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301B1 -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2301B1 KR102672301B1 KR1020230035884A KR20230035884A KR102672301B1 KR 102672301 B1 KR102672301 B1 KR 102672301B1 KR 1020230035884 A KR1020230035884 A KR 1020230035884A KR 20230035884 A KR20230035884 A KR 20230035884A KR 102672301 B1 KR102672301 B1 KR 102672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fire
- pipe
- fighting
- b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배관(110); 상기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이 이루어진 후 상기 소방배관(110) 내의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소방배관(110)에 설치되는 바이패스파이프(130);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설치되고, 상기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의 완료 후 상기 소방배관(110) 내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부재(150);를 마련하여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소방배관의 수압시험 후 소방배관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핸들의 회전에 의해 간편한 조작에 의해 소화용수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소방배관의 소화용수 배출을 스크링클러 헤드의 분리 및 재조립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설치된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에 의해 소방배관 내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화재통보와 소화가 발화 초기에 동시에 행해지는 자동소화설비로, 물을 분무상(噴霧狀)으로 방사시키므로 화재 진압에 효과가 크고, 화재 발견이나 소화활동이 곤란한 지하 건축물이나 가연물이 많고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부분에 적합하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설비의 특성에 따라 습식 스프링클러, 부압식 스프링클러, 건식 스프링클러,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로 나뉜다.
습식 스프링클러는 가압송수장치(소화펌프 등)에서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 스프링클러가 개방되면 배관 내에 유수가 발생하면 습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여 개방된 헤드를 통해 즉시 물이 방수되는 설비이다.
부압식 스프링클러는 가압송수장치에서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의 1차측까지는 항상 정압의 물이 가압되고, 2차측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소화용수가 부압으로 되어 있다가 화재 시 감지기의 동작에 의해 정압으로 변하여 유수가 발생하면 작동하는 스프링클러 설비로, 비화재 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으로 인한 소손을 방지한다.
또한 건식스프링클러는 압축공기 또는 질소가 들어있는 배관에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시스템으로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어 압축공기가 방출되면 수압에 의해 건식유수 검지장치가 개방되고, 배관 내로 소화용수가 흘러 개방된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하여 물이 방사된다.
이러한 건식스프링클러는 건물 내의 방호구역 실내온도를 4℃ 이상으로 유지할 수 없는 장소에 제한적으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프링클러 설비는 가격이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은 습식 설비이다. 그러나 습식 스프링클러는 동절기 동파의 위험이 있는 곳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건식설비 부압식 설비이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습식설비의 폐쇄형 헤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데 되도록 상향형 헤드를 사용해야 하고, 하향형 헤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드라이펜던트 헤드를 설치한다.
또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에는 배관 내에 물이 없기 때문에 하향형 헤드 설치 시 일단 작동되어 급수가 되면 하향형 헤드 내에 물이 들어가 배수를 시키더라도 물이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작동이 된 이후에는 2차측 배관 내의 물을 완전히 배출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제 건축현장에서는 천장에 반자(행거)를 설치하여 인테리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하향식으로 헤드를 설치하게 되면 스프링클러의 설치 작업 후 수압성능시험 과정에서 수압검사를 통해 성능검사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소방배관의 수압성능검사에서 수압시험 후 배수를 위해 스프링클러 헤드를 일일이 분리 후 재조립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프링클러 헤드를 배관에서 해체 후 재조립을 위한 공수가 늘어나게 되고, 이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각각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리 및 재조립에 따른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준공 단계에서 준공 기일을 맞추기 위하여 스프링클러의 수압성능검사 공정에서 수압검사를 실시하여 충분한 성능검사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스프링클러의 수압성능시험검사를 실시하지 못하거나 단축 검사를 실시함에 따라 스프링클러의 성능검사를 제대로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수압검사 대신에 공기압으로 대체하여 수압성능시험검사를 실시하여 실제적인 스프링클러의 성능을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는 흡수배관 및 개폐밸브가 설치된 방수배관이 펌프 및 물탱크에 연결되어서 상기 펌프의 작동에 따라 물탱크에 있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는 소방수 배수 시스템에서의 배관 내의 잔여 에어를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흡수배관 및 상기 방수배관에는 상기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흡수배관 및 상기 방수배관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유지되게 하며, 상기 펌프가 작동할 때에는 상기 흡수배관 및 상기 방수배관 내부의 잔여 에어가 에어 배출관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 후에 소방수 배관을 통해서 유동하는 소방수의 가압력에 의해 폐쇄되는 에어 배출기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 배출기는 내부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소방수 배관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대향되는 타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흡수배관 및 상기 방수배관 내의 에어가 내부 통과 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 배출부와, 중앙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흡수배관 및 상기 방수배관 내부에 있는 에어가 배출되게 하는 에어 배출관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갖는 블럭과, 상기 블럭의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서 제2 연결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포핏과, 상기 블럭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포핏의 하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포핏의 상하이동을 조장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건축물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건축물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는 내측에 설치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상면 