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312Y1 -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312Y1
KR200394312Y1 KR20-2005-0015670U KR20050015670U KR200394312Y1 KR 200394312 Y1 KR200394312 Y1 KR 200394312Y1 KR 20050015670 U KR20050015670 U KR 20050015670U KR 200394312 Y1 KR200394312 Y1 KR 200394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head
sprinkler head
coupled
fl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5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3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 클러 헤드의 구조를 간편화하여 제작 및 조립·설치가 용이하고, 디프렉터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하여 소화수 분사를 위한 디프렉터 작동시 신속한 하강을 유도함과 동시에, 소하수의 밀폐력과 화재 진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화수 분사를 위한 스프링 클러 헤드 작동, 즉, 디프렉터의 작동불량으로 인한 소화수의 분사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디프렉터의 작동 오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Flush Type Sprinkler Head}
본 고안은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클러 헤드의 구조를 간편화하여 제작 및 조립·설치가 용이하고, 디프렉터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하여 소화수 분사를 위한 디프렉터 작동시 신속한 하강을 유도함과 동시에, 소하수의 밀폐력과 화재 진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소화수 분사를 위한 디프렉터 작동, 즉, 하강이동시 디프렉터의 작동불량으로 인한 소화수의 분사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디프렉터의 작동 오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를 사용하여 사람이 직접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방식은 작업자의 위험부담을 안고 있으므로, 수작업에 의한 직접 행위없이 초기 화재진화를 수행할 수 있는 소화설비로 스프링 클러가 사용된다.
현재,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스프링 클러는 구성방식에 따라, 여러종류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습식배관시스템(wet pipe system)과 건식배관시스템(dry pipe system) 및 델류지시스템(deluge system)이 있다.
상기 델류지시스템은 폐쇄형 헤드를 설치하는 준비작동식시스템(preaction system)과 개방형헤드를 설치하는 일제살수식시스템이 있으며, 습식과 건식배관시스템에는 폐쇄형헤드가 설치된다.
가. 습식배관시스템 (Wet Pipe System)
이 시스템은 전배관내에 상시 물을 채워두었다가 화열로 인해 헤드가 자동 개방됨에 따라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식으로서 모든 유형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중 구조가 가장 간단하면서 신뢰성이 높고, 신속한 소화가 가능한 설비이다. 다만, 겨울철의 동결 우려가 있으므로 방동조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 설비의 특징을 대표하는 것은 배관상에 설치되는 유수검지장치인 바,주로 알람첵크밸브가 사용된다. 이것은 일반 스윙형 첵크밸브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수검지의 기능을 갖도록 구조를 약간 변용한 것이다.
이 밸브의 몸체 내부에 있는 클래퍼 (Clapper)의 상하부측에는 항시 물이 들어있기 때문에 평상시 클래퍼가 닫혀 있으며, 클래퍼의 좌대(Seat)에는 외부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어서 평소에는 그 구멍을 통해 물이 흘러나가지 못하지만, 화재시 헤드의 개방으로 인해 클래퍼가 열리면 비로소 구멍을 통해 물이 유출된다. 구멍으로 유입된 물은 밸브 몸체와 연결된 배관속을 흐르면서 그 배관에 설치된 압력스위치를 작동케함으로써 압력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음장치를 연동시켜주는 것이다.
유수검지장치 및 경음장치는 살수기능을 가진 스프링클러설비에 대해 화재탐지 및 경보 기능도 함께갖게 하는 것이므로 건물의 층간 방화구역 개념과 보조를 같이하여 매층마다 설치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동일층에 있어서도 담당하는 구역의 크기에 제한을 두게 되는바, 소방법령에서는 하나의 유수검지 장치가 담당하는 최대면적을 3,000m²로 규정해 두고 있다.
나. 건식배관시스템(Dry Pipe System)
이 시스템의 기능과 특징은 배관에 설치하는 건식밸브(일명 드라이밸브)의 기능과 특성을 통해 알 수 있다.
