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466B1 -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 Google Patents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466B1
KR100281466B1 KR1019980031533A KR19980031533A KR100281466B1 KR 100281466 B1 KR100281466 B1 KR 100281466B1 KR 1019980031533 A KR1019980031533 A KR 1019980031533A KR 19980031533 A KR19980031533 A KR 19980031533A KR 100281466 B1 KR100281466 B1 KR 100281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ain body
disk
pip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273A (ko
Inventor
최용
Original Assignee
최용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filed Critical 최용
Priority to KR101998003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466B1/ko
Publication of KR1999002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466B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수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이 감지됨에 따라 관로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소방수가 스프링쿨러의 헤드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Dry pipe valve)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설치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드라이 파이프 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재진압 후 드라이 파이프 밸브의 재셋팅시 또는 이물질 제거작업시 본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해지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방수 공급관로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2차측 배관(3)의 압력변화로 인하여 액셜레이터(9)가 작동하여 중간챔버(14)내부에 2차측 압력이 작용됨에 따라 디스크가 개방되어 소방수를 스프링 쿨러 헤드(5)측으로 공급하도록 된 드라이 파이프 밸브에 있어서, 수직 또는 수평선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개폐구(27)가 형성된 본체(26)와, 2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본체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1차측 압력과 2차측 압력이 평형을 이룸에 따라 개폐구(27)를 폐쇄하는 디스크(28)와, 상기 본체(26)에 고정된 에어 시트링(31) 및 소방수 시트링(32)에 의해 본체(26)와 디스크(28)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챔버(14)와, 상기 디스크(28)의 로드(29)에 끼워져 디스크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 등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소방수를 자동으로 살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소방수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이 감지됨에 따라 관로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소방수가 스프링쿨러의 헤드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Dry pipe valv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쿨러설비는 화재발생시 소방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초기진압하는 설비로서, 화재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소화함과 동시에 경보기능을 가지므로 오동작하는 경우가 적어 백화점, 시장, 호텔, 병원 등 많은 사람이 밀집되는 대규모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 쿨러설비는 작동방법에 따라 습식(Wet system), 건식(Dry system), 일제살수식(一齊撒水式 : Deluge system)으로 대별되는데, 건식 스프링 쿨러설비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식 스프링 쿨러설비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펌프(1)의 구동으로 외부로부터 소방수가 유입되는 관로상에 1차측 배관(2)이 설치되어 있고 건물의 천정에는 2차측 배관(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2차측 배관(3)에 일정 간격으로 분지관(4)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지관상에는 복수개의 하향식 또는 상향식 스프링 쿨러 헤드(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차측 배관(2)과 2차측 배관(3)의 연결지점에는 1차측 배관과 2차측 배관내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음에 따라 이들 사이의 관로를 폐쇄하고, 화재 발생으로 2차측 배관(3)의 압력이 떨어짐에 따라 관로를 개방하여 스프링 쿨러 헤드(5)를 통해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드라이 파이프 밸브(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라이 파이프 밸브의 양단에는 유지 보수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1차측 개폐밸브(7) 및 2차측 개폐밸브(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측 배관(3)과 드라이 파이프 밸브(6)사이에는 화재 발생시 드라이 파이프 밸브에 2차측 압력을 가해 관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액셜레이터(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초기 설비시공 작업시 1차측 개폐밸브(7)를 잠근 상태에서 1차측 배관(2) 공사를 완료하고 나면 1차측 수압의 크기(Kg/cm2)에 따라 2차측 배관(3)에 압력을 가해 1차측 압력과 2차측 압력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 후, 폐쇄하였던 2차측 개폐밸브(8)를 개방하면 1차측 압력과 2차측 압력이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 드라이 파이프 밸브(6)가 관로를 폐쇄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2차측 배관(3)으로 소방수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공후 시일이 지나 2차측 배관(3) 및 분지관(4)의 연결부위 또는 스프링 쿨러 헤드(5)의 연결부위 틈새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 2차측 배관(3)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드라이 파이프 밸브(6)가 관로를 개방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2차측 배관(3)내의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떨어지면 콤프레셔(도시는 생략함)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2차측 배관(3)의 설정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 즉 스프링 쿨러설비의 시공을 완료한 상태에서 부주의 또는 누전 등으로 인해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하면 열에 의해 분지관(4)상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 헤드(5)가 터져 2차측 배관(3)내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액셜레이터(9)를 통해 2차측 압력이 드라이 파이프 밸브(6)측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드라이 파이프 밸브(6)에 의해 폐쇄되었던 관로가 개방되어 1차측 압력에 의해 소방수가 드라이 파이프 밸브(6) - 2차측 배관(3) - 분지관(4)을 통해 스프링 쿨러 헤드(5)로 고압 분사되므로 화재의 초기 진압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관로를 개방하는 드라이 파이프 밸브(6)는 통상의 상태에서 관로를 폐쇄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관로를 개방하여 소방수가 2차측 배관(3)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밸브로서, 화재진압 후에는 관로를 폐쇄하도록 재셋팅하는 구조를 갖어야 한다.