중심 부위에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과 인접한 상면에는 복수개의 거치공이 형성되며, 상측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한 쌍의 고정판이 마주보게 돌출 설치되고, 하단에는 복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과 인접한 하단에는 복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고정하우징과,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어 천장에 설치되는 배관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거치공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하우징의 상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판이 마주보게 돌출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기 배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물이 내측으로 유입되게 조절하는 조절손잡이가 구비된 연결관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하단에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분기관으로 구성된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단이 상기 배출공에 결합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마주보게 돌출 구비되며 상기 볼트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배출관의 하단에 연결되어 건축물에 화재 발생 시,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물을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스프링클러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하우징의 연결공에 복수개 설치되는 스프링클러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에 설치된 소방배관의 수압시험 후 소방배관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방배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의 분해 또는 재조립하는 공정 없이 소방배관의 소화용수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배관(110); 상기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이 이루어진 후 상기 소방배관(110) 내의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소방배관(110)에 설치되는 바이패스파이프(130);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설치되고, 상기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의 완료 후 상기 소방배관(110) 내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밸브부재(150)는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개폐유닛(161)이 설치되게 볼수납공간부(153)와 수납공간부(154, 155)가 형성된 밸브바디유닛(151);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부(1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개폐유닛(161);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에 설치되는 밸브스템유닛(1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에는 내부에 설치된 볼밸브(16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볼밸브(162)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밸브스템유닛(171)이 설치되게 'ㅗ'자 형상으로 밸브바디본체(15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중앙에는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구(球) 형상으로 볼수납공간부(153)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를 통해 유입된 소화용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에 제1 패킹재(165)가 설치되게 상기 볼수납공간부(153)의 일측에 제1 수납공간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를 통해 유입된 소화용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에 제2 패킹재(166)가 설치되게 상기 볼수납공간부(153)의 타측에 제2 수납공간부(155)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와 연결 설치되게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일측에 제1 연결본체(156)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본체(152)를 통과한 소화용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상기 제1 연결본체(156)와 대칭되게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타측에 제2 연결본체(157)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에 나사산(15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에는 밸브바디본체(152)의 내부에 형성된 볼수납공간부(153)에 대응되는 크기로 볼밸브(16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유로를 통해 유입된 소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볼밸브(162)에 유로(163)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이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유로(163)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볼밸브(162)에 체결구멍(164)이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의 일측면에 제1 패킹재(165)가 밀착 설치되며, 상기 제1 패킹재(165)는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제1 수납공간부(154)에 수납되게 설치되고,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의 타측면에 제2 패킹재(166)가 밀착 설치되며, 상기 제2 패킹재(166)는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제2 수납공간부(155)에 수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패킹재(165)와 상기 제2 패킹재(166)의 일면에는 상기 볼밸브(162)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게 반구(半球) 형상의 밸브안착면(16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에는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밸브스템본체(17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스템본체(172)가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에 형성된 체결구멍(164)에 체결되게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의 하부에 체결나사부(17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제1 패킹링(168)이 밸브바디본체(152)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게 상기 제1 패킹링(168)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에 패킹안착돌기(17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에 형성된 밸브스템공간부(158)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와 상기 밸브스템공간부(158)에 제3 패킹재(175)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스템본체(172)가 상기 밸브스템공간부(158)의 나사산(159)에 안정되게 결합되게 상기 나사산(159)에 고정너트(177)가 체결되고, 상기 볼밸브(16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에 핸들(17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의 제2 연결본체(157)에는 배출호스가 연결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니플(1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에 의하면,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소방배관의 수압시험 후 소방배관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핸들의 