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946Y1 - 스프링 쿨러헤드 - Google Patents

스프링 쿨러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946Y1
KR960008946Y1 KR2019910011236U KR910011236U KR960008946Y1 KR 960008946 Y1 KR960008946 Y1 KR 960008946Y1 KR 2019910011236 U KR2019910011236 U KR 2019910011236U KR 910011236 U KR910011236 U KR 910011236U KR 960008946 Y1 KR960008946 Y1 KR 960008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d
stopper
outlet
coup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778U (ko
Inventor
다까마사 핫또리
Original Assignee
다까마사 핫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92799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4416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392789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44161Y2/ja
Application filed by 다까마사 핫또리 filed Critical 다까마사 핫또리
Publication of KR920017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프링 클러헤드
제1a도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b도는 동평면도
제2도는 제1b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프레임의 내향 철부 및 협지체와 결합체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조립작업의 1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a, 5b도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조립작업의 1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6a, 6b도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조립작업의 1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프레임의 내향철부 및 협지체와 결합체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요부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프링클러헤드 본체 1a : 하단부
3 : 마개 3a : 요홈
4 : 유출구 7 : 탄발체
11 : 결합체 12 : 협지체
12d : 칼라부 13 : 협지체
13d : 칼라부 16 : 내향철부
17 : 벽면 19 : 나사체
22 : 가용체 24 : 프레임
25a, 25b, 25c : 결합철부 28 : 요부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헤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등에 소화용수의 방수(防水)를 행하기 위한 스프링클러헤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스프링 클러헤드로서는 예를들면 미국 특허 4,618,002호 명세서에 기재된 것이 있다.
즉, 이 종래의 것은,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유출구(4)의 지수(止水)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개(29)의 하편에, 일부 절결링상의 결합체(11)를 나사체(30)의 체부력에 의해 외편으로 일부 노출시킨 확장상태를 협지하여 이루는 상하 1쌍의 상하 협지체(31), (32)를 배치시켜서, 상측의 협지체(31)와 마개(29)와의 상호간에 그 마개(29)를 상향으로 압압가세하는 금속판 형상의 용수철(33)을 부재 사이에 넣어서 장치시킨 것이다.
또, 상기 1쌍의 협지체(31), (32)의 고정은, 이 협지체(31), (32) 사이에 확장상태를 끼워놓은 결합체(11)를, 프레임(34)의 하부 내원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 철부(35)의 상측 데이퍼면(36)에 결합시켜서 행하고 있다.
그리고, 화재 등이 발생할 때에는 나사체(30)의 칼라부(30a)와 하측의 협지체(32)와의 양자간에 넣어서 장치된 가용체(22)를 용융시켜서 결합체(11)에 대한 협지체(31), (32)의 협지력을 완화하고, 이 결합체(11)를 그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축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결합체(11)와 내향 철부(35)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협지체(31), (32) 및 마개(29)등이 헤드본체(1)에서 탈락하고, 소화용수의 산수(散數)를 적절히 수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으로는, 1쌍의 협지체(31), (32) 및 프레임(34)의 내향 돌부(35)의 테이퍼면(36)에 의해 결합체(11)를 결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프링 클러헤드에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하여졌을 경우, 결합체(11)가 용이하게 내향 철부(35)의 테이퍼면(36)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없고, 마개(29) 등이 준비되지 않은채 낙하하여 소화용수를 산수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또, 스프링 클러헤드의 조립시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결합체(11)가 이탈하기 쉽기 때문에, 소위 자동 조립에는 적합하지 않고, 수작업에 의해 조립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불편도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것은 결합체(11)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 마개(29)가 낙하하는바, 이런 낙하동작은 그의 자중만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이므로, 마개(29)가 신속하고 확실히 낙하하지 않는다는 난점을 가지며, 특히 마개(29)에 의해 유출구(4)가 장기에 걸쳐 폐쇄되면, 양자간에 발생한 녹 등에 의해 마개(29)의 낙하동작이 방해된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프링 클러헤드에 다소의 충격이 가해져도 준비없이 동작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히 작동하여 양호한 산수가 행하여짐과 동시에 조립작업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하 1쌍의 협지체(12), (13)의 칼라부(12d), (13b)와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에 설치된 프레임(24)의 하부 내원주 가장자리에 돌출설치된 내향 돌부(16)와의 3자 간에서 링상 또는 일부 절결링상의 확장신축이 자재로운 결합체(11)를 확장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유출구(4)를 마개(3)로 폐쇄하고, 열가용성의 가용체(22)의 열용융 또는 열연화에 의해 마개(3)를 유출구(4)에서 이탈시키도록 상기 결합체(11)가 수축하여 협지체(12), (13)가 프레임(24)에서 이탈가능하게 구성된 스프링 클러헤드에 있어서, 상기 내향 철부(16)의 내면에, 결합체(11)가 결합하는 벽면(17)과, 이 벽면(17)에서의 결합체(11)의 이탈을 방지하여야 할 벽면(17)의 상하에 결합철부(25a), (25b)가 각각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스프링 클러헤드이다.