도 2는 종래의 드라이 파이프 밸브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종단면도로서, 1차측 배관(2)과 2차측 배관(3)에 수직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배관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개폐구(10)가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에 축(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초기 셋팅상태에서 개폐구를 폐쇄하는 디스크(13)와, 상기 본체의 개폐구상에 고정되며 디스크와의 사이에 중간챔버(14)를 형성하는 시트링(15)과, 상기 디스크의 저면에 고정되어 시트링과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16)과, 상기 디스크의 일측에 핀(1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 등으로 디스크가 회동하면 본체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걸림턱(18)에 걸려 디스크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래치(19)와, 상기 래치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 스프링(20)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보울트(21)로 고정되어 디스크의 셋팅작업시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덮개(22)와, 상기 본체와 덮개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가스켓(2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와 같이 초기 셋팅이 이루어지고 나면 디스크(13)와 개폐구(10)의 접속면에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본체(11)내에 일정량의 물(24)이 채워진다.
이 때, 물론 1차측 배관(2)내의 압력과 2차측 배관(3)내의 압력은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되어 스프링 쿨러 헤드(5)가 터져 2차측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2차측 압력이 액셜레이터(9)를 통해 순간적으로 대기압상태인 중간챔버(14)의 내부에 작용되어 디스크(13)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게 되므로 상기 디스크(13)는 축(12)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1차측 압력과 2차측 압력의 균형이 깨지게 되므로 1차측 배관(2)내에 있던 소방수가 개폐구(10)를 통해 2차측 배관(3)측으로 신속히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13)의 개방으로 소방수가 2차측 배관(3)측으로 공급되면 디스크(13)는 2차측 압력에 의해 도 3b와 같이 축(12)을 중심으로 완전히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소방수가 분지관(4)상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 헤드(5)를 통해 고압으로 분출되면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소방수를 살포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나면 드라이 파이프 밸브(6)의 재셋팅작업을 위해 1차측 배관(2)상에 설치된 1차측 개폐밸브(7)를 잠가 소방수가 2차측 배관(3)측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2차측 배관(3)상에 잔류하는 소방수를 드레인공(25)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시켜야 된다.
이와 같이 2차측 배관(3)내의 소방수를 드레인시킴에 따라 축(12)을 중심으로 회동되었던 디스크(13)가 자중에 의해 닫힐려고 하지만, 상기 디스크(13)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회동하는 래치(19)가 본체(11)내에 형성된 걸림턱(18)에 걸리게 되므로 개폐구(10)가 형성된 면에 부딪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만약, 디스크(13)에 일방향으로만 회동하는 래치(19)가 설치되지 않고 본체(11)내에 걸림턱(18)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1차측 개폐밸브(7)를 잠그는 순간 디스크(13)가 자중에 의해 닫히면서 개폐구(10)가 형성된 면에 부딪히게 되므로 주철재로 된 디스크가 깨지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으로 화재를 진압하고 나면 도 3c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 디스크(13)를 초기 상태로 재셋팅하여야 다음 화재를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크(13)의 재셋팅을 위해서는 본체(11)로부터 덮개(22)를 분리하여야만 된다.