회전에 의해 간편한 조작으로 소화용수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소방배관의 소화용수 배출을 스크링클러 헤드의 분리 및 재조립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건물에 설치된 수천 개의 스프링클러 해드에서 소화용수를 배출시키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소화용수의 배출 후 핸들을 이용하여 소방배관을 폐쇄 상태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으며, 소수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수압시험 후 소화용수의 배출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가 소방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의 밸브바디유닛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의 밸브바디유닛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배관(110)과, 상기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이 이루어진 후 상기 소방배관(110) 내의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소방배관(110)에 설치되는 바이패스파이프(130)와,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설치되고, 상기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의 완료 후 상기 소방배관(110) 내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가 소방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는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이 완료된 후 소방배관(110)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소방배관(110)에 바이패스파이프(130)를 연결 설치한다.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는 소방배관(110)과 동일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방배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소방배관(110)의 최하단에는 소화용수를 방사형으로 살수가 이루어지도록 스프링클러 헤드(111)가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는 소방배관(110)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개폐밸브부재(150)가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의 밸브바디유닛 단면도이다.
상기 개폐밸브부재(150)는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개폐유닛(161)이 설치되게 볼수납공간부(153)와 수납공간부(154, 155)가 형성된 밸브바디유닛(151)과,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부(1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개폐유닛(161)과,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에 설치되는 밸브스템유닛(171)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은 바이패스파이프(130)를 통해 유입된 소화용수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의 전체적인 형상은 'ㅗ'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에는 내부에 설치된 볼밸브(16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볼밸브(162)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밸브스템유닛(171)이 설치되게 'ㅗ'자 형상으로 밸브바디본체(15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중앙에는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구(球) 형상으로 볼수납공간부(153)가 형성된다.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를 통해 유입된 소화용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에 제1 패킹재(165)가 설치되게 상기 볼수납공간부(153)의 일측에 제1 수납공간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를 통해 유입된 소화용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에 제2 패킹재(166)가 설치되게 상기 볼수납공간부(153)의 타측에 제2 수납공간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와 연결 설치되게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일측에 제1 연결본체(156)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본체(152)를 통과한 소화용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상기 제1 연결본체(156)와 대칭되게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타측에 제2 연결본체(157)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에 나사산(159)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에는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볼수납공간부(153)가 형성되고, 상기 볼수납공간부(153)의 일측에는 제1 패킹재(165)가 설치될 수 있게 제1 수납공간부(154)가 형성된다.
또 상기 볼수납공간부(153)의 타측에는 제2 패킹재(165)가 설치될 수 있게 제2 수납공간부(155)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부(154, 155)에 설치되는 제1 패킹재(165)와 제2 패킹재(166)는 볼밸브(162)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소화용수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상부에는 밸브스템유닛(171)이 설치될 수 있게 밸브스템공간부(158)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스템공간부(158)에는 밸브스템유닛(171)이 안정되게 결합되게 나사산(159)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159)에는 밸브스템유닛(171)의 고정너트(177)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너트(177)의 내측에는 밸브스템본체(17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일측에는 바이패스파이프(130)와 연결되게 제1 연결본체(155)가 일체로 형성되고, 밸브바디본체(152)의 타측에는 배출호스(미도시)와 연결되게 제2 연결본체(156)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밸브스템공간부(158)의 내면에는 밸브스템유닛(171)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177)가 체결되게 나사산(159)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에는 밴브바디본체(152)의 내부에 형성된 볼수납공간부(153)에 대응되는 크기로 볼밸브(16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본체(153)의 유로를 통해 유입된 소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볼밸브(162)에 유로(163)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이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유로(163)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볼밸브(162)에 체결구멍(164)이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의 일측면에 제1 패킹재(165)가 밀착 설치되며, 상기 제1 패킹재(165)는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제1 수납공간부(154)에 수납되게 설치된다.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의 타측면에 제2 패킹재(166)가 밀착 설치되며, 상기 제2 패킹재(166)는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제2 수납공간부(155)에 수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패킹재(165)와 상기 제2 패킹재(166)의 일면에는 상기 볼밸브(162)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게 반구(半球) 형상의 밸브안착면(167)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은 바이패스파이프(130)를 통해 유입된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볼수납공간부(153)에 회전 가능하게 볼밸브(162)가 결합된다.