또, 상기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하단부(1a)와 마개(3) 사이에 탄발체(7)를 넣어서 장치하는 동시에, 상기 마개(3)의 내원주면에 나사체(19)를 나사결합하여, 나사체(19)의 마개(3) 측으로 부터의 나사이탈에 의해, 그 마개(3)를 유출구(4) 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탄발체(7)를 소정의 압압력으로 긴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관계없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클러헤드의 있어서는, 프레임(24)의 내향 철부(16)의 내면에, 결합체(11)가 결합 가능한 벽면(17)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확장상태에 있는 결합체(11)가 벽면(17)에 결합되는 동시에, 벽면(17)의 상하에 설치된 결합철부(25a), (25b)에 의해 결합체(11)가 결합되기 때문에, 다소의 충격이 스프링 클러헤드에 가해져도, 결합체(11)는 상기 벽면(17)에서 이탈하지 않고, 따라서 협지체(12), (13)와 내향 철부(16)에 의해 결합체(11)의 유지상태가 확실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 화재 등이 발생하여 가용체(22)가 열용융 또는 열연화되면, 결합체(11)가 수축하여 결합체(11)와 프레임(24)의 내향 철부(16)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서, 결합체(11)와 동시에 양협지체(12), (13)가 프레임(24)에서 탈락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하단부(1a)와 마개(3) 사이에 소정의 압압력으로 긴장시킨 탄발체(7)를 넣어서 장치하여 놓으면, 이런 탄발체(7)가 가지는 탄발 복원력에 의해 유출구로 부터의 마개(3)의 이탈 및 낙하동작이 확실하고 신속하게 행하게 된다.
그리고 마개(3)의 이탈에 의해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유출구(4)에서 소화용수가 산수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 및 2도에 있어서, 1은 소화용수 유입로(2)를 형성한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로서, 이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원주방향 끝 가장자리 하부에 대략 원통상의 프레임(24)이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3은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4)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로서, 이 마개(3)의 하단부 원주방향 가장자리에는 칼라부(5)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원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6)에는 인프레스 나사(19)가 나사식으로 들어가서 이루어지고, 이 인프레스 나사(19)의 일 단측에는 육각공(19a)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7은 표면이 불소 수지 코팅된 접시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탄발체이며,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유출구(4)의 하단부(1a)와 마개(3)의 칼라부(5)의 상면부간에 일정한 압압력을 받아서 긴장상태로 넣어져 장치되어 있고, 탄발체(7)의 내원주면은 마개(3)의 외원주면에 형성된 요홈(3a)에 끼워맞추어져 이루어진다.
