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428B1 -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 Google Patents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428B1
KR102154428B1 KR1020190021432A KR20190021432A KR102154428B1 KR 102154428 B1 KR102154428 B1 KR 102154428B1 KR 1020190021432 A KR1020190021432 A KR 1020190021432A KR 20190021432 A KR20190021432 A KR 20190021432A KR 102154428 B1 KR102154428 B1 KR 10215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valve body
disk
angl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877A (ko
Inventor
김시범
박민진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4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배수관의 입구를 내포하는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디스크를 자동 개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밸브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홀과, 상기 개방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외부에서 분리 가능하며 일단에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착탈부 및 상기 디스크와 상기 탄성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부를 통해 외부에 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회전각도가 변화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디스크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밸브몸체와 디스크의 사이에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밸브몸체 내부의 유체압력에 의해 디스크를 가압하면 탄력부재가 늘어나며 디스크가 닫히고,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이 되어 디스크를 가압하는 압력보다 탄력부재의 장력이 커지면 디스크가 열리며 밸브몸체 내부의 잔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Drain valve utilizing spring tension}
본 발명은 밸브몸체 내의 잔류를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몸체 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잔류 배출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탄성부재의 교체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건물 또는 지하시설에는 소방용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모든 소방용 배관에 항상 물이 차 있을 수는 없다. 겨울철에 동파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소화시 또는 소방연습시에만 일시적으로 물이 차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건물의 지하 또는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배관은 추위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물을 빼놓아야 한다. 천정 등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에서 밸브를 열어 일일이 물을 빼고 밸브를 잠그는 것은 매우 번거롭다.
또한, 각종 배수관의 배수구를 필요한 때 개폐하기 위하여, 배수구의 선단에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된다. 이 종래의 개폐밸브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판과는 별도로 이 개폐판을 배수구의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개폐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개폐기구가 필요한 종래의 개폐밸브는 개폐를 사람이 직접 열어 주거나 주기적으로 개폐를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개폐장치 설치를 위한 비용이 많이 발생하며 그 구성 또한 복잡하다.
또한, 장시간 개폐기구를 반복적으로 조작하는 특성상 고장발생의 여지가 있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서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마모된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는데 마모된 부품의 교환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1844호, 2018.05.21.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밸브몸체 내에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디스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디스크를 개폐시키는 탄력부재를 밸브몸체에 개방홀 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부를 탈거하여 상기 개방홀 상으로 탄력부재를 밸브몸체 외부로 간단히 배출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는 배수관의 입구를 내포하는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디스크를 자동 개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홀과, 상기 개방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외부에서 분리 가능하며 일단에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착탈부 및 상기 디스크와 상기 탄성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부를 통해 외부에 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회전각도가 변화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디스크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착탈부는, 상기 밸브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개방홀보다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헤드와, 상기 헤드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착탈몸체 및 상기 착탈몸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이고,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선형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디스크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축받이가 상부에 구비된 브라켓과, 회전축에 의해 상기 축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 결합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결합 상태의 제1각도에서 상기 상기 탄성부재가 분리되는 제2각도로 회전각도가 변화하는 회전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축받이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걸림편의 제1각도와 대응되는 제1홈과, 상기 회전걸림편의 제2각도와 대응되는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걸림편의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1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각도를 이루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2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걸림편은,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에서 절곡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회전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 시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체결가압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중공의 체결고리가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걸림편의 걸림면에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밸브몸체와 디스크의 사이에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밸브몸체 내부의 유체압력에 의해 디스크를 가압하면 탄력부재가 늘어나며 디스크가 닫히고,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이 되어 디스크를 가압하는 압력보다 탄력부재의 장력이 커지면 디스크가 열리며 밸브몸체 내부의 잔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밸브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홀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탄성부재를 디스크에서 간단히 탈거 및 결합시키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방홀로 탄성부재를 배출시켜 외부에서 교체 후 다시 장착을 간단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착탈부가 더 구비되고 디스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디스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회전구가 더 구비되고 디스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디스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회전걸림편과 탄성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6과 도 7의 'A'와 'B'를 확대한 확대도.