상기 볼밸브(162)는 전체적인 형상이 구형(球形)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162)에는 바이패스파이프(130)를 통해 유입된 소화용수가 지나는 유로(16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로(163)는 볼밸브(162)의 양단을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볼밸브(162)에는 밸브스템유닛(171)의 조작에 의해 볼수납공간부(15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게 체결구멍(16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멍(164)은 밸브스템유닛(171)이 결합되게 상기 유로(163)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볼밸브(162)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밸브(162)의 양측에는 각각 제1 패킹재(165)와 제2 패킹재(16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패킹재(165)와 제2 패킹재(166)는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패킹재(165)는 밸브바디본체(152)의 제1 수납공간부(154)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패킹재(166)는 밸브바디본체(152)의 제2 수납공간부(155)에 설치된다.
이들 제1 패킹재(165)와 제2 패킹재(166)는 볼밸브(162)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밸브(162)의 회전 동작 시 소화용수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 패킹재(165)와 제2 패킹재(166)의 일면에는 구(球) 형상의 볼밸브(162)에 밀착 설치될 수 있게 구(球) 형상의 밸브안착면(167)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안착면(167)은 볼밸브(162)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구(球)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패킹재(165, 166)는 볼밸브(162)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소화용수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또 상기 밸브스템공간부(158)에는 소화용수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패킹링(168)이 설치된다. 상기 제1 패킹링(168)은 밸브스템공간부(158)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에는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밸브스템본체(17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스템본체(172)가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에 형성된 체결구멍(164)에 체결되게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의 하부에 체결나사부(17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제1 패킹링(168)이 밸브바디본체(152)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게 상기 제1 패킹링(168)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에 패킹안착돌기(17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에 형성된 밸브스템공간부(158)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와 상기 밸브스템공간부(158)에 제3 패킹재(175)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스템본체(172)가 상기 밸브스템공간부(158)의 나사산(159)에 안정되게 결합되게 상기 나사산(159)에 고정너트(177)가 체결되고, 상기 볼밸브(16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에 핸들(178)이 설치된다.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밸브바디유닛(151)의 볼밸브(162)를 회전시킨다.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의 밸브스템본체(172)는 볼밸브(162)에서부터 밸브스템공간부(158)에 설치될 수 있게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의 최하단에는 볼밸브(162)의 체결구멍(164)에 체결되는 체결나사부(17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나사부(173)는 체결구멍(164)에 체결된 상태에서 핸들(178)의 회전에 의해 볼밸브(162)를 90°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의 소정 높이에는 제1 패킹링(168)을 가압하는 패킹안착돌기(17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패킹안착돌기(174)의 상부에는 소화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제3 패킹재(175)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의 상단에는 핸들(178)을 결합시킬 수 있게 핸들결합부(176)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본체(172)가 중앙에 결합되고, 밸브바디본체(152)의 나사산(159)에 고정너트(177)가 체결된다.
상기 핸들결합부(176)에는 밸브스템본체(172)와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를 회전시키는 핸들(178)이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의 제2 연결본체(157)에는 배출호스를 보다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니플(16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는 소방배관(110)에 스프링클러 헤드(111)를 설치하고, 상기 소방배관(110)에는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 완료 후 소방배관(110) 내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바이패스파이프(130)를 연결 설치한다.
상기 소방배관(110)에 스프링클러 헤드(111)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압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압시험이 완료된 후 소방배관(110) 내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수압시험이 끝난 상태에서 개폐밸브부재(150)에 설치된 밸브스템유닛(171)의 핸들(178)을 잡고서 회전시킨다.
