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829B1 -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829B1
KR101699829B1 KR1020150088318A KR20150088318A KR101699829B1 KR 101699829 B1 KR101699829 B1 KR 101699829B1 KR 1020150088318 A KR1020150088318 A KR 1020150088318A KR 20150088318 A KR20150088318 A KR 20150088318A KR 101699829 B1 KR101699829 B1 KR 10169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fire
underground
fire hydrant
wat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017A (ko
Inventor
조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기계
Priority to KR102015008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8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aps Or Cock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는, 배수홀(220)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210)와, 배수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단차면(221)과, 배수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단차면(222)과, 제1 단차면(221)에 탄지되는 탄성부재(230)와, 제2 단차면(222)에 안착 구비되는 안착링(240)과, 탄성부재(230)의 타단에 재치되고 옥외소화전 내부(S1)의 수압의 세기에 따라서 배수홀(220)을 개폐하는 시트 볼(2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는,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의 측면부(112)에 관통형성된 배수구(120)와, 배수구(120)에 설치되는 상기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로 구성되며, 이에 의하면, 동파방지 배수밸브의 설치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A DRAIN VALVE FOR OUTDOOR FIRE HYDRANT}
본 발명은 지하식 옥외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식 옥외소화전에 설치되어서 옥외소화전을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 배수밸브를 옥외소화전의 측면에 착탈식으로 설치함으로써 동파방지 배수밸브의 설치 및 교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지하식 옥외소화전(F)의 사용상태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지하식 옥외소화전(F)은 지중(E)에 형성된 맨홀(Ma)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P1)과 연결되어서 설치된다. 지하식 옥외소화전(F) 설치 후에는 맨홀덮개(Mb)로 맨홀(Ma)을 덮는다.
화재시 맨홀덮개(Mb)를 열어서 소방호스(H1)를 지하식 옥외소화전(F)에 연결하여 급수관(P1)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소방호스(H1)로 공급하여 방화수로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하식 옥외소화전(F)에는 동파방지 배수밸브가 설치되는데, 동파방지 배수밸브는 지하식 옥외소화전에 설치되어서 지하식 옥외소화전(F)의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켜서 겨울철에 옥외소화전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 20-0360573호(공고일: 2004년 08월 30일)에 의한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가 알려져 있다.
도 2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1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10)가 지하식 옥외소화전에 장착된 상태도 및 그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위 등록실용신안 제 20-0360573호에 의한 기술은 그 등록공보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도 2 및 도 3을 기초로 그 요지만을 간략히 설명한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360573호에 개시된 종래기술 의한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10)는, 용수가 공급배출되는 유입공(6)과 배출공(7)이 형성되고, 개폐밸브(4)가 내설된 몸체부(2)에 소방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결합된 지하식 소화전의 하측에 설치되어 몸체부(2) 내부에 잔류된 용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공(12)이 관통되고 상부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나사부(13)가 형성된 고정체(11)와, 외주면에 나사부(14a)가 형성되어 고정체(11)에 나사 결합되는 용수 유도체(14)와; 고정체(11)의 배수공(12)에 내설되는 코일스프링(19)과; 코일스프링(19)에 의해 탄발력을 갖도록 내설된 볼(17)로 이루어지며, 드레인 밸브(10)의 고정체(11) 내주면에는 단턱부(18a, 18b)가 형성되며, 고정체(11)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16)이 내설되며, 용수 유도체(14)는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절개홈(15)이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10) 및 그 장착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10)는 지하식 소화전의 몸체부(2)의 바닥부(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하식 소화전의 몸체부(2)의 바닥부(하면)에 설치되면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10)를 설치하거나 교체 또는 유지, 보수 및 청소하는 경우 소화전 전체를 맨홀에서 꺼집어내야만 했고, 용수유도체를 풀어서 옥외소화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따라서, 드레인 밸브(10)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 및 청소시에 매우 불편하였고 그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의 드레인 밸브(10)는 옥외소화전의 바닥을 관통하여서 소화전 내외부에 걸쳐서 취부된 구조이므로, 이 경우 옥외소화전 내부에 손을 넣어서 용수유도체를 풀어야 했으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셋째, 종래의 드레인 밸브(10)는 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수유도체를 별도로 채택하였고[종래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용수유도체 대신에 고정핀을 설치하거나 또는 용수유도체에 부가적으로 고정핀을 설치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용수유도체의 채택에 의해서 부품수가 증가하고, 용수유도체의 설치를 위해서 밸브바디인 고정체의 내주면에 나사가공을 해야 했었다.