본 발명은 밸브몸체 내의 잔류를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몸체 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잔류 배출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탄성부재의 교체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는 밸브몸체와 디스크의 사이에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밸브몸체 내부의 유체압력에 의해 디스크를 가압하면 탄력부재가 늘어나며 디스크가 닫히고,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이 되어 디스크를 가압하는 압력보다 탄력부재의 장력이 커지면 디스크가 열리며 밸브몸체 내부의 잔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또한, 밸브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홀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탄성부재를 디스크에서 간단히 탈거 및 결합시키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방홀로 탄성부재를 배출시켜 외부에서 교체 후 다시 장착을 간단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착탈부가 더 구비되고 디스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디스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회전구가 더 구비되고 디스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디스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회전걸림편과 탄성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과 도 7의 'A'와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밸브몸체(100), 디스크(200) 및 탄성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몸체(100)는 배수관(10)의 입구를 내포하여 물을 포함한 유체를 배출하고 남은 잔류를 상기 배수관(1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크(200)는 상기 밸브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시킨다. 이때, 상기 디스크(200)는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부로 당기는 외력에 의해 디스크(200)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배수관(10)의 입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디스크(200)와 상기 밸브몸체(100)의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밸브몸체(100)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디스크(200)를 자동 개폐시키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의 일단은 상기 밸브몸체(100)의 상부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디스크(20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밸브몸체(100)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가 디스크(20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을 상회하는 압력이 디스크(200)에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300)가 늘어나고 디스크(200)는 배수관(10)의 입구에 안착되어 배수관(10)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를 장시간 사용을 하게 되면 복원력이 떨어지던지 부식의 문제가 발생이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300)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탄성부재(300)를 밸브몸체(100) 외부에서 교환을 하기 위한 것으로, 개방홀(400), 착탈부(500), 회전부(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방홀(400)은 상기 밸브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홀(400)의 직경은 착탈부(500) 및 탄성부재(300)가 출입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것을 고려하여 정해져야 한다.
상기 착탈부(500)는 상기 개방홀(400)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몸체(100)의 외부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하며 일단에 상기 탄성부재(300)가 결합된다. 외부에서 상기 착탈부(500)를 당겨 착탈부(500)를 상기 개방홀(400)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도 함께 상기 개방홀(400)을 통하여 밸브몸체(100)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600)는 상기 디스크(200)와 상기 탄성부재(3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부(500)를 통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회전각도가 변화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00)를 상기 디스크(20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즉, 외부에서 상기 착탈부(500)를 당기면 착탈부(500)가 개방홀(400)에서 분리가 되고, 분리 과정에서 탄성부재(300)도 당겨지게 되며, 탄성부재(300)는 회전부(600)를 당기게 된다. 상기 회전부(600)는 탄성부재(300)가 탈거될 수 있는 기설정된 각도까지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300)는 탈거가 되고 이후 밸브몸체(100) 밖으로 배출이 된다.
