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125Y1 - 농업용 드레인밸브 - Google Patents

농업용 드레인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125Y1
KR200261125Y1 KR2020010031953U KR20010031953U KR200261125Y1 KR 200261125 Y1 KR200261125 Y1 KR 200261125Y1 KR 2020010031953 U KR2020010031953 U KR 2020010031953U KR 20010031953 U KR20010031953 U KR 20010031953U KR 200261125 Y1 KR200261125 Y1 KR 200261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opening
water
clos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각수
Original Assignee
권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각수 filed Critical 권각수
Priority to KR2020010031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125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드레인밸브는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용수 공급용 호스 또는 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 또는 파이프 내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농업용 드레인밸브에 있어서, 상기 호스 또는 파이프와 연결되는 밸브본체의 내부에 개폐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폐구와 밀착되어 밸브본체의 내부의 용수를 밀폐하게 되는 개폐구밀착부를 보유한 메인캡이 상기 밸브본체와 체결되고, 상기 개폐구의 한쪽 평면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메인캡을 중공부를 통하여 삽입되며, 배출구멍을 보유한 탄성력조정캡이 상기 탄성부재의 한쪽 면을 지지 가능하게 상기 메인캡과 체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수동으로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단부에 위치한 호스 등이 농작물에 물을 공급할 때에 발생되는 내부 수압에 대응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가변하여 초기에 양수기를 작동할 때에 호스 등의 내부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드레인밸브{DRAIN VALVE USED IN PIPE LINE SYSTEM OF AGRICULTURE}
본 고안은 다수의 하우스에 물을 공급하는 라인에 설치되어 라인 내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농업용 드레인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가변함으로써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여러 위치의 수압에 대응하여 호스 또는 파이프 등의 내부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드레인밸브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 등에서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농산물에 적당한 양의 용수를 공급해야 하게 되며, 예컨대 다수의 비닐하우스나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밭은 물을 공급하는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이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지역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 바, 상기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다수의 단부에 배치되는 호스 내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밸브(100)는 밸브본체(101)의 한쪽 단부가 호스(110) 또는 파이프 등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본체(101)의 다른쪽 단부에 개폐구(102)가 배치되고, 상기 개폐구(102)의 바깥쪽의 한쪽 면에 탄성부재(103)를 설치한 뒤, 상기 탄성부재(103)의 한쪽을 지지하는 탄성부재지지캡(104)을 상기 밸브본체(101)의 다른쪽 단부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지지캡(104)의 외부면에는 배출구멍(104a)이 형성되며, 이의 내부에는 개폐구밀착부(104b)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구(102)와 밀착되어 밸브본체(101)의 내부의 용수를 밀폐하게 되며, 상기 개폐구(102)의 둘레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드레인밸브(100)는 양수기(미도시)를 가동하기전에 호스(110) 내의 수압이 없기 때문에 탄성부재(103)에 의하여 도면상 오른쪽에 위치하게 되고, 양수기를 가동할 때에는 호스(110) 내의 수압이 짧은 시간동안 상승하게 됨으로써 밸브본체(101)의 내부의 수압도 호스(110) 내의 수압과 같이 짧은 시간동안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수압이 상승하는 동안의 시간에 개폐구(102)의 둘레면을 따라 짧은 시간동안 호스(110) 내의 용수 및 이물질이 탄성부재지지캡(104)의 배출구멍(104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수압이 일정하게 상승하게 되면 개폐구(102)의 한쪽 평면이 상기 탄성부재지지캡(104)의 개폐구밀착부(104b)에 밀착됨과 동시에 호스(110)와 밸브본체(101) 내의 용수가 완전히 밀봉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다수의 호스(110) 등으로 형성된 용수공급라인을 구성하게 되며, 상기 호스(110)에는 다수의 작은 용수배출구멍(미도시)을 형성하여 주위의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탄성부재지지캡이 밸브본체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가변할 수 없어 호스 등의 내부의 수압이 다른 경우를 대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하는 호스 등에 형성된 배출구멍의 크기와 숫자, 호스 등과 양수기와의 