즉, 본체(11)에서 보울트(21)를 푼 다음 본체로부터 덮개(22) 및 가스켓(23)을 분리시키면 상기 덮개의 설치부위를 통해 본체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걸림턱(18)에 걸려 있던 래치(19)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래치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디스크(13)를 도 3a와 같이 초기화하고 본체(11)로부터 분리하였던 덮개(22)를 재결합하므로써, 재셋팅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드라이 파이프 밸브(6)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본체(11)의 개폐구(10)를 개폐하는 디스크(13)가 스윙타입이라 드라이 파이프 밸브(6)를 수평 배관상에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둘째, 1차측 수압에 의해 디스크(13)가 개방되고 나면 래치(19)가 걸림턱(18)에 걸려 초기 상태로 복원되지 않으므로 초기 셋팅을 위해서는 반드시 본체(11)로부터 덮개(22)를 분리시킨 다음 초기화하고 덮개(22)를 재결합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셋째, 배관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므로 인해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1)로부터 덮개(22)를 분리하여야만 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소방수를 공급하는 배관의 설치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드라이 파이프 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진압 후 드라이 파이프 밸브의 재셋팅시 본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셋팅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비 시공 후 또는 재셋팅 후 관로상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소방수 공급관로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2차측 배관의 압력변화로 인하여 액셜레이터가 작동하여 중간챔버내부에 2차측 압력이 작용됨에 따라 디스크가 개방되어 소방수를 스프링 쿨러 헤드측으로 공급하도록 된 드라이 파이프 밸브에 있어서, 수직 또는 수평선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개폐구가 형성된 본체와, 2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본체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1차측 압력과 2차측 압력이 평형을 이룸에 따라 개폐구를 폐쇄하는 디스크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에어 시트링 및 소방수 시트링에 의해 본체와 디스크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챔버와, 상기 디스크의 로드에 끼워져 디스크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식 스프링 쿨러설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드라이 파이프 밸브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종단면도로서,
도 3a는 디스크가 개폐구를 폐쇄한 상태도
도 3b는 화재발생으로 디스크가 개폐구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도
도 3c는 디스크가 자중에 의해 걸림턱에 걸린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디스크가 개폐구를 폐쇄한 상태도
도 4b는 화재발생으로 디스크가 개폐구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도
도 5는 2차측 압력에 의해 소방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드라이 파이프 밸브 9 : 액셜레이터
14 : 중간챔버 26 : 본체
27 : 개폐구 28 : 디스크
33 : 하우징 34 : 상부격실
35 : 하부격실 36 : 다이아프램
38 : 2차측 압력 공급공 40 : 체크밸브
41 : 이물질 제거용 배출공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2차측 압력에 의해 소방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1차측 배관(2)과 2차측 배관(3)사이에 설치되는 본체(26)에 수직 또는 수평선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α)로 기울어지게 개폐구(27)가 형성되어 있고 2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개폐구의 상측으로는 1차측 압력과 2차측 압력이 평형을 이룸에 따라 개폐구를 폐쇄하는 디스크(28)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26)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개폐구(27)를 수평 또는 수직선상으로부터 45°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1, 2차측 배관(2)(3)이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설치되더라도 드라이 파이프 밸브(6)를 호환성있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폐구(27)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28)의 로드(29)에는 1차측 배관(2) 및 2차측 배관(3)에 압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디스크(28)가 개폐구(27)를 폐쇄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0)가 끼워져 있다.
또한, 본체(26)에 형성된 개폐구(27)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에어 시트링(31) 및 소방수 시트링(32)이 나사 결합되어 본체(26)와 디스크(28)사이에 중간챔버(1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으로 디스크(28)가 상승하여 개폐구(27)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화재를 진압한 후, 2차측 배관(3)내의 소방수를 드레인시켜 본체(26)내에 압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상승하였던 디스크(28)가 탄성부재(30)의 복원력 및 디스크(28)의 자중에 의해 복원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로드(29)의 상측에 더 구비되어 있다.