상기 핸들(178)은 밸브스템본체(172)를 회전시킴과 함께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볼밸브(162)의 유로(163)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 연결본체(156)와 제2 연결본체(157)와 일치되게 회전되며, 이에 상기 소방배관(110)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는 유로(16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소화용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핸들(178)을 원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볼밸브(162)의 유로(163)가 연결본체(156, 157)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재 발생 시 소방배관(110)에 공급된 소화용수가 개폐밸브부재(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폐쇄시킨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소방배관 111: 스프링클러 헤드
130: 바이패스파이프
150: 개폐밸브부재 151: 밸브바디유닛
152: 밸브바디본체 153: 볼수납공간부
154: 제1 수납공간부 155: 제2 수납공간부
156: 제1 연결본체 157: 제2 연결본체
158: 밸브스템공간부 159: 나사산
160: 니플
161: 밸브개폐유닛 162: 볼밸브
163: 유로 164: 체결구멍
165: 제1 패킹재 166: 제2 패킹재
167: 밸브안착면 168: 제1 패킹링
171: 밸브스템유닛 172: 밸브스템본체
173: 체결나사부 174: 패킹안착돌기
175: 제3 패킹재 176: 핸들결합부
177: 고정너트 178: 핸들
130: 바이패스파이프
150: 개폐밸브부재 151: 밸브바디유닛
152: 밸브바디본체 153: 볼수납공간부
154: 제1 수납공간부 155: 제2 수납공간부
156: 제1 연결본체 157: 제2 연결본체
158: 밸브스템공간부 159: 나사산
160: 니플
161: 밸브개폐유닛 162: 볼밸브
163: 유로 164: 체결구멍
165: 제1 패킹재 166: 제2 패킹재
167: 밸브안착면 168: 제1 패킹링
171: 밸브스템유닛 172: 밸브스템본체
173: 체결나사부 174: 패킹안착돌기
175: 제3 패킹재 176: 핸들결합부
177: 고정너트 178: 핸들
Claims (6)
-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배관(110);
상기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이 이루어진 후 상기 소방배관(110) 내의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소방배관(110)에 설치되는 바이패스파이프(130);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설치되고, 상기 소방배관(110)의 수압시험의 완료 후 상기 소방배관(110) 내에 남아있는 소화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밸브부재(150)는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개폐유닛(161)이 설치되게 볼수납공간부(153)와 제1, 제2 수납공간부(154, 155)가 형성된 밸브바디유닛(151)와,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수납공간부(1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개폐유닛(161)와,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에 설치되는 밸브스템유닛(171);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에는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밸브스템본체(17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스템본체(172)가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에 형성된 체결구멍(164)에 체결되게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의 하부에 체결나사부(17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제1 패킹링(168)이 밸브바디본체(152)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게 상기 제1 패킹링(168)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에 패킹안착돌기(17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에 형성된 밸브스템공간부(158)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와 상기 밸브스템공간부(158)에 제3 패킹재(175)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스템본체(172)가 상기 밸브스템공간부(158)의 나사산(159)에 안정되게 결합되게 상기 나사산(159)에 고정너트(177)가 체결되고,
상기 볼밸브(16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밸브스템본체(172)에 핸들(17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에는 내부에 설치된 볼밸브(16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볼밸브(162)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밸브스템유닛(171)이 설치되게 'ㅗ'자 형상으로 밸브바디본체(15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중앙에는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의 볼밸브(1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구(球) 형상으로 볼수납공간부(153)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를 통해 유입된 소화용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에 제1 패킹재(165)가 설치되게 상기 볼수납공간부(153)의 일측에 제1 수납공간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를 통해 유입된 소화용수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에 제2 패킹재(166)가 설치되게 상기 볼수납공간부(153)의 타측에 제2 수납공간부(155)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파이프(130)와 연결 설치되게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일측에 제1 연결본체(156)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본체(152)를 통과한 소화용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상기 제1 연결본체(156)와 대칭되게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타측에 제2 연결본체(157)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에 나사산(15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유닛(161)에는 밸브바디본체(152)의 내부에 형성된 볼수납공간부(153)에 대응되는 크기로 볼밸브(16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본체(152)의 유로를 통해 