거리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호스 내의 수압이 다를 수 있어, 호스 내의 수압이 낮을 경우에는 드레인밸브가 밀폐되지 않아 계속해서 누수될 수 있으며, 호스 내의 수압이 더욱 짧은 시간에 높아질 경우에는 호스 내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시간이 매우 짧아서 이물질을 쉽게 배출할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수동으로 가변함으로써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단부에 위치한 호스 등의 내부 수압에 대응하여 호스 등의 내부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농업용 드레인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드레인밸브는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용수 공급용 호스 또는 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 또는 파이프 내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농업용 드레인밸브에 있어서, 상기 호스 또는 파이프와 연결되는 밸브본체의 내부에 개폐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폐구와 밀착되어 밸브본체의 내부의 용수를 밀폐하게 되는 개폐구밀착부를 보유한 메인캡이 상기 밸브본체와 체결되고, 상기 개폐구의 한쪽 평면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메인캡을 중공부를 통하여 삽입되며, 배출구멍을 보유한 탄성력조정캡이 상기 탄성부재의 한쪽 면을 지지 가능하게 상기 메인캡과 체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드레인밸브가 적용되는 용수공급라인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드레인밸브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드레인밸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종래에 관련하는 농업용 드레인밸브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레인밸브 2 : 밸브본체
3 : 개폐구 4 : 메인캡
4a : 개폐구밀착부 5 : 탄성부재
6 : 탄성력조정캡 6a : 배출구멍
6b : 환형턱 6c : 호스연결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드레인밸브가 적용되는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드레인밸브(1)를 통하여 호스(10) 내에 축적된 이물질을 용수와 함께 배출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10)를 사용하는 되나 파이프 등과 같이 용수를 이송하는 수단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레인밸브(1)는 양수기(11)와 연결된 다수의 주파이프(12) 중에 다수의 호스(10)에 각각 설치되어 양수기(11)를 가동하는 시간에 짧은 시간동안 호스(10) 내의 이물질을 용수와 함께 배출하게 된다.
그래서 본 고안에 의한 드레인밸브(1)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용수 공급용 호스(10) 등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 등의 내부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호스(10)와 연결되는 밸브본체(2)의 내부에 개폐구(3)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폐구(3)를 상기 밸브본체(2)와 함께 내장하게 되는 메인캡(4)이 상기 밸브본체(2)와 체결되고, 상기 개폐구(3)가 탄성부재(5)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5)의 탄성력을 가변하는 탄성력조정캡(6)이 상기 메인캡(4)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캡(4)에는 상기 개폐구(3)와 밀착되어 밸브본체(2)의 내부의 용수를 밀폐하게 되는 개폐구밀착부(4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의 한쪽 면에는 개폐구(3)의 한쪽 평면이 접촉됨과 더불어 다른쪽 면에는 탄성력조정캡(6)의 내부면이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5)가 상기 메인캡(6)을 중공부를 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탄성력조정캡(6)에는 배출구멍(6a)이 형성되어 호스(10) 내부의 이물질을 밸브본체(2)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력조정캡(6)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환형턱(6b)을 보유한 호스연결부(6c)를 일체로 형성하여 용수와 이물질의 배출을 유도하는 호스(7)를 삽입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물론 공지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밸브본체(2)의 한쪽에는 호스(10)가 연결됨과 더불어 다른쪽에는 메인캡(4)이 체결되는 바, 상기 밸브본체(2)의 한쪽에 다수의 환형턱(2a)을 보유한 호스설치부(2b)가 일체로 형성되며, 호스(10)의 둘레면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8)가 상기 밸브본체(2)에 체결되며, 상기 개폐구(3)의 둘레면에는 용수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드레인밸브(1)는 양수기(11)를 가동하기 전에 호스(10) 내의 수압이 없기 때문에 탄성부재(5)에 의하여 도면상 오른쪽에 위치하게 되며, 양수기(11)를 가동하게 되면 양수기(11)가 용수를 주파이프(12)를 통하여 호스(10)에 공급하게 되어 상기 호스(10) 내의 수압이 짧은 시간동안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밸브본체(2)의 내부의 수압도 호스(10) 내의 수압과 같이 짧은 시간동안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수압이 상승하는 동안의 시간에 개폐구(3)의 둘레면을 따라 짧은 시간동안 호스(10) 내의 용수 및 이물질이 메인캡(4)의 중공부와 탄성력조정캡(6)의 배출구멍(6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수압이 상승하게 되면 개폐구(3)의 한쪽 평면이 상기 메인캡(4)의 개폐구밀착부(4a)에 밀착됨과 동시에 호스(10)와 밸브본체(2) 내의 용수가 완전히 