배관상의 설치지점과 건물내에서의 설치개수는 습식배관시스템에서 알람첵크밸브를 설치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건식밸브 역시 첵크밸브의 일종이면서 클래퍼의 좌대에 물의 유출구가 있다는 점은 알람첵크밸브의 경우와 같으나, 클래퍼의 구조와 기능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정상시의 시스템을 보면 클래퍼의 하부면까지는 가압된 물이 채워져 있고, 상부쪽에는 클래퍼의 윗표면이 조금 잠길 정도로만 물이 채워져 있는데 상부측 전배관에는 압축공기(공기압의 크기는 클래퍼 하부측 수압의 약 1/4 - 1/5 정도)가 채워져 있다.
클래퍼 하부측의 높은 수압에도 평시 클래퍼가 열리지 않는 것은 클래퍼의 구조적 특징, 즉, 클래퍼는 상부면의 면적이 물과 접촉하고 있는 하부면의 면적보다 월등히 크도록 만들어져 있어, 상부측 공기압이 하부측 수압보다 비록 작지만 상하부면에 대해 상호 미치는 전체의 힘은 상부면이 더 크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화재시 헤드가 개방되면 배관내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공기압이 감소하면서 결국 클래퍼 하부면에 미치느 힘이 상부면에 미치는 힘보다 크게 되어 열리게 되고, 배관내로 물이 흘러들게 되는 것이며, 이때부터는 유수검지 및 경보의 기능이 알람첵크밸브의 경우와 같다.
이 시스템은 드라이밸브 이후의 배관에 믈이 없다는 점에서 추운 기후에 적합하지만, 압축공기의 유출에 뒤따라 물이 흐르므로 살수되는데까지의 경과시간이 타 설비보다 상당히 늦다는 점과, 이로 인해 헤드의 개방개수가 다소 많아진다는 약간의 결점이 있다.
한편, 첨부 도면 도 1은 종래의 스프링 클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스프링 클러(100)는 헤드부(110)와 몸체부(120) 및 연결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110)는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기 위한 감열판(111), 중간감열판(112), 상부감열판(113), 균형체(114) 및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볼(115)이 안착된 협지판(116)으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20)에는 본체(121) 내부에 디프렉터(122)가 내설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헤드부(110)의 감열판(111)은 링형태의 휴즈(117)가 끼워진 피스톤(118)에 의해 협지판(116)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121)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협지홈(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0)는 중앙에 유입구(131)가 형성된 연결체(132)와 외주면에 오링(133)이 결합된 플랜저(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21)에 내설된 디프렉터(122)는 고정볼트(124)에 의해 플랜저(134)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20)의 본체(121) 하단부에는 헤드부(110)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연결부(130)가 결합되어 스프링 클러(100)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110)는 본체(121)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협지홈(123)에 협지판(116)이 볼(11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플랜저(134)는 유입구(131)에 끼워져 폐쇄된 상태로 연결체(132)에 결합되며, 상기 디프렉터(122)는 고정볼트(124)에 의해 플랜저(134)와 연결된 상태로 본체(121)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재발생으로 인해 고열이 감열판(111)에 가해지게 되면, 휴즈(117)가 녹게 되고, 이로 인해 감열판(111)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볼(115)에 의해 고정되어진 협지판(116)이 본체(121)로부터 분리되면서, 헤드부(110) 전체가 몸체부(120)에서 분리·이탈된다.