8은 마개(3)의 외원주 가장자리에 복수개가 연결된 굴곡상의 디플렉터로, 그의 상단부에는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외원주면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재로운 가이드부(10)가 하향으로 돌출 설치된 가이드링(9)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마개(3)가 낙하할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11은 일부 절결링상으로 형성되어서 그의 직경이 확장신축하는 탄성변형이 자재로운 결합체를 나타낸다. 12,13은 이 결합체(11)를 끼워 놓는 것을 유지하기 위한 1쌍의 협지체이며, 상측의 협지체(12)의 상면에는 상기 인프레스 나사(19)의 하단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것이 가능한 구멍(12a)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의 원통부(12b)의 내원주면에는 암나사부(12c)가 형성되어서, 하측의 협지체(13)의 원통부(13a)는 한편의 협지체(12)의 원통부(12b)와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외측에 끼워져 이루어진다. (14), (15)는 각 협지체(12), (13)의 칼라부(12d), (13b)의 외원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이며, 제3도와 같이 그의 상호간에 상기 결합체(11)가 확장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간격이 내측만큼 좁도록 형성되어 있다.
16은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하단부 내원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철부로, 제3도와 같이 그의 내면에는 상기 각 협지체(12), (13)로 협지된 결합체(11)를 결합 가능한 벽면(17)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요부(17)의 상하에는 내향으로 돌출하는 결합철부(25a), (25b)가 각각 연이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또 내향철부(16)의 내경치수는 상기 협지체(12), (13) 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18은 상기 협지체(12)의 암나사부(12c)에 나사식으로 부착된 록 나사를 나타내고, 그의 대략 중앙에는 관통공(18a)이 뚫어져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20, 21,-22는 록 나사(18)의 하단에 형성된 칼라부(18b)와 하측의 협지체(13)의 하단과의 상호간에 넣어져 장치된 열절연패킹, 감열체, 가용성의 가용체를 각각 나타낸다. 23은 록나사(18)의 관통공(18a)을 폐쇄하여 내부로의 먼지 침입을 방지하도록 착탈이 자재롭게 장착된 캡이며, 26은 프레임(24)의 하단부에 외측에 끼워 장착된 헤드커버이다.
본 실시예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다음에 이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프링 클러헤드를 조립하는 경우는, 제4도와 같이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 측과 프레임(24) 측과는 상하 2분할한 상태에서 직각을 조립하여 놓고,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에 프레임(24)을 나사식으로 맞추어 양자를 접속한다.
그 후, 제 5a도와 같이 록 나사(18)의 관통공(18a)에서 6각 렌치(17)를 삽입하고, 인프레스 나사(19)의 6각공 (19a)에 끼워 맞추어서 회전시키면, 인프레스 나사(19)가 하강하고, 그 하면에 협지체(12)의 요부(12a)의 저면에 맞닿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제 5b도와 같이 탄발체(7)는 아직 압압력을 받지 않고 신장상태에 있다.
다시, 6각 렌치(27)를 회전시키면, 제6a도와 같이 역으로 인프레스 나사(19)를 통하여 마개(3)가 압압되어서 상편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마개(3)의 칼라부(5)의 상면과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하단부(1a)간에서 제 6b도와 같이 탄발체(7)가 협압되게 되어, 마개(3)내에 깊이 (B)의 간격부(3a)가 형성된 싯점에서, 탄발체(7)의 복원력의 약 60%의 압압력을 받아서, 불소수지 코팅된 탄발체(7)를 통하여 마개(3)에 의해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유출구(4)가 확실히 밀봉되게 된다. 그후, 캡(23)을 록 나사(18)의 관통공(18a)에 장착한다.
이와같이 하여, 스프링 클러헤드의 조립작업은 극히 용이하게 행하여지는 바, 결합체(11)는 양협지체(12), (13)와 프레임(24)의 벽면(17)에 의해 확실히 유지되기 때문에, 일련의 조립작업이 번잡하게 되지는 않고, 따라서 자동조립도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또, 이 탄발체(7)가 마개(3)에서 받는 압압력은 마개(3)의 나사이탈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마개(3)의 나사이탈량을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탄발체(7)는 상시 적당한 압압력을 가지고 압압하게 되어, 장기간 이 상태로 방치되어도, 탄발체(7)의 탄발력이 대폭으로 저하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스프링 클러헤드는, 프레임(24)의 내향철부(16)의 내벽면에 결합체(11)를 결합가능한 벽면(17)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벽면의 상하에는 결합철부(25a), (25b)가 연이어 설치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 벽면(17) 및 결합철부(25a), (25b)와 상기 협지체(12), (13)에 의해 결합체(11)가 공고하고 확실히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시나 천정면에의 장치시등에 있어서 프레임(24)의 하단부에 다소의 충격이 가하여져도, 결합체(11)가 이동하여 그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바와같은 불편은 일체 생기지 않는 것이다.