상승하였던 디스크(28)의 복원을 제어하는 록킹수단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26)에 설치되어 통상의 상태에서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상태를 유지하는 하우징(33)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격실(34)과 하부격실(35)로 구획하며, 로드(29)의 상단이 고정되는 다이아프램(36)과, 상기 액셜레이터(9)의 배관(37)이 연결되어 화재발생시 2차측 압력이 하부격실(35)로 공급되도록 하우징(33)에 형성된 2차측 압력 공급공(38)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록킹수단을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는, 탄성부재(30)를 압축시키면서 상승하였던 디스크(28)가 화재 진압후 소방수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지 않도록 록킹시켜 주는 구조를 갖으면 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36)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33)내의 하부격실(35)과 통하여지게 에어 배출공(3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 배출공에는 화재 발생으로 하부격실(35)내에 2차측 압력이 작용되었을 때 대기압보다 높은 하부격실(35)내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대기압상태로 환원시키는 체크밸브(4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2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본체(26)내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제거용 배출공(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제거용 배출공에는 밀봉 보울트(4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는, 드라이 파이프 밸브(6)의 초기 셋팅전에 밀봉 보울트(42)를 제거한 상태에서 개폐구(27)를 폐쇄하고 있던 디스크(28)를 약간 들어올려 소방수가 수압에 의해 2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본체(26)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배관내의 스케일(scale) 또는 시공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소방수와 함께 이물질 제거용 배출공(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디스크(28)의 접속면에서 확실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시 디스크(28)를 약간 들어올릴 수 있도록 1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배관(2) 및 화재 발생시 중간챔버(14)에 2차측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액셜레이터 배관(37)사이에 또 다른 배관(43)을 연결하고 상기 배관(43)상에는 소방수가 중간챔버(14)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밸브(44)를 설치한다.
그러나 하부격실(35)내에 콤프레셔(도시는 생략함)에 의한 압력을 인위적으로 가해 디스크(28)를 약간 들어올려 1차측 소방수가 본체(26)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므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드라이 파이프 밸브(6)를 초기 셋팅하고 나면 도 4a와 같이 하우징(33)내의 다이아프램(36)이 하사점에 위치하여 디스크(28)가 개폐구(27)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종래의 드라이 파이프 밸브와 마찬가지로 디스크(28)와 개폐구(27)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물이 채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므로 인해 스프링 쿨러 헤드(5)가 터져 2차측 배관(3)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2차측 압력이 액셜레이터(9)를 통해 순간적으로 대기압상태인 중간챔버(14)의 내부에 작용되어 디스크(28)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게 되므로 상기 디스크(28)가 탄성부재(30)를 압축시키면서 상승하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2차측 압력이 하우징(33)내의 하부격실(35)에도 동시에 작용되어 로드(29)와 고정된 다이아프램(36)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게 되므로 디스크(28)는 더욱 신속하게 상사점까지 상승하여 개폐구(27)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므로 1차측 수압에 의해 소방수가 2차측 배관(3)측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격실(35)에 대기압보다 높은 2차측 압력이 걸려 디스크(28)가 상승하고 나면 하부격실(35)내의 압력이 상부격실(34)내의 압력보다 커 도 4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소방수가 분지관(4)상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 헤드(5)를 통해 고압으로 분출되면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소방수를 살포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소방수의 살포를 중단하기 위해 1차측 배관(2)상에 설치된 1차측 개폐밸브(7)를 잠근 후 2차측 배관(3)상에 잔류하는 소방수를 드레인공(25)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2차측 배관(3)에 잔류하고 있던 소방수를 완전히 드레인시키고 나면 개폐구(27)를 개방하고 있던 디스크(28)를 하강시켜 개폐구를 폐쇄하는 재셋팅작업을 실시하여야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격실(35)과 통하여지게 하우징(33)에 설치된 체크밸브(40)를 동작시켜 하부격실(35)내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하부격실이 대기압상태가 되도록 하기만 하면 드라이 파이프 밸브(6)의 재셋팅작업이 완료된다.
즉, 체크밸브(40)를 눌러 하부격실(35)내의 압축공기(2차측 압력)를 외부로 배출하면 하부격실내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탄성부재(30)를 압축시키면서 상승하였던 디스크(28)가 탄성부재(30)의 복원력 및 자중에 의해 점진적으로 하강하여 개폐구(27)를 폐쇄하게 되므로 재셋팅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을 일 실시예에서는 수직 배관상에 설치하여 설명하였으나, 수평 배관상에 설치하더라도 디스크(28)가 수평선에 대하여 45°각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동일하게 동작하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드라이 파이프 밸브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디스크(28)가 본체(26)내에 45°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승강운동하면서 본체(26)에 형성된 개폐구(27)를 개폐하므로 드라이 파이프 밸브(6)를 수직 배관은 물론 수직 배관에도 설치가능하게 된다.