상기 헤드부(110)가 몸체부(120)로부터 분리·이탈됨에 따라, 디프렉터(122)의 지지가 해제되어 하강되되, 수압에 의해 플랜저(134)가 하강 즉, 개방되면서, 연결체(132)의 유입구(131)를 통해 소정 압력의 수압을 갖는 소화수가 공급·분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 클러는 여러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작 및 조립성이 떨어지는 폐단을 갖고 있으며, 특히, 화재발생으로 인해 헤드부가 분리·이탈됨에 따라, 디프렉터의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소화수의 수압에 의해 하강 이동되는 과정에서, 디프렉터에 가해지는 수압이 전면에 걸쳐 고르게 가해지지 않고 일부위에 편중되게 가해지게 되거나, 또는 디프렉터가 균형을 잃고 일측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게 되면, 정상적인 하강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몸체부의 본체 내부에 뒤틀어진 상태로 끼게 되어 작동 불량을 유발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디프렉터가 정상적으로 하강 이동되어 본체 하방으로 드러나지 못하고, 본체 내부에 작동 불량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소정 압력으로 분사되는 소화수의 분사효율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스프링 클러에 의한 화재 진화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프링 클러 헤드의 부품수를 최대한 줄여 간편한 구조를 갖도록 하며,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하여 편리함을 제공하고, 스프링 클러의 작동 불량과 이로 인해 진화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스프링 클러 작동시 하강 이동되는 디프렉터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하강을 도모하여, 디프렉터의 흔들림과 떨림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고, 연결체의 유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플랜저의 안정된 고정과 밀폐력을 높임으로써, 소화수 분사에 따른 분사효율과 화재 진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재발생시 감지되는 열에 의해 헤드가 분리되고 디프렉터를 통해 소정의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스프링 클러에 있어서, 외측방으로는 고정축이 돌출되고, 내측방으로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육각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의 리이브가 형성되되, 리이브 중 일부위가 연장되게 돌출되어 연결편이 형성되고, 연결편에는 링형태의 스토퍼가 형성되며, 밀폐를 위한 가스켓이 구비된 디프렉터캡이 결합된 디프렉터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디프렉터에 가압에 의한 반발력을 부여하도록 몸체에 내설되는 코일스프링과;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관형태로 일측부위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과;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볼이 안착되는 홀더와; 홀더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에 볼이 지지되는 가이드판과;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어 가이드핀과 휴즈가 결합된 헤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1)는 외측방으로 고정축(11)이 돌출되고, 내측방으로는 유입구(12)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부(13)가 형성된 몸체(10)와;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의 리이브(21)가 형성되되, 리이브(21) 중 일부위가 연장되게 돌출되어 연결편(22)이 형성되고, 연결편(22)에는 링형태의 스토퍼(23)가 형성되며, 디프렉터캡(25)이 결합된 디프렉터(20)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디프렉터(20)에 반발력을 부여하도록 몸체(10)에 내설되는 코일스프링(30)과;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태로 일측부위 외주면에 나사부(41)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된 하우징(40)과;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안착홈(51)이 형성되어 볼(52)이 안착되는 홀더(50)와; 홀더(5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에 볼(52)이 지지되는 가이드판(53)과; 중앙에 축공(61)이 형성되어 가이드핀(62)과 휴즈(63)가 결합되는 헤드 플레이트(60)로 구성된다.
이때, 디프렉터(20)에는 밀폐를 위한 가스켓(24)이 구비된 디프렉터캡(25)이 결합되고, 유입구(12)의 내주면에는 수분에 의해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테프론 코팅층(15)이 형성된다.
또한, 코일스프링(3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디프렉터(20)에 반발력을 부여하도록 몸체(10)에 내설되고, 하우징(40)은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태로 일측부위 외주면에는 나사부(41)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된다.
홀더(50)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안착홈(51)이 형성되어 볼(52)이 안착되고, 가이드판(53)은 홀더(5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에 볼(52)이 지지되게 이루어지며, 헤드 플레이트(60)는 중앙에 축공(61)이 형성되어 가이드핀(62)과 휴즈(63)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가이드핀(62)에는 전방으로 일부위가 돌출되도록 스크류(64)가 결합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몸체(10)와 하우징(40)이 나사방식에 의해 결합되되, 디프렉터(20)가 코일스프링(30)에 의해 반발력을 갖도록 결합되고, 디프렉터캡(25)에 의해 유입구(12)가 폐쇄되게 결합되며, 디프렉터(20) 하방에는 홀더(50)와 가이드판(53)이 가이드핀(62)과 스크류(64)에 의해 지지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가이드판(53)의 하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가이드핀(62)에 의해 휴즈(63)와 헤드 플레이트(60)가 결합된다.
이때, 홀더(50)의 안착홈(51)에 위치되는 볼(52)은 일부위가 하우징(40)에 형성된 걸림턱(42)과 가이드판(53)의 상단부에 거치되어 지지되게 결합된다.
