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621Y1 - 소화전 방수구 - Google Patents

소화전 방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621Y1
KR200410621Y1 KR2020050034725U KR20050034725U KR200410621Y1 KR 200410621 Y1 KR200410621 Y1 KR 200410621Y1 KR 2020050034725 U KR2020050034725 U KR 2020050034725U KR 20050034725 U KR20050034725 U KR 20050034725U KR 200410621 Y1 KR200410621 Y1 KR 200410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nap ring
packing
valve rod
fire hy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영
Original Assignee
조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609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10621(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기영 filed Critical 조기영
Priority to KR2020050034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6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6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16K31/50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the actuating means being rotable, rising, and having internal threads which co-operate with threads on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t Valve (AREA)
  • Valve Housing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통, 상기 몸통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상기 몸통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 2 밸브, 상기 제 2 밸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밸브와 결합되는 밸브봉 및 상기 제 2 밸브 위에 설치되는 밸브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화전 방수구에 있어서, 하단으로 스냅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밸브봉측스냅링홈을 갖는 밸브봉; 상기 밸브봉이 삽입될 수 있는 밸브봉홈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봉측스냅링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밸브봉홈에 제 1 밸브스냅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밸브; 및 상기 밸브봉측스냅링홈과 제 1 밸브스냅링홈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밸브봉과 상기 제 1 밸브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스냅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방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화전 방수구는 상기 패킹이 제 1 밸브에 형성된 상기 패킹받이와 접착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패킹받이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하여 제 1 밸브에서 소화용수를 보다 잘 차단하도록 하는 앵글밸브로 구성되는 소화전 방수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소화전 방수구, 스냅링, 패킹