둘째, 1차측 수압에 의해 디스크(28)가 개방되고 난 후, 즉 화재 진압 후 재셋팅작업시 본체(26)를 분해하지 않고 하부격실(35)내의 압력을 대기압상태로 환원시키기만 하면 드라이 파이프 밸브(6)의 재셋팅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재셋팅에 따른 작업이 용이해지게 된다.
셋째, 배관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제거작업시 본체(26)를 분해하지 않고 중간챔버(14)에 1차측 압력(수압)이 작용되도록 하거나, 하부격실(35)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인위적으로 가하여 주면 디스크(28)가 들려 소방수가 2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본체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청소한 후 이물질 제거용 배출공(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물질 제거작업이 용이해지게 된다.

Claims (7)

  1. 소방수 공급관로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2차측 배관의 압력변화로 인하여 액셜레이터가 작동하여 중간챔버내부에 2차측 압력이 작용됨에 따라 디스크가 개방되어 소방수를 스프링 쿨러 헤드측으로 공급하도록 된 드라이 파이프 밸브에 있어서, 수직 또는 수평선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개폐구가 형성된 본체와, 2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본체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1차측 압력과 2차측 압력이 평형을 이룸에 따라 개폐구를 폐쇄하는 디스크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에어 시트링 및 소방수 시트링에 의해 본체와 디스크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챔버와, 상기 디스크의 로드에 끼워져 디스크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고정된 로드의 상측에 설치되어 디스크가 상승하여 개폐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체내에 압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상기 디스크가 자중에 의해 복원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록킹수단은 본체에 설치되어 통상의 상태에서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상태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격실과 하부격실로 구획하며, 로드의 상단이 고정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액셜레이터의 배관이 연결되어 화재발생시 2차측 압력이 하부격실로 공급되도록 하우징에 형성된 2차측 압력 공급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부격실과 통하여지게 하우징에 형성되어 하부격실내의 2차측 압력을 대기압이 되게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배출공과, 상기 에어 배출공에 설치되어 대기압보다 높은 하부격실내의 2차측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체크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2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본체상에 형성되어 본체내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제거용 배출공과, 상기 이물질 제거용 배출공에 나사결합되어 밀봉하는 밀봉보울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구가 수평 또는 수직선상으로부터 45°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7. 제 1 항에 있어서,
    1차측 압력이 작용되는 배관 및 화재발생시 중간챔버에 2차측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액셜레이터 배관사이에 연결된 배관과, 상기 배관상에 설치되어 소방수가 중간챔버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KR1019980031533A 1998-08-03 1998-08-03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KR100281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33A KR100281466B1 (ko) 1998-08-03 1998-08-03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33A KR100281466B1 (ko) 1998-08-03 1998-08-03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73A KR19990029273A (ko) 1999-04-26
KR100281466B1 true KR100281466B1 (ko) 2001-11-02

Family

ID=6589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533A KR100281466B1 (ko) 1998-08-03 1998-08-03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639B1 (ko) * 2002-08-13 2005-07-01 (주)스타코넷 스프링클러 설비용 건식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316B1 (ko) * 2002-04-08 2004-05-28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 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639B1 (ko) * 2002-08-13 2005-07-01 (주)스타코넷 스프링클러 설비용 건식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73A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653B2 (en) Diaphragm latch valve
KR102064947B1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CA2409278A1 (en) Dry sprinkler
EP1268004A2 (en) Low pressure actuator for dry sprinkler system
US4552221A (en) Dry-head or deluge-type valve for fire-extinguishing systems
KR100281466B1 (ko)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JPH02126864A (ja) 爆発圧力開放装置
US2699217A (en) Sprinkler system
KR102502989B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28509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감시 시스템
KR200425033Y1 (ko) 감압형 프리 액션밸브
JPS6248508B2 (ko)
KR102581218B1 (ko) 저압 습식밸브 조립체
JP3030857B2 (ja) 消防設備のセレクション弁用気密リングの毀損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581217B1 (ko) 저압 습식밸브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0685456B1 (ko) 소화용 셀렉션 밸브 장치
KR102154428B1 (ko)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KR200380097Y1 (ko) 저압식 드라이 파이프 밸브
KR102273405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제연 관리 시스템
KR102576059B1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
KR0133531Y1 (ko) 자동 배수 밸브
JP2003290382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230105875A (ko)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간이 급속살수유도장치
KR910000988Y1 (ko) 가스소화설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