유입된 소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볼밸브(162)에 유로(163)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유닛(171)이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유로(163)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볼밸브(162)에 체결구멍(164)이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의 일측면에 제1 패킹재(165)가 밀착 설치되며, 상기 제1 패킹재(165)는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제1 수납공간부(154)에 수납되게 설치되고,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밸브바디본체(15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밸브(162)의 타측면에 제2 패킹재(166)가 밀착 설치되며, 상기 제2 패킹재(166)는 상기 볼밸브(162)와 상기 제2 수납공간부(155)에 수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패킹재(165)와 상기 제2 패킹재(166)의 일면에는 상기 볼밸브(162)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게 반구(半球) 형상의 밸브안착면(16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유닛(151)의 제2 연결본체(157)에는 배출호스가 연결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니플(1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5884A KR102672301B1 (ko) | 2023-03-20 | 2023-03-20 |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5884A KR102672301B1 (ko) | 2023-03-20 | 2023-03-20 |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2301B1 true KR102672301B1 (ko) | 2024-06-05 |
Family
ID=9147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5884A KR102672301B1 (ko) | 2023-03-20 | 2023-03-20 |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230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5944Y1 (ko) * | 2005-03-24 | 2005-06-03 | 서희식 | 동파방지용 밸브 |
KR20080006407U (ko) * | 2008-11-12 | 2008-12-18 |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 스프링클러 설비의 테스트 장치 |
KR101022496B1 (ko) | 2010-11-19 | 2011-03-16 | 홍창기 |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
KR102359476B1 (ko) | 2021-05-21 | 2022-02-09 | (주)명성하나엔지니어링 | 소방 배관 설치구조 |
KR102473827B1 (ko) | 2022-03-10 | 2022-12-02 | 홍천화 | 건축물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
-
2023
- 2023-03-20 KR KR1020230035884A patent/KR1026723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5944Y1 (ko) * | 2005-03-24 | 2005-06-03 | 서희식 | 동파방지용 밸브 |
KR20080006407U (ko) * | 2008-11-12 | 2008-12-18 |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 스프링클러 설비의 테스트 장치 |
KR101022496B1 (ko) | 2010-11-19 | 2011-03-16 | 홍창기 |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
KR102359476B1 (ko) | 2021-05-21 | 2022-02-09 | (주)명성하나엔지니어링 | 소방 배관 설치구조 |
KR102473827B1 (ko) | 2022-03-10 | 2022-12-02 | 홍천화 | 건축물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73695B2 (en) | Dry pipe/deluge valve for automatic sprinkler systems | |
RU2388510C2 (ru) | Клапан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истем пожаротушения | |
US20030075343A1 (en) | Dry sprinkler | |
US10201723B2 (en) | Dry pipe/deluge valve for automatic sprinkler systems | |
ES2940249T3 (es) | Montajes de válvulas de rociadores de acción previa, dispositivos rociadores secos relacionados, y mecanismo de activación compresivo | |
KR101662590B1 (ko) |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 |
KR102672301B1 (ko) |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 |
KR101200621B1 (ko) |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 | |
JPH02126864A (ja) | 爆発圧力開放装置 | |
US20190308046A1 (en) | Main valve with pressure relief valve having a lockout feature | |
KR102502989B1 (ko) | 소화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 |
JP7384590B2 (ja) | 流路切替弁及び消火栓 | |
JP2777823B2 (ja) | 安全弁付自動排水弁 | |
KR0133531Y1 (ko) | 자동 배수 밸브 | |
KR100281466B1 (ko) |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 |
KR200380097Y1 (ko) | 저압식 드라이 파이프 밸브 | |
KR102285097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감시 시스템 | |
KR20230105875A (ko) |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간이 급속살수유도장치 | |
JP2024011285A (ja) | キャップ、流路切替弁及び消火栓 | |
KR200400031Y1 (ko) | 소방용 연결송수구 | |
KR102285869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소방 작동 시스템 | |
KR20200028983A (ko) | 프리액션 스프링클러 밸브 어셈블리, 장거리 운행에 적응된 관련 건식 스프링클러 및 화재 방지 스프링클러 시스템 | |
KR102357412B1 (ko) | 스프링클러 | |
KR20180102393A (ko) | 소화장치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장치 | |
KR102275409B1 (ko)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대피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