이때, 상기 착탈부(500)는 헤드(510), 착탈몸체(520) 및 결합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드(510)는 상기 밸브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개방홀(400)보다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밸브몸체(100) 내부로 상기 착탈부(500)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몸체(520)는 상기 헤드(51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개방홀(400)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개방홀(400)의 내주면과 상기 착탈몸체(520)의 사이에 실링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착탈몸체(520)와 개방홀(400)의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재(530)는 상기 착탈몸체(52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재(3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서부재를 스프링을 사용을 할 경우에 상기 착탈부(500)와 스프링의 결합방법은 상기 탄성부재(300)의 단부에 고리(320)를 연장형성시키고 상기 착탈부(500)의 단부에 상기 고리(320)가 결합되는 걸림구가 더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의 단부가 고리(320)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리(320)가 걸림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됨에 따라 디스크(200)의 개폐 상태에 대응하여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300)가 구부러지는 상태가 발생치 않고 일직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530)의 단부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결합홈(53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531)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나사식으로 결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전부(600)는 브라켓과 회전걸림편(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디스크(20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축받이(611)가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걸림편(620)은 회전축(621)에 의해 상기 축받이(6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300)가 걸림 결합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00)가 걸림결합 상태의 제1각도에서 상기 상기 탄성부재(300)가 분리되는 제2각도로 회전각도가 변화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받이(611)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걸림편(620)의 제1각도와 대응되는 제1홈(613)과, 상기 회전걸림편(620)의 제2각도와 대응되는 제2홈(615)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걸림편(620)의 일측에 결합돌기(623)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623)가 상기 제1홈(6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각도를 이루고, 상기 결합돌기(623)가 상기 제2홈(6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각도를 이루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걸림편(620)은, 상기 탄성부재(300)가 걸림되는 걸림면(625)과, 상기 걸림면(625)에서 절곡되어 상기 탄성부재(300)가 상기 회전부(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 시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600)를 회전시키는 체결가압면(6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걸림편(620)이 제1각도의 디스크(20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회전걸림편(620)의 걸림면(625)과 상기 탄성부재(300)는 수직상태로 유지되어 탄성부재(300)가 상기 회전걸림편(620)으로부터 탈거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0)가 탄성복원력이 약해지거나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교환을 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300)를 밸브몸체(100) 외부로 배출시켜 교환을 하여야 한다. 디스크(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헤드(510)를 당기면 탄성부재(300)가 상기 회전걸림편(620)을 당긴다. 이때, 상기 제1홈(613)과 결합돌기(623)의 결합력을 능가하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회전걸림편(620)이 회전을 하여 결합돌기(623)가 제2홈(615)에 안착결합되는 범위까지 회전을 하게 되어 제2각도를 이루게 된다. 제2각도 상에서 탄성부재(300)를 당기면 탄성부재(300)가 걸림면(625) 상을 슬라이딩하며 상기 회전걸림편(620)으로부터 분리가 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착탈부(500)의 결합부재(530)가 회전이 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브라켓과 회전걸림편(620)의 사이에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외력이 제거된 상태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는 회전구(630)가 더 필요하다.
즉, 상기 회전구(630)는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축받이(611)에 일단이 삽입되어 외력이 주어졌을 경우에 회전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외력이 제거된 상태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축결합된다.
상기 회전구(630)의 타단은 한 쌍의 프레임(631)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631) 사이는 함몰 형성되어 수용홈(63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632)의 양측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홈(632)에 상기 상기 회전걸림편(620)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631)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걸림편(620)의 제1각도와 대응되는 제1홈(613)과, 상기 회전걸림편(620)의 제2각도와 대응되는 제2홈(615)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전걸림편(620)의 일측에 결합돌기(623)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623)가 상기 제1홈(6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각도를 이루고, 상기 결합돌기(623)가 상기 제2홈(6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걸림편(620)이 제1각도의 디스크(200)가 개방 및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상기 회전구(6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면(625)과 상기 탄성부재(300)는 수직상태로 유지되어 탄성부재(300)가 상기 걸림면(625)으로부터 탈거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0)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면(625)으로부터 상기 탄성부재(300)를 분리시킨 뒤 분리된 상기 탄성부재(300)를 밸브몸체(100) 외부로 배출시켜 교체하고 다시 상기 회전걸림편(620)에 결합을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부재(300)를 밸브몸체(100) 배출시킨 역순으로 진행을 하면 된다.