따라서, 종래의 드레인 밸브(10)는 제품의 제작 원가가 상승하였고, 드레인 밸브를 소화전에 취부하는 조립 공수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1. 등록실용신안 제 20-0360573호(공고일: 2004년 08월 30일)
특허문헌2. 등록실용신안 제20-0296539호(공고일: 2002년11월2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의 목적은,
첫째, 본 발명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를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옆에서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동파방지 배수밸브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옆으로 손을 넣어서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옆에서 나사를 조이고 푸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동파방지 배수밸브를 쉽고 빠르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동파방지 배수밸브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볼 스토핑부가 형성된 배수구 특유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서 시트 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 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제품의 부품수와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는,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급수관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닫히고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열려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여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에 있어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와, 상기 배수홀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단차면에서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내부 쪽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2 단차면과, 일단이 상기 제1 단차면에 탄지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 단차면에 안착 구비되는 안착링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재치되고 급수관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내부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상기 안착링에 밀착하여서 상기 배수홀을 막고,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안착링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을 개방하는 시트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된 배수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는, 상기 밸브바디의 외주면에는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된 배수구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제2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는 상기 배수구에 나사식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지하식 옥외소화전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볼은 상기 배수구에 형성된 볼 스토핑부에 스토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는, 상기 제2 나사부의 끝에서 외향으로 단차지게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가 배수구에 장착되는 경우 배수구와 밸브바디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링이 상기 안착부에 끼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는, 지중에 형성된 맨홀 내부에 설치되고,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하식 옥외소화전과,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본체의 측면부에 관통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본체의 배수구에 설치되어서, 급수관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닫히고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열려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여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는, 상기 배수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가 배수구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배수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단차면에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 쪽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2 단차면과, 일단이 상기 제1 단차면에 탄지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 단차면에 안착 구비되는 안착링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재치되고 급수관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안착링에 밀착되어서 상기 배수홀을 막고, 급수관으로부터 방화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안착링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을 개방하는 시트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는, 상기 배수구의 일측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체결하는 제2 나사부가 상기 밸브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는 옥외소화전의 측면부의 배수구에 나사체결에 의해서 착탈되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가 상기 배수구의 제1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경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의 시트 볼이 상기 배수구를 통과하여서 옥외소화전 내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는, 상기 배수구에는,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시트 볼이 소화전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 스토핑부가 상기 제1 나사부에서 연장되어서 반경방향의 내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형성되어 있고,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와 연통되어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에 잔류된 물이 상기 배수홀로 빠져나가는 입구인 배수공이 상기 볼 스토핑부에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는, 상기 볼 스토핑부는 그 직경이 상기 제1 나사부에서 배수공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부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상기 시트 볼의 직경보다 크다가 점차 작아져서 상기 배수공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상기 시트 볼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의 직경은 시트 볼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배수공은 볼 스토핑부의 종단에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를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옆에서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동파방지 