다음에, 화재 등이 발생하여 감열판(21)에 온도상승이 생기면, 이 감열판(21)과 록 나사(18)의 하단 칼라부(18b)와의 상호간에 넣어져 장치된 가용체(22)가 용융 또는 연화하기 때문에, 제7도와 같이 하편의 협지체(13)가 하강하는 동시에 결합체(11)가 수축하여, 프레임(24)의 내향철부(16)의 벽면(17) 및 결합철부(25a), (25b)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그 결과 양협지체(12), (13) 및 이것에 지지된 인프레스 나사(19), 마개(3)등이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하편에 낙하하고, 유출구(4)가 개방된다.
마개(3)의 낙하시에 있어서, 마개(3)에는 디플렉터(8)를 통하여 가이드부(10)를 가지는 가이드링(9)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이드부(10)가,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외원주면에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가이드되고, 마개(3)는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하강하여, 가이드링(9)이 프레임(24)의 내향철부(16)와 결합되어서, 마개(3)의 하강동작이 정지한다.
또,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하단부(1a)와 마개(3) 사이에는 탄발체(7)를 긴장상태에서 협압시켜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탄발체(7)가 가지는 탄발력에 의해 마개(3)의 낙하동작이 확실하고 신속하게 행하여지게 되고, 마개(3)의 개방쪽으로에 크게 공여하게 된다.
그리고, 유출구(4)에서 토출된 소방용수는 마개(3)의 상면에 충돌한 후,사방으로 분산하여 방사상으로 산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임(24)의 내향철부(16)의 내면에 벽면(17) 및 결합철부(25a), (25b)를 설치하여 구성하였으나, 제8도와 같은 내향철부(16)의 내면에 결합체(11)를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한 요부(28)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요부(28)로 부터의 결합체(11)의 이탈을 방지가능하도록 그의 선단부에 결합철부(25c)를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상관없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탄발체의 표면에 불소수지코팅된 접시 용수철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나, 탄발체(7)의 구체적인 구성은 결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프레스 나사(19)의 마개(19)에의 나사 결합 이탈을 6각 렌치(27)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드라이버 등으로 나사결합 이탈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프레임(24)의 내향철부(16)에 설치되는 결합철부(25a), (25b)는 결코 내향철부(16)의 전 둘레에 걸쳐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결합체(11)는 일부 절결링상의 것에 한정되진 않으며, 완전한 링상의 것을 적용하여도 물론 상관없다.
또, 감열시에 협지체(12), (13)등을 낙하시키기 위하여 강구된 구체적인 수단도 결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기타, 마개(3), 협지체(12), (13), 록 나사(18), 인프레스 나사(19)의 형상 등의 각부분의 구체적인 구성도 모두 본 고안의 의도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계변경이 자유롭다.
위와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의 내향철부의 내면에는 결합체가 결합 가능한 벽면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1 쌍의 협지체의 칼라부와 이 벽면에 의해 확실히 결합하게 되고, 벽면의 상하에는 결합철부가 설치되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체는 이 양 결합철부에 의해 결합되어서 다소의 충격이 스프링 클러헤드에 가하여 져도, 결합체가 상기 벽면에서 이탈하지 않고, 공고히 유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향철부의 테이퍼면에서는 결합체를 유지하고 있던 종래의 것과 같이, 프레임에 다소의 충격이 가하여지면 결합체가 위치가 어긋나 준비없이 마개가 낙하하는 것 같은 불편을 양호히 방지할 수 있다는 각별의 효과가 얻어진 것이다.
