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800B1 -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 - Google Patents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800B1
KR101055800B1 KR1020110049649A KR20110049649A KR101055800B1 KR 101055800 B1 KR101055800 B1 KR 101055800B1 KR 1020110049649 A KR1020110049649 A KR 1020110049649A KR 20110049649 A KR20110049649 A KR 20110049649A KR 101055800 B1 KR101055800 B1 KR 10105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trap
trap device
check valve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일
Original Assignee
(주) 세기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기티엔씨 filed Critical (주) 세기티엔씨
Priority to KR1020110049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처리시설로 방류하기 위해 구성되는 유체 트랩장치에 있어서, 스프링클러(Sprinkler)가 내장되고, 공장 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의 내부에 잔존하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수집하는 물받이통이 형성되며, 물받이통에 수집된 소화수를 유출하는 유출라인; 상기 유출라인과 유체 트랩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유체 트랩장치의 작동에 따라 소화수를 처리시설로 배수하는 배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트랩장치는 상기 유출라인과 체결되는 체결공, 소화수를 배수라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공 및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체크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돌기가 형성된 유출본체; 유출되는 소화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유출본체의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한 방향으로만 개폐되는 개폐도어, 상기 회전 돌기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부 및 자중에 의해 배출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개폐도어; 및 상기 배수라인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며, 체크밸브가 수용되도록 유출라인과 연결되는 배수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Damper Type of Fluid Trap Apparatus}
본 발명은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관 내에 유입되는 공기는 차단하고, 사용된 폐수 또는 소방수만을 배출시키는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 파이프, 스크러버(scrubber)와 같은 배출수단은 관에서 공기를 유동시킬 때, 주위와의 온도차에 의해 관 내부에는 응축수가 발생한다.
응축수가 관 내부에 쌓이면 관 내부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고 유체의 이상 운전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관 하단에는 응축수를 관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반도체 공장, 화학공장 등과 같은 유해성 성분이 포함된 장소에서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덕트, 파이프, 스크러버 등에 공기 뿐만 아니라, 전술한 유해성분이 포함된 채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유해성분이 포함된 배출수단의 내부에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들이 상호 유기적인 접촉이 발생하면서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이를 진압하기 위하여 국제화재보험협회의 정책에 따라 다수의 스프링클러(Sprinkler)가 설치된다.
하지만, 스프링클러에 의해 화재가 진압이 된다 하더라도 덕트, 파이프, 스크러버 등과 같은 배출수단의 내부에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가 잔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러한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는 특정 처리시설로 방류가 이루어져야만 하므로, 소화수의 방류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류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덕트, 파이프, 스크러버(scrubber)와 같은 배출수단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화재 등에 의해 사용된 유해성분이 포함된 폐수 또는 소방수만을 처리시설로 배출시키는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처리시설로 방류하기 위해 구성되는 유체 트랩장치에 있어서, 스프링클러(Sprinkler)가 내장되고, 공장 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의 내부에 잔존하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수집하는 물받이통이 형성되며, 물받이통에 수집된 소화수를 유출하는 유출라인; 상기 유출라인과 유체 트랩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유체 트랩장치의 작동에 따라 소화수를 처리시설로 배수하는 배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트랩장치는 상기 유출라인과 체결되는 체결공, 소화수를 배수라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공 및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체크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돌기가 형성된 유출본체; 유출되는 소화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유출본체의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한 방향으로만 개폐되는 개폐도어, 상기 회전 돌기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부 및 자중에 의해 배출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개폐도어; 및 상기 배수라인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며, 체크밸브가 수용되도록 유출라인과 연결되는 배수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출본체에는 체크밸브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출본체와 체크밸브에는 유출본체와 체크밸브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유출본체에 더욱 많은 양의 소화수를 방류할 수 있도록 유출본체에 복수 구성되며, 서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체 트랩장치는 배출수단에 설치되는 상기 유출라인, 물받이통, 배수라인의 설치 방향에 따라 이 배출수단으로부터 수평형, 또는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자중에 의해 자연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의 후방으로 무게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에는 개방된 체크밸브의 자동폐쇄가 이루어지도록 체크밸브를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이 구비되며, 이 복원수단이 구비될 수 있도록 개폐도어와 유출라인의 배출공 외주면에 각각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장력에 의해 체크밸브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출라인에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유출시키기 위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출라인을 개방하는 개폐밸브가 내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 파이프, 스크러버(scrubber)와 같은 배출수단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화재 등에 의해 사용된 유해성분이 포함된 폐수 또는 소방수만을 처리시설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가 배출수단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분해 하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가 배출수단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분해 하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댐퍼 타입의 유체 트랩장치(100)는 반도체, 화학공장 등에 설치되며, 내부에 스프링클러(Sprinkler: 102)가 다수 내장 설치되고, 공장 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배출하는 덕트, 배출 파이프, 스크러버 등과 같은 배출수단(110)의 일면에 연결 구성되는 유출라인(130) 및 배수라인(150) 사이에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출라인(130)은 배출수단(150)의 하부 일면에 구성되어 배출수단(110)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작동하는 스프링클러(102)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가 유출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유출라인(130)에는 화재 진압 후, 배출수단(110)에 잔존하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수집하는 물받이통(120)이 배출수단(110)과 유출라인(130) 사이에 구성되어 배출수단(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소화수를 수집하도록 한다.