배수밸브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옆으로 손을 넣어서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옆에서 나사를 조이고 푸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동파방지 배수밸브를 쉽고 빠르게 착탈할 수 있고, 그 결과 동파방지 배수밸브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볼 스토핑부가 형성된 배수구 특유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서 시트 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시트 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제품의 부품수와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하식 옥외소화전(F)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10)가 지하식 옥외소화전에 장착된 상태도 및 그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가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에 장착된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의 닫힘(CLOSE) 동작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삭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는,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급수관(P1)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닫히고 급수관(P1)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열려서(OPEN)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여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에 있어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홀(22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210)와, 상기 배수홀(220)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1 단차면(221)과, 상기 제1 단차면(221)에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 쪽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220)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2 단차면(222)과, 일단이 상기 제1 단차면(221)에 탄지되는 탄성부재(230)와, 상기 제2 단차면(222)에 안착 구비되는 안착링(240)과,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에 재치되고 급수관(P1)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230)를 압축하고 상기 안착링(240)에 밀착하여서 상기 배수홀(220)을 막고, 급수관(P1)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의 수압이 작용하지 않아서 상기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안착링(240)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220)을 개방하는 시트 볼(2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의 측면부(112)에 형성된 배수구(12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210)의 외주면에는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의 측면부(112)에 형성된 배수구(120)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제2 나사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는 상기 배수구(120)에 나사식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볼(250)은 상기 배수구(120)에 형성된 볼 스토핑부(122)에 스토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부(211)의 끝에서 외향으로 단차지게 안착부(2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가 배수구(120)에 장착되는 경우 배수구(120)와 밸브바디(210)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링(260)이 상기 안착부(212)에 끼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는, 지중(E)에 형성된 맨홀(Ma) 내부에 설치되고,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를 개폐하는 덮개(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하식 옥외소화전(100)과,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의 측면부(112)에 관통형성된 배수구(120)와,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의 배수구(120)에 설치되어서, 급수관(P1)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닫히고 급수관(P1)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열려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여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로 구성되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는, 상기 배수구(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밸브바디(210)와, 상기 밸브바디(210)가 배수구(120)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배수구(120)와 연통하도록 상기 밸브바디(2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홀(220)과, 상기 배수홀(220)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링 형태로 단차 형성된 제1 단차면(221)과, 상기 제1 단차면(221)에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 쪽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220)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링 형태로 단차 형성된 제2 단차면(222)과, 일단이 상기 제1 단차면(221)에 탄지되는 탄성부재(230)와, 상기 제2 단차면(222)에 안착 구비되는 안착링(240)과,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에 재치되고 급수관(P1)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230)를 압축하여 상기 안착링(240)에 밀착되어서 상기 배수홀(220)을 막고(CLOSE), 급수관(P1)으로부터 방화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의 수압이 작용하지 않아서 상기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안착링(240)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220)을 개방(OPEN)하는 시트 볼(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가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의 측면부(112)에 형성된 배수구(1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 즉,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옆에서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지하식 옥외소화전(100) 전체를 꺼낼 필요가 없이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이 맨홀에 설치된 그 상태에서도 바로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고, 그 결과 동파방지 배수밸브(200)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20)의 일측[바깥쪽 즉, 출구쪽]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121)와 나사체결하는 제2 나사부(211)가 상기 밸브바디(2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는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측면부(112)의 