Description

소화전 방수구{Fire Hydrant Outlet}
도 1은 종래 소화전 방수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소화전 방수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소화전 방수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소화전 방수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제 1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통 102: 결합구
104: 급수구 106: 배수구
110, 200: 제 1 밸브 112, 202: 패킹받이
114: 밸브 로드 116, 210: 패킹
118: 캐핑캡 119: 너트
120, 220: 밸브봉 130: 제 2 밸브
132: 제 2 밸브용 패킹 135: 조임용 돌기
140: 조임링 150: 밸브 핸들
203: 밸브봉홈 204: 제 1 밸브스냅링홈
225: 밸브봉측스냅링홈 230: 스냅링
본 고안은 소화전 방수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전 방수구에 있어서, 패킹이 제 1 밸브에 형성된 패킹받이와 본드 결합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패킹받이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하며, 밸브봉과 제 1 밸브와의 결합이 스냅링을 통한 연결방식을 갖음으로써 연결이 용이하며 견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방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 예를 들어, 옥내 소화전은 소방법에 의거하여 1,500 평방미터 이상의 소방대상 건축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비상시 건물의 자체인원에 의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것으로, 건물 규모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대표적으로 수원, 제어반, 가압송수장치 및 옥내 소화전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화전함에는 소화전 방수구 및 소화전 호스 등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소화전 방수구는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의 밸브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앵글 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앵글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90도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며, 소화전함에 설치되어 일측으로 건물 배관으로부터 소화용수가 공급되고, 타측으로 상기 소화전 호스와 체결되어 유사시 상기 소화전 호스를 통해 소화용수가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앵글 밸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앵글 밸브로, 도 1 에 종래 소화전 방수구로 사용되는 앵글 밸브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밸브의 외형을 감싸는 몸통(100), 몸통(100)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 2 밸브(130)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구(102), 몸통(100)에 형성되어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급수구(104), 몸통(100)에 형성되어 급수된 소화용수가 배수되는 배수구(106), 평상시 급수구(104)에서 소화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1 밸브(110), 제 1 밸브(110)와 후술하는 제 2 밸브(130) 및 후술하는 밸브 핸들(150)을 지지하는 축 역할을 하는 밸브봉(120), 제 1 밸브(110)가 오픈 되어 급수구(104)로부터 소화용수가 급수될 시, 소화용수가 결합구(102)로 배수되지 않고 배수구(106)로 배수되도록 결합구(102)를 차단하는 제 2 밸브(130), 밸브봉(120)과 연결되어 제 1 밸브(110) 및 제 2 밸브(130)를 개폐하는 밸브 핸들(150), 상기 제 1 밸브(110)가 오픈 되어 급수구(104)로부터 소화용수가 급수될 시, 결합구(102)를 차단하는 상기 제 2 밸브(130)가 상기 소화용수를 더욱 잘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밸브용 패킹(132), 상기 소화전 방수구를 조립시에 제 2 밸브(130)를 용이하게 돌릴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조임용 돌기(135) 및 제 2 밸브(130)와 밸브 핸들(150) 사이에 위치하여 제 2 밸브(130)가 결합구(102)에 결합되어 풀리지 않도록 구성된 조임링(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밸브(110)는 급수구(104)로 유입되는 소화용수가 제 1 밸브(110)에 의해 차단될 시, 상기 소화용수를 더욱 잘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패킹(116), 상기 제 1 밸브(110)에 패킹(116)이 설치되도록 형성된 패킹받이(112), 패킹받이(112)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패킹(116)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후술하는 패킹캡(118)에 의해 볼트 결합되는 밸브 로드(114)로 구성되어 있다.
패킹캡(118)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116)이 패킹받이(112)의 밸브 로드(114)에 삽입되어 설치되면, 밸브 로드(114)와 볼트 결합으로 결합되도록 너트(119)가 형성되어 있어서 패킹받이(112)와 패킹캡(118)이 패킹(116)을 사이에 두고 볼트결합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패킹캡(118)이 패킹받이(112)와 볼트 결합으로 되어 있다 보니, 시간 이 지날수록 볼트 결합이 느슨해지고, 결국 패킹(116)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소화전 방수구에 있어서, 패킹이 제 1 밸브에 형성된 패킹받이와 접착제 결합 또는 가열에 의한 결합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패킹받이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하며, 밸브봉과 제 1 밸브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는 소화전 방수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통, 상기 몸통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상기 몸통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 2 밸브, 상기 제 2 밸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밸브와 결합된 밸브봉 및 상기 제 2 밸브 위에 설치되는 밸브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화전 방수구에 있어서, 하단으로 스냅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밸브봉측스냅링홈을 갖는 밸브봉; 상기 밸브봉이 삽입될 수 있는 밸브봉홈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봉측스냅링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밸브봉홈에 제 1 밸브스냅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밸브; 및 상기 밸브봉측스냅링홈과 제 1 밸브스냅링홈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밸브봉과 상기 제 1 밸브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스냅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방수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밸브의 하측으로는 오링 형태의 패킹이 상기 제 1 밸브의 하측에 형성되는 패킹받이와 접착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소화전 방수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방수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앵글밸브로 구성되는 소화전 방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전 방수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전 방수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방수구는 앵글밸브의 외형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통(100), 상기 몸통(100)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 2 밸브(130), 상기 제 2 밸브(130) 위에 설치되는 밸브핸들(150), 상기 제 2 밸브를 관통하는 밸브봉(220), 상기 몸통(100)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 1 밸브(200) 및 상기 밸브봉측스냅링홈(225)과 제 1 밸브스냅링홈(204) 사이에 체결되는 스냅링(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100)은 제 2 밸브(130)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구(102), 소화용수가 공급 되는 급수구(104) 및 급수된 소화용수가 배수되는 배수구(106)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밸브(130)는 급수구(104)를 통해 급수되는 소화용수가 결합구(102)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화용수를 보다 잘 차단하기 위해 제 2 밸브용 패킹(132)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봉(220)은 앵글 밸브에서 통상의 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2 밸브(130)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제 1 밸브와 말단에서 결합이 된다. 상기 밸브봉(220)의 말단 소정 부위에는 스냅링(230)과 결합되는 밸브봉측스냅링홈(225)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핸들(150)은 상기 제 2 밸브(130) 위에 설치되고, 밸브봉(220)의 상단과 연결되어, 제 1 밸브(200) 및 제 2 밸브(130)를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밸브(200)는 상기 밸브봉(220)이 삽입될 수 있는 밸브봉홈(203), 밸브봉측스냅링홈(22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밸브스냅링홈(204) 및 패킹받이(202)를 형성하고 있으며, 소화전 방수구의 내부로 소화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소화용수를 더 잘 차단하기 위하여 패킹(210)을 구비할 수 있다.
패킹받이(202)는 패킹(2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제 1 밸브(20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밸브스냅링홈(204)은 후술하는 스냅링(230)이 설치된 밸브봉(220)과 제 1 밸브(200)가 체결될 시, 밸브봉(220)에 설치된 스냅링(230)의 외경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제 1 밸브(2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목한 형태의 패킹받이(202)가 없이 바로 제 1 밸브의 하측에 접착제 또는 열에 의하여 패킹(210)이 접착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 패킹받이(202)가 필수구성 요소는 아니다.
패킹(210)은 소화용수가 소화전 방수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잘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패킹(210) 재질 및 형상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상인 오링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기 제 2 실시예와 같이 패킹받이(202)의 전체를 덮도록 광폭 형태의 오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밸브의 하측에 형성되는 패킹받이와 접착제 또는 가열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스냅링(230)은 일반적으로 축이나 구멍에 링이 들어갈 수 있는 홈을 내고, 상기 홈에 상기 링을 끼워 축과 접해 있는 물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기계요소로, 축의 외측에 스냅링홈을 내어 사용하는 외접링과, 구멍의 내측에 스냅링홈을 가공하여 사용하는 내접링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내접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냅링을 착탈하는데 사용되는 스냅링 플라이어(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밸브(200)의 제 1 밸브스냅링홈(204)에 스냅링(230)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봉(220)의 밸브봉측스냅링홈(225)에 상기 스냅링(230)의 내경이 끼워져, 밸브봉(220)과 제 1 밸브(200)가 체결되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제 1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방수구의 제 1 밸브는, 패킹(210)이 제 1 밸브에 형성된 패킹받이(202)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광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소화용수가 소화전 방수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 잘 차단하기 위해, 패킹(210)이 패킹받이(202)에 전체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광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킹(210)이 패킹받이(202)와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화전 방수구는 패킹이 제 1 밸브에 형성된 패킹받이와 본드 결합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패킹받이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 1 밸브에서 소화용수를 보다 잘 차단하도록 하는 소화전 방수구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밸브봉의 말단 소정 부위에 밸브봉측스냅링홈이 형성되고, 제 1 밸브에는 제 1 밸브스냅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봉측스냅링홈과 상기 제 1 밸브스냅링홈 사이에 스냅링이 체결되어, 상기 밸브봉과 상기 제 1 밸브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 1 밸브가 상기 밸브봉에서 잘 빠지지 않아, 잔고장이 없는 소화전 방수구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화전 방수구는 패킹이 제 1 밸브에 형성된 패킹받이와 본드 결합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패킹받이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 1 밸브에서 소화용수를 보다 잘 차단하도록 하는 앵글밸브로 구성되는 소화전 방수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봉과 제 1 밸브가 스냅링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 밸브가 상기 밸브봉에서 잘 빠지지 않아, 잔고장이 없는 소화전 방수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몸통, 상기 몸통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상기 몸통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 2 밸브, 상기 제 2 밸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밸브와 결합된 밸브봉 및 상기 제 2 밸브 위에 설치되는 밸브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화전 방수구에 있어서,
    하단으로 스냅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밸브봉측스냅링홈을 갖는 밸브봉;
    상기 밸브봉이 삽입될 수 있는 밸브봉홈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봉측스냅링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밸브봉홈에 제 1 밸브스냅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밸브; 및
    상기 밸브봉측스냅링홈과 제 1 밸브스냅링홈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밸브봉과 상기 제 1 밸브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스냅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방수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의 하측으로는 오링 형태의 패킹이 상기 제 1 밸브의 하측에 형성되는 패킹받이와 접착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방수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이 상기 패킹받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광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방수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이 내접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방수구.
KR2020050034725U 2005-12-09 2005-12-09 소화전 방수구 KR200410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25U KR200410621Y1 (ko) 2005-12-09 2005-12-09 소화전 방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25U KR200410621Y1 (ko) 2005-12-09 2005-12-09 소화전 방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621Y1 true KR200410621Y1 (ko) 2006-03-09