밀봉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다수의 호스(10) 등으로 형성된 용수공급라인을 구성하게 되며, 상기 호스(10)에는 다수의 작은 용수배출구멍(미도시)을 형성하여 주위의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구성요소인 다수의 호스(10) 내의 수압이 각각 다른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부재(5)의 탄성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탄성력조정캡(6)을 죄거나 풀어서 탄성부재(5)의 양단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탄성부재(5)가 개폐구(3)를 밀게 되는 탄성력을 줄이거나 크게 하여 양수기(11)가 작동할 때에 발생되는 호스(10) 내의 수압에 대응하여 드레인밸브(1)의 기능을 가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에서는 드레인밸브에 내장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가변하여 드레인밸브의 사용 위치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드레인밸브는 용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수동으로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단부에 위치한 호스 등이 농작물에 물을 공급할 때에 발생되는 내부 수압에 대응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가변하여 초기에 양수기를 작동할 때에 호스 등의 내부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라인시스템의 용수 공급용 호스 또는 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 또는 파이프 내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농업용 드레인밸브에 있어서,
    상기 호스(10) 또는 파이프와 연결되는 밸브본체(2)의 내부에 개폐구(3)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폐구(3)와 밀착되어 밸브본체(2)의 내부의 용수를 밀폐하게 되는 개폐구밀착부(4a)를 보유한 메인캡(4)이 상기 밸브본체(2)와 체결되고, 상기 개폐구(3)의 한쪽 평면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가 상기 메인캡(4)을 중공부를 통하여 삽입되며, 배출구멍(6a)을 보유한 탄성력조정캡(6)이 상기 탄성부재(5)의 한쪽 면을 지지 가능하게 상기 메인캡(4)과 체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드레인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조정캡(6)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환형턱(6b)을 보유한 호스연결부(6c)를 일체로 형성하여 용수와 이물질의 배출을 유도하는 호스(7)를 삽입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드레인밸브.
KR2020010031953U 2001-10-19 2001-10-19 농업용 드레인밸브 KR200261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53U KR200261125Y1 (ko) 2001-10-19 2001-10-19 농업용 드레인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53U KR200261125Y1 (ko) 2001-10-19 2001-10-19 농업용 드레인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125Y1 true KR200261125Y1 (ko) 2002-01-19

Family

ID=7306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953U KR200261125Y1 (ko) 2001-10-19 2001-10-19 농업용 드레인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1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305B1 (ko) * 2020-10-13 2021-02-25 홍재의 분무 라인용 드레인 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305B1 (ko) * 2020-10-13 2021-02-25 홍재의 분무 라인용 드레인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11581B2 (en) Irrigation apparatus having a lateral tube support
KR101267512B1 (ko) 액체 유동 제어 장치에 관련되거나 또는 그것에서의 향상
KR101234009B1 (ko) 액체 유동 제어 장치에 관련되거나 또는 그것에서의 향상
US5727733A (en) Pulsating devices
CA2356071A1 (en) Shower head assembly
KR970005417A (ko) 유체이송용 커플링장치
KR200261125Y1 (ko) 농업용 드레인밸브
KR200380863Y1 (ko) 농업용 관수설비용 체크밸브
US6769673B2 (en) Apparatus for the gasification of liquids
KR20050043635A (ko) 역지 기능을 가진 지수전
KR200383633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US5853024A (en) Top-mountable widespread valve body
JP2007170257A (ja) 多連スロットルボデーにおける燃料供給構造
BR0005259A (pt) Dispositivo para a compensação da pressão de um lìquido e processo para alteração da relação de compensação de pressão
KR100505558B1 (ko) 용수분기구
KR100278579B1 (ko) 밸브기능을 갖는 관체 연결구
JPH063273Y2 (ja) 自動水抜弁
KR200182941Y1 (ko)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유동호스 결합구조
SU820756A1 (ru) Автопоилка дл животных
KR200342617Y1 (ko) 농기계용 엔진오일 및 밋션오일 배출장치
JP2525378Y2 (ja) 排気弁
KR200309152Y1 (ko) 앵글 신축 볼밸브
KR20030006737A (ko) 농업용 밸브
EP1193430A3 (de) Ventil, insbesondere Heizkörperventil
KR200245148Y1 (ko) 농업용 커플러의 &#39;o&#39;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