코일스프링(30)에 의해 반발력을 갖도록 결합된 디프렉터(20)의 스토퍼(23)는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외경이 하우징(40)의 내경보다는 작고, 걸림턱(42)의 직경보다는 크게 이루어진다.
헤드 플레이트(60)에 형성된 축공(61)에 가이드핀(62)으로 결합된 휴즈(63)는 열에 대한 용융점이 낮은 납(Pb)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플래시형 스프링 클러(1)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로 인한 고열이 헤드 플레이트(60)에 가해지게 되고, 고열에 의해 퓨즈(63)가 녹아내리게 됨에 따라, 가이드판(53)이 하강되며, 이로 인해 가이드판(53)에 의한 볼(52)의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볼(52)이 구륜되면서 하강 이탈되고, 볼(52)이 하강 이탈되므로, 홀더(50)의 지지가 해제되어 가이드핀(62)에 의해 결합된 헤드 플레이트(60), 가이드판(53), 홀더(50)가 함께, 하강되어 하우징(40)으로부터 완전 이탈된다.
따라서, 가이드핀(62)이 하강 이탈되면, 스크류(64)에 의한 디프렉터(20)의 지지가 해제되므로, 디프렉터(20)가 하강 이동되어 몸체(10)의 유입구(12)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디프렉터(20)는 코일스프링(30)에 의해 반발력을 갖도록 결합된 상태이므로, 코일스프링(30)의 반발력에 의해 급하강되며, 급하강되는 과정에서, 하우징(40)에 형성된 걸림턱(42)에 스토퍼(23)가 걸려 구속되므로, 디프렉터(20)는 하우징(40) 하방으로 리이브(21)가 드러나진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몸체(10)의 유입구(12)를 통해 공급된 소화수는 디프렉터(20)의 리이브(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확산되며 분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0)에 의해 반발력을 갖는 디프렉터(20)가 몸체(10)에 내설되되, 디프렉터캡(25)에 의해 몸체(10)에 형성된 유입구(12)가 폐쇄되게 결합되며, 다수개의 볼(52)이 안착홈(51)에 위치되는 홀더(50)와, 가이드판(53)이 가이드핀(62)에 의해 하우징(40) 내부에 위치되어 디프렉터(20)를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가이드핀(62)에 의해 하우징(4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휴즈(63)가 내설된 헤드 플레이트(6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1)를 이용하게 되면, 초기 화재 진화가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1)는 첨부 도면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으로 인한 고열이 헤드 플레이트(60)에 가해져 가열되면, 고열에 의해 휴즈(63)가 녹아내리게 되어 가이드판(53)이 하강 이동되고, 가이드판(53)이 하강 이동됨에 따라, 볼(52)의 지지가 해제됨과 동시에, 홀더(50)의 지지가 해제되어 하강 이동된다.
이과정에서, 볼(52)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하우징(40)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판(53), 홀더(50) 및 헤드 플레이트(60)는 가이드핀(62)에 끼워진 상태로 함께 연동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볼(52)에 의한 지지가 해제됨과 동시에, 이들 모두가 하우징(40)으로부터 동시에 하강 이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재 발생으로 인해 헤드 플레이트(60)에 고열이 가해져 퓨즈(63)가 녹아내리고, 가이드판(53), 홀더(50) 및 가이드핀(62)이 하강 이탈됨에 따라, 가이드핀(62)의 스크류(64)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디프렉터(20)의 지지가 해제되어 하강 이탈되고, 디프렉터(20)가 하강 이탈되므로서, 디프렉터캡(25)이 분리되어 유입구(12)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때, 디프렉터(20)는 코일스프링(30)의 반발력에 의해 급하강되어 유입구(12)가 신속하게 개방되며, 하강 이탈된 상태에서, 스토퍼(23)가 하우징(40)에 형성된 걸림턱(42)에 걸려 구속된 상태, 즉, 리이브(21)가 형성된 부분이 하우징(40)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유입구(12)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가 리이브(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확산되며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몸체(10)에 형성된 유입구(12) 내주면에는 테프론 코팅층(1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화수 즉, 수분에 의한 녹이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를 이용함에 따라, 초기 화재진화를 위해 사용되는 스프링 클러 헤드의 구성을 간편화하여 제작 및 조립·설치가 용이하며, 작동 불량을 최소화하고 진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스프링 클러 헤드의 작동시 하강 이동되는 디프렉터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하강 이동을 도모하며, 디프렉터의 흔들림과 떨림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고, 플랜저에 의한 유입구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스프링 클러의 소화수 분사에 따른 분사효율과 화재 진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 클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프링 클러 헤드 10:몸체
12:유입구 20:디프렉터
21:리이브 22:연결편
23:스토퍼 24:가스켓
30:코일스프링 40:하우징
50:홀더 60:헤드 플레이트

Claims (3)

  1. 화재발생시 감지되는 열에 의해 헤드가 분리되고 디프렉터를 통해 소정의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스프링 클러에 있어서,
