가 다 녹기 전에 하방으로 분리 이탈되도록 하여 배수구의 개방을 신속하게 촉진시키도록 하여 화재 초기진압이 더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는 종래기술보다 더 빠르게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어 화재의 번짐이 발생하기 전에 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열감지부를 보인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 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로 이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스프링클러 헤드(H)는,
중앙부에 배수구(110)를 형성하면서 상 하방부에 체결나사부를 형성하는 연결바디(100)와, 상기 연결바디(100)의 하방에 체결하여 연결되면서 하방 내측에 지지턱(210)을 형성하는 관체 형상의 프레임(200)과, 상기 연결바디(100)의 내부 하단에 시트와 함께 끼워 구비하는 밸브(300)와,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단부가 프레임(200)의 상단에 걸려져 스프링(410)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하면서 밸브(300)의 하단을 받쳐주도록 구비하는 디플렉터(400)와, 상기 프레임(200) 하단의 지지턱(210)에 오링(510)으로 받쳐지도록 구비하는 슬라이더(500)와, 상기 슬라이더(500)의 하단에 결합되어 받쳐지는 발란서(600)와, 상기 발란서(600)의 하방에 체결구(700)로 끼워져 슬라이더(500)에 지지되도록 하는 열감지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감지부(800)는 감열판(820,820',820'')이 다단으로 적층된 형태로 결합되고 하단의 감열판(820)의 내측으로 납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퓨즈(81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500) 및 발란서(600)에 하방으로 설정압력의 탄성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수단(S)을 구비하여 화재가 발생시 열감지부(800)에 구비하는 퓨즈(810)가 어느정도 녹게 되어 탄발 압력의 이하로 지지강도가 떨어지면 탄발 압력에 의해 발란서(600)를 포함한 열감지부(800)가 퓨즈(810)가 다 녹기 전에 하방으로 분리 이탈되도록 하여 배수구(410)의 개방을 신속하게 촉진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압수단(P)은,
슬라이더(500)의 상단과 발란서(600)의 하단에 받쳐지도록 하면서 슬라이더(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열감지부(800)의 하방에서 끼워진 체결구(700)와 체결되어 구비하는 슬라이더핀(900)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S)를 끼워 하방으로 탄발력을 가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발란서(60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하여 내부에 수용실(610)을 형성하면서 하단에 내측으로 걸림단턱(620)을 형성하여 탄성부재(S)를 수용하면서 안정적으로 탄발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하여 핵심부분의 상호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화재 발생으로 스프링클러 헤드(H)의 하단에 위치한 열감지부(800)에 구비하는 퓨즈(810)가 어느정도 녹게 되어 탄발 압력의 이하로 지지강도가 떨어지면 퓨즈(810)의 녹은 만큼의 공간의 발생으로 발란서(600)가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동시에 발란서(600)에 가해지는 탄성부재(S)의 탄발력으로 인하여 발란서(600)가 퓨즈(810)가 다 녹기 전에 이탈을 가속시키어 주게 된다.
그리고 발란서(600)의 이탈로 슬라이더(500)를 받치고 있는 오링(510)이 누르는 압력이 해제로 오링(510)이 형상기억 재질로 원상태 복원으로 인해 오므라져 슬라이더(500)의 받침기능을 상실함에 따라 슬라이더(500)도 함께 프레임(200)으로부터 체결구(700)로 결합된 구성품이 분리 이탈되고 밸브(300)를 받치고 있는 디플렉터(400)가 하방으로 내려옴에 따라 연결바디(100)의 배수구(410)를 통해 소화수가 신속하게 배수되어 하방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가압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압수단(P)은 밸브(300)의 하방을 길게 형성하는 연장부에 내입공(310)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공(310)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S)을 내입시키어 밸브(300)의 하단에 받쳐지도록 하는 슬라이더(500)의 상단 중앙에 형성한 돌출편(520)에 탄성부재(S)가 끼워져 지지되어 슬라이더(500)에 탄발력을 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퓨즈(810)가 어느정도 녹게 되어 탄발 압력의 이하로 지지강도가 떨어지면 퓨즈(810)의 녹은 만큼의 공간의 발생으로 발란서(600)가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동시에 밸브(300)에 내입되면서 발란서(600)에 가해지는 탄성부재(S)의 탄발력으로 인하여 슬라이더(500) 및 발란서(600)가 퓨즈(810)가 다 녹기 전에 이탈을 촉진시키어 분리를 가속시키어 주게 되어 소화수의 배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가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압수단(P)은, 밸브(300)의 하방을 길게 형성하는 연장부에 내입공(310)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공(310)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S)을 내입시키어 슬라이더(500)의 상단에 끼워지는 슬라이더핀(900)에 형성한 돌출편(910)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S)가 끼워져 수직상으로 슬라이더(500)에 탄발력을 가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열감지부를 보인 확대 단면도로,
상기 열감지부(800)는 다단으로 적층된 형태로 결합되는 감열판(820,820',820'')에서 하단에 위치한 감열판(820)에 그 위로 적층된 감열판(820',820'')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커버면(821)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면(821)에 일정간격으로 통공(822)을 형성한다.
이러한 열감지부(800)는 사용 중에 부식이나 염분 등으로 노출된 하단의 감열판(820)은 열 감지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나 하단의 감열판(820)에 적층된 감열판(820',820'')은 하단의 감열판(820)의 둘레에 형성된 커버면(821)에 의해 보호되어 열 감지기능을 유지함에 따라 열감지 성능을 최대한 보호 유지하여 작동성을 유지할 수 있다.
100: 연결바디 110; 배수구
200: 프레임 300: 밸브
310: 내입공 400: 디플렉터
410: 스프링 500: 슬라이더
510: 오링 520: 돌출편
600: 발란서 700: 체결구
800: 열감지부 821: 커버면
900: 슬라이더핀 S: 탄성부재
P: 가압수단