배수구(120)에 나사체결에 의해서 착탈되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가 상기 배수구(120)의 제1 나사부(121)에 나사 체결되는 경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의 시트 볼(250)이 상기 배수구(120)를 통과하여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는, 종래와 같이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를 내외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지 아니하고, 또한 배수밸브가 본체(110) 내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볼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한 마개의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아니고,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외부에서 바로 착탈하는 구조 즉, 측면부(112)의 배수구(120)에 나사체결되되 배수구(120)를 관통하여서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옆으로 손을 넣어서 소화전의 옆에서 나사를 조이고 푸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동파방지 배수밸브(100)를 착탈할 수 있으므로, 착탈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20)에는, 급수관(P1)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시트 볼(250)이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 스토핑부(122)가 상기 제1 나사부(121)에서 연장되어서 반경방향의 내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형성되어 있고,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와 연통되어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에 잔류된 물이 상기 배수홀(220)로 빠져나가는 입구인 배수공(123)이 상기 볼 스토핑부(122)에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 스토핑부(122)는 그 직경이 상기 제1 나사부(121)에서 배수공(123)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부(121)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상기 시트 볼(250)의 직경보다 크다가 점차 작아져서 상기 배수공(123)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상기 시트 볼(250)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123)의 직경은 시트 볼(250)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배수공(123)은 볼 스토핑부(122)의 종단에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화전 본체(110)의 측면부(112)의 배수구(120)에 형성된 볼 스토핑부(122)와 배수공(123)의 구성에 의해서 시트 볼(250)이 볼 스토핑부(122) 또는 배수공(123)에 의해서 스토핑 가능하므로 즉, 배수공 특유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서 시트 볼(2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트 볼(2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제품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번호 (105)로 지시되는 구성은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를 개폐하는 덮개(105)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를 설치하는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종래와는 달리 소화전 전체를 맨홀로부터 꺼집어 낼 필요가 없이 소화전이 맨홀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동파방지 배수밸브(200)의 설치가 가능하다.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이 맨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를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옆으로 가져간 상태에서 밸브바디(210)의 제2 나사부(211)를 배수구(120)의 제1 나사부(121)에 나사체결하기만 하면 동파방지 배수밸브(200)가 소화전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동파방지 배수밸브(200)의 온오프 동작 즉, 시트 볼(250)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파선 화살표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화재시에는 소방호스가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에 연결되어서 소방호스의 수압이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내부(S1)에 작용하게 되고, 그 수압이 시트 볼(250)을 배수홀(220) 쪽으로 밀게 되고 이렇게 밀린 시트 볼(250)은 안착링(240)으로 밀착되어서 배수홀(220)을 막아서 배수를 차단하게 된다[도 8 참조].
이제 화재 진압이 종료되어서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아서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안착링(240)에 밀착되어 있는 시트 볼(250)이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배수공(123) 쪽으로 복귀하게 되고, 소화전 내부(S1)에 잔류하던 물이 배수된다.
그리고,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배수공(123) 쪽으로 이동하는 시트 볼(250)은 볼 스토핑부(122) 또는 배수공(123)에 의해서 스토핑되어서 소화전 내부(S1)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지하식 옥외소화전 S1 :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
105 :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덮개 110 : 지하식 옥외소화전의 본체
112 : 본체의 측면부 120 : 배수구
121 : 배수구의 제1 나사부 122 : 볼 스토핑부
123 : 배수공
200 :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210 : 밸브바디 211 : 제2 나사부
212 : 안착부 220 : 배수홀
221 : 제1 단차면 222 : 제2 단차면
230 : 탄성부재 240 : 안착링
250 : 시트 볼 260 : 누수방지링
P1 : 급수관

Claims (4)

  1. 삭제
  2. 지중(E)에 형성된 맨홀(Ma) 내부에 설치되고,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를 개폐하는 덮개(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하식 옥외소화전(100);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의 측면부(112)에 관통형성된 배수구(120);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본체(110)의 배수구(120)에 설치되어서, 급수관(P1)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닫히고 급수관(P1)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열려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여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로 구성되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는,
    상기 배수구(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밸브바디(210)와,
    상기 밸브바디(210)가 배수구(120)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배수구(120)와 연통하도록 상기 밸브바디(2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홀(220)과,
    상기 배수홀(220)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1 단차면(221)과,
    상기 제1 단차면(221)에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 쪽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220)의 내주면에서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2 단차면(222)과,