또, 이와같이 양 협지체와 프레임의 내향칠부에 의해 결합체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결과, 스프링 클러헤드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행하여지고, 따라서 자동조립도 가능하게 되는 특유의 효과도 주효하다.
또한,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의 유출구의 하단부와 마개간에 탄성체를 긴장상태에서 끼워 놓으면 단순히 마개의 자중만에 의해 마개를 유출구에서 이탈시켜서 낙하시키는 종래의 것과 같이, 마개의 이탈 및 낙하동작이 완만히 되지 않고, 탄발체가 가지는 탄발력에 의해 유출구에서 마개를 확실하고 신속히 이탈낙하시켜서, 소화용수를 유출구에서 양호하게 산수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경우는 탄발체가 마개에서 받는 압압력은 나사체의 나사이탈량에 의해 조정가능하기 때문에, 이 나사체의 나사이탈량을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상기 적당한 압압력을 가지고 탄발체를 압압할 수 있는 동시에, 장기간에 걸쳐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효과도 주효하게 된다.

Claims (7)

  1. 상하 1 쌍의 협지체(12), (13)의 칼라부(12d), (13b)와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에 성치된 프레임(24)의 하부 내원주 가장자리에 돌출설치된 내향철부(16)와의 3자간에서 링상 또는 일부 절결링상의 확장신축이 자재로운 결합체(11)를 확장상태에서 유지함으로써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유출구(4)를 마개(3)로 폐쇄하고, 또한 열가용성의 가용체(22)의 열용융 또는 열연화에 의해 마개(3)를 유출구(4)에서 이탈시키도록 상기 결합체(11)가 수축하여 협지체(12), (13)가 프레임(24)에서 탈락 가능하게 구성된 스프링 클러헤드에 있어서, 상기 내향철부(16)의 내면에, 결합체(11)가 결합하는 벽면(17)과, 이 벽면(17)으로 부터의 결합체(11)의 이탈을 방지할 벽면(17)의 상하에 결합철부(25a), (25b)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클러헤드.
  2. 상하 1 쌍의 협지체(12), (13)의 칼라부(12d), (13b)와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에 설치된 프레임(24)의 하부 내원주 가장자리에 돌출설치된 내향철부(16)와의 3자간에 링상 또는 일부 절결링상의 확장신축이 자재로운 결합체(11)를 확장상태에서 유지함으로써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유출구(4)를 마개(3)로 폐쇄하고, 열가용성의 가용체(22)의 열용융 또는 열연화에 의해 마개(3)를 유출구(4)에서 이탈시키도록 상기 결합체(11)가 수축하여 협지체(12), (13)가 프레임(24)에서 탈락 가능하게 구성된 스프링 클러헤드에 있어서, 상기 내향철부(16)의 내면에, 결합체(11)가 끼워 맞추어지는 요부(28)가 설치되고, 이 요부(28)로 부터의 결합체(1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요부(28)의 선단에 결합철부(25c)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클러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클러헤드 본체(1)의 하단부(1a)와 마개(3)간에 탄발체(7)가 넣어져 장치되고, 상기 마개(3)의 내원주면에는 나사체(19)가 나사결합되어서 이루어지고, 또한 이 나사체(19)의 마개(3)측으로 부터의 나사이탈에 의해마개(3)가 유출구(4)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탄발체(7)를 소정의 압압력으로 긴장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클러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7)의 압압력이 이 탄발체(7)의 복원력의 60%에 설정되어서 이루어지는 스프링 클러헤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7)의 표면이 불소수지로 피복되어서 이루어지는 스프링 클러헤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가 접시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클러헤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7)의 내원주면이 끼워 맞추어지는 요홈(3a)이 상기 마개(3)의 외원주면에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스프링 클러헤드.
