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633Y1 - 소방용 연결송수구 - Google Patents

소방용 연결송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633Y1
KR200383633Y1 KR20-2005-0004876U KR20050004876U KR200383633Y1 KR 200383633 Y1 KR200383633 Y1 KR 200383633Y1 KR 20050004876 U KR20050004876 U KR 20050004876U KR 200383633 Y1 KR200383633 Y1 KR 200383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eat
guide shaft
fir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수
Original Assignee
박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수 filed Critical 박갑수
Priority to KR20-2005-0004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설비에 소화용수를 보급하기 위하여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으로 부싱이 필요 없으면서 누설이 방지되는 간단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경량이고 수리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소방용 연결송수구(100)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유입된 유체를 일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된 배출구(112)가 일체로 된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배출구(112)에서 끼워져 유입구(111)의 내측에 형성된 밸브시트면(113)에 밀착되어 유입구(111)를 밀폐하도록 된 시트(120)와, 상기 시트(120)의 중심에 수직하게 결합된 가이드축(130)과, 상기 가이드축(130)에 끼워져 시트(120)를 밸브시트면(113)에 밀착시키도록 설치된 탄성부재(140)를 포함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의 내주면에 유입구(111)의 직경보다 작은 폭과 두께로 시트지지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지지부(150)에는 상기 유입구(111)의 중심방향으로 가이드축(130)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용 연결송수구{ FIRE DEPARTMENT CONNECTION }
본 고안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설비에 소화용수를 보급하기 위하여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으로 부싱이 필요 없으면서 누설이 방지되는 간단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경량이고 수리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송수구는 노출형(E형,D형) 매립형(F형,C형)으로 구분 되어 체크 밸브가 내장된 타입으로 사용중에도 호스 연결이 가능한 구조로서 건물 외부에 사용목적,용도에 따라 옥내소화전 송수구, 스프링클러 송수구, 연결살수 송수구, 연결송수관 송수구 등으로 명판을 부착하여야 하며 한 장소에 여러 용도의 송수구를 설치할 경우 대형 명판에 용도별로 표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건물의 벽체등에 체결 고정되는 바디(11)와, 이 바디로 부터 외부로 용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디의 분기된 분기공으로 체크밸브(12)가 설치되고, 이 체크밸브에 물을 공급하는 소방호스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커플링이 설치된 상태로 연결되는 조임링(13)이 설치되는바, 상기 체크밸브(12)는 스프링(12b)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12c)가 밀착되도록 별도의 부싱(12a)이 가공되어 바디(11)의 분기공으로 설치되므로, 구조가 복잡고, 무거우며, 수리하기에 곤란함은 물론 고가인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에 의해 시트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바디의 밸브면에 밀착되어 유입구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되, 바디의 내측면에서 유입구의 중심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시트에 설치된 가이드축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된 시트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유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시트가 가압되어, 일체형으로 부싱이 필요 없으면서 누설이 방지되는 간단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경량이고 수리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소방용 연결송수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시트지지부가 바디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연결송수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유입된 유체를 일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된 배출구가 일체로 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배출구에서 끼워져 유입구의 내측에 형성된 밸브시트면에 밀착되어 유입구를 밀폐하도록 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중심에 수직하게 결합된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에 끼워져 시트를 밸브시트면에 밀착시키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유입구의 직경보다 작은 폭과 두께로 시트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지지부에는 상기 유입구의 중심방향으로 가이드축이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상기 시트지지부가 상기 밸브시트면과 유입구의 입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에 끼워져 시트지지부에 일단이 지지된 탄성부재는 타단이 상기 가이드축에 체결된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상기 시트지지부가 상기 밸브시트면과 배출구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 단면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 8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소방용 연결송수구(100)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유입된 유체를 일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된 배출구(112)가 일체로 된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배출구(112)에서 끼워져 유입구(111)의 내측에 형성된 밸브시트면(113)에 밀착되어 유입구(111)를 밀폐하도록 된 시트(120)와, 상기 시트(120)의 중심에 수직하게 결합된 가이드축(130)과, 상기 가이드축(130)에 끼워져 시트(120)를 밸브시트면(113)에 밀착시키도록 설치된 탄성부재(140)를 포함하되, 본 고안의 요지구성은, 상기 바디(110)의 내주면에서 유입구(111)의 직경보다 작은 폭과 두께로 외팔보의 형태로 일정길이 돌출된 시트지지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지지부(150)에는 상기 유입구(111)의 중심방향으로 가이드축(130)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5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151)이 형성된 주변은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단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지지부(150)가 상기 밸브시트면(113)과 유입구(111)의 입구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축(130)에 끼워져 시트지지부(150)에 일단이 지지된 탄성부재(140)는 타단이 상기 가이드축(130)에 체결된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120)의 밸브시트면(113)과 밀착되는 면에는 밀봉이 용이하도록 패킹(121)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유입구(111)의 쪽에는 종래 기술과 같이 소방호스와 연결하기 위한 상기 조임링(13)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11)의 쪽에서 일정한 압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시트(120)로 수압이 가해져서 바디(110)의 밸브시트면(113)에서 시트(120)의 패킹(121)이 이격되면서 물이 공급되어 상기 배출구(112)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 물의 공급이 차단되고 일정이하의 수압으로 되면 상기 시트(120)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서 패킹(121)이 밸브시트면(113)에 밀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단면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B - B선 단면도로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100)는, 상기 시트지지부(150)가 상기 밸브시트면(113)과 배출구(1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조립방법은 상기 배출구(112)를 통해 상기 시트지지부(150)와 유입구(111)가 이루는 공간으로 시트(120)와 탄성부재(140)를 밀어 넣고, 상기 가이드축(130)을 상기 시트지지부(150)의 관통구멍(151)으로 끼워서 상기 가이트축(13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를 시트(12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와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11)의 쪽에서 일정한 압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시트(120)의 배면에서 탄성부재(1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기 시트(120)로 수압이 가해져서 상기 가이드축(130)이 시트지지부(150)의 관통구멍(151)을 따라 배출구(112)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디(110)의 밸브시트면(113)에서 시트(120)의 패킹(121)이 이격되면서 물이 공급되어 상기 배출구(112)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 물의 공급이 차단되고 일정이하의 수압으로 되면 상기 시트(120)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서 패킹(121)이 밸브시트면(113)에 밀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40)에 의해 유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시트(120)가 가압되어, 일체형으로 부싱이 필요 없으면서 누설이 방지되는 간단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경량이고 수리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지부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상기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상기 바디(110)의 유입구(111)일측 내주면에서 유입구(111)의 직경보다 작은 폭과 두께로 타측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시트지지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지지부(160)에는 상기 유입구(111)의 중심방향으로 가이드축(130)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6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161)이 형성된 주변은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단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지지부(160)가 일 실시예에 적용될 경우에는 조립상 동일한 방법으로 하게 되고,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시트지지부(160)의 폭과 두께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상기 유입구(111)와의 사이로 시트(120)를 끼워넣어 조립하게 되므로, 상기 시트지지부(160)가 바디(110)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유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시트가 가압되어, 일체형으로 부싱이 필요 없으면서 누설이 방지되는 간단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경량이고 수리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지지부가 유입구의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시트지지부가 바디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일부 단면도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단면을 설명하는 확대도
도 6은 도 5의 B - 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지부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종래 E형 연결송수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소방용 연결송수구 110 바디(몸체)
120 시트 130 가이드축
140 탄성부재 150,160 시트지지부
151,161 관통구멍