가령, 상기 결합부재(530)의 단부 외주면에 스프링을 나사식으로 결합을 시켜 개방홀(400)을 통하여 밸브몸체(100) 내부로 넣은 뒤 상기 스프링 단부의 체결고리(310)를 회전걸림편(620)에 삽입을 시킨다. 상기 체결고리(310)와 회전걸림편(620)이 결합이 되면 착탈몸체(520)를 개방홀(400)에 억지끼움식으로 밀어 삽입되는 중에 상기 체결고리(310)가 회전걸림편(620)의 체결가압면(626)을 밀어주어 결합돌기(623)가 제2홈(615)에서 이탈되어 제1홈(613)까지 안착을 됨으로써 탄성부재(300)와 회전걸림편(620)의 걸림면(625)이 수직상태로 변경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회전걸림편(620)의 걸림면(625) 상에 이탈방지홈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각도 상에서 상기 회전걸림편(620)에서 상기 탄성부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 배수관
100 : 밸브몸체
200 : 디스크
300 : 탄성부재
310 : 체결고리
320 : 고리
400 : 개방홀
500 : 착탈부
510 : 헤드
520 : 착탈몸체
530 : 결합부재
531 : 결합홈
600 : 회전부
611 : 축받이
613 : 제1홈
615 : 제2홈
620 : 회전걸림편
621 : 회전축
623 : 결합돌기
625 : 걸림면
626 : 체결가압면
630 : 회전구
631 : 프레임
632 : 수용홈

Claims (8)

  1. 배수관의 입구를 내포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디스크를 자동 개폐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밸브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홀;
    상기 개방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외부에서 분리 가능하며 일단에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착탈부; 및
    상기 디스크와 상기 탄성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부를 통해 외부에 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회전각도가 변화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디스크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밸브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개방홀보다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헤드;
    상기 헤드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착탈몸체;
    상기 착탈몸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이고,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선형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디스크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축받이가 상부에 구비된 브라켓;
    회전축에 의해 상기 축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 결합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결합 상태의 제1각도에서 상기 상기 탄성부재가 분리되는 제2각도로 회전각도가 변화하는 회전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걸림편의 제1각도와 대응되는 제1홈과, 상기 회전걸림편의 제2각도와 대응되는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걸림편의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1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각도를 이루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2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편은,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에서 절곡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회전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 시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체결가압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중공의 체결고리가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걸림편의 걸림면에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KR1020190021432A 2019-02-22 2019-02-22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KR10215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32A KR102154428B1 (ko) 2019-02-22 2019-02-22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32A KR102154428B1 (ko) 2019-02-22 2019-02-22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77A KR20200102877A (ko) 2020-09-01
KR102154428B1 true KR102154428B1 (ko) 2020-09-09

Family

ID=7243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432A KR102154428B1 (ko) 2019-02-22 2019-02-22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4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800B1 (ko) * 2011-05-25 2011-08-11 (주) 세기티엔씨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844B1 (ko) 2018-01-18 2018-05-29 서울특별시 드레인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800B1 (ko) * 2011-05-25 2011-08-11 (주) 세기티엔씨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77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8099A1 (en) Automatic draining back flow prevention device
US5632303A (en) Wall water hydrant having backflow and back siphonage preventor
US7607453B2 (en) Non-freeze wall hydrant
US7100637B1 (en) Wall hydrant having backflow preventor
US20100132806A1 (en) Fire hydrant check valve
KR101565831B1 (ko) 소방호스용 연결구
KR102154428B1 (ko)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KR200410621Y1 (ko) 소화전 방수구
US7530122B2 (en)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JP7064727B2 (ja) 継ぎ手部材
US20180280744A1 (en) Fire-suppression water-intake valve, fire-suppression sprinkler head configured for rapid installation in, and rapid removal from, the water-intake valve without the need to interrupt the water supply,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0296539Y1 (ko) 소화전
KR200403479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US20240167254A1 (en) Hose coupling for a hydrant, and hydrant
KR200370716Y1 (ko) 수도관용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JP7249484B2 (ja) 逆流防止装置
KR200465322Y1 (ko) 알람밸브용 밸브
KR20210131589A (ko) 회전 가능한 지상식 소화전
RU27731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тивотока, шланговая муфта для гидранта и гидрант
CA2160940C (en) Wall water hydrant having backflow and back siphonage preventor
CN110017399B (zh) 防漏水角阀
KR100729018B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JP7064726B2 (ja) 継ぎ手部材
KR200432514Y1 (ko) 소화전의 송수구용 마개
JP2001259068A (ja) 配管部材接続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