또한, 유출라인(130)에는 수집된 소화수 즉, 유해성분이 포함된 유해성 소화수를 정화처리하거나 방류하기 위한 처리시설로 유출시키기 위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출라인(130)을 개방하는 개폐밸브(140)가 내장 설치되며, 그 후방으로 유체 트랩장치(100)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된다.
아울러, 배수라인(150)은 유출라인(130)과 연결된 유체 트랩장치(100)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되 유출라인(130)과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된다.
다시말해, 유체 트랩장치(100)의 전방에는 유출라인(130)이 체결되어 배출라인(150)으로부터 유출되는 소화수를 유체 트랩장치(100)측으로 이송시키고, 배수라인(150)은 유체 트랩장치(100)의 작동에 따라 소화수가 처리시설로 배수될 수 있도록 유체 트랩장치(100)의 후방에 체결되어 유체 트랩장치(100)의 작동에 따라 유출라인(130)으로부터 유출된 소화수를 처리시설로 배수시키는 것이다.
한편, 유체 트랩장치(100)는 유출라인(130)과 배수라인(150)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이 체결수단에 의해 전,후방이 유출라인(130) 및 배수라인(150)에 각각 체결된다.
이와 같은 유체 트랩장치(100)는 유출본체(210), 체크밸브(220) 및 배수본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출본체(210)는 일단이 유출라인(130)과 연통하고,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원주를 따라 다수의 체결공(202)이 형성된 체결 플랜지가 구성되고, 타단 선단부에는 유출라인(130)으로부터 유출된 소화수를 선택적으로 배수라인(150)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공(212)과, 체크밸브(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돌기(214)가 형성된다.
또한, 유출본체(210)에는 체크밸브(220)에 형성된 스토퍼(226)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체크밸브(2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또한, 유출본체(210)의 배출공(210) 외주에는 유출본체(210)와 체크밸브(220)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부재(240)가 구비된다.
또한, 체크밸브(220)는 유출라인(130)으로부터 유출된 소화수의 압력에 따라 유출본체(210)에 형성된 배출공(214)을 개폐시키며, 한 방향으로만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폐도어(224), 회전 돌기(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부(222) 및 체크밸브(2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여 자중에 의해 배출공(214)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22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크밸브(220)에는 유출본체(210)와의 긴밀한 결합을 유지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유출본체(210)와 마찬가지로 패킹부재(240)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유체 트랩장치(100)는 유출본체(210)와 체크밸브(220)의 2중 실링방식으로 이루어져 유출라인(130)을 통해 소화수의 방류는 이루어지나, 배수라인(15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배수본체(230)는 배수라인(150)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체결공(202)이 형성되며, 체크밸브(220)가 수용되도록 유출라인(130)과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유체 트랩장치(1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가 복수 구성되어 양방향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많은 양의 소화수를 방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체크밸브(220)는 유출본체(210)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회전핀부(2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 트랩장치(100)는 배출수단(110)에 유출라인(130), 물받이통(120), 배수라인(150)이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수평형, 또는 수직형으로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
이때, 유체 트랩장치(100)가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체크밸브(220)가 자중에 의해 자동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226)의 후방면에 무게추(400)를 구성함으로써, 체크밸브(220)의 자동 개방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회전핀부(222)를 중심으로 체크밸브(220)의 무게중심을 스토퍼(226)측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체크밸브(220)가 자중에 의해 자연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방된 체크밸브(220)의 자동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체크밸브(220)의 선단부에 형성된 개폐도어(224)와 유출라인(130)의 배출공(212) 외주면에는 복원수단(430)이 구성되며, 이 복원수단(4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개폐도어(220) 및 유출라인(130)에는 각각 고정부(410, 4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복원수단(430)은 장력에 의해 체크밸브(2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체 트랩장치(100)는 덕트, 파이프, 스크러버(scrubber)와 같은 배출수단(1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화재 등에 의해 사용된 유해성분이 포함된 폐수 또는 소화수만을 처리시설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스프링클러(102)에 의해 화재가 진압이 된다 하더라도 덕트, 파이프, 스크러버 등과 같은 배출수단(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외부 유출없이 안정적으로 처리시설로 방류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면서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만을 방류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체 트랩장치 102: 스프링클러(Sprinkler)
110: 배출수단 120: 물받이통
130: 유출라인 140: 개폐밸브
150: 배수라인 202: 체결공
210: 유출본체 212: 배출공
214: 회전 돌기 220: 체크밸브
222: 회전핀부 224: 개폐도어
226: 스토퍼 230: 배수본체
240: 패킹부재 400: 무게추
410, 420: 고정부 430: 복원수단

Claims (9)

  1.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처리시설로 방류하기 위해 구성되는 유체 트랩장치에 있어서,
    스프링클러(Sprinkler)가 내장되고, 공장 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의 내부에 잔존하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수집하는 물받이통이 형성되며, 물받이통에 수집된 소화수를 유출하는 유출라인;