Claims (3)

  1.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유입된 유체를 일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된 배출구(112)가 일체로 된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배출구(112)에서 끼워져 유입구(111)의 내측에 형성된 밸브시트면(113)에 밀착되어 유입구(111)를 밀폐하도록 된 시트(120)와, 상기 시트(120)의 중심에 수직하게 결합된 가이드축(130)과, 상기 가이드축(130)에 끼워져 시트(120)를 밸브시트면(113)에 밀착시키도록 설치된 탄성부재(140)를 포함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의 내주면에 유입구(111)의 직경보다 작은 폭과 두께로 시트지지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지지부(150)에는 상기 유입구(111)의 중심방향으로 가이드축(130)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지부(150)가 상기 밸브시트면(113)과 유입구(111)의 입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130)에 끼워져 시트지지부(150)에 일단이 지지된 탄성부재(140)는 타단이 상기 가이드축(130)에 체결된 체결부재(160)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지부(150)가 상기 밸브시트면(113)과 배출구(112)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2005-0004876U 2005-02-23 2005-02-23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0383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76U KR200383633Y1 (ko) 2005-02-23 2005-02-23 소방용 연결송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76U KR200383633Y1 (ko) 2005-02-23 2005-02-23 소방용 연결송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633Y1 true KR200383633Y1 (ko) 2005-05-06

Family

ID=4368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876U KR200383633Y1 (ko) 2005-02-23 2005-02-23 소방용 연결송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6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937B1 (ko) * 2010-03-05 2010-10-20 새부산소방전력 주식회사 소화전 송수구 개폐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937B1 (ko) * 2010-03-05 2010-10-20 새부산소방전력 주식회사 소화전 송수구 개폐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77348A (en) Liquid flow control devices
WO2009044703A1 (ja) 節水器具
KR20170000017A (ko)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CN211525753U (zh) 带有将螺母插入端口内侧的加强件的pb管道连接端口装置
KR101664212B1 (ko) 탈착이 용이한 밀폐식 상하수도관
US9771708B2 (en) Device for a hose fitting
KR200383633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200410621Y1 (ko) 소화전 방수구
JP2006230645A (ja) 防塵キャップ
JP5104236B2 (ja) 水素充填用ホース金具
KR100818607B1 (ko) 밸브의 설치구조
KR100745189B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100729018B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0360809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0403479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0415992Y1 (ko) 역류방지용 커넥터
CN110017399B (zh) 防漏水角阀
KR200400031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100278579B1 (ko) 밸브기능을 갖는 관체 연결구
KR200261125Y1 (ko) 농업용 드레인밸브
KR20030006737A (ko) 농업용 밸브
KR200360559Y1 (ko) 스프링쿨러 헤드용 결합부재
KR100609888B1 (ko) 수도계량기 조립체
US20070246675A1 (en) Sill coc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