KR2019910011236U 1991-03-06 1991-07-18 스프링 쿨러헤드 KR9600089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9279 1991-03-06
JP3927991U JP2544162Y2 (ja) 1991-03-06 1991-03-06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91-39278 1991-03-06
JP3927891U JP2544161Y2 (ja) 1991-03-06 1991-03-06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778U KR920017778U (ko) 1992-10-17
KR960008946Y1 true KR960008946Y1 (ko) 1996-10-11

Family

ID=2637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236U KR960008946Y1 (ko) 1991-03-06 1991-07-18 스프링 쿨러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84683A (ko)
EP (1) EP0502238B1 (ko)
KR (1) KR960008946Y1 (ko)
CA (1) CA2045390A1 (ko)
DE (1) DE6911525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2838A1 (en) * 1992-11-11 1994-05-12 Takamasa Hattori Sprinkler head having a checking means for checking that fluid has been filled inside of a sprinkler head body and method for checking that the fluid has been filled using such sprinkler head
JP2604717Y2 (ja) * 1993-04-23 2000-06-05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シーリングプレート
FI103480B1 (fi) * 1998-01-09 1999-07-15 Goeran Sundholm Pidin suihkutuspään asentamiseksi
US6308784B1 (en) 2000-03-07 2001-10-30 Grinnell Corporation Flush sprinkler
FI112038B (fi) * 2000-05-16 2003-10-31 Marioff Corp Oy Asennusvälineet suihkutuspään asentamiseksi seinämään
DE102004027568B3 (de) * 2004-06-05 2005-12-08 Minimax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definierten Dichtkraft eines Sprinklers für Feuerlöschanlagen
JP7290494B2 (ja) * 2019-07-16 2023-06-13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AU2021224081A1 (en) * 2020-02-18 2022-06-23 Tyco Fire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of hollow sprinkler buttons with ridg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4631A (en) * 1978-08-08 1980-07-29 Tadashi Hattori Sprinkler head with heat sensitive cover release and valve release mechanism
US4465141A (en) * 1981-10-13 1984-08-14 U.S. Fire Control Corporation Fire sprinkler apparatus
US4508175A (en) * 1982-11-10 1985-04-02 Central Sprinkler Corporation Flush pendant or flush horizontal automatic sprinkler head
US4491182A (en) * 1983-01-05 1985-01-01 Central Sprinkler Corporation Automatic sprinkler
US4618002A (en) * 1984-03-13 1986-10-21 Grinnel Corporation Fire protection sprinkler head
US4715447A (en) * 1985-05-10 1987-12-29 Johnson Kimball W Quick response automatic fire sprinkler head
US4977963A (en) * 1989-04-10 1990-12-18 Star Sprinkler Corporation Partially concealed fast response sprinkler head
US5094298A (en) * 1989-12-12 1992-03-10 Central Sprinkler Corporation Fire sprinkl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778U (ko) 1992-10-17
US5184683A (en) 1993-02-09
EP0502238B1 (en) 1995-12-06
CA2045390A1 (en) 1992-09-07
DE69115252D1 (de) 1996-01-18
EP0502238A1 (en) 1992-09-09
DE69115252T2 (de) 199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8458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4880063A (en) Adjustable concealed sprinkler
KR960008946Y1 (ko) 스프링 쿨러헤드
EP0306500B1 (en) A decorative quick response sprinkler
US20090255693A1 (en) Sprinkler head
DE112004000409B4 (de) Sprinklerkopf
US4651832A (en) Flash type sprinkler head
WO2019150687A1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4343364A (en) Sprinkler head construction
KR960008948Y1 (ko) 스프링 쿨러헤드
KR20160009199A (ko) 스프링클러 헤드
CA1048084A (en) Sprinkler head
US3130790A (en) Flush pendent sprinkler head
KR20040031585A (ko) 스프링클러 헤드
US4785888A (en) Decorative quick response sprinkler
JP2639899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とその組立方法
US5613563A (en) Locking mechanism for quick response fire sprinkler
JPH06178825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N100563756C (zh) 喷洒头
JP2544162Y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5022468A (en) Automatic sprinkler activator
KR930007268Y1 (ko) 스프링클러 헤드
JP2631197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544161Y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529258Y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