    상기 유출라인과 유체 트랩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유체 트랩장치의 작동에 따라 소화수를 처리시설로 배수하는 배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트랩장치는 상기 유출라인과 체결되는 체결공, 소화수를 배수라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공 및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체크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돌기가 형성된 유출본체;
    유출되는 소화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유출본체의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한 방향으로만 개폐되는 개폐도어, 상기 회전 돌기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부 및 자중에 의해 배출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개폐도어; 및
    상기 배수라인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며, 체크밸브가 수용되도록 유출라인과 연결되는 배수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본체에는 체크밸브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본체와 체크밸브에는 유출본체와 체크밸브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유출본체에 더욱 많은 양의 소화수를 방류할 수 있도록 유출본체에 복수 구성되며, 서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트랩장치는 배출수단에 설치되는 유출라인, 물받이통, 배수라인의 설치 방향에 따라 이 배출수단으로부터 수평형, 또는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자중에 의해 자연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의 후방으로 무게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에는 개방된 체크밸브의 자동폐쇄가 이루어지도록 체크밸브를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이 구비되며, 이 복원수단이 구비될 수 있도록 개폐도어와 유출라인의 배출공 외주면에 각각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장력에 의해 체크밸브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라인에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소화수를 유출시키기 위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출라인을 개방하는 개폐밸브가 내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트랩장치.
KR1020110049649A 2011-05-25 2011-05-25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 KR10105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649A KR101055800B1 (ko) 2011-05-25 2011-05-25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649A KR101055800B1 (ko) 2011-05-25 2011-05-25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800B1 true KR101055800B1 (ko) 2011-08-11

Family

ID=4493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649A KR101055800B1 (ko) 2011-05-25 2011-05-25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8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2135A1 (de) * 2016-03-07 2017-10-18 Vaillant GmbH Rückströmsicherungsventil für ein gebläse einer gasarmatur
KR20180078765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20190083469A (ko) *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매립가스 이송관의 응축수 자동 배출 시스템
KR20200102877A (ko) * 2019-02-22 2020-09-0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042A (ja) * 1993-05-11 1996-10-22 スンドホルム,ゲラン 監視空間より煙を除去する方法及び設備
KR20020057890A (ko) * 2002-05-27 2002-07-12 정종태 틸팅체크밸브
KR100557999B1 (ko) 2003-06-05 2006-03-07 염규재 인명구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042A (ja) * 1993-05-11 1996-10-22 スンドホルム,ゲラン 監視空間より煙を除去する方法及び設備
KR20020057890A (ko) * 2002-05-27 2002-07-12 정종태 틸팅체크밸브
KR100557999B1 (ko) 2003-06-05 2006-03-07 염규재 인명구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2135A1 (de) * 2016-03-07 2017-10-18 Vaillant GmbH Rückströmsicherungsventil für ein gebläse einer gasarmatur
KR20180078765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20190083469A (ko) *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매립가스 이송관의 응축수 자동 배출 시스템
KR102000140B1 (ko) * 2018-01-04 2019-07-1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매립가스 이송관의 응축수 자동 배출 시스템
KR20200102877A (ko) * 2019-02-22 2020-09-0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KR102154428B1 (ko) * 2019-02-22 2020-09-0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800B1 (ko) 댐퍼타입의 유체 트랩장치
RU2668333C2 (ru) Предупреждающий нежелательные запахи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трап с обратным клапаном и впускающим воздух клапаном
KR101036238B1 (ko) 압력조절 밸브
EP2353693A1 (en)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from water purifier
KR101430433B1 (ko) 볼 플로트 트랩
WO2009158706A1 (en) Weeping system for fire hydrant having a protective valve or device
JP4912827B2 (ja) 消火設備
JP6118956B2 (ja) 配管装置
KR102076959B1 (ko) 절연유의 누설이 방지되는 변압기용 흡습 호흡기
JP2008136910A (ja) 生ごみの乾燥処理装置
CN107237393B (zh) 一种地漏装置
CN104048103B (zh) 真空截止阀
KR10172249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JP2018188922A (ja) 間接排水用継手
JPH10159147A (ja) 排水管路の臭気止め装置
CN105297874B (zh) 一种双向自闭式防爆地漏
KR101810002B1 (ko) 건축물의 소방설비용 수격 방지 장치
JP4747021B2 (ja) フィルタ装置
KR200179179Y1 (ko) 탱크의 과부압 방지 안전장치
CN213176919U (zh) 多保空气阻断器
CN207633490U (zh) 防爆地漏
JP3854806B2 (ja) ブロー機能を有するストレーナ
KR20150117384A (ko) 낙차/단차를 갖는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을 위한 하수도 설비
KR101547061B1 (ko) 잔수토출 방지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KR102154428B1 (ko)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