Family

ID=4176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725U KR200410621Y1 (ko) 2005-12-09 2005-12-09 소화전 방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62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693B1 (ko) 2018-06-14 2019-06-11 주식회사 대성기계 옥내 소화전용 방수구
KR20190138018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시스템
KR20190138016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시스템의 밸브 홀딩 장치
KR20190138017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장치
KR20220091113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대성코어 옥내소화전용 방수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018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시스템
KR20190138016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시스템의 밸브 홀딩 장치
KR20190138017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장치
KR101987693B1 (ko) 2018-06-14 2019-06-11 주식회사 대성기계 옥내 소화전용 방수구
KR20220091113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대성코어 옥내소화전용 방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8099A1 (en) Automatic draining back flow prevention device
KR200410621Y1 (ko) 소화전 방수구
KR101699829B1 (ko)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US20080047612A1 (en) Automatic draining double check vacuum breaker
US20060157110A1 (en) Vacuum breaker for hose connection
EP3521523A1 (en) Leakage protection device for a toilet flush tank
KR20120042300A (ko) 알람밸브
JP2003064745A (ja) 排水用通気装置
US20110023984A1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branching water pipe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supply
KR100729018B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JP2007247170A (ja) 消火設備の配管接続装置
KR200291865Y1 (ko) 수도미터 보호통용 역류방지밸브
KR200361682Y1 (ko) 지하식 소화전의 토출구 높이 조절장치
KR20180002187A (ko) 커넥팅부가 구비된 소방용 버터플라이밸브
KR200383633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0228135Y1 (ko) 하향식 스프링클러용 개폐장치
KR200400031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0360809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JPH0449416Y2 (ko)
KR200465322Y1 (ko) 알람밸브용 밸브
JPH0721975Y2 (ja) 浄水器用安全弁
CN108465185B (zh) 一种防水透气喷头
KR102154428B1 (ko)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KR100555900B1 (ko)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누수방지용 새들
KR20220000909U (ko) 정수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수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12

Effective date: 201010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10124

Effective date: 20110329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126

Effective date: 201110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