    일단이 상기 제1 단차면(221)에 탄지되는 탄성부재(230)와,
    상기 제2 단차면(222)에 안착 구비되는 안착링(240)과,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에 재치되고 급수관(P1)으로부터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230)를 압축하여 상기 안착링(240)에 밀착되어서 상기 배수홀(220)을 막고, 급수관(P1)으로부터 방화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안착링(240)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배수홀(220)을 개방하는 시트 볼(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수구(120)의 일측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121)와 나사체결하는 제2 나사부(211)가 상기 밸브바디(2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는 지하식 옥외소화전(100)의 측면부(112)의 배수구(120)에 나사체결에 의해서 착탈되며,
    상기 배수구(120)에는,
    급수관(P1)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시트 볼(250)이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 스토핑부(122)가 상기 제1 나사부(121)에서 연장되어서 반경방향의 내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형성되어 있고,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와 연통되어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에 잔류된 물이 상기 배수홀(220)로 빠져나가는 입구인 배수공(123)이 상기 볼 스토핑부(122)에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가 상기 배수구(120)의 제1 나사부(121)에 나사 체결되는 경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의 시트 볼(250)이 상기 배수구(120)를 통과하여서 지하식 옥외소화전 내부(S1)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나사부(211)의 끝에서 외향으로 단차지게 안착부(2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200)가 배수구(120)에 장착되는 경우 배수구(120)와 밸브바디(210)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링(260)이 상기 안착부(212)에 끼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볼 스토핑부(122)는 그 직경이 상기 제1 나사부(121)에서 배수공(123)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부(121)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상기 시트 볼(250)의 직경보다 크다가 점차 작아져서 상기 배수공(123)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상기 시트 볼(250)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123)의 직경은 시트 볼(250)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배수공(123)은 볼 스토핑부(122)의 종단에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150088318A 2015-06-22 2015-06-22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KR10169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318A KR101699829B1 (ko) 2015-06-22 2015-06-22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318A KR101699829B1 (ko) 2015-06-22 2015-06-22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17A KR20170000017A (ko) 2017-01-02
KR101699829B1 true KR101699829B1 (ko) 2017-01-26

Family

ID=5781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318A KR101699829B1 (ko) 2015-06-22 2015-06-22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412B1 (ko) 2017-06-05 2018-10-01 최영표 자동배수기능을 갖는 드레인 밸브
KR20200090284A (ko) 2019-01-18 2020-07-29 정순구 잔류용수 제거장치가 구비된 소화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4975A (zh) * 2017-10-31 2018-01-19 河南工程学院 室外防冻消火栓
KR102067324B1 (ko) * 2017-12-22 2020-03-02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Wi-Fi 망에서 딥러닝을 이용한 위장 공격 특장점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363365B1 (ko) * 2020-03-03 2022-02-17 조혜수 비스(트리플로로메틸)비페닐 화합물의 제조 방법
CN113101583B (zh) * 2021-03-09 2022-02-18 列斯丽(深圳)技术有限公司 用于消火栓及消防井的防冻防腐防爆智能排水物联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05Y1 (ko) * 2000-07-22 2001-01-15 신부인 소화전의 퇴수장치
KR200360573Y1 (ko) * 2004-06-14 2004-08-30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539Y1 (ko) 2002-07-02 2002-11-29 박우봉 소화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05Y1 (ko) * 2000-07-22 2001-01-15 신부인 소화전의 퇴수장치
KR200360573Y1 (ko) * 2004-06-14 2004-08-30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412B1 (ko) 2017-06-05 2018-10-01 최영표 자동배수기능을 갖는 드레인 밸브
KR20200090284A (ko) 2019-01-18 2020-07-29 정순구 잔류용수 제거장치가 구비된 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17A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829B1 (ko)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US20230058099A1 (en) Automatic draining back flow prevention device
US3980097A (en) Fire hydrant with drain valve and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CA2517744C (en) Vented port-cap for fire hydrant
US6578602B1 (en) Alarm valve system
US20080047612A1 (en) Automatic draining double check vacuum breaker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10083182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0410621Y1 (ko) 소화전 방수구
EP3521523A1 (en) Leakage protection device for a toilet flush tank
KR101839393B1 (ko)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70100475A (ko) 응축수 배수관용 스팀 트랩
US20240167254A1 (en) Hose coupling for a hydrant, and hydrant
JP2013011130A (ja) 排水トラップ
JP6959059B2 (ja) 仮設トイレ用管継手
RU27731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тивотока, шланговая муфта для гидранта и гидрант
JP7164321B2 (ja) 空気弁
KR200465322Y1 (ko) 알람밸브용 밸브
US20210340742A1 (en) A backflow preventer, a hose coupling of a hydrant and a hydrant
KR20080094509A (ko) 스프링클러 설비의 테스트 장치
KR20080006407U (ko) 스프링클러 설비의 테스트 장치
JP2017078446A (ja) 不凍結形空気弁
JP2015080553A (ja) 消火栓装置および消火栓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