    외측방으로 고정축(11)이 돌출되고, 내측방으로는 유입구(12)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부(13)가 형성된 몸체(10)와;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의 리이브(21)가 형성되되, 리이브(21) 중 일부위가 연장되게 돌출되어 연결편(22)이 형성되고, 연결편(22)에는 링형태의 스토퍼(23)가 형성되며, 디프렉터캡(25)이 결합된 디프렉터(20)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디프렉터(20)에 반발력을 부여하도록 몸체(10)에 내설되는 코일스프링(30)과;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태로 일측부위 외주면에 나사부(41)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된 하우징(40)과;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안착홈(51)이 형성되어 볼(52)이 안착되는 홀더(50)와;
    홀더(5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단부에 볼(52)이 지지되는 가이드판(53)과;
    중앙에 축공(61)이 형성되어 가이드핀(62)과 휴즈(63)가 결합되는 헤드 플레이트(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에 형성된 유입구(12)의 내주면에는 수분에 의해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테프론 코팅층(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디프렉터(20)에 결합되는 디프렉터캡(25)에는 밀폐를 위한 가스켓(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KR20-2005-0015670U 2005-06-01 2005-06-01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KR200394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670U KR200394312Y1 (ko) 2005-06-01 2005-06-01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670U KR200394312Y1 (ko) 2005-06-01 2005-06-01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312Y1 true KR200394312Y1 (ko) 2005-08-31

Family

ID=4369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670U KR200394312Y1 (ko) 2005-06-01 2005-06-01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3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931B1 (ko) 2009-03-04 2010-01-21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퓨즈형 스프링클러
KR200450559Y1 (ko) * 2008-04-03 2010-10-12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내외관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 헤드
KR20180022505A (ko) * 2016-08-24 2018-03-06 박미순 휴즈 용융형 스프링클러 헤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59Y1 (ko) * 2008-04-03 2010-10-12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내외관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 헤드
KR100937931B1 (ko) 2009-03-04 2010-01-21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퓨즈형 스프링클러
KR20180022505A (ko) * 2016-08-24 2018-03-06 박미순 휴즈 용융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92285B1 (ko) * 2016-08-24 2020-12-17 박미순 휴즈 용융형 스프링클러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0583A (en) Quick response automatic fire sprinkler head
US5188185A (en) Dry sprinkler
KR200394312Y1 (ko)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KR20190141539A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JP6013900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システム
AU2002345115A1 (en) Sprinkler
EP1404418A1 (en) Sprinkler
KR101058570B1 (ko) 소방용 관창
KR200403462Y1 (ko)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JP4302125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具
KR101194739B1 (ko) 스프링클러
KR101841224B1 (ko)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JP608763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431866Y1 (ko) 스프링클러 헤드 마감링
JP3651533B2 (ja) 消火設備
US20080066933A1 (en) Rotary fire sprinkler
KR100456071B1 (ko)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CN105963887A (zh) 一种消防用喷淋装置
CN111336255A (zh) 一种多功能阀门结构
KR20200015430A (ko) 화재 진압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57664B1 (ko) 스프링클러용 다목적 커넥터
KR102672301B1 (ko)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US10357674B2 (en) Automatically deployed fire suppression sprinkler
KR0133531Y1 (ko) 자동 배수 밸브
KR101537108B1 (ko) 플랜저 일체형 스프링쿨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