Claims (6)

  1. 중앙부에 배수구를 형성하면서 상 하방부에 체결나사부를 형성하는 연결바디(100)와, 상기 연결바디(100)의 하방에 체결하여 연결되면서 하방 내측에 지지턱(210)을 형성하는 관체 형상의 프레임(200)과, 상기 연결바디(100)의 내부 하단에 시트와 함께 끼워 구비하는 밸브(300)와,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단부가 프레임(200)의 상단에 걸려져 스프링(410)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하면서 밸브(300)의 하단을 받쳐주도록 구비하는 디플렉터(400)와, 상기 프레임(200) 하단의 지지턱(210)에 오링(510)으로 받쳐지도록 구비하는 슬라이더(500)와, 상기 슬라이더(500)의 하단에 결합되어 받쳐지는 발란서(600)와, 상기 발란서(600)의 하방에 체결구(700)로 끼워져 슬라이더(500)에 지지되도록 하는 열감지부(800)와, 상기 슬라이더(500) 및 발란서(600)에 하방으로 설정압력의 탄성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수단(P1)을 구비하여 화재가 발생시 열감지부(800)에 구비하는 퓨즈(810)가 어느정도 녹게 되어 탄발 압력의 이하로 지지강도가 떨어지면 탄발 압력에 의해 발란서(600)를 포함한 열감지부(800)가 퓨즈(810)가 다 녹기 전에 하방으로 분리 이탈되도록 하여 배수구의 개방을 신속하게 촉진시키도록 구성하는 스프링클러 헤드로서,
    상기 가압수단(P)은,
    슬라이더(500)에 끼워지면서 하단부가 열감지부(800)의 하방에 끼워진 체결구(700)와 체결되도록 하는 슬라이더핀(900)을 구비함과,
    상기 슬라이더핀(900)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삽입편(910)이 밸브(300)의 저면에 형성하는 내입공(310)에 끼워지면서 삽입편(910)의 하방으로 형성하는 걸림턱(920)이 슬라이더(500)의 상면에 받쳐지도록 함과,
    상기 슬라이더핀(900)에 끼워지는 탄성부재(S)는 발란서(600)의 하단에 형성하는 걸림단턱(620)에 걸려져 발란서(600)의 수용실(610)에 위치되도록 하여 발란서(600)에 탄발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14242A 2020-02-06 2020-02-06 스프링클러 헤드 KR10241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42A KR102419598B1 (ko) 2020-02-06 2020-02-06 스프링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42A KR102419598B1 (ko) 2020-02-06 2020-02-06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62A KR20210100362A (ko) 2021-08-17
KR102419598B1 true KR102419598B1 (ko) 2022-07-11

Family

ID=7746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242A KR102419598B1 (ko) 2020-02-06 2020-02-06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5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5018A (ja) * 2013-10-31 2015-05-07 アイエス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773001B1 (ko) * 2016-10-31 2017-08-30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스프링클러 헤드
JP2018166855A (ja) * 2017-03-30 2018-11-01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731U (ko) * 2007-09-14 2009-03-18 조병종 조기반응형 플러쉬 스프링클러헤드
KR102192285B1 (ko) * 2016-08-24 2020-12-17 박미순 휴즈 용융형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5018A (ja) * 2013-10-31 2015-05-07 アイエス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773001B1 (ko) * 2016-10-31 2017-08-30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스프링클러 헤드
JP2018166855A (ja) * 2017-03-30 2018-11-01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62A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6129A (en) Sprinkler head assembly
WO2010038253A1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A1237626A (en) Flash type sprinkler head
KR10191495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1604540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241959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US20090255693A1 (en) Sprinkler head
KR101264862B1 (ko)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KR200403464Y1 (ko) 내충격 및 내진성의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US3039536A (en) Sprinkler head for dry powder fire extinguishing chemicals
KR20180022505A (ko) 휴즈 용융형 스프링클러 헤드
JP4810381B2 (ja) 感熱ヘッド
KR960008946Y1 (ko) 스프링 쿨러헤드
KR200403462Y1 (ko)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08321Y1 (ko) 스프링클러 헤드
JP2009226014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841224B1 (ko)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CN218833463U (zh) 消防喷头装饰盖的撑开定位装置
KR100582212B1 (ko) 스프링클러 헤드
JPH08173569A (ja) フラッシュ型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2357412B1 (ko) 스프링클러
KR980006717U (ko) 스프링클러 헤드
JP2002011110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620438B1 (ko) 플러쉬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KR102425544B1 (ko) 탄성체 타입의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